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975B1 -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 Google Patents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975B1
KR102636975B1 KR1020217039009A KR20217039009A KR102636975B1 KR 102636975 B1 KR102636975 B1 KR 102636975B1 KR 1020217039009 A KR1020217039009 A KR 1020217039009A KR 20217039009 A KR20217039009 A KR 20217039009A KR 102636975 B1 KR102636975 B1 KR 10263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lass
coating layer
reflective coating
fingerprint recognition
fil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4709A (ko
Inventor
후아핑 우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20004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4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9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06V10/14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device performing the acquisition or on the illumination arrangements
    • G06V10/141Control of illu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4Image acquisition
    • G06V30/1431Illumination contro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Input (AREA)
  • Stroboscope Apparatus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하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커버 글라스(1), 디스플레이 모듈(2), 필라이트 램프(3) 및 지문인식 모듈(5)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및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은 적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은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커브 글라스(1)의 제1 표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또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를 향한다.

Description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9년 5월 29일 중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제201910456598.8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에 관한 것이다.
단말 장비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지문인식 모듈이 디스플레이 모듈 아래에 배치되는 설계 솔루션이 현재의 주류 설계 솔루션이 되었다. 실제 응용에서, 필라이트 램프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모듈의 아래 및 지문인식 모듈의 일측에 위치한다. 필라이트 램프로 보조 광선을 제공할 때, 필라이트 램프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백라이트 층, 디스플레이 모듈 및 커버 글라스를 차례로 통과하여 지문에 대한 보광을 완성한다. 적외선이 투과하는 구조가 많으므로, 적외선의 감쇠가 크고, 적외선의 보광 효과도 차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 방안은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제1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1 커버 글라스, 디스플레이 모듈, 필라이트 램프 및 지문인식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 글라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지문인식 모듈은 적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측은 상기 제1 커버 글라스의 제1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커브 글라스의 제1 표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는 또 상기 제1 커버 글라스를 향한다.
제2 양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라이트 램프가 제1 커버 글라스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 커버 글라스의 제1 표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측에 인접함으로써, 필라이트 램프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만 통과하면 보광이 완료되므로, 적외선의 감쇠를 줄이고, 나아가 적외선의 보광 효과를 개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며, 다음에 설명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나타내며, 당업자라면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서도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음이 분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의 조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의 광 전파 방향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의 구조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첨부된 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수단에 대해 명확하고 온전하게 설명하도록 하며, 여기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가 아니라 일부 실시예에 불과함이 분명하다. 본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의적인 노동을 거치지 않고 얻은 다른 모든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어서, 제1 커버 글라스(1), 디스플레이 모듈(2), 필라이트 램프(3) 및 지문인식 모듈(5)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및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은 적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은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커브 글라스(1)의 제1 표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또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를 향한다.
여기서,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또 디스플레이 모듈(2)에 백라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2)과 적층될 수 있는 백라이트 층(4)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백라이트 층(4)은 차례로 적층된 휘도향상필름, 확산필름, 도광판 및 반사필름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2)은 차례로 적층된 상부 편광편, 컬러 필터, 기판 및 하부 편광편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편광편은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하부 편광편은 백라이트 층(4)의 휘도향상필름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지문인식 모듈(5)은 백라이트 층(4)에 부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지문인식 모듈(5)은 차례로 배치된 렌즈, 가시광선 필터 및 지문인식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지문인식 모듈(5)은 연성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 실시예의 작동 원리는 다음 설명과 같다. 제1 커버 글라스(1)에 지문(도 1에서 A로 표시함)이 있을 때,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를 통과하여 지문에 조사될 수 있고, 지문을 만난 후 다시 제1 커버 글라스(1)로 반사된 적외선은 차례로 디스플레이 모듈(2) 및 백라이트 층(4)을 통과하여 지문인식 모듈(5)의 렌즈에 진입하고, 마지막에 지문인식 센서에 도달하며, 지문인식 센서는 적외선 신호를 전자파 신호로 변환하고, 전자파 신호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되고, 최종적으로 지문 이미지가 생성된다. 또한, 지문의 상이한 위치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의 강도가 일치하지 않으므로, 지문 이미지에서 상이한 위치에 해당하는 그레이 스케일이 서로 다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라이트 램프(3)가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 및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에 인접함으로써,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1)만 통과하면 보광이 완료되므로, 적외선의 감쇠를 줄이고, 나아가 적외선의 보광 효과를 개선한다.
