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272B1 -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272B1
KR102634272B1 KR1020187022152A KR20187022152A KR102634272B1 KR 102634272 B1 KR102634272 B1 KR 102634272B1 KR 1020187022152 A KR1020187022152 A KR 1020187022152A KR 20187022152 A KR20187022152 A KR 20187022152A KR 102634272 B1 KR102634272 B1 KR 102634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carrier
information
signal
additionally
subcarrier interv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9907A (ko
Inventor
다까시 하야시
와따루 오우찌
다쯔시 아이바
쇼이찌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6Acquisition of further OFDM parameters, e.g. bandwidth, subcarrier spacing, or guard interv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00Frequency-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1Equal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spacing)을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단말 장치 및/또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단말 장치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하고, 신호가 S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신호가 D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Description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효율적인 통신을 실현하는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표준화 프로젝트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OFDM(Orthogonal Frequency-Division Multiplexing) 통신 방식이나 리소스 블록이라고 불리는 소정의 주파수·시간 단위의 유연한 스케줄링의 채용에 의해, 고속의 통신을 실현시킨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이후 E-UTRA라고 칭한다)의 표준화가 행하여졌다.
또한, 3GPP에서는, 보다 고속의 데이터 전송을 실현하고, E-UTRA에 대하여 상위 호환성을 갖는 Advanced E-UTRA의 검토를 행하고 있다. E-UTRA에서는, 기지국 장치가 거의 동일한 셀 구성(셀 사이즈)으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를 전제로 한 통신 시스템이었지만, Advanced E-UTRA에서는, 다른 구성의 기지국 장치(셀)가 동일한 에어리어에 혼재하고 있는 네트워크(이종 무선 네트워크,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를 전제로 한 통신 시스템의 검토가 행하여지고 있다. 또한, E-UTRA는 LTE(Long Term Evolution)라고도 호칭되고, Advanced E-UTRA는 LTE-Advanced라고도 호칭된다. 또한, LTE는, LTE-Advanced를 포함한 총칭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3GPP에 있어서, 제5 세대의 통신에 대하여 제안이 행하여졌다(비특허문헌 1). 또한, 제5 세대 무선 통신 기술/제5 세대 무선 액세스 기술을 NX 또는 NGRAT(Next Generation Radio Access Technology)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RWS-150009, Ericsson, 3GPP RAN Workshop on 5G, 17th-18th Sep2015.
본 발명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spacing)을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단말 장치 및/또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는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러는, SRB, 및 DR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SRB는, RRC 메시지, 및 NAS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신호가 상기 S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상기 신호가 상기 D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러는, SRB, 및 DR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SRB는, RRC 메시지, 및 NAS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신호가 상기 S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상기 신호가 상기 D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러는, SRB, 및 DR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SRB는, RRC 메시지, 및 NAS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신호가 상기 S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상기 신호가 상기 D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고,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설정하고,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포함하고 있고, 베어러는, SRB, 및 DR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SRB는, RRC 메시지, 및 NAS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되고, 상기 신호가 상기 S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상기 신호가 상기 DRB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상기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서포트하는 통신 장치(단말 장치 및/또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효율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빙 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슬롯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소스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리소스 블록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무선 리소스 사용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CP 부가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줄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스케줄링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동기 신호 송신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관리하는 테이블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1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기지국, 노드 B, eNB(eNodeB))와 단말 장치(단말기, 이동국, 유저 장치, UE(User equipment))가 셀에서 통신하는 통신 시스템(셀룰러 시스템)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X/Y"는, "X 및/또는 Y"의 의미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하향 링크에 관한 설명은, 노멀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및 LAA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관한 설명은, 노멀 셀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LAA 셀에 있어서의 풀 서브프레임 및 LAA 셀에 있어서의 부분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EUTRA 및 Advanced EUTRA에서 사용되는 주된 물리 채널, 및 물리 시그널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채널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매체를 의미하고, 물리 채널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물리적인 매체를 의미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물리 채널은, 신호와 동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물리 채널은, EUTRA, 및 Advanced EUTRA에 있어서, 이후 추가, 또는, 그 구조나 포맷 형식이 변경 또는 추가 될 가능성이 있지만, 변경 또는 추가된 경우에도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무선 통신 시스템은, 단말 장치(1A 내지 1C), 및 기지국 장치(3)를 구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단말 장치(1A 내지 1C)를 간단히 단말 장치라고 칭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기지국 장치(3)를 간단히 기지국 장치라고 칭한다.
본 실시 형태는, RRC_CONNECTED 상태, 또는, RRC_CONNECTED 모드인 단말 장치에만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는, RRC_IDLE 상태, 또는, RRC_IDLE 상태인 단말 장치에만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는, RRC_CONNECTED 상태, 또는, RRC_CONNECTED 모드인 단말 장치와 RRC_IDLE 상태, 또는, RRC_IDLE 상태인 단말 장치의 양쪽에 적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단말 장치에는, 하나의 서빙 셀이 설정된다. 그 하나의 서빙 셀은, 프라이머리 셀이어도 된다. 그 하나의 서빙 셀은, 단말 장치가 캠핑하고 있는 셀이어도 된다. 프라이머리 셀은, 초기 커넥션 확립(initial connection establishment) 프로시저가 행하여진 셀, 커넥션 재확립(connection re-establishment) 프로시저를 개시한 셀, 또는, 핸드 오버 프로시저에 있어서 프라이머리 셀이라고 지시된 셀이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에 대응하는 캐리어를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및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를 총칭하고, 컴포넌트 캐리어라고 칭한다. FDD에 있어서,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서로 다른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한다. TDD에 있어서,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는, 동일한 캐리어 주파수에 대응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마다 하나의 독립된 HARQ 엔티티(entity)가 존재한다. HARQ 엔티티는, 복수의 HARQ 프로세스를 병행하여 관리한다. HARQ 프로세스는, 수신한 하향 링크 어사인먼트(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물리층에 지시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빙 셀마다 1개 또는 복수의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마다 적어도 하나의 트랜스포트 블록이 생성된다. 트랜스포트 블록, 및 그 트랜스포트 블록의 HARQ 재송신은, 하나의 서빙 셀에 맵된다. 또한, LTE에 있어서, TTI는 서브프레임이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 블록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되는 MAC층의 데이터이다.
