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7191B1 -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7191B1
KR102637191B1 KR1020230141623A KR20230141623A KR102637191B1 KR 102637191 B1 KR102637191 B1 KR 102637191B1 KR 1020230141623 A KR1020230141623 A KR 1020230141623A KR 20230141623 A KR20230141623 A KR 20230141623A KR 102637191 B1 KR102637191 B1 KR 102637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ultivation
user input
input information
consign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희
이화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슈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슈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슈코
Priority to KR102023014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71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7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71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수량에 관한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수확 희망 일자에 관한 제5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양액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에서 재배된 재배 작물이 수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CULTIVATION CROP INFORMATION USING AN AUTOFOCUS CAMERA}
본 개시는 재배 작물 영상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웹(Web) 또는 앱(App)을 이용하여 재배 작물을 수확하는 시스템과 주문하는 영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대도시로의 이전이 촉진되었고, 그에 따라 사람들의 주거 형태 또한 도시의 생활에 맞게 변천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의 생활이 대도시에서의 환경에 익숙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주말 농장 체험과 관련된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주말 농장이란 도심 외곽에 일정한 크기의 토지를 임차하여 임차한 토지에 각종 채소를 재배하거나, 사전에 조성된 농장의 일정 영역을 임차하여 주말마다 방문하여 관리하는 것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서, 현대인들은 이러한 주말 농장에서 채소 등을 경작하면서 도시 생활에서 지친 몸과 마음의 휴식을 얻을 수 있고, 먹거리를 직 접 재배하여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점에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또한, 최근 작물 재배와 관련되어 일명 스마트팜이라 불리는 시스템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스마트팜은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하여 농작물 재배 시설의 온도, 습도, 햇볕량, 이산화탄소, 토양 등을 측정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서 제어 장치를 구동하여 적절한 상태로 유지 및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의미한다.
주말 농장과 스마트팜의 각광으로, 사용자들은 재배 작물을 직접 수확하거나, 수확된 재배 작물을 구매하거나, 수확한 재배 작물을 판매한다. 다만, 일부 사용자들은 구매하고자 하는 작물의 재배부터 수확 과정을 확인하고 싶어 하며, 다른 일부 사용자들은 직접 주말 농장에 가지 않고서 작물들을 재배하고 싶어한다. 본 개시는 이러한 수요에 따라, 재배 작물의 재배 및 수확 과정을 제공할 수 있고, 수확된 재배 작물을 판매 또는 구입할 수도 있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웹(Web) 또는 앱(App)을 이용하여 재배 작물을 수확하는 시스템과 주문하는 시스템을 위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수량에 관한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수확 희망 일자에 관한 제5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양액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에서 재배된 재배 작물이 수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 정보 또는 상기 재배 작물의 예상 판매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확 목적은, 자가 소비 목적, 선물 목적, 특정인 지정 판매 목적, 온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기 위탁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위탁자의 주소 정보, 상기 위탁자가 지정한 영역 정보, 또는 복수의 재배 영역 활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하다고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 수량 조절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에 수확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대기 기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기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대기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 또는 상기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에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보다 낮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절 필요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조절 필요성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 또는 대기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 목적이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확 목적이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 경우, 재배 중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중계 절차는, 상기 위탁자의 단말 또는 상기 주문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위탁자 정보, 재배자 정보, 재배지역 정보, 재배 작물 정보, 예상 수확일 정보, 또는 동일 작물에 대한 직전 거래액 정보, 재배 영상, 또는 재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재배 중계 절차를 수행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 및 수령 방법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처리가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주문 수량의 재배 작물을 상기 주문자가 지정한 수령 방법 정보에 따라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수령 방법 정보는, 배달 수령 정보, 픽업 수령 정보, 선물 옵션 정보, 또는 판매 준비 옵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령 방법 정보에 배달 수령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배달지 정보 및 수취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령 방법 정보에 픽업 수령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픽업지 정보 및 수령인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령 