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291B1 -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291B1
KR102639291B1 KR1020230175200A KR20230175200A KR102639291B1 KR 102639291 B1 KR102639291 B1 KR 102639291B1 KR 1020230175200 A KR1020230175200 A KR 1020230175200A KR 20230175200 A KR20230175200 A KR 20230175200A KR 102639291 B1 KR102639291 B1 KR 102639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ffiliated store
terminal
designated
unique account
uniq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5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온그룹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온그룹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온그룹컴퍼니
Priority to KR1020230175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2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2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고,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고,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가맹점의 위치를 확인하고, 가맹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 단말에 대리 요청을 발송하고, 대리 요청에 따른 결제 대금을 확인하고, 결제 대금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맹점, 대리 운전 회사 및 대리 기사에게 분배하여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real-time settlement status management, inquiry, and processing services through proxy driver dispatch based on the unique account of each affiliated store }
아래 실시예들은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대리 운전 서비스의 보급으로 인해 편의성 및 효율성이 중요한 고려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또한, 윤창호법의 시행으로 인해 대리 운전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윤창호법은 음주운전 단속을 강화함으로써 운전자들에게 대리 운전 서비스를 이용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대리 운전 앱에서는 대리 운전 배차의 중복 접수가 안되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들은 각자 따로 호출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또한, 종래의 대리 운전 서비스에서는 가맹점이 정확한 수익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리 운전 정산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 부재하여 가맹점은 대리 운전 서비스에서 발생한 매출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KR 101945773 B1 KR 102604985 B1 KR 101771512 B1 KR 102210678 B1
실시예들은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 단말에 상기 대리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대리 요청에 따른 결제 대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대금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가맹점, 상기 대리 운전 회사 및 상기 대리 기사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월 단위로 상기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을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액이 상기 고유 계정의 유지 비용에 도달하면, 상기 고유 계정에 연결된 가맹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대리 운전의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는, 대리 운전 사건 별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정산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표는, 대리 운전 사건 별로 상기 결제 대금, 상기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 상기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되는 금액 및 상기 대리 기사에 분배되는 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의 업체명, 지점명 및 주소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되는 목소리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업체명 및 지점명을 포함하는 상기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정보, 상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고유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로 상기 가맹점에 진입하는 차량과 차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 상기 차주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주의 음주가 확인되면, 상기 차주의 단말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주의 단말에 상기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대리 운전 회사 단말에 상기 차량과 상기 차주의 사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음수인 경우, 상기 결제 대금, 상기 가맹점에 분배된 금액, 상기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된 금액 및 상기 대리 기사에 분배된 금액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미리 설정된 처리 방안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단말에 처리 완료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은, 상기 가맹점 고유 계정의 대리 요청 건 수를 그래프화 하는 단계, 미리 정해진 기간 단위로 상기 대리 요청 건 수에 대한 요일 별 평균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요일 별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요일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모션 진행 여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상술한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가맹점 고유 번호를 부여함으로써, 대리 운전 배차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맹점은 배차 상태 및 정산 내역을 실시간으로 조회 및 처리할 수 있어 더 나은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고 신뢰도를 강화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고유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대리 운전의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는 가맹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음주 여부가 확인된 차주의 단말에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은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음수인 경우에 재정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가맹점 고유 계정의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한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대리 기사 단말(120) 및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이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200)와 장치(200) 간의 통신과 장치(200)와 단말 간의 통신이 수행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가맹점의 단말(100)은 가맹점의 고유 번호로 대리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가맹점이 사용하는 단말로,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맹점의 단말(10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은 대리 요청을 접수하고, 대리 기사를 배정하고 CS 및 사후 관리를 진행하는 대리 운전 회사가 사용하는 단말로,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대리 기사 단말(120)은 대리 운전 기사가 사용하는 단말로, 휴대전화기, 데스크톱 PC, 랩탑 PC, 태블릿 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외부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리 기사 단말(120)은 스마트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달리 채용될 수도 있다.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은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은 장치(20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은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접속되거나,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개발·배포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은 웹 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다.
