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70B1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636870B1 KR102636870B1 KR1020230130211A KR20230130211A KR102636870B1 KR 102636870 B1 KR102636870 B1 KR 102636870B1 KR 1020230130211 A KR1020230130211 A KR 1020230130211A KR 20230130211 A KR20230130211 A KR 20230130211A KR 102636870 B1 KR102636870 B1 KR 102636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 light emitting
- liquid
- emitting device
- ligh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4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 h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JLVVSXFLKOJNIY-UHFFFAOYSA-N Magnesium ion Chemical compound [Mg+2] JLVVSXFLKOJN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861 Mg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63 adsorb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24 b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942 carboxyl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875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18 electrochemist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98 insolu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25 magnes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WPBNNNQJVZRUHP-UHFFFAOYSA-L manganese(2+);methyl n-[[2-(methoxycarbonylcarbamothioylamino)phenyl]carbamothioyl]carbamate;n-[2-(sulfidocarbothioylamino)ethyl]carbamodithioate Chemical compound [Mn+2].[S-]C(=S)NCCNC([S-])=S.COC(=O)NC(=S)NC1=CC=CC=C1NC(=S)NC(=O)OC WPBNNNQJVZRUHP-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00 uri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463 white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05—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the device being a pocket lamp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46—Alloys based on magnesium or aluminium
- H01M4/466—Magnesium bas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73—Containers for storing liquids; Delivery conduits theref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체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마그네슘과 산소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액체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낚시, 등산, 캠핑 등의 아웃도어(outdoor) 액티비티(activity)를 즐기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야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건 및 사고 발생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야외에서는 해가 지고 어두운 환경에서 조난, 낙상 등의 사건 및 사고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 높아지며, 따라서 이러한 사건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손전등 등의 빛을 발생시키는 조명 기구가 필요하다.
실내 환경과는 다르게 야외에서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한 기구는 배터리(battery)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야 한다.
배터리는 크게 1차 전지와 2차 전지로 분류되며, 1차 전지는 일회용 전지로 1회 방전 후 충전이 불가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한 배터리이며, 2차 전지는 다회용 전지로 방전 후 충전을 하여 재사용하는 방식의 배터리이다.
1차 전지 및 2차 전지는 각각 장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1차 전지는 2차 전지에 비해 안전하고 전력량 대비 부피와 무게가 작다는 장점이 있고, 2차 전지는 안전, 부피, 무게 측면에서 1차 전지보다 스펙이 떨어질 수는 있으나, 충전하여 다회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장단점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배터리이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비상시 사용하거나, 야외 행사 등의 목적으로 일회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손전등으로는 2차 전지보다는 1차 전지를 사용하는 손전등이 적합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체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는 전술한 배경기술에 대응하여 안출된 것으로, 액체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마그네슘과 산소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main body); 및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바디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액체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메인 바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cover) -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커버에 장착됨 - ;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에서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 저장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분사 입력부로부터의 액체를 분사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제 1 층에 구리를 포함하고, 제 2 층에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 3 층에 물질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4 층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4층 구조의 전력 발생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개의 상기 전력 발생 유닛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음극에 대응되는 제1접속단자 및 양극에 대응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 고리가 통과하여 걸리는 형태로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의 일면에, 상기 고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장치는 상기 커버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의 돔(do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발광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하는 덮개 겸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덮개 겸 받침부는 상기 발광 장치의 상단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물리적으로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발광 장치의 하단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발광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주고 상기 배터리에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배터리 주변의 물을 감지하는 제 1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제 1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와 