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839B1 -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839B1
KR101988839B1 KR1020180090244A KR20180090244A KR101988839B1 KR 101988839 B1 KR101988839 B1 KR 101988839B1 KR 1020180090244 A KR1020180090244 A KR 1020180090244A KR 20180090244 A KR20180090244 A KR 20180090244A KR 101988839 B1 KR101988839 B1 KR 101988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rick
vertical
masonry
bri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정식
Original Assignee
황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정식 filed Critical 황정식
Priority to KR1020180090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14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 E04B2/16Walls having cavities in, but not between, the elements, i.e. each cavity being enclosed by at least four sides forming part of one single element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9D1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C09D13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조적 시공이 이루어지는 벽돌 상호간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이루도록 하여 안정적인 조적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직 통공(11,11')이 형성된 벽돌(10,10')의 조적 작업시 사용되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20)에 있어서, 2개의 수직대(21)가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대(21)는 중단부에서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수직대(21)의 하부는 하부벽돌(10)의 통공(11)에 삽입되고, 수직대(21)의 상부는 상부벽돌(10')의 통공(11')에 삽입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CONNECTOR STRUCTURE FOR BRICK WALL}
본 발명은 벽돌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의 조적작업시 좌우 및 상하 벽돌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공사시 벽체를 시공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벽돌이 사용된다. 벽돌은 그 형태가 다양하지만 주로 사용되는 것은 직각 육면체 모양의 벽돌이며 그 재질에 있어서는 시멘트, 점토, 플라스틱, 나무 등이고, 시멘트 블록으로는 직육면체 모양에 가운데 구멍을 형성하여 경량화 등을 시도하고 있다.
상기 벽돌의 종류로는 보통 벽돌, 내화 벽돌, 특수 벽돌이 있으며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벽돌은 붉은 보통벽돌과 시멘트 벽돌이다.
한편, 종래의 벽돌은 조적 작업시에 정확한 위치에 정밀하게 조적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조금씩 조적위치가 어긋나게 되며, 수직으로 조적된 벽돌간의 결합력이 떨어져 조적된 벽돌이 무너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국내특허등록 제1525412호(2015.05.28 등록)에서는 공동주택용 벽돌 조적벽체 보강장치에 관련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벽돌의 지지를 위해 벽면고정브래킷과, 연결봉, 강선연결부재 등의 구성을 별도로 내벽면에 고정설치해야 함으로, 작업시간이 증가되어짐과 함께 시공비용이 상승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벽돌의 조적과정에서 상,하 및 좌,우 벽돌 상호간에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연결구를 제공함으로서 벽돌의 조적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함께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수직 통공이 형성된 벽돌의 조적 작업시 사용되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에 있어서, 2개의 수직대가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대는 중단부에서 수평연결대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수직대의 하부는 하부벽돌의 통공에 삽입되고, 수직대의 상부는 하부벽돌의 통공에 삽입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구는, 조적 시공이 이루어지는 벽돌 상호간의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수직 및 수평방향의 안정적인 조적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의 연결구를 사용하게 되면 작업자의 숙련도에 상관없이 일반인도 쉽고 용이하게 벽돌 조적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연결구는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의 부품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구 정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 연결구를 이용한 벽돌 조적 과정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연결구를 이용한 벽돌 조적 과정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벽돌 조적상태 정면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 정면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의 연결구 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연결구 단면 구조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벽돌 조적용 연결구의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연결구(20)는 2개의 수직대(21)가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대(21)는 중단부에서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연결되며, 양측에는 수평연결대(22)와 동일한 높이에서 양측으로 돌출 구비되는 줄눈마감 연장부(22a)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평연결대(22)에는 압축스티로폼 또는 연질우레탄 등의 단열재질로 이루어진 마감 단열재(S)가 일체로 연결 구비됨으로서,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지는 벽돌(10)과 벽돌(10') 사이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벽돌(10)과 벽돌(10) 사이의 틈새에 대한 마감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 연결구(20)를 이용한 벽돌 조적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연결구(20)는 복수의 수직 통공(11,11')이 형성되어져 있는 벽돌의 조적 작업시 벽돌(10,10') 상호간의 수평 및 수직방향 연결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수평으로 배치되는 양측 벽돌(10)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로 수직대(21)의 하부를 양측 통공(11) 부위에 삽입시키게 되면, 수직대(21)의 상부가 상향으로 노출되어짐과 함께 양측 벽돌(10)은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벽돌(10) 상면에 몰탈재(S')를 도포한 후 상부 벽돌(10')을 적층 형태로 조적시키게 된다.
