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6300B1 -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6300B1
KR102636300B1 KR1020220144153A KR20220144153A KR102636300B1 KR 102636300 B1 KR102636300 B1 KR 102636300B1 KR 1020220144153 A KR1020220144153 A KR 1020220144153A KR 20220144153 A KR20220144153 A KR 20220144153A KR 102636300 B1 KR102636300 B1 KR 102636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air
supply pipe
purifica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의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스트
Priority to KR1020220144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30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33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by direct contact with liquid, e.g. with spray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1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bubbling the gas through a liquid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7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 F24F5/0035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ool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ir-conditioning usin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24F8/142Treatment of used liquid, e.g. cleaning for recyc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수조; 상기 수조로 오염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수조 내부로 연장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부; 상기 공급배관의 말단에 구비되는 기포 발생 장치; 상기 수조 내부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 및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조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AN ECO-FRIENDLY AND EASY-TO-MAINTAIN AIR PURIFYING DEVICE USING A REUSABLE FILTER AND WATER, AND AN AIR PURIFYING METHOD USING THE SAME}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가정이나 음식점, 더 나아가서 소규모 산업 현장에서 배출 가스에 포함된 유해 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가정과 음식점, 더 나아가 소규모 산업현장에서는 배출가스의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정에서는 기존의 레인지 후드 또는 후드 시스템(hood system)으로 주방에서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냄새 및 수많은 종류의 유해한 가스성 물질 및 유증기, 입자성 물질 등의 유해가스를 단순히 배출(ventilation)하고 있고, 요식업의 음식점에서도 마찬가지로, 후드 및 덕트 시스템으로 대기중으로 여과 없이 단순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다.
식품 조리 시 연소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오염 물질은 유분 및 유증기에 포함되어 배출 가스로 배출되고, 상기 오염 물질은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포름알데하이드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미세먼지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물질이며, 질소산화물은 미세먼지을 2차 생성하는 주범, VOCs는 산화과정을 통해 오존과 같은 이차생성 물질들을 만들어내기 때문에 질소산화물과 함께 광화학 스모그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 탄소화합물은 독성을 갖거나 지구 온난화를 유발하는 주범, 다핵방향족탄화수소는 끓는점이 높은 기름이 불완전 연소할 때 많이 발생하는 1급 발암물질이다.
환경부에 따르면 직화구이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PM10)는 연간 561 톤에 이른다. 이는 전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 배출량의 3.9%를 차지한다. 여기에 폐 등 호흡기에 더 큰 자극을 주는 초미세먼지(PM2.5)도 연간 503 톤 가량이 직화 구이 음식점에서 발생한다. 이 역시 전체 초미세먼지 배출량의 4.2%에 해당한다. 이를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으로 한정하면 직화구이로 인한 초미세먼지 배출량은 경기 99톤, 서울 97 톤에 이른다. 즉 구이음식으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 중 40%가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수준으로 이는 수도권 전체 미세먼지 발생원인의 15.2%에 해당한다.
또한,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고기구이 중 숯불구이가 철판구이에 비해 오염 물질들의 생물성 연소 배출계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근 들어 국외 여러 연구논문이나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비흡연 여성들의 폐암 발병률 증가 원인으로 주방요리 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이 언급되고 있다.
