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926B1 -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926B1
KR102635926B1 KR1020230113568A KR20230113568A KR102635926B1 KR 102635926 B1 KR102635926 B1 KR 102635926B1 KR 1020230113568 A KR1020230113568 A KR 1020230113568A KR 20230113568 A KR20230113568 A KR 20230113568A KR 102635926 B1 KR102635926 B1 KR 1026359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ck
user terminal
photographing device
photo
re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3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영록
박정운
이주홍
손지숙
주지훈
홍성효
Original Assignee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신동아이에스
(주)성건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주)신동아이에스, (주)성건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디엘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13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9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opt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ns of tv-camera sc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1Design,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of databases
    • G06F16/219Managing data history or vers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58Wireless transmission of information between a sensor or probe and a control or evalua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Facility Crack Measuring System}
본 발명은 시설물의 안전관리 중 균열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촬영장치를 이용하고 균열부위를 차수별로 촬영하고, 웹서버를 통하여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여 보고서를 생성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웹서버에 접속하여 그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시설물의 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 및 건설기술진흥법"에 의거하여 구조물의 안전을 점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시대가 변하고 각종 건설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건물,다리,도로 등 각종시설물의 건설속도와 수는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안전사고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고,안전진단 역시 매년 강화되고 있다.
"시설물의안전 및 유지관리에 관한 특별법"은 시설물의 안전점검과 적정한 유지관리를 통해 재해와 재난을 예방하고 시설물의 효용을 증진시킴으로써 공중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취지를 두고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이런한 법률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지속적으로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다음과 같이 존재한다.
첫째, 안전관리 전담인력에 대한 부족현상이다. 시설물의 관리등급에 따라 많게는 월1,2회 정기점검을 받도록 규정이 되어있으나 18만개가 넘는 시설물을 관할지자체가 점검하기에는 시설물의 수가 너무 방대하여, 실효성이 있는 점검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둘째, 주관적인 안전진단이다. 안전등급 평가 매뉴얼을 활용하여 육안점검으로 대부분 실시가 되고 있으나 이는 주관적인 성향이 강하여 위험사항을 면밀하게 확인하는데 한계가 있다. 다시 말하면, 현재 시설물의 균열을 점검하는 방식은 눈금이 있는 플라스틱자를 균열부위에 설치하여 이전 수치와 현재 수치가 어느 정도 차이나는지 점검하고, 점검평가를 진행하는데, 0.1mm 혹은 0.01mm까지 육안으로 점검한다는 것은 사실상 매우 힘든 것이 사실이며, 이는 주관적인 안전진단으로 이어지면서 객관성이 결여되고, 전문성 또한 같이 하락하고 있는 실정이다.
셋째, 잦은 점검으로 인한 소유자 반발이다. 점검 진행시 소유자와 일정을 조율하고 점검구역을 통제할 수밖에 없다. 때문에 스키장이나 유원시설 등 방문자수가 많은 건물은 특히소유자의 반발이 심할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넷째, 현재 균열을 계측하는 시스템의 경우 수동으로 실시할 경우 인력을 통해 실시함에 따라 형식적으로만 실시하고 있고, 자동화 계측의 경우 비용이 매우 비싸기 때문에 이를 민간 업체 및 전문가들이 사용을 꺼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자동화 계측의 경우 수치 결과만(수치)만을 수집하기 때문에 결과에 대한 정확성 및 신빙성이 우려되는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등록특허 제10-1909212호
등록특허 제10-2192341호
등록특허 제10-2396329호
본 발명은 법률에 의거하여 시설물의 안전점검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이에 따라 발생하는 인력부족의 문제점, 육안을 통한 주관적인 안전진단의 문제점, 및 잦은 점검으로 인한 소유자 반발, 비용의 문제(경제성), 수치만을 확인하는 자료의 신뢰성(객관성) 미비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균열을 측정할 위치에 균열측정장치를 설치하고 사용자단말기를 통해 균열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 방식에 비해 월등히 짧은 시간과 적은 인력으로 점검을 진행할 수 있다.
