KR102640274B1 - 파지력 유지 장갑 - Google Patents

파지력 유지 장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74B1
KR102640274B1 KR1020210073720A KR20210073720A KR102640274B1 KR 102640274 B1 KR102640274 B1 KR 102640274B1 KR 1020210073720 A KR1020210073720 A KR 1020210073720A KR 20210073720 A KR20210073720 A KR 20210073720A KR 102640274 B1 KR102640274 B1 KR 102640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st
fixing part
fixing
grip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65125A (ko
Inventor
조근열
최희은
도환권
온철원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7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65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5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47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 A41D19/01552Protective gloves with grip improving means using hooks and loops fast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2Closures using hook and loop-typ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30Closures
    • A41D2300/332Closures using elastic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32Therapeutic us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500/00Materials for garments
    • A41D2500/50Synthetic resins or rub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력 유지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에 힘이 없는 헤미 환자(중풍 환자), 편마비 환자, 경수손상환자 등이 물체 예컨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고 재활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파지력(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파지력 유지 장갑{Grip strengthen glove}
본 발명은 파지력 유지 장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에 힘이 없는 헤미 환자(중풍 환자), 편마비 환자, 경수손상환자 등이 물체 예컨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고 재활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파지력(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에 관한 것이다.
뇌혈관질환이나 뇌졸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한 성인 사망원인으로 알려져 있고, 한번 발생하고나면 치명적이거나 편마비증상, 언어장애 같은 심각한 신체적장애를 일으키는 질병이므로, 병에 대한 확실한 이해와 함께 적극적인 예방과 치료가 있어야 한다.
뇌혈관질환,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증상치료방법으로는 약물치료와 수술적 치료만 하고 그대로 방치할 경우 신체에 치명적이면서도 영구적인 장애를 가져오기 때문에 뇌졸중이 발생한 뇌신경의 회복이 일어나는 3개월에서 6개월 이내에 조속한 편마비재활치료 및 운동을 통해 극복해야 한다.
편마비(hemiplegi)는 헤미증상이라고도 하는데, 헤미환자재활운동은 가능한 빠른 시기에 재활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한데, 팔다리의 관절마디가 굳어 뻣뻣해지는 관절구축, 경직증상은 헤미환자재활운동으로 완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헤미환자재활운동을 위해서는 재활 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은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나, 헤미환자의 질환적 증상의 특성상 핸들을 온전히 잡고 재활치료를 시행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운 문제가 있어,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쉽게 지쳐 포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헤미환자의 악력을 유지시키는 것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파지력을 발생 및 유지시키는 도구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파지력을 강화 내지 유지시키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이하 문헌 1이라 함)와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이하 문헌 2이라 함)를 예로 들 수 있다.
먼저, 상기 문헌 1은 첨부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 형태의 외피; 상기 외피 상의 인체의 손가락 관절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가이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연장된 와이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상기 외피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 중 개방(open) 움직임 또는 폐쇄(close) 움직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움직임에 대한 시작 또는 종료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 및 상기 복수의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인체의 손가락 관절이 움직이도록 하는 구동모듈; 을 포함하는 외골격형 글러브이다.
이러한 문헌 1은 인체의 손가락의 파지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와이어의 연장 길이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파지 동작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문헌 2는 장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를 가지는 동작 보조 장갑과 상기 동작 보조 장갑의 갑옷 측에 배치되어 상기 손가락 삽입부를 구동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연재 방향에 따르도록 배치된 선상 부재와 상기 장착자의 피부에 밀착시켜, 손가락을 동작시키기 위한 생체 신호를 검출하는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와, 그 생체 신호 검출(signal detection)부에 따라 출력된 검출 신호(detecting signal)에 근거해 상기 구동부에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해 상기 선상 부재는 신장 동작 또는 굴곡 동작에 따라 신축하는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연속하는 주름상자모양부를 가지는 통 모양의 통상체와, 그 통상체의 중공부에 삽통된 적어도 한 쌍의 와이어를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는 일단이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손가락 삽입부에 연결되어 상기 통상체에 횡가된 횡가부재에 따라 나누어진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장가 되어 상기 구동부는 상기 통상체의 상부 공간, 하부 공간에 평행으로 삽통된 상기 한 쌍의 와이어의 일단이 주방향이 다른 2점에 연결된 회 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모터를 가지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켜, 상기 회 동부재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중 한편을 끄는 것으로 상기 통상체를 상기 손가락 삽입부의 신장 방향 또는 굴곡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이다.
