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84B1 -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 Google Patents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84B1
KR102635984B1 KR1020160173322A KR20160173322A KR102635984B1 KR 102635984 B1 KR102635984 B1 KR 102635984B1 KR 1020160173322 A KR1020160173322 A KR 1020160173322A KR 20160173322 A KR20160173322 A KR 20160173322A KR 102635984 B1 KR102635984 B1 KR 102635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tandby power
standby
usage
power u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33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70843A (en
Inventor
이성룡
강정규
고성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이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이트
Priority to KR1020160173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84B1/en
Publication of KR20180070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084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84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1/00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 G01R21/06Arrangements for measuring electric power or power factor by measuring current and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8Alarm setting and unsetting, i.e. arming or disarming of the security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50Systems or methods supporting the power network operation or management, involving a certain degree of interaction with the load-side end user applic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하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분석 장치 및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line of an industrial company and calculates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nd receives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that creates a database, divides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and creates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e groups and the database, and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et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using the set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the power usage received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t each preset time period, and predict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of the power usage group to be used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industry. It can analyze the model,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isplay an alarm at each stage, and include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that blocks standby power.

Description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본 발명은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측정 및 분석 장치, 대기전력 분석 장치 및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를 구비하여,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과의 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and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and provides real-time reception of the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This relates to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that calculat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with the actual power usage, displays an alarm at each stage, and blocks standby power.

최근 우리나라는 이상기후와 원자력발전 중지 등으로 여름철 전력문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절감 대책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앞으로 새롭게 조성되는 산업단지에 대해서는 에너지 저감관리 기술이 적용된 에너지 효율 최적화 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며, 또한 “전력수급 전망 및 대책”에서 에너지 수요관리 효율화 차원에서 BEMS, FEMS 등 에너지 절감 관리시스템 확충을 포함한 IT기반 스마트 절전 종합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Recently, power problems in Korea frequently occur in the summer due to abnormal climate and the suspension of nuclear power generation, and efficient energy saving measures are required. Accordingly, the government plans to create new industrial complexes in the future as energy efficiency optimization complexes with energy reduction management technology applied, and also plans to use energy reduction management systems such as BEMS and FEMS in order to improve energy demand management efficiency in the “Electricity Supply and Demand Outlook and Measures”. It was announced that it would establish comprehensive IT-based smart power saving measures, including expansion.

그러나, 산업체의 에너지 저감과 관련된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고, 우리나라 기업 중 에너지저감관리시스템을 도입한 기업은 아주 극소수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러한 원인은 기업의 에너지 저감에 대한 인식 부족, 관리시스템 도입 비용 부담 및 에너지관리 전문 인력 부족 등에서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However,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and practical support related to energy reduction in industry, and only a very small number of Korean companies have introduced an energy reduction management system.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company's lack of awareness of energy reduction, the cost burden of introducing a management system, and the lack of energy management experts.

특히, 정부의 에너지 저감 정책과 관련하여 전력 소비가 높은 산업부문 에너지 저감을 위해서 에너지저감 관리시스템의 지원, 추진이 시급하며, 최근 전력다소비 산업 비중(제조업 등)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전력 수요가 계속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가적으로는 전력 수급 문제 및 각 산업체에서는 사용한 전력의 비용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s energy reduction policy, it is urgent to support and promote an energy reduction management system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in industrial sectors with high power consumption. Recently, as the proportion of industries that consume a lot of power (manufacturing, etc.) continues to increase, power demand has increased. Problem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nd the problem of power supply and demand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 cost of power used by each industry are emerging.

