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959B1 -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 Google Patents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959B1
KR102634959B1 KR1020230117580A KR20230117580A KR102634959B1 KR 102634959 B1 KR102634959 B1 KR 102634959B1 KR 1020230117580 A KR1020230117580 A KR 1020230117580A KR 20230117580 A KR20230117580 A KR 20230117580A KR 102634959 B1 KR102634959 B1 KR 10263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ed
brush
camera
collaborative robo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7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동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30117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9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9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8B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52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 B25J15/006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multiple gripper units or multiple end effectors with different types of end effectors, e.g. gripper and welding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93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o-operating with convey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 협동 로봇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스윕하기 위한 브러쉬유닛이 마련된 헤드부, 말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카메라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방향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 및 기 설정된 둘 이상의 자세에 따라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피검사체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상기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촬영 전에 상기 브러쉬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스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borative robot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transported by a transport means, wherein the camera,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brush unit for sweep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the head portion are provided at a distal end, The camera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according to a multi-joint robot arm with a degree of freedom to photograph the subject from two or more different directions, and two or more preset postures, and operates the camera with respect to the subject.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good or not based on an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including a control unit that sweeps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using the brush unit before photographing the object through the camera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is provided.

Description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Collaborative robot with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본 발명은 협동 로봇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laborative robot,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for inspecting whether an object to be inspected is good or not.

일반적으로 로봇은 스스로 보유한 능력에 의해 주어진 일을 자동으로 처리하거나 작동하는 기계로서, 그 응용분야는 산업용, 의료용, 우주용, 해저용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In general, a robot is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processes or operates a given task based on its own abilities,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very diverse, including industrial, medical, space, and undersea applications.

최근 공장자동화설비가 마련되어 제품의 고속 및 대량 생산 체제가 갖추어 짐에 따라,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는 협동 로봇이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Recently, as factory automation equipment has been established and high-speed and mass production systems for products have been established, collaborative robots that perform various movements are being used for various purposes.

한편, 종래에는 제품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위에 고정 설치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피사체와 양품의 영상을 서로 비교하여, 피사체인 피검사체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Meanwhile, conventionally, images captured using a camera fixedly installed on a conveyor transporting products are used to compare images of the subject and a good product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the subject of inspection, is normal.

그러나 피검사체에 대한 2차원적인 영상만으로 피검사체가 양품인지 여부를 평면적으로 판정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determining whether an inspected object is a good product or not on a two-dimensional basis using only a two-dimensional image of the inspected object.

점점 수요자의 기호가 다양해지면서, 공장자동화설비에서 자동으로 생산되는 제품의 형태가 점차 복잡화되어, 피검사체를 여러 방향에서 확인하여야만 양품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As consumer tastes become increasingly diverse, the types of products automatically produced in factory automation equipment become increasingly complex, making it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or not a good product is good only by checking the inspection object from multiple directions.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협동 로봇에 대한 기술을 제시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would like to present a technology for collaborative robots to determine whether an inspection subject is good or bad.

KRKR 10-1161056 10-1161056 B1B1

본 발명은, 피검사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을 근거로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한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provide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for accurately determining whether an inspected object is good or not based on images taken of the inspected object from various directions.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 협동 로봇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스윕하기 위한 브러쉬유닛이 마련된 헤드부, 말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카메라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방향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 및 기 설정된 둘 이상의 자세에 따라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피검사체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상기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촬영 전에 상기 브러쉬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스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llaborative robot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transported by a transport means, the camera, a head portion provided with a brush unit for sweep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and an end portion. The head part is provided in the multi-joint robot arm having a degree of freedom so that the camera can photograph the object to be inspected from two or more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wo or more preset posture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good or not based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nd before photograph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rough the camera,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brushed in at least one direction using the brush unit.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sweep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브러쉬유닛은,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마련된 다수의 금속재섬유군을 가진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금속재섬유군과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 간의 마찰시 발생하는 정전기는 상기 접지로 유도되어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rush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having a support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and a plurality of metal fiber group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the metal fiber group and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friction occurs between surfaces of an object to be inspected can be induced to the ground and removed.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헤드부는, 베이스와 브러쉬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 각각은, 상기 브러쉬구동장치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브러쉬구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피검사체를 일시에 스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includes a base and a brush driving device,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ing device. Including a rack gear and first and second support bar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brush driving device is driven, thereby forming a plurality of brush units. The object to be inspected can be swept at onc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촬영 전, 상기 브러쉬유닛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브러쉬구동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rive the brush driving device so that the brush unit moves away from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before photograph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rough the camera.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피검사체는, 전장부품이 실장된 기판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의 결선 일치 여부,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의 교차 횟수, 또는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어느 한 전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상기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a board o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and the control unit connects wir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inspected using images taken of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inspected. By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coincidence, the number of intersections of wir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plurality of inspected objects, or whether one wire is disconnected in the plurality of inspected objects,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corresponding inspected object is a good product.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헤드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를 이용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판정한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고, 인접한 분류함으로 분류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ad portion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capable of holding the inspection object, and the control unit uses the holders to hold the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to be a good product or a defective product and classifies adjacent objects. It can be classified as: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홀더가 삽입 설치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홀더설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더설치구는 상기 베이스 상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군의 제1 홀더설치구와 또 다른 일 군의 제2 홀더설치구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홀더설치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전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 installation holes formed through the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ers are inserted and installed, and the plurality of holder installation holes are formed in a group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on the base. It is divided into a first holder installation unit and another group of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may be formed to be inverted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더가 상기 피검사체를 항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홀더구동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ead unit may further include a holder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driving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ers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oward the object to be inspec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한 영상을 근거로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정확하게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whether an inspected object is a good product based on images taken of the inspected object from various directio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의 구성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이 피검사체를 검사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상부 및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에 마련된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a collaborative robot inspect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a head portion coupled to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holder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은, 복수의 축(일 예로, 5축, 6축, 7축, 8축 등)을 중심으로 적어도 하나의 암(arm)이 상하 및/또는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협동 로봇암(10)의 말단부(13)가 임의의 방향 및/또는 임의의 지점 등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자유도를 갖되, 이때 로봇암(10)의 말단부(13)에는 피검사체(21)를 파지 또는 흡착할 수 있는 홀더(510) 및/또는 피검사체(21)를 포함한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54a, 54b) 등을 가진 헤드부(50)가 필요에 따라 탈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arm (for example, 5-axis, 6-axis, 7-axis, 8-axis, etc.) centered on a plurality of axes. arm) rotates in the up and down and/or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that the distal end 13 of the collaborative robot arm 10 has a degree of freedom to move in any direction and/or any point, etc., and at this time, the robot arm 10 The distal end 13 includes a head portion 50 having a holder 510 capable of holding or adsorbing the object 21 and/or cameras 54a, 54b capable of photographing a subject including the object 21. Can be demounted or demounted as need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기 설정된 둘 이상의 자세에 따라 로봇암(10)의 동작을 제어하고, 피검사체(21)에 대한 영상을 근거로 상기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10 according to two or more preset postures, and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based on the imag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21)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that determines whether the product is good or not.

