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40B1 -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40B1
KR102638240B1 KR1020210156963A KR20210156963A KR102638240B1 KR 102638240 B1 KR102638240 B1 KR 102638240B1 KR 1020210156963 A KR1020210156963 A KR 1020210156963A KR 20210156963 A KR20210156963 A KR 20210156963A KR 102638240 B1 KR102638240 B1 KR 102638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lamp
gas
battery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915A (ko
Inventor
김민아
Original Assignee
김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아 filed Critical 김민아
Priority to KR1020210156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40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8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means for in situ recharging of the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following a pre-assigned programmed sequence; Logic control [L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감지 기능이 별도로 겸비되어 다양한 작업 환경에 사용할 수 있고 가스로 인한 질식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제1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밀폐 상황에서 질식사고를 유발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비상알림을 출력하는 버저;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1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작업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하는 제1램프와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대피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제2램프가 구비되는 발광모듈;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홀더; 및 상기 연결홀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연결홀더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부로 파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Work lighting apparatus with gas detection function}
본 발명은 어둡고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밝은 빛을 제공하여 원활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 내부, 탱크 내부, 선박 선창 내부, 집수조 등과 같이 외부와의 단절로 인해 내부가 밀폐된 밀폐 작업장에서는 공기의 유입 및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산소의 부족으로 인한 질식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밀폐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질식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대책과 장비가 마련됨에도 불구하고 질식 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가 쉽게 줄어들지 않고 있다.
여기서 질식 재해의 다양한 발생 원인 중에서도 밀폐 작업장에서 작업하기 전과 작업하는 중에 가스 측정을 수행하지 않는 등의 안전 수칙 미준수가 가장 큰 발생 원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질식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구비된 가스 측정 장치를 상시 휴대하여 작업하기 전과 작업하는 중에 가스 측정을 반드시 수행하면 질식 재해로 인한 사망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다.
한편 밀폐 작업장은 대부분 좁고 어두운 환경임에 따라 작업자는 작업용 조명 장치를 소지하여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면 작업용 조명 장치에 가스 측정 기능을 위한 구조를 적용하면 작업 전과 중에 가스 측정을 수행해야 하는 안전 수칙을 자연스럽게 준수할 수 있으므로 질식 재해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하여 작업용 조명 장치에 각종 유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하는 가스 측정 기능을 추가한 다기능 작업용 조명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본체에 작업을 위해 사용하는 작업용 램프, 유해가스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유해가스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을 위해 사용하는 비상용 램프 및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배터리 등이 포함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본체가 작업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형태만을 가지거나 작업자가 수부에 파지 가능한 형태만을 가짐에 따라 작업장 환경에 맞추어 어느 하나만을 미리 선택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다양한 작업장 환경을 위해 사용 형태가 다른 것들을 모두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가스 감지 기능을 가진 작업용 조명 장치는 한 개의 배터리가 단독으로 구비되고 배터리로부터 작업용 램프와 비상용 램프에 각각 공급되는 전기에너지가 서로 구분되지 않아 장시간 작업으로 인해 배터리가 방전된 상태가 되면 가스센서와 비상용 램프의 사용이 불가능하여 비상 상황을 대비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171493호, 2020.10.29.자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면서 본 발명의 목적에 충분히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제1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밀폐 상황에서 질식사고를 유발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비상알림을 출력하는 버저;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1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작업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하는 제1램프와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대피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제2램프가 구비되는 발광모듈;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홀더; 및 상기 연결홀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연결홀더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부로 파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체와 발광모듈이 연결모듈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모듈에 손잡이가 분리 가능하여 설치되어 본체와 발광모듈을 일체로 연결한 손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와 발광모듈을 서로 분리한 작업등 형태나 안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모듈에 작업을 위한 제1램프와 비상 상황을 위한 제2램프가 각각 구비되고 본체에 가스센서와 버저와 함께 제1램프와 제2램프와 가스센서 및 버저에 전력을 공급하는 제1배터리가 구비되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제1램프에 전력을 인가되도록 제어됨에 따라 비상 상황시 제2램프와 가스센서 및 버저의 작동을 보장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제1램프에 전력을 추가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손잡이에 제2배터리가 내장됨에 따라 비상 상황시 제1램프를 이용한 손전등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모듈과 본체이 연결모듈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결모듈의 관절 구조에 의해 발광모듈이 상하 및 좌우 각도 조절 가능함에 따라 손전등 형태로 사용시 발광모듈의 배광 각도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장을 