즉, 산업체에서 사용한 전기요금제의 비율 중에서, 산업시설의 전기장치로 인한 대기전력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적지 않으며, 사무용 기기, 예컨대 개인용 컴퓨터(PC)나 서버, 프린터, 복사기 및 최근 네트워크의 발달로 인한 통신 기기들의 대기전력량 또한 급증하고 있다. 따라서, 에너지 저감을 위하여 최대 대기전력량을 줄이거나 차단할 수 있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In other words, among the proportion of electricity rates used by industrial companies, the proportion of standby power caused by electrical devices in industrial facilities is also significant, and office equipment such as personal computers (PCs), servers, printers, copiers, and communications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networks. The standby power of devices is also rapidly increasing. Therefore, the importance of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s that can reduce or block the maximum standby power amount to reduce energy is increas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전력측정 및 분석 장치, 대기전력 분석 장치 및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를 구비하여,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과의 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equipped with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and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to determine the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nd the power received in real tim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that calculates and analyzes the difference with usage, displays an alarm at each stage, and blocks standby pow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은,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하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분석 장치 및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tha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line of an industrial company and calculates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nd receives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that creates a database, divides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and creates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e groups and the database, and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et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using the set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the power usage received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t each preset time period, and predict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of the power usage group to be used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industry. It can analyze the model,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isplay an alarm at each stage, and include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that blocks standby pow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3개의 전력사용 그룹의 구분은, 데이터베이스, 산업체의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그룹으로 구분되고,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의 설정은, 산업체에서의 전력사용량, 생산 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ee power use groups are divided into three power use groups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type of industrial power use, and restart time. , Setting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set by considering the power usage in the industry, production schedule, and seasonal power us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하는 단계,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단계,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하는 단계 및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ethod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measuring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line of an industrial company, calculating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nd receiving power-related parameter data into a database. step, classifying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creating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e groups and the database,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etting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analyzing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power usage received at each preset time period, an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power usage group to be used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industry. Using the results, each step can include displaying an alarm and blocking standby power.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는, 데이터베이스, 산업체의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을 설정하는 단계는, 산업체에서의 전력사용량, 생산 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control method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dividing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includes the database, the type of power use of the industry, and restart time. It includes the step of dividing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in response, and the step of setting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is the step of setting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by using the power usage in industrial enterprises, production schedules, and seasonal power. It may include a setting step taking into account usage.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전술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Meanwhile,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for execut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n a computer may be provi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은,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의 연산 및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power-related parameter data and creates a database of power-related parameter data, divides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and calculates the divided power.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created based on user group and databa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고 시스템은, 예측된 대기전력량(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이 실시간 전력사용량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경우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 주의의 경보(alarm)를 표시하고,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의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plays a standby power caution alarm at each stage when the predicted standby power amount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is almost the same as the real-time power usage. And, blocking of standby power can be controlled at each stag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의 배전라인 설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이 웹기반 원격 모니터링 프로그램 환경에서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stribution line installation of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performed in a web-based remote monitoring program environment.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given similar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The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general terms that are currently widely used as much as possible while considering the fun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a person working in the art, the emergence of new technology, etc. In addition, in certain cases, there are terms arbitrarily selected by the applicant, and in this case, the meaning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Therefore, 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ased on the meaning of the term and the overal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than simply the name of the term.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When it is said that a part "includes" a certain elemen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means tha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i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but may further include other elements. In addition, terms such as "... unit" and "module" used in the specification refer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as hardware or software, or as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 In addi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to another par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connected," but also the case where it is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in betw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 대기전력 분석 장치(20) 및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and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may inclu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an industrial distribution line and calculat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의 회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의 배전라인 설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2 is a circuit diagram of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distribution line installation of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drawing showing .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공장, 기관 등의 산업체에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배전라인에 연결되어 전력을 측정하고 분석하기 위한 장치로서, 3상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can measure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an industrial distribution line. For example,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is a device for measuring and analyzing power by being connected to a distribution line separately installed in industrial enterprises such as factories and institutions, and can measure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ree phases.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배선라인에서 측정한 각 상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배선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상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 위상차 및 전고조파 왜곡률 등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연산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alculat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using the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each phase measured in the wiring line. For example,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wiring line, and uses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each phase to determine apparent power, active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and phase difference. and power-related parameters such as total harmonic distortion rate can be calculat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300kV 급 단상/3상 확장형 모듈 타입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대상 산업체 시설의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유무선 통신을 위한 TCP/IP, CDMA, 무선통신 모듈, RS485/RS232 및 아두이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연산한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등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소정 시간 주기로 대기전력 분석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as a 300kV class single-phase/three-phase expandable module type, and considering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of the target industrial facility, TCP/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include IP, CDM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RS485/RS232, and Arduino. That is,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can transmit the calculated power-related parameters such as apparent power,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to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분석 장치(20)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로부터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전송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대상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 분석 장치(20)는 대상 산업체의 각 시설 또는 지점마다 사용되는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등의 전력량을 분석하여, 산업체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산업체의 대기전력은 산업시설(프레스, 로봇 등) 및 사무기기 등에서 주로 발생하기 때문에 산업체 전력사용의 종류를 고려하여 전력사용 그룹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력사용 그룹을 구분할 때, 예컨대, 전원 차단 후 산업시설이 재생산활동이 가능한 시간인 재가동시간이 20분 이후일 경우 전원차단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가동시간 또한 고려하여야 한다.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power-related parameters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converts them into a database, and divides target industries into three power us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there is. For example,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analyzes the amount of power, such as apparent power,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used at each facility or branch of the target industrial company, and calculates three It can be divided into power usage groups. In other words, because industrial standby power is mainly generated from industrial facilities (presses, robots, etc.) and office equipment, power usage groups can be divided by considering the type of industrial power use. In addition, when classifying power use groups, for example, if the restart time, which is the time during which industrial facilities can reproduce activities after a power cut, is 20 minutes later, the power cut effect occurs, the restart time must als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즉, 대기전력 분석 장치(20)는 각 시설 또는 지점마다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 위상차 및 전고조파 왜곡률 등)의 데이터베이스, 대상 산업체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 그룹, 안전 및 보호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전력사용 그룹(그룹 A), 재가동시간이 20분 이상인 전력사용 그룹(그룹 B), 재가동시간이 20분 이하인 전력사용 그룹(그룹 C)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has a database of power-related parameters (apparent power, active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phase difference, and total harmonic distortion factor, etc.) for each facility or point, the type of power use of the target industry, and restart operation. In response to time, there are three power use groups: power use that must be used essential for safety and protection (Group A), power use with a restart time of 20 minutes or more (Group B), and power use with a restart time of 20 minutes or less. It can be divided into groups (Group 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분석 장치(20)는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 분석 장치 (20)는 각각의 전력사용 그룹(그룹 A~그룹 C) 및 전력 관련 파라미터들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산업체의 생산 및 업무활동량, 생산 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냉난방기 전력변동을 고려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대상 산업체에서의 각각의 전력사용 그룹에 대하여, 연중 전력 부하량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생산 및 업무 활동량, 생산 스케줄(재가동 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변동 요인을 고려하여 각각의 전력사용 그룹에 대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generate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age groups and database. For example,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20 is based on the database of each power usage group (Group A to Group C) and power-related parameters,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work activities of industrial companies, production schedules, and seasonal air conditioner power fluctuations. Taking this into consideration,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created. In other words, for each power usage group in the target industry, a year-round power load database is established, and the amount of production and work activity, production schedule (restart schedule), and seasonal power fluctuation factor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 each power usage group.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cre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대상 산업체에서의 전력사용량, 생산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전력사용량, 생산스케줄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생산시설의 대기전력 사용량, 당일 생산 스케줄(재가동 스케줄), 당일 날씨에 따른 냉난방기 작동에 대응한 대기전력량 또는 재가동시간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추어 최적의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설정할 수 있다.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t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minimum power usage amount)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example,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uses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to calculate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can be set. 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monitors not only power usage and production schedules, but also standby power usage of basic production facilities, the same-day production schedule (restart schedule), the standby power amount or restart time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weather of the day, etc. Considering this, you can set the optimal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ccording to the situ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대상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할 수 있다. 즉,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 경보(alarm) 및 전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서,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각각의 전력사용 그룹(그룹 A~그룹 C)의 생산활동에 따라서 사용될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과의 차를 계산하고 분석하여, 대기전력을 감지하고, 제어하도록 각 주의 단계를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t preset time periods, and the target industry. You can analyze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the power usage group that will be us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group. In other words,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uses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minimum power usage) to perform standby power alarm and power control at each stage, and calculates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nd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to be use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activities of each power usage group (Group A to Group C) can be analyzed. For example, by calculating and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t preset time periods, each caution stage can be set to detect and control standby power. there is.