제어부(110)는 협동 로봇(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협동 로봇(1)의 각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각종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그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토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110)는 협동 로봇(1)의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또는 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협동 로봇(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0 is a means of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and can execute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in conjunction with each component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and perform operations related thereto. That is, the control unit 11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by processing signals or data input and output through the components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or by running an application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there is.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1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정의 단계로 이루어진, 기 설정된 시퀀스(sequence)에 따라 로봇암(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는 협동 로봇(1)의 주변 공간 내 로봇암 말단부(13)의 위치와 방향, 그리고 헤드부(50)의 자세 및 각종 동작 등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the control unit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10 according to a preset sequence consisting of predetermined step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40. Here, each step may include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robot arm end portion 13 in the surrounding space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and the posture and various movements of the head portion 50.

이에 따라 컨베이어 따위와 같은 이송수단(2)을 따라 이송되는 피검사체(21)를 바라볼 수 있도록 이송수단(2)의 주변에 협동 로봇(1)이 마련되었을 때, 협동 로봇(1)은 헤드부(50)에 마련된 카메라(54a, 54b)를 이용하여 피검사체(21)를 다양한 방향에서 촬영한 다음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ollaborative robot 1 is provided around the transport means 2 so as to look at the object 21 being transported along the transport means 2 such as a conveyor, the collaborative robot 1 has a head. The inspection object 21 can be photographed from various directions using the cameras 54a and 54b provided in the unit 50, and then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inspection object 21 is good or not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이송수단(2) 주변의 어느 일 지점에 고정 설치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ixedly installed or movably installed at any point around the transport means 2,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is regar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한 다음, 판정 결과에 따라 양품과 불량품을 나누어 별도로 이송케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불량품으로 판정된 피검사체(21)를 파지하여 인접한 분류함(3) 내 수용케하여 분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inspected object 21 is a good product and then divide the good product and the defective product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and transport them separately.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lassify the inspected object 21 determined as a defective product by holding it and placing it in an adjacent sorting box 3. there 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한 다음, 판정 결과를 출력모듈(13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출력모듈(130)은 피검사체(21)의 판정 결과 이외에, 판정 과정으로서 카메라(54a, 54b)가 촬영한 영상을 화면에 출력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is good or not and then output the determination result to the output module 130. At this time, the output module 130 may output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s 54a and 54b on the screen as a judgment process, in addition to the judgment result of the inspection object 21.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이 검사하는 피검사체(21)는, 전장부품, 즉 전기장치부품이 실장된 기판일 수 있다.Meanwhile, the object 21 inspected by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board o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that is, electrical device components, are mounted.

기판인 피검사체(21)가 전선과 전자소자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10)는,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방향에서 피검사체(21)를 촬영한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피검사체(21)의 일 면에 마련된 전선들이 각각 의도된 위치에 결선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할 수 있다.When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which is a board, includes wires and electronic devices, the control unit 110 uses a plurality of images taken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from two or more different directions to determine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You can check whether the wir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are each connected to the intended location.

제어부(110)가 전선을 식별하고 해당 전선이 의도된 위치에 결선되어 있는지 또는 전선들이 적절하게 교차되도록 배선되었는지 용이하게 확인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검사체(21)의 전선들은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for the control unit 110 to identify the wire and easily check whether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intended location or wired to properly cross, the wire of the object 2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desirable that they have different colors.