이때, 상부로 돌출되어져 있는 연결구(20)의 수직대(21)에 상부 벽돌(10')의 수직통공(11')이 삽입되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부 벽돌(10')의 위치 지지가 이루어짐과 함께 하부 벽돌(10)과의 연결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시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면, 수평으로 배치되는 벽돌(10) 및 수직으로 적층되어지는 벽돌(10') 상호간에 연결구(20)에 의해 연결 지지가 이루어짐으로서 안정적인 조적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하로 적층되는 벽돌(10,10') 상호간의 간격은 연결구(20)의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으로 숙련자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벽돌 조적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을 나타낸다.
또한, 연결구(20)의 양측으로 돌출 구비된 줄눈마감 연장부(22a)로 인하여 줄눈마감 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되며, 마감단열재(S)에 의해 마감 처리가 이루어짐으로서 별도의 마감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구(20)의 수직대(21) 중단부에는 마감 단열재(S) 또는 몰탈재(S')와의 결합력 증대 및 완충 기능을 위해 코일스프링(23)이 끼움 결합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시공시 코일스프링(23) 연결부위가 마감 단열재(S) 또는 몰탈재(S')와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마감 단열재(S) 또는 몰탈재(S')와 연결구(20) 상호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시공 후에는 코일스프링(23)에 의한 탄성 지지력이 작용되어짐으로서 외부 충격이나 진동의 전달이 흡수되어지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구(20)의 수직대(21) 표면에는 몰탈재(S')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코팅층(24)이 코팅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코팅층(24)은 우레탄분말 30~50중량%,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20~40중량%, 카복시비닐폴리머 10~30중량%,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10~30중량% 및 실리카유리 1~10중량%의 혼합 조성을 이룸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우레탄분말이 포함된 코팅층(24)으로 인해 연결구(20)와 몰탈재(S')의 결합력이 증대되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코팅층(24)에는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이 함유됨으로 우레탄분말이 고르게 분포되어 전체적으로 균일한 코팅층 두께를 이루게 되며, 카복시비밀폴리머는 수직대(21) 표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실리카유리는 우레탄분말의 변색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MMA는 코팅층(24)의 균열발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이점을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벽돌 조적용 연결구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예에서는 연결구(20)가 H형상을 이루는 것이 설명 및 도시되었으나, 이러한 연결구(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10': 벽돌 11,11': 수직통공
20 : 연결구 20a: 줄눈마감 연장부
21 : 수직대 22 : 수평연결대
S : 마감 단열재

Claims (5)

  1. 복수의 수직 통공(11,11')이 형성된 벽돌(10,10')의 조적 작업시 사용되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20)에 있어서,
    2개의 수직대(21)가 상호 일정 간격을 이루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대(21)는 중단부에서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연결된 구조를 이룸으로서, 수직대(21)의 하부는 하부벽돌(10)의 통공(11)에 삽입되고, 수직대(21)의 상부는 상부벽돌(10')의 통공(11')에 삽입이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구(20)에는 수평연결대(22)와 동일한 높이에서 각 수직대(21)의 양측으로 줄눈마감 연장부(22a)가 돌출 구비되며,
    상기 연결구(20)는 수평연결대(22)에 의해 조적되는 벽돌(10,10') 상호간에 이격 간격이 유지되어지게 되며, 상기 수평연결대(22)에는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지는 벽돌(10)과 벽돌(10') 상호간 틈새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벽돌(10)과 벽돌(10) 상호간의 틈새를 마감하기 위하여 압축스티로폼 재질 또는 연질우레탄 재질을 포함하는 단열재질로 이루어지는 마감 단열재(S)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되, 상기 마감 단열재(S)는 판체로 형성되되, 중심부에 하부를 향하여 벽돌의 높이 정도 돌출되는 "T"자 형태로 형성되고, 그 좌, 우측 상, 하부에 수직대(21)의 상, 하부가 각각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수직대(21) 중단부에는 마감 단열재(S) 또는 몰탈재(S')와의 결합력 증대 및 완충 기능을 위해 코일스프링(23)이 끼움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의 수직대(21) 표면에는 몰탈재(S')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코팅층(24)이 코팅 형성되되, 상기 코팅층(24)은 우레탄분말,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 카복시비닐폴리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MA) 