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684B1 - 장식을 갖는 헬멧 - Google Patents

장식을 갖는 헬멧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684B1
KR102638684B1 KR1020230087140A KR20230087140A KR102638684B1 KR 102638684 B1 KR102638684 B1 KR 102638684B1 KR 1020230087140 A KR1020230087140 A KR 1020230087140A KR 20230087140 A KR20230087140 A KR 20230087140A KR 102638684 B1 KR102638684 B1 KR 102638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met
decorative member
hole
helmet body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철웅
Original Assignee
강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웅 filed Critical 강철웅
Priority to KR1020230087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6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6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6Impact-absorbing shells, e.g. of crash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28Ventilating arrangements
    • A42B3/281Air ducting system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헬멧에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식을 갖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사용자가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두부에 착용하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장식을 위해 헬멧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식부재(2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식을 갖는 헬멧{helmet with decorations}
본 발명은 헬멧에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식을 갖는 헬멧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 인라인스케이트, 오토바이 등의 이륜차 탑승자는 반드시 보호장구로 헬멧을 착용하여 사고시 머리부위의 손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다.
헬멧의 대략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PET수지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되는 외피, 외피와 접합되며, 압축 충격을 최소화하여 머리손상을 방지하는 라이너, 라이너 내부에 부착되어 머리와 닿는 부분의 착화감을 높이기 위한 패드, 턱 끈 및 머리사이즈 조정을 위한 핏팅 다이얼 등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헬멧의 종류에 따라 공기가 통할 수 있는 벤틸레이트 홀이 마련되지 않은 형태(경기용)의 것이나, 그 반대로 다수개의 벤틸레이트 홀이 구비되어 공기가 통과되어 머리의 열을 식혀주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기본적인 형태의 헬멧을 착용하고, 자전거 혹은 인라인 스케이팅을 즐기게 되는데, 기본적인 헬멧 외에도, 별도로 장식을 착용하기도 한다.
한편, 헬멧과 관련한 선행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특허청에 출원되어 공개된 공개특허 제10-2016-0076948호(명칭 : 장식포인트 연출 및 장비 탈부착이 용이한 스포츠용 헬멧)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은 헬멧에 형성된 나사체결부재에 장식부재가 체결되고, 장식부재에 의해 고글렌즈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므로, 고글렌즈나 소형카메라와 같은 각종 장비의 탈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헬멧의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이 원터치방식으로 장착시키기 위한 구성이 결여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헬멧에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장식을 갖는 헬멧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갖는 헬멧은, 사용자가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두부에 착용하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장식을 위해 헬멧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식부재(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헬멧본체(100)에는 전방에 걸림홀(110)이 형성되고 후방에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장식부재(200)의 전방이 걸림홀(110)에 걸리고 장식부재(200)의 후방이 걸림턱(120)에 걸리고, 장식부재(200)는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걸림홀(110)은 장홀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헬멧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는 공간이 확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걸림면(121)은 걸림턱(120)의 양측에서 헬멧본체(100)의 전방까지 이어지게 형성되어, 장식부재(200)의 양측이 전체적으로 걸려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헬멧본체(100)에는 양측으로 이격되게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형성되고, 벤틸레이트 홀(130)들의 간격(L1)은 장식부재(200)의 폭(L2)보다 크게 형성되어,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장식부재(20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장식부재(200)는 전방에서 양쪽으로 분기되어 걸림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분기부(210)와, 분기부(210)에 형성되어 걸림홀(110)의 내부에서 양측에 걸려서 지지되는 전방턱(220)과, 후방에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려서 지지되는 후방턱(230)과, 후방턱(230)의 양측에서 분기부(210)까지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면(121)들에 각각 걸리는 걸림벽(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헬멧본체(100)의 상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헬멧암형부(150)가 형성되고, 장식부재(200)의 상부에는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삽입되어서 지지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장식수형부(2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에 양측오목벽(151)이 형성되고, 양측오목벽(151)들의 단부에 연이어지는 전방오목벽(152)이 형성되고, 장식수형부(260)의 양측에는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오목벽(151)에 지지되는 양측볼록벽(261)이 형성되고, 양측볼록벽(261)들의 단부에 연이어져서 헬멧암형부(150)의 전방오목벽(152)에 지지되는 전방볼록벽(2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헬멧본체(100)의 전방에는 추가 장식부재(300)가 장착되는 장착홀(140)이 형성되고, 헬멧본체(100)의 후방에는 추가 장식부재(300)가 보관되는 보관홀(160)이 형성되고, 추가 장식부재(300)에는 장착홀(140)이나 보관홀(160)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는 장착핀(30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장식부재(200)에는 헬멧본체(100)의 보관홀(160)이 노출되도록 노출홀(270)이 형성되고,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결합되면 노출홀(270)이 보관홀(160)에 일치되므로, 노출홀(270)을 통해 추가 장식부재(300)의 장착핀(201)이 노출홀(270)을 통과하여서 보관홀(160)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헬멧에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는 편리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무늬가 인쇄된 장식부재들을 선택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사용상의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갖는 헬멧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헬멧에 형성된 걸림홀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헬멧본체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헬멧본체 뒷면을 보인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식부재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식부재 정면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식부재 내측 일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식부재 배면을 보인 배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장식부재 내측 다른 일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1(a)(b)는 본 발명의 다른 장식부재들을 보인 도면.