선택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의 제1 영역에는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2 표면의 제2 영역에는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대향하는 두 개의 영역이다. 물론,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어긋나게 배치된 두 개의 영역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표면에 수직으로 투영된 제1 영역은 제2 영역과 부분적으로 겹친다.
여기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모두 가시광선이 통과될 수 있다. 즉 가시광선이 제1 커버 글라스(1)에 수직으로 입사될 때,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에 영향을 주지 않고, 가시광선의 전파 경로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디스플레이 모듈(2)의 표시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단,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적외선에 대한 투과율이 낮기 때문에,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1) 내에서 전파될 때,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 사이에서 적외선의 전반사 효과가 향상된다.
여기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적외선 차단 필터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두께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전자증발 이산화 타이타늄(TiO2)과 이산화규소(Si02) 박막을 이용하여 이온 플레이팅을 진행하고, 상기 코팅 필름의 분광 투과율의 중심 주파수 포인트를 조정하여 투과율이 가장 높은 중심 주파수 포인트가 가시광선의 주파수 구간에 놓이게 하며, 이를 통해 얻어진 코팅 필름은 제1 반사코팅층(101) 및 제2 반사코팅층(102)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가시광선을 전부 투과시키고, 적외선의 투과율을 낮추는 효과를 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버 글라스(1)에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고,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에서 적외선의 투과율이 낮으므로, 적외선이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 사이에서 반사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로부터 방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커버 글라스(1) 내에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커버 글라스(1)를 직접 투과하는 적외선의 수(적외선 손실을 줄임)가 감소되고, 나아가 지문에 대한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2 표면에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적외선에 대해 투과율이 0에 가깝고, 가시광선에 대해 투과율이 100%에 가까운 재질을 채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브 글라스(1)의 제1 표면에서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적외선이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되어 제1 커브 글라스(1)에 입사될 때, 적외선이 제1 반사코팅층(101)으로 인해 투과량이 적어지는 현상을 줄인다. 즉 제1 커버 글라스(1)에 입시되는 적외선의 수가 증가되어 지문에 대한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제1 커브 글라스(1)의 제2 표면에서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는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므로, 적외선이 직접 제1 커브 글라스(1)의 제2 표면에서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으로부터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출사되는 현상을 줄인다. 즉 제1 커버 글라스(1)에 입시되는 적외선의 수가 증가되어 지문에 대한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른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다.
여기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모두 직사각형 또는 타원형일 수 있다.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모두 직사각형인 경우, 제1 커브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는 각각 제1 반사코팅층(101)과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 및 제2 반사코팅층(102)과 대응되는 직사각형의 장변의 길이일 수 있다.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모두 타원형인 경우, 제1 커버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는 제1 반사코팅칭(101) 및 제2 반사코팅층(102)의 장축의 길이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을 참조하면,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이 어긋나게 배치되고, 필라이트 램프(3)와 가까운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면에서 필라으트 램프(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지 않고, 필라이트 램프(3)에서 멀어지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면에서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위치에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는 경우, 도 3의 B에서 표시된 영역의 폭과 C에서 표시된 폭이 같으면,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의 폭이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2 반사코팅층(102)의 폭과 동일함을 나타내고, B에서 표시된 영역의 폭이 C에서 표시된 영역의 폭보다 크면,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의 폭이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2 반사코팅층(102)의 폭보다 큼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가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적외선이 최종적으로 제1 반사코팅층(101)에 의해 제1 커버 글라스(1)를 통과하여 지문에 조사되어 지문에 대한 보광을 완료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다.
예컨대,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과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보다 작거나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가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으므로, 적외선이 제1 반사코팅층(101)에 조사될 때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를 통과하여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방출되는 적외선의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써 해당 제1 커버 글라스(1) 내에서 전파되는 적외선의 수가 증가되고, 지문에 대한 적외선의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커브 글라스(1)에 수직으로 투영된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의 영역에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 및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1 커버 글라스(1)에 수직으로 투영된 지문인식 모듈(5)의 영역에 제1 반사코팅층(101) 및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고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지문인식 모듈(5)과 대응되는 위치는 이미지로 강조될 수 있다. 예컨대, 디스플레이 모듈(2)에서 지문인식 모듈(5)과 대응되는 위치는 지문의 무늬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로써 사용자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해당 위치를 빠르고 정확하게 누를 수 있어 지문 이미지의 생성 속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커버 글라스(1)에 수직으로 투영된 지문인식 모듈(5)의 영역에 제1 반사코팅층(101) 및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적외선에 대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차단을 줄이고, 적외선이 지문인식 모듈(5)에 용이하게 입사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필라이트 램프(3)는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으며, 다음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서, 필라이트 램프(3)가 등심을 포함하고 필라이트 램프(3)와 등심이 모두 기둥체 구조이고, 필라이트 램프(3)의 축 방향이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과 수직되고, 필라이트 램프(3)의 축 방향과 등심의 축 방향이 경사각을 이룬다. 즉 필라이트 램프(3)의 축 방향과 등심의 축 방향은 평행되지 않는다. 다른 일 선택 가능한 방식으로서, 필라이트 램프의 축 방향과 등심의 축 방향이 평행되지만, 필라이트 램프(3)의 축 방향이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과 수직되지 않고, 경사각을 이룬다.