밝게 비춰 작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연결모듈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과 연결모듈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이 좌우 각도 조절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발광모듈이 상하 각도 조절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의 본체와 발광모듈 및 손잡이가 분리된 상태를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작업등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안전등 형태로 사용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어둡고 밀폐된 장소에서 작업을 수행할 때 밝은 빛을 제공하여 원활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는 원활한 작업을 보장하여 작업 효율을 높일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제기능을 발휘하여 질식 재해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큰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은 작업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변형 사용 가능하여 단독 구비에도 다양한 작업 환경에 적응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상시 전원과 비상 전원을 서로 구분하여 비상시 가스 감지 기능과 비상 상황 알림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는 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100)는 도 1 내지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가스센서(20), 버저(30), 발광모듈(40), 연결홀더(50) 및 손잡이(60)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형태를 가지고 내부에 외부 전원을 통해 충전이 가능한 제1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스센서(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밀폐 상태의 작업장에서 일정시간 작업할 때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스들의 농도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센서(20)는 대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O2)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1가스센서(21), 황화수소(H2S)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2가스센서(22), 일산화탄소(C0)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3가스센서(23), 가연성 가스(LEL)의 농도를 측정하는 제4가스센서(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센서(2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버저(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밀폐 상태의 작업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가스센서(20)에서 측정된 가스들의 농도 중에서 어느 하나의 가스의 농도가 기설정된 위험농도 이상일 때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즉, 버저(30)는 밀폐 상태에서 질식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가스의 농도가 위험농도 이상을 때 사용자가 작업장을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비상알람을 자동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버저(30)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모듈(40)은 밀폐 상태인 어두운 작업장에서 사용자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발광하거나 작업장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비상 상황이 발생할 때 자동으로 작동하여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모듈(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1)과, 케이싱(41)의 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여 발광하는 제1램프(42)와, 케이싱(41)의 일면에 노출되게 설치되고 가스센서(20)에서 측정된 도중에 가스들의 농도 중의 어느 하나가 위험농도 이상일 때 사용자에게 비상 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자동으로 작동하여 발광하는 제2램프(43)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에 내장된 제1배터리의 전력이 제1램프(42)와 제2램프(43)로 인가 가능하도록 제1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45)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램프(42)와 제2램프(43)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전원제어회로(미도시)를 통해 제1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단, 제1램프(42)는 작업용 램프로서 전체 무게를 경량화하고 비상 상황을 대비하며 가스센서(20)의 정확도와 수명 등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기설정된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발광 가능하도록 전원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는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되고 컷오프용량 미만을 때는 제2램프(43)만이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제1배터리의 컷오프용량이라 함은 비상 상황시 버저(30)가 1회 비상알람을 출력 가능함과 동시에 대략 30분간 비상알람을 연속으로 출력 가능하고 제2램프(43)가 대략 30분간 발광 가능하며 가스센서(20)가 최대 2시간 작동 가능하게 하는 전력의 총량과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제1배터리가 완충 상태에서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으로 될 때까지의 용량은 통상 4시간 작업 후에 1~2시간 휴식하는 작업일정을 고려하여 제1램프(42)가 적어도 4시간 이상 작동 가능한 전력의 총량과 대응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에 기초하여 가스센서(20)와 제1램프(42)를 작동시키기 위한 제1배터리의 용량을 복수 개의 LED를 통해 불빛의 색상과 개수로 각각 구분하여 표시하는 제1잔량표시램프(12)와 제2잔량표시램프(13)가 본체(1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누름 조작에 따라 제1램프(42)를 온오프되도록 제어하는 조작스위치(11)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발광모듈(40)은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램프(42)는 실시예에 따라 작업 조명으로 적합한 황색이나 백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2램프(43)는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데 적합한 적색의 빛을 발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모듈(40)은 작업 수행시 황색이나 백색의 빛을 효과적으로 발광하면서 비상 상황시 적색의 빛을 효과적으로 발광할 수 있도록 제1램프(42)와 제2램프(43)가 각각 복수 개로 구성되면서 케이싱(41)의 전면에 상하 3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램프(42)는 복수 개가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열과 제3열에 각각 배치될 수 있고, 제2램프(43)는 복수 개가 좌우로 일정간격을 두고 제1열과 제3열의 사이인 제2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발광모듈(40)은 작업장의 내부 전체를 밝게 비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비상 상황을 신속하게 확실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발광모듈(40)은 실시예에 따라 총 6개로 구성되어 본체(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좌측에 상하 3열과 우측에 상하 3열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연결홀더(50)와 손잡이(60)는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연결 사용 가능하도록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할 수 있다.