이러한 문헌 2는 제어부로부터의 구동 제어 신호(control signal)에 근거해 선상 부재를 손가락의 관절의 동작 방향으로 신장 또는 굴곡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문헌 1,2와 같은 종래 기술은 손가락의 굴신 작용을 유도하는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부피가 크고 무거워 사지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경수 환자가 사용하는데 무리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어부를 통해 전기적인 동작을 제어하게 되므로, 장치 자체가 복잡한 것은 물론이고,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동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헌 1,2의 좀 더 상세한 문헌정보는 다음과 같다.
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526947호(명칭 : 골격형 글로브 ; 출원일: 2014년04월21일)
문헌2 :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0-240285호(명칭 : 장착식 동작 보조 장치 ; 출원일: 2009년04월0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손에 힘이 없는 헤미 환자(중풍 환자), 편마비 환자, 경수손상환자 등이 물체 예컨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고 재활운동을 실시함에 있어,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재활치료가 진행되는 동안 파지력(악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을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손과 팔목이 접한 상태에서, 팔목과 손등의 안치부위를 제공하는 손안치부(11); 상기 손안치부(11)를 횡단하며 엄지를 제외한 손바닥을 감싸 고정하는 손바닥고정부(12); 상기 손안치부(11)에서 연장되어,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가 팔목 방향으로 덮이는 것에 의해 손가락의 굽힘을 유도하여 물체(1)를 잡도록 하는 파지유도부(13); 상기 손안치부(11)의 팔목이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팔목 방향으로 덮여진 파지유도부(11)를 감싸 고정시키는 팔목고정부(1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죽 또는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 패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손안치부(11)는 팔목고정부(14)와 경계선상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안치부(11) 중 팔목고정부(14) 방향 단부의 폭은 안치되는 팔목의 폭과 대등한 상태에서, 손등 부분으로 가면서 손등의 폭과 대등한 상태로 확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손안치부(11)의 탄성을 갖는 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 시, 접하는 방향의 면에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도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바닥 방향으로 덮였을때,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두툼한 부위가 노출되도록 만곡홈(1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지유도부(13) 중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손톱)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향 경사지게 돌출 마련되어, 손가락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손 끝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손끝지지부(15)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손끝지지부(15)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 중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면 또는 반대쪽 면 또는 양쪽면에 팔목고정부(14)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중 상기 팔목고정부(14)는 팔목부위로 덮인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안치부(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부(14-1) 및 제2고정부(14-2)는 일측 면 또는 타측면 또는 양측면에 파지유도부(13) 또는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 서로에 대한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1)를 덮어 감싸 고정되고,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2고정부(14-2)에 덮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1고정부(14-1)에 덮여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파지유도부(13)를 덮어 감싸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부위에 덮여진 상기 파지유도부(13)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2)를 덮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손안치부(1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팔목부위에 덮여진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감싸 고정된 후, 팔목을 감아 돌아 자신을 더 감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환자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를 잡은 손을 파지유도부(13)가 끌어당겨 파지력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체를 꽉 부여잡기 힘든 헤미 환자(중풍 환자)를 포함한 편마비 환자 및 경수손상 환자 등이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고 재활 운동을 처음 부터 끝까지 온전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파지유도부(13) 중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손톱)이 위치하는 부분에 손끝지지부(15)를 경사지게 돌출 마련함으로써,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았을때, 손가락 끝이 들리지 않고 핸들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손가락에 의한 파지력이 더욱 견고하면서도 강력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안치부(11)의 일측 단인 팔목고정부(14)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안치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련된 팔목고정부(14)를 팔목에 감았을 때, 상기 손안치부(11)와 팔목고정부(14)의 경계 부분이 만곡지게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경계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손바닥고정부(12) 중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 시, 접하는 방향의 면에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도포 형성됨으로써,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하였을때, 손바닥고정부(12)에 형성된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논슬립 기능을 하여 핸들에 대한 미끄러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손바닥 방향으로 덮였을때,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두툼한 부위가 노출되도록 만곡홈(13a)이 형성됨으로써, 파지력 유지 장갑(10)을 착용하고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을 때, 상기 핸들을 감싸기 위해 굽혀지는 엄지손가락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구성 및 작용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및 손에 대한 적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5 내지 도 8는 본 발명의 착용에 따른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팔목 부위에 대한 파지유도부와 팔목고정부 간의 고정예를 도시한 착용 예시도.