환경부는 주방에서 요리할 때에 발생하는 오염 물질에 대한 저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실험주택 2곳, 공동주택 22곳, 단독주택 4곳, 다세대주택 4곳 등을 대상으로 2015년 5월부터 11월까지 실태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결과 주방에서 조리할 때에 미세먼지, 포름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등 오염 물질이 가스렌지, 가스인덕션 등 요리기구와는 관계없이 기름 등 요리재료의 연소과정에서 오염 물질 대부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주방에서 조리할 때에 미세먼지, 포름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등 오염 물질이 가스렌지, 가스인덕션 등 요리기구와는 관계없이 기름 등 요리재료의 연소과정에서 오염 물질 대부분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레인지 후드는 단순히 환풍기로 분류되어 있으며 KS 시험방법에 준하여 성능시험이 수행되고 있고, 주요 선진국도 오염 물질 및 필터에 대한 성능기준에 대해 일부 규정하고 있으나, 연소 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규정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음식점이나 가정의 주방에서 조리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조리방법(튀김, 구이 등)에 따라 취기(냄새), 유증기 및 기타 다양한 오염 물질들이 실내로 다량으로 방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정 및 요식업용 배출 시스템의 경우에는 공기 오염도가 낮고 배출량이 많지 않다는 이유로 환경 오염 및 탄소 배출 부분이 간과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배출 시스템에 일반 공기청정기와 같은 고성능의 필터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여과 성능은 향상되지만 매우 빠르게 오염되어 필터 교체 주기가 짧아짐과 동시에, 필터 및 흡착제 등 기타 운용 부산물이라는 폐기물이 대량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현재 유해 성분 포함 배출 가스를 정화 없이 배출하는 일반 가정이나 음식점, 더 나아가 소규모 산업 현장에서의 배출가스를 정화하며, 동시에 운용 부산 폐기물 발생이 적은 친환경적인 공기정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772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하여, 대규모 사업장에만 국한하지 않고 간과되고 있는 가정, 음식점 및 소규모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탄소화합물 및 유해가스 등의 공기 오염 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유지 보수 등의 운용 비용의 발생이 적고 2차 부산물 및 산업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공기 정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수조; 상기 수조로 오염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수조 내부로 연장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부; 상기 공급배관의 말단에 구비되는 기포 발생 장치; 상기 수조 내부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 및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조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처리부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구비된 금속 필터와 후단에 구비된 고분자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포 발생 장치는 공급되는 오염 공기가 머물 수 있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중에 방출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화 장치 및 기포 발생 장치는 수조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 장치는 기포 발생 장치가 구비된 수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된 흡기용 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용 팬 유닛은 500 rpm 이상의 회전수 및 20 cfm 이상의 풍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조로부터 상승하는 기체가 이동하는 배출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배출배관 내부에 구비된 배기용 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라디에이터 관로; 및 라디에이터 관로로 이동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배출배관과 연결되어 물의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증가한 외부 공기가 배출배관을 통해 배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공기정화 장치는 식품 조리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정화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급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염 공기를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는 전처리부를 통과시켜 1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조 내부의 물에 공급하여 2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 수조 내부의 물을 전기분해를 통해 정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레인지 후드 또는 후드 시스템은 단순히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수많은 종류의 유해한 가스성 물질 및 유증기, 입자성 물질을 실외로 배출하기 전에 오염 물질들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은 물론, 2차 생성물의 발생이 없으며, 필터 등의 산업 폐기물 발생이 없는 제로웨이스트 달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자체 모듈 형식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간과되고 있는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의 배출을 억제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 장치의 외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기정화 방법의 공정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일산화탄소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이산화탄소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염소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에탄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황화수소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온도에 따른 이산화황 가스의 물에 대한 용해도 그래프이다.
본 발명을 상세하기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무조건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각종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들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함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이 아니며, 이들 용어는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임을 알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확하게 다른 의미로 지시하지 않는 이상,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사하게 복수로 표현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단수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명세서의 전체에 걸쳐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히 반대되는 의미의 기재가 없는 한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각 도면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해서 그 도면 부호를 명기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이 구성 요소가 비록 다른 도면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고 있도록, 즉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시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 구성 요소의 크기, 위치, 결합 관계 등은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일부 과장 또는 축소되거나 생략되어 기술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그 비례나 축척은 엄밀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구성, 예를 들어, 종래 기술을 포함하는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수조(10); 상기 수조(10)로 오염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수조(10) 내부로 연장되는 공급배관(20); 상기 공급배관(20)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부(30); 상기 공급배관(20)의 말단에 구비되는 기포 발생 장치(60); 상기 수조(10) 내부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40); 및 상기 수조(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조(10) 온도 조절 장치(50)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100)를 제공한다. 도 1에서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상기 공기정화 장치(100)는 가정용, 음식점용 또는 소규모 산업 현장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식품 조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는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유증기, 탄소화합물, 냄새 등의 유해 가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식품 조리 시 연소로 발생하는 대표적인 오염 물질은 유분 및 유증기에 포함되어 배출 가스로 배출되고, 상기 오염 물질은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포름알데하이드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및 탄화수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PM)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한 물질이다.
