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5096B1 -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5096B1
KR102635096B1 KR1020217036409A KR20217036409A KR102635096B1 KR 102635096 B1 KR102635096 B1 KR 102635096B1 KR 1020217036409 A KR1020217036409 A KR 1020217036409A KR 20217036409 A KR20217036409 A KR 20217036409A KR 102635096 B1 KR102635096 B1 KR 1026350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binet
module
central
mounting plate
touch pro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6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8335A (ko
Inventor
외르크 카이마
외르크 크라일링
안드레아스 바스티안
안-쥘피아 야콥
슈테판 테메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261355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63509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21014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5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5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02B1/042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 H02B1/043Mounting on perforated supports by means of screws or locking members the perforated support having openings distributed according to a patter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4Shutters or guards for preventing access to conta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02B1/21Bus-bar arrangements for rack-mounted devices with withdrawabl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기어 캐비닛 랙(2) 및 스위치기어 캐비닛 랙(2) 내부의 장착판(3)에 장착되는 우발적 접촉 방지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다극 모듈(4)을 구비하며, 복수의 버스바(5)는 우발적 접촉에 대해 보호되도록 그리고 접촉 통로(6)를 거쳐서 장치 어댑터에 접근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장치(1)에 있어서, 우발적 접촉 방지 모듈(4)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8) 또는 줄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동일한 중앙 모듈(8)을 갖는 모듈식 하우징(7)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8) 또는 복수의 중앙 모듈(8)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수직 단부면(11)이 장착판(3)의 수직 외부 에지(9)와 정렬되거나 그 너머로 돌출하는 단부 모듈(10)에 의해 수직 외부 에지(9)와 대면하는 그 단부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기어 캐비닛 장치(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내부의 장착판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로서, 여러 개의 버스바가 터치 안전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접촉 통로를 거쳐서 장치 어댑터에 접근 가능한, 스위치 캐비닛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스위치 캐비닛 장치는 WO 2017/198484 A1에 기재되어 있다. 유사한 장치가 EP 3 258 558 B1에도 기재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는 터치 보호 모듈이 터치 보호 모듈에 장치 어댑터를 장착하기 위해 스위치 캐비닛 내부의 명확한 설치 폭의 비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할 뿐이라는 단점을 갖는다. 이 비효율성은 특히 여러 개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이 상호 직렬로 연결되는 베잉(baying) 상황에서 시작되며, 그로 인해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의 내부가 통상적으로 상호 연결되지만, 공지된 터치 보호 모듈의 설계로 인해, 생성된 연속 스위치기어 캐비닛 내부 공간의 효과적인 이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형태의 스위치 캐비닛 장치를 터치 보호 모듈에 장치 어댑터를 장착하기 위해 스위치 캐비닛 내부의 효과적인 이용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더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종속항은 각각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터치 보호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 또는 상호 동일하고 줄지어 배치되는 복수의 중앙 모듈을 갖는 모듈식 하우징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 또는 중앙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수직 단부면이 장착판의 수직 외부 에지와 정렬되거나 그 너머로 돌출하는 단부 모듈에 의해 수직 외부 에지와 대면하는 그 단부에서 폐쇄된다.
터치 보호 모듈의 상기 모듈식 구조는 터치 보호 모듈의 길이가 특정 장착판의 각각의 수평 폭에 적응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단부 모듈의 특정 폭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의 폭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 또는 복수의 상호연결된 중앙 모듈의 대향하는 수평 종방향 단부 각각에 하나의 단부 모듈이 배치될 때, 상부 구축될 수 있는 장착 패널의 폭이 중앙 모듈의 폭에 단부 모듈 폭의 두 배를 더한 것의 정수배이도록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복수의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베잉 상황에서, 복수의 장착판에 의해 커버될 수 있는 폭에 장착판 사이에 형성되는 거리를 더한 합계는 중앙 모듈의 폭에 단부 모듈 폭의 두 배를 더한 것의 정수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호연결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의 베잉 상황에서, 20cm의 폭을 갖는 다섯 개의 중앙 모듈은 상호연결될 수 있고, 그 대향하는 종방향 단부에서는 5.2cm의 폭을 갖는 각각의 단부 모듈에 의해 종결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장착판의 폭은 109.0 내지 110.4cm일 수 있다.
