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233B1 -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233B1
KR102635233B1 KR1020210034782A KR20210034782A KR102635233B1 KR 102635233 B1 KR102635233 B1 KR 102635233B1 KR 1020210034782 A KR1020210034782 A KR 1020210034782A KR 20210034782 A KR20210034782 A KR 20210034782A KR 102635233 B1 KR102635233 B1 KR 10263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ng
housing
drive unit
line
tw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893A (ko
Inventor
조대기
김인우
김준서
박재우
김도윤
최석주
Original Assignee
조대기
김인우
김준서
박재우
김도윤
최석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대기, 김인우, 김준서, 박재우, 김도윤, 최석주 filed Critical 조대기
Priority to KR1020210034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523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77Elb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61H2011/005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with belt or strap expanding and contracting around an encircled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57Constructive details por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57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 A61H2201/1671Movement of interface, i.e. force application means rotatio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Paper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를 개시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는 줄의 꼬임에 의한 수축작용으로 신체의 하박을 상박 쪽으로 견인하여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줄 꼬임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elbow rehabilitation aiding device}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노령화 및 뇌 관련 질환 환자수가 증가함에 따라, 마비나 운동능력 저하로 인해 재활을 필요로 하는 환자수가 증가하고 있다.
환자의 재활치료는 물리치료사에 의해 진행되거나, CPM(Continuous Passive Motion)과 같은 재활기구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재활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신하여 운동능력이 없는 환자들의 관절 부분을 천천히 동작시킴으로써, 관절에 작용하는 신경과 근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재활기구를 이용한 물리치료는 물리치료사에 의한 치료와 비교하였을 때, 시간의 구애됨이 적고 비용이 저렴하여 최근 그 수요가 증가하면서 점차 상용화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재활기구는 환자가 몸을 기댄 상태에서 재활을 위한 관절 부위를 거치시킬 수 있게 부피가 크고 무겁게 마련된 것들이 대부분이어서 환자의 가정에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경우에도 재활치료를 받기 위해서는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재활기구가 구비된 병원에 가야만 했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시간이나 원하는 횟수만큼 재활치료를 받기가 어려웠다.
팔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고, 팔꿈치의 재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는 줄의 꼬임에 의한 수축작용으로 신체의 하박을 상박 쪽으로 견인하여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줄 꼬임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줄 꼬임 구동유닛은, 상기 줄; 상기 줄이 꼬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줄의 꼬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박 둘레에 결합할 수 있게 링 형태를 취하고, 상기 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둘레를 회피하여 상기 하우징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줄의 장착을 안내하는 관통식 안내부; 외측 둘레를 경유하도록 상기 줄의 장착을 안내하는 비관통식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기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 일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과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주행이 가능하도록 움직도르래가 마련되고, 상기 줄은 꼬임시 상기 움직도르래의 이동에 의해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줄은, 상기 하박 쪽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줄; 상기 구동기에 꼬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줄과 제2줄은 상기 움직도르래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움직도르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줄은 한 쌍의 상기 움직도르래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제2줄은 꼬임시 상기 한 쌍의 움직도르래를 견인하도록 상기 구동기와 한 쌍의 상기 움직도르래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줄 꼬임 구동유닛은 하박을 상박 쪽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내회전 시키는 제1 줄 꼬임 구동유닛; 하박을 상박 쪽에서 펴지는 방향으로 외회전 시키는 제2 줄 꼬임 구동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의한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는 팔에 편리하게 착용할 수 있고, 팔꿈치의 재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가 환자의 팔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의 줄 꼬임 구동유닛의 사시도로, 줄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의 줄 꼬임 구동유닛의 사시도로, 줄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줄의 설치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의 도 2의 일부를 발취 도시한 사시도로, 줄 꼬임 구동유닛의 일부 구성을 하우징에 장착되는 줄의 장착 구조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줄의 장착 구조를 발취하여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의 줄 꼬임 구동유닛의 평면도로, 줄 꼬임 구동유닛의 구동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도 6에서 줄 꼬임 구동유닛의 구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는 팔꿈치가 불편한 환자의 재활치료를 위한 것으로, 줄(10)의 꼬임에 의한 수축작용으로 신체의 하박을 상박 쪽으로 견인하여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줄 꼬임 구동유닛(2)을 구비한다.