또한, 질소산화물(NOx)은 2차 생성 미세먼지의 주범이며, 휘발성유기화합물(VOC)과 광화학반응을 하면서 2차 오염 물질인 오존 및 스모그 (로스앤젤레스 스모그 사건)를 생성하고, 가스 상태로는 눈과 호흡기 등의 점막에 심한 자극을 주어 기침, 현기증, 두통, 구토 등을 나타내며, 호흡촉진, 부정맥, 불안감이 나타나고 심하면 폐수종, 혈압상승 등이 나타나 의식을 잃게 되는 유해성 가스이다.
또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질소산화물과 공존시 태양광의 작용을 받아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PAN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하는 물질로, 수많은 화합물의 총칭이며 대표적인 물질로는 벤젠(인체 발암 물질), 톨루엔(두통, 현기증, 피부, 평형장애, 마비 등), 자일렌(두통, 피로, 정신착란 등), 스티렌(인체 발암물질) 등이 있다.
또한,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는 둘 이상의 벤젠 고리를 가지고 있는 방향족 탄화수소로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센터(IARC)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인 벤젠 등 각종 발암물질과 신경 독성물질 등 인체에 특히 해로운 유해물질을 통칭하는 것이다.
또한, 포름알데하이드류는 탄소 화합물의 산화 및 연소 과정에서 중간 생성물로 생성, 안구 점막 자극, 호흡 곤란, 두통, 발암 물질, 백혈병 유발 가능성 등이 보고되어 있는 유해 가스 성분이다.
또한, 일산화탄소는 호흡시 폐로 들어가면 혈액 중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보급을 가로막아 두통, 현기증, 이명, 맥박 증가, 구토, 중추신경계마비에서 사망까지 이르게하는 물질이다.
또한, 이산화탄소는 지구에서 방출하는 장파복사 에너지를 흡수하는 대표적인 온실기체로 지구복사 에너지를 다시 지표면으로 되돌려 보내기 때문에 지구 온난화(온실효과)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화수소는 탄소와 수소로만 이루어진 탄소화합물의 일종인 유기 화합물이고, 음식 조리 시 발생하는 배출 가스에는 그 외 각종 유분 및 유증기를 비롯한 가스성 오염 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시판중인 레인지 후드는 단순히 환풍기로 분류되어 있으며 KS 시험방법에 준하여 성능시험이 수행되고 있고, 주요 선진국도 오염 물질 및 필터에 대한 성능기준에 대해 일부 규정하고 있으나, 연소 시 발생되는 오염 물질의 배출에 대한 규정은 없으며, 음식점이나 가정의 주방에서 조리되는 식자재의 종류 및 조리방법(튀김, 구이 등)에 따라 취기(냄새), 유증기 및 기타 다양한 오염 물질들이 실내로 다량으로 방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환경에서 사용하여 배출 가스의 유해 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필터와 같이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폐기물이 없어 친환경적인 공기정화 장치(4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10)는 내부에 물을 수용하고 있는 통상의 수조(10)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수조(10)의 형태,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수조(10) 내부에 기포 형태로 공급되는 오염 공기가 충분한 상승 시간을 가지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될 수 있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공급배관(20)은 외부의 오염 공기를 수조(10)까지 이송하기 위한 배관일 수 있다. 상기 공급배관(20)은 수조(10)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수조(10) 내부로 연장되는 공급배관(20)의 말단에는 기포 발생 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포 발생 장치(60)는 물이 담긴 수조(10) 내부의 하부 영역에 잠겨 있는 상태로 위치할 수 있고, 오염된 공기를 물을 사용해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오염된 공기를 수 마이크로 미터(㎛)에서 수 미리 미터(㎜) 크기의 기포 형태로 물 속으로 배출하여, 물과 오염된 공기가 접촉하는 면적을 극대화하여, 기포가 수중에 존재하는 짧은 시간 내에도 오염 물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오염 공기와 함께 흡입되는 오염된 가스성 물질의 경우, 수중(水中)에서 기포 형태로 방출시킴으로써 표면에 존재하는 것보다 용해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는, 동일한 온도에서 같은 양의 액체에 용해될 수 있는 기체의 양은 기체의 부분압과 정비례한다는 핸리의 법칙에 따라 적용 가능하다. 즉, 물의 표면에 존재하는 기체의 부분압은 일반적으로 1기압에 머물게 되지만, 수중에 있는 기체의 압력은 수압에 의해 그 압력이 올라가고, 이에 따라 용해도는 증가하게 된다.
