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807B1 -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807B1
KR102636807B1 KR1020160142736A KR20160142736A KR102636807B1 KR 102636807 B1 KR102636807 B1 KR 102636807B1 KR 1020160142736 A KR1020160142736 A KR 1020160142736A KR 20160142736 A KR20160142736 A KR 20160142736A KR 102636807 B1 KR102636807 B1 KR 102636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tive element
performance
active elements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7067A (ko
Inventor
박해성
나민수
최창순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07B1/ko
Publication of KR20180047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7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10Monitoring; Testing of transmi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4Antenna weights or vector/matrix coeffici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왜곡된 빔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 중,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각 능동소자에 적용할 가중치를 산출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함으로써, 통합무선신호 처리부의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고장발생 시점 간 평균시간(MTBCF)을 늘릴 수 있으며, 사업자 관점에서는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의 운용시간 확장 및 교체 비용, 시간, 인력 등의 최소화를 통한 TCO(Total Cost of Ownership)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Compensating the Distorted Beam and Apparatus there for}
본 발명은 왜곡된 빔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신호 처리부(RU; Radio Unit)와 안테나부가 통합된 통합 구조(이하, '통합 무선신호처리부') 상에서, 무선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가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경우, 안테나부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를 교체하지 않고,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되지 않은 능동소자에 가중치를 주어, 빔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망은 현재 개발중인 5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로서 현재의 4G 이동통신망보다 무려 수 백배 이상 빠른 네트워크로 상용화가 된다면 수 GB 이상되는 고화질 영상도 무려 수 초 내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5G 통신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이동통신에서 활용되어온 6GHz 이하 저주파 대역뿐만 아니라 광대역폭 확보가 용이한 6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도 활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고주파 대역을 이용한 5G 통신 기술에서 빔포밍 기술은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한편, 6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 사용에서는 기존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던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를 분리시킨 구조보다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를 통합한 구조가 요구된다. 이는 6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이 저주파 대역 대비 파장이 짧기 때문에 분리된 구조는 통합된 구조에 비하여,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를 연결시키는 선로나 회로에서의 전기적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져 위상중첩으로 인한 신호의 왜곡 가능성이 크고, 전력 손실이 커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를 통합한 구조의 경우에는 안테나 배열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능동소자 중, 일부 소자가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되더라도 안테나 빔이 왜곡되어 해당 통합된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를 통째로 교체하여야만 정상적인 서비스가 가능한바, 운용 비용의 심각한 낭비가 초래되고,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고장발생 시점 간 평균시간(MTBCF; Mean Time Between Critical Failure)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20144호 (명칭: 빔 형성 장치 및 그것의 빔 형성 방법, 2014.10.13.)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빔 보상 제어 장치가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중,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의 현재 상태, 배열 위치, 조합 등을 고려하여, 각 능동 소자에 대한 가중치를 산출하고 적용함으로써, 왜곡된 빔을 보상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빔 보상방법은 빔 보상 제어 장치가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에 대한 출력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능동소자의 현재 상태, 상기 검출된 능동소자의 배열 위치 및 조합을 고려하여 위상 보상 및 출력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에 대해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가중치를 해당 능동 소자에 적용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의 고장 케이스 별로 각 능동소자의 케이스가중치를 저장한 케이스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장난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중,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의 작동을 중단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작동 중단을 결정 한 경우, 상기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 소자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된 케이스 가중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능동소자의 현재 상태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능동 소자에 대한 위상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가 아닌 경우,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 각각의 출력 저하값, 성능 저하된 능동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일정 이상이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상기 검출된 능동소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의 교체가 필요함을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왜곡된 빔 보상 방법은 이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제공될 수 있고, 이를 실행시키도록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빔 보상 제어 장치는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각각에 대한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고장진단부, 상기 검출된 능동 소자의 현재 상태, 상기 검출된 능동 소자의 배열 위치 및 조합을 고려하여 위상 보상 및 출력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에 대하여 산출하는 가중치 연산부 및 상기 가중치 연산부가 산출한 가중치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해당 능동 소자에 적용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의 고장난 케이스 별로 각 능동 소자의 케이스 가중치를 저장한 케이스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가중치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고장난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중,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의 작동을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작동 중단을 결정한 경우, 상기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소자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중치 연산부는 상기 추출된 케이스 가중치를 더 고려하여, 상기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성능이 저하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가중치 연산부가 산출한 연산 결과에 따라 각 능동 소자의 위상 및 출력 중 적어도 하나를 보상하도록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고, 상기 가중치 연산부는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고,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가 아닌 경우,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 각각의 출력 저하값, 성능 저하된 능동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일정 이상이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 중,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각 능동소자에 적용할 가중치를 산출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함으로써,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의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고장발생 시점 간 평균시간(MTBCF)을 늘릴 수 있으며, 사업자 관점에서는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의 운용시간 확장 및 교체 비용, 시간, 인력 등의 최소화를 통한 TCO(Total Cost of Ownership)를 절감할 수 있다.