도 12(a)(b)는 다른 장식부재들이 헬멧본체들에 각각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장식부재를 보인 도면.
도 14(a)(b)는 본 발명의 다른 장식부재가 헬멧본체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식을 갖는 헬멧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두부에 착용하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장식을 위해 헬멧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식부재(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본체(100)에는 전방에 걸림홀(110)이 형성되고 후방에 걸림턱(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홀(110)은 장홀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헬멧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는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 사용자가 헬멧본체(100)를 두부에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면 공기가 걸림홀(110)을 통과하여 두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식혀주게 된다.
장식부재(200)의 전방이 걸림홀(110)에 걸리고, 장식부재(200)의 후방이 걸림턱(120)에 걸린다. 따라서 장식부재(200)의 양단이 헬멧본체(100)에 걸리므로 장식부재(200)의 걸려서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200)가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어 탄성을 갖으면서, 헬멧본체(100)에서 곡선으로 형성되는 상부에 면 접촉되어서 지지된다. 즉 장식부재(200)가 벌려진 상태로 헬멧본체(100)에 걸리면 탄성으로 복원되어 헬멧본체(100)에 걸려 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의 충격이 헬멧본체(100)에 전달되어도 장식부재(200)가 쉽게 벗겨지지 않는다. 더욱이 사용자가 헬멧본체(100)를 두부에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경우, 원호형태로 휘어진 장식부재(200)를 공기가 가압하므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서 곡선으로 형성되는 상부를 가압하면서 헬멧본체(100)에서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본체(100)에는 양측으로 이격되게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벤틸레이트 홀(130)들의 간격(L1)은 장식부재(200)의 폭(L2)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장식부재(200)에 의해 커버되지 않으므로 공기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120)은 후방으로 돌출되면서 양측에 걸림면(121)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20)은 대략 'U'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장식부재(200)가 걸리는 면적이 증대되어 장식부재(200)의 걸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면(121)은 걸림턱(120)의 양측에서 헬멧본체(100)의 전방까지 이어지게 형성된다. 즉 장식부재(200)의 양측이 전체적으로 걸려서 지지되므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걸려 진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헬멧본체(100)의 상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헬멧암형부(150)가 형성된다.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에 양측오목벽(151)이 형성되고 양측오목벽(151)들의 단부에 연이어지는 전방오목벽(152)이 형성된다. 이러한 양측오목벽(151)들에 전방오목벽(152)이 이어져서 전체적으로 'U'형태를 이루게 된다.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식부재(200)는 전방에서 양쪽으로 분기되어 걸림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분기부(210)와, 분기부(210)에 형성되어 걸림홀(110)의 내부에서 양측에 걸려서 지지되는 전방턱(220)과, 후방에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려서 지지되는 후방턱(230)과, 후방턱(230)의 양측에서 분기부(210)까지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면(121)들에 각각 걸리는 걸림벽(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식부재(200)는 PET수지필름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로 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재(200)는 양측보다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면서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구조가 견고하면서 바람의 저항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장식부재(200)는 전후방향으로 원호형태로 형성되면서 좌우방향으로도 원호형태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분기부(210)들이 걸림홀(110)의 양측에 위치됨에 따라 공기가 분기부(210)들에 간섭되지 않으면서 걸림홀(110)에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전방턱(220)들이 걸림홀(110)의 양측에 걸리게 되므로 걸려 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더욱이 전방턱(220)들은 서로 연이어져서 'U'형태로 형성되어 걸림홀(110)의 내측에서 양측뿐만 아니라 일측면까지 연이어지면서 걸리게 되는 면적이 증대될 수 있어서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후방턱(230)이 걸림턱(120)에 1차적으로 걸린 상태에서 전방턱(220)들이 걸림홀(110)에 2차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장식부재(200)의 걸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걸림벽(240)들이 걸림면(121)들에 3차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결속력이 증대되어 강한 바람에 의해서도 장식부재(200)의 걸림벽(240)들이 헬멧본체(100)의 양측에서 들뜨지 않게 된다.