핸리의 법칙은 물속에서 대량으로 녹아서 이온화되거나 산-염기 반응을 하는 일분 극성 기체 분자들에 대해서는 적용되지 않으나, 물에 의한 용해도가 높기 때문에 표면적을 넓혀 용해 속도를 높일 수 있으며, 핸리의 법칙이 적용되는 액체에 소량으로 용해되는 메탄, 이산화탄소 등에 적용하면, 결과적으로 다수의 가스성 물질에 대한 용해도를 높이는 결과를 구현할 수 있다.
기포 발생 장치(60)는 금속, 세라믹 또는 고분자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기가 흡입되어 작은 기포 형태로 방출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어떠한 종류도 사용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가장 적합한 기포 발생 장치(60)의 소재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중에서 안정적인 위치를 갖을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기포 발생 장치(60)는 공급되는 오염 공기가 머물 수 있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중에 방출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상기 기포 발생 장치(60)를 사면체로 형성하는 경우 6면이 모두 막혀 있고 내부에 오염 공기가 머물 수 있는 수용부 공간이 확보되어 있고, 상기 6면의 어느 1면은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급배관(20)과 접해 있으며, 그 외 나머지 면 중 하나 이상의 면에는 복수 개의 홀이 타공되어 기포 발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홀의 평균 입경은 목적하는 버블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 내지 10 mm, 500 ㎛ 내지 5 mm 또는 1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개수는 수조(10)의 사이즈 및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개 내지 1000개, 10개 내지 300개 또는 10개 내지 50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포 발생 장치(60)를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하부면과 둘레부를 포함하는 원통형의 몸체를 포함하고, 상하부면과 둘레부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공급배관(20)으로 흡입되는 공기가 기포 발생 장치(60)로 공급되기 위한 연결부가 존재하며, 원통형의 몸체 내부에는 오염 공기가 머무는 수용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복수개의 홀로 형성되는 기포 발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홀의 평균 입경은 목적하는 기포의 크기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 내지 10 mm, 500 ㎛ 내지 5 mm 또는 1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홀의 개수는 수조(10)의 사이즈 및 공급되는 공기의 양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개 내지 1000개, 10개 내지 300개 또는 10개 내지 50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배관(20)의 내부에는 수조(10)로 오염 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유분 또는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공급배관(20)의 내부에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부(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필터(31)는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가장 앞단에 위치하며,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유분 및 유증기를 1차적으로 제거하는 목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금속 필터(31)는 식품 조리 공간과 가장 밀접해 있는 부분으로 위생, 내열 특성 확보, 온도 차이에 의한 유분 및 유증기 제거 및 세척 용이성을 위해 금속 메쉬 타입의 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상술한 특성을 가진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필터(31)는 알루미늄 금속으로 제조된 메쉬 형태의 금속 필터(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쉬 형태의 금속 필터(31)는 1중(1 layer) 또는 2중 내지 6중의 다층 구조로 형성하여 제거 효율을 증대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고분자 필터(32)는 유분 및 유증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친유성 고분자 필터(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친유성 고분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VC),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및 폴리스티렌(PS)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고분자 필터(32)는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를 포함하는 재질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필터(32)는 굵은 섬유, 직포 및 부직포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금속 필터(31)와 고분자 필터(32)는 분리 및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공급배관(20)에 결착될 수 있고, 오염 물질이 일정량 흡착되면 공급배관(20)으로부터 탈착시켜 세척 후 재사용이 가능하여, 1회용이 아닌 반영구 또는 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세척액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물 만을 이용하여서도 세척이 가능하고, 필요 시 통상의 세제를 이용한 세척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처리부(30)는 금속 필터(31)와 고분자 필터(32)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금속 필터(31)만을 구비하는 때보다 공기에 유분 또는 유증기 형태로 포함된 오염 물질의 제거 효율이 크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필터(31)와 고분자 필터(32)를 포함하는 전처리부(30)를 구비함으로써 공급배관(20)이나 흡기용 팬에 기름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처리부(30)에 구비된 금속 필터(31) 및 고분자 필터(32)를 통해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공기에 포함된 유분 및 유증기 형태의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분리 및 탈착이 가능하기에 세척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하여 일반적인 공기청정기에서 사용되는 필터와 같이 2차 산업 부산물을 발생시키지 않아 친환경적이며 운용 비용이 낮은 장점이 있다.
