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0226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0226B1
KR102640226B1 KR1020170012292A KR20170012292A KR102640226B1 KR 102640226 B1 KR102640226 B1 KR 102640226B1 KR 1020170012292 A KR1020170012292 A KR 1020170012292A KR 20170012292 A KR20170012292 A KR 20170012292A KR 102640226 B1 KR102640226 B1 KR 102640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edge
bottom cover
base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930A (ko
Inventor
이태희
홍원기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12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0226B1/ko
Priority to US15/877,652 priority patent/US10437374B2/en
Publication of KR20180087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930A/ko
Priority to US16/552,835 priority patent/US1077591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0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0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18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ubst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H04M1/0269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mounted in a fixed curved configuration, e.g. display curved around the edges of the telephone hou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력 감지부의 감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텀 커버; 바텀 커버 상의 윈도우; 바텀 커버와 윈도우 사이의 프레임; 프레임과 윈도우 사이의 표시 패널; 표시 패널과 프레임 사이의 브라킷; 브라킷과 표시 패널 사이의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프레임은, 바텀 커버와 브라킷 사이의 기저부;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제 1 지지부; 제 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브라킷의 가장자리와 기저부 사이에 위치하며,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 감지부의 감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평판 표시 장치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평판 장치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FED),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등이 있다.
평판 표시 장치 중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전자와 정공의 재결합에 의하여 빛을 발생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본 발명은 압력 감지부의 감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의 윈도우;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윈도우 사이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사이의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브라킷; 상기 브라킷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의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브라킷 사이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라킷의 가장자리와 상기 기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브라킷을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면에 인접한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기저부의 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이다.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가 이루는 각이 직각 또는 예각이다.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저부와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4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3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바텀 커버를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면에 인접한다.
상기 경사면과 상기 기저부의 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이다.
상기 제 3 지지부와 제 4 지지부가 이루는 각이 직각 또는 예각이다.
상기 바텀 커버, 상기 윈도우, 상기 압력 감지부,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브라킷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을 이룬다.
표시 장치는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 1 테이프;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 사이, 상기 제 2 지지부와 브라킷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 2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의 윈도우;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윈도우 사이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사이의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 커버의 중심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 제 1 지지부;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 2 지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홀이 상기 압력 감지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 사이의 중간부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바텀 커버 및 상기 압력 감지부 중 상기 바텀 커버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한 기둥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와 접촉한다.
상기 기둥은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윈도우의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부분에 홈(또는 홀)을 갖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이 홈(또는 홀)에 의해 압력 감지부의 가장자리의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의 압력 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가장자리에서의 압력 감도가 향상되어 압력 감지부의 감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프레임(300), 브라킷(bracket; 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및 윈도우(700)를 포함한다.
바텀 커버(100)는 이의 양 가장자리에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바텀 커버(100)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들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 커버(100)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하, 중심부)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로 기판(200)은 바텀 커버(100)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200)은 바텀 커버(10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즉, 바텀 커버(100)와 윈도우(700)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구성 요소의 내측면으로 정의할 때, 전술된 회로 기판(200)은 바텀 커버(10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로 기판(200)은 바텀 커버(100)의 중심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회로 기판(200)에 표시 패널(600)을 구동하기 위한 각종 구동 회로들이 위치할 수 있다. 이 구동 회로들은, 예를 들어,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 공급부 및 터치 제어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와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전술된 회로 기판(200)은 이 프레임(300)과 바텀 커버(100)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가장자리들은 각각 바텀 커버(100)의 양측 가장자리들 상에 위치한다. 다시 말하여, 프레임(3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일측 만곡부) 상에 위치하며, 그 프레임(300)의 타측 가장자리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타측 만곡부) 상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은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및 제 4 지지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기저부(350)는 바텀 커버(100)와 브라킷(400) 사이에 위치한다.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일측 만곡부) 상에 위치하며,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예를 들어, 타측 만곡부) 상에 위치한다. 기저부(350)의 중심부는 이 기저부(350)의 양측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하는 바, 이 기저부(350)의 중심부는 수직적으로 바텀 커버(100)의 중심부와 브라킷(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기저부(350)의 중심부는 회로 기판(200)과 브라킷(4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1 지지부(301)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301)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1 지지부(301)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에 평행한 방향(이하,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301)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로부터 X축에 평행한 방향(이하,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로부터 제 4 지지부(304)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301)와 제 2 지지부(302)가 이루는 각은 직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2 지지부(302)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는 브라킷(400)의 가장자리와 기저부(350)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2 지지부(302)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51)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51)에 의해 제 2 지지부(302)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2 지지부(302)로 전달된다. 