방법 정보에 선물 옵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선물 받는 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령 방법 정보에 상기 판매 준비 옵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판매 수량 정보 및 판매 금액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에 저장해야 할 필요성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에 보관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저온 저장고에 저장된 재배 작물을 상기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에 저장해야 할 필요성을 식별하는 단계는, 상기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령 희망일이 상기 재배 작물을 수확일보다 특정 기간 이상 더 나중임을 식별하는 단계; 또는 상기 재배 작물의 공급 조절 필요성을 식별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도록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재배 작물의 재배부터 중계, 수확, 판매 등까지 웹 또는 앱을 통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중계 절차에 기초하여 주문 또는 선물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된 작물의 일부가 저온 저장고에 보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들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특히, 숫자들은 이해를 돕기 위한 예로서, 기재된 숫자들에 의해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말아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와 같은 표현은, 구성요소들의 리스트 전체를 수식하고, 그 리스트의 구성요소들을 개별적으로 수식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는 오직 A, 오직 B, 오직 C, A와 B 모두, B와 C 모두, A와 C 모두, A와 B와 C 전체, 또는 그 조합을 가리킨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특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의 동작 110을 수행하기 전에,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의 회원가입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위탁자의 회원가입에 따라 위탁자가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플랫폼에 로그인하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가 활용 가능한 재배 포트를 수배하기 위한 절차로 동작 110 및 130을 수행할 수 있다.
동작 110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는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수량에 관한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수확 희망 일자에 관한 제5 사용자 입력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내지 제5 사용자 입력 정보를 한 번에 획득할 수도 있으며, 개별로 획득할 수도 있고, 순차적으로 획득하거나, 일부는 개별로 일부는 한꺼번에 획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를 먼저 획득한 후, 제2 사용자 입력 정보 내지 제5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는 위탁자가 어떤 재배 작물을 재배하기를 원하는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재배 작물 종류를 식별하고, 해당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 단위 수량 당 예상 판매액, 해당 재배 작물의 재배 환경 정보 등의 정보를 위탁자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목적이 자가 소비 목적인지, 선물 목적인지, 특정인 지정 판매 목적인지, 온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인지,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수확 목적은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입력 정보에 자가 소비 목적 및 선물 목적에 대응되는 사용자 입력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목적이 작물의 일부는 자가 소비하고 다른 일부는 타인에게 선물하기 위함임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에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온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인지, 또는 다른 플랫폼을 통한 판매 목적인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플랫폼을 이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에게 일정 수수료의 할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온라인 스토어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는 회원 전용인 스토어 또는 비회원까지 구매할 수 있는 스토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확 목적이 특정인 지정 판매 목적인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특정인에 관한 정보 요청을 위탁자의 단말에게 전송하고, 위탁자의 단말은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게 특정인에 관한 정보 요청 응답을 전송하고,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특정인에 관한 정보 요청 응답에 기초하여, 특정인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인에 관한 정보 요청 응답에는 특정인에 관한 식별자, 전화번호, 주소, 아이디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재배 수량에 관한 제3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한 후, 해당 재배 작물을 해당 재배 수량만큼 재배할 경우의 예상 판매액을 계산하고, 예산 판매액 정보를 위탁자의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단위 수량 당 예상 판매액 정보를 제공하거나,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제3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수량에 대한 예상 판매액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는 위탁자 단말의 현재 위치 정보, 위탁자의 등본상 주소 또는 거주지 주소 정보, 위탁자가 지정한 영역 정보, 복수의 재배 영역 활용 여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탁자가 지정한 영역 정보에는 특정 지역, 특정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복수의 재배 영역 활용 여부 정보에 활용 가능 식별자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포트를 결정함에 있어서, 복수의 재배 영역을 재배 포트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복수의 재배 영역 활용 여부 정보에 활용 불가능 식별자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포트를 결정함에 있어서, 하나의 영역을 재배 포트로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30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내지 제5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을 식별하고, 제3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 수량을 식별하고,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 영역을 식별한 후, 해당 재배 기간동안 해당 재배 수량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 