액체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액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발광부의 전력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와 전력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전력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상기 발광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3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 공급부의 동작이 중단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적은 양의 액체를 이용하여 발생된 전력을 사용하는 발광 장치가 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로 기재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양상(들)이 이러한 특정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다른 예시들에서, 공지의 구조들 및 장치들이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기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측면 및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측면 및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감지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제 2 등과 같은 표현들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더불어, 용어 "또는"은 배타적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또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본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 요소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 요소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 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 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 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 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 "기구" 및 "장치"는 종종 서로 상호교환 가능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에서, 발광 장치는 전력을 이용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 장치는 전기를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유닛(예컨대, LED(light-emitting diode)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형태의 디바이스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은 전압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금속, 전선 또는 무선 등으로 연결되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발광 장치(100)는 메인 바디(110)와 발광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발광 장치(100)는 커버(cover)(13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0)는 발광 장치(100)의 본체에 대응하며, 액체, 마그네슘과 산소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0)는 발광 장치(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는 물, 소변, 침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20)는 메인 바디(110) 및/또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120)는 배터리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20)는 백열전구, 형광등, LED 전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0)는 배터리의 적어도 일 단부와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력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100)는 배터리로 공급될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 저장부(미도시) 및 메인 바디(110)의 분사 입력부로부터의 액체를 분사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액체 저장부로부터 배터리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분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저장부는 탱크(tank)나 수조 형태로 발광 장치(100)의 일부분에 및/또는 발광 장치(100)와는 별도의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부는 스프레이(spray), 호스(hose), 수도관 형태의 기구일 수 있다. 일례로, 액체 분사부는 메인 바디(10)의 외면에 위치한 사용자 입력부(예컨대, 버튼)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 가능하다. 이러한 예시에서, 액체 분사부는 사용자 입력부의 입력 강도, 또는 입력 지속시간에 기초하여 분사될 액체의 속도 또는 분사될 액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입력부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의 지속시간에 비례하여 시간 당 분사될 액체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부는 액체 저장부와 배터리 간의 액체의 공급 혹은 차단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부는 슬라이딩 가능한 도어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액체 저장부의 액체를 배터리로 전달하기 위하여, 도어의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배터리로 이동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도어가 개방 위치에 있는 경우,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배터리로 이동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허용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액체 분사부는 힌지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어서, 양 측부의 도어들이 힌지 운동함에 따라 액체 저장부의 액체가 배터리로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100)는 다양한 센서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들은 발광 장치(100)의 외면에 연결되거나, 내부에 포함되거나 또는 발광 장치(100)와 이격된 별도의 장치에 위치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들은 발광 장치(100)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 장치(200)의 동작을 트리거링(triggering)하기 위한 센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들이 발광 장치(100)의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센서들은 발광 장치(100)의 수분 공급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수분 공급부 상에서의 수분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들이 발광 장치(100)의 발광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들은 발광부의 발광량(예컨대, 조도 등의 빛의 세기)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센서들이 발광 장치(100)의 내부의 배터리 주변에 위치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량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체 분사부는 액체 공급부 또는 배터리 주변의 물을 감지하는 제 1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서는 액체 공급부 및/또는 배터리에 결합되어 액체 공급부 및/또는 배터리에 존재하는 수분 및/또는 액체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센서는 두 개의 전극 사이의 전기 저항이 습도나 수분 함량에 따라 변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습도가 증가하면 전기 저항이 감소하는 저항성 수분 센서(Resistive Moisture Sensor), 토양 또는 물체와의 접촉 부분 사이의 전기용량을 측정하여 수분 함량을 감지하여 