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490B1 -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490B1
KR102634490B1 KR1020220020035A KR20220020035A KR102634490B1 KR 102634490 B1 KR102634490 B1 KR 102634490B1 KR 1020220020035 A KR1020220020035 A KR 1020220020035A KR 20220020035 A KR20220020035 A KR 20220020035A KR 102634490 B1 KR102634490 B1 KR 102634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disposed
protruding
groov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201A (ko
Inventor
심영표
한형관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주식회사 장헌산업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220020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490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는,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다.

Description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Multi-span P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multi-span PS girder}
본 발명은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 시공시 거더를 교각 상에 거치하고, 교각 상에서 종방향으로 복수의 거더를 안전하게 연속화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피에스(P.S) 거더에서, P.S는 프리스트레스트(Prestressed)를 의미하고 P.S.C(Prestressed Concrete)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를 뜻한다. P.S 거더라는 용어는 프리스트레스트 거더를 말하며 P.S 합성 거더와 P.S.C 거더를 통칭하는 명칭이다.
거더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합성된 콘크리트 구조체 내에 긴장재가 포물선 형태로 내설되고, 긴장재를 잡아당기는 긴장력을 통해 경간 중앙부의 중립축 하연의 콘크리트 구조체에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힘이 도입된 형태로 정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의하여, 거더는 공용 중에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의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는 압축 응력이 도입된 상태로 제작되므로, 보다 높은 지지 능력을 가질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2경간 이상의 연속교는, 복수의 거더 간 종방향 연결부에서 거더 내 철근을 서로 연결한 다음 연결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거더 지점부를 연속화하고,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에 의해 시공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거더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아, 철근 연결 등의 시공에 있어, 시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닥판 타설 하중으로 인하여 연속부에 큰 부모멘트가 발생되고, 이에 대한 철근수량이 증가되어 시공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10-1131969 B1 -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교량의 다경간 연속화 공법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교각 상에서 종방향으로 복수의 거더를 안전하게 연속화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해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시 거더 연속화를 위한 구조를 형성하여 거더에 발생하는 정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고, 형고를 낮추거나 시공자재를 절감할 수 있으며, 연장이 긴 PS 거더 교량을 용이하게 가설할 수 있고, 완전한 연속교로서 거동이 가능한 교량을 시공할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는,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다.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큰 제1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큰 제2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와 상기 제2확장부는 각각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의 일부를 벌빙(bulbing) 처리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에 결합되는 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압판은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관통하도록 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결합되는 강연선 연결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 연결 커플러의 양단에는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결합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재는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과 와이어 클립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철근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근과 상기 제2철근은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은 상기 제1정착구로부터 상기 제1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기 제2정착구로부터 상기 제2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제1거더가 설치되는 단계,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제2거더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매립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상면에 바닥판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바닥판 및 콘크리트의 타설시 제1거더와 제2거더가 연속 구조계 상태로 하중을 분담하므로 중앙부의 정모멘트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더의 형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강연선의 수량 등 소요 자재량의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별도 접합을 위한 철근이 아닌 강연선의 끝단인 돌출 영역을 통해 제1거더와 제2거더를 접합함으로써, 접합을 위한 철근 수량을 줄이거나 완전히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또는 제2확장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 내 강연선 배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PS 거더 내 강연선 배치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압판과 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통한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통한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통한 제1돌출 영역 또는 제2돌출 영역과 철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B,C 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 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 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칭은 '다경간 PS 거더'로 이름하였지만, 이하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PS 거더'로 지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측면을 도시한 평면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또는 제2확장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 내 강연선 배치 구조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PS 거더 내 강연선 배치 구조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PS 거더(10)는, 2경간 이상의 연속교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로, PS 거더(10)는 2경간일 수 있으며,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각각 콘크리트 재질을 포함하는 I형 거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각각 상부 플랜지, 하부 플랜지 및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를 연결하는 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PS 거더(10)는 서포트(20, 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포트(20, 30)는 제1거더(100)의 일단과, 제2거더(200)의 일단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의 제1서포트(20)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가 상호 연결되는 연결 영역을 지지하는 제2서포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S 거더(10)는 강연선을 포함할 수 있다. 강연선은 긴장재로 이름할 수 있다. 강연선은 고강도의 강선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될 수 있다. 강연선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 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강연선은 부착 강연선, 비부착 강연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강연선을 통해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각각 강연선을 잡아당기는 긴장력에 의해 압축력이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제1거더(100)에 배치되는 강연선을 기준으로, 강연선은 제1강연선(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강연선(130)은 양단이 각각 제1거더(100)의 복부 또는 상부 플랜지와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제1거더(100)의 하부 플랜지 또는 복부에 배치되도록 포물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거더(100)에는 제1강연선(130) 외 추가 강연선(190)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강연선(190)은 제1강연선(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강연선(190)은 양단이 각각 하부 플랜지 또는 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추가 강연선(19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강연선(130)과 추가 강연선(190)은 제1거더(10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1강연선(130)은 제1상부 강연선(130)으로, 추가 강연선(190)은 제1하부 강연선(190)으로 이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제1강연선(130) 또는 제2강연선(230)은 다발로 구성되어, 쉬스관 등의 내부에 그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거더(200)에 배치되는 강연선을 기준으로, 강연선은 제2강연선(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강연선(230)은 양단이 각각 제2거더(200)의 복부 또는 상부 플랜지와 연결되고, 중앙 영역이 제2거더(200)의 하부 플랜지 또는 복부에 배치되도록 포물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거더(200)에는 제2강연선(230) 외 추가 강연선(290)이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강연선(290)은 제2강연선(2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강연선(290)은 양단이 각각 하부 플랜지 또는 복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강연선(230)과 추가 강연선(290)은 제1거더(20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제2강연선(230)은 제2상부 강연선(130)으로, 추가 강연선(290)은 제2하부 강연선(290)으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상호 연결될 수 있다.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 사이에는 연결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PS 거더(10) 내 연결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콘크리트의 타설 전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은 제1영역(40)과 제2영역(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영역(50)은 제1영역(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0)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영역(40)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를 제1길이(L2)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영역(50)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영역(50)은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를 제1길이(L2) 보다 큰 제2길이(2*L1+L2)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거더(200)와 마주하는 제1거더(100)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1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홈의 내면은 제1내면(110)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제1거더(100)와 마주하는 제2거더(200)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홈의 내면은 제2내면(210)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제1내면(110)은 상방으로 갈수록 제2거더(200)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제2내면(210)은 상방으로 갈수록 제1거더(100)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일 수 있다.
상기 제1거더(100) 및 제2거더(2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제2영역(50)의 길이를 제1영역(40)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여, 후술할 제1강연선(130)과 제2강연선(230)의 연결 작업을 위한 공간이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거더(200)의 단부면까지의 최단 거리(L2)는 250mm 내지 350mm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거더(200)의 단부면까지의 최단 거리(L2)는 300mm일 수 있다.
그리고, 제1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1내면(110) 까지의 최단거리(L1) 또는 제2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내면(210)까지의 최단거리(L1)는 350mm 내지 450mm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1내면(110) 까지의 최단거리(L1) 또는 제2거더(100)의 단부면으로부터 제2내면(210)까지의 최단거리(L1)는 400mm일 수 있다.