도1은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빔 보상 제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라 왜곡된 빔을 보상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빔 보상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안테나 제어 방법에서의 안테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로 구현된다.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5G 이동 통신 기술을 위한 Massive MIMO 기술로 구현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Massive MIMO 기술은 단일 기지국 장비에 수십개에서부터 수백개 이상의 안테나를 장착해 이동통신 속도를 수십배에서 수천배까지 끌어올리는 기술로서, 본 발명의 기지국 안테나 제어 방법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Massive MIMO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 기술이 적용된다면 어느 통신 기술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빔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무선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기지국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무선통신 서비스를 위해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연결하는 무선 통신 설비이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NOMA(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등의 이동통신 액세스 네트워크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연결하는 기지국이 대표적이며, 이 외에도 Wi-Fi, WiMAX, WAN 과 같은 무선 통신에서 기지국이 사용된다.
기지국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 및 무선신호 처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는 기지국의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부분으로서, 프로세서 및 무선 신호를 암호화, 복호화하는 채널 카드로 구성되며, 복수 기지국의 DU가 모인 DU(Digital Unit; 디지털 신호 처리부) 집중 센터로 운영된다.
이러한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는 무선신호 처리부(200)와 달리 서비스 영역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주로 통신국사에 집중화되어 설치되는 서버로서, 가상화된 기지국이다. 그리고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는 복수의 무선신호 처리부(2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무선신호 처리부(200)는 기존의 안테나부와 무선신호 처리부가 분리된 구성과는 다르게, 무선신호처리부(200) 내에 안테나부(210)가 포함된, 즉, 무선신호처리부(200)와 안테나부(210)가 결합되어 구성된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의 구성을 가진다.
이는, 5G 이동통신에서는 6GHz 이상의 고주파 대역을 사용하여, 무선신호처리부(200)와 안테나부(210)가 분리되어 RF 케이블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케이블에서의 전력소실이 상당히 커져, 5G 통신을 용이하게 구현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케이블에서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무선신호처리부(200)와 안테나부(210)가 결합되어 구성된 통합무선신호처리부의 구성을 요구하게 되며, 그 구성은 도1과 같은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이하, '무선신호처리부(200)'로 통일하여 표기한다.) 는 상기 무선신호처리부(200)에 포함된 안테나부(210)의 수 및 안테나부(210)에 포함된 안테나 수에 대응하여, 복수의 능동 소자(220)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능동 소자(220)는 안테나의 송수신 신호 출력 세기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변위기(230)는 송수신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단, 능동 소자의 상태에 따라 출력 및 위상 왜곡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능동 소자(220) 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면, 안테나 빔 패턴이 왜곡되어 망 성능에 치명적인 문제를 발생시킴으로, 이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한데, 기존에는 무선신호처리부(200)를 통째로 교체해야 했으므로, 운용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능동 소자(220)가 고장나더라도 무선신호 처리부(200)를 최대한 교체 하지 않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빔 보상 제어장치를 통해서 해결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빔 보상 제어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2는 빔 보상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를 참조하면, 빔 보상 제어장치(300)는 고장진단부(310), 가중치 연산부(330), 가중치 저장부(350) 및 제어부(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장진단부(310)는 도2에서 보는 것과 같이, 통합무선신호 처리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안테나부(210) 각각에 연결되어, 복수의 안테나부(210)에 포함된 안테나와 연결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220) 각각에 대한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고장난 능동 소자(220)란, 그 기능이 완전히 정지해버린 능동 소자(220)로서, 능동소자(200)가 출력 신호를 증폭하거나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능동 소자(220)를 말한다.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란, 그 기능이 완전히 정지해버린 것은 아니나, 능동 소자(220)의 기능 이상으로 인하여, 출력 신호를 원하는 만큼 증폭시키지 못하거나, 정상 동작 대비 출력 신호의 위상이 왜곡된 상태의 능동 소자(220)를 말한다.
