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407B1 -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 Google Patents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407B1
KR102638407B1 KR1020230078156A KR20230078156A KR102638407B1 KR 102638407 B1 KR102638407 B1 KR 102638407B1 KR 1020230078156 A KR1020230078156 A KR 1020230078156A KR 20230078156 A KR20230078156 A KR 20230078156A KR 102638407 B1 KR102638407 B1 KR 102638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main body
main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1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손효수
Original Assignee
손효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효수 filed Critical 손효수
Priority to KR1020230078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4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4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63/00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63/14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 A01B63/16Lifting or adjust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implements drawn by animals or tractors with wheels adjustable relatively to the fram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89/00Pick-ups for loaders, chaff-cutters, balers, field-threshers, or the like, i.e. attachments for picking-up hay or the like field cro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체의 프레임 일측에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기체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을 더 설치하여 바퀴가 습윤 상태의 연약지반으로부터 서서히 침식되거나 함몰된 지표면으로 진입하여 이동에 제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stalls an elevating means that can move the aircraft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ground surface on one side of the frame of the aircraft, so that the wheels gradually erode from wet soft ground or enter the sunken ground surface, thereby preventing movement. It relates to agricultural machinery equipped with a means of lifting and lowering.

Description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본 발명은 건초를 수거할 때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하여 농기계의 외부측 바닥면이 지표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체의 프레임 일측에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기체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수단을 더 설치하여 바퀴가 습윤 상태의 연약지반으로부터 서서히 침식되거나 함몰된 지표면으로 진입하여 이동에 제약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machine equipped with lifting means that can prevent the outer floor of the agricultural machine from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by adjusting the height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when collecting hay, and more specifically, to the frame of the aircraft. An elevating means that can move the aircraft up and down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is further installed on one side to prevent the wheels from entering the ground surface that is gradually eroded or caved in from wet soft ground and causing restrictions in movement. This is about the equipped agricultural machinery.

일반적으로 농기계 중 하나인 베일러는 트랙터와 같은 농기계의 후방에 연결되어 견인되면서, 예초 되어 지표면에 나열되거나 비산 되어 있는 건초(볏짚이나 사료용 초목 등)를 수거하여 원통 형상의 더미(Stack)로 만드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나아가 더미의 외부에 랩으로 밀봉하여 수분이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랩핑 기능을 병행할 수 있는 기술이 추가될 수 있다.In general, a baler, which is one of the agricultural machines, is connected to the rear of an agricultural machine such as a tractor and towed, and collects hay (rice straw, feed plants, etc.) that has been mowed or scattered on the ground and turns it into a cylindrical stack. It is a device that performs. Furthermore, technology can be added that can combine the wrapping function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by sealing the outside of the pile with a wrap.

종래의 베일러는 한 쌍의 바퀴를 장착한 본체의 일측에 트랙터와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 장치가 형성되고, 본체에 건초를 더미로 만들기 위해 지표면으로부터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로 구성된다. 본체에 장착된 집초부는 수거된 건초를 원통형상의 더미로 만들 수 있는 장치이며, 원통 형상의 더미의 외부에 랩 등으로 밀몽 시키는 포장수단을 더 구성할 수 있다. A conventional baler has a connector devi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tractor on one side of a main body equipped with a pair of wheels, and a hay unit that collects hay from the ground surface to make a pile of hay in the main body. The hay hay unit mounted on the main body is a device that can turn the collected hay into a cylindrical pile, and can further comprise a packaging means to pack the hay with a wrap or the like on the outside of the cylindrical pile.

이러한 종래의 베일러는 집초부가 지표면으로부터 건초를 수집해야 하기 때문에 지표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는데,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서, 집초부가 지표면에 닿아 건초의 원활한 수집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this conventional baler, the hay unit is placed adjacent to the ground surface because the hay unit must collect hay from the ground surface. However,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a problem arises in which the hay unit touches the ground surface, preventing smooth collection of hay.

또한, 논이나 밭 등에 수분을 다량으로 포함하고 있는 연약지반을 베일러가 이동하는 경우 서서히 바퀴가 침식되는 현상으로 인해 베일러 본체의 외부측 바닥면이 지표면과 접촉되고, 진흙 등이 본체의 바닥면에 부착되면서 베일러 자체의 무게가 증가되어 베일러와 연결된 트랙터에 부하가 작용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when the baler moves on soft ground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moisture such as a rice paddy or field, the outer bottom surface of the baler bod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due to the gradual erosion of the wheels, and mud etc. is deposi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s it was attached, the weight of the baler itself increased, causing problems such as putting a load on the tractor connected to the baler.

