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328B1 -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 Google Patents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328B1
KR102636328B1 KR1020230022924A KR20230022924A KR102636328B1 KR 102636328 B1 KR102636328 B1 KR 102636328B1 KR 1020230022924 A KR1020230022924 A KR 1020230022924A KR 20230022924 A KR20230022924 A KR 20230022924A KR 102636328 B1 KR102636328 B1 KR 102636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support
stain
rainwater
condu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2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김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진 filed Critical 김영진
Priority to KR1020230022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가 제공된다.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제1 부재에 배치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2 부재와, 제2 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받침부재와 제2 부재 및 제1 부재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Anti-staining rainwater induction device to which the railing fixture is coupled}
본 발명은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난간 고정대의 설치를 안내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이란 높은 기단(건물의 기초), 마루 끝, 계단, 다리 등의 가장자리 또는 양 옆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운 구조물이다. 상기 난간의 높이는 안전규칙에서 90cm 이상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이렇게 난간을 설치함으로써 사람들이 계단이나 건물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창문에도 난간 고정대가 설치되어 사람들이 건물에서 떨어지는 추락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난간의 상면이 비교적 평평하게 형성되기 때문에 눈이나 비가 내릴 경우, 눈 또는 비가 난간의 상면에 쌓인 오염물질과 섞여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면서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이 생성되므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물의 외벽에 생성된 물이 흐른 자국을 없애기 위해 주기적으로 페인트칠을 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3556호에 건물 외벽용 우수배수장치가 공개된 바 있다. 이 종래기술은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흐른 자국을 남기지 않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벽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배면이 평탄한 벽체프레임, 상기 벽체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고 수평으로 연장되어 벽체프레임을 타고 흐르는 우수를 외벽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지점까지 보내는 물받이프레임, 상기 물받이프레임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향 연장되어 물받이프레임을 타고 흐르는 우수를 필요 이상으로 비산되지 않도록 하면서 바람에 의해서 역류되지 않도록 하는 역류방지프레임, 상기 벽체프레임과 물받이프레임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우수가 물받이프레임의 측면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낙수방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흐르지 않아 건물의 외벽에 물이 흘러내린 얼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는 있으나, 난간 고정대의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3556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난간 고정대의 설치를 안내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는, 건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2 부재와, 상기 제2 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부재 및 상기 제1 부재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부재는, 제1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부재 및 상기 제1 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1 하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부재에 만곡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안내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부재는, 제2 몸체와,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하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상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제1 결합안내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결합안내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제1 결합안내돌기에 장착되는 제2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받침몸체 및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의 결합을 안내하는 받침결합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에 의하면, 빗물이 건물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건물의 외벽에 얼룩의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외벽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난간 고정대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또 다른 사용 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의 또 다른 사용 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는, 제1 부재(110), 제2 부재(120), 받침부재(130), 고정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건물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몸체(111), 제1 상부부재(112), 제1 하부부재(1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건물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창문 하부의 건물의 외벽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의 길이는 창문의 폭과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의 길이는 창문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몸체(111)는 제1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보강부재는 제1 몸체(111)의 제1 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1 보강부재가 제1 몸체(111)의 제1 면에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1 몸체(11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1 몸체(111)의 제1 면은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부재(112)는 제1 몸체(111)의 상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상부부재(112)는 제1 몸체(111)의 상단부에 외측으로 절곡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부재(120)의 상부를 수용할 수도 있다. 즉, 제1 상부부재(112)가 제2 부재(120)의 상부를 수용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제1 상부부재(112)와 제2 부재(120) 사이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부재(113)는 제1 몸체(111)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하부부재(113)는 제1 몸체(111)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제2 부재(12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결합안내홈(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홈(114)은 제1 하부부재(113)에 만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결합안내홈(114)에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결합안내돌기(124)가 결합되고, 제2 결합안내돌기(124)는 제1 결합안내홈(114)을 중심으로 제2 몸체(121)가 제1 몸체(111) 방향으로 회전하여 서로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홈(114)은 배출안내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배출안내공은 제1 결합안내홈(114)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빗물의 배출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결합안내돌기(115)는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돌기(115)는 제1 몸체(111)의 제2 면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몸체(111)의 