도1 및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을 각각 하나만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단말들의 수는 실시예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장치(200)의 처리 용량이 허용하는 한, 단말들의 수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즉, 청구항에 기재된 단수의 표현은 복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장치(200)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내지 단체가 보유한 자체 서버일수도 있고, 클라우드 서버일 수도 있고, 분산된 노드(node)들의 p2p(peer-to-peer) 집합일 수도 있다. 장치(200)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참조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 및 대리 기사 단말(120)과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블로그, 카페,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를 포함하는 SNS 및 기사를 포함하는 웹 페이지를 포함하는 웹사이트와 유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S2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 가입을 위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2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서비스 가입을 요청한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S203 단계에서, 가맹점의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가맹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맹점의 고유 번호는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가맹점의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고객의 위치를 별도로 파악할 필요없이 해당 가맹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S204 단계에서, 가맹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 단말(120)에 대리 요청을 발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 단말(120)은 가맹점의 위치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거리 이하인 대리 기사 단말(120)이 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205 단계에서, 대리 요청에 따른 결제 대금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의 고유 번호로 접수된 대리 요청에 따라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를 배정하고, 해당 대리 요청의 진행이 완료되면, 해당 대리 요청에 따른 결제 대금을 확인할 수 있다.
S206 단계에서, 결제 대금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가맹점, 대리 운전 회사 및 대리 기사에게 분배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200)는 결제 대금의 80%를 대리 기사에게 분배하고, 대리 운전 회사에 결제 대금 건 당 미리 정해진 수수료를 분배하고, 결제 대금에서 대리 기사에게 분배한 금액과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한 금액을 뺀 금액을 가맹점에 분배할 수 있다.
장치(200)는 월 단위로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을 가맹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을 합산하여 월 단위로 가맹점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은 해당 월에 가맹점 고유 번호로 얻은 수익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가맹점 고유 계정의 유지 비용에 도달하면, 고유 계정에 연결된 가맹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고유 계정의 유지 비용은 가맹점이 대리 운전 회사에 지급하는 비용으로, 월 단위로 미리 설정된 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장치(200)는 해당 월에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을 합산할 수 있으며, 해당 금액이 고유 계정의 유지 비용에 도달하면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은 해당 시점부터 가맹점의 실 수익이 발생함을 인지할 수 있고, 수익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고유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대리 운전의 정산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 고유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대리 운전의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301 단계에서, 장치(200)는 대리 운전 사건 별로 진행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진행 상황은 대리 요청이 접수된 상태, 대리 요청이 배차 완료된 상태, 대리 요청이 진행 완료된 상태, 대리 요청이 취소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S302 단계에서, 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정산표를 생성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정산표는 대리 운전 사건 별로 결제 대금,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되는 금액 및 대리 기사에 분배되는 금액을 포함할 수 있다.
정산표를 제공함으로써, 가맹점은 각 대리 운전 사건 별 결제 대금과 해당 결제 대금이 어떻게 분배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4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가맹점의 업체명, 지점명 및 주소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가맹점의 업체명 및 지점명을 수신하여 S403 단계에서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생성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가맹점의 주소를 수신하여, 가맹점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었을 때 고객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다.
S4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되는 목소리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연결음에 사용되는 목소리 리스트는 제1 남성 목소리, 제2 남성 목소리, 제1 여성 목소리, 제2 여성 목소리, 아이 목소리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맹점은 해당 목소리 리스트 중 브랜드 이미지에 맞는 목소리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목소리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여 통화 연결음에 사용되는 목소리를 변경할 수 있다.
S4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업체명 및 지점명을 포함하는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의 업체명 및 지점명을 포함하여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생성하고, 해당 가맹점 고유 번호로 전화를 걸었을 때, 해당 통화 연결음 문구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맹점 고유 번호로 전화를 걸면 'oo회관 A지점 대리운전을 이용해주셔서 감사합니다.'라는 통화 연결음이 송출될 수 있으며, 해당 통화 연결음을 통해 고객은 해당 고유 번호로 맞게 전화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통화 연결음의 문구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대리 운전 회사는 장치(200)에 의해 가맹점 고유 번호로 전화가 걸려오면 해당 가맹점의 업체명, 지점명 및 주소를 포함하는 기본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대리 요청 전화 수신 시 '고객님 계시는 곳이 oo회관 A지점이시죠? 어디로 대리운전 가시나요?' 와 같이 응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해당 가맹점은 대리 운전 서비스 제공에 있어 전문적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S4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기본 정보, 통화 연결음,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이용하여 가맹점의 고유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가 가맹점의 고유 계정을 생성할 때, 가맹점의 기본 정보, 통화 연결음 및 생성된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이용할 수 있고, 생성된 고유 계정에 고유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가맹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음주 여부가 확인된 차주의 단말에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5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로 가맹점에 진입하는 차량과 차주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를 통해 차량 외부 사진 및 차량 번호판을 촬영할 수 있으며, 차량의 운전석에서 내리는 사람을 차주로 인식할 수 있다.
S5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 차주의 음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로 어떤 대상을 식별하는 것은 통상의 기술로서, 카메라가 차주를 확인하고 그 움직임을 체크하되, 차주의 얼굴과 술로 판단된 객체의 거리 관계의 변화를 이용하여 음주 가능성을 체크할 수 있다. 이때, 음주 가능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경우 음주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S5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차주의 음주가 확인되면 차주의 단말에 연결할 수 있다.