이에 따라, 제어부(110)는 전선의 색상을 인식하고,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이 누락 없이 결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피검사체(21)에서 어느 한 전선의 단선 여부를 확인하거나, 또는 피검사체(21)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 간의 교차 횟수를 확인하여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 간에 꼬여있지 않은지 등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 unit 110 recognizes the color of the wire, checks whether wires of different colors are connected without omission, checks whether a wire is disconnected in the object 21, or inspects the test object 21. By checking the number of intersections between wir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body 21 and checking whether the wires of different colors are twist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subject 21 is a good product.

이 이외에 다른 다양한 방법으로 전장부품이 실장된 피검사체(21)의 양품여부를 판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inspection object 21 on which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is good or not using various other methods.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로봇암(10)의 말단부(13)에 마련된 헤드부(50)는, 피검사체(21)를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54a, 54b)를 포함할 수 있고, 이 이외에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피검사체(21)의 표면을 스윕(sweep)하기 위한 브러쉬유닛(52, 53)을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portion 50 provided at the distal end 13 of the robot arm 10 may include cameras 54a and 54b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subject 21, , In addition to thi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brush units 52 and 53 for sweep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21 may be further includ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에 결합되는 헤드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및 7 각각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상부 및 하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평면도이다.Figure 5 is a view showing a head portion coupled to a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views show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view showing the head portion coupled to the collaborativ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top view of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도 5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50)는, 로봇암(10)의 말단부(13)에 결합 가능하되, 대략 판 형태를 가진 베이스(50a)와, 베이스(50a)에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 브러쉬유닛(52, 53)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5 to 8, the head portion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upled to the distal end 13 of the robot arm 10, and includes a base 50a having a substantially plate shape and , It may include brush units 52 and 53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base 50a.

브러쉬유닛(52, 53)은, 전장부품이 실장된 기판의 표면을 스윕하기 위한 것으로서, 피검사체(21)에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기판 상에 결합된 부품이나 전선 따위의 결합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The brush units 52 and 53 are for sweeping the surface of the board on which the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ttached to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or to check the connection state of components or wires coupled to the board. You can.

즉, 기판인 피검사체(21) 표면에는 각종 부품이나 전선 따위가 결합되어 있으나, 결합상태가 불량하여 육안으로 이상이 없어도, 약한 외력만으로도 상기 부품이나 전선 따위가 기판으로부터 탈리될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피검사체(21)에 대한 비젼 검사 전에 브러쉬유닛(52, 53)을 이용하여 피검사체(21)의 표면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스윕할 수 있다.In other words, various components or wires are connected to the surface of the test object 21, which is a board, but the connection is poor, so even if there is no visual abnormalit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arts or wires can be separated from the board with only a weak external force. Therefore,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brush units 52 and 53 to clean the surface of the inspected object 21 in at least one direction before the vision inspection of the inspected object 21. You can sweep.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유닛(52, 53)은, 피검사체(21)와 접하도록 마련된 소정의 탄성을 가진 다수의 금속재섬유군(f)과, 다수의 금속재섬유군(f)을 일측에 고정하여 이를 지지하는 지지바(52a, 53a)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brush units 52 and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plurality of metal fiber groups (f) with a predetermined elasticity provid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spection object 21, and a plurality of metal fiber groups ( f) may be fixed to one side and include support bars 52a and 53a to support it.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금속재섬유군(f)은 대략 막대 형상의 지지바(52a, 53a)의 하측에 고정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브러쉬구동장치(55)에 의해 지지바(52a, 53a)가 베이스(50a)의 면 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금속재섬유군(f)은 피검사체(21)의 일 표면을 스윕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specific embodiment, as shown in Figure 5 (c), a plurality of metal fiber groups (f)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approximately rod-shaped support bars (52a, 53a), and the brush drive By moving the support bars 52a and 53a along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base 50a by the device 55, the metal fiber group f can sweep one surface of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다만, 금속재섬유군(f)이 피검사체(21)의 표면과 마찰하는 경우 정전기가 발생할 수 있고, 발생된 정전기는 피검사체(21)인 전장부품이 실장된 기판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이렇게 발생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바(52a, 53a)는 접지(ground)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속재섬유군(f)과 피검사체(21) 간의 마찰로 발생된 정전기는 금속재섬유군(f)과 금속재의 지지바(52a, 53a)를 순차로 경유하여 접지로 유도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metal fiber group (f) rubs against the surface of the inspection object 21, static electricity may be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tatic electricity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board on which the electrical components of the inspection object 21 are mounted. In order to remove generated static electric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ars 52a and 53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ground. In other words,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by friction between the metal fiber group (f) and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can be removed by being guided to the ground via the metal fiber group (f) and the metal support bars (52a, 53a) in that order. .

한편, 일측에 금속재섬유군(f)이 마련된 지지바(52a, 53a)는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과 맞물리기 위해 일부에 톱니 형상을 가진 랙기어(52b, 53b)를 포함할 수 있고, 또 헤드부(50), 구체적으로 베이스(50a)에는 랙기어(52b, 53b)를 가진 브러쉬유닛(52, 53)의 이동을 위해 구동력을 제공하는 브러쉬구동장치(55)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support bars 52a and 53a, which are provided with a group of metal fibers (f) on one side, may include rack gears 52b and 53b having a toothed shape on some portions to engage with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 In addition, the head portion 50, specifically the base 50a, may include a brush drive device 55 that provides driving force for movement of the brush units 52 and 53 with rack gears 52b and 53b. .

