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665B1 -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665B1
KR102635665B1 KR1020217017067A KR20217017067A KR102635665B1 KR 102635665 B1 KR102635665 B1 KR 102635665B1 KR 1020217017067 A KR1020217017067 A KR 1020217017067A KR 20217017067 A KR20217017067 A KR 20217017067A KR 102635665 B1 KR102635665 B1 KR 102635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information
resource set
beam training
uplink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508A (ko
Inventor
위 양
펑 쑨
Original Assignee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비보 모바일 커뮤니케이션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87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subgroups of transmit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the mobile station comprising multiple antennas, e.g. to provide uplink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8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different training sequences per anten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86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95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simultaneous transmission using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6Weighted combining using weights depending on external parameters, e.g. direction of arrival [DOA], predetermined weights or beam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14Three-dimensional division
    • H04L5/0023Time-frequency-space
    • H04L5/0025Spatial division following the spatial signature of the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공개하여 단말기에 응용한다. 해당 방법은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의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타겟 안테나 세트 기반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고 또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Description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본 발명은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으로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련 청구의 교차 인용>
본 청구는 2018년 11월 16일 중국에서 제출한 중국 특허번호 No. 201811368876.6의 우선권을 주장하는바, 그 전부의 내용은 인용을 통해 본 청구에 포함되었다.
단말기 데이터량 수요 증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통신 성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대규모 안테나와 고주파수 구간 통신의 결합이 추세이다. 그중, 고주파수 구간은 6GHz 이상 주파수 구간이다.
고주파수 구간 경로 소모가 큰 특성을 감안하여 최고 수준의 안테나 게인을 취득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 간에 빔 트레이닝을 실시한다. 즉 빔 스캔 방식으로 최적의 빔 송수신 페어 링크(Transmit receive beam pair link)를 찾아서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 간 정상적인 통신을 실현한다. 빔 스캐닝 얼라이먼트(Beam scanning alignment) 실현을 위한 빔 트레이닝이 필요하다. 다만, 고주파수 구간 고밀도 사용자 상황에서 보면 특히는 단말기에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가 있을 때에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가 비교적 크게 된다.
때문에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제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오버헤드를 절감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 실시예의 목적은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오버헤드와 딜레이를 저감시키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첫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기에 응용하며 상기 방법은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의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리고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시한다.
둘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한다. 상기 방법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하여 상기 단말기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시하도록 한다.
셋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단말기를 제공하고 상기 단말기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확정 모듈.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의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제2 확정 모듈.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된다.
트레이닝 모듈.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는데 사용된다.
넷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생성 모듈.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다섯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기 구조를 포함하는 일종의 단말기를 제공한다.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첫째로와 같은 상기 방법의 절차를 실현한다.
여섯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기 구조를 포함하는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한다. 메모리, 프로세서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세서에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둘째로와 같은 상기 방법의 절차를 실현한다.
일곱째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첫째로와 같은 상기 방법의 절차 혹은 둘째로와 같은 상기 방법의 절차를 실현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해당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고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의 설명은 본 발명을 더 명확하게 이해하게 하기 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부분을 구성하고 본 발명의 예시성 실시예 및 그 설명은 오로지 본 발명의 해석용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에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의 프로세스 안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의 프로세스 안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첫 번째 구조 안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첫 번째 구조 안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의 두 번째 구조 안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의 두 번째 구조 안내도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적 구성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물론 설명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일 뿐이지 전체 실시예가 아니다. 본 발명 중의 실시예를 기반으로 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들이 창조성적인 노력이 없이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기타 실시예를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롱 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LTE 어드밴스드(LTE-A,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5G 등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모두 MIMO(Multiple-Input Multiple-Output,다중 입력 다중 출력)기술을 도입하였고 MIMO기술을 기반으로 다중 안테나 시스템을 응용하여 공간 자유도를 취득함으로써 피크타임 스피드와 시스템 주파수 스펙트럼 활용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MIMO기술의 지속적인 다각도 발전에 따라 대규모 안테나 어레이 사용으로 시스템 주파수대 활용도를 더 크게 업그레이드하여 Massive MIMO 기술과 같이 더 많은 양의 사용자들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4G 이후의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통신 시스템 지원 작업 주파수대가 6GHz 이상의 고주파수대, 심지어 100GHz로 업그레이드되었다. 고주파수대는 유휴 주파수 자원이 비교적 풍부하여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더 많은 트래픽 용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수대 정보의 신호 파장이 짧아 저주파수대 대비 같은 크기의 안테나 세트에 더 많은 안테나 어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하기에 빔 포밍 기술(Beam forming technology)을 도입하여 지향성(Directivity)은 더 강하고 빔 로브(beam lobe)는 더 좁은 빔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시피 단말기 데이터량 수요 증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통신 성능 수요를 충족시키고자 대규모 안테나와 주파수대 통신의 결합이 추세로 부상하였다.
고주파수대 경로 소모가 큰 특성을 감안하여 최대 수준의 안테나게인 취득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 간 빔 트레이닝 실행이 필요하다. 즉 빔 스캔 방식으로 최적화 빔 송수신 페어 링크(Transmit receive beam pair link)를 찾아서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기 간의 정상 통신을 실현한다. 이를 위해서는 빔의 스캐닝 얼라이먼트(Scanning alignment)가 필요하고 빔 트레이닝을 실시하여야 한다. 하지만 고주파수대 고밀도 사용자 환경으로 말하자면, 특히는 단말기에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가 있을 때에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가 비교적 커지게 된다.