본 실시 형태의 하향 링크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 「MAC PDU(Protocol Data Unit)」, 「MAC층의 데이터」, 「DL-SCH」, 「DL-SCH 데이터」, 및 「하향 링크 데이터」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서빙 셀의 일례이다. 또한, 도 2의 서빙 셀은, 다운링크 서빙 셀, 다운링크 컴포넌트 캐리어,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하나의 서빙 셀은 복수의 영역을 포함해도 된다. 도 2는, 하나의 서빙 셀에 3개의 영역이 포함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영역의 사이에는 가드 주파수가 존재해도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영역은 오버랩해도 된다. 즉, 각 영역의 사이에는 가드 주파수가 존재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하나의 서빙 셀에 포함되는 영역의 수는 제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서빙 셀에 포함되는 영역의 수의 상한은 5개까지 제한되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서빙 셀에 포함되는 영역에는,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영역과, 상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는 영역이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제3 영역은 상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서빙 셀에 포함되는 영역마다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spacing)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제2 영역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제3 영역에는 제3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영역에 있어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후술하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와 기지국 장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복수의 서로 다른 주파수 밴드(주파수대)의 주파수(서빙 셀, 셀, 컴포넌트 캐리어, 또는 주파수 대역)를 집약(애그리게이트, aggregate)하여 하나의 주파수(주파수 대역)와 같이 취급하는 기술을 적용해도 된다. 컴포넌트 캐리어에는, 상향 링크에 대응하는 상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와, 하향 링크에 대응하는 하향 링크 컴포넌트 캐리어가 있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셀 애그리게이션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예를 들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의해 주파수 대역폭이 20MHz인 컴포넌트 캐리어를 5개 집약한 경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가능한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는 이들을 100MHz의 주파수 대역폭으로 간주하여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집약하는 컴포넌트 캐리어는 연속한 주파수여도 되고, 전부 또는 일부가 불연속이 되는 주파수여도 된다. 예를 들어, 사용 가능한 주파수 밴드가 800MHz대, 2GHz대, 3.5GHz대일 경우, 어떤 컴포넌트 캐리어가 800MHz대,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2GHz대, 또 다른 컴포넌트 캐리어가 3.5GHz대로 송신되고 있어도 된다.
또한, 동일 주파수대의 연속 또는 불연속의 복수의 컴포넌트 캐리어를 집약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컴포넌트 캐리어의 주파수 대역폭은 단말 장치의 수신 가능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20MHz)보다도 좁은 주파수 대역폭(예를 들어 5MHz나 10MHz)이어도 되고, 집약하는 주파수 대역폭이 각각 상이해도 된다. 주파수 대역폭은, 후방 호환성을 고려하여 종래의 셀 주파수 대역폭 중 어느 것과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셀 주파수 대역과 다른 주파수 대역폭이어도 상관없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일례이다. 도 3은, 서빙 셀1과 서빙 셀2가 집약된 예이다. 서빙 셀1은 제1 영역 내지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서빙 셀2는 제4 영역 내지 제5 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집약되는 복수 서빙 셀 중, 어느 하나의 서빙 셀은 프라이머리 셀인 것이 바람직하고, 집약되는 복수 서빙 셀 중, 프라이머리 셀이 아닌 서빙 셀은 세컨더리 셀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빙 셀1이 프라이머리 셀이며, 서빙 셀2가 세컨더리 셀이어도 된다. 또한, 프라이머리 셀 중 하나의 영역을 프라이머리 영역으로 해도 된다. 또한, 프라이머리 영역은 세컨더리 셀에도 존재해도 된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 셀인 서빙 셀1 중 제1 영역이 프라이머리 영역이며, 세컨더리 셀인 서빙 셀2 중 제4 영역이 프라이머리 세컨더리 영역이어도 된다.