줄 꼬임 구동유닛(2)은 탄성을 구비하고 소음에 유리한 줄(20)의 특성을 구비하게 되므로, 팔꿈치를 회전동작 시킴에 있어서 정숙성이나 유연성이 확보되도록 하는데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또 줄(10)을 꼬는 간단한 방식으로 팔꿈치의 회전 동력을 발생시키는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줄(10)과, 복잡한 기어구조를 갖지 않는 소형 모터 등 비교적 부피가 작고 가벼운 부품을 통해 구성이 가능하게 되므로,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의 부피나 중량이 감소되도록 하는 데에도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피와 무게 감소 이점을 갖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는 휴대가 편리하고, 환자의 신체에 착용이 용이해 질 수 있다.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줄(10)과, 줄(10)이 꼬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20)과, 줄(10)의 꼬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20)은 상박 둘레에 결합할 수 있게 링 형태를 취하도록 마련되어 팔꿈치의 재활을 위한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의 착용성이 극대화되도록 할 수 있다.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는 환자의 팔에 끼워지는 착용슬리브(5)를 더 구비하고,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착용슬리브(5)를 통해 상박 둘레에 설치될 수 있다.
착용슬리브(5)는 하박 둘레에 지지되는 하박지지부(6)와, 상박 둘레에 지지되는 상박지지부(7)를 구비할 수 있다.
착용슬리브(5)는 하박지지부(6)와 상박지지부(7) 사이의 접힘이 가능하도록 유연한 섬유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상박지지부(7)와 하박지지부(6)가 힌지 등을 통해 관절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경우, 착용슬리브(5)는 단단한 소재를 통해서도 구성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팔꿈치의 회전 동작을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착용슬리브(5)의 구조나 소재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줄 꼬임 구동유닛(2)은 하우징(20)이 상박지지부(7) 둘레를 감싸도록 상박지지부(7)에 끼워질 수 있다.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고, 이 상태의 하우징(20)은 체결수단(미도시)을 통해 착용슬리브(5)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다. 체결수단(미도시)은 벨크로나 볼트 등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의 휴대성과 착용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게 줄 꼬임 구동유닛(2)의 구동기(30)는 하우징(20)과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동기(30)는 하우징(20) 둘레 방향으로 감기는 줄(10)의 배치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우징(20)의 둘레 일측 상부로 위치될 수 있다.
구동기(30)는 모터(31)와 감개(32)를 포함하고, 모터(31)의 회전력은 벨트(33)를 통해 감개(32)로 전달될 수 있다.
감개(32)는 하우징(20)의 전방 상부로 마련되고, 감개(32)에는 감개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34)가 연결될 수 있다. 샤프트(34)는 감개(32)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감개(32)의 상부 일측으로 하우징(20)에는 모터(31)의 고정을 위한 고정부(23)가 마련되고, 모터(31)는 그 회전축(31a)이 감개(32) 상부에 위치하도록 고정부(23)에 체결될 수 있다. 벨트(33)는 모터(31)의 회전축(31a)과 감개(32)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줄(10)은 샤프트(34)에 꼬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동기(30)의 구동시 꼬이면서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러한 줄(10)은 꼬임시 수축이 용이한 다양한 소재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줄(10)에는 질기면서 탄력이 우수한 낚싯줄이 적용될 수 있다.
또 줄(10)은 하우징(20)의 내측 둘레를 회피하여 하우징(20)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될 수 있다.
줄(10)이 하우징(20)에 내측 둘레를 회피하여 장착되는 줄 꼬임 구동유닛(2)은 하우징(20)의 내측 둘레를 통해 상박 둘레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줄(10)에 의한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줄(10)의 길이를 최대한 길게 유지하여야 감속비가 증가하고 충분한 크기의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줄(10)이 하우징(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구조에서는 줄(10)이 하우징(20) 둘레를 따르는 곡선 경로를 따라 감아질 수 있게 되어 제한된 공간 내에서 줄(10)의 길이가 길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하우징(20)은 그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사이를 통과하도록 줄(10)의 장착을 안내하는 관통식 안내부(21)와, 그 외측 둘레를 경유하도록 줄(10)의 장착을 안내하는 비관통식 안내부(22)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줄(10)은 관통식 안내부(21)을 통해 하우징(2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하우징(20)에 이탈이 억제된 상태로 장착될 수 있다.
비관통식 안내부(22)는 하우징(20)의 둘레에 마련되는 가이드홈(22a)을 포함할 수 있다.