또한, 금속 필터(31) 및 고분자 필터(32)를 구비하면서 고분자 필터(32)를 금속 필터(31) 후단에 설치함으로써 금속 필터(31)에 부착된 기름 성분들이 흘러내려 공급배관(20)을 오염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금속 필터(31)에서 걸러지지 않은 유분과 유증기를 필터링할 수 있어 안전성을 개선하고 장치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급배관(20) 내부에 구비되는 흡기용 팬 유닛(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기용 팬 유닛(70)은 상기 전처리부(30)의 후단에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단의 전처리부(30)에서 유분이 제거되어 팬에 기름때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장치의 세척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전처리부(30)를 통과한 오염 공기는 흡기용 팬 유닛(70)을 지나 수조(10) 내 기포 발생 장치(60)를 통해 수조(10)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유분 및 냄새를 비롯한 오염 물질 등은 그 특성상 넓은 공간으로 퍼지기 때문에, 흡입용 팬의 흡입력이 우수해야만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유해 가스를 흡입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경우에는 오염 공기의 흡기 및 수조(10)로 기포 형태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의 유속 조절을 위해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흡기용 팬은 500 rpm 이상의 회전수 및 20 cfm 이상의 풍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기용 팬의 회전수는 500 내지 10000 rpm, 500 rpm 내지 5000 rpm 또는 500 내지 1000 rpm일 수 있다. 또한, 흡기용 팬의 풍량은 20 cfm 내지 500 cfm, 20 cfm 내지 300 cfm 또는 20 cfm 내지 50 cfm일 수 있다. 상기 흡기용 팬의 회전수와 풍량을 상기 범위 내로 조절함으로써 외부의 오염 공기를 효과적으로 흡입하여 버블 형태로 수조(10)에 공기를 주입하고 오염 물질 제거 후 배출배관(80)으로 배기가 가능할 수 있고, 동시에 최소한의 소음을 유지할 수 있다.
전처리부(30)를 통과하여 유분이 제거되고 탄소 화합물, 가스성 물질 및 입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는 흡기용 팬 유닛(70)으로 수조(10) 방향으로 송풍되고, 수중의 기포 발생 장치(60)를 통해 미세 기포 형태로 방출되면서 미세 기포가 수면으로 올라가는 동안 오염 물질들이 물 속에 용해 또는 물과 흡착, 혼합되면서 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10) 내부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40)는 전기분해 방식을 사용하여 물에 용해되거나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여 물을 정화하기 위한 부재로서, 수조(10) 내부에서 상기 기포 발생 장치(60)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화 장치(40)는 기포 발생 장치(60)로부터 지속적으로 오염 물질이 유입됨에 따라 수조(10) 내부에 있는 물의 오염도가 점차 증가하기 때문에 물에 용해 및 포함되어 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화 장치(40)를 구비하여 수조(10) 내 물에 교체할 필요 없이 오염 공기를 정화하는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정화 장치(40)의 양극과 음극은 각각 전도성 금속에 금속 촉매가 코팅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류를 가함에 따라 전기 분해 반응으로 수중에 존재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분해 방식은 무격막식 전기 분해로, 제 1전극과 제 2전극 모두 티타늄 금속(Ti)에 백금(Pt) 촉매를 코팅하여 사용하나, 음극 환원 반응과 양극 산화 반응을 사용하는 전기 분해 방식으로 구동하는 구조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분해에서는 전극의 면적이 넓고 전극간 거리가 좁을수록 전기 분해로 발생하는 수소의 양이 증가하여 효율이 증가하나, 전극과 전극 사이의 거리가 너무 좁게 되면, 발생하는 기포의 방출이 원활하지 않아서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기에, 적정 간격을 설정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전극간 간격은 1 mm 내지 10 mm, 1 mm 내지 5 mm 또는 3 mm 내지 5 mm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정화 장치(40)는 기포 발생 장치(60)의 하부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기포 발생 장치(60)에서 발생하는 기포와 전기 분해 시 발생하는 기포의 중복을 최대한 막아 공기 정화 효율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전극간 거리와 정화 장치(40) 가동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정화 장치(40)는 공기정화 장치(100)가 가동되는 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이 아니라, 초기 가동 시 수 분 동안 가동 후 작동을 멈추고, 이 후 인터벌(interval)을 두고 동작과 대기를 반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화 장치(40)는 초기 1분 내지 20분간 가동되고, 이후 30분 내지 1시간 간격으로 인터벌을 두고 동작과 대기를 반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포 중복으로 공기정화 장치(100)의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 에너지 소비 효율 또한 저하되기 때문에 오염된 상태의 물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전기 분해가 인터벌을 두고 작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물에서 