예를 들어,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10% 이하이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각 그룹별 대기전력발생 예측 모델의 대기전력 발생량과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10% 이하인 경우에는 1단계 점검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5% 이하이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각 그룹별 대기전력발생 예측 모델의 대기전력 발생량과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5% 이하인 2단계 차단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t each preset time period is less than 10% of the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and standby power generation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of the prediction model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is less than 10% of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it can be set to the first stage of inspection.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t each preset time period is less than 5% of the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and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It can be set to a 2nd stage blocking stage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standby power generation and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is less than 5% of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또한,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가 설정된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0% 이하인 경우에는 3단계 재조정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이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3단계 재조정 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t each preset time period is less than 0% of the set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the third stage can be set to readjustment. In other words, if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is almost the same as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or is less than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it can be set to the 3rd stage of readjustmen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예측된 대기전력량(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이 실시간 전력사용량과 거의 차이가 없는 경우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즉,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분석 결과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의 각 단계(1단계 ~ 3단계)를 설정하여, 실제 전력사용량과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의 차이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analysis results to determine if the predicted standby power amount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is little different from the real-time power usage at each stage. An alarm can be displayed and standby power can be blocked. In other words,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30 sets each stage (stage 1 to 3) of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nd sets an alarm (stage 1) for each stag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power usage and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alarm) can be displayed and standby power can be blocked.