베이스(50a)에 마련된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으로 브러쉬유닛(52, 53)이 이동할 수 있도록 브러쉬구동장치(55)와 브러쉬유닛(52, 53)은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브러쉬구동장치(55)와 브러쉬유닛(52, 53)은 랙(rack)과 피니언(pinion) 결합에 따를 수 있다(도 5(b) 참조).The brush driving device 55 and the brush units 52 and 53 may be combined in various ways so that the brush units 52 and 53 can be moved by driving the brush driving device 55 provided on the base 5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brush driving device 55 and the brush units 52 and 53 may be combined with a rack and pinion (see FIG. 5(b)).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기어(52b, 53b)는, 대략 막대 형상의 몸체의 일측에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과 이물림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톱니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어도 일부에 마련되고, 랙기어(52b, 53b)와 상호 연동할 수 있또록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에는 외주면에 톱니가 형성된 원형의 피니언기어(55a)가 마련되어,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으로 인하여, 그 구동축에 마련된 원형의 피니언기어(55a)가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함에 따라 랙기어(52b, 53b)는 길이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ack gears (52b, 53b)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plurality of teeth on one side of the roughly rod-shaped body to enable engagement with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along the length of the body. A circular pinion gear 55a with teeth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provided on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so that it can be interlocked with the rack gears 52b and 53b, and is provided at least partially along the direction, so that the brush drive device Due to the driving of (55), the circular pinion gear (55a) provided on the drive shaft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the rack gears (52b, 53b) can move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랙기어(52b, 53b)는 상기 금속재섬유군(f)를 고정한 지지바(52a, 53a)와 교차 결합, 일 예로 직교 결합할 수 있고(도 5(a) 참조), 이에 따라 브러쉬유닛(52, 53)은 전체적으로 'ㅓ' 또는 'ㅏ'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se rack gears (52b, 53b) can be cross-coupled, for example, orthogonally coupled with the support bars (52a, 53a) that fix the metal fiber group (f) (see FIG. 5(a)), and thus the brush unit ( 52, 53) may have the overall shape of 'ㅓ' or 'ㅏ'.

이에 따라, 브러쉬유닛(52, 53)은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에 따라 평면인 베이스(50a)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되, 결국 직선 운동을 하는 랙기어(52b, 53b)에 결합된 지지바(52a, 53a)는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 회전 방향에 따라 브러쉬구동장치(55)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brush units 52 and 53 mov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lat base 50a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brush driving device 55, but are ultimately connected to the rack gears 52b and 53b that move in a straight line. The combined support bars 52a and 53a may move closer to or away from the brush drive device 55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50)에는 복수의 브러쉬유닛(52, 53),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52, 53)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52, 53)은 브러쉬구동장치(55)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구동장치(55)를 사이에 두고 'ㅓ' 형상의 제1 브러쉬유닛(52)과 'ㅏ' 형상의 제2 브러쉬유닛(53)이 대향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 회전 방향에 따라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52, 53)은 함께 연동하여 브러쉬구동장치(55)를 향하여 모이도록 이동하거나, 또는 브러쉬구동장치(55)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The head portion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rush units 52 and 53, specifically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52 and 53,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52 and 53 may be provided. The brush units 52 and 53 may be coupl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rush driving device 55 interposed therebetween.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ㅓ' shaped first brush unit 52 and the 'ㅏ' shaped second brush unit 53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the brush driving device 55 in between.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52 and 53 are interlocked together and move to gather toward the brush drive device 55, or the brush drive device ( 55) can be moved away from it.

이렇게,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52, 53)은 상호 연동하여 베이스(50a)의 평면을 따라 이동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피검사체(21)의 표면을 스윕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나란하게 마련된 복수의 피검사체(21)에 대하여 동시에 표면 스윕하거나 동시에 비젼 검사를 할 수 있다.In this way, by driving the brush driving device 55,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52 and 53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move along the plane of the base 50a, and move the surface of the inspection object 21 in different directions. Because it can sweep,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ultaneously sweep the surface or perform a vision inspection on a plurality of inspection objects 21 arranged side by sid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50a) 상에는 브러쉬구동장치(55), 브러쉬유닛(52, 53), 그리고 카메라(54a, 54b)가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rush driving device 55, brush units 52 and 53, and cameras 54a and 54b may be provided on the base 50a.

이때,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5a)를 중심으로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52, 53)이 양측에 서로 대향하도록 마련되되, 베이스(50a)의 평면을 따라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브러쉬구동장치(55)와 그 구동축에 결합된 피니언기어(55a)는,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0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브러쉬구동장치(55)의 구동축이 베이스(50a)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본 발명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52 and 53 are provided to face each other on both sides around the pinion gear 55a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55, and are arranged along the plane of the base 50a. It may be provided to enable linear movement, and in this case, the brush drive device 55 and the pinion gear 55a coupled to the drive shaft are opposed to each other with the base 50a in between, as shown in FIGS. 6 and 7. direction and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ing device 55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base 5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is regard.