상기 제1강연선(130)은 적어도 일부가 제1거더(100)의 단부면, 즉 제1내면(1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강연선(130) 중 제1내면(110)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제1돌출 영역(150)으로 이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강연선(230)은 적어도 일부가 제2거더(200)의 단부면, 즉 제2내면(21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강연선(230) 중 제2내면(210)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을 제2돌출 영역(250)으로 이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1내면(110)과 인접한 제1거더(100) 내에는 제1강연선(130)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140)가 배치되고, 제2내면(210)과 인접한 제2거더(200) 내에는 제2강연선(230)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24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정착구(140)와 제2정착구(240)는 각각 고정 정착구로서, 제1강연선(130)과 제2강연선(230)을 인장한 후 정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1정착구(140)와 제2정착구(240)는 단부가 제1내면(110) 또는 제2내면(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제1내면(110) 및 제2내면(210)에는 각각 제1정착구(140)와 제2정착구(240)가 내부에 수용되는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 영역(150)은 제1정착구(14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영역(50) 내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 영역(250)은 제2정착구(24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2영역(5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150)은 제1확장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확장부(152)는 제1돌출 영역(150)의 일부를 벌빙(bulbing) 처리한 영역일 수 있다. 제1확장부(152)는 다수의 강선들의 결합이 해제되어 방사상으로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1확장부(152)의 형성 영역은 타 영역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정착구(140)에 배치된 영역을 제1돌출 영역(150)의 일단이라 하고, 일단에 대향하는 제1돌출 영역(150)의 연장된 단부 영역을 타단이라 할 때, 제1확장부(152)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확장부(152)는 일단 보다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 영역(250)은 제2확장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확장부(252)는 제2돌출 영역(250)의 일부를 벌빙(bulbing) 처리한 영역일 수 있다. 제2확장부(252)는 다수의 강선들의 결합이 해제되어 방사상으로 돌출된 영역일 수 있다. 제2확장부(252)의 형성 영역은 타 영역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정착구(240)에 배치된 영역을 제2돌출 영역(250)의 일단이라 하고, 일단에 대향하는 제2돌출 영역(250)의 연장된 단부 영역을 타단이라 할 때, 제2확장부(252)는 일단과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확장부(252)는 일단 보다 타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강연선의 경우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확장부(152)와 상기 제2확장부(252)를 통하여 단면적이 증가됨으로써, 콘크리트와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상하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이 상호 오버랩되는 영역의 길이는,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 각각의 영역 중 상호 오버랩되지 않는 영역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이 상호 오버랩되는 영역의 길이는 제1영역(40)의 길이(L1) 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영역에는 콘크리트(80, 도 8참조)가 타설된다. 따라서,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콘크리트(80) 내 매립된다. 따라서, 제1확장부(152) 및 제2확장부(252)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지고, 구근을 형성함으로써, 앵커 강재로서의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면적이 증가된 제1확장부(152) 및 제2확장부(252)는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영역에 콘크리트(80)가 타설된 이후에는,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의 상면에 바닥판(90, 도 9참조)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바닥판(90) 및 콘크리트(80)의 타설시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가 연속 구조계 상태로 하중을 분담하므로 중앙부의 정모멘트가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거더의 형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강연선의 수량 등 소요 자재량의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별도 접합을 위한 철근이 아닌 강연선의 끝단인 돌출 영역을 통해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를 접합함으로써, 접합을 위한 철근 수량을 줄이거나 완전히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내면(110) 또는 제2내면(210)으로부터 돌출되는 강연선(130, 230)의 수가 각각 1개씩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강연선(130) 및 제2강연선(230)은 각각 복수로 구비되어 제1내면(110) 또는 제2내면(21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제1강연선(130)과 복수의 제2강연선(230)을 제1거더(100) 및 제2거더(200) 내에서 지지하기 위한 정착구(140) 또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강연선(130)과 제2강연선(230)은 각각 PS 거더 콘크리트 구조체내에서 포물선 형태로 내설되는 긴장재를 예로 들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상부 플랜지에만 배치되는 상부 강연선을 전술한 방법에 의해 상호 연결하는 구조 또한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강연선(130)과 제2강연선(230)은 각각 짝수 개씩 구비되어,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 내에서 길이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강연선(130)은 4개가 구비되어 폭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2개가 배치되고, 내측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2개의 제1강연선(130)의 경우 연결 영역에 대향하는 제1거더(100)의 단부면에 단부가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1강연선(130)의 경우 제1거더(100)의 단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1거더(100)의 내측에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제2강연선(230) 또한 4개가 구비되어 폭 방향을 기준으로 가장자리에 2개가 배치되고, 내측에 2개가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2개의 제2강연선(230)의 경우 연결 영역에 대향하는 제2거더(200)의 단부면에 단부가 배치될 수 있고, 내측에 배치되는 2개의 제2강연선(230)의 경우 제2거더(200)의 단부면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거더(200)의 내측에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제1강연선(130)과 4개의 제2강연선(230)은 연결 영역에서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어, 콘크리트(80) 내 매립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 영역에는 제1내면(110) 및 제2내면(210)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이 상호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는 동시 시공되는 것이 아닌 어느 하나가 먼저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의 중첩을 위해,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에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률 파이프(700)가 결합될 수 있다.