수분 함량이 증가하면 전기 용량이 증가하는 용량성 수분 센서(Capacitive Moisture Sensor), 토양이나 물체의 습도를 측정하기 위해 빛의 흡수나 반사를 측정하여 물체나 토양의 습도가 증가하면 광학 센서가 감지한 빛의 특성이 변화하게 하는 광학 수분 센서(Optical Moisture Sensor), 물 또는 액체 흐름을 감지하고 수분 함량을 측정하여 유량이나 물체의 전체 무게에서 물의 부분을 추정하여 수분 함량을 계산하는 유량 기반 수분 센서(Flow-Based Moisture Sensor), 마이크로파 파장을 사용하여 물체의 습도를 감지하는 마이크로파 수분 센서(Microwave Moisture Sensor), 전기 접촉을 사용하여 액체의 전기 전도성을 측정하거나, 저항, 용량, 인덕턴스 등을 이용하여 액체를 감지하는 접촉 센서(Contact Sensor), 빛의 투과나 반사를 측정하여 액체의 수위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광학 센서 (Optical Sensor), 전기용량을 측정하여 액체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용량 센서(Capacitive Sensor) 및/또는 액체의 전도도를 측정하여 액체의 종류나 농도를 확인하는 전도도 센서(Conductivity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센싱 데이터는 제 1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액체의 존재 여부, 액체의 양 등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부는 제 1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센싱 데이터와 액체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액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액체가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분사부는 제 1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공급될 액체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임계값은 ml 단위의 액체 양 또는 %단위의 수분 함량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부는 배터리 및/또는 발광부의 전력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센서는 배터리 및/또는 발광부 내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장의 변화에 의한 전류를 측정하는 헐(Hall) 센서, 회로의 저항을 측정하고, 전류와 저항에 따라 전압을 계산하여 전력을 측정하는 저항/전압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분사부는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센싱 데이터와 전력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제 2 센싱 데이터의 값이 전력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의 최대 조도가 500lux 인 경우, 전력 임계값은 250lux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100)는 발광 장치(100)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온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100)는 제 3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3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체 공급부의 동작이 중단되거나 및/또는 배터리와 상기 발광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미도시)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치는 비전도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터리와 발광부 간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는 배터리와 발광부 간의 연결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차단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스위치는 비용해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액체 공급부의 동작을 중단시키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는 액체 공급부에서 배터리로 향하는 부분을 막는 차단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센서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 선으로 구성되며, 이 두 선의 연결점에서 발생하는 열전력을 측정하여 온도를 계산하는 서밋센서(Thermocouple), 전기 저항이 온도에 따라 선형적으로 변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RTD (Resistance Temperature Detector), 반도체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도에 따라 전기 저항이 크게 변화하는 총포핀센서(Thermistor), 물체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복사를 측정하여 온도를 계산하는 적외선 온도 센서(Infrared Temperature Sensor) 및/또는 온도에 따라 생성되는 열전력을 감지하고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여 온도를 계산하는 열전대(Thermopile)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미도시)는 메인 바디(210)에 연결된 스위치(220)에 대응되거나 또는 별개의 스위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미도시)는 액체 공급부와 배터리, 배터리와 발광부 및/또는 배터리 내의 전기적인 접촉 등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조의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미도시)는 센서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및/또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수동 작동의 예시에서, 스위치는 메인 바디(110)의 외면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에 인가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동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공급부는 메인 바디(210)의 일단에서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공급부는 메인 바디(210)의 밑단에서 액체와 접촉하는 경우, 삼투압 등의 원리에 의해, 액체를 흡수하는 구조 및/또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130)는 덮개 겸 받침부(13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겸 받침부(130)는 메인 바디(110)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130)는 참조번호 100의 발광 장치(100)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상단에 결합되거나 또는, 참조번호 140의 발광 장치(100)와 같이 메인 바디(110)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겸 받침부(130)는 발광 장치(100)의 상단에 결합하는 경우, 발광부(120)를 덮음으로써 덮개로 사용되고, 발광부(120)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물리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덮개 겸 받침부(130)는 발광부(120)에서 발생하는 빛을 반사시켜 덮개 겸 받침부(130)의 외부로 방출되는 양을 차단하거나, 빛을 분산시키거나, 빛의 파장을 변환시켜 육안으로 보이는 색상을 바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겸 받침부(130)는 플라스틱과 같은 고분자화합물로 이뤄진 소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덮개 겸 받침부(130)는 발광 장치(100)의 하단에 결합하는 경우, 발광 장치(100)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주고, 덮개 겸 받침부(130)의 내부에 액체를 보관하여 배터리에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참조번호 140은 발광 장치(100)의 발광부(120)에서 빛이 발생하는 일례의 도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20)는 빛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액체와 접촉하여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장치(100)의 또다른 예시는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배터리가 액체와 접촉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구체적인 예시는 이하 도 3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가 