차주의 단말의 연결은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가맹점에 설치된 라우터가 가맹점에 있는 단말을 확인할 수 있다. 카메라를 통해 확인된 가맹점 내의 차주 위치와, 라우터와 단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을 혼합하여 차주의 단말을 확인하고 그 차주의 단말에 연결을 시도할 수 있다.
S504 단계에서, 장치(200)는 차주의 단말에 고유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음주 가능성이 미리 설정된 기준 이상인 차주를 확인하고, 해당 차주의 단말에 연결하여 가맹점 고유 번호를 전송할 수 있다.
대리 운전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차주는 대리 요청을 위해 번호를 찾아 입력할 필요없이 단말에 전송된 고유 번호를 통해 대리 요청을 진행할 수 있으며, 가맹점은 장치(200)가 차주의 음주 가능성을 확인하고 차주의 단말에 고유 번호를 전송하므로 고유 번호에 대한 별도의 안내 없이 대리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S505 단계에서, 장치(200)는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에 차량과 차주의 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장치(200)는 가맹점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가맹점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 및 내부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 외부 사진, 차량 번호판 사진 및 차주의 사진을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에 전송할 수 있다.
대리 운전 회사 단말(110)은 이를 배정된 대리 기사의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배정된 대리 기사는 사진을 통해 차량 및 차주에 대한 확인을 거칠 수 있으며, 이는 고객에게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사진이 기록되어 있어, 대리 운전 서비스 도중 사고 발생 시 증거로 활용될 수 있다.
도 6은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음수인 경우에 재정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6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결제 대금, 가맹점에 분배된 금액,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된 금액 및 대리 기사에 분배된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음수이면, 이를 감지할 수 있으며, 결제 대금,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된 금액 및 대리 기사에 분배된 금액을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한 부분을 찾아낼 수 있다. 장치(200)는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 따라 미리 설정된 재정산 방안 리스트를 가맹점의 단말(100)에 송신할 수 있다.
S602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재정산 방안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재정산 방안 리스트는, 결제 대금의 결제 오류 시 해당 건의 대리 운전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에게 재결제를 요청하는 제1 재정산 방안, 가맹점 고유 계정의 프로모션 제공으로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이 음수인 경우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된 금액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할인하여 다시 분배하는 제2 재정산 방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재정산 방안 리스트의 제1 재정산 방안 및 제2 재정산 방안은 재정산 방안 리스트의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S603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에 재정산 완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미리 설정된 재정산 방안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고, 해당 선택 입력을 기반으로 재정산 처리를 진행하고, 가맹점의 단말(100)에 재정산 완료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가맹점 고유 계정의 프로모션을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701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 고유 계정의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가맹점 고유 계정에 부여된 고유 번호로 요청되는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장치(200)는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을 미리 정해진 기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을 미리 정해진 기간 단위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기간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간이 1개월이라면, 1개월 동안의 각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을 확인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장치(200)는 요일 별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요일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각 요일 별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을 확인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요일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기준은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고, 가맹점에 의해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정해진 기간 단위로 확인한 월요일의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이라면 장치(200)는 해당 요일을 확인할 수 있다.