때문에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오버헤드를 저감시키는 것이 시급한 과제이다.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의 도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하여 단말기에 응용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S101: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단말기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를 지원한다. 그중 안테나 세트는 안테나패널이라고 부를 수 있고 또한 안테나 포트 세트, 안테나 그룹, 안테나 포트 그룹 등이라고도 부를 수 있다.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는 물리 레벨의 다운링크 컨트롤 정보DCI(Downlink Control Information) 시그널링,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레벨의 미디어 액세스 컨트롤 - 컨트롤 유니트 MAC CE(Media Access Control-Control Element) 시그널링과 무선 자원 제어 레벨의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하기 몇 가지 상이한 방식으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 방법을 확정할 수 있으며 이로써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실현하기 위하여 유리한 보증을 제공하였다.
타겟 안테나 세트 확정 방식 1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취득한다.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설정을 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의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의 방식을 지정하는데 사용하며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정확하게 타겟 안테나 세트 위치를 확정한다.
그중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에는 하기 정보 중의 일종을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 세트 표시 정보, 예를 들어 안테나 세트 명칭, 번호, 등이며 해당 표시 정보로 타겟 안테나 세트 위치를 직접 정확하게 확정할 수 있다.
참고 신호 RS(Reference Signal) 자원 정보,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RS 자원 세트의 정보,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기에 최소 하나의 RS 자원 세트 및 매 하나의 RS 자원 세트에 최소 하나의 RS 자원을 구성해 주어야 하고 단말기는 안테나 세트와 RS 자원 정보 간의 관련 관계 혹은 안테나 세트와 RS 자원 세트의 정보 간의 관련 관계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정확하게 타겟 안테나 세트 위치를 확정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는 RRC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기에 상기 RS 자원 세트를 구성하고 상기 RS 자원 세트에 상기 RS 자원을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는 RS 자원 색인을 기반으로 안테나 세트에 지시하는 방식으로 전시할 수 있고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는 RS 자원 세트 색인을 기반으로 안테나 세트에 지시하는 방식으로 전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가 구체적인 RS 자원 세트 정보인 상황하에서, 다음 절차를 통하여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한 타겟 안테나 세트 확정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RS 자원 세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지시한다.
RS 자원 세트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지시하고 나아가서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겟 RS 자원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는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타겟 안테나 세트 확정 방식 2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한다.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해당 실시예에서,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할 수 있고 나아가서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겟 RS 자원 세트의 트리거에 사용되는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는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제1 구성 정보 중에 구성할 수 있고 해당 제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위해 설정한 정보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성 정보도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 중에 구성할 수 있고 상기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의 방법을 확정할 수 있다. 이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제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위해 구성한 정보이다.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된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는 RS 자원 세트 색인을 기반으로 안테나 세트에 지시하는 방식으로 전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에는 하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가 최대 지원하는 안테나 세트의 개수 정보와 매 하나의 안테나 세트가 최대 지원하는 빔의 갯수 정보.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최대 안테나 세트 개수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기를 위하여 구성하는 RS 자원 세트의 최대 개수를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매 하나의 안테나 세트가 지원하는 최대 빔 개수 정보를 기반으로 안테나 세트에 대응되는 RS 자원 세트가 구성하는 RS 자원의 최대 갯수를 확정할 수 있다.
상기 방식 중의 하나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시하는데 사용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를 저감하고 나아가서 순조롭게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하기 절차를 실행하여야 한다.
S103: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 후,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를 더 저감하기 위해서는 상이하고 구체적인 상황을 위해 대응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매칭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타겟 RS 자원 세트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하기 실시예의 하나를 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의 실시예 1
해당 실시예에서 절차 S103는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SRS 자원 세트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할지의 여부를 확정한다.
제1 결과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빔에 대한 지시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SRS 자원 세트와 대응되는 소스 RS를 지시하고 또한 소스 RS가 사용하는 업링크 발사 빔을 타겟 SRS 자원 세트를 기반으로 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사용한다. 이렇게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지 여부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영향을 준다. 하여 상이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이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기 몇가지 상황이 포함된다.
(1) 제1 결과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해당 방식에는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소스 RS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고정된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다.
(2) 제1 결과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해당 방식에는 제1 공간 범위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소스 RS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빔 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이 제1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공간 범위를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 범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중 공간 범위에는 각도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공간 범위의 구성에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3) 제1 결과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해당 방법에는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소스 RS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경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의 구성 상황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해당 방식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값을 부여하지 않았거나 부여값이 0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소스 RS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지만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공간 범위를 확정할 수 없는 상황하에서 고정된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다.
그중 제1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값을 부여하지 못한 것을, 제1 공간 범위 파라미터가 빈 값 NULL이거나 제1 공간 범위 파라미터가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 중에 구성되지 못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 부여값이 0이 아닌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해당 방법에는 제1 공간 관계 정보와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소스 RS에 대응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고 또한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공간 범위를 확정할 수 있는 상황하에서, 빔 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이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한다.
그중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는 각도 파라미터가 포함되고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공간 범위에는 각도 범위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빔 스캔 실행 여부 사전 설정 지시 정보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고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구성한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 빔 스캔을 실행하지 않을 것을 지시하였을 때, 고정된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다.