기포 형태의 오염 공기는 상승하면서 오염 물질들이 물 속에 용해 또는 물과 흡착, 혼합되면서 정화되는데, 이로 인해 물은 오염되고, 지속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공기정화 장치(100)의 작동을 멈추고 상기 수조(10) 내부의 물을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 장치(100)는 수조(10) 내부에 정화 장치(40)를 구비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오염된 물을 정화함으로써 물을 교체하기 위해 작동을 멈추는 시간을 단축하고, 공기 정화 장치(40)의 연속 사용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조(10)로부터 상승하는 기체가 이동하는 배출배관(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배관(80)의 내부에는 배기용 팬 유닛(9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기용 팬 유닛(90)은 수조(10)에 의해 오염 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역할 및 흡입용 팬 유닛의 부하를 방지하고, 수조(10)에서 발생하는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팬 유닛으로서, 수조(10)에서는 기포 발생 장치(60) 및 전기 분해를 통한 물 정화 장치에서 다량의 기포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 기포를 효과적으로 제거해야 연속적으로 안정적인 정화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조(10)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50)를 포함한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50)는 수조(10)에 있는 물의 온도에 따라 공기에 함유되어 있는 가스성 물질의 용해도는 반비례 관계를 갖게 된다. 물의 온도가 높으면, 가스성 물질의 용해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가스성 물질의 용해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낮은 온도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이기 때문에, 흡입되는 유증기 및 냄새를 포함하는 연기를 포함하는 기체 공기는 상당히 높은 온도, 예를 들어 수증기 기준 100 ℃ 이상으로 지속적으로 공급되며, 이에 따라 수조(10)의 물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수조(10)에 있는 물의 온도 상승은 가스성 물질의 용해도를 낮추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가스성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수조(10)의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용해도의 저감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조(10)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냉식과 수냉식 등 온도를 낮출 수 있는 칠러(chiller)의 역할이 가능한 모든 장치가 사용될 수 있으며, 냉매 또는 촉매를 사용하는 냉각 방식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온도 조절 장치(50)는 수조(10)의 물을 순환시키는 라디에이터 관로(51); 및 라디에이터 관로(51)로 이동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온도 조절 장치(50)는 열을 방출하는 알루미늄 재질의 라디에이터(radiator) 관로 내부로 뜨거운 공기로 인해 가열된 물이 순환되면서 배출용 팬 유닛 또는 개별 냉각팬 유닛을 이용한 냉각부로 인해 송풍되는 공기와 접촉하여 냉각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50)는 배출배관(80)과 연결되어 물의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증가한 외부 공기가 배출배관(80)을 통해 배기될 수 있다. 이 경우 온도 조절 장치(50)에서 사용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부재가 요구되지 않고, 온도가 증가된 외부 공기로 인해 상승하는 정화된 공기에 물이 비말 동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온도 조절 장치(50)를 이용하여 상기 수조(10)의 온도는 60 ℃ 미만, 50 ℃ 이하 또는 25 ℃ 내지 40 ℃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온도 조절 장치(50)에서 사용된 공기를 배출배관(80)으로 배기하는 경우 배출배관(80)에 별도의 배기용 팬 유닛(90)을 설치하지 않아도 상승하는 정화된 공기의 배기가 용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정화 장치(100)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수조(10), 공급배관(20), 배출배관(80), 온도 조절 장치(50) 등의 장치를 설치 가능한 크기와 형태를 가지고, 필요한 내화학성, 강성 등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면, 크기, 형상, 재질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하우징의 일 예로서, 하기 도 2에 나타낸 형태의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오염된 공기를 본 발명의 공기정화 장치(100)를 이용하여 정화하는 경우, 오염 공기는 전처리부(30)의 금속 필터(31)와 고분자 필터(32)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유분 및 유증기가 제거되고, 흡기용 팬 유닛(70)을 통해 송풍되어 공급배관(20)을 타고 기포 발생 장치(60)로 이송된다. 그리고, 기포 발생 장치(60)에서 오염 공기는 수조(10)에 담긴 물에 기포 형태로 주입되고, 여기서 오염 공기 속에 잔존하는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수조(10) 내부의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 장치(40)가 가동되고, 수조(10)의 온도를 60 ℃ 미만으로 냉각하기 위한 온도 조절 장치(50)가 가동된다.
