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914B1 -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914B1
KR102637914B1 KR1020230044857A KR20230044857A KR102637914B1 KR 102637914 B1 KR102637914 B1 KR 102637914B1 KR 1020230044857 A KR1020230044857 A KR 1020230044857A KR 20230044857 A KR20230044857 A KR 20230044857A KR 102637914 B1 KR102637914 B1 KR 10263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bite
handle
rapid
mill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4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재호
Original Assignee
염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재호 filed Critical 염재호
Priority to KR1020230044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9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5/00Driving or feeding mechanisms; Control arrangements therefor
    • B23Q5/54Arrangements or details not restricted to group B23Q5/02 or group B23Q5/22 respectively, e.g. control handles
    • B23Q5/58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78Safety devices protecting the operator, e.g. against accident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는, 급속이송레버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구비되어 급속이송레버의 움직임을 이송핸들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속이송레버가 끼워지는 끼움슬롯이 형성된 바이트와, 상기 바이트의 끼움슬롯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통과하여 바이트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바이트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만곡 연장되어 이송핸들과 접하는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만곡각도는 90도 이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을 급속이송하기 위하여 급속이송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 급속이송레버와 이송핸들이 연동되어 클러치수단이 해제상태로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급속이송시에 이송핸들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이송핸들의 노브 등에 의해 타격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밀링머신을 이용한 작업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감소됨으로써 밀링머신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밀링머신용 안전장치{safety unit for milling machine}
본 발명은 테이블의 급속이송시에 이송핸들이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밀링머신은 고속 회전되는 절삭공구(밀링 커터 등)를 공작물에 접촉시켜 공작물을 절삭가공하거나, 또는 임의속도로 회전되는 공작물에 절삭공구를 접촉시켜 공작물을 원하는 사이즈 또는 형태로 절삭 가공하는 기기이다.
도 1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밀링머신에는 공작물의 고정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섀들(5) 및 테이블(7)이 구비되어 있는데, 섀들(5)은 전후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테이블(7)은 섀들(5)의 상면에 좌우 이송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섀들(5)과 테이블(7)은 이송핸들(10)의 조작에 의한 수동방식 또는 이송모터에 의한 자동방식으로 이송될 수 있다.
테이블(7)의 경우 이송핸들(10)에 의한 수동방식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이송핸들(1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림으로써 테이블(7)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되며, 자동이송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이송모터(도면에서 안보임)의 작동을 위한 이송레버(20)를 조작함으로써 이송모터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되고, 테이블(7)은 이에 연동되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테이블(7)은 이송핸들(10) 또는 이송모터와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리드스크류(도면에서 안보임) 등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송핸들(10)은 클러치수단에 의해 리드스크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클러치수단은 도 2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리드스크류측에 구비된 베벨기어 타입의 내측기어(12)와, 이송핸들(10)측에 구비된 역시 베벨기어 타입의 외측기어(14) 및 이송핸들(10)에 대하여 외측(양 기어가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6)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에 따르면, 클러치수단은 스프링(16)의 작용으로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분리된 분리상태로 상시 유지된다.
이송핸들(10) 사용시에는 도 3 에 나타난 것과 같이 작업자가 이송핸들(10)을 내측으로 밀어서 클러치수단의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맞물린 이른바 연결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 이송핸들(10)을 돌리게 되며, 이송핸들(10)의 조작을 멈추게 되면, 다시 스프링(16)의 탄성력에 의해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분리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작업자가 이송핸들(10)을 의도적으로 조작하지 않는 이상 클러치수단의 내측기어와 외측기어(14)는 분리된 상태를 상시 유지하게 되며, 이때에는 테이블(7)의 자동이송시 이송모터에 의해 리드스크류가 회전하더라도 리드스크류의 회전작동이 이송핸들(10)로는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이송핸들(10)이 회전하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밀링머신은, 가공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자동이송시의 테이블(7) 이송속도를 매우 빠르게 할 수 있는 이른바 급속이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급속이송에 