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599B1 -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 Google Patents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599B1
KR102635599B1 KR1020220148809A KR20220148809A KR102635599B1 KR 102635599 B1 KR102635599 B1 KR 102635599B1 KR 1020220148809 A KR1020220148809 A KR 1020220148809A KR 20220148809 A KR20220148809 A KR 20220148809A KR 102635599 B1 KR102635599 B1 KR 102635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ole
cement
plat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8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인터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인터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인터거
Priority to KR1020220148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599B1/ko
Priority to PCT/KR2023/016506 priority patent/WO2024101717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23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for applying adhesive, e.g. glue or mortar, on the covering elements, in particular 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을 부착시켜 주기 위하여 바닥에 타일 부착용 압착시멘트의 도포시 압착시멘트의 상면 전체가 짧은 시간내에 일정하게 수평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시멘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타일의 부착 상태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는, 상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하단에 다수개의 도포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도포인출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시멘트는 상기 로프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도포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다수개의 줄 형태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 Cement spreading device for constructing tile }
본 발명은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타일을 부착시켜 주기 위하여 바닥에 타일 부착용 압착시멘트의 도포시 압착시멘트의 상면 전체가 짧은 시간내에 일정하게 수평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이로 인해 시멘트의 상면에 부착되는 타일의 부착 상태가 정확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바닥 및 실외의 바닥은 실용성 및 심미성의 요구수준에 따라 다양한 재료, 예를 들어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 등으로 마감 처리되고 있고,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시공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공면을 타일, 보도블럭 또는 마감재 등으로 마감 처리하기 위해서는 시공면의 평탄화가 선행되어야 한다.
종래의 경우에는 시공면의 평탄화를 위하여 작업자가 손으로 소정의 공구를 가지고 시공면의 전체 위치를 돌아다니면서 직접 바닥을 고르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시공면의 평탄화 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없고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면적의 시공면을 평탄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작업자가 요구되므로 인건비가 크게 상승하는 등 시공면의 평탄화 과정에 소요되는 비용이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바닥시공장치, 수평도포장치 등이 개발되었으나, 실제 현장에는 사용상의 불편함, 비용 증가, 휴대 및 보관의 불편함 등에 의해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공개특허 10-2007-0079750 등록특허 10-1574329 등록특허 10-0922331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다양한 시멘트도포줄을 형성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며, 휴대 및 보관 등이 용이한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는, 상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하단에 다수개의 도포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도포인출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로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시멘트는 상기 로프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도포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다수개의 줄 형태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좌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우측판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레일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양측의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좌측판의 상단과 상기 우측판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판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은 상기 상판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철되고,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은 상기 상판의 바깥쪽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저지된다.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상기 가압탄성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된다.
상기 상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시멘트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면에 상기 제1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호퍼와; 상기 상판과 상기 호퍼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 또는 차단하는 개폐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판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시키면 상기 호퍼에 내장된 시멘트는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하여 배치된다.
상기 개폐판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개폐스프링과; 상기 개폐판을 상기 로프와 연결하는 이동와이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외력에 의해 상기 로프가 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 상기 이동와이어는 상기 로프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은 후퇴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연통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상기 도포인출부재를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타일의 용도 및 크기에 맞게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시멘트도포줄을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 보관 및 운반시에는 분해 및 접철 등을 통해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어 관리 등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호퍼를 장착하고, 상기 로프에 의한 하우징의 이동시 호퍼에 내장된 시멘트를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의 일방향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의 타방향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의 하우징이 접철과정을 도시한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가 이동하는 과정을 도시한 측면도,
본 발명의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도포인출부재(20), 로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은 상판(11)과, 좌측판(12)과, 우측판(13)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은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상판(11), 좌측판(12) 및 우측판(13)을 고정 결합될 수도 있으나,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철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좌측판(12)의 상단과 상기 우측판(13)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판(11)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은 상기 상판(11)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철된다.
따라서,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을 상기 상판(11)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철시킴으로서, 그 크기 및 부피를 줄여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은 상기 상판(11)의 바깥쪽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저지된다.
이로 인해, 상기 좌측판(12)과 우측판(13)이 상기 상판(1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양측이 벌어짐없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포인출부재(20)는 하단에 다수개의 도포홈(21)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도포인출부재(20)는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도포인출부재(20)에 형성된 상기 도포홈(21)은, 상기 하우징(10)의 이동시 전방에 배치된 시멘트가 줄 형태로 인출되기 위한 구멍이다.