이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된 정화된 공기는 물의 수면을 통해 상승하고, 배기용 팬 유닛(90)에 의해 외부로 송풍되어 배출될 수 있다.
식품 조리 시 발생하는 질소산화물(NOx),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다핵방향족탄화수소(PAHs), 폼알데하이드류, 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유분 및 유증기, 각종 가스성 오염 물질 등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는 본 발명의 공기정화 장치(100)의 전처리부(30), 기포 발생 장치(60) 및 수조(10)에서 물에 의한 오염 물질 제거를 통해, 오염 물질이 효과적으로 제거된 정화된 공기로서 외부에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기 도 3과 같은 공정 흐름도에 따른 공기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공기정화 방법은 공급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염 공기를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는 전처리부를 통과시켜 1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조 내부의 물에 공급하여 2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수조 내부의 물을 전기분해를 통해 정화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공기정화 방법은 상술한 공기정화 장치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일 수 있다.
<실험예>
실험예 1: 가스의 용해도 측정
아세틸렌, 암모니아, 브롬,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염소, 에탄, 에틸렌, 수소, 황화수소, 메탄, 질소, 산소 및 이산화황 각각에 대해서, 20 ℃의 온도 및 1 기압 조건에서 물 100 g에 녹아 있는 기체의 무게(g)를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가스 용해도
아세틸렌(Acetylene) 0.117
암모니아(Ammonia) 52.9
브롬(Bromine) 14.9
이산화탄소(Carbon dioxide) 0.169
일산화탄소(Carbon monoxide) 0.0028
염소(Chlorine) 0.729
에탄(Ethane) 0.0062
에틸렌(Ethylene) 0.0149
수소(Hydrogen) 0.00016
황화수소(Hydrogen sulfide) 0.385
메탄(Methane) 0.0023
질소(Nitrogen) 0.0019
산소(Oxygen) 0.0043
이산화황(Sulfur dioxide) 11.28
실험예 2: 오염 물질의 물 온도에 따른 용해도 측정
암모니아(NH3) 가스, 일산화탄소(CO) 가스, 이산화탄소(CO2) 가스, 염소(Cl2) 가스, 에탄(C2H6) 가스, 황화수소(H2S) 가스 및 이산화황(SO2) 가스 각각에 대해서 동일 압력 조건에서 물의 온도에 따른 용해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물에 각각의 오염 물질 가스를 동일 조건으로 분사할 때, 물의 온도를 0 ℃에서 40 ℃ 내지 100 ℃까지 증가시키면서 용해도 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기서, 용해도는 물의 질량(kg)에 대한, 물에 용해된 가스의 질량(g) 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도 4 내지 도 10에 각각 나타내었다.
결과를 보면, 모든 오염 물질 가스에 대해서 물의 온도가 감소할수록 용해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공기정화 장치
10: 수조
20: 공급배관
30: 전처리부
31: 금속 필터
32: 고분자 필터
40: 정화 장치
50: 온도 조절 장치
51: 라디에이터 관로
60: 기포 발생 장치
70: 흡기용 팬 유닛
80: 배출배관
90: 배기용 팬 유닛

Claims (10)

  1. 내부에 물을 포함하는 수조;
    상기 수조로 오염 공기를 이동시키기 위해 수조 내부로 연장되는 공급배관;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며,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전처리부;
    상기 공급배관의 말단에 구비되는 기포 발생 장치;
    상기 수조 내부에 구비되며 전기분해를 통해 물을 정화하는 정화 장치;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수조 온도 조절 장치; 및
    상기 수조로부터 상승하는 기체가 이동하는 배출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기포 발생 장치는
    공급되는 오염 공기가 머물 수 있는 수용부; 및
    수용부의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중에 방출하는 기포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화 장치 및 기포 발생 장치는 수조의 하부 영역에 구비되고,
    상기 정화 장치는 기포 발생 장치가 구비된 수조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에 설치되며,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라디에이터 관로; 및 라디에이터 관로로 이동하는 물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조절 장치는 배출배관과 연결되어 물의 열을 전달받아 온도가 증가한 외부 공기가 배출배관을 통해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단에 구비된 금속 필터와 후단에 구비된 고분자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된 흡기용 팬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흡기용 팬 유닛은 500 rpm 이상의 회전수 및 20 cfm 이상의 풍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배관 내부에 구비된 배기용 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 장치는 식품 조리 환경에서 발생하는 공기의 정화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10. 제1항에 따른 공기정화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으로서,
    공급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오염 공기를 상기 공급배관 내부에 구비되는 전처리부를 통과시켜 1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10);
    전처리부를 통과한 오염 공기를 기포 형태로 수조 내부의 물에 공급하여 2차적으로 오염 공기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단계(S20);
    수조 내부의 물을 전기분해를 통해 정화시키는 단계(S30); 및
    상기 수조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S40);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부는 금속 및 고분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질의 필터를 포함하는,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방법.