지시정보가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2 공간 범위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구성한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서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한 경우, 빔 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이 제2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공간 범위는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 범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중 공간 범위는 각도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2 공간 범위 구성에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4) 제1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3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 빔 스캔 방식을 적용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즉 제3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공간 범위는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 범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중 공간 범위는 각도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3 공간 범위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할 때, 제3 공간 범위 내의 지정한 빔을 중심으로 스캔할 수 있고 또한 해당 공간 범위 내에서 자의로 스캔할 수 있다. 지정 빔 스캔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의하여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선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필요한 공간 관계 정보를 확정한 후, 해당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지정빔을 확정한다. 그중 단말기는 해당 공간 관계 정보 확정시에, 먼젓번에 송신한 해당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이 시용하는 공간 관계 정보에 의거하여 이번에 필요한 공간 관계 정보를 확정한다. 물론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지정빔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의 실시예 2
해당 실시예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 기반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제2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이미 있는 제2 구성 정보에 포함하는 구체적인 내용이 다른 것을 기반으로, 상이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적당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하기 몇가지 상황이 포함된다.
(1)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중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타겟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공간 관계 정보의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1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1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중 제1 업링크 발사 빔은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며 또한 기타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기반으로 단말기가 자체로 확정하거나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정하는 기타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는 것을 중심으로, 즉 해당 빔을 중심으로 해당 기타 공간 범위 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현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정 빔 기반의 제1 업링크 발사 빔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과 빔 스캔 방식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의 과정은 상기 관련 내용과 유사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2) 제2 구성 정보 중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그중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타겟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공간 관계 정보의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1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2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2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2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2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1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중 제2 업링크 발사 빔은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기반으로 단말기가 자체로 확정하거나 네트워크 시그널링 지정하는 기타 공간 범위 내를 중심으로 빔 스캔을 실행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정 빔을 기반으로 제2 업링크 발사 빔이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과 빔 스캔 방식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의 과정은 상기 관련 내용과 유사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타겟 SRS 자원 세트의 관련 파라미터로 설정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값 과 제2값을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에 따라 확정할 수 있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의 실시예 3
해당 실시예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 기반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게 제2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여 있는지 여부를 확정한다.
제2 결과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빔에 대한 지시를 실현할 수 있다. 즉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소스 RS를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소스 RS가 사용하는 업링크 발사 빔을 타겟 SRS 자원 세트를 기반으로 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사용한다. 이렇게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였는지 여부가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의 확정에 영향을 준다. 하여 상이한 결과를 기반으로 상이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에는 하기 몇 가지 상황이 포함된다.
(1)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4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2)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게 구성하는 제2 공간 관계 정보가 서로 같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소스 RS의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송신하는 매 하나의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포함하고 소스 RS와 제2 공간 관계 정보는 하나하나씩 대응된다.
(3)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모두 동일한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고 이에는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소스 RS는 제2 공간 관계 정보와 대응된다.
(4)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모두 동일한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5 공간 범위와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하며 소스 RS는 제2 공간 관계 정보와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제4 공간 범위와 제5 공간 범위는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 범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중 공간 범위는 각도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제4 공간 범위와 제5 공간 범위를 구성하는데 사용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정 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과 빔 스캔 방식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의 과정은 상기 관련 내용과 유사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의 실시예 4
해당 실시예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 기반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3 구성 정보를 취득한다.
제3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이미 존재하는 제3 구성 정보에 포함된 구체적인 내용이 다른 것을 기반으로, 상이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적당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는 하기 몇 가지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1) 제3 구성 정보가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중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SRS 자원의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3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3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중 제3 업링크 발사 빔은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기반으로, 단말기가 자체로 확정하거나 네트워크 시그널링 지정하는 기타 공간 범위를 중심으로 빔 스캔을 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정 빔을 기반으로 제3 업링크 발사 빔이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과 빔 스캔 방식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의 과정은 상기 관련 내용과 유사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2) 제3 구성 정보 중의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중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SRS 자원의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3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4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4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바람직하게는,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4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제4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3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중 제4업링크 발사 빔은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의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기타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기반으로, 단말기가 자체로 확정하거나 네트워크 시그널링 지정하는 기타 공간 범위를 중심으로 빔 스캔를 실행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고정 빔 제4업링크 발사 빔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과 빔 스캔 방식을 기반으로 실행하는 빔 트레이닝의 과정은 상기 관련 내용과 유사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값을 ON으로 선택할 때에 제4값은 OFF로 선택한다. 또한 상기 제3값을 OFF로 선택할 때에 제4값은 ON을 선택한다. 물론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기타 값을 선택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에 중복 파라미터와 주파수 호핑 파라미터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 확정의 실시예 5
해당 실시예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 기반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정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직접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지시하는 방식이 정확하고 고효율적이다.
바람직하게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을 송신하는 방식임을 확정한 상황하에서 해당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6공간 범위와/혹은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1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1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확정하여 빔 스캔을 실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6공간 범위내에서 마음대로 스캔을 실행할 수 있고 또한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1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1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확정빔을 기반으로, 해당 빔을 중심으로 제6공간 범위내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1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1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확정한 빔으로 빔 스캔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제6공간 범위는 단말기에 의하여 자체로 확정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해당 공간 범위를 구성할 수도 있다. 그중 공간 범위는 각도 범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및 제6공간 범위를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 혹은 DCI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아닌 것을 확정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2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2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4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제6업링크 발사 빔을 확정한다.