곡률 파이프(700)는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거더(100) 또는 제2거더(200) 중 먼저 설치된 거더의 돌출 영역과, 후에 설치된 거더의 돌출 영역이 시공 과정에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의 설치가 완료되면 곡률 파이프(700)를 제거함으로써, 연결 영역에서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이 상호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에서와 같이, 제1영역(40)과 제2영역(50)에 콘크리트(80)가 타설되고, 도 9에서와 같이, 연결 영역을 포함한 제1거더(100)의 상면과 제2거더(200)의 상면에 바닥판(90)이 결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크리트(80) 및 바닥판(90)의 시공 과정에서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의 연속화 구조에 의해 파생되는 정모멘트 감소 효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지압판과 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에 지압판이 결합되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에는 확장부가 아닌 지압판(300)이 결합될 수 있다. 지압판(3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지압판(300)은 강재 지압판일 수 있다.
지압판(300)은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의 일면에 배치되는 앵커헤더(Anchor head, 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플레이트(310)와 앵커헤더(320)에는 각각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홀을 통해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지압판(300)에 결합되는 구조이며, 앵커헤더(320)의 내측에 형성되는 홀과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의 사이에는 정착쐐기(wedge, 330)이 결합되어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실시예의 확장부가 아닌 지압판(300)을 통해 콘크리트(80)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하여, 제1거더(100)와 제2거더(20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강연선 연결 커플러를 통한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제1실시예와 달리 상호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강연선 연결 커플러(40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강연선 연결 커플러(400)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돌출 영역(150)은 강연선 연결 커플러(400)의 일면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고, 제2돌출 영역(250)은 강연선 연결 커플러(400)의 타면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어, 강연선 연결 커플러(400)를 통해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인장재를 통한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인장재(500)와 와이어 클립(522)을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달리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이 상호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인장재(500)는 적어도 일부가 제1돌출 영역(150) 및 제2돌출 영역(250)과 각각 중첩되게 배치되어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인장재(500)는 강연선, 철근, 강봉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인장재(500)는 클립(520)을 통해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과 결합될 수 있다. 클립(520)은 인장재(500)와 제1돌출 영역(150), 인장재(500)와 제2돌출 영역(250)이 관통하는 홀을 포함하는 링(Ring) 형상의 부재(5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홀의 단면적을 가변시키는 조임부(524)를 통해 인장재(500)와 제1돌출 영역(150), 인장재(500)와 제2돌출 영역(250)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클립(520)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PS 거더의 연결 영역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철근 연결 커플러를 통한 제1돌출 영역 또는 제2돌출 영역과 철근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제1돌출 영역과 제2돌출 영역의 결합 구조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고, 나머지 부분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원용하기로 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돌출 영역(15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제1실시예와 달리 상호 중첩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1돌출 영역(150)의 단부와 제2돌출 영역(250)의 단부에는 철근(600)이 결합될 수 있다. 철근(600)은 제1돌출 영역(15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철근(610)과, 제2돌출 영역(250)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철근(6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철근(610)과 제2철근(620)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철근(610)의 단부는 제2돌출 영역(250)과 중첩되게 배치되고, 제2철근(620)의 단부는 제1돌출 영역(610)과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철근(610)과 제2철근(620)은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철근(610)의 단부 영역과, 제2철근(620)의 단부 영역에는 각각 절곡부(615, 625)가 배치될 수 있다. 