재배 영역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위탁자의 주소를 획득한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의 주소에 가장 가까운 라운지를 기준으로 하여 재배 포트를 수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3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배 수량과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해당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을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수량 조절 요청에는 어느 정도로 수량을 줄일 경우 원하는 기간에 재배 포트의 활용이 가능한지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즉, 재배 수량 조절 요청에는 추천하는 수량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수량 조절 요청에 기초하여,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재배 수량 조절 응답에는 추천하는 수량 정보에 대한 승인 또는 부인 식별자, 위탁자가 원하는 수량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수량 조절 응답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3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배 수량과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희망일까지의 기간에 해당 재배 작물의 수확 가능성을 계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확 가능성을 계산함에 있어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의 종류, 재배 수량, 재배 지역 등을 입력으로 하여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수확 가능일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가능일에 기초하여 수확 가능성을 계산할 수 있다.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은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학습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것은, 기본 인공지능 모델이 학습 알고리즘에 의하여 다수의 학습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학습됨으로써, 원하는 특성(또는, 목적)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 정의된 동작 규칙 또는 인공지능 모델이 만들어짐을 의미한다. 이러한 학습은 본 개시에 따른 인공지능이 수행되는 기기 자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별도의 서버 및/또는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학습 알고리즘의 예로는, 지도형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형 학습(unsupervised learning), 준지도형 학습(semi-supervised learning) 또는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인공지능 모델은,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 각각은 복수의 가중치들(weight values)을 갖고 있으며, 이전(previous) 레이어의 연산 결과와 복수의 가중치들 간의 연산을 통해 신경망 연산을 수행한다. 복수의 신경망 레이어들이 갖고 있는 복수의 가중치들은 인공지능 모델의 학습 결과에 의해 최적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과정 동안 인공지능 모델에서 획득한 로스(loss) 값 또는 코스트(cost) 값이 감소 또는 최소화되도록 복수의 가중치들이 갱신될 수 있다. 인공 신경망은 심층 신경망(DNN: Deep Neural Network)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DNN (Deep Neural Network),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RBM (Restricted Boltzmann Machine), DBN (Deep Belief Network), BRDNN(Bidirectional Recurrent Deep Neural Network) 또는 심층 Q-네트워크 (Deep Q-Networks) 등이 있으나,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 이상인지 또는 미만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 이상인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 단말에게 수확 요청 승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 미만인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위탁자 단말에게 수확 요청 거절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대기 기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대기 기간 정보란, 해당 수량을 수확할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 기간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조건에 맞는 포트를 할당받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대기하여야 하는 지를 위탁자의 단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위탁자 단말은 대기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게 대기 수락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대기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제3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한 재배 수량 및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획득한 재배 작물 종류에 대응하는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 또는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일자까지의 기간에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보다 낮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절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조절 필요성에 기초하여,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 또는 대기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고,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며, 수신한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할 수 있다.
동작 150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의 종류, 결정한 재배 포트 등에 기초하여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함에 있어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 정보 서버는 결정한 재배 포트에 잔존하는 영양성분을 분석하여 재배 작물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영양성분을 보충할 수 있도록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액 처방 정보에는 양액 정보, 광량 정보, CO2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다른 장치 또는 사람에 의해 결정된 양액 처방 정보를 획득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동작 170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양액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에서 재배된 재배 작물이 수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정된 재배 포트에서 재배 작물을 재배하는 자의 단말에게 양액 처방 정보를 전송하고, 그에 따라 재배 작물이 재배되고 수확될 수 있다.