제6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 구성을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지 않는 상황하에서,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제2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2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4 공간 관계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기반으로 고정 빔 제6업링크 발사 빔을 확정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데 사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과 제6네트워크 시그널링은 RRC 시그널링, DCI 시그널링 혹은 MAC CE 시그널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소스 RS는 동기 신호 블록 SSB(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채널 상태 정보 참고 신호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채널 측정 참고 신호 SRS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105: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확정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에 따라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면, 최적의 업링크 발사 빔과 최적의 업링크수신빔을 확정할 수 있고 단말기가 해당 최적의 업링크 발사 빔과 업링크수신빔을 기반으로 업링크 전송을 할 수 있기에 주파수대 사용 효율성과 업링크 전송 효율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며 이로써 무선 통신 접속 품질을 높일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네트워크 장치는 RRC 시그널링을 통하여 RS 자원 세트의 용도Usage파라미터를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sage파라미터를 Beam Management(빔 관리)로 구성할 때, 매 하나의 RS 자원 세트로 말한다면 하나의 업링크 발사 시점에 하나의 RS 자원만 송신할 수 있고 상이한 RS 자원 세트에서의 RS 자원에 대해서는 단말기에 의하여 동시 발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해당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고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단말기가 로컬 빔 스캔을 실행할 것인지 여부, 어느 안테나 세트에서 빔 스캔을 실행하고 어느 빔 범위 혹은 어느 빔 주변에서 빔 스캔을 실행할지를 지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도 1과 결부하여 본 발명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 도 2와 결부하여 본 발명에서의 다른 일 실시예에 의거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이 필요한 점은, 네트워크 장치로 설명하는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의 인터랙티브가 단말기로 설명하는 인터랙티브와 같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도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제공하여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하며 해당 방법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S201: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는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포함하고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하기 정보에서의 한 가지를 포함한다.
안테나 세트 표시 정보
참고 신호 RS 자원의 정보,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RS 자원 세트의 정보,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가 RS 자원 세트의 정보인 상황하에서 RS 자원 세트의 정보는 타겟 RS 자원 세트 및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S203: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하고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확정한다.
관련 관계를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1 구성 정보 중에 구성한다.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로 하여금 타겟 RS 자원 세트와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에 지시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타겟 RS 자원 세트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1 결과를 확정한다. 제1 결과는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 혹은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지 않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결과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과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황하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하기 정보의 하나를 포함한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의 부여값 상황에 따라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한다.
사전 설정 지시 정보, 사전 설정 지시 정보는 빔 스캔 실행 여부를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구성 정보에는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혹은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에 제1값 혹은 제2값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2 결과를 확정한다. 제2 결과는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대응되게 배치한 제2 공간 관계 정보 혹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대응되게 배치하지 않는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제2 결과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제3 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에 제3값 혹은 제4값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에 중복 파라미터와 주파수 호핑 파라미터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은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지시한 상황하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에 지시하여 빔 스캔을 실행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지시한 상황하에서 해당 방법에는 또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제2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2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4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에 지시하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정하고 또한 단말기로 하여금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 후 로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의 도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단말기를 제공하며 해당 단말기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확정 모듈(301),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의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제2 확정 모듈(303),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트레이닝 모듈(305),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301)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취득 유니트,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한다.
제1 확정 유니트,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하기 정보에서의 한 가지를 포함한다.
안테나 세트 표시 정보
참고 신호 RS 자원의 정보,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RS 자원 세트의 정보,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가 RS 자원 세트의 정보인 상황하에서 상기 제1 확정 유니트는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지시 서브 유니트, RS 자원 세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에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제1 확정 서브 유니트, RS 자원 세트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확정 모듈(301)에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유니트,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한다.
제2 확정 유니트,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유니트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취득 서브 유니트, 제1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한다. 제1 구성 정보는 네트워크 장치에서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위해 구성한 정보이다.
제2 확정 서브 유니트, 제1 구성 정보에 포함된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에는 하기 정보를 포함한다.
단말기가 최대 지원하는 안테나 세트의 개수 정보와 매 하나의 안테나 세트가 최대 지원하는 빔의 갯수 정보.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303)은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확정 유니트, 타겟 SRS 자원 세트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할지의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제4 확정 유니트, 제1 결과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 확정 유니트는 제1 결과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된다. 혹은
제1 공간 범위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결과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제4 확정 유니트는 하기 방식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4 확정 유니트는 하기 방식에 사용할 수 있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값을 부여하지 않았거나 부여값이 0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된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 부여값이 0이 아닌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 공간 관계 정보와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빔 스캔 실행 여부의 사전 설정 지시 정보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4 확정 유니트는 하기 방식에 사용할 수 있다.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RS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된다.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2 공간 범위와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제4 확정 유니트는 제1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하며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3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303)은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2 취득 유니트,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한다.
제5 확정 유니트, 제2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확정 유니트는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거나
제2 구성 정보 중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중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타겟 SRS 자원 세트에 포함되지 않은 공간 관계 정보의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확정 유니트는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1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1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5 확정 유니트는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1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2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2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2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2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1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203)은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6 확정 유니트,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게 제2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여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제7 확정 유니트,제2 결과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7 확정 유니트는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4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한다.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게 구성한 제2 공간 관계 정보가 서로 같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매 하나의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한다. 소스 RS와 제2 공간 관계 정보는 하나하나씩 대응된다.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모두 동일한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소스 RS와 제2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된다.
제2 결과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모두 동일한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며 이에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5 공간 범위와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을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한다. 소스 RS와 제2 공간 관계 정보는 대응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203)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취득 유니트,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3 구성 정보를 취득하는데 사용한다.