링 형태로 마련되는 하우징(20)은 감개(32) 쪽을 전방으로 하였을 때, 감개(32)를 기준으로 양쪽의 외측 둘레에 가이드홈(22a)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홈(22a)은 한 쌍이 하우징(20)의 전방 둘레를 따라 양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 가이드홈(22a)에는 움직도르래(40)가 하우징(20)의 원주방향을 따라 주행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움직도르래(40)는 축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가이드홈(22a)에 설치될 수 있다. 움직도르래(40)는 양 단부에 마련되는 축을 통해 가이드홈(22a) 상부와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고, 움직도르래(40)의 양 단부 사이의 둘레에는 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41,42,43)이 마련될 수 있다. 홈은 3개로 구성되고, 3개의 홈은 상부에서 하부 쪽으로 차례에 따라 제1 내지 제3홈(41,42,43)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식 안내부(21)는 하우징(20)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사이에 형성되는 관통홀(21a)을 포함할 수 있다.
관통홀(21a)은 감개(32) 일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22a)과 감개(32) 타측의 샤프트(34) 사이를 연결하는 하나와, 감개(32) 타측에 위치하는 가이드홈(22a)과 감개(32) 일측의 샤프트(34) 사이를 연결하는 다른 하나를 구비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 관통홀(21a)에 배치되는 줄(10)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쌍의 관통홀(21a)은 하우징(20)의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사이를 각각 개별적으로 통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관통홀(21a)은 하우징(20)의 후방 쪽에서 상호 교차하고, 교차부를 기준으로 일측 관통홀(21a)이 하우징(20)의 낮은 위치를 통과할 경우 타측의 관통홀(21a)이 하우징(20)의 높은 위치를 관통하도록 상호 대칭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다.
관통홀(21a)의 성형이나 가공성을 고려하여 하우징(20)은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몸체(20A,20B)를 구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 하우징(20)은 가이드홈(22a)을 구비하는 전방의 전방몸체(20A)와, 전방몸체(20A)와 결합하는 후방의 후방몸체(20B)를 통해 마련될 수 있다. 전방몸체(20A)와 후방몸체(20B)는 각각이 반고리 모양을 이루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링 형태의 하우징(20)을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21a)은 후방몸체(20B)를 그 형성방향을 따라 관통하고, 계속해서 한 쪽 가이드홈(22a) 상부 쪽의 전방몸체(20A)를 통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감개(32) 저부의 하우징(20) 전방에는 줄(10)의 인출을 위한 인출홈(24)이 마련되고, 인출홈(24)에는 줄(10)의 인출동작을 안정적으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고정도르래(5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도르래(50)는 인출홈(24)의 상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고정도르래(51)와, 인출홈(24)의 저부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고정도르래(5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0)의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는 줄(10)이 하우징(20) 저부로 원활하게 안내되어 인출될 수 있도록 상부의 제1고정도르래(51)는 축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되고, 제2고정도르래(52)는 제1고정도르래(51)의 후방의 저부에 축이 수평방향으로 눕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줄(10)은 움직도르래(40)의 이동에 의해 견인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꼬임시 움직도르래(40)에 의해 견인방향으로 견인되도록 움직도르래(40)에 감길 수 있다.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줄(10)의 견인력이 움직도르래(40)의 이동에 의해 발휘됨에 따라 줄(10)의 견인 동작에 따른 정숙성을 유지하면서 응답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10)은 장치(1) 착용자의 하박 쪽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줄(11)과, 구동기(30)에 꼬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줄(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줄(11)은 한 쌍의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들 사이에 감겨진 상태에서 인출홈(24) 저부로 인출되어 움직도르래(40)의 움직임에 따라 인출단(11a)이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줄(11)은 움직도르래(40)가 가이드홈(22a)을 따라 하우징(20)의 후방 쪽으로 이동할 경우 견인방향으로 당겨지고, 움직도르래(40)가 가이드홈(22a)을 따라 하우징(20)의 전방 쪽으로 이동할 경우 견인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에 감길 수 있다.
즉 제1줄(11)은 일 단부가 일측의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에 감긴 상태에서 인출홈(24)으로 인출되고, 타 단부가 타측의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에 감긴 상태에서 인출홈(24)으로 인출되도록 하우징(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줄(11)은 움직도르래(40)의 제1홈(41)에 감긴 상태에서 제1고정도르래(51) 감기고, 계속해서 움직도르래(40)의 제3홈(43)에 감긴 상태에서 제2고정도르래(52)에 감기도록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 사이에 감길 수 있다.
