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231B1 -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231B1
KR102638231B1 KR1020210182073A KR20210182073A KR102638231B1 KR 102638231 B1 KR102638231 B1 KR 102638231B1 KR 1020210182073 A KR1020210182073 A KR 1020210182073A KR 20210182073 A KR20210182073 A KR 20210182073A KR 102638231 B1 KR102638231 B1 KR 1026382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brick
receiving groove
bricks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2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2565A (ko
Inventor
김궁언
Original Assignee
김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영 filed Critical 김은영
Priority to KR1020210182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231B1/ko
Priority to PCT/KR2022/020472 priority patent/WO2023113503A1/ko
Publication of KR2023009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2565A/ko
Priority to KR1020230195825A priority patent/KR20240004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2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5U-shaped, e.g.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부에 시멘트를 이용하여 조적하는 치장용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에 의한 제작이 가능한 새로운 치장용 벽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Extrudable bri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건물의 내외부에 시멘트를 이용하여 조적하는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출에 의한 제작이 가능한 새로운 치장용 벽돌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벽돌은 대부분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모르타르를 이용하여 조적하게 된다. 조적 과정에서 모르타르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으면, 벽돌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이 때문에, 모르타르를 이용한 벽돌의 조적은 모르타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숙련공에 의해서 시공되어야 한다. 또한, 숙련공이라 할지라도 벽돌의 높이가 맞춰져 조적되고 있는지를 수시로 확인해야 하므로, 벽돌을 조적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는 벽돌 조적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벽돌 한 장당 가격보다 벽돌 한장당 조적비가 더 많이 소요된다. 이로 인해 벽돌 조적을 이용한 외장 마감은 뛰어난 심미감에도 불구하고 널리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7145호에서는 실내 장식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지 않고, 벽돌만 조적해서 벽면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개시된다. 이 문헌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의 일측에 돌출부(2)가 형성되고 타측에 홈(3)이 형성된 벽돌이 개시된다. 이러한 벽돌은 쉽게 조적할 수 있지만, 조적 후 벽돌들이 상호 밀착되어 벽돌 사이에 몰탈 줄눈을 형성할 수 없어서, 벽돌로 시공된 벽면 고유의 미감을 나타내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약간의 진동에 의해서도 무너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8-0072275호에서 도 2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과 같이,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101);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된 하부 돌기들과(102);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좌우 측면에서 각각 돌출되며, 수평 조적시 인접한 다른 벽돌의 좌우 돌기와 부딪히지 않도록 어긋나게 돌출되는 좌우 측면 돌기(10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100)을 제시한바 있다.
이러한 벽돌은 단순 조적에 의해서 상하 간격과 좌우 간격이 맞춰지게 되므로, 빈틈에 몰탈을 투입할 경우, 고도의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쉽게 벽돌 치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효과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상하 좌우에서 돌출되는 돌출부로 인해 벽돌 제조를 위해서 벽돌 재료를 금형 내부에 충진하고 한 장씩 찍어서 만들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제조 방식은 벽돌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서 생산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킨다. 또한, 상하 좌우 간격은 쉽게 조절할 수 있지만, 벽돌을 반듯하게 일렬로 정렬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출 형태로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전문적인 조적 기술이 없이 쉽게 조적할 수 있는 새로운 벽돌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출 형태로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전문적인 조적 기술이 없이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벽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압출 형태로 연속 생산이 가능하고, 또한 전문적인 조적 기술이 없이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벽돌을 이용하여 치장된 실내 또는 실외 벽면을 가지는 건축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용어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는 직육면체에서 가장 긴 4 변의 길이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높이'는 직육면체에서 가장 짧은 4변의 길이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폭'은 직육면체에서 높이와 길이 사이의 4변의 길이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은 직육면체에서 길이를 따라서 연장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 제1 측면'은 직육면체에서 폭과 높이를 이루는 변들로 이루어진 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 제2 측면'은 길이 방향 제1 측면과 대향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길이 방향 양 측면'은 길이 방향 제1 측면과 길이 방향 제2 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면'은 직육면체에서 길이와 폭을 이루는 변들로 이루어진 측면 중 상부측에 위치한 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면'은 상면에 대향하는 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폭 방향 일 측면'은 직육면체에서 길이와 높이를 이루는 변들로 이루어진 측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폭 방향 양 측면'은 직육면체에서 길이와 높이를 이루는 변들로 이루어진 대향하는 두 측면을 의미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소정의 폭과 길이와 높이(또는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1 측면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2 측면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 및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하 이격 부재 수용 홈들과;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 일측면 또는 폭 방향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벽돌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 있어서,