또한, 베이스(50a)에 마련된 카메라(54a, 54b)는 브러쉬유닛(52, 53)과 같은 방향에 마련되어, 카메라(54a, 54b)의 촬영방향과, 브러쉬유닛(52, 53)의 금속재섬유군(f)이 피검사체(21)를 향하도록, 동향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s 54a and 54b provided on the base 50a are provid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rush units 52 and 53, so that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s 54a and 54b and the metal fiber group of the brush units 52 and 53 (f) may be arranged in an orientation so that it faces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이때, 카메라(54a, 54b)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가 마련되어 복수 개의 카메라(54a, 54b) 각각이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피검사체(21)를 각각 촬영하도록 하거나, 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검사체(21)를 일회 촬영으로 다각도에서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re may be one or more cameras (54a, 54b), but preferably, a plurality of cameras (54a, 54b) are provided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cameras (54a, 54b) photographs a plurality of objects 21 arranged side by side, or one Alternatively, two or more objects 21 can be photographed from multiple angles in a single shot.

또한, 복수의 카메라(54a, 5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피니언기어(55a)의 주변에 배치될 수 있지만, 피니언기어(55a)를 중심으로 수평 이동하는 브러쉬유닛(52, 53)에 의해 카메라(54a, 54b)의 촬영범위 중 적어도 일부가 가려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cameras (54a, 54b) may be arranged around the pinion gear (55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brush units (52, 53) that move horizontally around the pinion gear (55a) There is a problem that at least part of the shooting range of the cameras 54a and 54b may be obscured.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0)는 카메라(54a, 54b)를 통한 피검사체(21)에 대한 촬영 전에, 미리 피니언기어(55a)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켜 브러쉬유닛(52, 53)이 카메라(54a, 54b) 또는 그 촬영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구동시킴으로써, 카메라(54a, 54b)의 촬영범위 중 적어도 일부가 브러쉬유닛(52, 53)에 의해 가려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the pinion gear 55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efore photographing the object 21 through the cameras 54a and 54b to rotate the brush unit 52. , 53) is preferably driven away from the cameras 54a, 54b or their photographing directions so that at least part of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cameras 54a, 54b is not obscured by the brush units 52, 53.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협동 로봇(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54a, 54b)를 이용하여 피검사체(21)를 촬영한 제어부(110)는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피검사체(21)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되, 판정된 양품 또는 불량품을 분류함(3)에 분류하기 위해 상기 헤드부(50)는 피검사체(21)를 파지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홀더(510)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llaborative robot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10, which photographs the object 21 using the cameras 54a and 54b, inspects the object 21 using the captu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carcass 21 is a good product, and to classify the determined good product or defective product into the classification box 3, the head portion 50 includes at least one holder 510 capable of holding the inspected object 21. may include.

홀더(510)는 피검사체(21)를 파지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종류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피검사체(21)가 전장부품 등을 실장한 기판 따위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510)는 흡착방식으로 피검사체(21)의 일면을 음압을 이용하여 흡착 고정함으로써 피검사체(21)를 파지할 수 있는 수단일 수 있다.The type of the holder 5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holding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However, if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is a board o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et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510 may be a means for holding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21 by adsorbing and fixing one surface of the object 21 using negative pressure using a suction method.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에 마련된 홀더를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9 is a diagram showing a holder provided in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510)는, 홀더막대(510b)와, 홀더막대(510b)의 일측단에 마련되어 피검사체(21)의 표면에 접하는 흡착부(510a)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holder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der bar 510b and an adsorption portion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lder bar 510b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It may include (510a).

이때, 흡착부(510a)는 피검사체(21)의 표면에 밀착할 수 있도록 유연한 소재로서, 피검사체(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절연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일 예로서 흡착부(510a)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대략 사발형 또는 컵형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sorption portion 510a is a flexible material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21, and is preferably an insulating material that is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bject 21. As a specific example, the adsorption unit 510a may be approximately bowl-shaped or cup-shaped and made of silicone material.

또한, 흡착부(510a)가 피검사체(21)의 표면에 마주 접하였을 때, 그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어 피검사체(21)를 흡착하여 홀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흡착부(510a)는 진공펌프(150)와 튜브(510c) 따위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어부(110)의 제어지령에 따라 진공펌프(150)는 구동할 수 있고 진공펌프(150)의 구동으로 인해 흡착부(510a)의 내부는 음압 분위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흡착부(510a)는 피검사체(21)의 표면에 밀착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dsorption unit 510a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inspection object 21,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unit 510a to adsorb and hold the inspection object 21. The adsorption unit 510a is operated by a vacuum pump. It may be connected to (150) and a tube (510c). That is, the vacuum pump 150 can be driven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and a negative pressure atmosphere can be formed inside the adsorption unit 510a due to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150, and accordingly, the adsorption unit 510a can be operated. (510a) may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물론, 이와 반대로 제어부(110)의 제어지령에 따라 진공펌프(150)는 구동을 정지하고 공기주입기(미도시) 따위를 이용하여 흡착부(510a)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자중에 의해 피검사체(21)가 흡착부(510a)로부터 이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Of course,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the control command of the control unit 110, the vacuum pump 150 stops driving and injects air into the inside of the adsorption unit 510a using an air injector (not shown), thereby causing the inspection object to be lifted by its own weight. (21) can be separated from the adsorption unit (510a).