장착된 발광 장치(200)가 개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200)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210), 메인 바디(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스위치(220)와 커버(230),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240)가 커버(230)에 장착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220)는 배터리와 발광부(240)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220)는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발광부(240)가 장착된 커버(230)와 접촉하는 경우, 배터리의 전력을 발광부(240)로 전달하여 발광부(240)가 빛을 발생시키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스위치(220)와 커버(23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이 해제되는 경우, 발광부(240)로 공급되는 전력이 차단되어 발광부(240)는 빛을 더 이상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220)는 한쪽 면에 양극에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양극의 반대면에 음극에 대응되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극에 대응되는 물질은 구리 등을 포함하는 동판일 수 있으며, 음극에 대응되는 물질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220)는 발광부(240)의 음극 및 양극에 대응되는 부분에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220)는 메인 바디(210)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스위치(220)의 구조, 위치, 형태 등은 도면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30)는 음극에 대응되는 제1접속단자(232) 및 양극에 대응되는 제2접속단자(233)를 포함하고, 제1접속단자(232) 및 제2접속단자(233)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단자(232) 및 제2접속단자(233)는 발광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접속단자(232) 및 제2접속단자(233)는 커버(230)가 메인 바디(210)에 부착되었을 때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발광부(2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단자(232) 및 제2접속단자(233)는 각각 스위치(220)의 양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메인 바디(210)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30)는 커버(230)에 고리가 통과하여 걸리는 형태로 결합 가능하도록 커버(230)의 일면에, 고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231)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리 또는 고리와 유사한 형태의 장치가 구멍(231)을 통과하면 발광 장치(200)는 고리와 연결되어, 사용자는 발광 장치(200)와 연결된 고리를 다른 곳에 거는 형태로 연결하여 발광 장치(200)를 원하는 곳에 걸어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200)는 커버(230)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는 돔(dome)(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돔(250)은 발광부(240)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일 수 있으며, 반구형, 직사각형 등의 다양한 형태 및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돔(250)은 커버(230)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200)는 돔(250)의 형태 및 색상에 따라 다양한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돔(250)이 반구형의 파란 색인 경우, 발광 장치(200)가 비추는 외부에는 반구형의 파란 불빛이 비춰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230)는 커버(230)의 일부에 돔(250)과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여, 돔(250)과 커버(230)는 끼움 결합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20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경우의 커버(230)의 기능(발광부(240)의 조도를 제어)과 발광 장치(200)의 하부에 결합되는 경우의 커버(230)의 기능(발광 장치(200)에게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전력 발생 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발생 유닛(300)은 제 1 층(310)에 구리를 포함하고, 제 2 층(320)에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 3 층(330)에 물질, 구체적으로 음극과 양극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4 층(340)에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층(330)은 나머지 층들보다는 좀더 돌출된 형태로, 직접적으로 액체를 흡수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층(330)은 직접 액체와 접촉하거나, 액체 공급부로부터 액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 3 층(330)이 액체와 접촉하여 액체를 흡수하는 경우, 액체로부터 공급된 이온들에 의하여, 이온의 이동 및 통과를 용이하게 하여,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기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3 층(330)에 액체가 공급되지 않은 경우, 음극과 양극을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발생 유닛(330)은 제 3 층(330)이 액체를 공급받은 경우, 제 4 층(340)에서 마그네슘이 산화되어 방생된 전자가 전선 등을 타고 제 1 층(310)의 구리로 이동하여 구리를 환원 시키는 방식으로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층(320)은 활성숯, 활성탄일 수 있으며, 활성탄은 일부 형태의 배터리나 연료 전지에서 전기화학 촉매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활성탄이 전자와 산소 간의 반응을 촉진하고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층(320)은 전극 소재의 구조적인 지원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활성탄은 전극 소재와 함께 사용되어 전극의 안정성을 높이고 전극 소재의 입자들을 잘 유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층(320)은 전해질 분리막의 지지체로, 전해질과 전극 사이를 분리하면서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층(320)은 배터리에서 전극 소재에 부착되어 활성 물질의 분산을 향상시키거나 전극의 특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는 화살표(350)와 같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전자가 이동하는 경로에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3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을 소모하는 장치(360)는 발광부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전력을 발생하기 위한 방법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는 복수개의 전력 발생 유닛(410)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에서 전력 발생 유닛(410)이 한 개의 층만으로 구비되는 경우, 전력은 1.5 내지 1.6V의 전압으로, 단위 면적(cm²)당 5mA로 방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에 전력 발생 유닛(410)이 n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경우, 전압은 1.5 내지 1.5V의 n배가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발생 유닛(410)이 한 개의 층인 경우, 1 내지 2 ml 양의 액체가 꾸준히 공급되는 경우 발광부는 168시간동안 빛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력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력 발생 유닛(410)이 한 개의 층인 경우, 1ml의 액체가 공급되는 경우, 약 10시간 동안 발광부가 최대 밝기를 유지할 수 있으며, 10시간 