소정의 폭과 길이와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1 측면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2 측면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 및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하 이격 부재 수용 홈들과; 및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 일측면 또는 폭 방향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을 가지며, 상하 좌우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조적된 벽돌들과,
상기 상하 이격 부재 수용홈들에 삽입되어 벽돌의 상하 간격을 유지하는 상하 이격 부재들과, 및
상기 벽돌들 사이에 충진되어 벽돌들을 고정하는 줄눈재를 포함하는 벽돌 장식면을 제공한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에 있어서, 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는 압출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벽돌의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를 가지며,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제1 돌기와 상기 제2 돌기의 단면은 삼각형, 바람직하게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돌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양 측면에 형성되는 제1 돌기 수용홈과 제2 돌기 수용 홈은 압출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벽돌의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이어지는 트렌치 형태의 홈일 수 있으며,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돌기 수용홈의 단면은 V자형 단면을 가지는 홈일수 있으며, 상기 V 홈을 이루는 경사면 사이의 각도는 50~75°일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V 홈에 인접하는 다른 벽돌의 돌기들이 인입되고, 이에 따라, V 홈의 깊이에 따라 벽돌 사이의 이격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는 상하 이격 부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이격 부재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격 부재 수용 홈은 압출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동일한 단면을 가지면서 벽돌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홀 형태의 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 수용 홈은 소정 직경의 원형 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길이 방향 양 측면에서 동일한 거리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림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 수용 홈은 길이 방향을 따라서 2 줄로 균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돌은 조적에 의해서 별도의 기술이 없이 일렬로 조적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 양 측면의 제1 돌기와 제2 돌기 수용홈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또한, 제1 돌기 수용홈과 제2 돌기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폭방향 일측면 또는 폭방향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은 압출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벽돌의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이어지는 트렌치 형태의 홈일 수 있으며, 제1 돌기 수용홈 및 제2 돌기 수용홈과 동일한 형상과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격부재는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이격돌기와 상기 이격 돌기와 일체를 이루는 소정 높이의 수평 이격 몸체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격 부재는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수직하는 이격 돌기와, 상기 수직하는 이격 돌기와 일체를 이루면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막대형 이격 몸체를 가지는 상하 이격 부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ㄱ'자형 또는 'T'자형 구조의 상하 이격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격부재는 상하 이격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동시에 인접하는 벽돌 및/또는 벽면과의 상호 고정력을 높일 수 있도록, 벽돌의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수직하는 제1 이격 돌기와, 상기 수직하는 제1 이격 돌기와 일체를 이루면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막대형 이격 몸체와, 상기 막대형 이격 몸체의 말단에 형성되어 인접하는 벽돌의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제2 이격 돌기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ㄷ'자를 세워놓은 형태, 일 예로, '' 형 이격 부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이격 부재를 이루는 이격 몸체의 상부는 상부면에 몰탈이 묻어서 상하 이격 수치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엣지라인을 가지는 막대형 이격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상기 '' 형 이격 부재는 제1 이격 돌기는 벽돌의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이격 돌기는 벽면에 고정된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벽돌이 조적된 벽돌면이 벽면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돌들은 제1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다른 벽돌의 제2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또 다른 벽돌의 제1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일렬로 조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제1 돌기는 인접하여 조적되는 다른 벽돌의 제2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상기 벽돌의 제2 돌기는 인접하여 조적되는 또 다른 벽돌의 제1 돌기수용홈에 삽입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돌들은 제1 돌기의 끝단이 직각으로 인접하는 다른 벽돌의 제3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또 다른 벽돌의 제1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직각 방향으로 조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벽돌들은 제1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다른 벽돌의 제2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또 다른 벽돌의 제1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조적되어 하단을 이루며, 인접하는 벽돌의 상면에 '' 형 상하 이격 부재들이 삽입되어 인접하는 벽돌들을 결속하면서, 상하 이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하 이격 부재들이 인접하는 벽돌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이격 부재들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몰탈이 충진된 후, 벽돌들은 제1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다른 벽돌의 제2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고, 제2 돌기의 끝단이 인접하는 또 다른 벽돌의 제1 돌기 수용홈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서 길게 조적되어 하단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단계를 반복하여 벽돌로 이루어진 벽돌면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소정의 폭과 길이와 두께(또는 높이)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1 측면은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와,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2 측면은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와,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의 상면은 상하 이격 부재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상하 이격 부재 수용 홈과,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 일 측면 또는 폭 방향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을 가지는 벽돌의 단면에 상응하는 압출용 홀을 가지는 금형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금형을 통해서 벽돌재료를 압출하는 단계;