이와 같이 제시하는 첨부 도면 3 내지 도 10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파지력 유지 장갑(10)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과 팔목이 접한 상태에서, 팔목과 손등의 안치부위를 제공하는 손안치부(11); 상기 손안치부(11)를 횡단하며 엄지를 제외한 손바닥을 감싸 고정하는 손바닥고정부(12); 상기 손안치부(11)에서 연장되어,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가 팔목 방향으로 덮이는 것에 의해 손가락의 굽힘을 유도하여 물체(1)를 잡도록 하는 파지유도부(13); 상기 손안치부(11)의 팔목이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팔목 방향으로 덮여진 파지유도부(11)를 감싸 고정시키는 팔목고정부(14); 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손안치부(11)는 팔목고정부(14)와 경계선상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손안치부(11)의 탄성을 갖는 밴드인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바닥 방향으로 덮였을때,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두툼한 부위가 노출되도록 만곡홈(13a)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 중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면 또는 반대쪽 면 또는 양쪽면에 팔목고정부(14)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팔목고정부(14)는 팔목부위로 덮인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안치부(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부(14-1) 및 제2고정부(14-2)는 일측 면 또는 타측면 또는 양측면에 파지유도부(13) 또는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 서로에 대한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과 팔목이 접한 상태에서, 팔목과 손등의 안치부위를 제공하는 손안치부(11); 상기 손안치부(11)를 횡단하며 엄지를 제외한 손바닥을 감싸 고정하는 손바닥고정부(12); 상기 손안치부(11)에서 연장되어,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가 팔목 방향으로 덮이는 것에 의해 손가락의 굽힘을 유도하여 물체(1)를 잡도록 하는 파지유도부(13); 상기 손안치부(11)의 팔목이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팔목 방향으로 덮여진 파지유도부(11)를 감싸 고정시키는 팔목고정부(14); 를 포함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10)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환자가 물체 예컨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은 상태에서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끌어당겨 팔목 부위 즉 팔목고정부(14)에 고정함으로써, 악력이 발생되도록 하고 이를 유지시켜 물체를 잡을 수 없는 헤미 환자나 그 외 악력이 약한 환자가 물체를 잡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처럼 환자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를 잡은 손을 파지유도부(13)가 끌어당겨 파지력을 견고히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물체를 꽉 부여잡기 힘든 헤미 환자(중풍 환자)를 포함한 편마비 환자 및 경수손상 환자 등이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고 재활 운동을 처음 부터 끝까지 온전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인 파지력 유지 장갑(10) 즉, 상기 손안치부(11), 손바닥고정부(12), 파지유도부(13) 및 팔목고정부(14)는 가죽 또는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 패드 및 내부에 쿠션체가 충진되어 이루어진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그 외 환자가 착용하였을때 이질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면 만족하고, 표면에 다수의 통기성 타공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손안치부(11)는 팔목고정부(14)와 경계선상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상기 손안치부(11)의 일측 단인 팔목고정부(14)와 경계를 이루는 부분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손안치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련된 팔목고정부(14)를 팔목에 감았을 때, 상기 손안치부(11)와 팔목고정부(14)의 경계 부분이 만곡지게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경계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기 손안치부(11)와 팔목고정부(14)의 경계 부분이 만곡지게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하는 이유는 손부분이 안치되는손안치부(11)의 폭이 팔목이 안치되는 팔목고정부(14)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넓어, 상기 팔목고정부(14)를 팔목에 감게 되면, 폭이 넓은 손안치부(11) 부분이 자연적으로 접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상기 손안치부(11) 중 팔목고정부(14) 방향 단부의 폭은 안치되는 팔목의 폭과 대등한 상태에서, 손등 부분으로 가면서 손등의 폭과 대등한 상태로 확장되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와 같은 홈 또는 슬릿 없이도, 상기 손안치부(11)를 중심으로 양측에 마련된 팔목고정부(14)를 팔목에 감았을 때, 상기 손안치부(11)와 팔목고정부(14)의 경계 부분이 만곡지게 접히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손안치부(11)와 팔목고정부(14)의 경계 부분이 만곡지게 접힌 