따라서,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대응이 가능하여 바퀴가 연약지반에 쉽게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퀴가 침식된 상태에서도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베일러 본체의 상하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농기계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spon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preventing the wheel from easily falling into soft ground, and the baler body can be moved up and down so that the wheel can be easily separated even in an eroded state, improving workabilit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machinery devices is necessary.

1. 등록특허공보 제10-1440272호 '견인식 농작업기' (등록일자 2014.09.04)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440272 ‘Towed agricultural machine’ (registration date 2014.09.04) 2. 등록특허공보 제10-1280239호 '농업용 콤비 베일러' (등록일자 2013.06.25)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280239 ‘Agricultural Combi Baler’ (registration date 2013.06.2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논, 밭 등에서 습윤 상태의 연약지반에 바퀴가 서서히 침식되거나 함몰된 지표면에 바퀴가 진입하여 이동 불가 상태인 경우 지표면의 함몰된 부분으로부터 바퀴가 쉽게 벗어날 수 있도록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hen the wheel gradually erodes into wet soft ground in a rice field, field, etc. or enters a depressed ground surface and is unable to move, the wheel is moved from the depressed part of the ground surf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gricultural machinery equipped with means of elevating and lowering for easy escape.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는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되는 승강수단(200); 상기 본체(100)의 선단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구동휠(3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표면에 위치한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400); 및 상기 승강수단(400)의 측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횔(500);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수단(400)은 상기 본체(100)를 지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gricultural machinery equipped with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Elevating means 20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n auxiliary drive wheel 300 installed to rotate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0; A hay unit 4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ollect hay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and a main wheel 500 mounted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means 400 and rotating, wherein the elevating means 400 selectively separates the main body 100 from the ground surface.

본 발명의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메인고정대(210); 상기 메인고정대(22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220);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230)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30); 일측단이 상기 회전축(2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단에 상기 메인휠(500)이 설치되는 한 쌍의 휠고정대(240); 일측이 상기 브라켓(2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휠고정대(240)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견인부(2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fting means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fixture 21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pair of brackets 2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ixture 220; A rotating shaft 230 whose both ends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end of the pair of brackets 230 and rotates; A pair of wheel fixtures 24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230, and the main wheel 500 installed on the other end; A traction unit 250 that has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220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heel holder 240 to rotate the bracket 220 about the rotation axis 230;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본 발명의 상기 브라켓(220)은 일측이 상기 메인고정대(210)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221); 상기 제1 플레이트(221)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되는 축하우징(222-1)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222); 상기 제2 플레이트(22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250)의 일측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견인부지지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racket 22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late 221 whose one side is fixed to the main fixture 210; A second plate (222) fixed to a side of the first plate (221) and including a shaft housing (222-1) at one end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230) pass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raction unit support 22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222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to rotate.

본 발명의 상기 휠고정대(240)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2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로드(241); 상기 제1 로드(24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끝단에 상기 메인휠(500)이 연결되는 제2 로드(242); 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로드(242)에는 상기 견인부(250)의 연결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각조절부(242-1)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heel fixture 24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rod 241,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230; a second rod 242 extending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241 and having the main wheel 500 connected to its end; Including, the second rod 242 is characterized in that a rotation angle adjustment part 242-1 that can selec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raction part 250 is further formed.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제1 로드(24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제1 결합바(241-1);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230)의 다른 외측 일부를 감싸는 제2 결합바(241-2);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핀(241-3); 을 포함한다.In addition, at one end of the first rod 24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first coupling bar 241-1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230; a second coupling bar (241-2) that is symmetrica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surrounds another outer portion of the rotation axis (230); Penetrating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Spacing adjustment pin (241-3); Includes.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제2 로드(242)에는 상기 메인휠(500)과 결합되는 휠샤프트(2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휠샤프트(260)는 고정축(261); 상기 고정축(261)의 일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휠(500)과 연결되는 휠허브(262);를 더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second rod 242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formed with a wheel shaft 260 coupled to the main wheel 500, and the wheel shaft 260 includes a fixed shaft 261; It further includes a wheel hub 262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one end of the fixed shaft 261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wheel 500.