상기 압출된 벽돌 재료를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단계; 및
절단된 벽돌 재료를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벽돌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별도의 숙련 과정없이 조적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생산시 압출 공정을 이용할 수 있어서, 생산성이 높다는 제조 공정상의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상하 이격 부재를 이용해서 상하 이격 간격을 조정하면서 벽돌 간의 결속력과 벽면과의 결속력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돌은 벽돌면을 직선을 따라서 쉽게 조적할 수 있으며, 직각을 이루는 두 벽돌면을 쉽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벽돌의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따른 벽돌의 측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벽돌을을 일열로 배열한 상태의 평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이 일렬로 배열된 벽돌들을 상하로 조적하여 벽돌면을 형성한 상태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의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격부재 및 그 치수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 8a는 정면도이며, 도 8b는 측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단순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9b는 상하 이격 부재를 삽입한 상태를 측단면 형태로 도시하여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개의 벽돌을 일렬로 배열하고, 상하 이격부재로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개의 벽돌을 일렬로 배열하고 이를 상하로 조적한 치장 벽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러 개의 벽돌을 직각으로 배열하고, 상하 이격 부재로 연결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벽돌을 벽면에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벽돌 압출용 금형의 정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벽돌을 제조해서 벽면을 쌓는 형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돌(10)은 소정의 길이(L)와 폭(W)과 높이(H)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100)를 가진다.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1 측면(101)에는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111)가 형성되고,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112)가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2 측면(102)에는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21)가 형성되고,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12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폭 방향의 제3 측면(103)에는 동일한 간격으로 제3 돌기 수용 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는 상하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이격부재 수용홈(140)들이 형성된다. 상기 이격 부재 수용홈(140)은 몸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홀이며, 원형 단면을 이루는 원통형 홀이며, 벽돌(1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2 줄로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1 측면(101)에서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111) 및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2 측면(102)에서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121)는 압출에 의한 생산이 가능하도록 벽돌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동일한 단면을 가지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돌기이며, 제1 돌기(111)의 단면을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과 제2 돌기(112)의 단면을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은 실질적으로 합동을 이룬다.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1 측면(101)에서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112) 및 상기 몸체부(100)의 길이 방향 제2 측면(102)에서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122)은 정삼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트렌치형 홈이며, 트렌치형 제1 돌기 수용홈(112)의 단면을 이루는 이등변삼각형과 트렌치형 제2 돌기 수용홈(122)의 단면을 이루는 이등변 삼각형 또한 실질적으로 합동을 이룬다.
상기 몸체부(100)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111)의 끝단은 타측에 형성되는 제2 돌기 수용홈(122)와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며, 일측에 형성된 제1 돌기 수용홈(112)은 타측에 형성된 제2 돌기(121)의 끝단과 동일 직선상에 위치한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의 몸체부는 기존의 벽돌 규격을 따르며, 길이는 150 ~ 300mm, 폭은 50~130 mm, 높이는 40~8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길이는 200 mm, 폭은 100 mm, 높이는 60 mm이다.
제1 돌기(111)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돌기이며, 돌출길이는 20~3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7 mm이다. 상기 제1 돌기 수용홈(112)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홈이며, 깊이는 2~1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mm 이다. 제2 돌기(121)도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돌기이며, 돌출길이는 동일하게 20~3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7 mm이다. 상기 제2 돌기 수용홈 (122)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홈이며, 깊이는 2~1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mm 이다.
상기 제3 돌기 수용홈(132)은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홈이며, 깊이는 2~10 mm 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5 mm 이며, 제1 돌기 수용홈(112) 및 제2 돌기 수용홈(122)와 동일한 형태와 치수를 가진다.