도 4와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슬롯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심볼에 대하여 CP(normal Cyclic Prefix)가 적용되어도 된다. 슬롯 각각에 있어서 송신되는 물리 신호 또는 물리 채널은, 리소스 그리드에 의해 표현된다. 도 4, 도 5에 있어서, 횡축은 시간축이며, 종축은 주파수축이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상향 링크에 있어서, 리소스 그리드는 복수의 서브캐리어와 복수의 심볼에 의해 정의된다. 또한,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심볼은 OFDM 심볼, 필터드 OFDM 심볼, 또는, DFT-S-OFDM 심볼이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심볼은 OFDM 심볼, 필터드 OFDM 심볼, SC-FDMA 심볼, 또는, DFT-S-OFDM 심볼이어도 된다. 하나의 슬롯을 구성하는 서브캐리어의 수는, 셀의 대역폭에 의존한다. 리소스 그리드 내의 엘리먼트 각각을 리소스 엘리먼트라고 칭한다. 리소스 엘리먼트는, 서브캐리어의 번호와 심볼의 번호를 사용하여 식별한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좁게 하면 심볼 길이는 길어지고, 서브캐리어 간격을 넓게 하면 심볼 길이는 짧아지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좁게 하는 것과 동일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을 넓게 하는 것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넓게 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도 4와 도 5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4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대역폭(서브캐리어 간격)은 가변이지만, 시간 영역에 있어서는 가변이 아니다. 환언하면, 도 4는 있는 심볼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혼재한다. 도 5는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대역폭(서브캐리어 간격)은 가변이 아니지만, 시간 영역에 있어서는 가변이다. 환언하면, 도 5는 어떤 심볼에 있어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혼재하지 않는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도 4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준정적으로(semi-static으로) 가변이어도 되고, 동적으로(dynamic으로) 가변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도 4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준정적으로(semi-static으로) 가변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도 4의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동적으로(dynamic으로) 가변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도 5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준정적으로(semi-static으로) 가변이어도 되고, 동적으로(dynamic으로) 가변이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도 5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준정적으로(semi-static으로) 가변이어도 된다. 환언하면, 도 5의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서브캐리어 간격은 동적으로(dynamic으로) 가변이 아니어도 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의 일례이다. 소정의 서브캐리어수와 소정의 심볼수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해도 된다. 도 6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의 4개의 서브캐리어와 시간 영역에 있어서의 4개의 심볼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 가능한 경우,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리소스 블록을 정의(특정)하는 주파수 대역폭과 시간의 길이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어떤 리소스 블록이 대역폭 Y/2kHz와 시간 2·Bms로 정의(특정)되고, 어떤 리소스 블록이 대역폭 YkHz와 시간 Bms로 정의(특정)되고, 어떤 리소스 블록이 대역폭 2·YkHz와 시간 B/2ms로 정의(특정)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나의 리소스 블록 내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심볼 길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서브캐리어수 및 소정의 심볼수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하는 일례를 설명했지만, 리소스 블록은, 소정의 서브캐리어수 또는 소정의 심볼수만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즉,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만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소정의 서브캐리어수, 및/또는, 소정의 심볼수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해도 된다.
도 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소스 블록의 일례이다.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과 소정의 시간(심볼 시간)으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해도 된다. 도 7은, 대역폭 YkHz와 시간 Bms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한 경우의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 가능한 경우, 하나의 리소스 블록을 정의(특정)하는 서브캐리어수와 심볼수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어떤 리소스 블록이 8개의 서브캐리어와 2개의 심볼로 정의(특정)되고, 어떤 리소스 블록이 4개의 서브캐리어와 4개의 심볼로 정의(특정)되고, 어떤 리소스 블록이 2개의 서브캐리어와 8개의 심볼로 정의(특정)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하나의 리소스 블록 내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심볼 길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 및 소정의 시간으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하는 일례를 설명했지만, 리소스 블록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 또는 소정의 시간만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즉, 리소스 블록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만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소정의 주파수 대역폭, 및/또는, 소정의 시간으로 정의(특정)되는 영역을 리소스 블록이라고 정의해도 된다.
또한, 리소스 블록은, 어떤 물리 채널(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DSCH) 또는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예를 들어, PUSCH) 등)의 리소스 엘리먼트에의 매핑을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리소스 블록은, 가상 리소스 블록과 물리 리소스 블록이 정의되어도 된다. 어떤 물리 채널은, 먼저 가상 리소스 블록에 맵되어도 된다. 그 후, 가상 리소스 블록은, 물리 리소스 블록에 맵되어도 된다. 물리 리소스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0부터 번호가 붙여져도 된다. 또한, 리소스 블록은 청크라고 칭해져도 된다.
도 8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을 도시한 일례이다. 또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은 제어 채널이라 칭해져도 되고, 제어 채널은 하향 링크의 제어 채널(예를 들어, PDCCH)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은 적어도 유저 데이터 송신을 위한 영역(채널, 예를 들어, 예를 들어, PDSCH)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은,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이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에 있어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동일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에 있어서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이해도 된다.
도 9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사용 방법의 일례이다.
도 9 중의 (1)에 도시하는 무선 리소스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은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이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선두에 있고, 그것에 이어 참조 신호(RS)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있어서 분산적으로 송신된다. 또한, 제어 신호 및 참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영역은,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에 있어서도 참조 신호(RS)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에 있어서 송신되는 참조 신호(제어 정보를 위한 참조 신호)와,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에 있어서 송신되는 참조 신호(데이터를 위한 참조 신호)는 상이해도 된다.
도 9 중의 (2)에 도시하는 무선 리소스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2)는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영역(참조 버스트)이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선두에 있고, 그것에 이어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제어 버스트), 데이터를 송신하는 영역(데이터 버스트)이 있다. 또한, 제어 신호 및 참조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영역은,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버스트로 송신되는 참조 신호는, 제어 버스트, 및/또는, 데이터 버스트로 송신되는 신호와 관련해도 된다. 즉, 참조 버스트로 송신되는 참조 신호는, 제어 버스트, 및/또는, 데이터 버스트로 송신되는 신호의 복조에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제어 정보 버스트를 위한 참조 신호와, 데이터 버스트를 위한 참조 신호는 상이해도 된다. 또한, 각 버스트(참조 버스트, 제어 버스트, 데이터 버스트)에 있어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버스트의 선두(선두의 심볼, 또는, 선두의 복수의 심볼)에서 그 각 버스트에 있어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통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버스트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다음 버스트에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통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어 버스트에 있어서, 그 제어 버스트에 의해 송신되는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버스트(데이터 버스트)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버스트의 사이에는 갭이 존재해도 된다.