둘째, 육안으로 파악이 힘든 0.0135mm까지 측정할 수 있고, 여러 회차 촬영 및 진단도 가능하며, 웹서버의 인공지능 분석부의 딥런닝 모델을 실행하여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균열을 탐지하고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한 후 관련 보고서 생성이 가능하여, 웹서버에 접속한 다양한 사람(점검 시행자, 시설물의 소유자나 관리자 등)들이 언제든지 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셋째,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다수의 균열촬영장치를 제어할 수 있고, 웹서버와 연계되어 촬영된 사진만 전송하면 균열 폭의 자동 도출 및 관련 보고서 자동 생성이 가능하여 시설물의 소유자 혹은 관리자와의 일정 조율 문제, 소유자, 관리자 또는 입주민의 점검 비협조와 같은 불만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균열촬영장치(100)와의 연동(기기연동 또는 기기연동 해제) 및 데이터 수집(사진 촬영)을 제어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균열촬영장치(100)에서 촬영한 균열 부위의 사진을 웹서버(300)로 전송하여 분석하거나, 일시적으로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하거나, 균열 부위를 재촬영할 수 있다.
도4는 웹서버(300)에서 생성한 보고서의 예시로서, 균열촬영장치(100)에 해당하는 계측기의 위치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각 계측기별로 측정치와 변위량을 차수별로 확인할 수 있다.
도5는 웹서버(300)에서 생성한 보고서의 예시로서, 촬영된 사진 및 측정값을 촬영시점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주요 구성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균열촬영장치(100), 사용자단말기(200), 및 웹서버(300)로 구성되고, 웹서버(300)에는 인공지능 분석부(310), 보고서 생성부(320) 및 데이터베이스부(330)가 포함된다.
균열촬영장치(100)는 안전점검 대상인 시설물에 설치되며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한다.
균열촬영장치(100)는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 사용자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예를 들어, Bluetooth Low Energy)이 가능하여 촬영된 사진 파일을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기능,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교체 가능한 배터리 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는 포트)이 구비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균열촬영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고, 인터넷과 같은 통신망을 통하여 웹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이와 대체될 수 있는 다양한 디지털 단말기를 의미하며, 이러한 기능 수행이 가능하면 구체적인 종류나 규격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사용자단말기(200)에는 균열 계측 시스템의 작동에 필요한 웹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사용자단말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하여 전송한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사용자단말기(200)에 표시되는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균열촬영장치(100)와의 연동(기기연동 또는 기기연동 해제) 및 데이터 수집(사진 촬영)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균열촬영장치(100)와 미리 설정된 거리(도2의 예시에서는 10m 이내) 이내에 접근하면 기기연동이 가능하며, 화면 상에 표시된 기기연동 표시 버튼을 클릭하여 기기연동을 하거나 연동을 해제할 수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 승인을 위한 절차(회원가입, ID 및 비밀번호 입력 등의 절차)는 기존 상용화되어 있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바 별도 설명을 생략한다.
아울러 기기연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데이터 수집 실행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균열촬영장치(100)의 촬영 작동이 이루어지고, 촬영된 사진을 전송받을 수 있다.
도3은 데이터 수집 실행의 결과 촬영된 사진을 균열촬영장치(100)로부터 전송받은 상태의 사용자단말기(200) 화면을 예시적으로 보여주는데, 전송받은 사진은 분석 버튼을 클릭하여 웹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웹서버(300)와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단말기(200)에 일시 저장할 수도 있고, 촬영된 사진을 확인한 후 재촬영이 필요할 경우에는 재촬영 버튼을 클릭할 수도 있다. 웹서버(300)로 전송된 균열 부위 사진은 웹서버(300)에 저장되고 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게 된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안전 점검 시행자의 단말기뿐만 아니라 시설물의 소유자나 관리자의 단말기가 될 수도 있어 시설물의 소유자나 관리자도 수시로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웹서버(300)에 접속하고, 웹서버(300)에 저장된 사진이나 보고서를 확인할 수 있다.
웹서버(300)는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을 수신하거나 그 밖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한다. 또한,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웹서버(300)와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면 각 시설물별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있고, 각 프로젝트별 하위현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데, 이러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하위현장정보는 웹서버(300)에 저장되고,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이러한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하위현장정보를 불러올 수도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경우, 타 프로젝트와 구분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명, 건설사명, 작업의 종류(균열관리, 현장조사, 건물관리, 기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하위현장정보를 입력할 경우, 타 하위 현장과 구분하기 위하여 주소 정보를 입력하고, 전경사진, 주변사진, 배치도, 또는 주변지도에 관한 정보는 사용자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통하여 직접 촬영하거나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진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다수의 균열촬영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각 균열촬영장치(100)마다 식별정보(식별코드, 식별번호 또는 식별명칭)을 부여하고, 각각의 균열촬영장치(100)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작동 제어(기기연동, 기기연동해제 또는 데이터 수집 실행(촬영)한다.