상기 제3 돌기 수용홈(132)는 치장면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폭 방향 일 측면에만 형성되었지만, 필요에 따라 폭 방향 양측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격 부재 수용홈(140)은 원형 홀이며 그 지름은 15~25 mm 이며, 예를 들어, 20 mm 이고, 사이의 간격은 25~40 mm, 예를 들어, 30 mm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이격 부재(150)는 전체적으로 'ㄷ'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 형 이격 부재이며, 이격 부재 수용홈(140)에 삽입되는 수직하는 제1 이격 돌기(151)와, 상기 수직하는 제1 이격 돌기(15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막대형 이격 몸체(152)와, 상기 막대형 이격 몸체(152)의 말단에서 하향 연장되는 제2 이격 돌기(15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대형 이격 몸체(152)는 직사각형 단면의 하부 이격 몸체부(152')와 삼각형 단면의 상부 이격 몸체(152")로 이루어진다. 상기 막대형 이격 몸체(152)의 상부는 날카로운 선을 이루게 되므로, 몰탈이 덮히더라도 쉽게 닦아낼 수 있어서, 상하 이격 치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들이 인접하여 배치되면, 벽돌(10)의 제1 돌기(111)는 인접하는 벽돌(10')의 제2 돌기 수용홈(122')에 끝단이 삽입되고, 벽돌(10)의 제1 돌기 수용홈(112)에는 인접하는 벽돌(10')의 제2 돌기(121')의 끝단이 삽입되어, 벽돌(10)과 인접하는 벽돌(10')은 돌기의 돌출길이와 돌기 수용홈의 깊이의 차이에 해당되는 거리만큼 상호 이격된다.
또한,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과 인접하는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에는 상하 이격 부재(150)의 막대형 이격 몸체(152)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제1 이격돌기(151)와 제2 이격돌기(153)이 각각 삽입되어, 벽돌(10)과 인접하는 벽돌(10')을 상호 결속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들이 인접해서 연속으로 배치되면, 벽돌(10)의 제1 돌기(111)는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는 인접하는 벽돌(10')의 제2 돌기 수용홈에 끝단이 삽입되고, 벽돌(10)의 제2 돌기(121)는 인접하는 다른 벽돌(10")의 제1 돌기 수용홈에 끝단이 삽입된다.
또한, 인접하는 벽돌(10')의 제2 돌기(121')의 끝단은 벽돌(10)의 제1 돌기 수용홈에는 삽입되고, 인접하는 다른 벽돌(10")의 제1 돌기(111")의 끝단은 벽돌(10)의 제2 돌기 수용홈에는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벽돌(10)들은 돌기와 인접하는 벽돌의 홈의 결합들에 의해서 별도의 기술 없이 일렬로 반듯하게 정렬된다.
또한,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과 인접하는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에는 상하 이격 부재(150)의 막대형 이격 몸체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이격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벽돌(10)과 인접하는 벽돌(10')을 상호 결속하며,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과 인접하는 다른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에는 상하 이격 부재(150)의 막대형 이격 몸체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제1 이격돌기와 제2 이격돌기가 각각 삽입되어, 벽돌(10)과 인접하는 다른 벽돌(10")을 상호 결속한다.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적된 벽돌면(1)은 상기와 같이 벽돌의 제1 돌기(111)와 제2 돌기(121)가 인접하는 두 벽돌의 제2 돌기 수용홈과 제1 돌기 수용홈에 각각 삽입하는 형태로 일렬로 조적시키고, 상하 이격 부재(150)로 결속시켜 제1단 벽돌층(1-1)을 구성한다. 벽돌 사이에는 몰탈(11)이 충진되고, 일렬로 조적된 벽돌들의 상부에는 상하 이격 부재(150)의 높이로 몰탈(11)이 쌓여진다.
다음, 몰탈(11)과 상하 이격 부재(150)로 이루어진 면에 벽돌들을 일렬로 쌓아서 제2 단 벽돌층(1-2)를 조적한다. 상하 이격 부재(150)의 높이로 몰탈(11)이 쌓여진다.
