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9007B1 -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9007B1
KR102639007B1 KR1020230174340A KR20230174340A KR102639007B1 KR 102639007 B1 KR102639007 B1 KR 102639007B1 KR 1020230174340 A KR1020230174340 A KR 1020230174340A KR 20230174340 A KR20230174340 A KR 20230174340A KR 102639007 B1 KR102639007 B1 KR 102639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ofoam
support
frame
roll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4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가희
Original Assignee
가이아스튜디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이아스튜디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가이아스튜디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74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90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54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wire-lik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0Cutting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8Cutting members therefor in the form of wi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지하고, 커팅한 후 스티로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들이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Styrofoam wire cutting system}
본 발명은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지하고, 커팅한 후 스티로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들이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에 관련되며, 특히 스티로폼의 정밀한 커팅을 위해 설계된 구조적 요소들을 포함한다.
기존의 스티로폼 커팅 방식은 주로 수동 또는 간단한 기계적 장치에 의존하였으며, 이는 커팅의 정밀도 및 효율성에 제한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스티로폼 커팅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물질 관리 및 안정적인 스티로폼 지지 문제도 중요한 고려 사항이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은 스티로폼의 효과적인 커팅을 위한 향상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9977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2031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한 플레이트 프레임부, 와이어가 설치된 수직 프레임부,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플레이트 전후진부가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이어 커팅을 위해 스티로폼 덩어리를 지지하는 스티로폼 지지 유닛이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팅된 스티로폼에 발생한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유닛이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면에 ㅁ자 형상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프레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의 양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티로폼 커팅을 위한 와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수직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에 체결되어 스티로폼 덩어리를 안착하도록 구비된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를 전후진시켜 스티로폼 덩어리를 와이어 커팅하도록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전후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커팅되는 스티로폼 덩어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지지 유닛,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커팅된 스티로폼에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티로폼 지지 유닛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유닛 베이스 프레임, 상기 유닛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을 따라 설치된 유닛 베이스 레일,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유닛 이동 롤러, 상기 유닛 이동 롤러와 맞물리게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에 설치된 롤러 구동 샤프트,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의 형상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기어 회전축, 상기 롤러 구동 샤프트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제 2 기어 회전축, 상기 제 1 기어 회전축 및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 제 1 회전 기어 및 제 2 회전 기어,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이 내장되며 절단된 스티로폼이 안착되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 상기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의 내부에 ㅣ자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롤러 회전축, 상기 롤러 회전축의 둘레부에 중심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지지 롤러, 상기 지지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절단되고 있는 스티로폼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지지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지지부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 조절 레일, 상기 가이드부 조절 레일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 회동 브라켓, 상기 프레임 회동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되 중심부가 프레임 회전축이 가로질러 관통 삽입된 롤러 지지 프레임,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외향하게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롤러, 회전 가능한 상기 프레임 회전축에 설치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절단 각도를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 회전축에 하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분리부 지지 프레임,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리부 실린더,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분리하도록 구비된 분리부 롤러,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내부에 형상을 따라 설치된 완충체 이동 레일, 상기 완충체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 분리부 완충체, 상기 분리부 완충체의 후단부에서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내부 후단부를 향해 적어도 둘 이상 상기 분리부 완충체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체결된 분리부 완충 스프링, 상기 분리부 완충체에서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체결되어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 완충체의 이동을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 가능한 분리부 곡률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지지 유닛은,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상기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롤러가 