이때, 제 2 지지부(302)의 하측에 공간(또는 홈; 51)이 존재하므로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2 지지부(302)의 일측은 제 1 지지부(301)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2 지지부(302)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2 지지부(302)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2 지지부(302)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2 지지부(302)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2 지지부(30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윈도우(700)의 중심부에 가해진 압력과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가해진 압력이 동일하다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에 전달된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전달된 압력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된 프레임(300)의 공간(또는 홈; 51)에 의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일측 가장자리에 전달되는 압력 편차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기저부(350)의 중심부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므로, 만약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공간(51)이 없다면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전달된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에 전달된 압력은 큰 편차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전술된 공간(또는 홈; 51)이 위치하면,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의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의 압력 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3 지지부(303)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지지부(303)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3 지지부(303)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지지부(303)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로부터 X축 방향의 반대 방향(이하,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로부터 제 2 지지부(302)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303)와 제 4 지지부(304)가 이루는 각은 직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4 지지부(304)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는 브라킷(400)의 가장자리와 기저부(350) 사이에 위치한다.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4 지지부(304)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52)에 의해 제 4 지지부(304)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4 지지부(304)로 전달된다. 이때, 제 4 지지부(304)의 하측에 공간(또는 홈; 52)이 존재하므로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4 지지부(304)의 일측은 제 3 지지부(303)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4 지지부(304)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4 지지부(304)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4 지지부(304)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4 지지부(304)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4 지지부(304)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윈도우(700)의 중심부에 가해진 압력과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에 가해진 압력이 동일하다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에 전달된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전달된 압력은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전술된 프레임(300)의 공간(또는 홈; 52)에 의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타측 가장자리에 전달되는 압력 편차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기저부(350)의 중심부 사이에 공간이 존재하므로, 만약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공간(52)이 없다면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전달된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에 전달된 압력은 큰 편차를 가질 것이다. 그러나,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에 전술된 공간(또는 홈; 52)이 위치하면,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의 압력과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의 압력 간 편차가 최소화될 수 있다.
브라킷(400)은 압력 감지부(500)를 지지한다. 브라킷(400)은 이의 양 가장자리에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브라킷(400)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들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킷(400)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하, 중심부)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는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2 지지부(302)와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는 제 2 지지부(302)에 의해 지지된다.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는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제 4 지지부(304)와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제 4 지지부(304)에 의해 지지된다.
브라킷(400)의 중심부는 기저부(350)의 중심부와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브라킷(400)의 중심부는 기저부(350)의 중심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브라킷(400)의 중심부와 기저부(350)의 중심부 사이에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500)는 윈도우(700)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한다. 압력 감지부(500)는 압력을 감지하여 터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다. 압력 감지부(500)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 감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소자는 외부로부터 터치가 가해졌을 때 이 터치에 따른 압력을 감지하고, 그 감지의 결과로서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임계치보다 더 큰 압력이 가해질 때, 압력 감지 소자는 전술된 감지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압력 감지 소자는 포스 센서(force sensor)일 수 있다.
압력 감지 소자로부터 발생된 감지 신호는 전술된 회로 기판(200)의 터치 제어부로 공급될 수 있다. 터치 제어부는 그 감지 신호를 근거로 그 터치의 좌표를 산출하고, 그 좌표와 관련된 정보를 타이밍 컨트롤러에 제공한다. 타이밍 컨트롤로는 그 좌표 정보를 근거로 영상 데이터 신호를 보정한다.
압력 감지부(500)는 브라킷(400)과 표시 패널(600) 사이에 위치한다. 압력 감지부(500)는 이의 양 가장자리에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압력 감지부(500)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들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감지부(500)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하, 중심부)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는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와 표시 패널(60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는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는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와 표시 패널(60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는 브라킷(400)의 중심부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는 브라킷(400)의 중심부와 표시 패널(6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600)은 영상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6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 및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을 포함한다. 또한, 표시 패널(600)은 액정 또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은 표시 영역 및 비표시 영역을 갖는 바, 표시 영역에 전술된 영상이 표시된다. 비표시 영역에 게이트 드라이버 및 데이터 드라이버가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표시 패널(600)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며, 데이터 드라이버는 표시 패널(600)의 데이터 라인들을 구동한다. 한편, 데이터 드라이버의 적어도 일부는 전술된 회로 기판(200)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드라이버는 그 회로 기판(200)과 표시 패널(600) 사이에 연결될 수도 있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제공된 영상 데이터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경하여 표시 패널(600)의 데이터 라인들로 제공한다.