이후 발광부의 밝기가 감소하는 경우, 다시 동일한 양의 물을 공급하여 최대 밝기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는 마그네슘을 보충함으로써 재사용 또는 연속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는 액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발화 위험이나 유해성이 없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400)는 액체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최대 10년 이상 보관할 수 있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액체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서, 발광 장치(200)의 사용에 대한 사용자 경험이 증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200)는 복수의 센서들을 활용하여, 발광 장치(200)의 동작의 자동화뿐만 아니라 발광 장치(200)의 동작의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또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장치는 메인 바디(1110), 배터리(1120), 발광유닛(1130) 및 돔(114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10)는 배터리(1120)를 수용하기 위해 상측이 개방된 수용공간(1111)이 내부에 마련되고, 하단부에는 수용공간(1111)으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1112)가 형성되고, 상단부 양측에는 배터리(1120)의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양극 집전판(1124)을 각각 노출시킬 수 있는 노출홈(11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메인 바디(1110)가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액체 주입구(1112)는 빠른 시간에 많은 양의 액체가 수용공간(1111)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1111)의 하단이 개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메인 바디(1110)의 수용공간(1111) 내에 수용된 배터리(1120)가 액체 주입구(1112)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액체 주입구(1112)의 양측에는 배터리(112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는 걸림턱(1114)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공간(1111)과 접하는 양측 내벽면에는 수용공간(1111) 내에 수용된 배터리(1120)를 적층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돌기(1115)가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가압돌기(1115)는 복수 마련되고 배터리(1120)의 폭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바디(1110)의 수용공간(1111) 내에 수용된 배터리(1120)를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압박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1120)의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20)는 마그네슘 음극판(1121), 세퍼레이터(1122), 산소 흡착층 및 양극 집전판(1124)이 차례로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도 3을 참조하여, 마그네슘 음극판(1121)은 제 4 층(340)에 대응되고, 세퍼레이터(1122)는 제 3 층(330)에 대응되고, 산소 흡착층은 제 2 층(320)에 대응되고, 양극 집전판(1124)은 제 1 층(310)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그네슘 음극판(1121)은 마그네슘 또는 마그네슘 합금 AZ31, AZ61, AZ91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산소 흡착층은 양극 활물질로서 공기 중의 산소를 흡착하는 활성탄, 다가의 카복실산염, 망간 및 금속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세퍼레이터(1122)는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산소 흡착층 사이에 설치되어 이온의 통과를 허용하고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산소 흡착층을 분리한다. 이러한 세퍼레이터(1122)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글라스 섬유, 여과지 등, 절연성 및 액체를 잘 흡수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며, 건조 상태로 제공되고 사용시 액체를 흡수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양극 집전판(1124)은 도전체로 이루어지고 산소 흡착층에 접속되어 산소 흡착체(1123)에 전자를 공급한다. 양극 집전체는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마그네슘 음극판(1121), 세퍼레이터(1122), 산소 흡착층 및 양극 집전판(1124)은 차례로 적층되고, 서로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 면적이 증가할수록 전류가 증가하므로 필요 용량의 전류에 따라 접촉 면적이 조절될 수 있고, 필요 전압에 따라 복수 개의 배터리(1120)가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20)는 세퍼레이터(1122) 및 산소 흡착층으로 액체가 공급되면 마그네슘 음극판(1121)이 마그네슘 이온을 발생하고(2Mg → 2Mg2 + 4e), 산소 흡착층이 공기 중의 산소를 흡착하고 환원하여 수산화 액체 이온을 발생(O2 + 2H2O + 4e → 4OH-)시키는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마그네슘-공기 전지(Magnesium-Air Battery)의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서, 세부 구성 및 작동 원리는 공지기술에 해당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Metal-air batteries: from oxygen reduction electro chemistry to cathode catalysts, F. Cheng et al, Chem.Soc.Rev., 2012,41,2172-2192)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10)의 수용공간(1111) 내에 수용된 배터리(1120)는 메인 바디(1110)의 상단 일측 노출홈(1113)을 통해 음극인 마그네슘 음극판(1121)이 노출되고, 타측 노출홈(1113)을 통해 양극인 양극 집전판(1124)이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20)는 동작시 전압이 1.5~1.6V(하나의 배터리(1120))를 나타내고 중속 방전(~5㎃/㎠)이 가능하고, 전해질이 염수이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발화 위험이 없고, 액체 공급이 없는 상태에서 장기 보관이 가능하고, 충전은 불가능하지만 마그네슘 음극판(1121) 및 전해질을 보충함으로써 연속 사용이 가능하고, 적은 양의 액체(1~2㎖)로도 168시간 이상 전기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유닛(1130)는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배터리(1120)에서 생성된 전기를 공급받아 조명광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커버(1131), 커버(1131)의 상면에 고정되는 발광부(1132) 및 발광부(1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배터리(1120)의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양극 집전판(1124)에 각각 접속할 수 있는 한 쌍의 접속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버(1131)는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대하여 일측 방향과 타측 방향으로 각각 결합될 수 있는 수용홈(1131a)이 저면부에 형성되고, 수용홈(1131a)과 접하는 양측 내벽면에는 메인 바디(1110)의 노출홈(1113)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1131b)가 각각 형성된다. 예컨대,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수용홈(1131a)은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는 직사각형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발광부(1132)는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질 수 있고, 한 쌍의 접속단자는 발광부(1132)의 음극 단자에 연결되고 수용홈(1131a)과 접하는 커버(1131)의 일측 돌기부(1131b)에 배치되는 제1접속단자(1133)와, 발광부(1132)의 양극 단자에 연결되고 수용홈(1131a)과 접하는 커버(1131)의 타측 돌기부(1131b)에 배치되는 제2접속단자(1134)로 구성된다.