이를 반복하여 조적한 후, 최상단 벽돌층(1-n)을 조적할 때는 상하 이격 부재와 몰탈을 사용하지 않고 마무리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면(1)은 수평면에 이격 돌기 삽입홈을 가지는 수평면(411)과 상기 수평면에서 직각으로 절곡되어 벽면에 고정되는 수직면(412)을 가지는 벽돌 고정부(410)를 이용해서 벽면에 고정된다. 벽면(A)에 벽돌 고정부(410)의 수직면을 벽면(A)에 밀착시켜 고정하고,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과 벽돌 고정부(410)의 수평면(412)에 상하 이격 부재(150)의 막대형 이격 몸체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이격돌기들이 각각 삽입시켜, 조적된 치장 벽ㅁ면(1)을 벽면에 고정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10)들을 직각으로 조적할 경우, 벽돌(10)의 제1 돌기(111)는 직각으로 인접하는 벽돌(10')의 제3 돌기 수용홈에 끝단이 삽입된다. 벽돌(10)들이 동일한 위치에 제3 돌기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어, 직각 형태로 벽돌을 쉽게 조적하게 된다.
또한,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과 직각으로 인접하는 벽돌(10')의 이격 부재 수용홈(140')에는 상하 이격 부재(150)의 막대형 이격 몸체 양단에서 하향 돌출되는 이격돌기들이 각각 삽입되어, 벽돌(10)과 직각으로 인접하는 벽돌(10')을 상호 결속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돌을 위한 압출 금형(20)는 벽돌의 길이(L)와 폭(W)에 상응하는 직사각형의 몸체부용 압출홀(310)과,
상기 몸체부용 압출홀(310)의 길이 방향 제1 측면에서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용 압출홀(311)와,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 압출돌기(312)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용 압출홀(310)의 길이 방향 제2 측면은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용 압출홀(321)와,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 압출돌기(322)을 가지며,
상기 몸체부용 압출홀(310)의 중심부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하 이격 부재 수용 홈의 형성을 위해 고정봉(330)과,
상기 몸체부용 압출홀(310)의 일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 압출돌기(340)을 가지는 벽돌의 단면에 상응하는 압출용 홀(200)을 가진다.
압출 금형(20)을 통해서 압출된 압출물을 벽돌의 높이(H)에 해당하는 간격으로 절단하면 벽돌에 상응하는 벽돌 압출물이 형성되고, 이를 건조 또는 고온에서 굽게 되면, 단단한 강도를 가지는 벽돌이 제조된다.
상기 실시예가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상기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치환, 삭제, 정정, 및/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벽돌은 압출형태로 제조될 수 있지만, 필요에 따라 캐비티 형태의 금형을 이용해서 한 장씩 찍어내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진다.
1 : 벽돌면
10 : 벽돌
20 : 압출 금형
100 : 몸체부
101 : 길이방향 제1 측면
102 : 길이방향 제2 측면
103 ; 폭방향 제3 측면
104 : 상면
111 : 제1 돌기
112 : 제1 돌기 수용홈
121 : 제2 돌기
122 : 제2 돌기 수용홈
132 : 제3 돌기 수용홈
140 ; 이격 부재 수용홈
150 : 상하 이격 부재
200 : 벽돌 고정부
300 ; 압출용 홀

Claims (5)

  1. 소정의 폭과 길이와 높이(또는 두께)를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1 측면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돌기 및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1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 제1측면의 타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기 및 일측에서 길이 방향으로 인입되는 제2 돌기 수용홈과;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상하 이격 부재 수용홈들과;
    상기 몸체부의 폭 방향 일측면 또는 폭 방향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제3 돌기 수용홈;을 가지며,
    여기서,
    상기 직육면체 형태의 몸체부의 상면과 하면은 돌기가 없는 절단 평면이며,
    상기 제1돌기와 제2 돌기는 벽돌의 두께에 상응하는 두께를 가지며 서로 합동인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돌기이며,
    상기 제1 돌기 수용 홈과 제2 돌기 수용 홈과 제3 돌기 수용홈은 몸체부의 상면에서부터 하면까지 연장되며 이등변 삼각형 단면을 가지는 서로 합동인 트렌치형 수용홈이며,
    상기 제1 돌기와 제2 돌기의 돌출 길이가 상기 제1 돌기 수용홈, 제2 돌기 수용홈 및 제3 돌기 수용홈의 홈 깊이 보다 크게 형성되는 벽돌이며,
    상기 벽돌은 인접하는 벽돌과 상기 돌출 길이와 홈 깊이의 차이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하게 이격되어 조적되는 압출형 벽돌들과;
    상기 압출형 벽돌의 상하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는 ' ' 형 상하 이격 부재들과;
    길이 방향 및 상하 이격되어 조적되는 벽돌들 사이에 충진되는 몰탈; 및