가중치 저장부(350)는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의 고장 케이스 별로 각 능동 소자(220)의 케이스 가중치를 저장한 케이스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는 장치이다.
가중치 연산부(330)가 매 케이스마다 매번 가중치를 연산하는 경우, 연산의 부담을 줄 수 있는바, 이러한 연산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몇 가지 케이스를 산정하여, 각 케이스에 부합하는 케이스 가중치를 미리 설정하여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하고, 상기 산정된 케이스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케이스의 고장 사례가 발생한 경우에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된 케이스 가중치를 기반으로 능동 소자(220)에 가중치를 부여하거나, 가중치를 연산한다.
즉, 능동 소자(220)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에는 케이스를 일일이 산정하기 어려우므로, 가중치 연산부(330)에 의하여 가중치가 산출되어야 할 것이나, 능동 소자(220)가 고장난 경우에는 그 케이스를 몇 가지로 산정할 수 있으므로, 산정된 케이스 별로 케이스 가중치를 미리 산출하고 저장하여, 연산의 부담을 줄이고자 한다.
예를 들어, 1번 능동소자(220)가 고장난 경우의 각 능동소자(220)에 부여될 케이스 가중치를 저장한다거나, 3,4,5번 능동소자(220)가 고장난 경우의 각 능동 소자(220)에 부여될 케이스 가중치를 저장하여, 실제로 1번 능동소자(220)가 고장난 경우,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된 값을 기반으로 즉시, 각 능동 소자(220)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가중치 연산부(330)는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가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경우, 무선신호처리부(200)에 포함된 모든 능동 소자(220)에 부여할 가중치를 연산하는 장치로서, 이때, 가중치 연산부(330)는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220)로 인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기 위하여,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220) 주변의 능동소자(220)의 출력 가중치 및 위상 가중치 중 적어도 하나를 연산하여, 제어부(370)를 통해 가중치를 부가하도록 한다.
가중치 연산부(330)는 가중치를 연산하기 위하여, 검출된 능동 소자(220)의 현재 상태, 검출된 능동 소자(220)의 배열 위치 및 조합을 고려하여 위상 보상 및 출력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에 대하여 산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된 능동소자(220)의 배열 위치는 능동소자(220)가 연결된 안테나의 위치와 동일할 수 있으며, 일련번호 등으로 능동소자(220)의 배열 위치를 구분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220)가 고장난 경우에는 상술한 것과 같이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된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의 성능이 저하된 경우, 가중치 연산부(330)는 각 능동소자에 적용될 가중치를 산출하는데,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가 출력 크기는 정상 상태이나, 위상 왜곡이 발생한 경우, 즉,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네는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여, 제어부(370)를 통해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의 위상을 보상한다.
만약,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가 아닌 경우, 즉, 출력 저하와 위상 왜곡이 함께 발생한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 각각의 출력 저하 값, 성능 저하된 능동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일정 이상이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유사도란, 정상 빔 패턴과 보상된 빔 패턴의 일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상을 통해 정상 빔 패턴과 동일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면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으므로, 정상 빔 패턴과 일정 이상의 유사도를 가져, 통신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없을 정도의 보상된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다만, 정상 빔 패턴과 가장 유사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의 현재 상태 및 정상 상태의 능동 소자의 개수 및 위치 등을 고려하여, 모든 가중치 경우의 수에 대한 빔 패턴을 연산해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 정도를 모두 따져야 하는데, 고주파 대역 기반의 빔포밍 기술 적용을 위해서는 안테나 수가 다수 개이고, 능동 소자의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 성능이 저하된 정도에 따라 가능한 가중치의 조합이 매우 많아질 수가 있으므로, 이러한 조합들을 모두 연산하기에는 연산량의 부담이 상당히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가중치 경우의 수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연산량을 줄이기 위해, 모든 가중치 조합에 대하여 빔 패턴을 연산하지 않고, 일부 조합에 대하여만 연산을 수행하여 최적의 능동 소자 별 가중치 조합을 추출할 수 있도록, 광역 최적화(또는 전역 최적화, global optimization)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광역 최적화는 본래 실수 함수의 최소값 또는 최소값에 대응하는 변수를 찾기 위한 것으로, 특정 공간 내에 존재하는 국지적인 최소값(local minima) 중에서 가장 작은 값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을 의미한다.