도 9 중의 (3)에 도시하는 무선 리소스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3)은 하향 링크 송신을 위한 영역(하향 링크 버스트)이 시간 영역에 있어서 선두에 있고, 그것에 이어 상향 링크 송신을 위한 영역(상향 링크 버스트)이 있다. 또한, 하향 링크 버스트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참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 버스트에 있어서는, 제어 신호, 데이터 신호, 참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각 버스트(하향 링크 버스트, 상향 링크 버스트)에 있어서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각 버스트의 선두(선두의 심볼, 또는, 선두의 복수의 심볼)에서 그 각 버스트에 있어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각 버스트의 사이에는 갭이 존재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버스트에 있어서 시간적으로 연속하는 상향 링크 버스트에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통지되어도 된다.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P 부가의 일례이다. 서브캐리어 간격을 좁게 하면 심볼 길이는 길어지고, 서브캐리어 간격을 넓게 하면 심볼 길이는 짧아지는 것은 자명하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좁게 하는 것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좁게 하는 것과 동일하고, 서브캐리어 간격을 넓게 하는 것은 서브캐리어 대역폭을 넓게 하는 것과 동일하다. 즉, 도 10은, 서로 다른 심볼 길이의 심볼에 대하여 서로 다른 길이의 CP가 부가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심볼 길이와 CP의 길이가 대응해도 된다. 즉, 제1 심볼 길이의 심볼에는 제1 CP가 부가되고, 제2 심볼 길이의 심볼에는 제2 CP가 부가되고, …, 제x 심볼 길이에는 제x CP가 부가된다. 또한, 어느 CP(어느 길이의 CP)를 부가할지는, CP가 부가되는 심볼의 심볼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되며, 즉, 어느 CP(어느 길이의 CP)를 부가할지는, CP가 부가되는 심볼의 심볼 길이에 기초하여 암시적으로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어느 CP(어느 길이의 CP)를 부가할지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된다(L1 또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심볼 길이가 상이한 것은,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과 동일하다. 즉, 심볼 길이는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환언할 수 있다.
도 11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의 일례이다. 채널 상태 정보(CSI: Channel State Information)는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측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CSI는,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SI-RS) 또는 셀 고유 참조 신호(CRS: Cell-specific RS)에 기초하여 측정되어도 된다. CSI는, 수신 품질 지표(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프리코딩 행렬 지표(PMI: Precoding Matrix Indicator), 프리코딩 타입 지표(PTI: Precoding Type Indicator), 랭크 지표(RI: Rank Indicator)를 포함하고, 각각, 바람직한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바람직한 프리코딩 행렬, 바람직한 PMI의 타입, 바람직한 랭크를 지정하기(표현하기) 위해서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각 Indicator는, Indication이라고 표기되어도 된다. 또한, CQI 및 PMI에는, 하나의 셀 내의 모든 리소스 블록을 사용한 채널 송신을 상정한 와이드 밴드 CQI 및 PMI와, 하나의 셀 내의 일부가 연속하는 리소스 블록(서브 밴드)을 사용한 채널 송신을 상정한 서브 밴드 CQI 및 PMI로 분류되어도 된다. 또한, PMI는, 하나의 PMI에서 하나의 바람직한 프리코딩 행렬을 표현하는 통상의 타입 PMI 이외에, 제1 PMI와 제2 PMI의 2종류의 PMI를 사용하여 하나의 바람직한 프리코딩 행렬을 표현하는 타입의 PMI가 존재해도 된다. 또한, RRM 측정(Radio Resource Management measurement)이란, RSRP의 측정(RSRP measurement), RSRQ의 측정(RSRQ measurement), RSSI 측정(RSSI measurement)에 관련하는 측정이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은 CRS, CSI-RS, 등의 참조 신호에 기초하여 행하여져도 된다.
도 11과 같이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도, 단말 장치는 하향 링크 대역폭을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의 채널 송신을 상정하여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대역폭을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상정하여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을 행하는」이란, 하향 링크 대역폭 전체에 있어서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을 행하는 것이다. 여기서,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사전에 정의되어도 되고, 기지국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되고(L1 또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송신)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암시적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도 1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의 일례이다.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서로 다른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고 있는 경우, 단말 장치는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서브캐리어 대역폭)과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하향 링크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여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을 행해도 된다. 또한,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주파수 위치는, 사전에 정의되어도 되고, 기지국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되고(L1 또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송신)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암시적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또한,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에 사용되지 않는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주파수 위치는, 사전에 정의되어도 되고, 기지국 장치로부터 명시적으로 통지되어도 되고(L1 또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송신)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암시적으로 판정되어도 된다). 또한, CSI 측정 및/또는 RRM 측정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후술하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에 관한 측정 오브젝트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후술하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에 관한 측정 오브젝트에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련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에 관한 측정 오브젝트에는 CP(CP 길이)에 관련하는 정보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에 관한 측정 오브젝트에는 주파수 위치에 관련하는 정보(밴드를 나타내는 정보,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 반송파 주파수를 나타내는 정보, 등)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RRM 측정에 관한 측정 오브젝트에는 셀의 식별에 관련하는 정보(셀 ID, 측정 대상 셀의 ID, 등)가 포함되어도 된다.
도 13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케줄링(셀프 스케줄링)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셀프 스케줄링」이란,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이 제x 영역 내(x는 임의의 수)에 존재하고,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이 제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도 2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이 동일한 제x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3 중의 (1)에 도시하는 스케줄링(셀프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1)은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동일한 예이다. 즉,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3 중의 영역1)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3 중의 영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동일하다. 또한, (1)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이 금지되어도 된다.