그리고 장식부재(200)에는 돌출부(250)들이 분산되게 형성됨에 따라 구조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50)는 장원형상으로 돌출되면서 양단이 장식부재(200)의 양단을 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헬멧본체(100)를 착용한 상태로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경우, 공기가 돌출부(250)에서 분산되면서 장식부재(200)를 가압하게 된다.
또한 장식부재(200)의 상부에는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삽입되어서 지지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장식수형부(260)가 형성된다. 장식수형부(260)의 양측에는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오목벽(151)에 지지되는 양측볼록벽(261)이 형성되고, 양측볼록벽(261)들의 단부에 연이어져서 헬멧암형부(150)의 전방오목벽(152)에 지지되는 전방볼록벽(2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양측볼록벽(261)들에서 전방볼록벽(262)까지 전체적으로 'U'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장식부재(200)의 구조가 견고해져서 변형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바람의 저항에 견고하게 견딜 수 있다. 아울러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장식부재(200)의 장식수형부(2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짐에 따라, 장식부재(200)를 헬멧본체(100)에 장착하는 과정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장식부재(200)의 장식수형부(2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므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결속되는 결속력이 증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1(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니가 없는 단색이나 체크무늬가 인쇄된 다른 장식부재(200)들을 보이고 있다. 도 12(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색상이나 무늬들이 인쇄된 장식부재(200)들이 헬멧본체(100)에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장식부재(200)들이 선택적으로 장착하여서 헬멧본체(100)를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본체(100)에는 도 13에 도시된 고글렌즈와 같은 추가 장식부재(300)가 장착되는 장착홀(140)이 전방에 형성되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렌즈와 같은 추가 장식부재(300)가 보관되는 보관홀(160)이 후방에 형성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장식부재(300)인 고글렌즈에는 장착홀(140)이나 보관홀(160)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는 장착핀(301)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장착핀(301)은 장식부재(200)인 고글렌즈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장착핀(301)을 장착홀(140)에 강제로 삽입시키면 장식부재(200)인 고글렌즈가 헬멧본체(100)에 원터치 방식으로 장착되는 편리함이 있다. 그리고 장착핀(301)을 기준으로 장식부재(200)인 고글렌즈를 회전시킬 수 있다. 더욱이 장착핀(301)에는 금속이 구비되고 장착홀(140) 및 보관홀(160)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어서, 장착핀(301)이 장착홀(140)이나 보관홀(160)에 삽입되면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장착핀(301)이 장착홀(140)이나 보관홀(160)에서 외압이 가해지기 전까지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장착홀(140)에 장식부재(200)인 고글렌즈를 장착한 상태에서 고글렌즈를 하방으로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눈앞에 위치시키면 햇빛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글렌즈를 상방으로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눈앞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핀(301)을 보관홀(160)에 삽입시켜서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글렌즈를 회전시켜서 헬멧본체(100)에 밀착시킬 수 있어서,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과정에서 고글렌즈에 가해지는 공기저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자전거를 타고 주행하는 과정에서 공기저항에 의해 헬멧본체(100)에서 고글렌즈가 분리되지 않으면서 보관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장식부재(200)인 고글렌즈를 보관하기 위한 별도의 보관케이스나 가방 등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
도 6,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식부재(200)에는 헬멧본체(100)의 보관홀(160)이 노출되도록 노출홀(270)이 형성된다. 따라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결합되면 노출홀(270)이 보관홀(160)에 일치되므로, 노출홀(270)을 통해 추가 장식부재(300)의 장착핀(301)이 노출홀(270)을 통과하여서 보관홀(16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장착홀(140) 및 보관홀(160)은 복수로 구성되어 양측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즉 추가 장식부재(300)인 고글렌즈에 형성되는 장착핀(301)이 복수로 구성되어 장착홀(140)들이나 보관홀(160)들에 고정되므로 고글렌즈가 회전되지 않으면서 장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노출홀(270)은 보관홀(160)들이 동시에 노출되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장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홀(160)들을 포위하는 단차(16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홀(270)은 둘레를 따라 결합턱(271)이 형성된다.