회전하여 복수 개의 상기 지지 가이드부가 절단 중인 스티로폼의 저면을 가이드하여 절단면을 매끄럽게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상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유닛 지지 프레임,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유닛 베이스 바디,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의 양 말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제 1 유닛 회동 바디 및 제 2 유닛 회동 바디,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의 양 측부에서 상기 제 1 유닛 회동 바디 및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의 저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체결된 바디 회동부,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에 묻은 스티로폼 잔여물을 탈락시키는 스티로폼 인출부,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티로폼 인출부에 의해 이동된 스티로폼의 잔여물을 탈락시키도록 구비된 탈락 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인출부는,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의 내부에 내장된 인출부 하우징, 상기 인출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면서 브라켓에 의해 회전을 지지되게 구비된 인출부 구동 롤러,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와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브라켓에 의해 회전을 지지되게 구비된 인출부 지지 롤러,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와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인출부 구동 벨트,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의 둘레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의 외부를 향해 외향하게 형성된 롤러 고정 프레임, 상기 롤러 고정 프레임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의 저면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된 인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탈락 돌기부는,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돌기부 지지 바디, 상기 돌기부 지지 바디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의 중앙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내장된 샤프트 고정부재,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된 돌기부 끼움 샤프트, 상기 돌기부 끼움 샤프트에 샤프트 홈이 끼움 고정되도록 구비된 회동볼 지지 샤프트, 상기 회동볼 지지 샤프트의 상단부에 구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 회동볼, 상기 돌기부 회동볼의 상부 둘레부가 안착될 회동볼 홈이 형성되고, 양 측부에 스프링 홈이 형성된 돌기부 하우징, 상기 돌기부 하우징이 저면부에 일체로 체결되면서 이동되는 스티로폼의 저면부를 마찰시키도록 구비된 돌기부 헤드, 상기 스프링 홈에서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의 상면을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돌기부 헤드의 마찰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된 돌기부 지지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절단된 스티로폼을 상기 제 1 유닛 회동 바디 및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가 상기 바디 회동부에 의해 피스톤 운동에 의해 상향으로 회동하여 지지한 후 상기 스티로폼 인출부에 의해 스티로폼이 이동하면서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의 복수 개의 상기 탈락 돌기부에 의해 마찰되어 스티로폼의 잔여물을 탈락시키는 특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지하고, 커팅한 후 스티로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구성들이 구비된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이 제공된다.
정밀한 커팅: ㅁ자 형상의 플레이트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를 통해 와이어의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스티로폼의 정밀한 커팅이 가능하다.
효율성 향상: 스티로폼 지지 유닛과 이물질 제거 유닛을 통해 커팅 과정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스티로폼 지지 유닛은 커팅 중 스티로폼의 안정성을 보장하며, 이물질 제거 유닛은 커팅 후의 청결한 작업 환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작업의 용이성: 플레이트 전후진부를 통해 스티로폼 덩어리를 커팅 와이어에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티로폼을 쉽게 커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작업의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키며, 작업 시간을 절약한다.
안전성 향상: 플레이트 프레임부와 수직 프레임부의 구조적 설계를 통해 작업 중 안전성이 향상된다. 안전한 커팅 작업을 위한 구조적 안정성이 보장되며, 작업자의 부상 위험이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실시 사진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폼 지지 유닛의 배치도 및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유닛의 배치도 및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어에 의해"를 포함한 하기 조립 구성들과 실시예들을 위한 동력과 동력 전달 및 그에 대한 제어는 종래의 기술을 따르므로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또한, 하기에 자세히 설명하지 않고 개략적으로 기재한 동작 실시예들 및 구성들에 대하여는 종래의 기술을 따르며 본 발명의 목적과 그에 따른 효과를 집중적으로 기재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실시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플레이트 프레임부(10), 수직 프레임부(20),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 플레이트 전후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프레임부(10)는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면에 ㅁ자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수직 프레임부(20)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10)의 양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티로폼 커팅을 위한 와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수직 프레임부(20)에는 수평 방향으로 와이어 컷팅을 위한 와이어가 설치될 수 있다.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10)에 체결되어 스티로폼 덩어리를 안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플레이트 전후진부(40)는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10)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10)를 전후진시켜 스티로폼 덩어리를 와이어 커팅하도록 가이드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에 커팅할 스티로폼 덩어리를 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어에 의해 수직 프레임부(20)가 스티로폼 덩어리를 와이어 커팅하기 위해 와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제어에 의해 플레이트 전후진부(40)가 높낮이가 조절된 와이어를 향해 스티로폼 덩어리를 전진시켜 와이어가 스티로폼 덩어리를 기설정된 두께에 맞게 수평 방향으로 커팅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티로폼 지지 유닛의 배치도 및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커팅되는 스티로폼 덩어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은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 유닛 베이스 레일(120), 유닛 이동 롤러(130), 롤러 구동 샤프트(140), 제 1 기어 회전축(150), 제 2 기어 회전축(160), 