또한, 베이스(50a)에는 복수의 홀더(510)가 마련되어, 복수의 홀더(510)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피검사체(21)를 흡착 고정함으로써 파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ders 510 are provided on the base 50a,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ers 510 can hold one or more inspection objects 21 by adsorbing and fixing them.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헤드부(50)는 복수의 피검사체(21)에 대하여 동시에 표면을 일 방향으로 스윕하고 양품 또는 불량품을 판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unit 50 can simultaneously sweep the surfaces of a plurality of inspection objects 21 in one direction and determine whether they are good or defective.

이때, 로봇암(10)의 헤드부(50)의 하부에는 복수의 피검사체(21a, 21b)가 평면 상에 인접하도록 나란히 배치되되, 각각은 서로 반전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두 피검사체(21a, 21b)의 어느 일 평면방향은, 어느 한 피검사체(21a, 21b)가 법선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바퀴(180°) 회전하였을 때 서로 동일할 수 있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objects to be inspected (21a, 21b)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a plane at the lower part of the head part 50 of the robot arm 10, and each of them may be arranged to be inverted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That is, the plane directions of the two inspected objects 21a and 21b may be the same when one of the inspected objects 21a and 21b rotates half a turn (180°) around the rotation axis in the normal direction.

나란히 배치된 피검사체(21)에 대하여 어느 일 방향으로만 스윕하여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브러쉬유닛(52, 53)이 일 방향으로 모이거나 멀어지는 일 행정만으로도 복수의 피검사체(21a, 21b)에 대한 스윕이 가능할 수 있다.When it is necessary to sweep in only on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bjects 21 arranged side by side, the plurality of brush units 52 and 5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pect a plurality of objects with just one stroke of gathering or moving away in one direction. Sweeping of the carcasses 21a and 21b may be possible.

또한, 이에 따라, 베이스(50a)에는 복수의 홀더(510)가 소정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is, a plurality of holders 510 may b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pattern on the base 50a.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의 평면도이다.Figure 8 is a plan view of the head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0a)에는 복수의 홀더(510)가 마련될 수 있고, 여기서 도면부호 511a~511d와 512a~512d는 홀더설치구로서, 베이스(50a) 상에 마련된 홀더(510)의 위치를 가리킬 수 있다.As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holders 510 may be provided on the base 50a, where reference numerals 511a to 511d and 512a to 512d are holder installation tools, and holders provided on the base 50a ( 510).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50a)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를 포함할 수 있고,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에는 홀더막대(510b)가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pecific embodiment, as shown in FIG. 9, the base 50a may include holder installation holes 511a to 511d, 512a to 512d formed through the base 5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holder installation holes 511a to 511d. , 512a to 512d), a holder bar 510b may be inserted and installed.

베이스(50a)에는 복수의 홀더(51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때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는, 가상의 중심선(s)을 기준으로, 일 군의 제1 홀더설치구(511a~511d)와 또 다른 일 군의 제2 홀더설치구(512a~512d)로 나누어질 수 있다.A plurality of holders 510 may be provided on the base 50a, where the holder installation units 511a to 511d and 512a to 512d are a group of first holder installation units based on the virtual center line s. It can be divided into (511a ~ 511d) and another group of second holder installation ports (512a ~ 512d).

일 군을 이루는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는 하나의 피검사체(21)에 상응하는 것으로, 기판인 피검사체(21)에 실장된 부품이나 전선 따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임의의 패턴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홀더(510) 위치일 수 있다. 즉, 일 군의 제1 홀더설치구(511a~511d)는 제1 피검사체(21)에 상응할 수 있고, 또 다른 일 군의 제2 홀더설치구(512a~512d)는 제2 피검사체(22)에 상응할 수 있다.The holder installation tools (511a to 511d, 512a to 512d) forming a group correspond to one object to be inspected (21), and are installed arbitrarily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components or wires mounted on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which is a board. It may be the location of a plurality of holders 510 arranged according to a pattern. That is, a group of first holder installation tools 511a to 511d may correspond to the first object 21, and another group of second holder installation tools 512a to 512d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object 21 ( 22).

이때, 제1 및 제2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 각각의 군은 가상의 중심선(s)을 사이에 두고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두 개 군 각각에 배치된 제1 및 제2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는 서로 반전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each group of the first and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511a to 511d, 512a to 512d) i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with an imaginary center line (s) in between,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511a to 511d, 512a to 512d) are disposed in each of the two groups. 2 It is preferable that the holder installation holes 511a to 511d and 512a to 512d are formed to be inverted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이렇게, 제1 및 제2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가 서로 반전 대칭됨으로써, 각 군에 속한 홀더설치구는 서로 상응하도록 쌍을 이루되, 쌍을 이루는 각각의 홀더설치구는 베이스(50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대각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511a, 512d), (511b, 512c), (511c, 512b), (511d, 512a)) 각각이 서로 상응하는 쌍을 이루며, 각 쌍의 홀더설치구는 베이스(50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서로 대각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511a to 511d and 512a to 512d are inverted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so that the holder installation units belonging to each group are pair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each holder installation unit forming the pair has a base ( It may be located diagonally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50a). For example, as shown in Figure 8, (511a, 512d), (511b, 512c), (511c, 512b), (511d, 512a)) each form a corresponding pair, and the holder installation of each pair is They may be positioned diagonally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center point of the base 50a.