하우징은, 각각이 단일 인클로저 프레임 랙의 동일한 장착판의 수직 외부 에지를 갖거나, 각각이 한 줄의 적어도 두 개의 인클로저 프레임 랙의 상이한 장착판의 수직 외부 에지를 갖는, 각각의 단부 모듈의 대향하는 수직 단부면과 정렬될 수 있다.
단부 모듈은 두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중앙 모듈에 인접한 중앙 모듈 연장부와, 중앙 모듈 연장부의 단부에 인접하고 수직 단부면에서 중앙 모듈 연장부를 폐쇄하는 단부 캡을 둘 다 구비할 수 있다.
중앙 모듈 연장부와 단부 캡은 해제 가능한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래칭 연결체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제 가능한 연결체는 복수의 중앙 모듈 중 두 개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체와 동일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이 정렬되어 있으면, 접촉 모듈은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 사이에서 중단 없이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바는 또한 각각 단일 피스로 연장될 수 있는 바, 즉 정렬된 프레임 랙의 전체 폭에 걸쳐서 연속 무중단 레일로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보호 모듈은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의 각각에서 각각의 경우에 장착판 상에 장착될 수 있고, 서로 나란히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 사이의 이행 영역에 베잉 모듈을 가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터치 보호 모듈은 그 밀봉 웹을 통해서 상호 이웃하여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의 두 개의 수직 지주 위에 구축된다. 이와 관련하여, 베잉 모듈은 양쪽에서 각각의 중앙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특히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 사이에서 연속적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베잉 모듈은 전술한 중앙 모듈과 동일하고 그 양단부에서 중앙 모듈의 각각에 연결되는 추가 중앙 모듈일 수 있으며, 따라서 한 줄의 적어도 세 개의 상호연결된 중앙 모듈은 베잉된 인클로저 프레임 랙 중 첫 번째 것으로부터 베잉된 인클로저 프레임 랙 중 두 번째 것으로 연장된다.
터치 보호 모듈은 단부에 배치된 일체의 단부 캡을 제외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단 없이 등거리 접촉 개구를 가질 수 있으며, 따라서 터치 보호 모듈이 여러 개의 제어 캐비닛 프레임 랙에 걸쳐서 연장될 때는 장치 어댑터와 접촉하기 위한 접촉 개구의 연속 그리드가 제어 캐비닛을 가로질러 생성된다.
베잉 모듈은 적어도 두 개의 중앙 모듈 연장부를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중앙 모듈 연장부는 다른 제어 캐비닛 프레임 랙의 중앙 모듈에 연결되고, 이들 중앙 모듈 연장부는 개구가 없는 일체형 커버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다. 베잉 모듈의 중앙 모듈 연장부는 전술한 중앙 모듈 연장부와 동일할 수 있다.
버스 바는 장착판의 전체 수평 폭을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으며, 버스 바는 그 두 개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판의 수직 외부 에지와 정렬되거나 그 10mm 미만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된다.
단부 캡은 그 단부면에서 버스바를 커버할 수 있고 그로부터 그 종방향으로 단부에서 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부 캡이 제거될 때 버스바의 자유 단부는 자유롭게 접근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부 캡은 장착판의 수평 폭으로 대략 5 내지 15cm 만큼 버스바를 커버할 수 있으며 따라서 단부 캡이 제거될 때 버스바 단부는 그 정도까지 노출된다.