표시 패널(600)은 압력 감지부(500)와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600)은 이의 양 가장자리에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표시 패널(600)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들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하, 중심부)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600)의 일측 가장자리는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600)의 일측 가장자리는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와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6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600)의 타측 가장자리는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와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표시 패널(600)의 중심부는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600)의 중심부는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윈도우(7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다.
윈도우(700)는 투명한 유리 재질로 만들어진다. 윈도우(700)는 투과 영역 및 차광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700)의 차광 영역에 차광 물질이 위치할 수 있다. 이 차광 물질은 그 차광 영역에 인쇄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차광 물질은 윈도우(700)와 표시 패널(600) 사이에 위치한다.
윈도우(700)는 표시 패널(600) 상에 위치한다. 윈도우(700)는 이의 양 가장자리에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하여, 윈도우(700)의 서로 마주보는 양 가장자리들은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700)의 만곡된 양 가장자리들 사이에 위치한 부분(이하, 중심부)은 평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는 표시 패널(600)의 일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는 표시 패널(600)의 타측 가장자리 상에 위치한다.
윈도우(700)의 중심부는 표시 패널(600)의 중심부 상에 위치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테이프들(801 내지 804)은 각각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제 1 테이프(801)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1 테이프(801)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 및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는 제 1 테이프(801)가 삽입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바텀 커버(100)는 이 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2 테이프(802)는 제 1 지지부(301)와 윈도우(700) 사이, 제 1 지지부(301)와 표시 패널(600) 사이, 제 1 지지부(301)와 압력 감지부(500) 사이, 제 2 지지부(302)와 브라킷(400)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제 2 테이프(802)는 제 3 지지부(303), 윈도우(700) 사이, 표시 패널(600) 사이, 압력 감지부(500) 사이, 제 4 지지부(304) 및 브라킷(400)에 접착된다.
제 3 테이프(803)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 3 테이프(803)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 및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에 접착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는 제 3 테이프(803)가 삽입되는 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바텀 커버(100)는 이 홈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 4 테이프(804)는 제 3 지지부(303)와 윈도우(700) 사이, 제 3 지지부(303)와 표시 패널(600) 사이, 제 3 지지부(303)와 압력 감지부(500) 사이, 제 4 지지부(304)와 브라킷(400)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제 4 테이프(804)는 제 3 지지부(303), 윈도우(700) 사이, 표시 패널(600) 사이, 압력 감지부(500) 사이, 제 4 지지부(304) 및 브라킷(400)에 접착된다.
도 3은 도 1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프레임(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 제 5 지지부(305), 제 6 지지부(306), 제 7 지지부(307) 및 제 8 지지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5 지지부(305)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5 지지부(305)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5 지지부(305)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이하,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지지부(305)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로부터 제 8 지지부(308)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5 지지부(305)와 제 6 지지부(306)가 이루는 각은 직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6 지지부(306)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6 지지부(306)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53)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53)에 의해 제 6 지지부(306)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6 지지부(306)로 전달된다. 이때, 제 6 지지부(306)의 상측에 공간(또는 홈; 53)이 존재하므로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6 지지부(306)의 일측은 제 5 지지부(305)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6 지지부(306)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6 지지부(306)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한편, 제 6 지지부(306)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6 지지부(306)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6 지지부(30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프레임(300)의 제 7 지지부(307)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7 지지부(307)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7 지지부(307)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7 지지부(307)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로부터 -X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로부터 제 6 지지부(306)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7 지지부(307)와 제 8 지지부(308)가 이루는 각은 직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8 지지부(308)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8 지지부(308)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5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54)에 의해 제 8 지지부(308)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8 지지부(308)로 전달된다. 이때, 제 8 지지부(308)의 상측에 공간(또는 홈; 54)이 존재하므로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8 지지부(308)의 일측은 제 7 지지부(307)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8 지지부(308)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8 지지부(308)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한편, 제 8 지지부(308)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8 지지부(308)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8 지지부(308)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3의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는 전술된 도 1의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와 동일하다.
도 3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는 전술된 도 1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와 동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프레임(3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를 포함한다.