이에 따라, 협동 로봇(1)의 헤드부(50)는 베이스(50a)의 법선 방향으로 마련된 축을 중심으로 베이스(50a)를 회전시킬 때, 베이스(50a)의 어느 일 평면방향이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피검사체(21a, 21b)의 임의의 두 방향(일 예로 도 8의 제1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하나에만 일치하더라도, 기판인 피검사체(21)에 실장된 부품이나 전선 따위에 간섭 없이 파지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head portion 50 of the collaborative robot 1 rotates the base 50a around an axis provided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base 50a, a plurality of device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plane direction of the base 50a. Even if only one of the two directions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directions in FIG. 8) of the objects to be inspected (21a, 21b) coincides,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components or wires mounted on the object to be inspected (21), which is a board. It can be grasp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5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50a)에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홀더설치구(511a~511d, 512a~512d)에 삽입 설치되되, 베이스(50a)의 법선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50a)에 마련된 홀더(510)는 피검사체(21)를 향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부(50)는, 복수 개의 홀더(510)가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홀더구동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holder 5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by inserting into the holder installation holes 511a to 511d, 512a to 512d formed through the base 50a in the thicknes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nd the base ( It can be arranged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in the normal direction of 50a). That is, the holder 510 provided on the base 50a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in the front-back direction toward the object 21 to be inspected, and for this purpose, the head portion 5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A holder driving device (not shown) that provides driving force so that the holder 510 can move may be further included.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베이스(50a)에 홀더구동장치가 마련되되, 홀더구동장치의 구동축은 직간접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홀더막대(510b)와 연결됨으로써, 홀더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홀더(510)가 베이스(50a)의 법선 방향으로 승하강 이동토록 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holder driv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base 50a, and the driving shaft of the holder driving device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holder bar 510b, so that the holder 510 moves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holder driving device. It can be moved up and down in the normal direction of the base 50a.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interpreted.

1: 협동 로봇 2: 이송수단
3: 불량품보관함 10: 로봇암
13: 로봇암 말단부 21: 피검사체
50: 헤드부 50a: 베이스
510: 홀더 510a: 흡착부
510b: 홀더막대 511, 512: 홀더설치구
511a~511d: 제1 홀더설치구 512a~512d: 제2 홀더설치구
52, 53: 브러쉬유닛 52a, 53a: 지지바
54a, 54b: 카메라 55a: 피니언기어
110: 제어부 130: 출력모듈
140: 저장부 150: 진공펌프
f: 금속재섬유군
1: Collaborative robot 2: Transportation means
3: Defective product storage box 10: Robot arm
13: End part of robot arm 21: Test object
50: head 50a: base
510: Holder 510a: Adsorption unit
510b: Holder bar 511, 512: Holder installation port
511a~511d: 1st holder installation port 512a~512d: 2nd holder installation port
52, 53: Brush unit 52a, 53a: Support bar
54a, 54b: Camera 55a: Pinion Gear
110: Control unit 130: Output module
140: storage unit 150: vacuum pump
f: Metal fiber group

Claims (8)

이송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한 협동 로봇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와,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스윕하기 위한 브러쉬유닛이 마련된 헤드부;
말단부에 상기 헤드부가 마련되되, 상기 카메라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방향에서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자유도를 가진 다관절의 로봇암; 및
기 설정된 둘 이상의 자세에 따라 상기 로봇암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피검사체에 대하여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근거로 상기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되,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촬영 전에 상기 브러쉬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을 적어도 일 방향으로 스윕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쉬유닛은, 접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지지바와, 상기 지지바의 일측에 마련된 다수의 금속재섬유군을 가진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금속재섬유군과 상기 피검사체의 표면 간의 마찰시 발생하는 정전기는 상기 접지로 유도되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In a collaborative robot including a camera for photographing an object to be inspected transported by a transport means,
A head unit provided with the camera and a brush unit for sweeping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A multi-joint robot arm provided with the head portion at a distal end and having a degree of freedom so that the camera can photograph the subject from two or more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operation of the robot arm is controlled according to two or more preset postures, and the quality of the inspection object is determined based on the image captured through the camera. A control unit that sweeps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in at least one direction using the brush unit before shooting;
Including,
The brush unit includes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having a support ba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 and a plurality of metal fiber group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ar, to prevent friction between the metal fiber group and the surface of the object to be inspected.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wherein the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during operation is guided to the ground and eliminat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베이스와 브러쉬구동장치를 포함하고,
서로 마주하도록 대향 배치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 각각은, 상기 브러쉬구동장치의 구동축과 결합되는 제1 및 제2 랙기어와, 상기 제1 및 제2 랙기어와 수직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지지바를 포함하여, 상기 브러쉬구동장치의 구동으로 상기 제1 및 제2 브러쉬유닛은 서로 연동하여 이동함으로써 복수의 상기 피검사체를 일시에 스윕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1,
The head part includes a base and a brush driving device,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arranged to face each other includes first and second rack gears coupled to the drive shaft of the brush drive device, and first and second rack gear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rack gears. And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including a second support bar,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rush units move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when the brush driving device is driven, thereby enabling the plurality of inspection objects to be swept at the same time. A collaborative robot with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한 상기 피검사체에 대한 촬영 전, 상기 브러쉬유닛이 상기 카메라의 촬영방향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상기 브러쉬구동장치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3,
The control unit is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before photograph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through the camera, the brush driving device is driven so that the brush unit moves away from the photographing direction of the camera.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피검사체는, 전장부품이 실장된 기판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의 결선 일치 여부,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진 전선들의 교차 횟수, 또는 상기 복수의 피검사체에서 어느 한 전선의 단선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하는 상기 피검사체의 양품 여부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3,
The object to be inspected is a board on which electrical components are mounted,
The control unit uses images taken of the plurality of test objects to determine whether the wiring of wir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plurality of test objects match, the number of intersections of wires of different colors in the plurality of test objects, Or,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a wire is disconnected in the plurality of objects to be inspected and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object to be inspected is a good produc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홀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홀더를 이용하여 양품 또는 불량품으로 판정한 상기 피검사체를 파지하고, 인접한 분류함으로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5,
The head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s capable of holding the object to be inspected;
It further includes,
The control unit is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holds the inspection object determined as a good product or a defective product using the holder and sorts it into an adjacent sorting box.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복수 개의 홀더가 삽입 설치되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복수 개의 홀더설치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홀더설치구는 상기 베이스 상의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일 군의 제1 홀더설치구와 또 다른 일 군의 제2 홀더설치구로 나누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홀더설치구는, 상기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반전 대칭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6,
The base includes a plurality of holder installation holes formed through a thickness direction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ers are inserted and installed,
The plurality of holder installation units are divided into a first group of holder installation units and another group of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based on an imaginary center line on the base,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older installation units are formed to be inverted and symmetrical to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복수 개의 홀더가 상기 피검사체를 항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홀더구동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비젼 검사기능을 가진 협동 로봇.
According to claim 6,
The head unit is a collaborative robot with a complex vision inspe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holder driving device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so that the plurality of holders can mov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oward the inspection object.
KR1020230117580A 2023-09-05 2023-09-05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KR1026349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7580A KR102634959B1 (en) 2023-09-05 2023-09-05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7580A KR102634959B1 (en) 2023-09-05 2023-09-05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959B1 true KR102634959B1 (en) 2024-02-08