여기서, 필라이트 램프(3)는 다중 방향을 따라 전파되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고, 적외선은 주로 필라이트 램프(3)의 축 방향에 집중된다. 필라이트 램프(3)를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하는 경우, 대다수의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에 경사지게 입사될 수 있으며, 상기 대다수의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1)에 경사지게 입사됨으로써, 상기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반사 또는굴절되고, 최종적으로 제1 커버 글라스(1)에서 지문과 대응되는 위치로부터 출사되어 지문에 대한 보광이 형성되고, 지문에 대한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대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의 경사각은 제1 미리 설정된 각이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빛이 제1 커버 글라스(1)에 입사되는 입사각은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크거나 같으며, 여기서,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각은 전반사각이다.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빛은 적외선이고, 적외선의 입사각이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사이에서 전반사된다.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각의 계산식은 C=arcsin(n2 / n1)이고, C는 제2 미리 설정된 각을 표시하고, n1은 광학 밀도가 높은 매질의 굴절률을 표시하고, n2 는 광학 밀도가 낮은 매질의 굴절률을 표시한다. 입사각이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작은 적외선 중의 일 부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을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출사되고, 다른 일부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반사된다.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에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어 있고, 제1 커버 글라스(1)의 하부 표면에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1 반사코팅층(101) 및/또는 제2 반사코팅층(102)은 광학 밀도가 낮은 매질이고, 제1 커버 글라스(1)은 광학 밀도가 높은 매질이다. 또는 제1 반사코팅층(101) 및/또는 제2 반사코팅층(102)은 광학 밀도가 높은 매질이고, 반사코팅층 밖의 대기가 광항 밀도가 낮은 매질이다.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이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2 표면이고, 제1 커버 글라스(1)의 하부 표면이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이다.
여기서, 제1 미리 설정된 각의 결정 방식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적외선 중 특정 비례의 적외선의 입사각이 모두 제2 미리 설정된 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필라이트 램프(3)의 경사각은 제1 미리 설정된 각으로 결정될 수 있고, 상기 특정 비례의 구체적은 값에 대해 여기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50%, 55% 또는 6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D각이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크고, E각이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작은 경우, 입사각이 D각인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과 하부 표면 사이에서 전반사되고, 입사각이 E각인 적외선은 제1 커버 글라스(1)의 상부 표면을 통과하여 외부 환경으로 입사된다. 또한, 도 4 중의 n1은 광학 밀도가 높은 매질의 굴절률을 나타내고, n2는 광학 밀도가 낮은 매질의 굴절률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라이트 램프(3)는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되므로, 대다수의 적외선이 제1 커버 글라스(1)에 경사지게 입사되며, 이로써 반사되는 적외선의 수가 많아지고, 보광 효과가 향상된다. 또한, 적외선의 입사각이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크게 조절하는 것을 통해 적외선이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 사이에서 전반사되도록 함으로써, 적외선의 손실을 줄이고, 지문에 대한 보광 효과를 향상시킨다.
선택적으로,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제2 커버 글라스(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 글라스(6)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와 적층된다.
여기서, 제1 커버 글라스(1)와 제2 커버 글라스(6)의 형상, 사이즈 및 재질은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제1 커버 글라스(1) 및 제2 커버 글라스(6)를 포함하고, 제2 커버 글라스(6)는 제1 커버 글라스(1)의 위에 겹쳐지고,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제1 커버 글라스(1)에 형성된다. 이로써, 사용 과정에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마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용 수명이 연장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은 외부 환경 및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1 반사코팅층(101)과 제2 반사코팅층(102)의 공정 요건이 낮아지고, 가공 비용이 줄어든다.