즉, 커버(1131)가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발광부(1132)의 음극에 연결된 제1접속단자(1133)가 마그네슘 음극판(1121)에 접속되고 발광부(1132)의 양극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1134)가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됨에 따라 발광부(1132)가 발광하여 조명광을 제공하고, 커버(1131)가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타측 방향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발광부(1132)의 음극에 연결된 제1접속단자(1133)가 양극인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되고 발광부(1132)의 양극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1134)가 음극인 마그네슘 음극판(1121)에 접속됨에 따라 발광부(1132)가 발광하지 않는다.
따라서, 배터리(1120)에 액체를 공급하여 전기가 생산되는 도중에서도, 조명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1131)를 일측 방향으로 조립하고, 조명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1131)를 타측 방향으로 조립하는 등, 커버(1131)의 조립방향에 따라 발광유닛(1130)의 온/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노출홈(1113)은 메인 바디(1110)의 양측면에 비대칭 형태로 배치하고, 한 쌍의 접속단자 역시 노출홈(1113)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도록 비대칭 형태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커버(1131)를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일측 방향으로 결합하였을 때에만 한 쌍의 접속단자가 마그네슘 음극판(1121) 및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하고, 반대의 경우 접속단자가 마그네슘 음극판(1121) 및 양극 집전판(1124)과 접속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돔(1140)은 투광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발광부(1132)로부터 제공되는 조명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광확산층을 포함하며, 커버(1131)의 상측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광확산층은 투광성 수지 내에 포함되는 유백색의 안료나 염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투광성 수지 내에 광 확산을 위한 비드나 기공을 형성하거나, 표면에 광 확산을 위한 미세 요철을 형성하는 등, 다양한 형태의 광 확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커버(1131)의 상면에는 돔(1140)의 하단부가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131c)이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홈(1131c)은 돔(1140)의 하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돔(1140)을 분리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홈(1131c)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정도의 결합력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커버(1131)의 상면에는 결합홈(1131c) 대신 영구자석을 배치하고, 돔(1140)의 하단에는 영구자석에 달라붙을 수 있는 영구자석 또는 자성체를 배치함으로써, 돔(1140)과 커버(1131)의 결합 상태가 자력에 의해 유지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광부(1132)의 밝은 조명광이 필요할 때에는 돔(1140)을 발광유닛(1130)으로부터 분리한 상태로 사용하고, 무드등과 같은 은은한 조명이 필요할 때에는 돔(1140)을 발광유닛(1130)에 결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측면 및 평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메인 바디(1110)의 내부 수용공간(1111)에는 배터리(1120)를 구성하는 마그네슘 음극판(1121), 세퍼레이터(1122), 산소 흡착체(1123) 및 양극 집전판(1124)이 차례로 적층된 상태로 수용되며, 배터리(1120)의 양측 외곽에 배치된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양극 집전판(1124)은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된 노출홈(1113)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는 발광유닛(1130)의 커버(1131)가 탈착 가능한 상태로 조립될 수 있는데, 커버(1131)가 조립된 상태에서 발광부(1132)의 음극에 연결된 제1접속단자(1133)는 마그네슘 음극판(1121)에 접속되고, 발광부(1132)의 양극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1134)는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될 수 있다.