따라서 노출홀(270)이 보관홀(160)들에 일치하는 상태에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가압되면, 결합턱(271)이 단차(161)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결합된다. 이에 의해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결합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헬멧에 심미감을 유발시키기 위한 장식부재를 원터치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헬멧본체 110 : 걸림홀
120 : 걸림턱 121 : 걸림면
130 : 벤틸레이트 홀 140 : 장착홀
150 : 헬멧암형부 151 : 양측오목벽
152 : 전방오목벽 160 : 보관홀
200 : 장식부재 210 : 분기부
220 : 전방턱 230 : 후방턱
240 : 걸림벽 250 : 돌출부
260 : 장식수형부 261 : 양측볼록벽
262 : 전방볼록벽 270 : 노출홀
300 : 추가 장식부재 301 : 장착핀

Claims (10)

  1. 사용자가 두부를 보호하기 위해 두부에 착용하는 헬멧본체(100)와, 헬멧본체(100)의 장식을 위해 헬멧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장식부재(200)를 포함하는 장식을 갖는 헬멧에 있어서,
    헬멧본체(100)에는 전방에 걸림홀(110)이 형성되고 후방에 걸림턱(120)이 형성되어, 장식부재(200)의 전방이 걸림홀(110)에 걸리고 장식부재(200)의 후방이 걸림턱(120)에 걸리고,
    장식부재(200)는 중앙부분이 상부로 볼록하게 원호형태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걸림홀(110)은 장홀로 형성되면서 양단이 헬멧본체(100)의 전방 및 후방을 향하게 형성되어, 공기가 투입되는 공간이 확대될 수 있고,
    걸림면(121)은 걸림턱(120)의 양측에서 헬멧본체(100)의 전방까지 이어지게 형성되어, 장식부재(200)의 양측이 전체적으로 걸려서 지지되고,
    헬멧본체(100)에는 양측으로 이격되게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형성되고,
    벤틸레이트 홀(130)들의 간격(L1)은 장식부재(200)의 폭(L2)보다 크게 형성되어, 벤틸레이트 홀(130)들이 장식부재(200)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장식부재(200)는
    전방에서 양쪽으로 분기되어 걸림홀(110)의 양측에 위치되는 분기부(210)와,
    분기부(210)에 형성되어 걸림홀(110)의 내부에서 양측에 걸려서 지지되는 전방턱(220)과,
    후방에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턱(120)에 걸려서 지지되는 후방턱(230)과,
    후방턱(230)의 양측에서 분기부(210)까지 연이어지게 형성되어 헬멧본체(100)의 걸림면(121)들에 각각 걸리는 걸림벽(240)을 포함하고,
    후방턱(230)이 걸림턱(120)에 1차적으로 걸린 상태에서 전방턱(220)들이 걸림홀(110)에 2차적으로 걸리게 되므로, 장식부재(200)의 걸린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헬멧본체(100)의 상부에는 하부로 오목하게 헬멧암형부(150)가 형성되고,
    장식부재(200)의 상부에는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삽입되어서 지지되도록 하부로 볼록하게 장식수형부(260)가 형성되고,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에 양측오목벽(151)이 형성되고,
    양측오목벽(151)들의 단부에 연이어지는 전방오목벽(152)이 형성되고,
    장식수형부(260)의 양측에는 헬멧암형부(150)의 양측오목벽(151)에 지지되는 양측볼록벽(261)이 형성되고,
    양측볼록벽(261)들의 단부에 연이어져서 헬멧암형부(150)의 전방오목벽(152)에 지지되는 전방볼록벽(262)이 형성되고,
    헬멧본체(100)의 헬멧암형부(150)에 장식부재(200)의 장식수형부(260)가 삽입되어서 지지되는 과정이 먼저 이루어짐에 따라, 장식부재(200)를 헬멧본체(100)에 장착하는 과정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고,
    헬멧본체(100)의 전방에는 추가 장식부재(300)가 장착되는 장착홀(140)이 형성되고,
    헬멧본체(100)의 후방에는 추가 장식부재(300)가 보관되는 보관홀(160)이 형성되고,
    추가 장식부재(300)에는 장착홀(140)이나 보관홀(160)에 삽입되어서 장착되는 장착핀(301)이 형성되고,
    장식부재(200)에는 헬멧본체(100)의 보관홀(160)이 노출되도록 노출홀(270)이 형성되고,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결합되면 노출홀(270)이 보관홀(160)에 일치되므로, 노출홀(270)을 통해 추가 장식부재(300)의 장착핀(201)이 노출홀(270)을 통과하여서 보관홀(160)에 장착되고,
    보관홀(160)들을 포위하는 단차(161)가 형성되고,
    노출홀(270)은 둘레를 따라 결합턱(271)이 형성되고,