상태에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경계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져 찢어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손안치부(11)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밴드인 것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하며, 이와 같이 되면, 환자의 손 두터움 정도에 따라 신축적으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 시, 접하는 방향의 면에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도포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하였을때, 손바닥고정부(12)에 형성된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마찰력을 제공하면서 논슬립 기능을 하여 핸들에 대한 미끄러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바닥 방향으로 덮였을때,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두툼한 부위가 노출되도록 만곡홈(13a)이 형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본 발명인 파지력 유지 장갑(10)을 착용하고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을 때, 상기 핸들을 감싸기 위해 굽혀지는 엄지손가락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파지유도부(13) 중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향 경사지게 돌출 마련되어, 손가락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손 끝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손끝지지부(15)가 더 마련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았을때,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을 상기 손끝지지부(15)가 받쳐 지지함으로써, 손가락 끝이 들리지 않고 핸들에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손가락에 의한 파지력이 더욱 견고하면서도 강력하게 발생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손끝지지부(15)는 파지 과정에서 손가락 끝 특히 손톱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한 통증을 최소화하도록,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 중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면 또는 반대쪽 면 또는 양쪽면에 팔목고정부(14)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부재(F)는 밸크로파스너(매직테이프)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한다.
상기에서, 고정부재(F)가 파지유도부(13)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면에 마련된 경우, 상기 파지유도부(13)를 팔목고정부(14)가 팔목을 감싼 후 마지막에 상기 팔목고정부(14)의 표면에 대응 마련된 고정부재(F)와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또한, 고정부재(F)가 파지유도부(13)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반대쪽 면에 마련된 경우, 상기 파지유도부(13)를 팔목에 먼저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목고정부(14)가 파지유도부(13)를 감싸는 상태에서 파지유도부(13)에 대응 마련된 고정부재(F)와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또한, 고정부재(F)가 파지유도부(13)의 양쪽면에 모두 마련된 경우, 상기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감싼 상태에서 파지유도부(13)가 제1고정부(14-1)에 대응 마련된 고정부재(F)에 부착 고정되고, 마지막에 상기 제2고정부(14-2)가 파지유도부(13)를 감싸면서 대응되는 고정부재(F)에 부착 고정되도록 한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팔목고정부(14)는 팔목부위로 덮인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손안치부(11)의 양측으로 연장된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손안치부(11) 양측에 마련된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로 팔목 부위를 중복하여 감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인 파지력 유지 장갑(10) 자체를 팔목에 대해 견고히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제1고정부(14-1) 및 제2고정부(14-2)는 일측 면 또는 타측면 또는 양측면에 파지유도부(13) 또는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 서로에 대한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대한 작용은 전술한 파지유도부(13)의 고정부재(F)와 같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착용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팔목고정부(14) 중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1)를 덮어 감싸 고정되고,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2고정부(14-2)에 덮여 고정된다.