제2 면은 제1 몸체(111)의 제1 면의 반대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돌기(115)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결합안내홈(125)이 결합되는 돌기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돌기(115)는 제1 몸체(111)의 제2 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결합안내돌기(115)는 제1 몸체(111)의 제2 면에 제1 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수분유입방지부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6)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몸체(111)와 건물의 외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수분유입방지부재(116)가 제1 몸체(111)에 밀착되어 건물의 외벽에 배치된 후, 하기에서 설명하는 고정부재(140)에 의해 제1 몸체(111)가 수분유입방지부재(116)를 가압함과 동시에 수분유입방지부재(116)는 제1 몸체(111)의 가압력으로 변형되면서 제1 몸체(111)와 건물의 외벽 사이를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6)는 압착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착돌기는 수분유입방지부재(116)의 일면 또는/및 타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6)의 일면은 제1 몸체(111)에 밀착되는 면을 의미하고, 타면은 건물의 외벽에 밀착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압착돌기는 고정부재(140)에 의해 제1 몸체(111)가 수분유입방지부재(116)를 가압할 때, 제1 몸체(111)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면서 제1 몸체(111)와 수분유입방지부재(116) 사이 또는/및 수분유입방지부재(116)와 건물의 외벽 사이를 좀더 견고하게 밀폐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수분유입방지부재(116)는 접착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는 제1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재는 제1 부재(110)와 이웃하는 제1 부재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재(110)와 이웃하는 제1 부재를 제1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하기에서 설명하는 제2 부재(120)의 길이에 맞게 설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1 부재(110)에 배치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몸체(121), 제2 하부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몸체(121)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제1 몸체(111)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몸체(121)의 길이는 제1 몸체(111)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몸체(121)의 길이는 제1 몸체(111)의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몸체(121)는 제2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보강부재는 제2 몸체(121)의 제1 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 보강부재가 제2 몸체(121)의 제1 면에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제2 몸체(121)의 형상이 변경되거나 부러지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제2 몸체(121)의 제1 면은 제1 몸체(111)에 밀착되거나 대응되는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부재(122)는 제2 몸체(121)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부재(122)는 제2 몸체(121)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부재(122)는 제2 몸체(121)의 하단부에 하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하부부재(122)는 안내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내리브는 제2 하부부재(122)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내리브는 제2 하부부재(122)의 단부에서 제2 하부부재(122)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거나 제2 하부부재(122)의 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안내리브와 제2 하부부재(122)를 지지리브로 연결하여 지지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상부부재(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부부재(123)는 제2 몸체(121)의 상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상부부재(123)는 제2 몸체(121)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돌출되어 제2 몸체(121)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결합안내돌기(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돌기(124)는 제2 몸체(121)의 하단부에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돌기(124)는 제1 결합안내홈(114)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돌기(124)는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결합안내홈(1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홈(125)은 제2 몸체(121)의 제1 면에 제1 결합안내돌기(115)를 수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홈(125)은 제2 몸체(121)의 제1 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제2 결합안내홈(125)은 제2 몸체(121)의 제1 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간격유지부재(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재(126)는 제2 몸체(121)의 제1면 하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간격유지부재(126)는 제2 결합안내홈(125)을 형성하도록 돌출된 부분과 동일하게 돌출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126)가 제2 몸체(121)의 제1 면 하단부에 돌출되어 제2 몸체(121)가 제1 몸체(111) 방향으로 회전하여 대응될 때, 제1 몸체(111)의 제2 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 몸체(121)와 제1 몸체(111)의 간격을 유지할 수도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부재(120)는 제2 연결부재(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연결부재(127)는 제2 부재(120)와 이웃하는 제2 부재(120')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부재(120)와 이웃하는 제2 부재(120')를 제2 연결부재로 연결하여 제1 부재(110)의 길이에 맞게 설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30)는 제2 부재(12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30)는 제2 부재(120)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150)를 받쳐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부재(130)는 받침몸체(131), 받침결합편(132)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몸체(131)는 제2 부재(120)의 제2 몸체(121)에 배치되는 몸체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몸체(131)는 수직편, 수평편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직편은 판상으로 형성되고, 제2 몸체(121)에 배치되는 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편을 수직편의 상단부에 절곡되는 편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수평편은 다단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몸체(131)는 지지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편은 수직편의 측면과 수평편의 저면을 연결할 수 있다. 