제 1 회전 기어(170A) 및 제 2 회전 기어(170B),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 롤러 회전축(190), 지지 롤러(200), 지지 가이드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베이스 레일(120)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의 형상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이동 롤러(130)는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120)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구동 샤프트(140)는 상기 유닛 이동 롤러(130)와 맞물리게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120)에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기어 회전축(150)은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120)의 형상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2 기어 회전축(160)은 상기 롤러 구동 샤프트(140)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회전 기어(170A) 및 제 2 회전 기어(170B)는 상기 제 1 기어 회전축(150) 및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160)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는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120)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160)이 내장되며 절단된 스티로폼이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회전축(190)은 상기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의 내부에 ㅣ자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 롤러(200)는 상기 롤러 회전축(190)의 둘레부에 중심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 가이드부(210)는 상기 지지 롤러(20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절단되고 있는 스티로폼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지 가이드부(210)는 플레이트 지지부재(211),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 롤러 지지 프레임(216), 가이드부 롤러(217), 스티로폼 분리부(218)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지지부재(211)는 상기 지지 롤러(20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211)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는 상기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은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은 상기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지지 프레임(216)은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의 말단부에 설치되되 중심부가 프레임 회전축(216a)이 가로질러 관통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 롤러(217)는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216)의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외향하게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티로폼 분리부(218)는 회전 가능한 상기 프레임 회전축(216a)에 설치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절단 각도를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티로폼 분리부(218)는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 분리부 실린더(2182), 분리부 롤러(2183), 완충체 이동 레일(2184), 분리부 완충체(2185), 분리부 완충 스프링(2186), 분리부 곡률 프레임(2187)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은 상기 프레임 회전축(216a)에 하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 회전축(216a)의 회전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 실린더(2182)는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 롤러(2183)는 상기 분리부 실린더(2182)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분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완충체 이동 레일(2184)은 상기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에 형상을 따라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 완충체(2185)는 상기 완충체 이동 레일(2184)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 완충 스프링(2186)은 상기 분리부 완충체(2185)의 후단부에서 상기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 후단부를 향해 적어도 둘 이상 상기 분리부 완충체(2185)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분리부 곡률 프레임(2187)은 상기 분리부 완충체(2185)에서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의 상단부를 향해 체결되어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 완충체(2185)의 이동을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된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단부가 고정된다.
이때, 각각의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의 형상을 따라 유닛 베이스 레일(120)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각각의 유닛 베이스 레일(120)에는 유닛 이동 롤러(130)가 일정 간격을 두고 유닛 베이스 레일(120)을 따라 레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각각의 유닛 이동 롤러(130)의 둘레부에 수평 방향으로 맞물리게 롤러 구동 샤프트(140)가 유닛 베이스 레일(120)에 체결된다.
이때, 평행하게 배치된 롤러 구동 샤프트(140)를 관통 삽입하도록 제 2 기어 회전축(160)이 도면과 같이 삽입된다.
제 2 기어 회전축(160)의 일단부가 제 2 회전 기어(170B)의 중심부를 관통 삽입하여 체결된다.
각각의 제 2 회전 기어(170B)와 맞물리도록 제 1 회전 기어(170A)가 배치되고, 전체 제 1 회전 기어(170A)를 관통하도록 제 1 기어 회전축(150)이 삽입된다.
이때, 제 2 기어 회전축(160)이 내부에 내장되면서 지지되도록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가 평행하게 배치된 유닛 베이스 레일(120) 사이에 배치된다.
롤러 회전축(190)이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의 내부에 ㅣ자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또한, 롤러 회전축(190)이 지지 롤러(200)의 중심부를 관통하면서 일체로 회전되게 체결된다.
이때, 지지 롤러(200)의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지지 가이드부(210)가 설치된다.
지지 가이드부(210)에 있어서, 지지 롤러(200)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플레이트 지지부재(211)의 하단면이 고정된다.
플레이트 지지부재(211)에서 일 방향으로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이 연장 형성되고,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을 따라 레일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가 체결된다.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의 상면에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형성된다.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에 회동 가능하게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의 양 측부가 체결되고,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의 후단부에서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의 상면을 향해 프레임 지지 스프링이 탄성 체결된다.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의 전단부에 프레임 회전축(216a)이 가로질러 삽입되되 롤러 지지 프레임(216)의 중심부를 관통 삽입된다.