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환자가 상기 손안치부(11) 중간을 횡단하며 고정된 손바닥고정부(12)에 손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엄지를 제외한 손을 끼워서 손과 팔목 부분이 상기 손안치부(11)에 안치되도록 한 후, 고정부재(F)가 구비된 제1고정부(14-1)로 손목을 감싸고(도 5 참조), 고정부재(F)가 구비된 제2고정부(14-2)를 제1고정부(14-1)로 감아서, 상기 고정부재(F)들이 부착되면서 팔목에 조여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도 6 참조), 이 상태에서 손바닥 부분을 잡고자 하는 물품 예컨대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에 위치시키고, 고정부재(F)가 선단에 마련된 파지유도부(13)를 팔목 방향으로 끌어당겨서(도 7 참조), 엄지 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 부분이 손바닥 방향으로 구부러게 한 후, 고정부재(F)가 제2고정부(14-2)의 대응 고정부재(F)에 부착 고정되도록 함으로써(도 8 참조),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력이 없는 상태에서도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잡을 수 있도록 하고 그 상태가 견고히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첨부 도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1고정부(14-1)에 덮여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파지유도부(13)를 덮어 감싸면서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첨부 도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고정부(14-1)가 팔목부위에 덮여진 상기 파지유도부(13)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2)를 덮어 고정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의 상기 팔목고정부(14)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손안치부(11)의 팔목이 위치하는 단부의 일 측면으로 연장되어, 팔목부위에 덮여진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감싸 고정된 후, 팔목을 감아 돌아 자신을 더 감싸 고정되는 것도 다른 실시예로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파지력 유지 장갑 11 : 손안치부
11a : 홈 또는 슬릿 12 : 손바닥고정부
13 : 파지유도부 13a : 만곡홈
14 : 팔목고정부 14-1,14-2 : 제1,2고정부
15 : 손끝지지부

Claims (17)

  1. 손과 팔목이 접한 상태에서, 팔목과 손등의 안치부위를 제공하는 손안치부(11);
    상기 손안치부(11)를 횡단하며 엄지를 제외한 손바닥을 감싸 고정하는 손바닥고정부(12);
    상기 손안치부(11)에서 연장되어,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가 팔목 방향으로 덮이는 것에 의해 손가락의 굽힘을 유도하여 물체(1)를 잡도록 하는 파지유도부(13);
    상기 손안치부(11)의 팔목이 위치하는 부위에 마련되어, 팔목 방향으로 덮여진 파지유도부(11)를 감싸 고정시키는 팔목고정부(14); 를 포함하고,
    상기 손안치부(11)는 팔목고정부(14)와 경계선상 양측에 홈 또는 슬릿(11a)이 형성되고,
    상기 손안치부(11) 중 팔목고정부(14) 방향 단부의 폭은, 안치되는 팔목의 폭과 대등한 상태에서, 손등 부분으로 가면서 손등의 폭과 대등한 상태로 확장되며,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상기 손안치부(11)에 설치된 탄성을 갖는 밴드이고,
    상기 파지유도부(13) 중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이 위치하는 부분에 상향 경사지게 돌출 마련되어, 손가락이 굽혀지는 방향으로 손 끝이 굽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손끝지지부(15)가 더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안치부(11), 손바닥고정부(12), 파지유도부(13) 및 팔목고정부(14)는 가죽 또는 직물지 또는 합성수지재 패드 및 내부에 쿠션체가 충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안치부(11), 손바닥고정부(12), 파지유도부(13) 및 팔목고정부(14)는 표면에 통기성 타공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고정부(12)는,
    재활치료장치의 핸들을 포함한 물체 파지 시, 접하는 방향의 면에 실리콘 또는 우레탄이 도포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바닥 방향으로 덮였을때, 손바닥의 엄지손가락이 연결된 두툼한 부위가 노출되도록 만곡홈(13a)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손끝지지부(15)는,
    실리콘 또는 우레탄을 포함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지유도부(13)는,
    손가락 방향의 선단부 중 손가락이 위치하는 방향의 면 또는 반대쪽 면 또는 양쪽면에 팔목고정부(14)와의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목고정부(14)는,
    팔목부위로 덮인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기 팔목고정부(14)의 양측으로 연장된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14-1) 및 제2고정부(14-2)는,
    일측 면 또는 타측면 또는 양측면에 파지유도부(13) 또는 제1고정부(14-1)와 제2고정부(14-2) 서로에 대한 고정 결합을 위한 고정부재(F)가 마련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1)를 덮어 감싸 고정되고,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2고정부(14-2)에 덮여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을 덮어 감싼 상태에서,
    상기 파지유도부(13)가 제1고정부(14-1)에 덮여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파지유도부(13)를 덮어 감싸면서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제1고정부(14-1)가 팔목부위에 덮여진 파지유도부(13)을 감싼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2고정부(14-2)가 제1고정부(14-2)를 덮어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팔목고정부(14)는,
    손안치부(11)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팔목부위에 덮여진 상기 파지유도부(13)의 선단을 감싸 고정된 후,
    팔목을 감아 돌아 자신을 더 감싸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력 유지 장갑.