제8 확정 유니트,제3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8 확정 유니트는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3 구성 정보가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거나
제3 구성 정보 중의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그중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SRS 자원의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기타 파라미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8 확정 유니트는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3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3 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8 확정 유니트는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3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4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4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4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제4업링크 발사 빔에서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이 제3값인 상황하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이에는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에 중복 파라미터와 주파수 호핑 파라미터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확정 모듈(203)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9 확정 유니트,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되는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을 송신하는 방식임을 확정한 상황하에서 제2 확정 모듈(203)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10 확정 유니트, 제6공간 범위와/혹은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1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1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을 확정하여 빔 스캔을 실행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을 송신하는 것이 아님을 확정한 상황하에서 제2 확정 모듈(203)은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할 수 있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지시하는 제2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2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4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제6업링크 발사 빔을 확정한다.
상기 제6업링크 발사 빔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스 RS에 동기신호블록SSB, 채널상태정보참고 신호CSI-RS, 채널측정참고 신호SRS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단말기는 전술한 단말기에 의하여 실행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관련 설명이 모두 단말기에 적용되기에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해당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고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4의 도시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생성 모듈(401),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403),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포함하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하기 정보에서의 한 가지를 포함한다.
안테나 세트 표시 정보
참고 신호 RS 자원의 정보,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RS 자원 세트의 정보,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가 RS 자원 세트의 정보인 상황하에서 RS 자원 세트의 정보는 타겟 RS 자원 세트 및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하고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장치에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확정 모듈,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설정 모듈,관련 관계를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1 구성 정보 중에 구성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송신 모듈은 또 제1 구성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기로 하여금 타겟 RS 자원 세트와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2 확정 모듈, 제1 결과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제1 결과는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 혹은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지 않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제1 결과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확정 모듈이 제1 결과에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한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확정한 상황하에서
생성 모듈은 또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은 또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에는 하기 정보의 하나를 포함한다.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의 부여값 상황을 기반으로 시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한다.
사전 설정 지시 정보, 사전 설정 지시 정보는 빔 스캔 실행 여부를 단말기에 제공하여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은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제2 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는다. 혹은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에 제1값 혹은 제2값은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네트워크 장치에는 또 하기 구조를 포함한다.
제3 확정 모듈, 제2 결과를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제2 결과는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대응되게 배치한 제2 공간 관계 정보 혹은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을 위하여 대응되게 배치하지 않는 제2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한다. 제2 결과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송신 모듈은 또 하기 상황에 사용한다.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3 구성 정보를 송신한다. 제3 구성 정보는 단말기에 제공하여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거나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하지 않거나 제3 구성 정보에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를 포함한 상황하에서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에 제3값 혹은 제4값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에 중복 파라미터와 주파수 호핑 파라미터에서의 최소 하나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생성 모듈은 또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은 또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은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인지 여부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지시한 상황하에서
생성 모듈은 또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은 또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제4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제1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1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3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에 지시하여 빔 스캔을 진행하는데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제3네트워크 시그널링이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이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지시한 상황하에서
생성 모듈은 또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한다.
송신 모듈은 또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제5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제2다운링크 참고 신호 자원, 제2 업링크 참고 신호 자원 혹은 제4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는 빔에 지시하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는데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정하고 또한 단말기로 하여금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 후 로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단말기의 또 하나의 프레임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단말기(500)에는 하기 구조가 포함된다. 최소 하나의 프로세서(501), 메모리(502), 최소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50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503). 단말기(500)에서의 각 컴포넌트들은 버스시스템(505)에 커플링 연결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버스시스템(505)은 이러한 컴포넌트 간의 통신 연결에 사용된다. 버스 시스템(505)은 데이터버스 외에도 전원 버스, 컨트롤 버스와 상태 신호 버스가 있다. 다만 설명의 편리를 위하여 도 5에서는 각종 버스들을 모두 버스 시스템(505)으로 표시하였다.
그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503)는 모니터, 키보드 혹은 클릭 장치(예를 들어 마우스, 트랙볼(trackball)), 터치 보드 혹은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의 메모리(502)는 휘발성 메모리 혹은 불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거나 휘발성과 불휘발성 메모리 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중, 불휘발성 메모리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프로그래머블 롬(Programmable ROM, PROM),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rasable PROM, EPROM), 전기적 삭제 가능 프로그래머블 롬(Electrically EPROM, EEPROM) 혹은 플래시 메모리일 수 있다. 휘발성 메모리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일 수 있으며 외부 고속 캐시로 사용된다. 예시적이지만 비제한성의 설명을 통해, 여러 가지 형식의 RAM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태틱 랜덤 액세스 메모리(Static RAM, SRAM),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ynamic RAM, DRAM),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ronous DRAM, SDRAM), 2배속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Double Data Rate SDRAM, DDRSDRAM), 보강형 동기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Enhanced SDRAM, ESDRAM), 동기 액세스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Synchlink DRAM, SLDRAM)와 다이렉트 램버스 랜덤 액세스 메모리(Direct Rambus RAM, DRRAM)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시스템과 방법의 메모리(502)는 이러한 메모리와 기타 적합한 유형의 메모리를 포함하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메모리(502)는 실행 가능 모듈 혹은 데이터 구조, 혹은 그들의 부분 집합, 혹은 그들의 상위 집합인 조작 시스템(5021)과 응용 프로그램(5022)을 저장한다.