도 4의 프레임(300)은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 제 1 돌기부(311) 및 제 2 돌기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돌기부(311)는 제 2 지지부(302)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1 돌기부(311)는 그 제 2 지지부(302)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돌기부(311)는 제 2 지지부(302)로부터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1 돌기부(311)는 제 2 지지부(302)와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돌기부(312)는 제 4 지지부(304)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2 돌기부(312)는 그 제 4 지지부(304)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돌기부(312)는 제 4 지지부(304)로부터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2 돌기부(312)는 제 4 지지부(304)와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도 4의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는 전술된 도 1의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와 동일하다.
도 4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는 전술된 도 1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와 동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I-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프레임(3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를 포함한다.
도 6의 프레임(300)은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및 제 4 지지부(30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1 지지부(301)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지지부(301)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1 지지부(301)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301)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1 지지부(301)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3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1 지지부(301)와 제 3 지지부(303)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정의할 때, 제 1 지지부(301)의 내측면이 전술된 경사면(331)에 해당한다. 제 1 지지부(301)의 경사면(331)과 기저부(350)의 한 면(381; 이하, 제 1 면(381))이 이루는 각(θ1)은 둔각이다. 여기서, 기저부(350)의 제 1 면(381)은 그 기저부(350)의 면들 중 브라킷(400)과 마주보는 한 면을 의미한다. 제 1 지지부(301)의 경사면(381)은 이 기저부(350)의 제 1 면(381)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의 경사면(331)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로부터 X축 방향과 Z축 방향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302)는 제 1 지지부(301)의 경사면(331)으로부터 이 경사면(331)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 1 지지부(301)와 제 2 지지부(302)가 이루는 각(θ2)은 직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킷(4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4 지지부(304)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는 브라킷(400)의 가장자리와 기저부(350) 사이에 위치한다.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2 지지부(302)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61)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61)에 의해 제 2 지지부(302)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2 지지부(302)로 전달된다. 이때, 제 2 지지부(302)의 하측에 공간(또는 홈; 61)이 존재하므로 제 2 지지부(302)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2 지지부(302)의 일측은 제 1 지지부(301)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2 지지부(302)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2 지지부(302)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2 지지부(302)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2 지지부(302)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2 지지부(30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프레임(300)의 제 3 지지부(303)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3 지지부(303)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3 지지부(303)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지지부(303)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3 지지부(303)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32)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3 지지부(303)와 제 1 지지부(301)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정의할 때, 제 3 지지부(303)의 내측면이 전술된 경사면(332)에 해당한다. 제 3 지지부(303)의 경사면(332)과 기저부(350)의 제 1 면(381)이 이루는 각(θ3)은 둔각이다. 제 3 지지부(303)의 경사면은 이 기저부(350)의 제 1 면(381)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의 경사면(332)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로부터 -X축 방향과 Z축 방향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4 지지부(304)는 제 3 지지부(303)의 경사면(332)으로부터 이 경사면(332)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 3 지지부(303)와 제 4 지지부(304)가 이루는 각(θ4)은 직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킷(400)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4 지지부(304)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4 지지부(304)는 브라킷(400)의 가장자리와 기저부(350) 사이에 위치한다.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4 지지부(304)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6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62)에 의해 제 4 지지부(304)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4 지지부(304)로 전달된다. 이때, 제 4 지지부(304)의 하측에 공간(또는 홈; 62)이 존재하므로 제 4 지지부(304)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4 지지부(304)의 일측은 제 3 지지부(303)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4 지지부(304)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4 지지부(304)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4 지지부(304)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4 지지부(304)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2 지지부(302)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6의 기저부(350),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는 전술된 도 1의 기저부(350),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와 동일하다.