제2줄(12)은 구동기(30)에 의해 꼬일 경우 움직도르래(40)를 제1줄(11)의 견인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한 쌍의 움직도르래(40)와 구동기(30) 사이를 연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줄(11)과 제2줄(12)은 움직도르래(40)를 매개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줄(12)은 2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제2줄(12)은 감개(32)를 기준으로 일측의 움직도르래(40)와 타측의 샤프트(34) 사이를 연결하도록 하나의 관통홀(2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줄(12)은 감개(32)를 기준으로 타측의 움직도르래(40)와 일측의 샤프트(34) 사이를 연결하도록 다른 하나의 관통홀(21a)을 통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줄(12)은 각각 움직도르래(40)의 제2홈(42)에 감긴 상태에서 양 단부가 해당 관통홀(21a)을 통과하여 해당 샤프트(34)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줄(12)은 한 쌍이 각각 하우징(20)의 둘레를 절반 이상씩 감싸는 형태로 하우징(20)에 장착되어 꼬임이 가능한 줄(10)의 길이가 여유 있게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줄 꼬임 구동유닛(2)은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30)의 구동에 의해 샤프트(34)가 회전함에 따라 제2줄(12)이 꼬이게 되고, 한 쌍의 움직도르래(40)는 제2줄(12)의 꼬임에 의한 수축작용으로 하우징(20)의 전방 양측에 위치되어 있던 상태에서 후방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줄(11)은 움직도르래(40)에 의해 당겨지면서 착용자 팔의 하박을 상박 쪽으로 견인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 6과 도 7은 한 쌍의 제2줄(12)의 꼬임 동작을 명확히 도시하기 위해 제2줄(12)의 위치를 실제와 다르게 배치하였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 줄 꼬임 구동유닛(2)은 줄(10)의 꼬임력이 하우징(20)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않고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줄(10)의 꼬임력을 감안하여 하우징(20)의 강도를 특별히 높게 설계하지 않더라도 하우징(20)의 내구성이 확보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움직도르래(40)와 고정도르래(50)가 혼합된 복합도르래 구조를 이루어 줄을 견인하도록 채용되는 줄 꼬임 구동유닛(2)은 견인력을 발휘하는 줄(10)의 가동범위와 가동속도가 배가되도록 하는데도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고하면, 줄 꼬임 구동유닛(2)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줄 꼬임 구동유닛(2)은 하박을 상박 쪽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내회전 시키는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과, 하박을 상박 쪽에서 펴지는 방향으로 외회전 시키는 제2 줄 꼬임 구동유닛(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과 제2줄 꼬임 구동유닛(4)은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의 착용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착용슬리브(5)의 상박지지부(7) 둘레에 상호 인접하게 끼워지도록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은 하박을 내회전 시키도록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는 줄(10)의 위치가 팔꿈치 안쪽에 대응하도록 상박지지부(7)에 설치되고, 제2 줄 꼬임 구동유닛(4)은 하박을 외회전 시키도록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되는 줄(10)의 위치가 팔꿈치 바깥쪽에 대응하도록 상박지지부(7)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과 제2 줄 꼬임 구동유닛(4)은 상박지지부(7)에 설치된 상태에서 인출홈(24)의 위치가 서로 반대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환자의 팔에 착용된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1)는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이 제2줄(12)이 꼬이도록 구동됨에 따라 하박을 상박 쪽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기 설정되어 있는 각도만큼 내회전 시키고, 제2 줄 꼬임 구동유닛(4)이 제2줄(12)이 꼬이도록 구동됨에 따라 하박을 상박 쪽에서 펴지는 방향으로 역시 설정되어 있던 각도만큼 외회전 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줄 꼬임 구동유닛(3)과 제2 줄 꼬임 구동유닛(4) 중 하박의 견인에 참여하지 않는 하나는 하박을 회전시키는 다른 하나의 구동이 원활하게 보장되도록 모터(31)가 역방향으로 구동하거나 하박의 이동에 따른 자중에 의해 모터(31)의 회전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꼬아졌던 제2줄(12)이 풀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31)는 일 방향 구동모터와 양 방향 구동모터가 모두 구동기(30)에 채용이 가능할 수 있다.