장착판은, 내부에서 프로파일 프레임의 두 개의 대향하는 평행하고 수직한 프로파일 측부에 의해 획정되는,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의 수직 프로파일 프레임의 명확한 개구 치수로 배치될 수 있다. 단부 모듈은 그 수직 단부면이 장착판의 수직 외부 에지를 넘어서 돌출하여 프로파일 프레임의 수직 프로파일 측부 중 하나까지 도달하거나 그 전방으로 최대 10mm, 바람직하게 최대 5mm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은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보호 모듈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터치 보호 모듈의 전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프레임 랙으로 구성된 예시적인 스위치 캐비닛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상세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상세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 보호 모듈(4)은 본질적으로 두 개의 중앙 모듈(8)을 포함하며, 이들 중앙 모듈은 스냅-인(snap-in) 연결체(14)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그 각각은 종방향 양 단부에서 단부 모듈(10)에 의해 종결된다. 단부 모듈(10)과 두 개의 중앙 모듈(8)은 함께 터치 보호 모듈(4)의 하우징(7)을 형성하며, 이는 종래 기술에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비도전성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세 개의 버스바(5)는 터치 안전한 방식으로 하우징(7)에 수용되며, 전기 장치 및 어댑터를 위한 하우징(7)의 전면으로부터의 접촉 통로(6)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다. 대응하는 장치 어댑터 및 접촉 단자는 예를 들어 EP 3 258 558 B1에 기재되어 있다.
단부 모듈(10)은 차례로 단부 캡(13) 및 중앙 모듈 연장부(12)로 형성된다. 모든 연결체(14)는 동일한 스냅-인 연결체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특히 중앙 모듈(8)과 연장 모듈(12) 사이에서 임의의 조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터치 보호 모듈(4)을 특정 수평 장착판 폭에 적응시키기 위해, 연장 모듈(12)이 제거될 수도 있고 단부 캡(13)이 중앙 모듈(8) 상에 직접적으로 스냅 결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두 개의 중앙 모듈(8) 사이에 하나 이상의 추가 중앙 모듈(8)을 연결할 수 있다.
터치 보호 모듈(4)의 개별 모듈의 예시적인 조합이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서로에 대해 베잉된 두 개의 프레임 랙(2)으로 구성되는 베잉 상황을 도시하고, 각각의 프레임 랙은 두 개의 평행한 수직 지주와 두 개의 평행한 수평 지주로 구성되는 수평 프로파일 프레임(19)을 가지며, 이 프레임의 명확한 개구 치수로 장착판(3)이 각각의 경우에 장착된다. 프로파일 프레임(19)의 대면하는 수직 지주(17)에서, 프로파일 프레임(19)은 밀봉 웹(16)을 통해서 서로에 대해 정렬되고 서로에 대해 밀봉된다. 이런 식으로, 프레임 랙(2)의 서로에 대한 명확한 정렬이 달성될 수 있다.
도 3에 따른 도시에서는, 여섯 개의 터치 보호 모듈(4)이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상부 터치 보호 모듈(4)은 단부 캡(13)을 제외하고 그 전체 수평 폭에 걸쳐서 접촉 통로(6)를 구비하며, 따라서 나란히 배치된 두 개의 인클로저 프레임 랙의 내부 공간에서 조합된 인클로저의 최대 사용이 이루어진다. 선택적으로, 대체 단부 캡(13)이 좌측 및 우측 실시예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는 내부 캐비닛 공간의 이용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두 개 또는 세 개의 추가 열의 접촉 개구(6)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유연성을 희생시키게 될 것인 바, 그 이유는 추가 접촉 통로(6)에 장치 또는 어댑터가 끼워질 때, 버스바 단부를 노출시키기 위해 대체 단부 캡이 제거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두 개의 수직 지주(17)가 서로 인접하는 두 개의 내부 공간 사이의 상부구조 영역에서도, 상부 터치 보호 모듈(4)은 중앙 모듈(8)과 동일한 베잉 모듈(15)을 갖는다. 양 단부에서, 따라서 다섯 개의 상호연결된 중앙 모듈(8) 각각은 단부 모듈(10)을 가지며, 단부 모듈은 이어서 각각 중앙 모듈 연장부(12)와 단부 캡(13)으로 구성된다.