도 13 중의 (2)에 도시하는 스케줄링(셀프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2)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예이다. 즉,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3 중의 영역3)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3 중의 영역4)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하다.
도 14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스케줄링(크로스 스케줄링)의 일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크로스 스케줄링」이란, 예를 들어, 도 2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이 제x 영역 내(x는 임의의 수)에 존재하고,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이 제x 영역 내(y는 x와 상이한 임의의 수)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즉, 도 2에 있어서,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이 상이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도 14 중의 (1)에 도시하는 스케줄링(크로스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1)은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예이다. 즉,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4 중의 영역1)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4 중의 영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해도 된다.
도 14 중의 (2)에 도시하는 스케줄링(크로스 스케줄링)에 대하여 설명한다. (2)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제어 정보 이외가 송신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동일한 예이다. 즉,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4 중의 영역3)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예를 들어, 도 14 중의 영역4)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동일하다. 또한, (2)에 있어서는, 제어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과 그 제어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영역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이 금지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4 중의 영역3으로부터, 도 14 중의 영역5를 제어하는 것이 금지되어도 된다.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동기 신호 송신 방법의 일례이다.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는 단말 장치가 하향 링크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의 동기를 취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T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0, 1, 5, 6에 배치되어도 된다. FDD 방식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무선 프레임 내의 서브프레임0과 5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는, 프라이머리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와 세컨더리 동기 신호(Secondly synchronization signal: PSS)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에서 송신되는 경우에도, 그 동기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항상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의 송신에 대하여 적용되는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후술하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 방법의 일례이다.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은, MBSFN(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Single Frequency Network)에 관련하는 송신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멀티캐스트 데이터 송신은, MBSFN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것이어도 된다. 단말 장치는 복수의 MBSFN 그룹으로 나뉘어도 된다. 또한, MBSFN 그룹은, 단말 장치가 흥미가 있는 서비스에 기초하여 나뉘어도 된다. 또한, MBSFN 그룹은, 단말 장치가 흥미가 있는 서비스의 요구 조건에 기초하여 나뉘어도 된다. 또한, MBSFN 그룹마다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MBSFN 그룹1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MBSFN 그룹2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 MBSFN 그룹x에는 제x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복수의 MBSFN 그룹은 주파수 다중되어도 되고, 시간 다중되어도 되고, 부호 다중되어도 된다. 또한, MBSFN 그룹을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후술하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는, MBSFN 그룹을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MBSFN 그룹, MBSFN 그룹에 대응하는 셀을 선택해도 된다.
도 22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기지국 장치는, 상위층(상위층 제어 정보 통지부, 상위층 처리부)(2201), 제어부(기지국 제어부)(2202), 코드워드 생성부(2203),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 OFDM 신호 송신부(하향 링크 송신부)(2206), 송신 안테나(기지국 송신 안테나)(2207), 수신 안테나(기지국 수신 안테나)(2208), SC-FDMA 신호 수신부(CSI 수신부)(2209),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210)를 갖는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205)를 갖는다. 또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210)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추출부(CSI 취득부)(2211)를 갖는다. 또한, 송신 안테나(2207)는 기지국 송신 안테나(2207)라고 칭해져도 되고, 수신 안테나(2208)는 기지국 수신 안테나(2208)라고 칭해져도 된다.
도 2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단말 장치의 블록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단말 장치는, 수신 안테나(단말기 수신 안테나)(2301), OFDM 신호 수신부(하향 링크 수신부)(2302),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데이터 추출부)(2305), 제어부(단말기 제어부)(2306), 상위층(상위층 제어 정보 취득부, 상위층 처리부)(2307), 채널 상태 측정부(CSI 생성부)(2308),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309), SC-FDMA 신호 송신부(UCI 송신부)(2311 및 2312), 송신 안테나(단말기 송신 안테나)(2313 및 2314)를 갖는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2304)를 갖는다. 또한,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309)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UCI 생성부)(2310)를 갖는다. 또한, 송신 안테나(2313)는 단말기 송신 안테나(2313)라고 칭해져도 되고, 또한, 송신 안테나(2314)는 단말기 송신 안테나(2314)라고 칭해져도 되고, 수신 안테나(2301)는 단말기 수신 안테나(2301)라고 칭해져도 된다.
먼저, 도 22 및 도 23을 사용하여,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수신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제어부(2202)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을 나타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RB를 나타내는 하향 링크 리소스 할당, HARQ의 제어에 사용하는 정보(리던던시 버전, HARQ 프로세스 번호, 신데이터 지표)를 보유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코드워드 생성부(2203)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를 제어한다. 상위층(2201)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하향 링크 데이터(하향 링크 트랜스포트 블록이라고도 칭한다)는 코드워드 생성부(2203)에 있어서, 제어부(2202)의 제어 하에서, 오류 정정 부호화나 레이트 매칭 처리 등의 처리가 실시되어, 코드워드가 생성된다. 하나의 셀에 있어서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최대 2개의 코드워드가 동시에 송신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에서는, 제어부(2202)의 지시에 의해,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생성된다. 먼저, 코드워드 생성부(2203)에 있어서 생성된 코드워드는, PSK(Phase Shift Keying) 변조나 QAM(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변조 등의 변조 처리에 의해, 변조 심볼 계열로 변환된다. 또한, 변조 심볼 계열은, 일부의 RB 내의 RE에 매핑되어, 프리코딩 처리에 의해 안테나 포트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생성된다. 이때, 상위층(2201)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송신 데이터 계열은, 상위층에 있어서의 제어 정보(예를 들어 전용(개별)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인 상위층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2205)에서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생성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는 제어부(2202)의 지시에 의해,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RE에 매핑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로 생성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OFDM 신호 송신부(2206)에 있어서 OFDM 신호로 변조되어, 송신 안테나(2207)를 통하여 송신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OFDM 신호 송신부(2206)와 송신 안테나(2207)를 하나씩 갖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복수의 안테나 포트를 사용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는, OFDM 신호 송신부(2206)와 송신 안테나(2207)를 복수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는 PDCCH나 EPDCCH 등의 물리층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생성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RE에 매핑하는 능력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기지국 장치(기지국 장치-1 및 기지국 장치-2)는 각각 개별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한다. 또한, 수신 안테나(2208)는 SC-FDMA 신호 및 CSI를 수신하고, SC-FDMA 신호 수신부(2209)에 수신한 신호를 전달한다. 또한, SC-FDMA 신호 수신부(2209)는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210)에 데이터를 전달한다. 그리고,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210)는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추출부(2211)에 있어서 상향 링크 제어 정보를 추출한다.