동작 190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란 재배 작물이 수확되어 주문자, 주문자가 지정한 자, 구매자 등에게 인도되기 위하여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수행하는 절차를 총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 수령 방법 정보 등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주문자 단말에게 해당 주문 수량의 작물을 인도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문자는 위탁자와 동일할 수도 있고, 타인을 의미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령 방법 정보는 픽업 수령 정보, 배달 수령 정보, 제3자에 의한 픽업 수령 정보, 제3자에게로의 배달 수령 정보, 선물 옵션 정보, 판매 준비 옵션 정보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선물 옵션 정보는 주문자가 타인에게 선물하기 위하여 선택하는 정보로, 타인의 식별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판매 준비 옵션 정보는 주문자가 일정 수량 구매 후 해당 일정 수량에 대하여 플랫폼을 통해 판매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판매 준비 옵션 정보에는 판매 수량, 판매 가격, 판매 기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배달 수령의 경우 배달비를 결제하는 절차를 더 수행하거나, 픽업 수령의 경우 할인을 제공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령 방법 정보에 배달 수령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에게 배달지 정보, 수취인 정보, 배달 희망일 정보 등을 요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문자 단말은 배달지 정보, 수취인 정보, 배달 희망일 정보 등을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령 방법 정보에 픽업 수령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에게 픽업지 정보, 수령인 정보, 픽업 일시 정보 등을 요구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문자 단말은 픽업지 정보, 수령인 정보, 픽업 일시 정보 등을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령 방법 정보에 선물 옵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에게 선물 받는 자에 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문자 단말은 선물 받는 자에 관한 정보로, 선물 받는 자의 식별 정보를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게 전송할 수 있다. 선물 받는 자의 식별 정보에는 선물 받는 자의 전화번호, 아이디, 식별자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령 방법 정보에 판매 준비 옵션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에게 판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주문자 단말은 판매 수량 정보, 판매 금액 정보, 판매 기간 정보 등을 포함하는 판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가 판매함에 있어서, 기 지불한 금액을 초과하는 거래는 허용되지 않도록 판매 금액 정보 조절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 정보에 기초하여 결제 처리를 수행하고, 결제 처리가 완료된 것에 기초하여 주문 수량의 재배 작물을 주문자가 지정한 수령 방법 정보에 따라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된 재배 작물의 수량에 관하여 전부 판매될 때까지 선착순으로 판매 절차를 수행하거나, 전부 또는 일부 물량을 위탁자가 지정한 자에게 판매 또는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중계 절차에 기초하여 주문 또는 선물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수확 목적이 자가 소비가 아닌,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 목적이 자가 소비가 아닌 경우 또는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 경우, 재배 중계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중계 절차는 위탁자의 단말, 주문자의 단말, 또는 제3자의 단말에게 위탁자에 관한 정보, 재배자에 관한 정보, 재배 지역에 관한 정보, 재배 작물에 관한 정보, 양액 처방 정보(220), 예상 수확일 정보, 동일 작물에 대한 직전 거래액 정보, 재배 영상, 재배 이미지 등을 제공하는 절차를 지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주문자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재배 중계 정보(210)를 참고하여 원하는 수량만큼 주문하거나 타인에게 선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중계 정보(210)에 기초하여,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앱 또는 웹에서 ‘주문하기’ 버튼(230)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중계 정보(210)에 기초하여,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앱 또는 웹에서 ‘선물하기’ 버튼(240)을 클릭하는 사용자 입력을 획득하고,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과 선물 받는 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확된 작물의 일부가 저온 저장고에 보관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310)에 저장해야 할 필요성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의 단말로부터 수신한 수령 희망일이 재배 작물의 수확일보다 특정 기간 이상 더 나중이거나, 재배 작물의 공급 조절 필요성이 존재하는 경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310)에 저장해야 한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공급 조절의 필요성은 수확물이 희소성이 있는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작물에 대한 제3의 위탁자가 재배하는 작물의 수확이 특정 기간(예를 들어, 1개월) 후부터 존재하는 경우라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공급 조절의 필요성이 있다고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310)에 저장해야 할 필요성을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에 보관 처리할 수 있다. 