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802B1 -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802B1
KR102634802B1 KR1020230076270A KR20230076270A KR102634802B1 KR 102634802 B1 KR102634802 B1 KR 102634802B1 KR 1020230076270 A KR1020230076270 A KR 1020230076270A KR 20230076270 A KR20230076270 A KR 20230076270A KR 102634802 B1 KR102634802 B1 KR 102634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information
equipment
ev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6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선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유한회사 유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230076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1Content storage operation, e.g. caching movies for short term storage, replicating data over plural servers, prioritizing data for dele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monitoring of server load, available bandwidth, upstream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된 장소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와 설치된 장소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비부; 상기 장비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장비부와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 상호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으로서, 통합관제시스템에서 영상 저장이 누락된 경우, 누락 정보를 일일이 찾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고, 영상 저장 누락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서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system and operation method for Real-time image management and monitoring image storage omission}
본 발명은 수 백에서 수 만대의 CCTV 카메라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영상 저장이 누락된 부분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이다.
지자체 및 관공서에서는 통합관제센터를 두고 방범, 어린이 보호, 교통 등을 관리하거나 현장을 감시하고 있다. 따라서 지자체 및 관공서에서는 영상 녹화 및 저장기간을 매우 중요한 보안사항으로 여기고 있다.
현재 통합관제센터에서 사용하는 영상 관리 시스템은 AI카메라 또는 센서의 동작 여부 등 기기 상태 관리, 실시간 영상 확인 및 녹화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영상 관리 시스템은 네트워크 끊김 문제,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 고장 등의 문제로 인해 영상 저장이 일부 누락되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저장 기록을 찾아서 확인해야 하므로 비효율적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1400호(2015.12.23,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실시간 영상 저장 누락 현상이 발생하면 해당 정보만을 수집하여 보고서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업무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은 설치된 장소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와 설치된 장소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비부; 상기 장비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장비부와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 상호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장비부, 상기 서버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네트워크부에 연결되는 것을 승인하는 관리서버; 상기 장비부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이 이루어지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며, 정보 분석 결과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를 포함하는 이벤트 상황 판단 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통합서버; 및 상기 장비통합서버에서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이를 이벤트 로그로 저장하는 이벤트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장비통합서버 및 상기 이벤트서버의 정보를 열람하고, 상기 장비부를 조작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및 상기 장비통합서버에 저장되는 영상이 누락될 때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대시보드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서버 또는 상기 대시보드서버가 정보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장비통합서버는 임시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폴더에 상기 수신 불가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은 관리서버로부터 장비의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받는 장비승인단계; 장비로부터 장비가 설치된 장소의 정보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단계; 수집된 정보 및 장비의 상태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부에서 분석하는 분석단계; 상기 분석부에서 이벤트 정보가 생성되면 이벤트서버에 이벤트 로그를 전송하는 이벤트서버전송단계;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 또는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 중 정보의 저장이 누락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대시보드서버로 전송하는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대시보드서버로 전송하는 설정정보전송단계; 및 상기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전송단계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대시보드에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대시보드서버출력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은, 상기 영상누락감시단계 및 상기 설정정보전송단계에서 상기 이벤트서버 또는 상기 대시보드서버가 정보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장비통합서버에 임시폴더를 생성하는 임시폴더생성단계; 및 상기 이벤트서버 또는 상기 대시보드서버가 정보 수신이 가능해지면 상기 임시폴더에 저장된 정보를 상기 이벤트서버 또는 상기 대시보드서버로 전송하는 임시폴더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은 관리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서버의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받는 