즉, 지지편이 수직편의 측면과 수평편의 저면을 연결하여 수평편이 처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편은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지지편은 수평편의 폭으로 수직편과 수평편을 연결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결합편(132)은 받침몸체(131)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결합편(132)은 받침몸체(131) 상면에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150)의 결합을 안내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결합편(132)은 내부가 관통된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결합편(132)은 원기둥 형상, 다각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결합편(132)은 받침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보강부재는 받침결합편(132) 내면과 수평편 상면을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받침보강부재는 받침결합편(132) 내면에 돌출되는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턴은 받침결합편(132)의 내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보강함으로 받침결합편(132)이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형상이 변경되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받침부재(130)와 제2 부재(120) 및 제1 부재(110)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볼트는 앵커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고정부재(140)는 받침부재(130)의 수직편과 제2 부재(120)의 제2 몸체(121) 및 제1 부재(110)의 제1 몸체(111)에 관통된 통공으로 결합되어 건물의 외벽에 고정됨으로써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및 받침부재(130)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는, 난간 고정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받침부재(130)의 받침결합편(13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결합편(132)에 장착된 난간 고정대(150)는 서로 연결되어 통상의 방법으로 건물의 외벽에 고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내부가 관통된 파이프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내부가 관통되지 않은 파이프 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난간 고정대(150)의 하부에 받침결합편(132)이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바(bar) 또는 봉의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난간 고정대(150)는 바(bar) 또는 봉의 형상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사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서로 다른 형상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난간 고정대(150)의 일부는 원기둥 형상을 가지되, 나머지는 사각기둥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150)는 난간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보강부재는 난간 고정대(150)의 외면에 산과 골이 반복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다수의 돌출 패턴이 배치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난간 보강부재가 난간 고정대(150)의 외면에 배치됨으로써 외력에 의한 충격으로 난간 고정대(150)의 형상이 변경되는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는 마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마감부재는 제2 부재(120)의 제2 몸체(121) 양측에 장착되어 마감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에 태양광 패널이 배치되는 패널 받침부재(160)를 배치하고, 패널 받침부재(160)에 태양광 패널을 장착하여 태양광을 이용할 수도 있고, 패널 받침부재(160)가 장착된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의 받침부재(130)에 난간 고정대(150)를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재(110)와 제2 부재(120) 및 받침부재(130)를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를 창문 상부 또는 하부의 건물 외벽에 배치하고,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100)에 방염천을 설치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방염천은 롤러에 감겨있다가 화재 발생시,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롤러의 회전으로 방염천이 풀리면서 창문을 통해 화염이 상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화재 감지기(火災感知機) 또는 연기 감지기(煙氣感知機)와 연동되어 화재 및 연기를 감지할 경우, 롤러를 회전시키면서 방염천이 풀리도록 함으로서 불이 번지는 2차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방염천이 감겨진 롤러에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화재 발생을 알리는 스피커 및 경광등이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110: 제1 부재
111: 제1 몸체
112: 제1 상부부재
113: 제1 하부부재
114: 제1 결합안내홈
115: 제1 결합안내돌기
116: 수분유입방지부재
120: 제2 부재
121: 제2 몸체
122: 제2 하부부재
123: 제2 상부부재
124: 제2 결합안내돌기
125: 제2 결합안내홈
126: 간격유지부재
127: 제2 연결부재
130: 받침부재
131: 받침몸체
132: 받침결합편
140: 고정부재
150: 난간 고정대

Claims (10)

  1. 건물의 외벽에 배치되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배치되어 빗물의 흐름을 안내하는 제2 부재;
    상기 제2 부재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를 받쳐 지지하는 받침부재; 및
    상기 받침부재와 제2 부재 및 제1 부재를 건물의 외벽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1 상부부재; 및
    상기 제1 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1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부부재에 만곡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제1 결합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는,
    제2 몸체;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하부부재를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상단부에 절곡되어 배치되는 제2 상부부재를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제1 결합안내홈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결합안내돌기를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어 제1 결합안내돌기에 장착되는 제2 결합안내홈을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의 하단부에 돌출되어 배치되는 간격유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몸체에 배치되는 받침몸체; 및
    상기 받침몸체의 상면에 배치되어 난간 고정대의 결합을 안내하는 받침결합편을 포함하는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KR1020230022924A 2023-02-21 2023-02-21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KR102636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24A KR102636328B1 (ko) 2023-02-21 2023-02-21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2924A KR102636328B1 (ko) 2023-02-21 2023-02-21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328B1 true KR102636328B1 (ko) 2024-02-13

Family

ID=89899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2924A KR102636328B1 (ko) 2023-02-21 2023-02-21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32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711B2 (ja) * 2000-08-02 2003-06-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付バルコニー
KR20140013556A (ko) 2012-07-25 2014-02-05 백종원 건물 외벽용 우수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14711B2 (ja) * 2000-08-02 2003-06-09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太陽電池パネル付バルコニー
KR20140013556A (ko) 2012-07-25 2014-02-05 백종원 건물 외벽용 우수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896C2 (ru) Система балюстрад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и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EP3039198A1 (en) A connector element for use in a flashing assembly for roof windows mounted side-by-side and a method for mounting a flashing assembly
KR102636328B1 (ko) 난간 고정대가 결합되는 얼룩방지 빗물유도장치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KR101522887B1 (ko)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44159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난간용 비막이
KR20180103741A (ko) 보행자 안전난간 및 주행차량 추락방지 기능을 겸비한 투명 경량형 캔틸레버 방풍벽
US20050138889A1 (en) Curtain wall system with enhanced resistance to blast forces
JP5415241B2 (ja) 支持金物
KR200425125Y1 (ko) 발코니 난간 부착형 방화유리틀
JP5736279B2 (ja) 手摺
KR20030095606A (ko) 조립식계단
KR101036162B1 (ko) 옥상 개선 구조물 및 그 구조물의 시공방법
CN208668714U (zh) 一种带有防水层的幕墙结构
JP4343159B2 (ja) バルコニー防水構造およびバルコニー防水構造の構築方法
KR101285838B1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101205544B1 (ko) 지주용 캡
JP3698695B2 (ja) 持ち出し手摺
CN108915142A (zh) 一种带有防水层的幕墙结构
KR100767970B1 (ko) 발코니 확장용 창호 구조물의 시공 방법
KR100714070B1 (ko)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보강구조
CN218540943U (zh) 一种抗震抗风相邻高层建筑连接平台建筑结构
KR102569326B1 (ko) 차양구조물
KR20080005582U (ko) 계단 안전 난간대
CN212317455U (zh) 一种施工电梯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