롤러 지지 프레임(216)의 양 측부로 일정 간격으로 회전 가능하게 가이드부 롤러(217)가 체결된다.
스티로폼 분리부(218)에 있어서, 프레임 회전축(216a)의 둘레부에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의 하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에 분리부 실린더(2182)의 후단부가 고정되고 분리부 실린더(2182)가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의 상부와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를 이어지도록 C자 형상의 분리부 곡률 프레임(2187)이 체결된다.
이때, 분리부 곡률 프레임(2187)은 고무, 실리콘과 같은 탄성력을 형성하는 소재로 구비되어 분리부 완충체(2185)의 레일 이동에 따라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다.
이어서, 완충체 이동 레일(2184)이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에서 실린더 형상을 따라 내장된다.
또한, 분리부 실린더(2182)의 일단부가 분리부 완충체(2185)에 체결되고, 분리부 완충체(2185)는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에 완충체 이동 레일(2184)을 따라 레일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분리부 완충체(2185)의 후단부에 일정 간격으로 분리부 실린더(2182)의 내부 후단부를 향해 분리부 완충 스프링(2186)이 탄성 체결된다.
분리부 롤러(2183)가 분리부 실린더(2182)의 전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스티로폼과 맞닿게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단부에서 스티로폼을 기설정된 두께에 맞게 수평으로 커팅한 후 제어에 의해 제 1 기어 회전축(150)이 각각의 제 1 회전 기어(170A)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각각의 제 1 회전 기어(170A)와 맞물린 각각의 제 2 회전 기어(170B)가 회전하여 각각의 제 2 기어 회전축(160)이 회전하여 롤러 구동 샤프트(1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롤러 구동 샤프트(140)와 맞물린 유닛 이동 롤러(130)가 유닛 베이스 레일(120)을 따라 맞물려 전진 또는 후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의해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의 상면에 절단된 스티로폼이 전방부터 점차적으로 안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롤러 회전축(190)이 지지 롤러(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스티로폼의 저면부가 각각의 가이드부 롤러(217)에 안착하면서 프레임 회전축(216a)에 의해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분리부 완충체(2185)가 완충체 이동 레일(2184)을 따라 전진하여 분리부 롤러(2183)를 향해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켜 분리부 롤러(2183)가 절단된 스티로폼과 절단되지 않은 스티로폼 덩어리를 분리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이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으로부터 회동하면서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을 따라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가 전후진하여 스티로폼의 분리를 보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제거 유닛의 배치도 및 세부 구성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커팅된 스티로폼에 발생된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구비된 이물질 제거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물질 제거 유닛(300)은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 상면에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에 지지되어 와이어 커팅된 스티로폼을 이어받아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유닛(300)은 유닛 지지 프레임(310), 유닛 베이스 바디(320),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 및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 바디 회동부(340), 스티로폼 인출부(350), 탈락 돌기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닛 지지 프레임(310)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상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유닛 베이스 바디(320)는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3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 및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는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양 말단부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바디 회동부(340)는 상기 유닛 지지 프레임(310)의 양 측부에서 상기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 및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저면부를 향해 피스톤 운동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스티로폼 인출부(350)는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내부에 설치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에 묻은 스티로폼 잔여물을 탈락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스티로폼 인출부(350)는 인출부 하우징(351), 인출부 구동 롤러(352), 인출부 지지 롤러(353), 인출부 구동 벨트(354), 롤러 고정 프레임(355), 인출 롤러(356)를 포함할 수 있다.