본 발명은 벼 등의 농작물의 수확을 위해 습윤 상태의 연약지반으로 메인휠이 진입하여 서서히 침식되거나, 지표면에 함몰된 부분으로 메인휠이 진입하여 지표면과 본체의 바닥면이 접촉하는 경우 승강수단이 본체를 상승시켜 연약지반과 함몰된 지표면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for the purpose of harvesting crops such as rice, when the main wheel enters soft ground in a wet state and gradually erodes, or when the main wheel enters a depression in the ground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contacts the ground surface, the lifting means is us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escape from soft ground and sunken surfaces by raising the main body.

또한, 본 발명은 지표면의 상태와 작업의 종류에 따라 본체의 바닥면과 지표면의 높이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본체 바닥면의 부식 및 파손 및 흙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and adjust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ground surface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and the type of work, thereby preventing corrosion and damag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attachment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dirt. There are advantages to this.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과 본 발명의 농기계를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작동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측면에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using the agricultural machin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diagram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gricultural machine equipped with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모습과 본 발명의 농기계를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에 관한 것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작동되는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승강수단이 작동되는 모습을 측면에 나타낸 도면이고, 도 5 및 도 6 은 본 발명의 승강수단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shows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embodiment of using the agricultural machine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peration. This relates to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And Figure 4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s 5 and 6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lif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농촌에서 콤바인, 인력 등으로 추수한 이후 논이나 밭 등에 있는 볏집, 건초 등을 수거하고, 일정한 형태로 압축, 포장한 후 배출시키기 위한 농기계에 승강수단이 더 장착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agricultural machine further equipped with a lifting means for collecting rice straw, hay, etc. from rice fields or fields after harvesting with a combine or manpower in rural areas, compressing and packaging them in a certain form, and then discharging them.

이러한 본 발명은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본체(100), 승강수단(200), 보조구동휠(300), 집초부(400) 및 메인휠(50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0, an elevating means 200, an auxiliary drive wheel 300, a collecting unit 400, and a main wheel 500.

본체(100)는 공지된 건초를 수거하기 위한 베일러(baler), 집초기에 해당할 수 있다. 본체(100)의 내부에는 건초를 수집하는 집초부(400), 수집된 건초를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이송된 건초를 압축하는 압축장치 및 압축된 건초를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가 구비되어 있다.The main body 100 may correspond to a known baler or mower for collecting hay.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collecting unit 400 for collecting hay, a transport device for transporting the collected hay, a compression device for compressing the transported hay, and a packaging device for packaging the compressed hay.

집초부(400)는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하로 이동하면서 지표면에 위치한 건초를 수거한다. 본체(100)는 트랙터(10) 등의 본체(100)를 견인할 수 있는 장비의 후단에 연결되어 트랙터(10)의 동력으로 이동하는 추진력을 제공받는다. 그리고, 본체(100)의 일측에는 트랙터(10) 등과 연결될 수 있는 연결대와 견인고리 등의 부속장비가 더 형성될 수 있다. The hay unit 40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moves up and down to collect hay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The main body 100 is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equipment capable of towing the main body 100, such as a tractor 10, and is provided with a propulsive force to move with the power of the tractor 10. In addition, auxiliary equipment such as a connecting rod and tow hook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tractor 10, etc. may be further form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그리고, 본체(100)의 선단측에는 보조구동휠(300)이 더 구비된다. 보조구동휠(300)은 회전될 수 있는 소형바퀴 형상을 가지며, 집초부(400)의 하단이 지표면에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집초부(400)를 지표면과 소정간격 이격시키되, 지표면과 이격되는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And, an auxiliary drive wheel 300 is further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0. The auxiliary drive wheel 300 has the shape of a small wheel that can be rotated, and prevents the lower end of the grass picker 400 from completely contacting the ground surface. That is, the purpose is to space the collecting unit 4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and maintain the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at a constant distance.

도 1 및 도 2 를 참조하면 본체(100)의 하면에는 승강수단(200)이 더 형성된다. 승강수단(200)은 본체(100)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면 본체(100)가 논이나 밭 등을 이동할 때, 습윤 상태의 연약지반을 통과하는 경우나 함몰된 지표면을 이동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때, 메인휠(500)이 연약지반을 통과하면서 서서히 침식되거나, 함몰된 지표면에 빠지게 되면서 본체(100)의 하면이 지표면과 접촉되면서 본체(100)에 충격이 가해진다. 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lifting means 200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elevating means 200 is a means to space the main body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For example, when the main body 100 moves through a rice field or field, it may pass through wet soft ground or move through a sunken ground surface. At this time, as the main wheel 500 passes through soft ground, it gradually erodes or falls into a sunken ground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causing an impact to the main body 100.