그 중, 조작 시스템(5021)에는 각종 시스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이어, 코어 라이브러리 레이어, 드라이브 레이어 등이 포함되며, 각종 베이직 트래픽의 실현 및 하드웨어 기반의 미션 처리에 사용된다. 응용 프로그램(5022)에는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디어 플레이어(Media Player), 브라우저(Browser) 등을 포함하며 각종 응용 트래픽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방법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은 응용 프로그램(502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단말기(500)는 또 메모리(509)에 저장되고 프로세서(510)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하여 실행되면서 하기 절차를 실현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를 기반으로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의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한다.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다.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한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하는 방법을 프로세서(501)에 응용하거나 프로세서(501)에 의하여 실현할 수 있다. 프로세서(501)는 일종의 집적 회로 칩일 수 있고 신호 처리 기능을 구비한다. 실현 과정에서 상기 방법의 각 절차들은 프로세서(501)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로직 회로나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으로 완성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501)는 일반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혹은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개별 부품 게이트(Discrete components gate) 혹은 트랜지스터 로직 디바이스, 개별 하드웨어 컴포넌트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 공개한 각종 방법, 절차 및 로직 블록 도면을 실현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통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이거나 해당 프로세서 역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결부하여 공개한 방법의 절차는 직접 하드웨어 코딩 절차를 실행하여 완성하거나 코딩 절차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의 구성을 통하여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 전용 기억 장치, 프로그래머블 읽기 전용 기억 장치 혹은 EEPROM, 레지스터 등 본 기술 분야의 성숙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일 수 있다.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가 메모리(502)에 내장되고 프로세서(501)가 메모리(502) 중의 정보를 리드하여 그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상기 방법의 절차를 완성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501)에 의하여 실행하는 경우에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실시예의 각 절차들이 실현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부품, 마이크로 코드 혹은 기타 합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실현에 대해서는, 절차 유니트를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의 상기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하는 기타 전자 유니트 혹은 그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실현에 대해서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기능의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을 실행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혹은 외부에서 실현할 수 있다.
단말기(50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기가 실현하는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를 구비하는 단말기에 대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해당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 중에서 업링크 빔 트레이닝에 필요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고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장치의 또 하나의 프레임 도면이다. 도 6에서 도시하는 네트워크 장치(600)에는 프로세서(601), 트랜스시버(602), 메모리(603), 사용자인터페이스(604)와 버스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그중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장치(600)는 또 메모리(603)에 저장하고 프로세서(601)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며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601)에 의하여 실행될 때에 하기 절차를 실현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한다.
도 6에서, 버스 프레임은 임의 수량의 버스와 브리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601)를 대표로 하는 하나 혹은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603)를 대표로 하는 메모리의 각종 전기회로가 하나로 링크되어 있다. 버스 프레임은 또한 주변 설비, 전기 안정기와 파워 컨트롤 전기회로 등 유형의 각종 기타 전기회로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은 본 기술 분야의 공지된 것이기에 본문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트랜스시버(602)는 열 소자, 즉 발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고 전송 매체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을 할 수 있는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이한 사용자 설비에 대해, 사용자 인터페이스(604)는 또한 내부/외부의 연결이 필요한 설비의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연결하는 설비에는 미니 키보드, 모터, 스피커, 레버 등일 수 있다.
프로세서(601)는 버스 프레임 관리와 일상 처리를 담당하고 메모리(603)는 프로세서(601)가 조작 실행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통하여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정하고 또한 단말기로 하여금 해당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한 후 로컬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게 함으로써, 업링크 빔 트레이닝의 오버헤드와 딜레이 저감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단말기를 제공하며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고 또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단말기에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실시예의 과정들을 실현할 수 있고 또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읽기 전용 기억 장치(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혹은 CD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며 프로세서, 메모리를 포함하고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서 실행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실시예의 각 과정을 실현할 수 있고 또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또 일종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를 제공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에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될 때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실시예의 과정들을 실현할 수 있고 또 동등한 기술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억 매체는 읽기 전용 기억 장치(Read-Only Memory, 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디스크 혹은 CD 등일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것은, 본문에서 용어 "포함"과 그 임의의 변형은 비배타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 예를 들어 일련의 요소의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를 포함한다는 것은 명확하게 제시된 그러한 요소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확하게 제시되지 않은 것도 포함하거나 이러한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가 구비하는 요소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한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구 "하나의 ..., 을 포함"으로 표현하는 요소는 해당 요소에 포함되는 과정, 방법, 물품 혹은 장치에 존재하는 기타 대등한 요소를 배제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방법이 소프트웨어에 필요한 하드웨어 플랫폼을 결부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다. 물론 하드웨어를 통해서 실현할 수도 있지만 많은 경우에 전자가 더 바람직한 실시 방식일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방법에서는 본질적 부분 혹은 종래 기술에 기여한 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하나의 기억 매체(예를 들어 ROM/RAM, 디스크, CD)에 저장하고 다양한 명령을 포함시켜 한대의 단말(핸드폰, 컴퓨터, 서버, 에어컨 혹은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음)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본문에서 공개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예시들의 유니트 및 알고리즘 절차를 전자 하드웨어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부하는 방식으로 실현할 수 있음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들을 하드웨어로 실행하느냐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실행하느냐는 기술 방법의 특정 응용과 설계의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지식을 갖춘 자라면 매 하나의 특정 응용으로 상이한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설명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현을 본 발명의 보호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이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갖춘 자라면 설명의 편리와 간결성을 위하여 상기 설명하는 시스템, 장치와 유니트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을 전술한 방법의 실시예에서의 대응 과정을 참고하여 실현할 수 있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할 것으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이해하여야 할 것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장치와 방법은 기타 방식을 들어 실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설명하는 장치의 실시예는 다만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유니트의 구분은 다만 일종의 로직 기능의 구분이고 실제 실현시에는 별도 구분 방식,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유니트 혹은 컴포넌트를 결부하거나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 집적하거나 일부 특징을 소홀히 하거나 실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한편으로 위에 표시하거나 토론한 서로 간의 커플링 연결이나 직접 커플링 연결이나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혹은 유니트의 간접 커플링 연결 혹은 통신 연결일 수 있고 전기적이거나 기계적이거나 기타 형식일 수 있다.