선택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은 대향하는 제2 측 및 제3 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과 상기 제3 측은 각각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두 개의 상기 필라이트 램프(3)를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3 측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두 개의 필라이트 램프(3)가 배치되고, 상기 두 개의 필라이트 램프(3)가 각각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2 측 및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3 측에 인접하므로, 보광이 보다 균일해진다.
선택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적외선 감광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적외선 감광소자 중의 적외선 램프이다.
여기서, 상이한 응용 시나리오에서, 필라이트 램프(3)의 발광 세기 및 광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필라이트 램프(3)가 지문인식에 사용되는 경우, 필라이트 램프(3)가 고광도에 처하고 발광 세기가 높도록 제어하고, 필라이트 램프(3)가 근접 감지에 사용되는 경우, 필라이트 램프(3)가 저광도에 처하고 발광 세기가 낮도록 제어한다. 이로써, 필라이트 램프(3)의 발광 효과에 대한 제어가 보다 유연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필라이트 램프(3)는 적외선 감광소자(7) 중의 필라이트 램프(3)이므로, 필라이트 램브 및 해당되는 구동회로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가 없어 제조 비용이 절감된다.
도 1 내지 도 5 중의 화살표는 모두 적외선의 전파 방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단말 장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비는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발명 실시예에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추가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발명 실시예 중의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가 채용되었기 때문에, 상기 발명 실시예와 동일한 유액한 기술적 효과를 갖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첨부도면을 결부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된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전술된 특정 실시예는 제한적이 아니라 예시적일 뿐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주지 및 청구 범위에 따른 보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에 기반하여 다양한 변형을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2)

  1.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에 있어서,
    제1 커버 글라스(1), 디스플레이 모듈(2), 필라이트 램프(3) 및 지문인식 모듈(5)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 및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은 적층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은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 부착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일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의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또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를 향하며;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의 제1 영역에는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2 표면의 제2 영역에는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은 대향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1 표면에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제2 표면에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와 대응되는 영역에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이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상에 수직으로 투영된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이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상에 수직으로 투영된 영역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에 수직으로 투영된 상기 지문인식 모듈(5)의 영역에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 및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의 길이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1 반사코팅층(101)의 사이즈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의 폭 방향을 따르는 상기 제2 반사코팅층(102)의 사이즈보다 크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가 위치한 평면에 대한 상기 필라이트 램프(3)의 경사각은 제1 미리 설정된 각이고, 상기 필라이트 램프(3)에서 방출된 빛이 제1 커버 글라스(1)에 입사되는 입사각은 제2 미리 설정된 각보다 크거나 같으며, 상기 제2 미리 설정된 각은 전반사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제2 커버 글라스(6)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커버 글라스(6)는 상기 제1 커버 글라스(1)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2)은 대향하는 제2 측 및 제3 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측과 상기 제3 측은 각각 제1 측에 인접하고,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두 개의 상기 필라이트 램프(3)를 포함하고, 두 개의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제2 측 및 상기 제3 측에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는 적외선 감광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필라이트 램프(3)는 상기 적외선 감광소자 중의 적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9. 단말 장비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비.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217039009A 2019-05-29 2020-03-19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KR1026369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456598.8A CN110222618B (zh) 2019-05-29 2019-05-29 一种屏幕指纹组件及终端设备
CN201910456598.8 2019-05-29
PCT/CN2020/080250 WO2020238352A1 (zh) 2019-05-29 2020-03-19 屏幕指纹组件及终端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4709A KR20220004709A (ko) 2022-01-11
KR102636975B1 true KR102636975B1 (ko) 2024-02-14

Family