도 8은 도 6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프레임(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부(350),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 제 5 지지부(305), 제 6 지지부(306), 제 7 지지부(307) 및 제 8 지지부(308)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5 지지부(305)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5 지지부(305)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5 지지부(305)는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5 지지부(305)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5 지지부(305)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33)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5 지지부(305)와 제 7 지지부(307)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정의할 때, 제 5 지지부(305)의 내측면이 전술된 경사면(333)에 해당한다. 제 5 지지부(305)의 경사면(333)과 기저부(350)의 한 면(382; 이하, 제 2 면)이 이루는 각(θ5)은 둔각이다. 여기서, 기저부(350)의 제 2 면(382)은 그 기저부(350)의 면들 중 바텀 커버(100)(또는 회로 기판(200))과 마주보는 한 면을 의미한다. 제 5 지지부(305)의 경사면(333)은 이 기저부(350)의 제 2 면(382)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의 경사면(333)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로부터 X축 방향과 -Z축 방향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6 지지부(306)는 제 5 지지부(305)의 경사면(333)으로부터 이 경사면(333)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 5 지지부(305)와 제 6 지지부(306)가 이루는 각(θ6)은 직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6 지지부(306)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6 지지부(306)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6 지지부(306)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63)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63)에 의해 제 6 지지부(306)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6 지지부(306)로 전달된다. 이때, 제 6 지지부(306)의 상측에 공간(또는 홈; 63)이 존재하므로 제 6 지지부(306)는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6 지지부(306)의 일측은 제 5 지지부(305)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6 지지부(306)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6 지지부(306)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6 지지부(306)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6 지지부(306)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일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6 지지부(306)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프레임(300)의 제 7 지지부(307)는 기저부(350)로부터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제 7 지지부(307)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7 지지부(307)는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Z축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7 지지부(307)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로부터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 7 지지부(307)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334)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 7 지지부(307)와 제 5 지지부(305)의 서로 마주보는 면들을 각각 해당 지지부의 내측면으로 정의할 때, 제 7 지지부(307)의 내측면이 전술된 경사면(334)에 해당한다. 제 7 지지부(307)의 경사면(334)과 기저부(350)의 제 2 면(382)이 이루는 각(θ7)은 둔각이다. 제 7 지지부(307)의 경사면(334)은 이 기저부(350)의 제 2 면(382)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의 경사면(334)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때,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로부터 -X축 방향과 -Z축 방향 사이의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8 지지부(308)는 제 7 지지부(307)의 경사면(334)으로부터 이 경사면(334)에 대하여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제 7 지지부(307)와 제 8 지지부(308)가 이루는 각(θ8)은 직각이 아닌 예각일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에 대응되는 제 8 지지부(308)의 일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8 지지부(308)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와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와 마주본다. 예를 들어,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마주본다.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다. 제 8 지지부(308)와 기저부(350) 사이에 공간(또는 홈; 64)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공간(또는 홈; 64)에 의해 제 8 지지부(308)가 Z축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유동될 수 있다. 즉, 윈도우(700)의 타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이 압력은 제 8 지지부(308)로 전달된다. 이때, 제 8 지지부(308)의 상측에 공간(또는 홈; 64)이 존재하므로 제 8 지지부(308)는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구부러진다. 구체적으로, 제 8 지지부(308)의 일측은 제 7 지지부(307)에 고정되어 있는 바, 제 8 지지부(308)는 이의 일측을 축으로 하여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눌려진다. 여기서, 제 8 지지부(308)의 타측이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를 향해 이동한다. 제 8 지지부(308)에 가해진 압력이 충분히 클 경우 제 8 지지부(308)의 타측은 그 기저부(350)의 타측 가장자리와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압력이 제거되면, 복원력에 의해 제 8 지지부(308)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8의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는 전술된 도 6의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4 지지부(304)와 동일하다.
도 8의 기저부(350),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는 전술된 도 1의 기저부(350),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브라킷(4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와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I-I'의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프레임(3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를 포함한다.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와 윈도우(7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 상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00)은 바텀 커버(100)의 내측면 상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은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3 지지부(303) 제 1 연결부(361) 및 제 2 연결부(362)를 포함한다.
프레임(300)의 제 1 지지부(301)는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를 지지한다. 제 1 지지부(301)는 바텀 커버(100)의 중심부와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다. 제 1 지지부(301)는 n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프레임(300)의 제 2 지지부(302)는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제 2 지지부(302)는 바텀 커버(100)의 일측 가장자리와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3 지지부(303)는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를 지지한다. 제 3 지지부(303)는 바텀 커버(100)의 타측 가장자리와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1 연결부(361)는 제 1 지지부(301)와 제 2 지지부(302)를 연결한다. 제 1 연결부(361)는 제 1 지지부(301)와 제 2 지지부(302)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 1 연결부(361)는 압력 감지부(5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예를 들어, 제 1 연결부(361)는 압력 감지부(500)의 제 1 중간부(501)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 감지부(500)의 제 1 중간부(501)는 그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와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다.