다만,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20)는 세퍼레이터(1122) 및 산소 흡착체(1123)에 액체가 공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기를 생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발광유닛(1130)의 커버(1131)가 조립되어 발광부(1132)와 배터리(112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만으로는 발광부(1132)가 점등하지 않으므로, 메인 바디(1110)에 발광유닛(1130)을 조립한 상태로 장기간 보관 및 유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10)의 하단에 형성된 액체 주입구(1112)로 액체를 공급하면, 배터리(1120)가 전기를 발생시키고, 이에 따라 제1접속단자(1133)와 제2접속단자(1134)를 통해 배터리(1120)의 마그네슘 음극판(1121)과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된 발광부(1132)가 발광하면서 조명광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1110)의 수용공간(1111)과 접하는 양측 내벽면에 형성된 다수의 가압돌기(1115)가 배터리(1120)를 적층 방향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균등하게 압박하므로, 배터리(1120)를 구성하는 마그네슘 음극판(1121), 세퍼레이터(1122), 산소 흡착체(1123) 및 양극 집전판(1124)들의 접촉 면적이 증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터리(1120)의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 바디(1110)의 액체 주입구(1112)를 통해 배터리(1120)로 액체를 공급한 이후에는, 배터리(1120)가 계속 전기를 생산하기 때문에 조명광의 필요 여부에 따라 발광부(1132)를 온/오프 제어할 필요가 있다. 다만, 메인 바디(1110)로부터 커버(1131)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메인 바디(1110)의 내부 수용공간(1111)에 수용된 배터리(1120)가 외부로 이탈할 우려가 있으므로 커버(1131)는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131)가 일측 방향, 타측 방향으로 각각 메인 바디(1110)에 결합되도록 하고, 커버(1131)의 결합 방향에 따라 발광부(1132)의 온/오프가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시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의 (a)와 같이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커버(1131)를 일측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발광부(1132)의 음극에 연결된 제1접속단자(1133)가 배터리(1120)의 음극인 마그네슘 음극판(1121)에 접속되고 발광부(1132)의 양극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1134)가 배터리(1120)의 양극인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됨에 따라 발광부(1132)가 발광하여 조명광을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도 7의 (b)와 같이 메인 바디(1110)의 상단부에 커버(1131)를 타측 방향으로 결합한 상태에서는, 발광부(1132)의 음극에 연결된 제1접속단자(1133)가 배터리(1120)의 양극인 양극 집전판(1124)에 접속되고 발광부(1132)의 양극에 연결된 제2접속단자(1134)가 배터리(1120)의 음극인 마그네슘 음극판(1121)에 접속됨에 따라 발광부(1132)가 발광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120)에 액체를 공급하여 전기가 생산되는 도중, 조명광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버(1131)를 일측 방향으로 조립하고, 조명광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1131)를 타측 방향으로 조립하는 등, 커버(1131)의 조립방향에 따라 발광유닛(1130)의 온/오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발광 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바디(1110)의 수용공간(1111) 양측에 배터리(1120)를 적층 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재(1150)를 추가로 배치하는 점에서 다른 실시예와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재(1150)는 파형의 형태로 절곡되어 볼록한 부분과 오목한 부분이 교대로 반복 배치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볼록한 부분은 각각 가압돌기(1115')로서 기능하므로, 배터리(1120)를 적층 방향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가압하는 동시에, 전체 면적에 대하여 균등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150)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 및 팽창할 수 있는 판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액체를 빨아들이는 것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는 흡습팽창부재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가압부재가 배터리(1120)를 적층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은 가압면의 중앙 부분이 양측 끝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게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는 배터리(1120)에 전체적으로 균등한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중앙 부분의 두께를 양측 끝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껍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개시를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개시는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 발광 장치로서,
마그네슘과 산소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main body);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 저장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분사 입력부로부터의 액체를 분사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액체 공급부 또는 상기 배터리 주변의 물을 감지하는 제 1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1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바디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cover) -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상기 발광부가 상기 커버에 장착됨 - ;
를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는 상기 메인 바디의 외면에 위치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부는,
상기 메인 바디의 일단에서 액체를 흡수하도록 구성되는,
발광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제 1 층에 구리를 포함하고, 제 2 층에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제 3 층에 물질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separator)를 포함하고, 그리고 제 4 층에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4층 구조의 전력 발생 유닛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복수개의 상기 전력 발생 유닛이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되는,
발광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음극에 대응되는 제1접속단자 및 양극에 대응되는 제2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는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제1접속단자 및 상기 제2접속단자는 상기 커버가 상기 메인 바디에 부착되었을 때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발광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에 고리가 통과하여 걸리는 형태로 결합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의 일면에, 상기 고리가 통과할 수 있는 구멍을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상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끼움결합되고, 상기 발광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형태의 돔(dome);
을 더 포함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상단 또는 하단에 결합하는 덮개 겸 받침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덮개 겸 받침부는
상기 발광 장치의 상단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발광부를 덮음으로써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빛을 물리적으로 조절하고, 그리고
상기 발광 장치의 하단에 결합하는 경우, 상기 발광 장치를 안정적으로 지탱해주고 상기 배터리에 액체를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발광 장치.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제 1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와 액체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액체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발광 장치.