즉, 연결홀더(50)는 복수 개의 발광모듈(40)을 본체(10)의 일측에 일체로 연결 가능하게 하고 손잡이(60)는 연결홀더(50)의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에 따라 본체(10)와 발광모듈(40)가 일체로 연결되어 손전등과 같은 형태로 수부로 파지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홀더(5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과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51)와, 홀더몸체(51)의 일측에 형성되어 홀더몸체(51)의 결합에 따라 손잡이(60)의 단부를 삽입 구속하여 연결하는 구속단(52)과, 홀더몸체(51)의 타측 일면에 형성되어 본체(10)의 일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53)을 매개로 고정되는 밀착고정단(54)과, 홀더몸체(51)의 타측 타면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회동암(55)과, 좌우회동암(55)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고 일측에 힌지봉(56)이 상하 2열로 설치되는 연결대(57)와, 힌지봉(56)을 매개로 연결대(57)에 상하 3열로 설치되고 발광모듈(40)이 각각 탈착되는 복수 개의 탈착구(58)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좌우회동암(55)이 홀더몸체(51)의 타면에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탈착구(58)가 힌지봉(56)을 매개로 연결대(57)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부로 파지 가능하도록 외주면이 둥근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홀더몸체(51)의 단부에 구비된 구속단(53)을 매개로 홀더몸체(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연결홀더(50)는 발광모듈(40)을 좌우회동암(55)과 연결대(57)와 탈착구(58)를 통해 좌우 2열 및 상하 3열로 배열된 상태로 본체(10)와 연결하여 손전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구(58)가 좌우회동암(55)과 힌지봉(56)에 의해 좌우 및 상하로 회전 가능함에 따라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모듈(40)의 배광각도를 좌우 및 상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업시 작업장 전체를 밝게 비춰 편리한 작업을 보장할 수 뿐만 아니라 비상 상황시 대피 경로를 밝게 비춰 신속한 대피를 보장할 수 있다.