상기 도포홈(21)을 통해 인출되는 시멘트도포줄(L)의 상부에 타일을 적층 및 압착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도포인출부재(20)에 형성된 상기 도포홈(21)은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거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도포인출부재(20)를 적당하게 선택한 후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포인출부재(20)가 상기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측판(12)의 내측면과 상기 우측판(13)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레일(14)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도포인출부재(20)는 양측의 상기 가이드레일(14)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14)의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탄성부재(15)가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레일(14)에 삽입된 상기 도포인출부재(20)는 상기 가압탄성부재(15)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됨으로서, 상기 도포인출부재(20)가 항상 지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로프(30)는 상기 하우징(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된 시멘트는 상기 로프(30)에 의한 상기 하우징(10)의 이동시 상기 도포홈(2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외부로 다수개의 줄 형태로 인출되게 되는데, 이때 다양한 상기 도포인출부재(20)를 상기 하우징(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서 상기 도포홈(21)의 다양한 크기 및 위치에 맞게 다양한 시멘트도포줄(L)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시멘트도포줄(L)을 형성하기 위한 시멘트를 작업자가 상기 하우징(10)의 앞쪽에 먼저 배치한 후 상기 하우징(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시멘트가 내장된 호퍼(40)를 장착하여, 필요에 따라 시멘트가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호퍼(40)와 개폐판(45)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판(11)에는 제1관통공(11a)이 상하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호퍼(40)는 상기 상판(11)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시멘트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면에 상기 제1관통공(11a)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폐판(45)은 상기 상판(11)과 상기 호퍼(40) 사이에 배치되고, 도 6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을 연통 또는 차단한다.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45)이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의 연통을 차단하게 되면, 상기 호퍼(40)에 내장된 시멘트는 상기 호퍼(40)에서 하방향으로 낙하되지 못하고 상기 호퍼(40)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 놓인다.
그리고,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판(45)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을 연통시키면 상기 호퍼(40)에 내장된 시멘트는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낙하하여 배치되게 된다.
그리고 시멘트가 내장된 상기 호퍼(40)에 의한 중량에 의해, 상기 하우징(10)이 이동할 때 들뜨지 않고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판(45)을 통해 상기 시멘트의 낙하가 반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개폐스프링(46)과 이동와이어(47)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개폐스프링(46)은 상기 개폐판(45)이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한다.
즉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45)은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이동와이어(47)는 상기 개폐판(45)을 상기 로프(30)와 연결한다.
외력에 의해 상기 로프(30)가 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와이어(47)는 상기 로프(3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45)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을 연통시킨다.
이때 상기 개폐스프링(46)은 인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프(30)를 잡아당겨 상기 하우징(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개폐판(45)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이 연통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호퍼(40) 내부에 충진된 시멘트는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을 통해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자동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정지되어 상기 로프(3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인장된 상기 개폐스프링(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45)은 후퇴하여 상기 제1관통공(11a)과 제2관통공(41)의 연통을 차단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호퍼(40) 내부에 충진된 시멘트는 상기 개폐판(45)에 의해 막혀 더 이상 낙하하지 못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은, 다양한 상기 도포인출부재(20)를 상기 하우징(10)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타일의 용도 및 크기에 맞게 타일을 부착하기 위한 시멘트도포줄(L)을 다양한 형태 및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보관 및 운반시에는 분해 및 접철 등을 통해 크기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상부에 호퍼(40)를 장착하고, 상기 로프(30)에 의한 하우징(10)의 이동시 호퍼(40)에 내장된 시멘트를 자동으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로 낙하시키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상판, 11a : 제1관통공, 12 : 좌측판, 13: 우측판, 14 : 가이드레일, 15 : 가압탄성부재,
20 : 도포인출부재, 21 : 도포홈,
30 : 로프,
40 : 호퍼, 41 : 제2관통공, 45 : 개폐판, 46 : 개폐스프링, 47 : 이동와이어.