또한, 본체(100)의 바닥면과 측면 등에 습윤 상태의 흙 등이 부착되면서 본체(100) 자체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연약지반에 점점 더 침식되는 현상 및 본체(100)를 견인하는 트랙터(10)에 높은 부하를 발생시키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In addition, as wet soil, etc. adheres to the bottom and sides of the main body 100, the self-load of the main body 100 increases, causing the soft ground to gradually erode, and the tractor 10 towing the main body 100 Various problems occurred, such as high loa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승강수단(200)이 구비되며, 승강수단(200)은 본체(100)를 지표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다.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is problem, an elevating means 200 is provided, and the elevating means 200 can space the main body 100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ground surface.

승강수단(200)에는 메인휠(50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승강수단(200)이 메인휠(500)과 본체(100)의 상호간에 간격을 조절해줌으로써 본체(100)의 하면과 지표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A main wheel 500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elevating means 200, and the elevating means 200 adjusts the gap between the main wheel 500 and the main body 100 to separate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from the ground surface. The spacing can be adjusted.

메인휠(500)은 승강수단(200)의 측면에 장착하여 무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승강수단(200)의 구동은 사용자에 의해 제어됨에 따라 본체(100)를 지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The main wheel 500 is mounted on the side of the lifting means 200 so that it can rotate without power. And, as the driving of the lifting means 200 is controlled by the user, the main body 100 can be selectively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승강수단(200)은 메인고정대(210), 브라켓(220), 회전축(230) 및 휠고정대(240)와 견인부(250)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lifting means 200 further includes a main fixture 210, a bracket 220, a rotating shaft 230, a wheel fixture 240, and a traction unit 250.

메인고정대(210)는 본체(100)의 하면에 고정설치된다. 메인고정대(210)는 본체(100)의 일측 측면에서 타측 측면을 가로지르며 연장되는 메인고정바(211)와 메인고정바(211)의 길이방향의 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메인고정바(211)와 수직을 이루는 다수의 보조지지바(212)를 포함한다. The main fixture 21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main fixing bar 210 is spac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longitudinal side of the main fixing bar 211 and the main fixing bar 211 extending across the other side from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fixing bar 211 ) and a plurality of auxiliary support bars 212 perpendicular to it.

메인고정바(211)와 보조지지바(212)는 본체(100)의 하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보조지지바(212)가 메인고정바(211)와 수직을 이루면서 승강수단(200)이 본체(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본체(100)가 기울어질 때 본체(100)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The main fixing bar 211 and the auxiliary support bar 212 can be firmly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is tilted through the process of the elevating means 200 raising or lowering the main body 100 while the auxiliary support bar 212 is perpendicular to the main fixing bar 211,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body 100 can provide stable support.

브라켓(220)은 상호 대칭을 이루는 한 쌍으로 구성된다. 브라켓(220)은 메인고정대(210)의 양측 측면에 각각 고정되면서 메인고정대(210)와 한 몸을 이룬다. The bracket 220 consists of a pair that is mutually symmetrical. The bracket 22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main fixture 210 and forms one body with the main fixture 210.

회전축(230)은 메인고정바(211)와 동일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회전축(230)은 메인고정바(21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때 회전축(230)의 양단은 한 쌍의 브라켓(230)의 일측단에 각각 고정된다. 각각의 브라켓(230)의 일측이 회전축(230)에 결합되면서 브라켓(230)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술하도록 한다.The rotation axis 230 extends in the same longitudinal direction as the main fixing bar 211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the rotation axis 230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in fixing bar 211.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rotation axis 230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end of a pair of brackets 230. As one side of each bracket 230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230, the bracket 230 can rotate in a circle around the rotation axis 230. An explanation for this will be provided below.

휠고정대(240)는 일측단이 회전축(2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면서 회전축(23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다. 휠고정대(230)의 타측에는 메인휠(500)이 장착된다.The wheel fixer 240 can rotate integrally with the rotation shaft 230 while having one end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230. The main wheel 50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wheel fixture 230.

견인부(250)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 액츄에이터 등 길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에 해당한다. 그리고 견인부(250)의 일측단은 브라켓(220)에 회전되도록 결합되고, 타측단 또한 휠고정대(240)에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견인부(250)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브라켓(220)을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본체(100)의 후단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도 3 참조) 견인부(250)의 구동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The traction unit 250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whose length can be variably adjusted, such as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or actuator. And one end of the traction unit 25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220, and the other end is also rotatably coupled to the wheel holder 240. As the length of the traction unit 250 is adjusted, the height of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100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bracket 220 around the rotation axis 230 (see FIG. 3). The driving of the traction unit 250 is Users can selectively control it.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브라켓(220)은 제1 플레이트(221), 제2 플레이트(222) 및 견인부지지대(223)를 포함한다.2 and 3, the bracket 220 includes a first plate 221, a second plate 222, and a traction support bar 223.