KR1020210073720A 2021-06-07 2021-06-07 파지력 유지 장갑 KR102640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20A KR102640274B1 (ko) 2021-06-07 2021-06-07 파지력 유지 장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3720A KR102640274B1 (ko) 2021-06-07 2021-06-07 파지력 유지 장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25A KR20220165125A (ko) 2022-12-14
KR102640274B1 true KR102640274B1 (ko) 2024-02-22

Family

ID=8443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3720A KR102640274B1 (ko) 2021-06-07 2021-06-07 파지력 유지 장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02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97A (ja) * 2010-07-08 2012-01-26 Sato Denki:Kk 手指関節のリハビリ用具および手指関節のリハビリ方法
CN205695886U (zh) * 2016-06-17 2016-11-23 江苏省人民医院 一种简易握持辅助手套
KR101830578B1 (ko) * 2017-04-07 2018-02-20 이성두 손가락절곡유지수단과 이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CN211462026U (zh) * 2019-11-14 2020-09-11 贵州省骨科医院 一种康复辅助手套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1373A (ko) * 2018-03-22 2019-10-02 (주)대성마리프 펜타입 수관절 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16497A (ja) * 2010-07-08 2012-01-26 Sato Denki:Kk 手指関節のリハビリ用具および手指関節のリハビリ方法
CN205695886U (zh) * 2016-06-17 2016-11-23 江苏省人民医院 一种简易握持辅助手套
KR101830578B1 (ko) * 2017-04-07 2018-02-20 이성두 손가락절곡유지수단과 이를 구비한 골프용 장갑
CN211462026U (zh) * 2019-11-14 2020-09-11 贵州省骨科医院 一种康复辅助手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5125A (ko) 2022-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s et al. SCRIPT passive orthosis: design of interactive hand and wrist exoskeleton for rehabilitation at home after stroke
JP6959441B2 (ja) 指動き補助装置
EP3414061B1 (en) A device for enhancing a user's grasping capability
JP4564788B2 (ja) 装着型パワーアシスト装置
JPS6254505B2 (ko)
KR102071682B1 (ko) 손가락 운동 보조 장치
CN110731880A (zh) 一种柔性康复外骨骼手套
KR101874689B1 (ko) 관절 변형교정 및 기능강화용 탄력밴드 및 그 장착장치
KR20150062456A (ko) 손가락 재활 로봇 기구
US6447464B1 (en) Therapy device for upper extremity dysfunction
KR102640274B1 (ko) 파지력 유지 장갑
JP7029712B2 (ja) 訓練装置
KR102207991B1 (ko) 시트형 근력 보조 슈트
KR102206484B1 (ko) 착용형 장갑 로봇
CN110665192B (zh) 一种康复型外骨骼手套机器人
KR102058848B1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JP5024872B2 (ja) リハビリテーション装置
KR102384245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용 장갑
KR102516170B1 (ko) 수부 재활장치
KR102591396B1 (ko) 손가락 관절 운동 장치
CN112638344B (zh) 按摩和拉伸身体特定部位的装置
EP3479810B1 (en) Device for assisting finger movement
KR102591160B1 (ko) 정밀 재활을 위한 손가락 관절 운동 장치
KR20190141809A (ko) 경수 손상 환자의 악력 발생장치
JP3167417U (ja) 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