ID=67818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9009A KR102636975B1 (ko) 2019-05-29 2020-03-19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30279B2 (ko)
EP (1) EP3979125A4 (ko)
JP (1) JP7320080B2 (ko)
KR (1) KR102636975B1 (ko)
CN (1) CN110222618B (ko)
WO (1) WO20202383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22618B (zh) * 2019-05-29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指纹组件及终端设备
CN111107201B (zh) * 2019-12-26 2021-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1413834B (zh) * 2020-03-27 2022-06-1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64628A (zh) * 2018-10-15 2019-04-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装置及具有指纹识别功能的终端设备
US20190156096A1 (en) * 2015-07-09 2019-05-23 Gingy Technology Inc. Image capture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53968B2 (en) * 2013-08-01 2016-09-27 Albert M. David Optical touch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distributed band pass filter
TWI630502B (zh) * 2016-08-05 2018-07-21 金佶科技股份有限公司 取像裝置
CN104318204A (zh) * 2014-09-29 2015-01-28 上海箩箕技术有限公司 指纹成像系统及方法、指纹识别系统、电子设备
CN104680162B (zh) 2015-02-06 2018-11-23 广东光阵光电科技有限公司 环绕式指纹采集方法及其构造
US9971921B2 (en) 2015-08-07 2018-05-15 Shanghai Oxi Technology Co., Ltd Fingerprint image sensor and method for optical wireless communications using the same
WO2017070711A1 (en) * 2015-10-23 2017-04-27 Shenzhen Huiding Technology Co., Ltd. Optical fingerprint sensor and packaging
KR20180001055A (ko) * 2016-06-24 2018-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지문 센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이의 운용 방법
CN207250519U (zh) 2016-07-27 2018-04-17 创王光电股份有限公司 功能性薄膜结构及具有此功能性薄膜结构的显示装置
CN111950529B (zh) * 2017-05-17 2023-05-16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非接触成像能力的光学指纹传感器
TWI637324B (zh) * 2017-11-30 2018-10-01 大陸商北京集創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全屏指紋檢測功能的光學指紋檢測裝置
CN207601821U (zh) * 2017-11-30 2018-07-10 北京集创北方科技股份有限公司 纹路的光学检测装置及具有其的电子设备
CN109154961A (zh) * 2018-02-26 2019-01-0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利用透镜-针孔模块和其他光学设计的光学成像的lcd屏上光学指纹感测
CN207833542U (zh) * 2018-03-14 2018-09-07 印象认知(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屏
CN109376570A (zh) * 2018-07-09 2019-02-22 东莞市美光达光学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屏下指纹识别模组的微型补光照明系统
CN109190465A (zh) * 2018-07-26 2019-01-1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补光灯模组、指纹识别方法和终端设备
CN110826373B (zh) * 2018-08-10 2022-10-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面板及识别指纹的方法和指纹识别装置
EP3637305A4 (en) * 2018-08-15 2020-07-01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OPTICAL FINGERPRINT DETECTION SYSTEM UNDER A SCREEN, BACKLIGHT MODULE, DISPLAY SCREEN AND ELECTRONIC DEVICE
WO2020093355A1 (zh) * 2018-11-09 2020-05-1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指纹模组、指纹识别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803078A (zh) 2019-01-30 2019-05-24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
CN110222618B (zh) * 2019-05-29 2021-05-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屏幕指纹组件及终端设备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56096A1 (en) * 2015-07-09 2019-05-23 Gingy Technology Inc. Image capture apparatus
CN109564628A (zh) * 2018-10-15 2019-04-02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指纹识别方法、装置及具有指纹识别功能的终端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979125A4 (en) 2022-07-27
JP2022534283A (ja) 2022-07-28
US11830279B2 (en) 2023-11-28
WO2020238352A1 (zh) 2020-12-03
JP7320080B2 (ja) 2023-08-02
US20220084318A1 (en) 2022-03-17
CN110222618B (zh) 2021-05-25
CN110222618A (zh) 2019-09-10
EP3979125A1 (en) 2022-04-06
KR20220004709A (ko)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6975B1 (ko) 스크린 지문인식 어셈블리 및 단말 장비
US9891515B2 (en) Projection screen
JP7315688B2 (ja) 端末機器
CN110263773B (zh) 显示模组、显示装置及光栅膜材层的制作方法
WO2018223726A1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WO2015007063A1 (zh) 显示装置
TW201219922A (en) Planar light source device
CN110119046A (zh) 一种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20160178965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CN212694100U (zh) 一种防窥膜及显示装置
CN105511220B (zh) 掩膜版
CN112230474B (zh) 显示装置
CN110807374B (zh) 液晶显示面板
JP2003346509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と液晶モジュールに使用される線状光源
WO2023035928A1 (zh) 光学透镜以及光学检测设备
CN114649494A (zh) 一种光学保护基板及制备方法、显示装置
CN111754876B (zh) 一种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KR102185960B1 (ko) 반사도트들이 구비된 검사용 조명장치
JP7197990B2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
US20230240121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JP2002365629A (ja) 液晶表示装置
CN115542611B (zh) 背光模组以及显示装置
JP2003066237A (ja) 表示装置
TWI815640B (zh) 光學元件及應用其的顯示裝置
CN115101698A (zh) 显示面板及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