S704 단계에서, 장치(200)는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프로모션 진행 여부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장치(200)는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해당 요일에 대한 프로모션을 진행할 것인지의 여부를 가맹점의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모션은 결제 대금의 10%를 할인해줄 수 있으나 이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리 요청 건 수의 평균이 미리 설정된 기준 미만인 요일에 프로모션을 진행함으로써 대리 이용을 유도하여 새로운 고객을 유치할 수 있고,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로모션을 활용하여 해당 요일, 해당 시간대에 수요를 집중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200)는 프로세서(210) 및 메모리(22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10)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장치(20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전술된 방법들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22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2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220)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20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가맹점의 단말
110: 대리 운전 회사 단말
120: 대리 기사 단말
200: 장치
210: 프로세서
220: 메모리

Claims (3)

  1.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 및 정산 현황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서비스 가입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
    상기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에 근접한 대리 기사 단말에 상기 대리 요청을 발송하는 단계;
    상기 대리 요청에 따른 결제 대금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대금을 미리 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가맹점, 상기 대리 운전 회사 및 상기 대리 기사에게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월 단위로 상기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을 상기 가맹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액이 상기 고유 계정의 유지 비용에 도달하면, 상기 고유 계정에 연결된 가맹점 단말에 알림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계정에 접속한 사용자에게 상기 대리 운전의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산 현황을 제공하는 단계는,
    대리 운전 사건 별 진행 상황을 표시하는 단계, 및
    미리 설정된 기간 단위로 정산표를 생성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산표는,
    대리 운전 사건 별로 상기 결제 대금, 상기 가맹점에 분배되는 금액, 상기 대리 운전 회사에 분배되는 금액 및 상기 대리 기사에 분배되는 금액을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에 고유 계정 및 대리 운전 회사 단말로 연결되는 고유 번호를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상기 가맹점의 업체명, 지점명 및 주소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단말로부터 통화 연결음에 사용되는 목소리 리스트 중 하나의 선택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의 업체명 및 지점명을 포함하는 상기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기본 정보, 상기 통화 연결음 및 상기 통화 연결음의 문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맹점의 고유 계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외부 카메라로 상기 가맹점에 진입하는 차량과 차주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에 설치된 내부 카메라로 상기 차주의 음주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차주의 음주가 확인되면, 상기 차주의 단말에 연결하는 단계;
    상기 차주의 단말에 상기 고유 번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고유 번호로 대리 요청이 접수되면 상기 대리 운전 회사 단말에 상기 차량과 상기 차주의 사진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230175200A 2023-12-06 2023-12-06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639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200A KR102639291B1 (ko) 2023-12-06 2023-12-06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5200A KR102639291B1 (ko) 2023-12-06 2023-12-06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291B1 true KR102639291B1 (ko) 2024-02-21

Family

ID=90052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5200A KR102639291B1 (ko) 2023-12-06 2023-12-06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29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514A (ko) * 2007-11-16 2009-05-20 김순동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가맹점 단말
KR101771512B1 (ko) 2016-02-18 2017-08-28 (주) 이루온엘비에스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45773B1 (ko) 2018-06-22 2019-05-02 박경현 차량 탁송 및 대리운전 중개 시스템
KR20200082906A (ko) * 2018-12-31 2020-07-08 황효미 음주 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210678B1 (ko) 2019-03-13 2021-02-01 장종민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436154B1 (ko) * 2022-03-14 2022-08-24 진덕진 Qr 코드를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KR102604985B1 (ko) 2022-03-15 2023-11-24 차란차 주식회사 차량 탁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0514A (ko) * 2007-11-16 2009-05-20 김순동 정보처리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가맹점 단말
KR101771512B1 (ko) 2016-02-18 2017-08-28 (주) 이루온엘비에스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45773B1 (ko) 2018-06-22 2019-05-02 박경현 차량 탁송 및 대리운전 중개 시스템
KR20200082906A (ko) * 2018-12-31 2020-07-08 황효미 음주 운전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210678B1 (ko) 2019-03-13 2021-02-01 장종민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436154B1 (ko) * 2022-03-14 2022-08-24 진덕진 Qr 코드를 이용한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2604985B1 (ko) 2022-03-15 2023-11-24 차란차 주식회사 차량 탁송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21659B1 (ko) * 2022-04-22 2023-04-14 이후시스(주) 음주 측정을 통한 대리운전 연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7987B2 (en) Blockchain transaction processing
US20230013615A1 (en)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TWI701633B (zh) 基於區塊鏈的版權事件存證方法及系統
US20190116264A1 (en) Virtual assistant aided communication with 3rd part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9129052B2 (en) Metering resource usage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20180160264A1 (en) Cognitive Geofencing
US20170372235A1 (en) Dynamic Transportation Pooling
US11093482B2 (en) Managing access by third parties to data in a network
US20180160262A1 (en) Cognitive Geofencing
US11615457B2 (en) Sales and interaction platform
US9699114B1 (en) Providing use of local or private cloud infrastructure resources to public cloud providers
US11830065B2 (en) Multi-lender loan application management system
CN11238145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介质
KR20240015123A (ko) 예약자 혜택 제공 시스템 및 이를 활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39291B1 (ko) 가맹점 별 고유 계정을 기반으로 한 대리 운전 배차를 통한 실시간 정산 현황 관리, 조회 및 처리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US10097362B2 (en) Global data service device connection manager
US20200118193A1 (en) Digital content publisher negotiated transactional advertiser
US10536389B1 (en) Biased selection of dedicated physical connections to provider network
KR102094938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US11647377B2 (en) Mobile device roaming optimization and operation
US10922666B1 (en) Resource management for logical and physical availability zones of a provider network
US11575665B2 (en) Authorizing uses of goods or services using bonding agreement
CN112995244B (zh) 一种签约代扣方法、资源访问方法及设备
KR102092603B1 (ko) 블록체인에 기반한 콘텐츠의 번역 지원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US11599860B2 (en) Limit purchase price by stock keeping unit (SKU)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