이러한 광역 최적화에 있어, 모든 변수에 따른 함수값을 조사하여 최소값을 찾아낼 수 있으나, 실제적으로 이러한 연산이 불가능하거나 과도한 자원을 소모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으므로, 특정한 알고리즘에 따라 샘플링한 변수의 값만을 기반으로 최소값을 찾기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광역 최적화 알고리즘 중 하나를 적용하여, 모든 가중치 조합이 아닌 일부 가중치 조합에 대한 빔 패턴을 산출하고, 도출된 빔 패턴을 정상 빔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가중치 조합별 빔 패턴 연산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능동 소자에 부여될 가중치를, 신호 출력에 대한 가중치 및 위상 보상에 대한 가중치의 두 가지 가중치로 구분하고, 각각의 입력 값이 2비트라고 할 때, 입력값은 [00, 01, 10, 11]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에 대한 입력값이 [00]인 경우, 가중치는 0이고, [01]인 경우, 가중치는 1/3이며, [10]인 경우, 가중치는 2/3이고, [11]인 경우, 가중치는 1일 수 있다.
또한, 위상 보상에 대한 입력 값이 [00]인 경우, 가중치는 0도이고, [01]인 경우, 가중치는 120도이며, [10]인 경우, 가중치는 240도이고, [11]인 경우, 가중치는 360도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광역 최적화 알고리즘의 입력 변수를 [제1 능동소자의 출력 가중치, 제1 능동소자의 위상 가중치, 제2 능동소자의 출력 가중치, 제2 능동소자의 위상 가중치 ... 제n 능동소자의 출력 가중치, 제n 능동소자의 위상 가중치]와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가중치를 적용할 능동소자의 수가 5개라면 [00000110111101100000]등으로 임의의 입력 조합이 표현될 수 있다.
광역 최적화에 의하면, 각 능동 소자의 현재 상태를 고려하여 임의로 사전 설정된 수만큼의 입력 조합들을 생성하고 각 입력 조합, 즉 가중치 조합 및 각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 간의 간격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면 각 가중치 조합에 대한 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빔 패턴과 정상적인 빔 패턴과의 유사성 함수를 통해 각 가중치 조합 별로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적합도는 상기 각 가중치 조합의 빔 패턴 중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가장 높은 조합에 가장 높은 점수를 부여하고, 이를 기준으로 다른 조합들에 적합도를 부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사전 설정된 수만큼의 가중치 조합 중 적합도가 높은 가중치 조합이 상대적으로 적합도가 낮은 가중치 조합보다 선택될 가능성이 높게 하여 사전 설정된 수만큼의 가중치 조합을 재생산하기 위해 선택된다.
2차적으로 입력 조합을 재생산하는 방법은 적용된 광역 최적화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전 알고리즘(genetic algorithm), 담금질 기법(simulated annealing), 입자 군집 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유전 알고리즘에 의하면, 2차적으로 하나의 가중치 조합을 재생산하는 과정을 보면, 우선 확률적으로 정상 빔 패턴과의 비교 결과 유사도, 즉 적합도가 높은 두 특정 조합을 선택하게 되고, 추출된 두 특정 조합에서 임의의 일부 입력 변수의 값을 서로 교차시키며, 교차에 의해 생성된 조합 중 일부 변수는 임의로 변경하여 새로운 조합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추출된 두 특정 조합이 [00000110111101100000]과 [0110011111000000]인 경우, 두 조합에서 임의의 변수를 교차시킬 수 있다. 만약 교차시킬 임의의 변수가 제1 능동소자의 출력 가중치인 경우, 교차 후의 조합은 [01000110111101100000] [0010011111000000]이 된다. 여기서 교차될 임의의 변수의 수는 하나 이상이 될 수 있으며, 교차 방식에 따라 다수의 조합이 생성된다. 교차로 다수의 조합을 생성한 이후에는, 생성된 조합의 일부 변수의 값을 임의로 변경하는 변이 과정을 수행하여 새로운 조합을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재생산 과정을 상기 사전 설정된 수만큼의 가중치 조합의 수만큼 반복하게 된다. 이렇게 2차적으로 생성된 가중치 조합 별로 각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안테나 소자 간의 간격 및 주파수 정보를 기반으로 푸리에 변환을 수행하면 각 가중치 조합에 대한 빔 패턴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도 산출된 빔 패턴과 정상적인 빔 패턴과의 유사성 함수를 통해 각 가중치 조합 별로 적합도를 평가할 수 있다.