클라이언트승인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장비통합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장비통합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서버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장비통합서버교류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이벤트서버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이벤트통합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서버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이벤트서버교류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장비부에 장비 조작 명령을 내리면 장비가 명령을 수행하는 장비부조작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합관제시스템에서 영상 저장이 누락된 경우, 누락 정보를 일일이 찾지 않아도 쉽게 알 수 있어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영상 저장 누락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수집하여 보고서 형태로 출력함으로써 필요한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서버부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사용자단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장비통합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통합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갖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는 서버부의 블록도이며, 도 3은 사용자단말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장비통합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1)은 장비부(100), 서버부(200), 사용자단말(300), 네트워크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부(100)는 설치된 장소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와 설치된 장소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장비부(100)는 IP카메라, 움직임감지센서, 미세먼지측정센서, 화재감지센서 등의 장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장비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IP카메라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어 PC나 모바일 등의 기기로 즉시 영상을 송출할 수 있는 카메라로서, 녹화를 먼저 한 이후에 필요한 부분을 찾아봐야 하는 CCTV와 달리 실시간으로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감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영상정보는 IP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영상을 촬영한 기기의 위치 정보, 영상이 촬영된 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정보는 움직임 정보, 미세먼지 농도, 불꽃 감지, 연기 감지 등의 센서 동작 정보를 센서가 설치된 위치, 날짜, 시간에 따라 측정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부(200)는 장비부(100)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는 것으로, 관리서버(210), 장비통합서버(220), 이벤트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서버(210)는 기기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도록 접근을 승인하는 것으로 시스템 로그인, 장치의 추가 등을 승인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사용자, 서버, 장비 데이터를 관리DB(210a)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장비통합서버(220)는 장비부(100)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장치프로세스(221), 저장부(222), 분석부(2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장치프로세스(221)는 장비당 하나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장비통합서버(220)에 장비부(100)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으로, 프로세스에 이상이 발생하여 장비로부터 정보를 수신받지 못해도 나머지 장비들은 각각의 프로세스를 통해 정상적으로 정보를 수신받을 수 있다.
저장부(222)는 장비부(100)가 설치된 장소의 정보 및 장비부(100)의 상태 정보를 장비통합DB(220a)에 저장할 수 있으며, 장비명, 장비의 설치 위치, 장비의 on/off 상태, 수집된 영상정보 및 환경정보, 저장 일시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분석부(223)는 저장부(222)의 장비통합DB(220a)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끊김,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의 고장,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는 화재 시 이산화탄소의 급증, 설비 고장으로 인한 가스 누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끊김,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와 같은 이벤트상황을 판단하여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서버(230)는 분석부(223)에서 이벤트정보가 생성된 경우 이를 이벤트DB(230a)에 이벤트 로그 형태로 저장하는 것으로, 이벤트상황이 발생된 기기, 위치, 날짜, 시간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단말(300)은 서버부(200)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서버(310)와 대시보드서버(32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서버(310)는 장비통합서버(220) 및 이벤트서버(230)의 정보를 열람하고, 장비부(100)를 조작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서버(310)는 장비통합서버(220)에 저장된 영상정보 및 환경정보를 실시간 또는 날짜, 시간에 따라 구간을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으며, 장비 또는 위치를 검색하여 장비 별, 위치 별 정보를 열람할 수도 있다.
또한, 이벤트서버(230)에 저장된 이벤트정보를 날짜, 시간에 따라 구간을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으며, 장비 또는 위치를 검색하여 열람할 수도 있다.
또한, 장비부(100)가 수집하고 있는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줌 기능, 캡쳐, 화면 회전, 스피커, 마이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장비부(100)에 조작 명령을 내려 PTZ 제어를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PTZ 제어는 Pan Tilt Zoom의 줄임말로 원격으로 회전, 줌 조정이 가능한 카메라를 말하며, 촬영 대상의 움직임을 관찰하거나 필요한 부분에 회전, 줌을 함으로써 넓은 영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310)는 이벤트정보 발생 시 장비통합서버(220)로부터 자동으로 알림을 수신받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알림 수신 기록은 저장부(222)에 저장되고, 이를 날짜, 시간 별로 검색하여 열람할 수 있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310)는 이벤트상황 별 간단한 대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이벤트서버(230)에 저장할 수 있으며, 이벤트 발생 시 이벤트서버(230)는 장비부(100)에 시나리오에 따른 명령을 내려 이벤트상황에 대처할 수 있다.