프레임(300)의 제 2 연결부(362)는 제 1 지지부(301)와 제 3 지지부(303)를 연결한다. 제 2 연결부(362)는 제 1 지지부(301)와 제 3 지지부(303)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 2 연결부(362)는 압력 감지부(50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 2 연결부(362)는 압력 감지부(500)의 제 2 중간부(502)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 압력 감지부(500)의 제 2 중간부(502)는 그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와 그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다.
도 9의 표시 장치는 제 1 지지부(301), 제 2 지지부(302), 제 1 연결부(361) 및 압력 감지부(500)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제 1 홀(11)을 갖는다. 이 제 1 홀(11)은 압력 감지부(500)의 제 1 중간부(501)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도 9의 표시 장치는 제 1 지지부(301), 제 3 지지부(303), 제 2 연결부(362) 및 압력 감지부(500)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제 2 홀(12)을 갖는다. 이 제 2 홀(12)은 압력 감지부(500)의 제 2 중간부(502)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제 1 지지부(301)는 지지판(370), 제 1 기둥(371) 및 제 2 기둥(372)을 포함한다.
지지판(370)은 바텀 커버(100) 및 압력 감지부(500) 중 바텀 커버(100)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다. 지지판(370)은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와 접촉할 수 있다.
제 1 기둥(371) 및 제 2 기둥(372)은 지지판(370)과 바텀 커버(100) 사이에 위치한다. 이때, 제 1 기둥(371)은 지지판(370)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며, 제 2 기둥(372)은 지지판(370)의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다.
전술된 제 1 홀(11)은 제 1 지지부(301)의 제 1 기둥(371), 제 2 지지부(302), 제 1 연결부(361) 및 압력 감지부(500)의 제 1 중간부(50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제 2 홀(12)은 제 1 지지부(301)의 제 2 기둥(372), 제 3 지지부(303), 제 2 연결부(362) 및 압력 감지부(500)의 제 2 중간부(502)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의 제 1 홀(11) 및 제 2 홀(12) 의해, 압력 감지부(500)의 일측 가장자리로 전달된 압력 및 압력 감지부(500)의 타측 가장자리로 전달된 압력은 압력 감지부(500)의 중심부에 전달된 압력과 거의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는 전술된 도 1의 바텀 커버(100), 회로 기판(200), 압력 감지부(500), 표시 패널(600), 윈도우(700), 제 1 테이프(801), 제 2 테이프(802), 제 3 테이프(803) 및 제 4 테이프(804)와 동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의 X축은 압력 감지부(500)에 가해진 압력을 나타내며, Y축은 압력 감지부(500)의 감도를 나타낸다.
도 11의 제 1 곡선(C1)은 도 1의 구조를 갖는 표시 장치의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그 압력의 크기에 따른 압력 감지부(500)의 감도를 나타내며, 제 2 곡선(C2)은 전술된 공간(또는 홈)을 갖지 않는 일반적인 표시 장치의 윈도우(700)의 일측 가장자리에 압력이 가해졌을 때 그 압력의 크기에 다른 압력 감지부(500)의 감도를 나타낸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곡선(C1) 및 제 2 곡선(C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기존 표시 장치에 비하여 가장자리 압력에 대하여 더 향상된 감도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바텀 커버 200: 회로 기판
300: 프레임 400: 브라킷
500: 압력 감지부 600: 표시 패널
700: 윈도우 801: 제 1 테이프
802: 제 2 테이프 803: 제 3 테이프
804: 제 4 테이프 350: 기저부
301: 제 1 지지부 302: 제 2 지지부
303: 제 3 지지부 304: 제 4 지지부
51, 52: 공간(또는 홈)

Claims (17)

  1.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의 윈도우;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윈도우 사이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사이의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브라킷;
    상기 브라킷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의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브라킷 사이의 기저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윈도우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제 1 지지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브라킷의 가장자리와 상기 기저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 2 지지부로부터 상기 기저부를 향해 돌출된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된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브라킷을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면에 인접한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기저부의 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인 표시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와 제 2 지지부가 이루는 각이 직각 또는 예각인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기저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제 3 지지부; 및
    상기 제 3 지지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기저부와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기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제 4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 4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으로부터 돌출된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바텀 커버를 마주보는 상기 기저부의 면에 인접한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과 상기 기저부의 면이 이루는 각이 둔각인 표시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지부와 제 4 지지부가 이루는 각이 직각 또는 예각인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 상기 윈도우, 상기 압력 감지부,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브라킷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만곡된 형상을 이루는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프레임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 1 테이프; 및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윈도우 사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표시 패널 사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 사이, 상기 제 2 지지부와 브라킷 사이에 각각 위치한 제 2 테이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바텀 커버;
    상기 바텀 커버 상의 윈도우;