이후 3차적으로도 2차적으로 생성된 가중치 조합 별 적합도를 기반으로 선택, 교차 및 변이 과정을 거쳐 사전 설정된 수만큼의 가중치 조합을 재생산한다. 이러한 과정을 기 설정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까지 반복하게 되면, 정상적인 안테나 빔 패턴과 유사한 빔 패턴을 갖게 되는 최적의 가중치 조합을 도출할 수 있다.
이때, 특정 조건은, 가중치 조합의 적합도가 기준치를 만족할 때 또는 반복 횟수, 여기서는 차수가 임계치를 초과할 때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외에도, 개미 군집 최적화(ant colony optimization), 타부 서치(tabu search) 등 Lin-Kernighan 알고리즘 등 광역 최적화에 이용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반복 연산에 이용될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370)는 빔 보상 제어 장치(300)의 동작과정 전반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가중치 연산부(330)가 산출한 가중치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를 통해 해당 능동 소자(220)에 적용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370)는 고장난 능동소자(220)가 검출된 경우, 상기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된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장난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케이스 가중치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응하는 케이스 가중치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여, 바로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를 통해 케이스 가중치를 해당 능동소자(220)의 가중치로서 적용하도록 할 수 있고, 추출된 케이스 가중치를 가중치 연산부(330)로 전달하여, 가중치 연산부(330)가 더 빠르게 가중치를 연산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70)는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가 발견된 경우, 상기 성능 저하가 왜곡 위상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 아니면, 출력 및 위상이 모두 저하된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이를 가중치 연산부(33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고장난 능동소자(220)와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가 함께 발견된 경우,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의 작동을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여, 작동 중단을 결정한 경우,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소자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을 하고, 상태 변경 이후에 대응하는 케이스 가중치가 상기 가중치 저장부(350)에 저장되어 있는지를 판단하여,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중치 연산부(330)가 가중치를 연산하기 쉽도록 고장난 능동소자(220)를 출력 성능이 최하로 저하된 능동소자(220)인 것으로 상태 변경을 하여, 가중치를 산출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빔 보상 제어 장치(30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 및 무선 신호 처리부(200)와 별도의 장치로서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나,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 내의 소프트웨어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빔 보상 제어 장치(300)의 각 구성이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가중치 연산부(330), 가중치 저장부(350), 제어부(370)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 내에서 소프트웨어 혹은 칩(Chip) 형태로 구현되고, 고장 진단부(310)는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거나, 무선 신호 처리부(200) 내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빔 패턴이 보상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a)를 보면, 안테나와 그에 대응하는 능동소자(220)가 8개가 배치되어 있으며, 도3(a)에서는 8개의 능동소자(220)가 모두 정상일 때, 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도3(b)는 6번 능동 소자가 고장난 경우, 왜곡된 빔 패턴의 모습을 보여준다. 정상적인 빔 패턴에 비하여 오른쪽으로 빔 형상이 기울어진 것을 볼 수 있다.
도3(c)는 산출된 가중치를 각 능동소자(220)에 적용하여 빔을 보상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가중치에 의하여 보상된 빔이 도3(a)의 정상 상태의 빔과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도4 내지 도6을 통해 빔 보상 제어장치(300)가 왜곡된 빔을 보상하는 방법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4 내지 도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왜곡된 빔 보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는 고장난 능동소자(220)가 검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4를 보면, 빔 보상 제어 장치(300)가 무선 신호 처리부(2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에 대한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S101).
출력신호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난 능동 소자(220)를 검출하는데, 이때, 고장난 능동 소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103). 만약, 고장난 능동 소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이라면, 빔을 보상하여 사용하는 것보다 무선신호처리부(200)를 교체하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일수 있으므로 무선신호처리부(200)의 교체가 필요함을 관리자에게 알린다(S105).