아울러, 균열촬영장치(1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진에 고유의 파일명과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를 부여하고, 고유의 파일명,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가 부여된 사진을 웹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사용자단말기(200)에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단말기(200)는 균열촬영장치(100)의 설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제거될 경우 해당되는 균열촬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선택하여 사용자단말기(200)와의 연결 정보를 제거할 수 있는데, 균열촬영장치(100)와 사용자단말기(200)의 연결 정보가 삭제되면 연결 정보가 삭제된 균열촬영장치(100)와 연계되어 고유의 파일명,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가 부여된 후 웹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사진 및 이를 분석한 보고서 내용이 함께 삭제된다.
인공지능 분석부(31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웹서버(300)로 전송된 사진에 대하여 딥런닝(deep learning) 모델을 실행하여 균열을 탐지하고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한다.
딥런닝(deep learning) 모델은 오픈소스 시멘틱 세그멘테이션(Semantic Segmentation) 모델을 사용하는데, 모델 아키텍처는 변경하지 않고, 성능 향상을 위해 부가적인 기법들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적용한 모델은 다른 시멘틱 세그멘테이션 모델들과 비교해 미세한 디테일과 영상의 전체적인 정보까지 종합적으로 분석가능한데, 이는 여러 스케일에서 영상의 특징 또는 정보들을 추출하여 활용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균열의 양상을 정확하게 추론하기 위해 주변 컨텍스트(context)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모델 도입하고, 최소한의 데이터로도 높은 성능을 확보하기 위해 대규모 데이터셋을 사전학습한 모델을 유사 오픈 데이터셋으로 파인튜닝(Fine-tuning) 후, 실제 데이터셋으로 전이학습(TransferLearning)을 수행하고, 다양한 영상의 일반적인 특성과 균열촬영장치(100)로 촬영한 사진(영상)의 특성을 효과적으로 학습함으로써 모델의 일반화 성능을 확보하고, 학습 시간을 대폭 절감한다.
데이터 증강(Augmentation)을 통해 적은 데이터로 최대 학습효과를 확보하고, 데이터셋에 다양성을 부여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에서 가장 흔한 과적합(Overfitting) 문제를 완화함으로써 모델의 견고성(robustness)를 개선하는데,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기법이 존재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성에 맞게 직접 구현해야 한다.
본 발명의 특성상 고정된 지점(위치)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균열 폭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추적할 필요가 있으며, 촬영된 사진으로부터 균열 폭을 도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분석부(310)는 ①균열 폭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진에서 균열을 이루는 2개의 윤곽선으로 구분하고, ②일측 윤곽선 위에 측정 기준이 되는 고정된 하나의 점(point)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③설정된 기준점에서 타측 윤곽선까지의 최단 거리를 계산하되, 최단 거리는 기준점으로부터 각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타측 윤곽선과의 교차점들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계산하여 도출하고, ④최단 거리 도출에 사용된 기준점과 각도를 저장해 두고, 추후 동일한 균열촬영장치(100)에서 촬영된 사진 분석시에 동일한 기준점과 각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최단 거리를 도출한다.
여기서 최단 거리는 2개의 점 사이 픽셀 개수에 해당하는데, 여기에 본 발명의 균열촬영장치(100)의 픽셀 밀도(Pixelspermillimeter)를 곱함으로써 mm단위로 변환할 수 있다.
보고서 생성부(320)는 인공지능 분석부(31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보고서를 생성한다.
보고서 생성부(32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웹서버(300)로 전송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균열촬영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정보(식별코드, 식별번호 또는 식별명칭)을 전달받고, 인공지능 분석부(310)로부터 분석에 사용된 사진 및 인공지능 분석부(310)가 도출한 균열 폭을 전달받는다.
아울러, 보고서 생성부(320)는 사용자단말기(200)의 보고서 생성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분석에 사용된 사진, 균열 폭, 촬영차수, 촬영일자,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부(330)에 저장한다.