인출부 하우징(351)은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내부에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출부 구동 롤러(352)는 상기 인출부 하우징(351)에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면서 브라켓에 의해 회전을 지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인출부 지지 롤러(353)는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352)와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내부에 내장되면서 브라켓에 의해 회전을 지지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인출부 구동 벨트(354)는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352)와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353)의 회전축을 감싸도록 체결되어 상기 인출부 구동 롤러(35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353)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롤러 고정 프레임(355)은 상기 인출부 지지 롤러(353)의 둘레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상기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외부를 향해 외향하게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인출 롤러(356)는 상기 롤러 고정 프레임(355)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의 저면부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탈락 돌기부(360)는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티로폼 인출부(350)에 의해 이동된 스티로폼의 잔여물을 탈락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탈락 돌기부(360)는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 돌기부 지지 바디(362),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 샤프트 고정부재(364),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 돌기부 회동볼(367), 돌기부 하우징(368), 돌기부 헤드(369), 돌기부 지지 스프링(370)을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는 상기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지지 바디(362)는 상기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는 상기 돌기부 지지 바디(362)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샤프트 고정부재(364)는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의 중앙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내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는 상기 샤프트 고정부재(364)에서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의 상면을 관통하여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는 상기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에 샤프트 홈(366a)이 끼움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회동볼(367)은 상기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의 상단부에 구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하우징(368)은 상기 돌기부 회동볼(367)의 상부 둘레부가 안착될 회동볼 홈(368a)이 형성되고, 양 측부에 스프링 홈(368b)이 형성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헤드(369)는 상기 돌기부 하우징(368)이 저면부에 일체로 체결되면서 이동되는 스티로폼의 저면부를 마찰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돌기부 지지 스프링(370)은 상기 스프링 홈(368b)에서 상기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의 상면을 향해 탄성 지지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돌기부 헤드(369)의 마찰력에 의한 충격을 완화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성들에 따른 조립관계와 실시예의 효과를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물질 제거 유닛(300)에 있어서,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의 상면에 상향하는 사선 방향으로 유닛 지지 프레임(310)이 형성된다.
유닛 지지 프레임(310)의 상단부에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저면 중앙부가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일 측에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가, 타 측에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가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다.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의 저면부 및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저면부에서 유닛 지지 프레임(310)의 양 측부를 향해 바디 회동부(340)가 설치된다.
이때, 바디 회동부(340)는 로드축과 실린더가 조립된 피스톤 운동 가능한 형상으로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와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를 회동시키면서 회동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스티로폼 인출부(350)에 있어서,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내부에 인출부 하우징(351)이 내장된다.
인출부 하우징(351)의 내부에 인출부 구동 롤러(352)가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다.
인출부 하우징(351)과 일정 간격을 두고 인출부 지지 롤러(353)가 회전 가능하게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때, 인출부 구동 롤러(352)와 인출부 지지 롤러(353)를 감싸 회전시키도록 인출부 구동 벨트(354)가 체결된다.
인출부 지지 롤러(353)의 양 측부에 돌출된 축에 상향으로 롤러 고정 프레임(355)이 형성되고, 각각의 말단부에 인출 롤러(356)가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이때,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의 상면에 인출 롤러(356)가 돌출 가능하여 스티로폼의 저면부와 맞닿을 수 있다.
또한,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절단된 스티로폼의 잔해물을 털어내는 탈락 돌기부(360)가 설치된다.
탈락 돌기부(360)에 있어서,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의 저면부가 고정되고,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기부 지지 바디(362)가 형성된다.
돌기부 지지 바디(362)의 상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가 설치된다.
샤프트 고정부재(364)가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내장되고,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가 샤프트 고정부재(364)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수직 방향으로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의 샤프트 홈(366a)에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가 끼움 결합하고,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의 상단부는 돌기부 회동볼(367)이 형성된다.
돌기부 회동볼(367)의 상단 둘레부에 회동볼 홈(368a)이 안착하도록 돌기부 하우징(368)이 끼움 결합하고, 각각의 스프링 홈(368b)에 돌기부 지지 스프링(370)이 끼워지면서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의 상면 양 측에 탄성 지지된다.