만약, 능동 소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미만이라면, 검출된 능동소자의 현재 상태, 검출된 능동소자의 배열 위치 및 조합을 고려하여 위상 보상 및 출력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무선신호 처리부(2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에 대해 산출한다.
이때, 케이스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장난 능동 소자에 대응하는 케이스의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여, 이를 그대로 가중치로서 사용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최적의 능동소자 별 가중치를 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S107).
그 후, 빔 보상 제어 장치(300)는 산출된 가중치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에 전달하고(S109), 상기 가중치를 전달받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200)가 산출된 가중치를 대응하는 능동소자(220)에 적용한다(S111).
도5는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가 검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빔 보상 제어 장치(300)가 무선 신호 처리부(2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에 대한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S201).
그 후, 상기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를 판단한다(S203). 만약,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라면,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고, 그 연산 결과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에 전달한다(S205). 그 후,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는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능동 소자에 대한 위상 보정을 수행한다(S207).
만약, 상기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가 아닌, 출력 저하와 위상 왜곡이 함께 있거나, 출력만 저하된 경우에는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220) 각각의 출력 저하값, 성능 저하된 능동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 유사도가 일정 이상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한다(S215).
그 후, 산출된 가중치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에 전달하고(S217), 디지털 신호 처리부(100)가 전달받은 가중치를 해당 능동 소자(220)에 적용하여 빔을 보상한다(S219).
도6은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와 고장난 능동 소자가 함께 검출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빔 보상 제어 장치(300)가 무선 신호 처리부(200)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220)에 대한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S301).
모니터링 결과 고장난 능동 소자(220)와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가 함께 검출되면(S303), 빔 보상 제어 장치(300)는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의 작동을 중단 시킬 것인지를 판단하고(S305), 만약, 작동 중단을 결정하였다면,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 소자(220)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을 한다. 즉, 작동 중단된 능동소자를 고장난 능동소자로 판단한다(S307).
이렇게 되면, 도4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이후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는바, 도4의 S103단계부터 차례대로 진행하여 빔을 보상한다.
만약, S305단계에서 성능 저하된 능동 소자(220)의 작동을 중단하지 않기로 결정하였다면, 고장난 능동 소자(220)를 출력이 최소치로 저하된 능동소자로 판단, 즉, 출력이 최소치인 것으로 상태 변경을 한다(S309).
이렇게 되면 도5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이후 과정을 동일하게 진행할 수 있는바, 도5의 S209단계부터 차례대로 진행하여 빔을 보상한다.
한편, 고장난 능동소자와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가 함께 발견된 경우, 반드시 도6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 상태 변경 없이, 도4 및 도5의 실시 예의 과정을 적절히 활용하고, 혼합하여 가중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도6은 단지 가중치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방법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고장난 능동 소자(220)와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220)가 함께 발견된 경우의 실시 예를 도6의 실시 예로 한정하여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왜곡된 빔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신호 처리부와 안테나부가 통합된 통합 구조상에서, 무선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가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경우, 안테나부에서 송출하는 무선신호의 왜곡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를 교체하지 않고,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되지 않은 능동소자에 가중치를 주어, 빔 왜곡현상을 보상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합 무선신호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 중,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를 검출하고, 이에 따라 각 능동소자에 적용할 가중치를 산출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함으로써, 통합무선신호 처리부의 교체가 필요한 심각한 고장발생 시점 간 평균시간(MTBCF)을 늘릴 수 있으며, 사업자 관점에서는 통합 무선신호 처리부의 운용시간 확장 및 교체 비용, 시간, 인력 등의 최소화를 통한 TCO(Total Cost of Ownership)를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왜곡된 빔 보상 방법을 통해 이동통신 산업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디지털 신호 처리부 200: 무선 신호 처리부 210: 안테나부
220: 능동소자 300: 빔 보상 제어 장치
310: 고장진단부 330: 가중치 연산부
350: 가중치 저장부 370: 제어부

Claims (12)

  1. ◈청구항 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빔 보상 제어 장치가,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에 대한 출력신호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상기 출력신호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고장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고,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능동 소자에 대한 위상 가중치를 산출하고,
    출력 저하만에 의한 또는 출력 저하와 위상 왜곡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상기 성능 저하된 능동소자 각각의 출력 저하값,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일정 이상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 또는 산출된 가중치를 해당 능동 소자에 적용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왜곡된 빔 보상 방법.