    벽면에 고정되는 벽돌 고정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상하 이격 부재의 일측이 상하 이격 부재 수용홈에 삽입되고 타측이 벽돌 고정 부재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조적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82073A 2021-12-17 2021-12-17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638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73A KR102638231B1 (ko) 2021-12-17 2021-12-17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CT/KR2022/020472 WO2023113503A1 (ko) 2021-12-17 2022-12-15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230195825A KR20240004200A (ko) 2021-12-17 2023-12-28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2073A KR102638231B1 (ko) 2021-12-17 2021-12-17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825A Division KR20240004200A (ko) 2021-12-17 2023-12-28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2565A KR20230092565A (ko) 2023-06-26
KR102638231B1 true KR102638231B1 (ko) 2024-02-19

Family

ID=8677312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2073A KR102638231B1 (ko) 2021-12-17 2021-12-17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0230195825A KR20240004200A (ko) 2021-12-17 2023-12-28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5825A KR20240004200A (ko) 2021-12-17 2023-12-28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638231B1 (ko)
WO (1) WO2023113503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596A (ja) * 1999-04-07 2004-01-08 Nihon Kogyo Co Ltd 車椅子走行時の振動防止方法及び舗設用ブロック並びに舗設用ブロックの形成方法
US20140059965A1 (en) * 2012-08-30 2014-03-06 Douglas Edwards Double Locking Mortarless Block
KR101988839B1 (ko) * 2018-08-02 2019-09-30 황정식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8519Y1 (ko) * 2001-04-18 2001-10-11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조적블럭
KR20080025107A (ko) * 2008-02-28 2008-03-19 박철훈 개량형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508933B1 (ko) * 2015-01-28 2015-04-08 (주)종합건축사사무소그룹예성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연결장치
CN110847478A (zh) * 2019-10-15 2020-02-28 沈阳炳恒科技有限公司 一种应用于墙体内走线的竖向导通的保温砖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00596A (ja) * 1999-04-07 2004-01-08 Nihon Kogyo Co Ltd 車椅子走行時の振動防止方法及び舗設用ブロック並びに舗設用ブロックの形成方法
US20140059965A1 (en) * 2012-08-30 2014-03-06 Douglas Edwards Double Locking Mortarless Block
KR101988839B1 (ko) * 2018-08-02 2019-09-30 황정식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13503A1 (ko) 2023-06-22
KR20240004200A (ko) 2024-01-11
KR20230092565A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TW421688B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EP3692222B1 (en) Wall assembly with blocks for use in automated building construction
US20050252145A1 (en) Wall block system
US20090113835A1 (en) Interlocking Masonry Blocks
US3116570A (en) Brick
US20090113836A1 (en) Building Block
US6705057B2 (en) Modular block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MXPA06014208A (es) Sistema de construccion para construir estructuras planas.
KR102638231B1 (ko)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US9404255B1 (en) Light-in-weight concrete blocks and method
US7080827B1 (en) Stone fence
EP3059356B1 (en) Tool assembly comprising such a tool as well as a dry stacked wall of bricks comprising the tools
EP1380700A1 (en) Antislip brick particularly suitable for antiseismic constructions
CA3025394C (en) A device for connecting and separating masonry units
US2120742A (en) Tile or slab made from ceramic or like materials
JP7049692B2 (ja) 組積材の施工方法
US1468892A (en) Building brick, block and the like
US200700321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abilizing, Strengthening, and Reinforcing Block/Brick (CMU) Wall Construction
CN211690904U (zh) 一种建筑内隔墙体
KR102177790B1 (ko)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CN219080719U (zh) 一种新型多孔砖
AU2019101670A4 (en) Masonry structure
US1365825A (en) Hollow building-tile
US2371058A (en) Tile flo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