단말기 장치에서는, 수신 안테나(2301)를 통하여, OFDM 신호 수신부(2302)에 있어서 OFDM 신호가 수신되어, OFDM 복조 처리가 실시된다.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는 먼저 PDCCH나 EPDCCH 등의 물리층의 하향 링크 제어 채널을 검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는 PDCCH나 EPDCCH가 할당될 수 있는 영역에 있어서 PDCCH나 EPDCCH가 송신된 것으로 하여 디코드하고, 미리 부가되어 있는 CRC(Cyclic Redundancy Check) 비트를 확인한다(블라인드 디코딩). 즉,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는 PDCCH나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CRC 비트가 미리 기지국 장치로부터 할당된 ID(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SPS-C-RNTI(Semi Persistent Scheduling-C-RNTI) 등 하나의 단말기에 대하여 하나 할당되는 단말기 고유 식별자, 또는 Temporaly C-RNTI)와 일치하는 경우,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는 PDCCH 또는 EPDCCH를 검출할 수 있었던 것이라고 인식하고, 검출한 PDCCH 또는 EPDCCH에 포함되는 제어 정보를 사용하여 PDSCH를 취출한다. 제어부(2202)는 제어 정보에 기초하는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 및 부호화율 등을 나타내는 MCS, 하향 링크 데이터 송신에 사용하는 RB를 나타내는 하향 링크 리소스 할당, HARQ의 제어에 사용하는 정보를 유지하고, 이들에 기초하여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나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2305) 등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2202)는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204)에 있어서의 RE매핑 처리나 변조 처리에 대응하는 RE 디맵핑 처리나 복조 처리 등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수신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취출된 PDSCH는,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2305)에 보내진다. 또한,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2303) 내의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2304)는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으로부터 하향 링크 참조 신호를 취출한다.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2305)에서는, 코드워드 생성부(2203)에 있어서의 레이트 매칭 처리, 오류 정정 부호화에 대응하는 레이트 매칭 처리, 오류 정정 복호화 등이 실시되어, 트랜스포트 블록이 추출되어, 상위층(2201)에 보내진다. 트랜스포트 블록에는, 상위층 제어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위층(2201)은 상위층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부(2202)에 필요한 물리층 파라미터를 알린다.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기지국 장치-1 및 기지국 장치-2)는 각각 개별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을 송신하고 있고, 단말 장치에서는 이들을 수신하기 위해서, 상술한 처리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행하게 해도 된다. 이때, 단말 장치는 복수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되고 있다고 인식해도 되고, 인식하지 않아도 된다. 인식하지 않는 경우, 단말 장치는, 간단히 복수의 셀에 있어서 복수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송신되고 있다고 인식하기만 해도 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2305)에서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는 제어부(2202)에 보내진다.
이어서, 상향 링크 신호의 송수신 흐름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말 장치에서는 제어부(2306)의 지시 하에서,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2304)에서 추출된 하향 링크 참조 신호가 채널 상태 측정부(2308)에 보내지고, 채널 상태 측정부(2308)에서 채널 상태 및/또는 간섭이 측정되고, 또한 측정된 채널 상태 및/또는 간섭에 기초하여, CSI가 산출된다. 또한, 제어부(2306)는 트랜스포트 블록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2310)에 HARQ-ACK(DTX(미송신), ACK(검출 성공) 또는 NACK(검출 실패))의 생성 및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의 매핑을 지시한다. 단말 장치는, 이들 처리를 복수의 셀마다의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하여 각각 행한다.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2310)에서는, 산출된 CSI 및/또는 HARQ-ACK를 포함하는 PUCCH가 생성된다.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2309)에서는, 상위층(2307)으로부터 보내지는 상향 링크 데이터를 포함하는 PUSCH와,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2310)에 있어서 생성되는 PUCCH가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내의 RB에 매핑되어,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이 생성된다.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은, SC-FDMA 신호 송신부(2311)에 있어서, SC-FDMA 변조가 실시되어 SC-FDMA 신호가 생성되어, 송신 안테나(2313)를 통하여 송신된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하의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향 링크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상향 링크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의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하향 링크와 상향 링크의 양쪽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동기에 관련하는 신호
·초기 액세스에 관련하는 신호
·제어에 관련하는 신호
·데이터에 관한 신호
·참조 신호
또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하나의 단말 장치 및/또는 하나의 다른 기지국 장치를 위하여 보내져도 된다. 즉, 어떤 시간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하나의 단말 장치 및/또는 하나의 다른 기지국 장치를 위하여 보내져도 된다. 또한, 「어떤 시간에 있어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슬롯에 있어서, 어떤 심볼에 있어서,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복수의 단말 장치 및/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를 위하여 보내져도 된다. 즉, 어떤 시간에 있어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복수의 단말 장치 및/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를 위하여 보내져도 된다. 또한, 「어떤 시간에 있어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슬롯에 있어서, 어떤 심볼에 있어서,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단말 장치 및/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를 위하여 보내지는」이란,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복수의 단말 장치 및/또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지국 장치에 대하여 시간 다중되는(시분할 다중되는) 것이어도 되고, 주파수 다중되는(주파수 분할 다중되는) 것이어도 되고, 공간 다중되는 것이어도 되고, 코드 다중되는(부호 다중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어떤 시간에 있어서」는, 어떤 무선 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어떤 슬롯에 있어서, 어떤 심볼에 있어서,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와 함께,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한 참조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와 대응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하여 상이해도 된다(독립적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를 위하여 제1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제2 신호를 위하여 제2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 제x 