돌기부 하우징(368)이 하단에 체결된 돌기부 헤드(369)가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에 의해 분리된 스티로폼이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바디 회동부(340)가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 및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를 상향 회동시켜 분리된 스티로폼을 전방 및 후방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에 의해 인출부 구동 롤러(352)가 회전하여 인출부 구동 벨트(354)가 인출부 지지 롤러(3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각각의 인출 롤러(356)가 롤러 고정 프레임(355)에 고정된 채로 회전하여 스티로폼의 저면부를 마찰시켜 전진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시예에 이어서 유닛 베이스 바디(320)의 상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탈락 돌기부(360)에 의해 전진하는 스티로폼을 진동시켜 잔해물을 털어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티로폼의 저면부와의 마찰에 의해 돌기부 헤드(369)가 돌기부 회동볼(367)을 기준으로 회동하면서 돌기부 지지 스프링(370)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진동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플레이트 프레임부(10)
수직 프레임부(20)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30)
플레이트 전후진부(40)
스티로폼 지지 유닛(100)
유닛 베이스 프레임(110)
유닛 베이스 레일(120)
유닛 이동 롤러(130)
롤러 구동 샤프트(140)
제 1 기어 회전축(150)
제 2 기어 회전축(160)
제 1 회전 기어(170A)
제 2 회전 기어(170B)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180)
롤러 회전축(190)
지지 롤러(200)
지지 가이드부(210)
플레이트 지지부재(211)
가이드부 조절 레일(212)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213)
프레임 회동 브라켓(214)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215)
롤러 지지 프레임(216)
프레임 회전축(216a)
가이드부 롤러(217)
스티로폼 분리부(218)
분리부 지지 프레임(2181)
분리부 실린더(2182)
분리부 롤러(2183)
완충체 이동 레일(2184)
분리부 완충체(2185)
분리부 완충 스프링(2186)
분리부 곡률 프레임(2187)
이물질 제거 유닛(300)
유닛 지지 프레임(310)
유닛 베이스 바디(320)
제 1 유닛 회동 바디(330A)
제 2 유닛 회동 바디(330B)
바디 회동부(340)
스티로폼 인출부(350)
인출부 하우징(351)
인출부 구동 롤러(352)
인출부 지지 롤러(353)
인출부 구동 벨트(354)
롤러 고정 프레임(355)
인출 롤러(356)
탈락 돌기부(360)
돌기부 지지 플레이트(361)
돌기부 지지 바디(362)
돌기부 안착 플레이트(363)
샤프트 고정부재(364)
돌기부 끼움 샤프트(365)
회동볼 지지 샤프트(366)
샤프트 홈(366a)
돌기부 회동볼(367)
돌기부 하우징(368)
회동볼 홈(368a)
스프링 홈(368b)
돌기부 헤드(369)
돌기부 지지 스프링(370)

Claims (3)

  1. 스티로폼을 커팅하기 위해 지면에 ㅁ자 형상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의 양 측부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스티로폼 커팅을 위한 와이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된 수직 프레임부;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에 체결되어 스티로폼 덩어리를 안착하도록 구비된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의 양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레이트 프레임부를 전후진시켜 스티로폼 덩어리를 와이어 커팅하도록 가이드하는 플레이트 전후진부;
    를 포함하는,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설치되어 와이어 커팅되는 스티로폼 덩어리를 지지하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지지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지지 유닛은,
    상기 유닛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일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설치된 유닛 베이스 프레임;
    상기 유닛 베이스 프레임의 형상을 따라 설치된 유닛 베이스 레일;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유닛 이동 롤러;
    상기 유닛 이동 롤러와 맞물리게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에 설치된 롤러 구동 샤프트;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의 형상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제 1 기어 회전축;
    상기 롤러 구동 샤프트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제 2 기어 회전축;
    상기 제 1 기어 회전축 및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되 서로 맞물리도록 구비된 제 1 회전 기어 및 제 2 회전 기어;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제 2 기어 회전축이 내장되며 절단된 스티로폼이 안착되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
    상기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의 내부에 ㅣ자 형상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된 롤러 회전축;
    상기 롤러 회전축의 둘레부에 중심부가 삽입되어 일체로 회전하도록 구비된 지지 롤러;
    상기 지지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절단되고 있는 스티로폼을 가이드하도록 구비된 지지 가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가이드부는,
    상기 지지 롤러의 둘레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플레이트 지지부재;