Claims (6)

  1. 상판과, 좌측판과, 우측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개방된 하우징과;
    하단에 다수개의 도포홈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포인출부재와;
    상기 하우징의 양단에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로프와;
    상기 상판에 형성된 제1관통공과;
    상기 상판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시멘트가 내장되어 있으며, 하면에 상기 제1관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2관통공이 형성된 호퍼와;
    상기 상판과 상기 호퍼 사이에 배치되고,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 또는 차단하는 개폐판과;
    상기 개폐판이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연통을 차단하도록 탄성력을 부가하는 개폐스프링과;
    상기 개폐판을 상기 로프와 연결하는 이동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좌측판의 내측면과 상기 우측판의 내측면에는 각각 가이드레일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양측이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개폐판이 슬라이딩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시키면 상기 호퍼에 내장된 시멘트는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낙하하여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시멘트는 상기 로프에 의한 상기 하우징의 이동시 상기 도포홈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다수개의 줄 형태로 인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이동을 위해 외력에 의해 상기 로프가 전방으로 잡아 당겨지면, 상기 이동와이어는 상기 로프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개폐판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을 연통시키고,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것이 정지되어 상기 로프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개폐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개폐판은 후퇴하여 상기 제1관통공과 제2관통공의 연통을 차단하며,
    상기 좌측판의 상단과 상기 우측판의 상단은 각각 상기 상판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은 상기 상판의 하면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철되어 상기 하우징의 크기 및 부피를 줄이며,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은 상기 상판의 바깥쪽 방향으로 90도 이상 회전되는 것이 저지되어, 상기 좌측판과 우측판이 상기 상판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전개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이 더 벌어짐없이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의 상단에는 하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는 가압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삽입된 상기 도포인출부재는 상기 가압탄성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5. 삭제
  6. 삭제
KR1020220148809A 2022-11-09 2022-11-09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KR102635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09A KR102635599B1 (ko) 2022-11-09 2022-11-09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PCT/KR2023/016506 WO2024101717A1 (ko) 2022-11-09 2023-10-23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8809A KR102635599B1 (ko) 2022-11-09 2022-11-09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5599B1 true KR102635599B1 (ko) 2024-02-13

Family

ID=89899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8809A KR102635599B1 (ko) 2022-11-09 2022-11-09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635599B1 (ko)
WO (1) WO2024101717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50A (ko) 2006-02-03 2007-08-08 이범석 타일부착용 압착시멘트의 수평도포기
KR100922331B1 (ko) 2008-09-09 2009-10-21 김주태 바닥시공장치
KR101574329B1 (ko) 2015-04-21 2015-12-07 강경희 타일시공용 모르타르 도포장치
CN110219445A (zh) * 2019-05-20 2019-09-10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建筑工程砂浆控制装置
CN211473465U (zh) * 2019-12-23 2020-09-11 工汇(北京)科技有限公司 砌墙盛灰器
CN113530180A (zh) * 2021-08-03 2021-10-22 德清扬泰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坪砂浆刮板
KR102405893B1 (ko) * 2021-10-14 2022-06-03 김철태 슬레이터 일체형 몰탈 공급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467B1 (ko) * 2000-11-27 2004-08-02 이화성업주식회사 도로의 미끄럼방지 시설용 혼합재 도포기 및 이를 이용한미끄럼방지 시설물의 시공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9750A (ko) 2006-02-03 2007-08-08 이범석 타일부착용 압착시멘트의 수평도포기
KR100922331B1 (ko) 2008-09-09 2009-10-21 김주태 바닥시공장치
KR101574329B1 (ko) 2015-04-21 2015-12-07 강경희 타일시공용 모르타르 도포장치
CN110219445A (zh) * 2019-05-20 2019-09-10 中国二冶集团有限公司 建筑工程砂浆控制装置
CN211473465U (zh) * 2019-12-23 2020-09-11 工汇(北京)科技有限公司 砌墙盛灰器
CN113530180A (zh) * 2021-08-03 2021-10-22 德清扬泰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建筑工程用地坪砂浆刮板
KR102405893B1 (ko) * 2021-10-14 2022-06-03 김철태 슬레이터 일체형 몰탈 공급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101717A1 (ko) 202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6309923A1 (en) Stackable suitcase, arrangement comprising two suitcases stacked one above the other and method for stacking two suitcases
KR102635599B1 (ko) 타일 시공용 시멘트 압착 도포기구
KR101225836B1 (ko) 방수제 도포기의 가압장치
CN106335696B (zh) 一种应用于建筑立柱的刷涂设备的弧形涂料桶
CN110331844A (zh) 一种家装工程用瓷砖铺贴设备
CN204585194U (zh) 一种地板出料架
CN206978990U (zh) 一种上楼用履带可收缩式拉杆箱
US11510465B2 (en) Ultra-thin folding luggage case
CN112343297A (zh) 一种人造石英石为材料的高强度板材
CN208994386U (zh) 一种用于液体肥料桶的转运货箱
CN208532100U (zh) 一种建筑材料运输装置
CN212053640U (zh) 一种自动粉墙机器人
CN207202007U (zh) 一种饲料厂饲料卸料装置
CN216664774U (zh) 一种平面防水施工材料铺设装置
CN216339541U (zh) 一种高水位大面积混凝土抗水板施工辅助装置
CN213204882U (zh) 一种高流动性砂浆地面找平装置
CN216327683U (zh) 一种精密磨削油石自动粘接装置
CN205290855U (zh) 气动卷钉枪上的钉盒总成
CN214531988U (zh) 一种建筑工地泥土转运车
CN209768308U (zh) 一种可折叠的木制花盆
CN214217030U (zh) 一种高稳定性立体升降智能仓储柜
CN211410913U (zh) 一种可折叠的沙包板
CN214421224U (zh) 一种方便安装锁具的木箱
CN210989556U (zh) 一种吸水型雨伞暂储收纳装置
CN218173090U (zh) 一种建筑装修用工具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