  2. 삭제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중,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의 작동을 중단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작동 중단을 결정 한 경우, 상기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 소자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된 빔 보상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능동소자의 수가 기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의 교체가 필요함을 알리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왜곡된 빔 보상 방법.
  8.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각각에 대한 출력신호를 모니터링하여, 고장나거나 성능이 저하된 능동 소자를 하나 이상 검출하는 고장진단부;
    상기 검출된 능동 소자의 현재 상태, 상기 검출된 능동 소자의 배열 위치 및 조합을 고려하여 위상 보상 및 출력 제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가중치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에 대하여 산출하는 가중치 연산부; 및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소자가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고장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가중치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케이스 가중치를 추출하고, 위상 왜곡만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정상 출력 위상과 현재 출력 위상 간의 차이를 연산하고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상기 무선 신호 처리부에 포함된 능동 소자에 대한 위상 가중치를 산출하고, 출력 저하만에 의한 또는 출력 저하와 위상 왜곡에 의한 성능 저하인 경우에는 상기 성능 저하된 능동소자 각각의 출력 저하값, 소자 수 및 배열 위치를 고려하여 정상 빔 패턴과의 유사도가 일정 이상 되는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가중치를 산출한 후, 상기 추출 또는 산출된 가중치를 디지털 신호 처리부를 통해 해당 능동 소자에 적용하여 왜곡된 빔을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빔 보상 제어 장치.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하나 이상의 능동 소자 중, 성능이 저하된 능동소자의 작동을 중단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작동 중단을 결정한 경우, 상기 작동 중단을 결정한 능동소자를 성능 저하 상태에서 고장난 상태로 상태 변경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보상 제어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60142736A 2016-10-31 2016-10-31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636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36A KR102636807B1 (ko) 2016-10-31 2016-10-31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736A KR102636807B1 (ko) 2016-10-31 2016-10-31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067A KR20180047067A (ko) 2018-05-10
KR102636807B1 true KR102636807B1 (ko) 2024-02-15

Family

ID=62184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736A KR102636807B1 (ko) 2016-10-31 2016-10-31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8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4048B1 (ko) 2018-07-11 2020-08-1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빔 스캐닝 분석시 가중치를 적용하는 동작위치 검출 방법 및 장치
WO2020138522A1 (ko) * 2018-12-26 2020-07-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빔 포밍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113B1 (ko) * 2011-01-11 2017-04-0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방사패턴 복원을 위한 능동 배열 안테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75830B1 (ko) 2013-04-02 2019-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빔 형성 장치 및 그것의 빔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7067A (ko)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03981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partitioning wireless network cells into time-based clusters
KR1010445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웃 리스트를 동적으로 정착시키는 방법
CN102387532B (zh) 频点信息处理方法和用户设备
KR2011007110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적 섹터 생성
EP1427239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notifying a mobile station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KR102636807B1 (ko) 빔 왜곡 보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08275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antenna beams between an access network and a backhaul link based on network traffic conditions
CN112311445B (zh) 一种基于信号落地功率标定值的波束切换方法、装置及系统
JP7094085B2 (ja) 衛星/地上統合ネットワークを管理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れを実現するためのデバイス
WO2018173564A1 (ja) スライス管理装置及びスライス管理方法
CN105978600A (zh) 一种支持载波聚合的处理器及移动终端
EP3170334A1 (en) Cellular identifier optimizations
CN105072697A (zh) 无线接入点选择无线通信信道的方法及系统
KR101915108B1 (ko)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CN112512057B (zh) 网络切片异常识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US11051184B1 (en) Self-optimizing networks for narrowband internet-of-things (IOT) applications
CN103634857A (zh) 公众陆地移动网标识间的切换方法、基站及通信网络
CN110601741A (zh) 卫星通信路由控制方法、装置、计算设备及存储介质
EP2802166B1 (en) Method, base station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trx mutual aid
US9756509B2 (en) Defining logical cells
RU2759702C1 (ru) Способ конфигурирования частоты,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на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компьютерный носитель данных
CN101835188A (zh) 多天线故障检测方法及系统
CN103313322A (zh) 重定向方法及用户设备
CN113259182B (zh) 一种基于自主决策的通信路径监控方法及装置
KR101549309B1 (ko) 이종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하향 링크 파워 최적화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