따른 안전성을 높이기 위하여 급속이송시에는 이송레버(20)와 별도로 구비된 급속이송레버(30)를 추가로 조작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 4 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급속이송을 위해서는 이송레버(20)를 조작하여 테이블(7)이 자동이송되도록 한 상태에서 추가로 급속이송레버(30)를 위로 올리는 방향으로 조작하거나, 급속이송레버(30)를 조작한 상태에서 이송레버(20)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종래기술에 있어서, 이송핸들(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수단에 의해 리드스크류와 연동되지 않은 상태로 상시 유지되어야 하지만, 클러치수단의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를 분리하는 스프링(16)의 열화에 따른 탄성력 감소 등과 같은 원인으로,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클러치수단의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연결된 상태에서 급속이송을 진행하면, 이송핸들(10)이 매우 빠르게 회전되기 때문에 이송핸들(10)의 노브(101)가 작업자의 신체를 타격하여 부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테이블을 급속이송하기 위하여 급속이송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 이송핸들이 클러치수단의 해제방향으로 강제로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클러치수단이 해제상태로 자동 전환되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는, 급속이송레버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구비되어 급속이송레버의 움직임을 이송핸들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속이송레버가 끼워지는 끼움슬롯이 형성된 바이트와, 상기 바이트의 끼움슬롯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통과하여 바이트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바이트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만곡 연장되어 이송핸들과 접하는 접촉부로 구성되며, 상기 접촉부의 만곡각도는 90도 이하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에 의하면, 테이블을 급속이송하기 위하여 급속이송레버를 조작하는 경우에, 급속이송레버와 이송핸들이 연동되어 클러치수단이 해제상태로 자동 전환되기 때문에, 급속이송시에 이송핸들이 고속으로 회전되는 현상에 의해 작업자가 이송핸들의 노브 등에 의해 타격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밀링머신을 이용한 작업시에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감소됨으로써 밀링머신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도 1: 일반적인 밀링머신을 나타낸 도면
도 2: 일반적인 밀링머신의 클러치수단을 나타낸 도면
도 3: 일반적인 밀링머신에 있어서 이송핸들의 조작을 나타낸 도면
도 4: 일반적인 밀링머신에 있어서 급속이송레버의 조작을 나타낸 도면
도 5: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가 밀링머신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 5 부터 도 7 까지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40)는, 밀링머신의 급속이송레버(30)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구비되어 급속이송레버(30)의 움직임을 이송핸들(10)에 전달하는 전달부재(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속이송레버(30)가 끼워지는 끼움슬롯(42a)이 형성된 바이트(42)와, 상기 바이트(42)의 끼움슬롯(42a)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통과하여 바이트(42)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달부재(46)는, 만곡된 막대형태로서, 상기 바이트(42)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본체부(461)와, 상기 본체부(461)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만곡 연장되어 이송핸들(10)과 접하는 접촉부(462)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461) 및 접촉부(462)의 길이는 급속이송레버(30)와 이송핸들(10)의 상호 위치관계 및 형태 등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기 접촉부(462)의 만곡각도는 90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에 나타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안전장치(40)는, 밀링머신의 급속이송레버(30)에 장착된다.
안전장치(40)의 장착시에는, 급속이송레버(30)가 체결수단을 구성하는 바이트(42)의 끼움슬롯(42a)에 끼워지도록 한 다음, 상기 바이트(42)가 조임볼트(44)에 의해 조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급속이송레버(30)를 따라 움직임으로써, 급속이송레버(30)와 이송핸들(10)의 상호 위치관계에 따라, 전달부재(46)의 접촉부(462)가 이송핸들(10)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위치를 적절하게 조절하게 된다.
안전장치(40)가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는 조임볼트(44)를 조임방향으로 돌림으로써 바이트(42)가 급속이송레버(30)를 조여서 고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밀링머신용 안전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 7 참조)
이송핸들(10)에 의한 테이블(7)의 수동이송이나 이송속도가 빠르지 않은 자동이송시에는 급속이송레버(30)를 조작하지 않기 때문에 급속이송레버(30)가 원위치(저속상태)에 있으며, 전달부재(46)의 접촉부(462)가 이송핸들(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작업자가 테이블(7)의 급속이송을 위하여 급속이송레버(30)를 위로 들어올리는 방향으로 조작하게 되면, 급속이송레버(30)와 함께 안전장치(40)도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고, 전달부재(46) 역시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부(462)의 만곡된 구조상 이송핸들(10)이 접촉부(462)에 의해 밀려서 외측으로 이동되며, 이송핸들(10)이 외측으로 이동되면, 클러치수단을 구성하는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분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클러치수단의 스프링(16)의 열화에 따른 탄성력 감소 등과 같은 원인으로, 내측기어(12)와 외측기어(14)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도, 작업자가 급속이송레버(30)를 조작하게 되면 안전장치(40)에 의해 클러치수단이 강제로 해제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테이블이 급속이송시 이송핸들(10)이 회전되는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자가 이송핸들(10)의 노브(101) 등에 의해 타격을 입는 현상이 방지된다.