    상기 플레이트 지지부재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부 조절 레일;
    상기 가이드부 조절 레일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체결된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플레이트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 회동 브라켓;
    상기 프레임 회동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
    상기 가이드부 지지 프레임의 말단부에 설치되되 중심부가 프레임 회전축이 가로질러 관통 삽입된 롤러 지지 프레임;
    상기 롤러 지지 프레임의 양 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외향하게 설치되되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절단된 스티로폼의 저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 롤러;
    회전 가능한 상기 프레임 회전축에 설치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절단 각도를 따라 분리시키도록 구비된 스티로폼 분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분리부는,
    상기 프레임 회전축에 하단부가 고정되되 상기 프레임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분리부 지지 프레임;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분리부 실린더;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말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분리하도록 구비된 분리부 롤러;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내부에 형상을 따라 설치된 완충체 이동 레일;
    상기 완충체 이동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된 분리부 완충체;
    상기 분리부 완충체의 후단부에서 상기 분리부 실린더의 내부 후단부를 향해 적어도 둘 이상 상기 분리부 완충체를 탄성 지지 가능하게 체결된 분리부 완충 스프링;
    상기 분리부 완충체에서 상기 분리부 지지 프레임의 상단부를 향해 체결되어 탄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분리부 완충체의 이동을 따라 탄성적으로 가변 가능한 분리부 곡률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스티로폼 지지 유닛은,
    절단 중인 스티로폼을 상기 스티로폼 지지 플레이트가 상기 유닛 베이스 레일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롤러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 롤러가 회전하여 복수 개의 상기 지지 가이드부가 절단 중인 스티로폼의 저면을 가이드하여 절단면을 매끄럽게 하는 특징을 더 포함하는,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174340A 2023-12-05 2023-12-05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KR102639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340A KR102639007B1 (ko) 2023-12-05 2023-12-05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74340A KR102639007B1 (ko) 2023-12-05 2023-12-05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9007B1 true KR102639007B1 (ko) 2024-02-21

Family

ID=90052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74340A KR102639007B1 (ko) 2023-12-05 2023-12-05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90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609Y1 (ko) * 2002-06-27 2002-11-02 (주)한국화학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1920315B1 (ko) 2018-05-15 2018-11-20 박경란 스티로폼 자동 절단장치
KR101939977B1 (ko) 2017-06-20 2019-01-18 이혜은 스티로폼 절단기용 커팅부 구조
KR102210697B1 (ko) * 2019-12-09 2021-02-01 김동수 스티로폼 조각 기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3609Y1 (ko) * 2002-06-27 2002-11-02 (주)한국화학 스티로폼 가공장치
KR101939977B1 (ko) 2017-06-20 2019-01-18 이혜은 스티로폼 절단기용 커팅부 구조
KR101920315B1 (ko) 2018-05-15 2018-11-20 박경란 스티로폼 자동 절단장치
KR102210697B1 (ko) * 2019-12-09 2021-02-01 김동수 스티로폼 조각 기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9007B1 (ko) 스티로폼 와이어 컷팅 시스템
CN210153483U (zh) 彩超显示器旋转控制装置
CA3015961C (en) Machining swarf removing apparatus
US2180743A (en) Machine for cutting tile and the like
CN106181626A (zh) 一种可手动调整倾斜角度的磨削加工设备
CN214560877U (zh) 一种具有调节重心平衡的智能机器人
CN112658902A (zh) 一种新能源汽车加工用减振器表面打磨装置
KR101885330B1 (ko) 다양한 곡률의 발전기 고정자의 유지 보수용 웨지 커팅기
CN209919013U (zh) 一种圆盘锯片磨齿机
ES2201028T3 (es) Maquina herramienta.
CN214262278U (zh) 一种用于清除包装纸的碎纸机底座
CN209648240U (zh) 一种新型滑座结构
CN213532101U (zh) 一种金属模具表面抛光装置
CN220240102U (zh) 一种用于轧辊加工的打孔机
KR102649314B1 (ko) 자동 파이프 절단 시스템
KR102219306B1 (ko) 차량 시트용 조절 장치
CN215618336U (zh) 一种飞机货舱地板加工装置
CN218746638U (zh) 一种磨簧机的电机稳定机架结构
CN214795573U (zh) 一种充电辊支架
KR102608225B1 (ko) 높이 조절 배관 서포터 구조체
CN212704781U (zh) 一种方便移动的数控切割机
CN211770155U (zh) 一种千斤顶摇杆的限位机构
CN215700159U (zh) 一种用于数控机床加工用抗震装置
CN215999984U (zh) 一种具有缓冲结构的钣金切割装置
CN214332005U (zh) 一种小型废水处理快速移动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