위로부터 두 번째 줄에는, 각각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2)에 대해 두 개의 개별 터치 보호 모듈(4)이 제공되며, 따라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2) 사이의 상부구조 영역에 장치 어댑터를 장착할 수 없지만, 다른 한편으로 두 개의 장착판(3)의 전체 수평 폭도 이 실시예에서 이용된다. 이 경우에, 중앙 모듈(8) 및 단부 모듈(10)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도 3에 따른 도시에서 최상위 실시예인 터치 보호 모듈의 전술한 실시예의 중앙 모듈(8) 및 단부 모듈(10)과 동일한 전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보호 모듈(4)의 중간 실시예에서, 이것은 차례로 두 개의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의 전체 수평 폭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두 개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 사이의 상부구조 영역에는 상부구조 모듈로서 설계된 베잉 모듈(15)이 제공된다. 베잉 모듈/오버헤드 모듈(15)은 본질적으로 버스바가 이를 통해 연장되는 트로프(trough)(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며, 트로프 내의 버스바는, 트로프 상에 스냅 결합되고 트로프로부터 제거될 수 있게 설계되는 커버(18)에 의해, 터치 보호 모듈(4)의 전면으로부터 터치 안전한 방식으로 커버된다. 트로프를 통해서, 예를 들어, 두 개의 터치 보호 모듈(4)의 버스바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앙 터치 보호 모듈(4)은 네 개의 중앙 모듈(8)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앙 모듈은 중앙 모듈 연장부(12) 및 단부 캡(13)을 포함하는 각각의 단부 모듈(10)에 의해 터치 보호 모듈(4)의 양 단부를 향해 종결된다. 베잉 모듈(15)을 마주보고, 베잉 모듈(15)의 양쪽에서 대면하는 두 개의 중앙 모듈(8)은 각각의 중앙 모듈 연장부(12)를 거쳐서 베잉 모듈(15)에 연결된다.
도 3에 도시된 터치 보호 모듈의 위로부터 네 번째의 실시예는, 상부구조 모듈로서 다시 설계된 베잉 모듈(15)이 더 작은 폭을 가지며 대신에 베잉 모듈(15)의 양쪽에 있는 중앙 모듈(8) 각각이 두 개의 중앙 모듈 연장부(12)를 거쳐서 베잉 모듈(15)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도 3에 따른 터치 보호 모듈(4)의 최하위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터치 보호 모듈(4)의 개별 모듈이 전체 수평 장착판 폭을 사용하지 않는 터치 보호 모듈(4)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도시된 터치 보호 모듈(4)의 최하위 실시예는 줄지어 배치된 두 개의 중앙 모듈(8)로 구성되며, 이들 중앙 모듈은 종방향 양 단부에서 단부 캡(13)에 의해 직접 폐쇄된다. 도 3에서의 위로부터의 두 번째 실시예에 비해서, 이 실시예는 따라서 단부 캡(13)과 베잉 모듈(15) 사이에 두 개의 중앙 모듈 연장부(12)가 없다는 점에서 상이하며, 따라서 최하위 실시예에서 터치 보호 모듈(4)은 장착판(3)의 각각의 외부 에지(9)로부터 중앙 모듈 연장부(12)의 대응 폭만큼 이격된다.
또한, 도 5는 상부구조 모듈로서 설계된 중앙 모듈(15)의 커버(18)가 제거된 상태의, 도 3에 따른 터치 보호 모듈(4)의 중간 실시예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애드온 모듈(15)의 베이스 트로프(22)를 볼 수 있으며, 버스바(5)는 그 자유 단부에 걸쳐서 베이스 트로프 내로 연장되고 따라서 상호 접촉하기 위해 접근할 수 있다. 하부 및 중간 버스바는 각각 버스바 커넥터(21)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부 버스바 쌍 또한 대응 커넥터(21)를 통해서 상호 연결된 후, 저부 트로프(22)는 커버(18)에 의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베이스 트로프(22)와 커버(18)를 갖는 이러한 상부구조 모듈(15)의 사용은 스위치 캐비닛 열의 후속 연장이 필요할 때 또는 개별 캐비닛의 보다 양호한 취급을 위해 연속 버스바 대신 별개의 버스바가 선호될 때 특히 유용하다. 터치 보호 모듈(4)의 위에서부터 두 번째 실시예에 도시된 상황에서 시작하여, 두 개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이 나란히 배치될 때, 대향하는 개별 터치 보호 모듈(4)의 단부 캡(13)은 대향 버스바(5)의 자유 단부가 노출되도록 제거될 수 있다. 추가 단계에서, 베이스 트로프(22)는 버스바 단부 뒤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 단계에서, 버스바 커넥터(21)는 복수의 버스바(5)를 함께 연결하기 위해 끼워진다. 최종 단계에서, 커버(18)는 이후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 지점을 커버하도록 끼워질 수 있다.