안전점검 시행자나 시설물의 소유주 또는 관리자 등이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웹서버(300)에 접속하면 해당 시설물 관련 보고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 도4는 웹서버(300)에서 생성한 보고서의 예시로서, 균열촬영장치(100)에 해당하는 계측기의 위치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각 계측기별로 측정치와 변위량을 차수별로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도5는 웹서버(300)에서 생성한 보고서의 예시로서, 촬영된 사진 및 측정값을 촬영시점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부(330)는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및 사진 데이터와 함께, 보고서 생성부(320)가 생성한 보고서를 저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
100:균열촬영장치
200:사용자단말기
300:웹서버
310:인공지능 분석부
320:보고서 생성부
330:데이터베이스부

Claims (9)

  1.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상기 웹서버(300)와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하면 각 시설물별 프로젝트를 생성하거나 이미 생성된 프로젝트를 불러올 수 있고,
    각 프로젝트별 하위현장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생성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및 하위현장정보는 상기 웹서버(300)에 저장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프로젝트를 생성할 경우, 타 프로젝트와 구분하기 위하여 프로젝트명, 건설사명, 작업의 종류(균열관리, 현장조사, 건물관리, 기타)에 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하위현장정보를 입력할 경우, 타 하위 현장과 구분하기 위하여 주소 정보를 입력하고, 전경사진, 주변사진, 배치도, 또는 주변지도에 관한 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구비된 카메라 기능을 통하여 직접 촬영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저장된 사진을 업로드하는 방식으로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2.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
    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는,
    다수의 상기 균열촬영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도록 각 균열촬영장치(100)마다 식별정보(식별코드, 식별번호 또는 식별명칭)을 부여하고,
    각각의 상기 균열촬영장치(100)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작동 제어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에서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여 각각의 사진에 고유의 파일명과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를 부여하고,
    고유의 파일명,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가 부여된 사진을 상기 웹서버(300)로 전송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제거될 경우 해당되는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식별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의 연결 정보를 제거할 수 있고,
    해당되는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연결 정보가 삭제되면 기존 균열촬영장치(100)와 연계되어 고유의 파일명, 촬영차수 및 촬영일자가 부여된 후 상기 웹서버(300)에 저장되어 있던 사진 및 이를 분석한 보고서 내용이 함께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3.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
    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된 사진에 대하여 딥런닝(deep learning) 모델을 실행하여 균열을 탐지하고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분석부(310);
    상기 인공지능 분석부(31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32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및 사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보고서 생성부(320)가 생성한 보고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
    를 포함하며,
    상기 인공지능 분석부(310)는,
    균열 폭을 도출하기 위하여 사진에서 균열을 이루는 2개의 윤곽선으로 구분하고,
    일측 윤곽선 위에 측정 기준이 되는 고정된 하나의 점(point)을 기준점으로 설정하고,
    설정된 기준점에서 타측 윤곽선까지의 최단 거리를 계산하되, 최단 거리는 기준점으로부터 각도 변화에 따라 발생하는 타측 윤곽선과의 교차점들 사이의 유클리드 거리(Euclidean distance)를 계산하여 도출하고, 최단 거리 도출에 사용된 기준점과 각도를 저장해 두고, 추후 동일한 균열촬영장치(100)에서 촬영된 사진 분석시에 동일한 기준점과 각도를 그대로 사용하여 최단 거리를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4. 시설물의 균열을 촬영하여 분석하는 균열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시설물에 설치되어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균열촬영장치(100);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와 근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며, 근거리 무선통신을 통하여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고, 상기 균열촬영장치(100)가 촬영한 사진을 수신하는 사용자단말기(20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에 설치된 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사진이나 작업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한 사진을 저장하거나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고, 사진을 분석한 보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작업 요청에 따라 생성된 보고서를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로 전송하는 웹서버(300);
    를 포함하며,
    상기 웹서버(300)는,
    상기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된 사진에 대하여 딥런닝(deep learning) 모델을 실행하여 균열을 탐지하고 분석하여 균열 폭을 도출하는 인공지능 분석부(310);