대시보드서버(320)는 영상 저장이 누락될 때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보고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분석부(223)에서 네트워크 끊김,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정보의 저장이 누락되었다고 판단되면, 정보 저장이 누락된 기기, 날짜, 시간, 위치 등의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벤트상황 발생 횟수와 같이 보고서로 출력받고자 하는 정보를 설정하면, 분석부(223)에서 이에 필요한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대시보드서버(320)로의 정보 전송은 효과적인 데이터 처리를 위해 데이터 사용량이 적은 새벽 시간에 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정보 전송이 일어나는 주기 및 시간은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대시보드서버(3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주기에 따라 수집된 영상 저장 누락 정보 및 사용자 설정에 의한 정보를 정리하여 디스플레이로 형성된 대시보드에 보고서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마지막 보고서 출력 이후부터 현재까지 수집된 정보에 따른 보고서를 열람할 수 있으며, 기간에 따른 정보를 보고서로 출력받을 수 있다.
네트워크부(400)는 장비부(100), 서버부(200), 사용자단말(300)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상호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된 모든 정보의 이동은 네트워크부(400)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통합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장비통합서버(220)는 임시폴더(2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가 네트워크 끊김 등의 문제로 장비통합서버(220)로부터 정보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장비통합서버(220)는 임시폴더(224)를 생성하여 수신 불가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가 정보 수신이 가능해질 경우 장비통합서버(220)는 임시폴더(22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이 완료된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1) 동작 방법은 장비승인단계(S10), 정보수집단계(S20), 저장단계(S30), 분석단계(S40), 이벤트서버전송단계(S50),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S60), 설정정보전송단계(S70), 대시보드출력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장비승인단계(S10)는 관리서버(210)로부터 장비의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받는 단계로, 각 장비마다 최초 1회 이루어질 수 있다.
정보수집단계(S20)는 장비로부터 장비가 설치된 장소의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로, 카메라의 영상정보 수집, 센서의 환경정보 수집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단계(S30)는 정보수집단계(S20)에서 수집된 정보 및 장비의 동작여부와 같은 장비의 상태가 장치프로세스(221)를 통해 저장부(222)의 장비통합DB(220a)로 저장되는 단계일 수 있다.
분석단계(S40)는 저장부(222)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부(223)에서 분석하는 단계로, 저장부(222)의 장비통합DB(220a)에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네트워크 끊김,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의 고장,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네트워크 끊김, 데이터 전송 오류, 장비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할 수 있으며,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와 같은 이벤트상황을 판단하여 이벤트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벤트서버전송단계(S50)는 분석단계(S40)에서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이를 이벤트서버(230)의 이벤트DB(230a)에 이벤트 로그 형태로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S60)는 분석단계(S40)에서 판단된 정보 중 정보의 저장이 누락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해당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설정정보전송단계(S70)는 분석된 정보 중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일일 이벤트정보 발생 횟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장비통합서버(220)는 이벤트정보 발생 시 대시보드서버(320)로 이벤트 로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 장비통합서버(220)는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확인하고자 하는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장비통합서버(220)는 사용자가 설정한 정보를 출력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예시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정보의 일부를 예시로 든 것이며, 장비통합서버(220)에 저장 및 분석된 정보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대시보드서버출력단계(S80)는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S60) 및 설정정보전송단계(S70)에서 전송받은 정보를 대시보드에 보고서 형태로 제작하여 출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저장이 누락된 정보를 기기, 날짜, 시간에 따라 정리하여 보고서 형태로 대시보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일일 이벤트 발생 횟수를 확인하고자 할 경우, 대시보드서버(320)는 장비통합서버(220)로부터 전송받은 이벤트 로그의 수를 세어 대시보드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그래프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 대시보드서버(320)는 장비통합서버(220)로부터 전송받은 미세먼지 측정 센서의 측정 정보를 그래프로 만들어 대시보드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예시 외에도 사용자가 장비통합서버(220)에 저장 및 분석된 정보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정보를 대시보드서버(320)에서 설정하면, 대시보드서버(320)는 해당 정보 도출에 필요한 정보를 장비통합서버(220)로부터 수신받아 보고서를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의 클라이언트서버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1) 동작 방법은 클라이언트승인단계(S200), 장비통합서버교류단계(S210), 이벤트서버교류단계(S220), 장비부조작단계(S230)를 포함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승인단계(S200)는 관리서버(210)로부터 클라이언트서버(310)의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받는 단계로, 최초 1회 이루어질 수 있다.