예를 들어,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가 현재 전력사용량 상태를 대기전력의 1단계 점검 단계로 분석한 경우에는 1단계 대기전력 주의라는 경보(alarm)를 표시하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생산시설 가동현황을 점검하고, 그룹 B, C의 대기전력 차단에 대비하라는 경보(alarm)를 표시할 수 있다. For example, i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nalyzes the current power usage status as a first-stage standby power inspection stage, it displays an alarm indicating a first-stage standby power caution and performs production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You can check the facility operation status and display an alarm to prepare for standby power interruption in groups B and C.

또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가 현재 전력사용량 상태를 대기전력의 2단계 차단 단계로 분석한 경우에는 2단계 대기전력 주의라는 경보(alarm)를 표시하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생산시설 가동현황을 점검하고, 그룹 B, C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nalyzes the current power usage status as a second-stage standby power blocking stage, it displays an alarm indicating a second-stage standby power caution and operates the production facility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You can check the status and control to block the standby power of groups B and C.

또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가 현재 전력사용량 상태를 3단계 행동 재조정 단계로 분석한 경우에는 3단계 대기전력 주의라는 경보(alarm)를 표시하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생산시설 가동현황을 점검하고, 그룹 B, C의 대기전력을 차단하도록 제어하며,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및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재조정할 수 있다. 즉,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이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과 거의 차이가 없거나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제로 생산활동에 공급되는 전력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대기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및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재조정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analyzes the current power usage status into a 3-stage action readjustment stage, it displays an alarm indicating a 3-stage standby power caution and monitors the production facility operation status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You can check and control to block the standby power of groups B and C, and readjust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n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In other words, if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has little difference from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or is less than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this means that no power is actually supplied to production activities. At the same time as blocking standby power,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n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are readjusted.

즉,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 주의의 경보(alarm)를 표시하고,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의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That is,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can use the analysis results to display an alarm warning of standby power at each stage and control the blocking of standby power at each stag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이 웹기반 원격 모니터링 프로그램 환경에서 수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eing performed in a web-based remote monitoring program environment.

도 4를 참조하면,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대상 산업체의 생산 시설 또는 기관의 배전실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등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하고, 연산 결과를 대기전력발생 분석 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line of the production facility of the target industry or the distribution room of the organization, and uses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etermine the superficial Power-related parameter data such as power,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can be calculated, and the calculation results can be transmitted to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nalysis device 20.

대기전력발생 분석 장치(20)는 유무선 통신을 통해서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로부터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고, 전송받은 전력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예컨대, 대기전력발생 분석 장치(20)는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어,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또한, 대기전력발생 분석 장치(20)는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대상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하여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nalysis device 20 can receiv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and can convert the transmitted power-related parameter data into a database. For example,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nalysis device 20 can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and create a database of power-related parameter data. In addition,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nalysis device 20 divides the target industry into three power use groups based on the database, and generates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e groups and the database to detect standby power and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alarm device 30.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전송받은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설정하고,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 실시간 전력사용량 및 각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한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웹 기반 원격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 예컨대,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은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하에서 웹 기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으로 동작이 가능하며, 관리자가 원격으로 퍼스널 컴퓨터(PC), 스마트폰 등을 사용하여 대상 산업체의 대기전력을 감시, 감지하고, 각 단계에 대응하여 대상 산업체의 대기전력의 차단 통지 또는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sets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using the transmit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and sets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real-time power usage and Using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each power usage group, an alarm can be displayed at each stage and standby power can be blocked. Referring to FIG. 4,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may be implemented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ersonal computer (PC) or smartphone, using a web-based remote program or application. In other words,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can be operated as a web-based program or application in an Internet network environment, and the administrator can remotely monitor the standby power of the target industry using a personal computer (PC), smartphone, etc. , detects, and responds to each stage to notify or block standby power of the target industry.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Figure 5 is a flowchart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대상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할 수 있다(단계 S10). 예를 들어,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는 배선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각 상의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역률, 위상차 및 전고조파 왜곡률 등의 전력 관련 파라미터를 연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in step S10,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can measure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distribution line of the target industry and calculat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step S10). For example,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wiring line, and uses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of each phase to determine apparent power, active power, reactive power, power factor, and phase difference. and power-related parameters such as total harmonic distortion rate can be calculated.