상기 분리 부품으로 설명하는 유니트는 물리적 분리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으며 유니트 표시 부품도 물리적 유니트일 수도 아닐 수도 있다. 즉 한 부위에 위치할 수도 복수 개의 네트워크 유니트에 위치할 수도 있다. 실제 수요에 따라 해당 부분 혹은 전부의 유니트를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법의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외,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각 기능 유니트들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니트에 집적할 수도 있고 각 유니트들이 단독 물리적 존재일 수도 있으며 두 개 혹은 두개 이상 유니트를 하나의 유니트에 집적할 수도 있다.
상기 기능을 소프트웨어 기능의 유니트 형식으로 실현하고 단독적인 제품으로 제조하여 판매 혹은 사용시에 하나의 컴퓨터의 판독가능기억매체에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이해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기술 방법은 본질적인 부분이나 기존 기술에 대한 기여도 혹은 해당 기술 방법의 부분을 소프트웨어 제품 형식으로 표현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을 하나의 기억매체에 저장하여 몇 가지 명령으로 한대의 컴퓨터(PC, 서버 혹은 네트워크 장치 등)로 하여금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의 상기 방법의 전부 혹은 부분 절차를 실행할 수 있다. 그 중, 상기 저장 매체는 USB, 외장하드, ROM, RAM, 디스크 혹은 CD 등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해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이러한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중간 부품, 마이크로 코드 혹은 기타 합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하드웨어 실현에 대해서는, 절차 유니트를 하나 혹은 복수 개의 전용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 디지털 신호 처리(Digital Signal Processing, 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 Device, DSPD),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 PLD),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일반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본 발명의 상기 기능을 실현하는데 사용하는 기타 전자 유니트 혹은 그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실현에 대해서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기능의 모듈(예를 들어 과정, 함수 등)을 실행하여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상기 기술을 실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프로세서를 통하여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혹은 외부에서 실현할 수 있다.
위에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는 오로지 설명을 위한 해석용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아니한다. 물론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이라면 본 발명의 계시하에서 본 발명의 사상과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많은 형식을 도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형식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53)

  1. 단말기에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으로,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고;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고; 그리고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방식을 실시함; 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기 위한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 대응하는 타겟 참고 신호(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가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그리고
    제1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상황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고 확정한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함을 포함하고, 상기 소스 RS는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상기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 대응되며,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지 않은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제3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함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의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 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단말기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고; 그리고,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 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
    안테나 세트 표시 정보;
    참고 신호 RS 자원의 정보, 상기 RS 자원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음; 그리고
    RS 자원 세트의 정보, 상기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에 관련 관계가 있음;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가 상기 RS 자원 세트의 정보인 상황하에서 상기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은:
    상기 RS 자원 세트의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RS 자원 세트를 지시하고; 그리고
    상기 RS 자원 세트의 정보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 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RS 자원 세트와 안테나 세트 간의 관련 관계에 의거하여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은:
    네트워크 장치에서 상기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한 정보인 제 1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1 구성 정보 중에 포함된 상기 관련 관계를 기반으로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함; 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능력 파라미터 정보는
    상기 단말기가 최대 지원하는 안테나 세트의 갯수 정보와 매 하나의 안테나 세트가 최대 지원하는 빔의 갯수 정보를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고 확정한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을 포함하되,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상기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값을 부여하지 않았거나 부여값이 0인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되,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소스 RS는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됨; 그리고
    상기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부여한 값이 0이 아닌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되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와 상기 사전 설정 공간 범위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함; 을 포함하며; 또는,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빔 스캔 실행 여부의 사전 설정 지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상기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서 빔 스캔의 실행을 지시하지 않은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되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소스 RS는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됨; 그리고
    상기 사전 설정 지시 정보에서 빔 스캔 실행을 지시한 상황하에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되 제2 공간 범위와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함; 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11.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확정함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대응되는 제2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상기 제2 구성 정보에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포함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2 구성 정보 중의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기타 파라미터이고; 또는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확정함은: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 의해 전송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SRS 자원에 대응되는 제3 구성 정보를 취득하고; 그리고
    상기 제3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 을 포함하며,
    상기 제3 구성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은:
    상기 제3 구성 정보가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인지 여부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제3 구성 정보 중의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의 선택값을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 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사전 설정 파라미터는 상기 SRS 자원에서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은 기타 파라미터인,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1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을 확정함은: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서의 매 하나의 SRS 자원에 제2 공간 관계 정보가 대응되게 배치되여 있는지 여부를 확정하고; 그리고
    제2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함; 을 포함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13. 네트워크 장치에서 응용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그리고
    제1 결과를 확정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기 위한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 대응하는 타겟 참고 신호(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지 않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고 확정한 상황하에서,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소스 RS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상기 소스 RS에 대응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 대응하는,
    업링크 빔 트레이빙 방법.
  14. 제1 확정 모듈, 제 2 확정 모듈 및 트레이닝 모듈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상기 제 1 확정 모듈은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기반으로, 상기 단말기에 의해 지원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기 위한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 대응하는 타겟 참고 신호(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트레이닝 모듈은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기반으로 빔 트레이닝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가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구성하였는지 여부를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제3 확정 유니트; 그리고,
    제1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는 제4 확정 유니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는 상황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지 않은 상황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고 확정한 상황인 경우, 상기 제4 확정 유니트는 소스 RS에 대응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의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스 RS는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상기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 대응되고,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지 않다고 확정한 상황인 경우, 상기 제4 확정 유니트는 제3 공간 범위를 기반으로 빔 스캔 방식을 통하여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 중에 포함된 모든 SRS 자원에서의 정보를 송신함을 포함하는,
    단말기.