제1 플레이트(221)는 일측단이 메인고정대(210)의 측면에 고정되어 상면이 본체(100)의 하면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게 제1 플레이트(221)의 상면은 본체(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인접한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plate 221 is fixed to the side of the main fixture 210 and the upper surface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Preferably,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late 221 may be seated on the lower surface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in body 100.

이어서 제2 플레이트(222)는 제1 플레이트(221)의 측면과 연결되며, 일면이 본체(100)의 좌우측 가장자리와 인접한 측면부분에 안착되도록 제1 플레이트(22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Next, the second plate 222 is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first plate 221, and can be erected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first plate 221 so that one side is seated on the side portion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edges of the main body 100. .

그리고 제2 플레이트(222)의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230)이 관통되도록 링 형상을 이루는 축하우징(222-1)이 더 형성된다. 축하우징(222-1)에 회전축(230)이 관통되면서 브라켓(220)은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축하우징(222-1)과 회전축(230) 사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베어링 등이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And at one end of the second plate 222, a ring-shaped shaft housing 222-1 is further formed so that the rotation axis 230 passes through it. As the rotation axis 230 penetrates the shaft housing 222-1, the bracket 220 can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230. Bearings to reduce friction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between the shaft housing 222-1 and the rotating shaft 230.

견인부지지대(223)는 제2 플레이트(222)의 타측에 형성된다. 견인부지지대(223)에는 견인부(250)의 일측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며, 바람직하게 힌지결합될 수 있다. 견인부지지대(223)는 견인부(250)가 연결되는 부분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견인부(250)의 일측을 감싸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traction support 223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222.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is coupled to the traction unit support 223 so that it can be rotated, and may preferably be hinged. The traction unit support 223 is preferably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to prevent damage to the portion where the traction unit 250 is connected.

도 2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휠고정대(240)는 제1 로드(241), 제2 로드(242)를 포함한다. 제1 로드(241)는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측이 회전축(230)의 단부가 끼워지도록 삽입공(241-1)이 더 형성된다. 삽입공(241-1)에 회전축(230)이 억지끼움되거나 회전축(230)의 외측면과 삽입공(241-1)의 내측면이 상호 밀착되면서 제1 로드(241)는 회전축(230)과 한 몸을 이룰 수 있다.2 to 4, the wheel fixture 240 includes a first rod 241 and a second rod 242. The first rod 241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insertion hole 241-1 is further formed on one side so that the end of the rotation shaft 230 is inserted. The rotation shaft 230 is pressed into the insertion hole 241-1, or the outer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23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 241-1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first rod 241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230. We can form one body.

제2 로드(242)는 제1 로드(24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되, 제1 로드(241)가 연장방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 로드(242)의 끝단에 메인휠(500)이 회전되도록 연결된다.The second rod 242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241 and extends in a direction that inters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od 241 extends. And, the main wheel 50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cond rod 242 so as to rotate.

[실시예 1][Example 1]

도 5 를 참조하면 제2 로드(242)에는 견인부(250)의 연결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각조절부(24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회전각조절부(242-1)는 다수의 체결공(242-1h)이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부분을 말한다. 회전각조절부(242-1)의 체결공에는 제2 로드(242)를 관통하는 체결핀이 삽입되고, 체결핀이 견인부(250)의 타측을 관통하면서 견인부(250)의 타측은 제2 로드(242)에 연결된 상태에서 체결핀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수의 체결공 중 어느 하나의 체결공에 견인부(250)의 타측이 체결되는데, 이때, 견인부(250)의 타측이 결합되는 위치가 조절되면서 본체(100)와 메인휠(500)의 이격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rod 242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angle adjusting portion 242-1 that can selec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raction portion 250. The rotation angle adjustment unit 242-1 refers to a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242-1h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fastening pin penetrating the second rod 242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of the rotation angle adjusting unit 242-1, and while the fastening pin penetrates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is 2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fastening pin while connected to the rod 242.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is fasten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t this time, the position where the other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is coupled is adjusted and the separation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main wheel 500 is adjusted. The spacing can be adjusted.