- 발광 장치로서,
마그네슘과 산소 간의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성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메인 바디(main body);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배터리로부터 상기 생성된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부;
상기 배터리로 공급될 액체를 보관하는 액체 저장부; 및
상기 메인 바디의 분사 입력부로부터의 액체를 분사할지 여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액체 저장부로부터 상기 배터리로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액체 분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바디는, 상기 배터리의 적어도 일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전력 생성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되는 액체를 상기 배터리로 공급하는 액체 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배터리 또는 상기 발광부의 전력을 감지하는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2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발광 장치.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분사부는 상기 제 2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와 전력 임계값 간의 비교를 수행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센싱 데이터의 값이 상기 전력 임계값 보다 작은 경우 상기 액체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발광 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장치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3 센서;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 장치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제 3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제 3 센싱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액체 공급부의 동작이 중단되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와 상기 발광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가 동작하여 상기 발광부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는,
발광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0211A KR102636870B1 (ko) | 2023-09-27 | 2023-09-27 | 발광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130211A KR102636870B1 (ko) | 2023-09-27 | 2023-09-27 | 발광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36870B1 true KR102636870B1 (ko) | 2024-02-15 |
Family
ID=8989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30211A KR102636870B1 (ko) | 2023-09-27 | 2023-09-27 | 발광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36870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5535A (ja) * | 2008-06-09 | 2009-12-17 | Rogosu Corp:Kk | ランタン |
JP3183369U (ja) * | 2013-02-25 | 2013-05-16 | 一般社団法人 Suwei | 空気電池のための収容体 |
JP2017120702A (ja) * | 2015-12-28 | 2017-07-06 | 株式会社エムグロー | 電灯装置 |
KR102366298B1 (ko) * | 2021-06-15 | 2022-02-23 | 주식회사 미성 | 휴대용 충전식 발열난로 |
KR102413183B1 (ko) | 2019-08-02 | 2022-06-23 | 정윤교 | 비상 손전등 |
-
2023
- 2023-09-27 KR KR1020230130211A patent/KR10263687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9295535A (ja) * | 2008-06-09 | 2009-12-17 | Rogosu Corp:Kk | ランタン |
JP3183369U (ja) * | 2013-02-25 | 2013-05-16 | 一般社団法人 Suwei | 空気電池のための収容体 |
JP2017120702A (ja) * | 2015-12-28 | 2017-07-06 | 株式会社エムグロー | 電灯装置 |
KR102413183B1 (ko) | 2019-08-02 | 2022-06-23 | 정윤교 | 비상 손전등 |
KR102366298B1 (ko) * | 2021-06-15 | 2022-02-23 | 주식회사 미성 | 휴대용 충전식 발열난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47627B2 (en) | Battery powered light with alignment mechanism | |
US9616149B2 (en) | Liquid presence detecting device functioning also as power supply, and air improving device having the same | |
US20120236551A1 (en) | Light having a compartment accommodating batteries of different types, sizes and/or shapes | |
WO2009101391A2 (en) | Improvements in light emitting device | |
KR102636870B1 (ko) | 발광 장치 | |
US20180183121A1 (en) | Metal-Air Fuel Cell | |
KR102481423B1 (ko) | 금속-공기 연료 전지 | |
CN215446265U (zh) | 一种用于消防应急灯具的光源发光强度调控组件 | |
CN205191295U (zh) | 一种多功能手电筒 | |
DK177414B1 (en) | Maritime light source | |
JP6241730B2 (ja) | 照明器具 | |
CN201652113U (zh) | 逃生指示灯 | |
US6964494B2 (en) | Safety/warning device | |
JP3126714U (ja) | 疑似キャンドル | |
CN106885155B (zh) | 一种应急手电筒 | |
JP6376489B2 (ja) | 照明器具 | |
CN214861124U (zh) | 一种发光骰盅 | |
CN200996561Y (zh) | 一种可两头照射的应急手电筒 | |
CN208817139U (zh) | 一种便携式手握应急灯 | |
CN212939284U (zh) | 一种电筒水杯 | |
CN210035128U (zh) | 一种野营灯 | |
CN213667040U (zh) | 一种香炉香珠 | |
CN221204428U (zh) | 电子警报水杯盖及水杯 | |
JP2014017116A (ja) | 非常用照明器具 | |
AU783835B2 (en) | Safety/warn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