    상기 인공지능 분석부(310)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보고서를 생성하는 보고서 생성부(320);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전송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및 사진 데이터와 함께, 상기 보고서 생성부(320)가 생성한 보고서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30);
    를 포함하며,
    상기 보고서 생성부(3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웹서버(300)로 전송된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상기 균열촬영장치(100)를 구분할 수 있는 식별정보(식별코드, 식별번호 또는 식별명칭)을 전달받고,
    상기 인공지능 분석부(310)로부터 분석에 사용된 사진 및 균열 폭을 전달받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의 보고서 생성 요청에 따라 프로젝트 관련 정보, 하위현장정보, 분석에 사용된 사진, 균열 폭, 촬영차수, 촬영일자,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보고서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30)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200)를 통하여 상기 웹서버(300)에 접속하면 보고서 확인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5. 제1항 내지 제4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균열촬영장치(100)는,
    균열 부위의 사진을 촬영하는 기능, 상기 사용자단말기(200)와 근거리 무선통신이 가능한 기능, 및 상기 균열촬영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30113568A 2023-08-29 2023-08-29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KR1026359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568A KR102635926B1 (ko) 2023-08-29 2023-08-29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3568A KR102635926B1 (ko) 2023-08-29 2023-08-29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926B1 true KR102635926B1 (ko) 2024-02-13

Family

ID=8989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3568A KR102635926B1 (ko) 2023-08-29 2023-08-29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9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204A (ja) * 1992-11-10 1994-05-31 Eastman Kodak Japan Kk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を使用した撮影装置
KR20100053227A (ko) * 2008-11-12 201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설계협업을 위한 정보교환 지원시스템
KR101606002B1 (ko) * 2015-06-22 2016-03-25 (주)다음기술단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JP2022000646A (ja) * 2016-06-14 2022-0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サー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20220014147A (ko) * 2020-07-28 2022-02-04 안영호 이미지분석을 이용한 구조물의 균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3204A (ja) * 1992-11-10 1994-05-31 Eastman Kodak Japan Kk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を使用した撮影装置
KR20100053227A (ko) * 2008-11-12 2010-05-20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설계협업을 위한 정보교환 지원시스템
KR101606002B1 (ko) * 2015-06-22 2016-03-25 (주)다음기술단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JP2022000646A (ja) * 2016-06-14 2022-01-0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サーバ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KR20220014147A (ko) * 2020-07-28 2022-02-04 안영호 이미지분석을 이용한 구조물의 균열감지 모니터링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60947A (zh) 基于bim+gis技术的公路工程工序报验系统
KR102080462B1 (ko) 딥러닝에 기반한 도로 안전 진단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210115246A (ko) 3d 모델링 기반 댐 안전 관리를 위한 통합 유지보수 관제 방법 및 시스템
KR101606002B1 (ko) 정보통신기술 기반의 시설물 안전점검 및 유지관리 방법
CN113240249B (zh) 基于无人机增强现实的城市工程质量智能评价方法及其系统
CN108848337A (zh) 线路工程的远程稽核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7114619B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项目安全管理系统
CN112508343A (zh) 一种施工质量管理的可视化施工管控系统的实现方法
CN109636312A (zh) 土地整治工程在线监管系统
CN109857782A (zh) 一种测井数据采集处理系统
CN110322110A (zh) 一种石油化工业压力管道管理系统
CN115759868A (zh) 一种森林巡检人员管理方法、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1652659B (zh) 基于大数据的vr产品评价系统
CN113822781B (zh) 一种基于区块链的生态环境监管方法及系统
CN115019008A (zh) 一种智能3d模型设计分析服务管理平台
CN113010987B (zh) 一种基于物联网的架空线路施工进度实时判断方法
CN114091944A (zh) 云端协同的配网工程现场作业分析决策系统
KR102635926B1 (ko) 시설물의 균열 계측 시스템
CN109902209B (zh) 一种基于空间智能的特种承压设备用户三维可视化方法
CN112487525A (zh) 一种基于bim和ar的引水工程运行安全远程管控及会诊方法
CN207070219U (zh) 基于视频监控的项目工程监理系统
CN115481941B (zh) 一种多功能区联合的智能化安防管理方法及系统
CN113408916B (zh) 基于智能ai和移动app的消防设施检测及现场验收评定系统
CN115936540A (zh) 一种建筑工程数字化见证取样及检测系统
CN115641003A (zh) 一种关联风险分级管控和隐患排查治理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