예를 들어 도 5 의 (a)를 기준으로 먼저 다수의 체결공 중 회전축(230)과 인접한 위치의 체결공에 견인부(250)가 결합된다. 이후 견인부(250)의 길이가 늘어나면 브라켓(220)은 소정의 회전반경을 그리며 회전한다. For example, based on (a) of FIG. 5 , the traction unit 250 is first coupled to a fastening hole located adjacent to the rotation axis 230 among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Afterwards, when the length of the traction unit 250 increases, the bracket 220 rotat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반면에, 도 5 의 (b)를 기준으로 이웃한 다른 체결공에 견인부(250)가 결합된 상태에서 견인부(250)의 길이가 늘어나면 브라켓(220)이 회전되는 회전반경이 작아진다. (여기서 견인부(250)가 늘어나는 길이는 동일하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traction part 250 is coupled to another fastening hole adjacent to FIG. 5 (b), if the length of the traction part 250 increases, the radius of rotation at which the bracket 220 rotates decreases. . (Here, the length that the traction part 250 extends is the same.)

따라서, 도 5 의 (a)에 도시된 제2 로드(242)와 본체(100)의 하면의 간격(h1)은 도 5 의 (b)에 도시된 제2 로드(242)와 본체(100)의 하면의 간격(h2) 큰 값을 갖는다.Therefore, the gap h1 between the lower surfaces of the second rod 242 and the main body 100 shown in (a) of FIG. 5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d 242 and the main body 100 shown in (b) of FIG. The spacing (h2) of the lower surface has a large value.

[실시예 2][Example 2]

도 6 을 참조하면 제1 로드(241)의 일측 단부에는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바(241-1)는 회전축(230)의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제1 로드(241)의 일측 단부에서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결합바(241-2)는 제1 결합바(241-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제1 로드(241)의 일측 단부로부터 소정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제2 결합바(241-2)는 회전축(230)의 다른 외측 일부를 감싸도록 제1 결합바(241-1)와 대칭을 이룬다. 따라서, 제1 및 제2 결합바(241-1,241-2)를 통해 제1 로드(241)를 회전축(230)에 결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a first coupling bar 241-1 and a second coupling bar 241-2 may be further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rod 241. The first coupling bar 241-1 is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length from one end of the first rod 241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230.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bar 24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protrudes from one end of the first rod 241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is symmetrical to the first coupling bar 241-1 so as to surround the other outer portion of the rotation axis 230. Accordingly, the first rod 241 can be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230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241-1 and 241-2.

이때,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를 관통하여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여 휠고정대(240)를 회전축(230)에 고정/해제시키는 간격조절핀(241-3)이 더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is adjusted by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A spacing adjustment pin 241-3 is further formed to fix/unlock the wheel fixer 240 to the rotation axis 230.

견인부(250)의 작동에 의해 브라켓(220)이 회전되려면 휠고정대(240)는 회전축(2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휠고정대(240)가 본체(100)의 하면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회전반경을 조절할 수 있으면 휠고정대(240)의 끝단에 메인휠(500)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견인부(250)가 작동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본체(100)와 지표면의 이격 간격을 조절해줄 수 있다. 또한, 유지보수 및 정비가 용이해질 수 있다.In order for the bracket 220 to be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traction unit 250, the wheel fixer 240 must remain fixed to the rotation axis 230. However, if the wheel fixture 240 can adjust the rotation radius to get closer to or awa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he traction unit 250 operates because the main wheel 50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wheel fixture 240. In the initial stat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main body 100 and the ground surface can be adjusted. Additionally, maintenance and servicing may become easier.