절곡부(615, 625)에 의해 철근(600)은 각각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철근(610)과 제1돌출 영역(150), 제2철근(620)과 제2돌출 영역(250)은 철근 연결 커플러(630)를 통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철근 연결 커플러(63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관통하는 홀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연결 커플러(630)의 일단에는 철근(600)이 결합되고, 연결 커플러(630)의 타단에는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철근 연결 커플러(630)는 일면으로부터 타면을 관통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철근(600)이 결합되는 철근 연결 커플러(630)의 일단에는 제1커플러(636)가 결합될 수 있다. 제1커플러(636)는 철근 연결 커플러(630) 내 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철근(600)이 나사 결합되기 위한 나사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결합되는 철근 연결 커플러(630)의 타단에는 제2커플러(634)가 결합될 수 있다. 제2커플러(634)는 연결 커플러(630) 내 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내측에 형성되는 홀과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 사이에는 정착쐐기(330)가 결합되어, 제1돌출 영역(150) 또는 제2돌출 영역(2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연결 커플러(630) 내에서 제1커플러(636)와 제2커플러(634) 사이에는 탄성부재(638)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638)를 통해 제1커플러(636)와 제2커플러(634)가 탄력적으로 상호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638)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철근(600)의 단면적은 강연선(130, 230)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바닥판 및 콘크리트의 타설시 제1거더와 제2거더가 연속 구조계 상태로 하중을 분담하므로 중앙부의 정모멘트가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연결 영역에 작용하는 단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거더의 형고를 감소시킬 수 있고, 강연선의 수량 등 소요 자재량의 절감하여 공사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은 별도 접합을 위한 철근이 아닌 강연선의 끝단인 돌출 영역을 통해 제1거더와 제2거더를 접합함으로써, 접합을 위한 철근 수량을 줄이거나 완전히 생략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과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곡선교 거더 연결부에서 선형이 일치하지 않거나, 거더의 접합각도가 발생한 경우, 강연선 연결구조를 시공자가 자유럽게 선택 조정할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인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PS 거더 100: 제 1거더
110: 제1내면 130: 제1강연선
140: 제1정착구 150: 제1돌출 영역
200: 제2거더 210: 제2내면
230: 제2강연선 240: 제2정착구
250: 제2돌출 영역

Claims (9)

  1.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며,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제1홈에 배치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제2홈에 배치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와 상기 제2확장부는 각각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의 일부를 벌빙(bulbing) 처리한 영역인
    다경간 PS 거더.
  2. 삭제
  3. 삭제
  4.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며,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에 결합되는 지압판을 포함하고,
    상기 지압판은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관통하도록 홀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인 다경간 PS 거더.
  5.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며,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결합되는 강연선 연결 커플러를 포함하고,
    상기 강연선 연결 커플러의 양단에는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결합되는 홀을 포함하는 다경간 PS 거더.
  6.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며,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과 중첩되게 배치되는 인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인장재는 상기 제1돌출 영역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과 클립을 통해 결합되는 다경간 PS 거더.
  7. 제1거더;
    상기 제1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강연선;
    상기 제1거더에 배치되며, 상기 제1강연선을 지지하는 제1정착구;
    제2거더;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강연선;
    상기 제2거더 내 배치되며, 상기 제2강연선을 지지하는 제2정착구;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2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고,
    상기 제2홈의 내면은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제1거더까지의 거리가 멀어지는 형상의 경사면이며,
    상기 제1강연선은 상기 제1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강연선은 상기 제2홈의 내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돌출 영역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철근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2철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철근과 상기 제2철근은 각각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지는 다경간 PS 거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 영역은 상기 제1정착구로부터 상기 제1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기 제2정착구로부터 상기 제2거더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다경간 PS 거더.