KR1020220144153A 2022-11-02 2022-11-02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KR102636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53A KR102636300B1 (ko) 2022-11-02 2022-11-02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153A KR102636300B1 (ko) 2022-11-02 2022-11-02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6300B1 true KR102636300B1 (ko) 2024-02-14

Family

ID=89896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153A KR102636300B1 (ko) 2022-11-02 2022-11-02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63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4178A (zh) * 2024-03-25 2024-05-03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萃余液蒸汽除油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590A (ko) * 2006-12-11 2006-12-29 박병인 공기정화장치
JP3227487U (ja) * 2020-04-27 2020-09-03 南京鼎騰石墨▲希▼研究院有限公司Nanjing Graphene Research Institute Corporation 空気殺菌加湿器
KR20200107336A (ko) * 2019-03-07 2020-09-16 이창준 다기능성의 공기 청정기
KR102277299B1 (ko)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5590A (ko) * 2006-12-11 2006-12-29 박병인 공기정화장치
KR20200107336A (ko) * 2019-03-07 2020-09-16 이창준 다기능성의 공기 청정기
JP3227487U (ja) * 2020-04-27 2020-09-03 南京鼎騰石墨▲希▼研究院有限公司Nanjing Graphene Research Institute Corporation 空気殺菌加湿器
KR102277299B1 (ko) 2021-04-13 2021-07-13 권용진 물 필터를 이용한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964178A (zh) * 2024-03-25 2024-05-03 矿冶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萃余液蒸汽除油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nzález-Martín et al. A state–of–the-art review on indoor air pollution and strategies for indoor air pollution control
CN103566753B (zh) 餐饮油烟一体化处理系统及方法
CN103900132B (zh) 一种复合型具有耦合功能的油烟净化器
JP5968400B2 (ja) 光触媒式排気voc処理設備
WO2014014435A1 (en) Segmented stackable filter assembly for filtering a ga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20200338569A1 (en) Pollution control system
CN204214007U (zh) 油烟净化器
KR102636300B1 (ko) 재사용 가능한 필터 및 물을 사용하여 친환경적이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공기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공기정화 방법
CN105749635B (zh) 气体颗粒物无动力净化装置
CN104048334B (zh) 厨房pm2.5及污染气体净化机
CN207970701U (zh) 一种废气净化装置
CN107869750A (zh) 一种油烟多级净化装置及其应用方法
CN104048333A (zh) 一种厨房油烟净化的方法
WO2012021113A2 (en) Tower mechanism that removes soot and smell in the air
KR20210037029A (ko) 광촉매 모듈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CN205516946U (zh) 一种有机废气处理系统
CN201954636U (zh) 高净化复合分解式清除油烟异味机
CN101204589A (zh) 一种集成空气净化方法
KR101699891B1 (ko) 구이음식점 배출가스 처리장치
CN106949511A (zh) 一种智能厨房系统及其使用方法
EP2373402A1 (en) Air purifying system and method associated thereto
JP2002219324A (ja) 炭素性物質処理または加熱法と装置
KR102410117B1 (ko) 유도가열 방식의 고온 산화 및 열분해 작용 열교환기를 구비한 오염기체 정화장치
CN206311585U (zh) 室内有毒气体自动检测与净化换气装置
CN108413458A (zh) 一种油烟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