도 2 도 3 및 도 6 을 참조하면 제2 로드(242)에는 메인휠(500)과 결합되는 휠샤프트(260)가 더 형성된다. 휠샤프트(260)는 고정축(261), 휠허브(262)를 포함한다. 고정축(261)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일측단이 제2 로드(242)의 끝단에 결합된다. 고정축(261)의 타측단에 휠허브(262)가 장착된다. 고정축(261)과 휠허브(262) 사이에는 베어링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휠허브(262)의 일측면에는 다수의 체결볼트(262-1)가 돌출 형성되고, 체결볼트(262-1)에 메인휠(500)이 체결되면서 휠허브(262)와 메인휠(500)은 상호 결합된다. 메인휠(500)과 마주보는 휠허브(262)의 일면에는 결합턱(262-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메인휠(500)의 내측면에는 결합턱(262-2)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면서, 메인휠(500)은 체결볼트(262-1)와 결합턱(262-2)의 구성으로 인해 휠허브(26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2, 3, and 6, a wheel shaft 260 coupled to the main wheel 500 is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rod 242. The wheel shaft 260 includes a fixed shaft 261 and a wheel hub 262. The fixed shaft 261 extend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one e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rod 242. A wheel hub 262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fixed shaft 261. Additional bearings, etc.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xed shaft 261 and the wheel hub 262. A plurality of fastening bolts 262-1 ar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wheel hub 262, and the main wheel 500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lts 262-1, thereby connecting the wheel hub 262 and the main wheel 5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A coupling jaw 262-2 is formed to protrude on one surface of the wheel hub 262 facing the main wheel 500. In addition, a space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wheel 500 into which the coupling jaw 262-2 can be inserted, and the main wheel 500 is connected to the fastening bolt 262-1 and the coupling jaw 262-2. Due to its configuration, it can be firmly fixed to the wheel hub 262.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본체(100)의 바닥면과 지표면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바닥면의 부식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지표면의 상태에 따라 적절하게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집초부(400)의 연속적인 건조수집이 수행될 수 있고, 본체(100)가 연약지반과 함몰된 지표면으로부터 쉽게 벗어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is configuration can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bottom surface and the ground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preventing corrosion and damage to the bottom surface,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main body 100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ground surface. can be adjusted, so that continuous dry collection of the weeding unit 400 can be perform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in body 100 can easily escape from soft ground and sunken ground surfaces.

100 : 본체 200 : 승강수단
300 : 보조구동휠 400 : 집초부
500 : 메인휠
100: Main body 200: Elevating means
300: Auxiliary drive wheel 400: House starter
500: main wheel

Claims (6)

본체(100);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100)를 지표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이격시키는 승강수단(200);
상기 본체(100)의 선단측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보조구동휠(300);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표면에 위치한 건초를 수거하는 집초부(400); 및
상기 승강수단(200)의 측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메인휠(500);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수단(200)은 상기 본체(100)의 하면에 고정되는 메인고정대(210);
상기 메인고정대(2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220);
양단이 상기 한 쌍의 브라켓(230)의 일단에 각각 고정되어 회전하는 회전축(230);
일측단이 상기 회전축(230)의 양단에 각각 고정되고, 타측단에 상기 메인휠(500)이 설치되는 한 쌍의 휠고정대(240);
일측이 상기 브라켓(22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휠고정대(240)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브라켓(220)을 상기 회전축(23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견인부(250); 를 포함하며,
상기 휠고정대(240)는 일측이 상기 회전축(23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로드(241);
상기 제1 로드(24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견인부(250)의 연결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회전각조절부(242-1)가 더 형성되며, 끝단에 상기 메인휠(500)이 연결되는 제2 로드(242); 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로드(241)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230)의 외측 일부를 감싸는 제1 결합바(241-1);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대칭을 이루고, 상기 회전축(230)의 다른 외측 일부를 감싸는 제2 결합바(241-2);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를 관통하여 상기 제1 결합바(241-1)와 제2 결합바(241-2)의 이격된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휠고정대(240)를 상기 회전축(230)에 고정/해제시키는 간격조절핀(24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
main body (100);
Elevating means 200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to selectively space the main body 100 from the ground surface;
An auxiliary drive wheel 300 installed to rotate 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100;
A hay unit 400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collect hay located on the ground surface; and
It includes a main wheel (500) mounted on the side of the elevating means (200) and rotating,
The lifting means 200 includes a main fixture 210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A pair of brackets 220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fixture 210;
A rotating shaft 230, both ends of which are respectively fixed to one end of the pair of brackets 230 and rotated;
A pair of wheel fixtures 240,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tion shaft 230, and the main wheel 500 of the other end of which is installed;
A traction unit 250 that has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220 and the other side rotatably connected to the wheel holder 240 to rotate the bracket 220 about the rotation axis 230; Includes,
The wheel fixture 240 includes a first rod 241 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an end of the rotation shaft 230;
It extends from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241, and a rotation angle adjustment part 242-1 that can select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traction part 250 is further formed, and the main wheel 500 is connected to the end. a second load 242; Including,
At one end of the first rod 241 is a first coupling bar 241-1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outer side of the rotation shaft 230;
a second coupling bar (241-2) that is symmetrical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surrounds another outer portion of the rotation axis (230);
By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bar (241-1) and the second coupling bar (241-2) is adjusted. A spacing adjustment pin (241-3) for fixing/unlocking the wheel fixer 240 to the rotation shaft 230; Agricultural machinery equipped with eleva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20)은
일측이 상기 메인고정대(210)에 고정되는 제1 플레이트(221);
상기 제1 플레이트(221)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측단부에 상기 회전축(230)이 관통되는 축하우징(222-1)을 포함하는 제2 플레이트(222);
상기 제2 플레이트(22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견인부(250)의 일측이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견인부지지대(22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racket 220 is
A first plate 221 on one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main fixture 210;
A second plate (222) fixed to a side of the first plate (221) and including a shaft housing (222-1) at one end through which the rotation shaft (230) passes.
Agricultural machinery provided with a lif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traction unit support 223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plate 222 and coupled to one side of the traction unit 250 to rota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드(242)에는 상기 메인휠(500)과 결합되는 휠샤프트(2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휠샤프트(260)는 고정축(261);
상기 고정축(261)의 일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메인휠(500)과 연결되는 휠허브(2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농기계.
According to claim 1,
A wheel shaft 260 coupled to the main wheel 500 is further formed on the second rod 242,
The wheel shaft 260 includes a fixed shaft 261;
Agricultural machinery equipped with lifting mean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wheel hub 262 that is installed to rotate on one end of the fixed shaft 261 and is connected to the main wheel 500.
KR1020230078156A 2023-06-19 2023-06-19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KR1026384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156A KR102638407B1 (en) 2023-06-19 2023-06-19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156A KR102638407B1 (en) 2023-06-19 2023-06-19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8407B1 true KR102638407B1 (en) 2024-02-20