    상기 바텀 커버와 상기 윈도우 사이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과 상기 윈도우 사이의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압력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바텀 커버의 중심부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 사이에 위치한 제 1 지지부;
    상기 바텀 커버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한 제 2 지지부;
    상기 압력 감지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제 1 지지부와 상기 제 2 지지부 사이에 위치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지지부, 상기 제 2 지지부, 상기 연결부 및 상기 압력 감지부에 의해 둘러싸여 정의된 홀이 상기 압력 감지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 사이의 중간부에 대응되게 위치한 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부는,
    상기 바텀 커버 및 상기 압력 감지부 중 상기 바텀 커버에 더 근접하게 위치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과 상기 바텀 커버 사이에 위치한 기둥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압력 감지부의 중심부와 접촉하는 표시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상기 지지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012292A 2017-01-25 2017-01-25 표시 장치 KR102640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92A KR102640226B1 (ko) 2017-01-25 2017-01-25 표시 장치
US15/877,652 US10437374B2 (en) 2017-01-25 2018-01-23 Display device
US16/552,835 US10775919B2 (en) 2017-01-25 2019-08-27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292A KR102640226B1 (ko) 2017-01-25 2017-01-25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930A KR20180087930A (ko) 2018-08-03
KR102640226B1 true KR102640226B1 (ko) 2024-02-23

Family

ID=6290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292A KR102640226B1 (ko) 2017-01-25 2017-01-25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10437374B2 (ko)
KR (1) KR102640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5824B1 (ko) * 2018-07-31 2023-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9475A1 (en) 2001-01-30 2007-10-04 Gettemy Shawn R Single piece top surface display layer and integrated front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3040B1 (ko) * 1999-11-03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균일한 가압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터치 패널
KR100975868B1 (ko) 2008-07-23 2010-08-1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US8975540B2 (en) 2011-12-19 2015-03-10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swith support frames and mechanically-bonded plastic and methods for forming such electronic devices
KR20140046839A (ko) * 2012-10-11 2014-04-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20140073098A (ko) 2012-12-06 201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9304538B2 (en) * 2012-12-13 2016-04-05 Nokia Technologies Oy Display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US9796147B2 (en) * 2013-05-22 2017-10-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display assembli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06385B1 (ko) * 2014-04-11 2021-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516766B1 (ko) * 2014-09-02 2015-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4765196B (zh) * 2015-02-11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曲面模组及其制造方法、显示装置
KR101675274B1 (ko) 2015-06-10 2016-11-14 디케이 유아이엘 주식회사 스마트폰 케이스
KR102395602B1 (ko) * 2015-06-30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29475A1 (en) 2001-01-30 2007-10-04 Gettemy Shawn R Single piece top surface display layer and integrated front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37374B2 (en) 2019-10-08
US20190384443A1 (en) 2019-12-19
US20180210602A1 (en) 2018-07-26
US10775919B2 (en) 2020-09-15
KR20180087930A (ko)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81713B2 (en) Display device
US10191572B2 (en)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KR102325034B1 (ko)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방법
US9323384B2 (en) Touch sensor substrate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touch sensor substrate
WO2017071543A1 (zh) 一种内嵌式触摸屏、其驱动方法及显示装置
KR101990551B1 (ko)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US20090267889A1 (en) Display device
US20110037726A1 (en)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US10942594B2 (en) Integrated electroactive and capacitiv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868692A (zh) 传感器屏幕及包含该传感器屏幕的显示设备
KR20120012571A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2047919B1 (ko) 평판 표시 장치
KR101374418B1 (ko) 멀티 터치 장치
CN109074197B (zh) 检测触摸压力的触摸输入装置
KR102640226B1 (ko) 표시 장치
US9537482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200049321A (ko)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US9904413B2 (en) Optical touch device, and light source assembly and display module thereof
JP2008209763A (ja)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のケース
KR20170138160A (ko) 표시장치
KR102307721B1 (ko) 힘 센서 모듈과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27495A (ko) 표시장치, 표시장치를 포함한 모바일 정보 단말기와 지문 인식 방법
JP2021081956A (ja) 表示装置
KR20210158459A (ko) 표시 장치
JP4368279B2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