    노출홀(270)이 보관홀(160)들에 일치하는 상태에서 장식부재(200)가 헬멧본체(100)에 가압되면, 결합턱(271)이 단차(161)에 강제로 삽입되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을 갖는 헬멧.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30087140A 2023-07-05 2023-07-05 장식을 갖는 헬멧 KR1026386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140A KR102638684B1 (ko) 2023-07-05 2023-07-05 장식을 갖는 헬멧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140A KR102638684B1 (ko) 2023-07-05 2023-07-05 장식을 갖는 헬멧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684B1 true KR102638684B1 (ko) 2024-02-21

Family

ID=88778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140A KR102638684B1 (ko) 2023-07-05 2023-07-05 장식을 갖는 헬멧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68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717A (ja) * 1998-01-22 1999-08-10 Ogk Hanbai Kk ヘルメット装置
US20150250249A1 (en) * 2014-03-07 2015-09-10 Bell Sports, Inc. Multi-body helmet construction with sheild mounting
KR20180002295U (ko) * 2017-01-19 2018-07-27 더블유알씨 주식회사 블루투스 자전거용 헬멧
KR102003201B1 (ko) * 2018-02-12 2019-07-25 김윤호 외피 탈부착식 헬멧
CN113397264A (zh) * 2021-07-24 2021-09-17 常州高翎未来科技有限公司 头盔上壳体、头盔主壳体和头盔
JP2021147731A (ja) * 2020-03-19 2021-09-2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717A (ja) * 1998-01-22 1999-08-10 Ogk Hanbai Kk ヘルメット装置
US20150250249A1 (en) * 2014-03-07 2015-09-10 Bell Sports, Inc. Multi-body helmet construction with sheild mounting
KR20180002295U (ko) * 2017-01-19 2018-07-27 더블유알씨 주식회사 블루투스 자전거용 헬멧
KR102003201B1 (ko) * 2018-02-12 2019-07-25 김윤호 외피 탈부착식 헬멧
JP2021147731A (ja) * 2020-03-19 2021-09-27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
CN113397264A (zh) * 2021-07-24 2021-09-17 常州高翎未来科技有限公司 头盔上壳体、头盔主壳体和头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5480B2 (en) Facemask affixed to a baseball cap
US6880176B2 (en) Headgear
CN102370285B (zh) 改进型运动安全头盔
US5555570A (en) Bicycle helmet face shield apparatus and method
US10219577B1 (en) Integrated fit and retention system
US7243378B2 (en) Modular helmet
EP1714569B1 (en) Bicycle helmet
US7168095B2 (en) Face protector and method of use
US6044495A (en) Detachable visor cover for baseball caps
US6243881B1 (en) Helmet cover system
CA2734593C (en) Occipital stabilization strap for helmets
US20190269193A1 (en) Foldable Safety Helmet
US7069601B1 (en) Head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US20070192946A1 (en) Face protector and method of use
CA2181853A1 (en) Protective headgear and abutment plate thereof
EP0391904A1 (en) Headgear and method to produce the headgear.
US5718004A (en) Equestrian helmet
JP2011513134A (ja) 特にオートバイライダのための調整可能な頚部保護用カラー
US20130340149A1 (en) Detachable protective helmet shield and helmet
US20160029734A1 (en) Facemask and facemask system
KR102638684B1 (ko) 장식을 갖는 헬멧
US4991235A (en) Novelty hat
US5911315A (en) Bicycle helmet and strap adapter
KR200462392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US20040010839A1 (en) Cap type h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