장비통합서버교류단계(S210)는 클라이언트서버(310)가 장비통합서버(220)에 저장된 정보의 열람을 요청하면 장비통합서버(220)가 클라이언트서버(310)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클라이언트서버(310)는 장비통합서버(220)에 저장된 장비부(100)가 설치된 위치, 장비의 on/off 또는 네트워크 상태, 수집된 영상정보 및 환경정보, 저장 일시 등을 실시간 또는 저장된 기간별, 장비별로 요청할 수 있다.
장비통합서버(220)에 상기와 같은 요청이 감지되면, 장비통합서버(220)는 요청받은 정보를 클라이언트서버(3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 기록을 저장부(222)에 저장할 수 있다.
이벤트서버교류단계(S220)는 클라이언트서버(310)가 기간을 지정하여 이벤트서버(230)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의 열람을 요청하면, 이벤트서버(230)는 클라이언트서버(310)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거나, 이벤트상황 발생 시 클라이언트서버(310)에서 대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이벤트DB(230a)에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장비부조작단계(S230)는 클라이언트서버(310)가 장비부(100)에 장비의 on/off, 카메라 PTZ제어와 같은 장비 조작 명령을 내리면 장비가 명령을 수행하거나, 이벤트상황 발생 시 이벤트서버(230)에 저장된 시나리오에 따라 이벤트서버(230)가 장비부(100)를 조작하는 단계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동작 방법은 임시폴더생성단계(S90)와 임시폴더전송단계(S1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임시폴더생성단계(S90)는 영상누락감시단계(S60) 및 설정정보전송단계(S70)에서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가 네트워크 끊김 등의 문제로 정보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장비통합서버(220)에 임시폴더(224)를 생성하여 전송할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단계일 수 있다.
임시폴더전송단계(S100)는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가 정보 수신이 가능해지면 임시폴더(224)에 저장된 정보를 이벤트서버(230) 또는 대시보드서버(320)로 전송하는 단계일 수 있다.
이때, 임시폴더(224)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 중 전송이 완료된 정보는 삭제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 시스템
100: 장비부
200: 서버부
210: 관리서버
210a: 관리DB
220: 장비통합서버
220a: 장비통합DB
221: 장치프로세스
222: 저장부
223: 분석부
224: 임시폴더
230: 이벤트서버
230a: 이벤트DB
300: 사용자단말
310: 클라이언트서버
320: 대시보드서버
400: 네트워크부
S10: 장비승인단계
S20: 정보수집단계
S30: 저장단계
S40: 분석단계
S50: 이벤트서버전송단계
S60: 영상저장누락감시단계
S70: 설정정보전송단계
S80: 대시보드서버출력단계
S90: 임시폴더생성단계
S100: 임시폴더전송단계
S200: 클라이언트승인단계
S210: 장비통합서버교류단계
S220: 이벤트서버교류단계
S230: 장비부조작단계

Claims (7)

  1. 설치된 장소의 영상정보를 수집하는 카메라와 설치된 장소의 환경정보를 수집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장비부;
    상기 장비부에서 수집된 정보를 저장 및 분석하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는 서버부;
    상기 서버부에 저장된 정보를 열람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장비부와 상기 서버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 상호간에 정보를 전달하는 네트워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부는,
    상기 장비부, 상기 서버부, 상기 사용자단말이 상기 네트워크부에 연결되는 것을 승인하는 관리서버;
    상기 장비부로부터 수신받은 정보의 저장 및 분석이 이루어지고, 정보의 저장이 누락된 것을 판단하며, 정보 분석 결과 화재, 움직임 감지, 환경정보의 급격한 변화를 포함하는 이벤트 상황 판단 시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장비통합서버; 및
    상기 장비통합서버에서 이벤트 정보가 생성된 경우 이를 이벤트 로그로 저장하는 이벤트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장비통합서버 및 상기 이벤트서버의 정보를 열람하고, 상기 장비부를 조작하는 클라이언트서버; 및
    상기 장비통합서버에 저장되는 영상이 누락될 때의 정보 및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보고서 형태로 출력하는 대시보드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장비통합서버는,
    장비당 하나의 프로세스가 실행되어 상기 장비통합서버에 상기 장비부의 정보를 전달하는 장치프로세스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상황 발생 시 상기 클라이언트서버에서 작성한 대처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이벤트서버가 상기 장비부에 명령을 내려 이벤트 상황에 대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서버 또는 상기 대시보드서버가 정보 수신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장비통합서버는 임시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임시폴더에 상기 수신 불가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5. 삭제