한편 탈착구(58)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봉(5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하회동암(581)과, 상하회동암(581)의 단부에 고정되는 수용관(582)과, 수용관(582)의 일단과 타단 내측에 각각 일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봉(583)과, 슬라이딩봉(583)의 타단에 형성되는 쐐기 형상의 걸림단(584)과, 수용관(582)의 양단 내측에 삽입되어 걸림단(584)이 수용관(582)의 양단 외부로 탄발되게 지지하는 탄성부재(585)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모듈(40)의 후면 양측에는 걸림단(584)이 탄성부재(585)에 의해 수용관(582)의 양단 외부로 탄발된 상태에서 걸림 고정되는 걸림홈(4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40)은 걸림단(584)이 걸림홈(48)에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림단(584)을 누름 조작하면 걸림단(584)이 걸림홈(48)으로부터 걸림 해제되면서 탈착구(58)에서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모듈(40)을 탈착구(58)에서 분리하고 본체(10)를 홀더몸체(51)에서 분리하여 홀더몸체(51)와 손잡이(60)를 사용하지 않고 도 9와 같이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제1케이블(45)로만 연결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에 발광모듈(40)과 본체(10)를 거치하여 작업등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밸트에 발광모듈(40)과 본체(10)를 거치하여 안전등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체(10)와 발광모듈(40)에는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 또는 안전밸트에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미도시)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단, 거치수단은 걸리식으로 거치되도록 걸고리 형태를 가지거나 자력에 의해 자착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홀더몸체(51)와 손잡이(60) 없이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사용할 때 발광모듈(40)을 본체(10)를 중심에 두고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제1케이블(45)은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케이블(45)은 우측 열 중의 어느 하나의 발광모듈(40) 한 개와 좌측 열 중의 어느 하나의 발광모듈(40) 한 개를 각각 본체(10)와 병열로 연결하는 제1a케이블(451)과, 좌측 열에 위치한 발광모듈(40)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b케이블(452)과, 우측 열에 위치한 발광모듈(40)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c케이블(453)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모듈(40)은 제1a케이블(451)과 제1b케이블(452)과 제1c케이블(453)을 통해 본체(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거치 가능함에 따라 작업등 형태나 안전등 형태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손잡이(60)는 연결홀더(50)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연결홀더(50)의 일측 분리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손잡이(60)는 본체(10)와 발광모듈(40)을 연결홀더(50)를 통해 일체로 연결하여 손전등 형태로 사용할 때 사용자가 수부로 파지할 수 있도록 홀더몸체(51)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손잡이(60)의 내부에는 제2배터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배터리는 본체(10)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2케이블(62)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램프(4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단, 제2배터리는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제1램프(4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전원제어회로에 의해 제1램프(42)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잡이(60)의 일면에는 제2배터리의 전력이 제1램프(42)에 공급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사용자가 누름 조작하는 전원스위치(6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60)에는 제2배터리의 잔류 용량을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제2배터리의 잔류 용량에 따른 전기적 신호를 서로 다른 색상의 컬러빛으로 발광하는 3색(RGB) LED(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단, 3색 LED의 컬러빛이 손잡이(60)의 외부로 확실하게 표출되도록 전원스위치(61)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3색 LED의 컬러빛이 전원스위치(61)를 투과하여 외부로 비춰지도록 손잡이(60)의 내부에는 손잡이(6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곡선 형상의 확산판(미도시)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10)에 내장되어 가스센서(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가스 측정값을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와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및 관제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면서 가스 측정값에 따라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비상상황임을 알리는 비상신호와 함께 사용자의 휴대단말기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관리자의 휴대단말기 및 관제서버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해 통신모듈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10: 본체
11: 조작스위치
12: 제1잔량표시램프
13: 제2잔량표시램프
20: 가스센서
21: 제1가스센서
22: 제2가스센서
23: 제3가스센서
24: 제4가스센서
30: 버저
40: 발광모듈
41: 케이싱
42: 제1램프
43: 제2램프
45: 제1케이블
451: 제1a케이블
452: 제1b케이블
453: 제1c케이블
46: 걸림홈
50: 연결홀더
51: 홀더몸체
52: 구속단
53: 체결수단
54: 밀착고정단
55: 좌우회동암
56: 힌지봉
57: 연결대
58: 탈착구
581: 상하회동암
582: 수용관
583: 슬라이딩봉
584: 걸림단
585: 탄성부재
60: 손잡이
61: 전원스위치
62: 제2케이블

Claims (7)

  1. 제1배터리가 내부에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밀폐 상황에서 질식사고를 유발하는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가스센서;