단계 S20에서, 대기전력발생 분석 장치(20)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10)로부터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고(단계 S20),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대상 산업체를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단계 S30),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단계 S40). 여기에서, 대상 산업체의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은, 대상 산업체의 각 시설 또는 지점마다 사용되는 피상전력, 유효전력, 무효전력 등의 전력량을 분석하여, 산업체의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할 수 있다. In step S20,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nalysis device 20 may receiv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10 and create a database (step S20), and based on the database, target industr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power use groups. (step S30), and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created based on the divided power usage groups and database (step S40). Here, the target industry is divided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by analyzing the amount of power such as apparent power,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used at each facility or branch of the target industry, and determining the type of power use and restart time of the industry. Correspondingly,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단계 S50에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을 설정하고(단계 S50), 상기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상기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하고(단계 S60),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단계 S70). 여기에서,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최소 전력사용량)의 설정은 대상 산업체에서의 전력사용량, 생산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즉,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30)는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 주의의 경보(alarm)를 표시하고, 각 단계별로 대기전력의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In step S50,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sets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minimum power usage)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step S50), and the set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 minimum power usage), the power usage received at preset time periods and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of the power usage group to be used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industry (step S60), and using the analysis results, each step An alarm can be displayed and standby power can be blocked (step S70). Here, the daily maximum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minimum power usage)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can be set by considering the power usage, production schedule, and seasonal power usage in the target industry. That is,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device 30 can display an alarm warning of standby power at each stage and control blocking of standby power at each st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에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의 제어 방법과 관련하여, 전술한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100)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Regard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s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described above may be applied. Therefore, with regard to the control method of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description of the same content as the above-described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100 has been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ording medium containing instructions executable by a computer, such as program modules executed by a computer. Computer-readable media can be any available media that can be accessed by a computer and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media,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Additionally, computer-readable media may include all computer storage media. Computer storage media includes both volatile and non-volatile, removable and non-removable media implemented in any method or technology for storage of information such as computer-readable instructions, data structures, program modules or other data.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unitary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
20: 대기전력 분석 장치
30: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
100: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
10: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20: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30: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100: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Claims (5)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에 있어서,
300kV 급 단상/3상 확장형 모듈 타입으로 제작되어 산업체의 배전라인에서 각 상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전압값 및 전류값을 이용하여 피상전력, 유효전력 및 무효전력을 포함하는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연산하는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
상기 전력 관련 파라미터 데이터를 전송 받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상기 산업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 상기 산업체의 전력사용의 종류 및 재가동시간에 대응하여 3개의 전력사용 그룹으로 구분하고, 상기 구분된 전력사용 그룹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기초하여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대기전력 분석 장치; 및
상기 생성된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을 설정하되, 상기 산업체에서의 전력사용량, 생산 스케줄 및 계절에 따른 전력사용량을 고려하여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상기 전력 측정 및 분석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사용량 및 상기 산업체에서의 생산활동에 따라 사용될 전력사용 그룹의 대기전력발생 예측모델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각 단계별로 경보(alarm)를 표시하고,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전력사용 그룹은,
안전 및 보호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전력사용 그룹, 재가동시간이 20분 이상인 전력사용 그룹 및 재가동시간이 20분이 미만인 전력사용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경보를 표시하기 위한 단계는,
상기 설정된 일일 최대 대기전력 발생량과 기 설정된 시간 주기마다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 - 이하, '제1 전력 사용량차'라 함 - 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10% 이하이고, 생산스케줄에 따른 각 그룹별 대기전력발생 예측 모델의 대기전력 발생량과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차 - 이하, '제2 전력 사용량차'라 함 - 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10% 이하인 점검 단계;
상기 제1 전력 사용량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5% 이하이고, 상기 제2 전력 사용량차가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5% 이하인 차단 단계; 및
상기 제1 전력 사용량차가 설정된 실시간 수신되는 전력사용량의 0% 이하인 재조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기전력분석 장치는, RS485 또는 RS232로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상기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장치와 연결되는 것인, 대기전력 감지 및 경보 시스템.
In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warning system,
Manufactured as a 300kV class single-phase/three-phase expandable module type, it measures the voltage and current of each phase in the industrial distribution line, and uses the measured voltage and current values to determine power-related parameters including apparent power, active power, and reactive power.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s that compute data;
The power-related parameter data is transmitted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based on the database, the industrial enterprise is divided into three power usage groups corresponding to the database, the type of power use and restart time of the industrial enterprise, and the divided power use A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that generates a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based on the group and the database; and
The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is set using the generated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taking into account the power usage in the industry, production schedule, and seasonal power usage, and the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set above is set. At each set time period, the power usage received from the power measurement and analysis device and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of the power usage group to be used according to production activities in the industry are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used to generate an alarm at each stage. ) and includes a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that blocks standby power,
The three power usage groups are:
Includes power use groups essential for safety and protection, power use groups with a restart time of more than 20 minutes, and power use groups with a restart time of less than 20 minutes,
The steps for displaying the alarm 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daily standby power generation set above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t each preset time perio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ower usage difference' - is less than 10% of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nd according to the production schedule. A check step w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amount of the standby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for each group and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ower usage difference' - is less than 10% of the power usage received in real time;
A blocking step in which the first power usage difference is 5% or less of the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and the second power usage difference is 5% or less of the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and
A readjustment step wherein the first power usage difference is less than or equal to 0% of the set real-time received power usage,
The standby power analysis device is connected to the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device by connecting to a network via RS485 or RS23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173322A 2016-12-19 2016-12-19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KR102635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2A KR102635984B1 (en) 2016-12-19 2016-12-19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3322A KR102635984B1 (en) 2016-12-19 2016-12-19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43A KR20180070843A (en) 2018-06-27
KR102635984B1 true KR102635984B1 (en) 2024-02-13