전술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의 실현에 필수적일 수 있다.
1: 제어 캐비닛 장치
2: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3: 장착판
4: 터치 보호 모듈
5: 버스바
6: 접촉 통로
7: 하우징
8: 중앙 모듈
9: 외부 에지
10: 단부 모듈
11: 단부면
12: 중앙 모듈 연장부
13: 단부 캡
14: 연결체
15: 베잉 모듈/상부구조 모듈
16: 밀봉 웹
17: 수직 지주
18: 커버
19: 프로파일 프레임
20: 프로파일 측부
21: 버스바 커넥터
22: 베이스 트로프

Claims (15)

  1.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2) 및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2) 내부의 장착판(3)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다극 터치 보호 모듈(4)을 구비하며, 복수의 버스바(5)는 터치 안전한 방식으로 수용되고 접촉 통로(6)를 거쳐서 장치 어댑터에 접근 가능하고, 터치 보호 모듈(4)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8) 또는 줄지어 배치되고 상호 동일한 복수의 중앙 모듈(8)을 갖는 모듈식 하우징(7)을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8) 또는 중앙 모듈(8) 중 적어도 하나는 단부 모듈(10)에 의해 수직 외부 에지(9)와 대면하는 그 단부에서 폐쇄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에 있어서, 단부 모듈(10)은 그 수직 단부면(11)이 장착판(3)의 수직 외부 에지(9)와 정렬되거나 그 너머로 돌출하고, 복수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이 서로에 대해 정렬되며, 터치 보호 모듈(4)은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 사이에서 중단 없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7)은, 단일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의 동일한 장착판(3)의 각각의 수직 외부 에지(9)를 갖거나, 한 줄의 적어도 두 개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의 상이한 장착판(3)의 각각의 수직 외부 에지(9)를 갖는, 각각의 단부 모듈(10)의 대향하는 수직 단부면(11)과 정렬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3. 제1항에 있어서, 단부 모듈(10)은 두 부분으로 형성되며, 중앙 모듈(8)에 인접한 중앙 모듈 연장부(12), 및 단부에서 중앙 모듈 연장부(12)에 인접하고 수직 단부면(11)에서 중앙 모듈 연장부(12)를 폐쇄하는 단부 캡(13)을 둘 다 구비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4. 제3항에 있어서, 중앙 모듈 연장부(12)와 단부 캡(13)은 해제 가능한 연결체(14)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해제 가능한 연결체(14)는 복수의 중앙 모듈(8) 중 두 개 사이의 해제 가능한 연결체(14)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6. 제1항에 있어서, 터치 보호 모듈(4)은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의 각각에서 각각의 장착판(3) 상에 장착되고,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 사이의 이행 영역에 베잉 모듈(15)을 가지며, 이로 인해 터치 보호 모듈(4)은 정렬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의 두 개의 수직 지주(17) 위에 구축되고, 수직 지주(17)는 그 밀봉 웹(16)을 통해서 상호 인접하며, 베잉 모듈(15)은 양쪽에서 각각의 경우에 중앙 모듈(8)에 연결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7. 제6항에 있어서, 버스바(5)는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단되지 않도록 설계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8. 제6항에 있어서, 베잉 모듈(15)은 적어도 하나의 중앙 모듈(8)과 동일하고 그 양 단부면에서는 중앙 모듈(8)의 각각에 연결되는 추가 중앙 모듈(8)이며, 따라서 한 줄의 적어도 세 개의 상호연결된 중앙 모듈(8)은 베잉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 중 첫 번째 것으로부터 베잉된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 중 두 번째 것으로 연장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9. 제8항에 있어서, 터치 보호 모듈(4)은 단부에 배치된 일체의 단부 캡(13)을 제외하고 그 전체 길이에 걸쳐서 중단 없이 등거리 접촉 개구(6)를 가지며, 따라서 터치 보호 모듈(4)이 복수의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에 걸쳐서 연장되는 경우에, 장치 어댑터의 접촉을 위한 접촉 개구(6)의 연속 그리드가 스위치 캐비닛을 가로질러 생성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0. 제6항에 있어서, 베잉 모듈(15)은 적어도 두 개의 중앙 모듈 연장부(12)를 가지며, 이들 중앙 모듈 연장부는 각각 다른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랙(2)의 중앙 모듈(8)에 연결되고, 개구가 없는 일체형 커버(18)를 통해서 상호 연결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1. 