  15. 생성 모듈, 송신 모듈 및 제2 확정 모듈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생성 모듈은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생성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송신 모듈은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송신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지원하는 복수 개의 안테나 세트에서 타겟 안테나 세트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를 확정하기 위한 안테나 세트 관련 정보는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에서 설정되거나, 상기 제1 네트워크 시그널링은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 대응하는 타겟 참고 신호(RS) 자원 세트를 트리거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타겟 RS 자원 세트는 타겟 채널 측정 참고 신호(SRS) 자원 세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확정 모듈은 제1 결과를 확정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를 위하여 구성하지 않는 제1 공간 관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결과는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여 상기 타겟 안테나 세트에서의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식을 확정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제1 결과에서 상기 타겟 SRS 자원 세트에 제1 공간 관계 정보가 구성되어 있다고 확정한 상황하에서,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소스 RS에 대응하고, 상기 제1 공간 관계 정보는 상기 소스 RS에 대응하는 타겟 업링크 발사 빔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삭제
  52. 삭제
  53. 삭제
KR1020217017067A 2018-11-16 2019-11-08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KR1026356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11368876.6 2018-11-16
CN201811368876.6A CN111106864B (zh) 2018-11-16 2018-11-16 上行波束训练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PCT/CN2019/116585 WO2020098568A1 (zh) 2018-11-16 2019-11-08 上行波束训练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508A KR20210087508A (ko) 2021-07-12
KR102635665B1 true KR102635665B1 (ko) 2024-02-14

Family

ID=70419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7067A KR102635665B1 (ko) 2018-11-16 2019-11-08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273702A1 (ko)
EP (1) EP3883138A4 (ko)
KR (1) KR102635665B1 (ko)
CN (1) CN111106864B (ko)
WO (1) WO2020098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2380B (zh) * 2020-10-09 2023-06-0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神经网络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0396A (ko) * 2012-03-29 2013-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아날로그/디지털 혼합 빔 포밍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생성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936487B (zh) * 2015-12-31 2021-0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方法和装置
CN107733479A (zh) * 2016-08-09 2018-02-23 北京信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的方法及装置
BR112019002841A2 (pt) * 2016-08-12 2019-05-21 Mediatek Inc gestão de feixe em sistemas de formação de feixe
CN107733484A (zh) * 2016-08-12 2018-02-2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波束赋形的波束训练方法及装置
CN108023618B (zh) * 2016-11-01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mimo天线的波束训练方法及装置
US11140562B2 (en) * 2017-01-11 2021-10-05 Huawei Technologies Co., Ltd. Antenna beam management for multi-connection communications
US10560851B2 (en) * 2017-01-13 2020-02-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uplink beam management in next generation wireless systems
US20190068263A1 (en) * 2017-08-23 2019-02-28 Mediatek Inc. Method for Uplink Beam Training and Determin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th Beamforming
CN110475355B (zh) * 2018-05-11 2023-06-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波束训练的方法、装置及系统
CN110581725B (zh) * 2018-06-08 2023-08-22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波束训练的方法和通信装置
CN110830209B (zh) * 2018-08-10 2021-04-09 华为技术有限公司 训练天线面板的方法与装置
CN114760021A (zh) * 2018-09-27 2022-07-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测量配置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CN111147211B (zh) * 2018-11-02 2022-04-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装置和设备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9539*
3GPP R1-1801721*
3GPP R1-181394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83138A1 (en) 2021-09-22
CN111106864B (zh) 2023-02-24
CN111106864A (zh) 2020-05-05
KR20210087508A (ko) 2021-07-12
WO2020098568A1 (zh) 2020-05-22
EP3883138A4 (en) 2021-12-29
US20210273702A1 (en)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03459B2 (ja) 測定報告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7425189B2 (ja) チャネル情報の決定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EP3713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reference signal channel characteristics, and communication device
KR20210044856A (ko) 업링크 전송을 지시하기 위한 방법, 단말, 기지국 및 컴퓨터 저장 매체
CN111818660B (zh) 波束信息更新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20220052308A (ko) 단말에서의 수신빔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985679B2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RU2741632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передачи сигнала восходящего канала, оконе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етевое устройство
EP3522387A1 (en) Method and device for scanning and switching wave beam
CN113875164A (zh) 管理无线网络内的用户设备的多个天线面板
CN114337953B (zh) 上行信道参数的确定和配置方法及装置
JP7279170B2 (ja) チャネル・干渉測定方法、及び機器
JP7222066B2 (ja) ビーム障害回復のための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側機器
CN112019313B (zh) 确定小区激活时延的方法和装置
CN114287164B (zh) 终端的定时提前量ta处理的方法和装置
US1076493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random access signal and related products
CN110167152A (zh)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JP2023134663A (ja) パラメータ決定、情報配置方法及び機器
US109444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analog beam
KR102635665B1 (ko) 업링크 빔 트레이닝 방법, 단말기와 네트워크 장치
US20190349940A1 (en) Power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KR20230132515A (ko) 빔 지시 방법과 장치
WO2018149346A1 (zh) 确定和用于确定doa的方法以及接入网设备和终端
WO2023000260A1 (zh) 可重构表面装置
WO2019031133A1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