1: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2: 줄 꼬임 구동유닛
3: 제1줄 꼬임 구동유닛 4: 제2줄 꼬임 구동유닛
5: 착용슬리브 10: 줄
11: 제1줄 12: 제2줄
20: 하우징 21a: 관통홀
22a: 가이드홈 30: 구동기
31: 모터 32: 감개
40: 움직도르래 50: 고정도르래
51: 제1고정도르래 52: 제2고정도르래

Claims (8)

  1. 줄의 꼬임에 의한 수축작용으로 신체의 하박을 상박 쪽으로 견인하여 팔꿈치를 회전시키는 줄 꼬임 구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줄 꼬임 구동유닛은,
    상기 줄;
    상기 줄이 꼬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하우징;
    상기 줄의 꼬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박 둘레에 결합할 수 있게 링 형태를 취하고,
    상기 줄은 상기 하우징의 내측 둘레를 회피하여 상기 하우징에 둘레 방향을 따라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주행이 가능하도록 움직도르래가 마련되고,
    상기 줄은 꼬임시 상기 움직도르래의 이동에 의해 견인력을 발휘하며,
    상기 줄은,
    상기 하박 쪽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줄;
    상기 구동기에 꼬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줄;을 포함하고,
    상기 제1줄과 제2줄은 상기 움직도르래를 매개로 연결되며,
    상기 움직도르래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줄은 한 쌍의 상기 움직도르래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 외부로 인출되며,
    상기 제2줄은 꼬임시 상기 한 쌍의 움직도르래를 견인하도록 상기 구동기와 한 쌍의 상기 움직도르래 사이를 연결하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측 둘레와 외측 둘레 사이를 통과하도록 상기 줄의 장착을 안내하는 관통식 안내부;
    외측 둘레를 경유하도록 상기 줄의 장착을 안내하는 비관통식 안내부;를 포함하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 일측 상부에 상기 하우징과 한 몸을 이루도록 마련되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줄 꼬임 구동유닛은 한 쌍으로 마련되고,
    한 쌍의 상기 줄 꼬임 구동유닛은,
    하박을 상박 쪽으로 접히는 방향으로 내회전 시키는 제1 줄 꼬임 구동유닛;
    하박을 상박 쪽에서 펴지는 방향으로 외회전 시키는 제2 줄 꼬임 구동유닛;을 포함하는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KR1020210034782A 2021-03-17 2021-03-17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KR10263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82A KR102635233B1 (ko) 2021-03-17 2021-03-17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782A KR102635233B1 (ko) 2021-03-17 2021-03-17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93A KR20220129893A (ko) 2022-09-26
KR102635233B1 true KR102635233B1 (ko) 2024-02-13

Family

ID=83452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782A KR102635233B1 (ko) 2021-03-17 2021-03-17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523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3331A1 (en) 2009-02-10 2011-12-22 Bruno Marc Florent Victore Dehez Rehabilitation Robot
KR101419697B1 (ko) * 2013-03-11 2014-07-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꼬임 기반 모션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0375B1 (ko) * 2012-08-02 2014-03-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줄의 꼬임으로 몸체의 움직임을 보조하는 외골격형 글로브
KR102152640B1 (ko) * 2014-01-24 2020-09-09 삼성전자주식회사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1677920B1 (ko) * 2015-02-27 2016-11-21 한국기술교육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신체착용식 상지 운동장치
KR20190091638A (ko) * 2018-01-29 2019-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를 위한 팔다리용 재활운동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3331A1 (en) 2009-02-10 2011-12-22 Bruno Marc Florent Victore Dehez Rehabilitation Robot
KR101419697B1 (ko) * 2013-03-11 2014-07-1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줄꼬임 기반 모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893A (ko) 202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7182B1 (ko) 구동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250260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N113712666A (zh) 一种柔性连续体手术机器人
US20080300520A1 (en) Exercise Machine for Burning Body Fat and Increasing Muscle
CN108652806B (zh) 一种穿戴式腰椎康复治疗装置
US20120277071A1 (en) Exercise equipment with dual fans for changing fluid resistance
KR101019452B1 (ko) 자동 손가락 운동 장치
CN107930032A (zh) 一种基于套索柔顺驱动的肘关节软质外骨骼机器人
KR102635233B1 (ko) 팔꿈치 재활 보조장치
CN110538046A (zh) 一种上肢肌肉康复辅助训练装置
CN110711112B (zh) 一种刚度可适应患者状况调节的便携式康复外骨骼设备
CN2298804Y (zh) 一种按摩床
WO2014126316A1 (ko) 악력완력기
CN111773047A (zh) 一种转轮式按摩组件
CN111358676A (zh) 一种按摩椅机芯及按摩椅
KR102352338B1 (ko) 연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운동 보조 장치
CN114587938A (zh) 基于远心点的刚度可变外骨骼穿戴设备及其刚度调节方法
CN112426325A (zh) 一种下肢康复用运动器材
CN110464625A (zh) 伸缩机构和按摩器
KR101855897B1 (ko) 4륜 구동 안마모듈의 분리형 프레임 구조
KR102649630B1 (ko) 케이블 견인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용형 슈트
CN112405513B (zh) 连续体变刚度调节机械手指
CN218484837U (zh) 一种体育运动训练用可变形腰背按摩装置
CN217660624U (zh) 一种腕肘部功能锻炼装置
CN219110104U (zh) 一种按摩椅2d机械手变成3d机械手的可调3d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