신호를 위하여 제x 참조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복수의 신호를 위하여 공통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제1 신호를 위하여 제1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제2 신호를 위하여 제1 참조 신호가 송신되고, 제3 신호를 위하여 제3 참조 신호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시간 및/또는 주파수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참조 신호는,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무선 프레임,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슬롯,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심볼,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반송파 주파수,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밴드, 관련하는 신호와 동일한 서브캐리어, 등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관련하는 신호의 전반로 보정을 행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관련하는 신호의 전반로 정보(채널 상태 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관련하는 신호를 복조하기 위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하향 링크 참조 신호(하향 링크로 송신되는 참조 신호)와 상향 링크 참조 신호(상향 링크로 송신되는 참조 신호)로 구별되어도 된다. 또한, 참조 신호는,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어도 되고,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CP(Cyclic Prefix, 가드 인터벌)가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CP가 적용되는」이란, CP가 송신되는 것, CP가 부가되는 것, 관련하는 신호에 대하여 CP가 적용되는 것, 관련하는 신호에 대하여 그 신호를 위한 CP가 적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CP는 길이에 따라 구별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확장 CP(Extended CP, Long CP), 노멀 CP(Normal CP, Regular CP), 쇼트 CP(Short CP) 등과 구별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신호」는, 무선 리소스, 리소스, 채널, 물리 채널, 논리 채널, 캐리어, 주파수, 반송파 주파수, 밴드, 대역폭, 전파, 신호 파형, 무선 프레임,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리소스 블록, 리소스 블록의 세트, 리소스 엘리먼트, 리소스 엘리먼트의 세트, 심볼, 심볼의 세트, OFDM 심볼, DFT-S-OFDM 심볼(SCFDMA 심볼), 서브캐리어, 서브프레임, 셀, 서빙 셀, 트랜스포트 블록,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무선 리소스, 리소스, 채널, 물리 채널, 논리 채널, 캐리어, 주파수, 반송파 주파수, 밴드, 대역폭, 전파, 신호 파형, 무선 프레임,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리소스 블록, 리소스 블록의 세트, 리소스 엘리먼트, 리소스 엘리먼트의 세트, 심볼, 심볼의 세트, OFDM 심볼, DFT-S-OFDM 심볼(SCFDMA 심볼), 서브캐리어, 서브프레임, 셀, 서빙 셀, 트랜스포트 블록,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을 「신호」로 환언하는 것도 당연 가능하다.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각각은,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사전에 정의된 서브캐리어 간격(Predefined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서브캐리어 대역폭」, 「서브캐리어 대역」, 「서브캐리어 주파수」, 「서브캐리어 스페이싱」,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이하의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이하의 요소 (1) 내지 요소 (4) 중 어느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명을 위해 「요소」라고 칭하고 있지만, 「요소」는 「조건」, 「요건」, 「요인」, 「인자」,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결정」은, 「설정」, 「통지」, 「송신」, 「적응」,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1): 사양에 따라 정의(미리 정해진, define, specify)된다
·요소 (2): 명시적으로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 암시적으로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4):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또한, 요소 (2)는 명시적으로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요소 (3)은 암시적으로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요소는, 요소 (1) 내지 요소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소 (1) 내지 요소 (4)와 상이한 요소를 사용해도 되고,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를 사용해도 된다.
요소 (1)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1)에 있어서의 「사양에 따라 정의(미리 정해진, define, specify)된다」란, 「미리 정의된다」, 「사양에 따라 미리 정의된다」, 「사양에 따라 제한되어 있다」, 「사양에 따라 허가되어 있다」,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사양」은, 「사양서」, 「규격」, 「규격서」,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1)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도 17과 같은 테이블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 중,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될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7의 테이블 인덱스(인덱스 번호)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알아도 된다.
요소 (1)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오퍼레이션 모드와 관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션 모드는 도 18과 같은 테이블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어느 오퍼레이션 모드가 적용될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8의 테이블 인덱스(인덱스 번호)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를 알아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오퍼레이션 모드를 아는 것은, 오퍼레이션 모드가 단말 장치에 설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요소 (1)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복수 존재해도 된다. 즉, 요소 (1)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로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도 19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9의 테이블 인덱스(인덱스 번호)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알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오퍼레이션 모드와 관계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1)에 있어서의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오퍼레이팅 밴드와 관계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팅 밴드는 도 20과 같은 테이블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어느 오퍼레이팅 밴드가 적용될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20의 테이블 인덱스(인덱스 번호, 오퍼레이팅 밴드를 관리하는 번호, 오퍼레이팅 밴드의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오퍼레이팅 밴드를 알아도 된다. 환언하면, 도 20의 테이블 인덱스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알아도 된다. 환언하면, 단말 장치는 설정된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암시적으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알아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오퍼레이팅 밴드를 아는 것은, 단말 장치에 오퍼레이팅 밴드가 설정되는 것, 단말 장치가 그 오퍼레이팅 밴드를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것, 등이어도 된다.