보관 처리란, 재배자 단말 또는 담당자 단말에게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로 이동시킬 것을 명령하는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 전부를 저온 저장고(310)에 보관하도록 처리할 수도 있으며, 일부만을 저온 저장고(310)에 보관하고, 다른 일부는 주문자(320)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310)에 보관하는 중에, 저온 저장고(310)에 보관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문자의 희망 수령일이 다가오거나, 저온 저장고(310)에 재배 작물을 보관하는 중에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저온 저장고(310)에 보관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주문자 단말로부터 주문 수량 및 수령 희망일을 포함하는 주문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령 희망일이 재배 작물을 수확일보다 특정 기간 이상 더 나중임을 식별하고, 상기 수령 희망일이 재배 작물을 수확일보다 특정 기간 이상 더 나중임을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수확된 재배 작물을 저온 저장고에 보관 처리하다가, 수령 희망일의 특정 시점 이전에 저온 저장고에 저장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는, 프로세서(430), 통신부(420) 및 메모리(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30)는, 통상적으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30)는, 메모리(41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42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410)로부터 프로세서(430)에 제공되거나, 통신부(420)를 통해 수신되어 프로세서(43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430)는 메모리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420)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가 다른 서버 또는 장치와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는, 근거리 통신부, 이동 통신부, 방송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42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 예를 들어 위탁자 단말 및/또는 주문자 단말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41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배 작물 공급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재배 작물 공급 시스템은 위탁자 단말(510), 사용자 입력 정보 획득 모듈(520), 양액 처방 정보 획득 모듈(530), 재배 포트 결정 모듈(540), 배송시스템 관리 모듈(550), 미디어 실황중계 모듈(560), 주문자 단말(5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모듈들은 하나의 장치 내에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정보 획득 모듈(520), 양액 처방 정보 획득 모듈(530), 재배 포트 결정 모듈(540), 배송시스템 관리 모듈(550), 미디어 실황중계 모듈(560) 중 하나 이상은 재배 작물 정보 제공 서버에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입력 정보 획득 모듈(520)은 위탁자 단말(510), 주문자 단말(570) 등으로부터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액 처방 정보 획득 모듈(530)은 재배 포트 결정 모듈(540)에 의해 결정된 재배 포트에 기초하여, 양액 처방 정보를 생성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양액 처방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재배 포트 결정 모듈(540)은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고, 결정한 재배 포트를 미디어 실황중계 모듈(560)에게 알려줄 수 있다. 그에 따라, 미디어 실황중계 모듈(560)은 결정된 재배 포트에서의 재배 현황을 영상 등을 통해 위탁자 단말(510), 주문자 단말(570)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송시스템 관리 모듈(550)은 위탁자 단말(510) 또는 주문자 단말(570)로부터 주문 요청이 있는 경우, 배송지 정보를 획득하며, 배송지 정보에 따라 배송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또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본 개시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작물 종류에 관한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수확 목적에 관한 제2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수량에 관한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수확 희망 일자에 관한 제5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
    양액 처방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양액 처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에서 재배된 재배 작물이 수확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수확된 재배 작물을 주문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 또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 정보 또는 상기 재배 작물의 예상 판매액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하다고 식별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 수량 조절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확 목적은,
    자가 소비 목적, 선물 목적, 특정인 지정 판매 목적, 온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 또는 오프라인 스토어를 통한 판매 목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지역에 관한 제4 사용자 입력 정보는,
    상기 위탁자의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위탁자의 주소 정보, 상기 위탁자가 지정한 영역 정보, 또는 복수의 재배 영역 활용 여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을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에 수확 가능성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대기 기간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대기 기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대기 수락 응답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기 수락 응답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입력 정보 및 상기 재배 작물의 재배 기간에 기초하여, 상기 제4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영역에 재배 포트가 부족함 또는 상기 제5 사용자 입력 정보에 대응되는 기간에 수확 가능성이 특정 값보다 낮음 중 적어도 하나에 관한 조절 필요성을 식별하는 단계;