Family

ID=90056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156A KR102638407B1 (en) 2023-06-19 2023-06-19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407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93A (en) * 2002-07-22 2004-01-31 칠성농기계 주식회사 Trailer up and down device of tractor
KR101054606B1 (en) * 2010-11-15 2011-08-04 안경철 A hiller easy of adjust high and low of ridge
KR101280239B1 (en) 2011-03-23 2013-07-05 주식회사 아세아텍 A combination baler
KR101440272B1 (en) 2007-06-22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타 Agricultural Machine That Is Tracted
KR20150144110A (en) * 2014-06-16 2015-12-24 주식회사 명성 Dual-wheel assembly for baler
KR20160068129A (en) * 2014-12-04 2016-06-15 (주)서원농축산 Bal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093A (en) * 2002-07-22 2004-01-31 칠성농기계 주식회사 Trailer up and down device of tractor
KR101440272B1 (en) 2007-06-22 2014-09-17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스타 Agricultural Machine That Is Tracted
KR101054606B1 (en) * 2010-11-15 2011-08-04 안경철 A hiller easy of adjust high and low of ridge
KR101280239B1 (en) 2011-03-23 2013-07-05 주식회사 아세아텍 A combination baler
KR20150144110A (en) * 2014-06-16 2015-12-24 주식회사 명성 Dual-wheel assembly for baler
KR20160068129A (en) * 2014-12-04 2016-06-15 (주)서원농축산 Bal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6417B2 (en) Bale processor
US20180103587A1 (en) Windrow merging apparatus
US8820758B2 (en) Additional axle for agricultural machine weight redistribution
RU2441770C2 (en) Coupling joint with guide member
US7165384B1 (en) Crop picking head with road travel support device
KR102638407B1 (en) Agricultural machinery with a lifting device
US7197864B2 (en) Transport arrangement for a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a detachable front attachment
KR101018288B1 (en) Hay rake mounted in front of working vehicle
CN216722164U (en) Big square bundle bundling machine of towed pickup system
KR102471983B1 (en) A collection type bulb crop extractor for tractors
CN107969222B (en) Harvester
KR101869468B1 (en) Agricultural baler with height adjustable function
KR101440272B1 (en) Agricultural Machine That Is Tracted
CA2487635C (en) Bale processor
JP3505666B2 (en) Lawn mower
JP7121972B2 (en) agricultural machine
CA2530109C (en) Crop picking head with road travel support device
CA2442595C (en) Bale processor
KR101869467B1 (en) Agricultural baler with horizontal control device
JP3847206B2 (en) Stand configuration of single-axle walking type agricultural work vehicle
JP3967983B2 (en) Combine harvester
JP3511079B2 (en) Lawn mower
AU2002317070A1 (en) Bale processor
CA2441678A1 (en) Bale processor
JPS592247B2 (en) Riding grass harve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