  9. 제1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제1거더가 설치되는 단계;
    제2돌출 영역을 포함하는 제2거더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콘크리트에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이 매립되는 단계; 및
    상기 제1거더와 상기 제2거더의 상면에 바닥판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1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제1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거더와 마주하는 상기 제2거더의 단부면에는 타 영역보다 함몰되는 형상의 제2홈이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은 상호 중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제2홈에 배치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크게 구성되고 상기 제1홈에 배치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와 상기 제2확장부는 각각 상기 제1돌출 영역과 상기 제2돌출 영역의 일부를 벌빙(bulbing) 처리한 영역인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KR1020220020035A 2022-02-16 2022-02-16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KR102634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35A KR102634490B1 (ko) 2022-02-16 2022-02-16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035A KR102634490B1 (ko) 2022-02-16 2022-02-16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01A KR20230123201A (ko) 2023-08-23
KR102634490B1 true KR102634490B1 (ko) 2024-02-07

Family

ID=87849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035A KR102634490B1 (ko) 2022-02-16 2022-02-16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4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26Y1 (ko) * 2002-02-19 2002-06-21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다경간 연속 피.에스.씨.- 아이빔 합성형교
KR101230769B1 (ko) * 2012-10-12 2013-02-12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2분절 아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9190035A (ja) * 2018-04-19 2019-10-31 鹿島建設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と接合部コンクリートとの接合方法及びその方法で使用される引張力伝達部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969B1 (ko) 2008-03-20 2012-03-29 함영남 피에스씨(psc) i형 거더를 이용한 합성형 교량의다경간 연속화 공법
KR101244403B1 (ko) * 2010-10-14 2013-03-18 브릿지테크놀러지(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과 그 빔의 연결 구조 및 연속화 공법.
KR102206157B1 (ko) * 2018-12-05 2021-01-22 (주)삼현피에프 교량용 프리스트레스트 거더 및 그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8126Y1 (ko) * 2002-02-19 2002-06-21 동양종합건업 주식회사 다경간 연속 피.에스.씨.- 아이빔 합성형교
KR101230769B1 (ko) * 2012-10-12 2013-02-12 주식회사 인터컨스텍 2분절 아치 구조체 및 그 시공 방법
JP2019190035A (ja) * 2018-04-19 2019-10-31 鹿島建設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と接合部コンクリートとの接合方法及びその方法で使用される引張力伝達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201A (ko)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005B1 (ko) 가설케이블을 이용한 무장력 사재케이블 상태의 사장교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가설케이블
KR100754789B1 (ko) 단위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거더와 이를 이용한 연속보시공방법
CN110359363B (zh) 一种部分黏结预应力装配式自复位桥梁墩柱节点及方法
KR100693872B1 (ko) 모서리부에 단차부가 형성된 합성바닥판 및 교량용 거더의시공방법 및 그 연결구조
KR101671124B1 (ko)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용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psc 스플라이스드 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1043239B1 (ko) 장경간화가 가능한 교량용 분절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 그 제작 방법
KR20190119715A (ko) 서포트블록과 인장재가 보강된 강합성거더교의 구조, 이의 시공방법
KR101043240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KR101308792B1 (ko) 가변형 단면 박스거더와 이의 제작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KR20040094076A (ko) 직선 및 곡선교용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제작방법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634490B1 (ko) 다경간 ps 거더 및 다경간 ps 거더의 시공 방법
JP2009041271A (ja) 橋梁の施工方法
KR102140167B1 (ko) 프리텐션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 방법
KR102487850B1 (ko) 일체형 지지대를 포함하는 캔틸레버 프리캐스트 반단면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캔틸레버 구조체 시공 방법
KR101725734B1 (ko) 강거더와 일체화된 힘전달장치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거더 및 이의 제작방법
JP2003138523A (ja) 張弦桁橋の構築方法
CN113756213A (zh) 用于桥梁箱梁加固的预制锚固块结构及其施工方法
KR20130140336A (ko)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2072655B1 (ko)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제작방법 및 이에 따른 콘크리트 일부 충진 강관
KR200278091Y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장치
JP4493245B2 (ja) 吊床版橋及び吊床版の補強方法
KR101197318B1 (ko) 휨 연결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 콘크리트 빔의 연결부 보강방법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442969B1 (ko) 사장 외부케이블을 이용한 손상된 교량에서의 보수보강방법 및 그 장치
KR100466017B1 (ko) 교량의 강상자형 주형보 보강공법 및 그 구조
KR200274881Y1 (ko) 피에스 강선으로 보강된 스틸 박스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