    상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비상 상황임을 알리기 위해 비상알림을 출력하는 버저;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1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전원으로 작동하며 작업을 위해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발광하는 제1램프와 상기 가스센서에서 감지된 가스의 농도에 따라 대피상황임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하는 제2램프가 구비되는 발광모듈;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을 분리 가능하게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홀더; 및
    상기 연결홀더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기 연결홀더의 일측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부로 파지 가능한 형태를 가지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홀더는
    일측과 타측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결합에 따라 상기 손잡이의 단부를 삽입 구속하여 연결하는 구속단과,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일면이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수단을 매개로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밀착고정단과, 상기 홀더몸체의 타측 타면 양측에 각각 좌우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좌우회동암과, 상기 좌우회동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고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힌지봉이 구비되는 연결대와, 상기 힌지봉에 각각 상하로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탈착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램프는
    상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기설정된 컷오프용량 이상일 때만 발광 가능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본체와는 전원 및 제어를 위해 제2케이블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배터리의 잔류 용량이 상기 컷오프용량 미만일 때 상기 제1램프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제2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발광모듈을 상기 본체를 중심으로 상기 본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 가능하도록 우측 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모듈 한 개와 좌측 열 중 어느 하나의 상기 발광모듈 한 개를 각각 상기 본체와 병열로 연결하는 제1a케이블과, 좌측 열에 위치한 상기 발광모듈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b케이블과, 우측 열에 위치한 상기 발광모듈을 차례대로 직렬 연결하는 제1c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손잡이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본체와 상기 발광모듈과 상기 손잡이가 상기 연결홀더로부터 모두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체에 착용하는 안전밸트 또는 작업장의 천장이나 벽면 또는 작업장의 구조물에 거치하여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거치수단;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모듈은
    상기 제1램프와 상기 제2램프가 서로 다른 색상의 빛을 발광하고, 상기 제1램프와 상기 제2램프가 상하 3열로 배치되며, 제1열과 제3열에 상기 제1램프가 배치되고 나머지 제2열에 상기 제2램프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KR1020210156963A 2021-11-15 2021-11-15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KR102638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ko) 2021-11-15 2021-11-15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ko) 2021-11-15 2021-11-15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15A KR20230070915A (ko) 2023-05-23
KR102638240B1 true KR102638240B1 (ko) 2024-02-16

Family

ID=8654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963A KR102638240B1 (ko) 2021-11-15 2021-11-15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824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58B1 (ko)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8930A (ko) * 2007-07-19 2009-01-22 (주)맨 텍 화재감지 휴대용 손전등
KR200489213Y1 (ko) * 2017-09-08 2019-05-16 (주)삼정물산 탈착식 조명장치가 구비된 안전모
KR102171493B1 (ko) 2019-01-17 2020-10-29 문수진 Iot 기반 라인형 스마트led 장치를 갖춘 안전 작업 조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958B1 (ko) 2017-03-06 2019-03-07 (주)더원엘이디 캠핑용 엘이디 랜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915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751B1 (ko) 다기능 안전모 및 이를 이용한 작업 안전시스템
KR101039416B1 (ko) 휴대형 가스 경보장치
WO2018124422A1 (ko) 다용도 재난안전용 랜턴
KR102638240B1 (ko) 가스 감지 기능을 겸비한 작업용 조명 장치
KR20190093380A (ko) 안전 기구함
US8919979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hose attachment to enhance visibility, communication, atmospheric monitoring, early detection and warning for fire fighter scene safety and method therefor
KR200454894Y1 (ko) 다기능 연기투시 랜턴
CN113876063A (zh) 一种多功能反光衣
KR20110070312A (ko) 이동식 가스 경보 유니트
US8297820B2 (en) Light-pipe based identification and location signaling light
GB2527758A (en) Wearable safety sensor
WO2019164075A1 (ko) 화학 멸균 인디케이터 판독 모듈
CN217213089U (zh) 一种水陆漏电定位搜救管控箱
CN205512571U (zh) 多功能安全矿灯帽
CN210665603U (zh) 安全带挂点检测及信号发送装置
ES2334163T3 (es) Sistema de control de nivel.
TWM480129U (zh) 緊急指示燈裝置
CN217908021U (zh) 一种低光照灾害事故用的检伤分类工具
CN213021721U (zh) 一种电力调度运维报警装置
JP2023158685A (ja) 照明器具
CN214585739U (zh) 一种配电网线损检测装置
CN214585245U (zh) 气体检测照明仪以及带有气体检测照明仪的头灯
CN217695326U (zh) 多功能反光上衣
KR20210042489A (ko) 웨어러블형 안전 상태 알림 및 관리 장치
CN221014269U (zh) 一种智能灭火救援盾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