Family

ID=89899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7580A KR102634959B1 (en) 2023-09-05 2023-09-05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959B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252A (en) * 2004-06-07 2005-12-12 주식회사 디엠에스 Apparatus for cleaning works having brush
KR20080056377A (en) * 2006-12-18 2008-06-23 주식회사 케이씨텍 Touch cleaning apparatus for large area substrate
JP2011181644A (en) * 2010-03-01 2011-09-15 Ebar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KR101161056B1 (en) 2009-09-25 2012-06-29 이윤규 robot having multi-joint
KR20200018279A (en) * 2018-08-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Cleaning tool for substrate,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ing tool for substrate
KR20230038850A (en)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Cooperative robot
KR20230112359A (en) *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Multi-joint robot having vision inspection fuc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6252A (en) * 2004-06-07 2005-12-12 주식회사 디엠에스 Apparatus for cleaning works having brush
KR20080056377A (en) * 2006-12-18 2008-06-23 주식회사 케이씨텍 Touch cleaning apparatus for large area substrate
KR101161056B1 (en) 2009-09-25 2012-06-29 이윤규 robot having multi-joint
JP2011181644A (en) * 2010-03-01 2011-09-15 Ebara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substrate
KR20200018279A (en) * 2018-08-09 2020-02-19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Cleaning tool for substrate, substrate clean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processing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cleaning tool for substrate
KR20230038850A (en) * 2021-09-13 2023-03-21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Cooperative robot
KR20230112359A (en) * 2022-01-20 2023-07-27 주식회사 유일로보틱스 Multi-joint robot having vision inspection fu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1317B1 (en) Machine vision controlled robot tool system
CN110404816B (en) 3D curved surface glass defect detection device and method based on mechanical arm
CN202770779U (en) Detection device capable of applying multi-shaft mechanical arm
US8616599B2 (en) Hand and robot
CN109916920A (en) A kind of AOI detection device and its detection method
CN108008278A (en) Robot system
CN105817423B (en) A kind of quality inspection pipeline and its quality detecting method
CN107323753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accomodation SMT product
KR102142687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exterior of semiconductor device
CN107677688A (en) Notebook computer appearance delection device
CN208155258U (en) A kind of online dimensional measurement of phone housing and surface defects detection system
JPWO2015011782A1 (en) Inspection device
CN106493539A (en) A kind of relay automatic assembling
KR102634959B1 (en) Cooperative robot having complex vision inspection fuction
CN110907455A (en) Three-body machine for detecting appearance of computer bottom cover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CN207198051U (en) A kind of mobile phone shell surface automatic checkout system
CN206415833U (en) A kind of relay automatic assembling
TWM445176U (en) Detection device using multi-axis robot arm
CN110809396A (en) Automatic production line of circuit board
CN207742120U (en) Product appearance inspection device
JP2017087307A (en) Robot and robot system
KR20230112359A (en) Multi-joint robot having vision inspection fuction
CN109283185A (en) A kind of pin detection device of compressor protector
CN210959328U (en) Automatic production line of circuit board
KR101683589B1 (en) Vision inspection apparatus and vision inspection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