7: 테이블
10: 이송핸들
12: 내측기어 14: 외측기어 16: 스프링
20: 이송레버 30: 급속이송레버
40: 안전장치
42: 바이트 42a: 끼움슬롯
44: 조임볼트 46: 전달부재
461: 본체부 462: 접촉부

Claims (5)

  1. 좌우로 이송되는 테이블과,
    상기 테이블의 수동이송을 위하여 조작되는 이송핸들과,
    상기 이송핸들과 테이블간의 동력전달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클러치수단과,
    이송모터에 의한 테이블의 급속이송을 위해 조작되는 급속이송레버
    를 포함하는 밀링머신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급속이송레버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체결수단에 구비되어 급속이송레버의 움직임을 이송핸들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작업자가 테이블의 급속이송을 위해 급속이송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이송핸들을 외측으로 밀어서 클러치수단이 분리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급속이송레버가 끼워지는 끼움슬롯이 형성된 바이트와,
    상기 바이트의 끼움슬롯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통과하여 바이트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그 일단이 상기 바이트에 고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만곡 연장되어 이송핸들과 접하는 접촉부(462)로 구성되며,
    상기 급속이송레버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상기 접촉부(462)에 의해 수평방향 움직임으로 전환되어 이송핸들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의 만곡각도는 90도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5. 끼움슬롯이 형성된 바이트 및, 상기 바이트의 끼움슬롯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통과하여 바이트와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로 구성되는 체결수단과,
    상기 바이트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직선형태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타단에서 일정각도로 만곡 연장된 형태의 접촉부로 구성되는 전달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KR1020230044857A 2023-04-05 2023-04-05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KR10263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857A KR102637914B1 (ko) 2023-04-05 2023-04-05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44857A KR102637914B1 (ko) 2023-04-05 2023-04-05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914B1 true KR102637914B1 (ko) 2024-02-20

Family

ID=90056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4857A KR102637914B1 (ko) 2023-04-05 2023-04-05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91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9744U (ko) * 1979-06-06 1980-12-24
KR910000555A (ko) * 1989-06-19 1991-01-29 한형수 세라믹기판 제작용 유리페이스트
JPH059844U (ja) * 1991-07-19 1993-02-09 ヤマザキマザツク株式会社 Nc工作機械のハンドル送り安全装置
JPH08270283A (ja) * 1995-03-30 1996-10-15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KR20130007408U (ko) * 2012-06-18 2013-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당김 및 방향유도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79744U (ko) * 1979-06-06 1980-12-24
KR910000555A (ko) * 1989-06-19 1991-01-29 한형수 세라믹기판 제작용 유리페이스트
JPH059844U (ja) * 1991-07-19 1993-02-09 ヤマザキマザツク株式会社 Nc工作機械のハンドル送り安全装置
JPH08270283A (ja) * 1995-03-30 1996-10-15 Nissan Motor Co Ltd ステアリングロック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KR20130007408U (ko) * 2012-06-18 2013-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당김 및 방향유도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37813B1 (en) Pipe cutting and beveling machine
US20150202699A1 (en) Apparatus for manipulating tubular and round section objects
EP0143158B1 (en) Improved retraction apparatus for automatic feed drills or the like
WO2014156471A1 (ja) 電動工具
KR102637914B1 (ko) 밀링머신용 안전장치
US11267028B2 (en) Roller tool for a machine tool, roller tool system, and method for the linear forming of a metal sheet
US3429206A (en) Right angle positive feed device
EP2834044B1 (de) Handwerkzeugmaschinenvorrichtung
CN114208526B (zh) 一种手持式电动切割工具
US3473427A (en) Slotshear for slotting plates of metal,plastic,etc.,and including a reciprocating ram
CN220761827U (zh) 一种散热外壳用铣切装置
US4342237A (en) Feeding apparatus for machine tools
KR20090114500A (ko) 자동 튜브 절단 장치
CN110549122A (zh) 一种镗铣两用切换的加工设备
US3126767A (en) sawyer
KR101687214B1 (ko) 오토캐리지
US2815709A (en) Power presses with multiple point drive means
CN107695703A (zh) 偏心轴自动切削进退刀架装置
US2384732A (en) Feed mechanism
US1853795A (en) Transmission and control mechanism for machine tools
CN216968080U (zh) 一种切割装置
DE102012215457A1 (de) Werkzeugmaschine
CN215469921U (zh) 一种切料机构
CN210648764U (zh) 一种便捷式割管机的自动复位装置
JPS64617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