    상기 조절 필요성에 기초하여, 상기 위탁자의 단말에게 재배 수량 조절 요청 또는 대기 기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탁자의 단말로부터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재배 수량 조절 응답 또는 대기 수락 응답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배 포트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확 목적이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수확 목적이 타인에게 수확물을 제공하기 위함인 경우, 재배 중계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 중계 절차는,
    상기 위탁자의 단말 또는 상기 주문자의 단말 중 적어도 하나에게, 위탁자 정보, 재배자 정보, 재배지역 정보, 재배 작물 정보, 예상 수확일 정보, 또는 동일 작물에 대한 직전 거래액 정보, 재배 영상, 또는 재배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는 절차를 포함하는,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KR1020230141623A 2023-10-23 2023-10-23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KR102637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1623A KR102637191B1 (ko) 2023-10-23 2023-10-23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1623A KR102637191B1 (ko) 2023-10-23 2023-10-23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7191B1 true KR102637191B1 (ko) 2024-02-14

Family

ID=8989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1623A KR102637191B1 (ko) 2023-10-23 2023-10-23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71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52A (ko) * 2001-01-15 2001-04-06 강욱진 인터넷을 이용한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KR20150007668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43715A (ja) * 2013-08-28 2015-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植物育成装置
KR102588643B1 (ko) * 2022-12-05 2023-10-16 주식회사 어밸브 스마트팜 내의 작물 수율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팜 관리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52A (ko) * 2001-01-15 2001-04-06 강욱진 인터넷을 이용한 작물재배 정보제공 시스템
KR20150007668A (ko) * 2013-07-12 2015-01-21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식물공장의 자동화를 위한 맞춤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43715A (ja) * 2013-08-28 2015-03-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植物育成装置
KR102588643B1 (ko) * 2022-12-05 2023-10-16 주식회사 어밸브 스마트팜 내의 작물 수율을 예측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스마트팜 관리 서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6317B1 (ko) 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 파밍 방법
US20110208636A1 (en) Matching parties to a transaction for an agricultural commodity
CN106022814A (zh) 运用自适性机器学习以提供建议的系统和方法
US20200402116A1 (en) System,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or platform for efficient real estate value estimation and/or optimization
Gawith et al. Climate change costs more than we think because people adapt less than we assume
US2023006421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age enhancement
Nyikal et al. Risk preference and optimal enterprise combinations in Kahuro division of Murang'a district, Kenya
Rakhra et al. [Retracted] Implementing Machine Learning for Supply‐Demand Shifts and Price Impacts in Farmer Market for Tool and Equipment Sharing
KR101937397B1 (ko) 농축산업금융제공장치
WO2019147864A1 (en) System, software and methods for remote gardening
KR20200064699A (ko) 온라인을 통한 조경수 거래를 지원하는 관리서버
KR102637191B1 (ko) 자동 초점 카메라를 이용한 재배 작물 정보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Zuwarimwe et al. Factors influencing smallholder farmers decisions to participate in livestock markets in Namibia
KR20200103509A (ko) 소비자에게 개별화된 선주문이 가능한 농산물 선주문 생산 플랫폼 시스템
JP6722778B2 (ja) オーダーメード型ペット選択交配を利用したペット売買方法およびそれを実行するサーバー
KR20150000910A (ko) 온라인 임야 관리 시스템
KR101749242B1 (ko) 농업 홍보 방법 및 농업 홍보 장치
KR102458005B1 (ko) 동물복지 및 소규모 농가를 위한 위탁사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umar et al. Enhancing Smallholder Farmer Livelihoods through AI-Based E-Commerce Marketing for Agricultural Products
KR101201777B1 (ko) 이동 통신 단말을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 통합 육성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73355A (ko) 인공지능 낚시 채비 클라우드 펀딩 방법 및 시스템
KR102468347B1 (ko) 꽃배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uijssen et al. Inclusive business models for access to quality fish seed and technical assistance: Insights from Ghana
US11810144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inventory stock for variable weighted and variable priced agricultural products
JP2002073728A (ja) オーナー制農業生産物育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