  6. 관리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서버의 네트워크 접속을 승인받는 클라이언트승인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장비통합서버에 저장된 정보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장비통합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서버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는 장비통합서버교류단계;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이벤트서버에 저장된 이벤트 로그의 열람을 요청하면 상기 이벤트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서버에 요청받은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서버는 이벤트 상황 발생에 따른 대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상기 이벤트서버에 저장하는 이벤트서버교류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서버가 장비부에 장비 조작 명령을 내리면 장비가 명령을 수행하고, 이벤트 상황 발생 시 상기 이벤트서버에 저장된 시나리오에 따라 상기 이벤트서버가 상기 장비부를 조작하는 장비부조작단계를 포함하는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동작 방법.
  7. 삭제
KR1020230076270A 2023-06-14 2023-06-14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2634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270A KR102634802B1 (ko) 2023-06-14 2023-06-14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6270A KR102634802B1 (ko) 2023-06-14 2023-06-14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802B1 true KR102634802B1 (ko) 2024-02-07

Family

ID=89872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6270A KR102634802B1 (ko) 2023-06-14 2023-06-14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80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023A (ko) * 2009-10-09 2011-04-15 (주)아이디스 이벤트 관제 장치
KR20150085311A (ko) * 2014-01-15 2015-07-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KR101581400B1 (ko) 2014-11-10 2015-12-3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KR20180023724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9023A (ko) * 2009-10-09 2011-04-15 (주)아이디스 이벤트 관제 장치
KR20150085311A (ko) * 2014-01-15 2015-07-23 케이티텔레캅 주식회사 센서 연동 데이터 다중 관리장치
KR101581400B1 (ko) 2014-11-10 2015-12-31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시카메라의 트래픽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트래픽 감시 방법
KR20180023724A (ko) * 2016-08-26 2018-03-07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하는 복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복원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215748A1 (en) Automated camera response in a surveillance architecture
US9600987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ial video recording
US8316407B2 (en) Video system interface kernel
US8054330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nd managing a distributed, modular and extensible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050132414A1 (en) Networked video surveillance system
KR20160080159A (ko) 통합경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46215A (zh) 用于控制报警管理系统的方法
JP2003216229A (ja) 遠隔制御管理システム
KR200433431Y1 (ko) 독립형 감시 시스템
KR101726315B1 (ko) 이벤트 알림 기능이 있는 네트워크 기반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기반 감시 카메라
KR102634802B1 (ko) 실시간 영상 관리, 영상 저장 누락 감시를 위한 시스템 및 동작 방법
KR101250956B1 (ko) 자동 관제 시스템
JP2004064276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20040054266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을 이용한 원격 감시 시스템
US20040008257A1 (en) Monitoring service process using communication network
KR101870900B1 (ko) 다목적 감시 이원화 시스템의 통합 운영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JP2013135293A (ja) 映像監視システム
KR20030004770A (ko) 공간정보관리기술을 이용한 지능형 터널관리시스템 및 그방법
KR20010104127A (ko) 인터넷 망 및 공중망을 이용한 방범 장치 및 그 방법
KR200434039Y1 (ko) 중앙 집중형 감시 시스템
KR100807893B1 (ko) 서비스 데이터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KR20130126372A (ko) 카메라 시스템에서 이벤트 영상 재생 방법
US20230156160A1 (en) Intelligent surveillance camera control and notification system
KR102172952B1 (ko) 영상 관제 방법, 영상 관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80082689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감시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