제10항에 있어서, 베잉 모듈(15)의 중앙 모듈 연장부(12)는 제3항에 따른 중앙 모듈 연장부(12)와 동일한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2.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버스바(5)는 장착판(3)의 전체 수평 폭에 걸쳐서 연장되며, 버스바(5)는 그 두 개의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적어도 하나의 장착판(3)의 수직 외부 에지(9)와 정렬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3. 제12항에 있어서, 단부 캡(13)은 그 단부면(11)에서 버스바(5)를 커버하고 그로부터 그 종방향으로 단부에서 시작하며, 따라서 단부 캡(13)이 제거될 때 버스바(5)의 자유 단부는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착판(3)은, 내부에서 프로파일 프레임(19)의 두 개의 대향하는 평행하고 수직한 프로파일 측부(20)에 의해 획정되는,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2)의 수직 프로파일 프레임(19)의 명확한 개구 치수로 배치되며, 단부 모듈(10)은 그 수직 단부면(11)이 장착판(3)의 수직 외부 에지(9)를 넘어서 돌출하여 프로파일 프레임(19)의 수직 프로파일 측부(20) 중 하나까지 도달하거나 그로부터 최대 10mm 돌출하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1).
  15. 삭제
KR1020217036409A 2019-04-11 2020-02-20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KR1026350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9109638.3 2019-04-11
DE102019109638.3A DE102019109638B4 (de) 2019-04-11 2019-04-11 Schaltschrankanordnung mit einem Schaltschrankrahmengestell und einem auf einer Montageplatte montierten mehrpoligen Berührungsschutzmodul
PCT/DE2020/100121 WO2020207523A1 (de) 2019-04-11 2020-02-20 Schaltschrankanordnung mit einem schaltschrankrahmengestell und einem auf einer montageplatte montierten mehrpoligen berührungsschutzmodu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8335A KR20210148335A (ko) 2021-12-07
KR102635096B1 true KR102635096B1 (ko) 2024-02-13

Family

ID=72613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6409A KR102635096B1 (ko) 2019-04-11 2020-02-20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36165B2 (ko)
EP (1) EP3954006A1 (ko)
KR (1) KR102635096B1 (ko)
CN (1) CN113678332A (ko)
DE (1) DE102019109638B4 (ko)
WO (1) WO20202075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6774B1 (en) * 2020-06-19 2022-10-26 Wöhner Besitz GmbH Busbar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4741C1 (de) * 1998-03-18 1999-09-30 Loh Kg Rittal Werk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DE102006058778B4 (de) * 2006-12-12 2013-04-25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anordnung
DE102006058780B4 (de) * 2006-12-12 2008-09-18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anordnung
DE102008026507A1 (de) * 2008-05-23 2009-11-26 August Schmid Geschlossenes Sammelschienensystem zur Niederspannungsverteilung
US9072191B2 (en) * 2010-12-30 2015-06-30 Schneider Electric It Corporation Configurable rack and related methods
KR101255243B1 (ko) * 2011-04-15 2013-04-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랙 하우징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전력저장장치
DE102012213016A1 (de) 2012-07-25 2014-01-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Minimierung des Spalts zwischen einem Läufer und einem Gehäuse
FR3003407B1 (fr) * 2013-03-12 2015-03-06 Schneider Electric Ind Sas Enveloppe electrique a agencement mecanique ameliore
EP3258558B1 (de) * 2013-10-18 2018-09-19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Berührungsschutzsystem für stromsammelschienen