및 실리카유리의 혼합 조성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20180090244A 2018-08-02 2018-08-02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101988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44A KR101988839B1 (ko) 2018-08-02 2018-08-02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244A KR101988839B1 (ko) 2018-08-02 2018-08-02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839B1 true KR101988839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244A KR101988839B1 (ko) 2018-08-02 2018-08-02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8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969A (zh) * 2020-05-19 2020-08-18 朱珠 一种可移动式防气泡的节能建筑墙体预制构件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KR200496733Y1 (ko) * 2021-11-11 2023-04-12 이영희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용 스페이서
WO2023113503A1 (ko) * 2021-12-17 2023-06-22 김은영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044A (ja) * 1994-11-03 1996-05-28 Osamu Sugaya ブロック介挿材
KR20100011934U (ko) * 2009-05-29 2010-12-08 조대연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101462841B1 (ko) * 2014-06-27 2014-11-17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KR20170092843A (ko) * 2016-02-04 2017-08-14 성진용 실내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5044A (ja) * 1994-11-03 1996-05-28 Osamu Sugaya ブロック介挿材
KR20100011934U (ko) * 2009-05-29 2010-12-08 조대연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101462841B1 (ko) * 2014-06-27 2014-11-17 주식회사 원준하이테크 단열재 일체형 벽돌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 시공방법
KR20170092843A (ko) * 2016-02-04 2017-08-14 성진용 실내인테리어용 조립식 블럭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969A (zh) * 2020-05-19 2020-08-18 朱珠 一种可移动式防气泡的节能建筑墙体预制构件
KR102266318B1 (ko) * 2020-11-04 2021-06-18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KR200496733Y1 (ko) * 2021-11-11 2023-04-12 이영희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용 스페이서
WO2023113503A1 (ko) * 2021-12-17 2023-06-22 김은영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20230092565A (ko) * 2021-12-17 2023-06-26 김은영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KR102638231B1 (ko) * 2021-12-17 2024-02-19 김은영 압출 가능한 벽돌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839B1 (ko) 단열기능과 마감기능 및 내진기능을 향상시키는 벽돌 조적용 연결구
KR920002872B1 (ko) 유리블럭패널과그구성방법및이에사용되는연결구
EP1479841A1 (en) Composite building block having insulation element
US9388571B2 (en) Stone fabrication system with hidden mortar joint
KR200438913Y1 (ko) 보강용 브라켓과 내진용 벽돌로 이루어진 내진 벽체 시공용내진용구
KR20210007519A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토목 및 건축 벽체 건설용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성형용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속빈 레고형 콘크리트 블록
KR101598692B1 (ko) 경량블럭을 이용한 단열과 방음기능이 개선된 벽체구조
CN209907667U (zh) 抗震隔音砖墙结构
US1597167A (en) Building construction
KR100583988B1 (ko) 건축용 리모델링 블럭
KR100623581B1 (ko) 조적용 벽돌과 브라켓을 이용한 내진설계용 조적구조
US1890532A (en) Building block and wall form
WO2019106700A9 (en) Kit for constructing dry-mounted walls
KR100688448B1 (ko) 건축물 내부 조적구조
CN108661206A (zh) 二次结构砌筑墙体自隔声保温构造及其施工方法
CN205653928U (zh) 一种组合龙骨
KR101975755B1 (ko) 공동주택용 조적벽의 티형 접합부위 보강장치
CN208844838U (zh) 一种防火耐冲击的grg
KR102069289B1 (ko) 공동주택의 안전도를 향상시킨 내진 설계장치
GB2591907A (en) Building block (variants)
KR102223413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벽체 시공방법
CN213268560U (zh) 一种钢丝网架发泡水泥夹芯板隔墙
KR100504350B1 (ko)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0419931Y1 (ko)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내진설계용 벽돌
KR200389551Y1 (ko) 모르타르와의 결합력이 우수한 내진설계용 벽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