Family

ID=62790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3322A KR102635984B1 (en) 2016-12-19 2016-12-19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8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85B1 (en) * 2012-01-20 2012-04-17 굿어스 주식회사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96345B1 (en) * 2014-12-05 2016-02-25 김규호 Integrated electricity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gri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060B1 (en) * 2014-01-29 2016-09-09 주식회사 엠에스피 Apparatus and method for saving stand-by electric pow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985B1 (en) * 2012-01-20 2012-04-17 굿어스 주식회사 Power monitoring system
KR101596345B1 (en) * 2014-12-05 2016-02-25 김규호 Integrated electricity energy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0843A (en) 2018-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70842A (en) Peak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Saleem et al. Design, deploy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an IoT based smart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demand side management in smart grid
US200802387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mand dispatch and load management
EP3256865A1 (en) System for analyzing electricity consumption
KR20200036532A (en) Intelligent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Reducing Energy Applied to Manufacturing
Chang et al. Transient performance analysis of smart grid with dynamic power distribution
KR102635984B1 (en) Standby power detection and alarm system
CN205507465U (en) Power management monitored control system
CN112445169A (en) Energy power equ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cloud platform
CN104281140A (en) Manufacturing enterprise energy monitoring system
Hoang et al. Integrating energy efficiency-based prognostic approaches into energy management systems of base stations
Qiu et al. Managing critical transmission infrastructure with advanced analytics and smart sensors
KR20130117117A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let temperature of cooling water in network operating center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CN105205703A (en) Business analysis-based grid electricity operation programme determining method and system
CN107301606A (en) A kind of energy management monitoring system
Poojary et al. Open automated demand response: industry value to Indian utilities and knowledge from the deployment
KR20200120230A (en) Intelligent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for creating energy reduced environment
CN204303017U (en) Electric network intelligent scheduling real time execution visual analyzing early warning system
Manohar et al. A novel design of user responsive smart meter integrated automated EMS inn SCADA interfaced smart grid
JP2020025370A (en) Adjustment force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Ghatikar et al. Smart Grid-Responsive Data Centers
Milić Comprehensive concept of diagnostic centre in electrical power systems
CN204696795U (en) A kind of alternating current-direct current mixing distributing monitoring system based on mobile interchange technology
CN211478948U (en) Industrial intelligent power consumption control de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Milic Comprehensive concept of diagnostic centre in electrical power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