BR102014007562B1 (pt) * 2014-03-28 2021-12-28 Melquisedec Francisquini Centro de controle de motores
WO2016019410A1 (en) * 2014-07-05 2016-02-11 Logix Engineering Pty Ltd An interconnection and insulation module for busbars
DE102015111560B4 (de) 2014-08-05 2018-06-28 Rittal Gmbh & Co. Kg Adapter für die Kontaktierung eines Leistungsschalters an einem Sammelschienensystem
DE102016107565A1 (de) * 2016-04-22 2017-10-26 Rittal Gmbh & Co. Kg Anordnung für die berührungssichere Kontaktierung eines Stromsammelschienensystems
EP3246995B1 (de) * 2016-05-17 2020-05-13 Wöhner GmbH & Co. KG Elektrotechnische Systeme Stromsammelschienensystem
CN205882438U (zh) * 2016-07-18 2017-01-11 青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电柜汇流装置
DE102017108523B4 (de) 2017-04-21 2019-01-03 Rittal Gmbh & Co. Kg Montageplattenanordnung für einen Schaltschrank
EP3454437A1 (en) * 2017-09-11 2019-03-13 ABB S.p.A. Low voltage electrical switch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678332A (zh) 2021-11-19
US20220158421A1 (en) 2022-05-19
EP3954006A1 (de) 2022-02-16
DE102019109638B4 (de) 2021-11-18
DE102019109638A1 (de) 2020-10-15
US11936165B2 (en) 2024-03-19
WO2020207523A1 (de) 2020-10-15
KR20210148335A (ko)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4225573C2 (de) Baugruppe für ein modulares Automatisierungsgerät
EP0405803A2 (en) Modular battery plant system assembly comprising multiple unit cell modules
US3219887A (en) Electrical bus structure for motor control center
US20160285216A1 (en) Bridging module for a profiled mounting rail
US7924550B2 (en) Multiphase line fuse module
US20110075327A1 (en) Closed busbar system for low-voltage distribution
US10855059B2 (en) Compartment-partitioning and busbar-supporting device in a cabinet for a low voltage electrical switchboard
US9608414B2 (en) Rack positioning assembly for an electric panel, electric panel comprising one such assembly and method for fitting this assembly
US5995362A (en) Support and electrical power supply device for electrical switchgear
ES2793224T3 (es) Disposición para el empalme seguro frente al contacto de un sistema de barras colectoras
CN101479899B (zh) 具有一个或多个过压保护件的可插塞的过电压放电器
KR102635096B1 (ko) 스위치 캐비닛 프레임 및 장착판에 장착되는 다극 터치 보호 모듈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 장치
US4442476A (en) Versatile printed circuit board termination rack
EP2400610B1 (en) Supporting bars and an electrical distribution module comprising said bars.
CN107431293B (zh) 配电蜂房形件
RU2776682C1 (ru) Компоновка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шкафа с рамным каркасом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шкафа и со смонтированным на монтажной плате многополюсным модулем защиты от прикосновения
IE840748L (en) Distribution strip
DE3243063C2 (ko)
JP4544586B2 (ja) 分電盤の幹線バー接続構造
RU200012057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защиты выдвижного блока
US8298018B2 (en) Cross connection link for switching devices modularly connected on a support member
DE3019925C2 (de) NH- Sicherungstrenner und -Lastschalter
CN218472543U (zh) 一种交直流电源分配列柜
CN113541073B (zh) 用于接触母线的模块化构造的出线盒
JP6849219B2 (ja) 分電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