또한, 하나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복수 존재해도 된다. 즉, 하나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도 21과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1의 테이블 인덱스(인덱스 번호, 오퍼레이팅 밴드를 관리하는 번호, 오퍼레이팅 밴드의 번호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되는 오퍼레이팅 밴드를 알아도 된다. 환언하면, 도 21의 테이블 인덱스를 기지국 장치로부터 단말 장치에 통지함으로써, 단말 장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알아도 된다. 환언하면, 단말 장치는 설정된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암시적으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알아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와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서 독립적으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4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제1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와 제1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하고, 제1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며, 제1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어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와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서 독립적으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25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제1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와 제1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하고, 제1 상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이며, 제1 하향 링크의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여도 된다. 또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와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포함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은 중복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팅 밴드가 도 20, 도 21, 도 24, 도 25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는 경우, 오퍼레이팅 밴드는 테이블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테이블로 관리되는 각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대응하는 인덱스가 부여된다. 그 인덱스에는, 대응하는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듀플렉스 모드가 관련지어진다. 또한,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 및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에 사용되는 오퍼레이팅 밴드이며,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 및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에 사용되는 오퍼레이팅 밴드이다. 또한,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는, 각각 하한의 주파수와 상한의 주파수(대응하는 주파수대)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듀플렉스 모드는 TDD 또는 FDD로 부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듀플렉스 모드는, TDD와 FDD 이외여도 된다. 예를 들어, 듀플렉스 모드는, 송신 버스트(적어도 다운링크 버스트를 포함하는, 업링크 버스트를 포함하는지 여부는 임의)여도 된다. 또한, 테이블의 듀플렉스 모드는 프레임 구성 타입(Frame structure type)이어도 된다. 또한, 프레임 구성 타입1(Frame structure type 1)은 주파수 분할 복신(Frequency Division Duplex, FDD)에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타입2(Frame structure type 2)는 시분할 복신(Time Division Duplex, TDD)에 적용할 수 있다. 프레임 구성 타입3은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셀의 오퍼레이션 또는 LAA(Licensed Assisted Access) 세컨더리 셀의 오퍼레이션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통지하는 일례를 나타냈지만, 도 20, 도 21, 도 24, 도 25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는 어느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것에 관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그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그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듀플렉스 모드 또는 프레임 구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하고, 그 듀플렉스 모드 또는 프레임 구성 타입을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통지해도 된다.
예를 들어, 오퍼레이팅 밴드가 도 20, 도 21, 도 24, 도 25와 같은 테이블로 관리되는 경우, 인덱스 "1" 내지 인덱스 "44"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팅 밴드는 라이센스드 밴드(LAA가 아닌 밴드)여도 되고, 인덱스 "45"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팅 밴드는 언라이센스드 밴드(LAA의 밴드)여도 된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도 20, 도 21, 도 24, 도 25에는 다른 오퍼레이팅 밴드가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인덱스 "252" 내지 인덱스 "255"에 대응하는 오퍼레이팅 밴드는 언라이센스드 밴드(LAA의 밴드)여도 된다. 또한, 인덱스 "252"에는,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적용되지 않고(n/a, not applicable),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5150MHz-5250Hz가 적용되고, 듀플렉스 모드에 FD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덱스 "253"에는,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예약되고(장래 사용될 것으로서 예약되고),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예약되어, 듀플렉스 모드에 FD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덱스 "254"에는,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예약되고(장래 사용될 것으로서 예약되고),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예약되어, 듀플렉스 모드에 FD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인덱스 "255"에는, 업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적용되지 않고(n/a, not applicable), 다운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5725MHz-5850Hz가 적용되고, 듀플렉스 모드에 FDD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5150MHz-5250Hz와 5725MHz-5850Hz는 언라이센스드 밴드(LAA의 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퍼레이팅 밴드」는, 「밴드」, 「주파수」, 「반송파 주파수」,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정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주파수 영역에 있어서 제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반송파 주파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반송파 주파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인 경우에는, 반송파 주파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는, 반송파 주파수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적응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반송파 주파수마다 독립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적응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반송파 주파수마다 독립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반송파 주파수」는, 무선 리소스, 리소스, 채널, 물리 채널, 논리 채널, 캐리어, 주파수, 밴드, 대역폭, 전파, 신호 파형, 무선 프레임, 프레임, 서브프레임, 슬롯, 리소스 블록, 리소스 블록의 세트, 리소스 엘리먼트, 리소스 엘리먼트의 세트, 심볼, 심볼의 세트, OFDM 심볼, DFT-S-OFDM 심볼(SCFDMA 심볼), 서브캐리어, 서브프레임, 셀, 서빙 셀, 트랜스포트 블록,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정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시간 영역에 있어서 제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는 단위(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 번호, 서브프레임 번호, 슬롯 번호, 심볼 번호)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는 단위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인 경우에는,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는 단위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는, 시간 영역에서 정의되는 단위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있어서 정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에 있어서 제한되어도 된다.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채널의 종류 및/또는 통신의 종류(신호가 운반하는 정보의 종류)에 대하여 정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채널 및/또는 통신의 종류(신호가 운반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제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또는 제1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이 정의되고, 제2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또는 제2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이 정의되고, …, 제x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또는 제x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이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제1 채널 내지 제x 채널에는, 적어도, 하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nhanced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하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랜덤 액세스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통지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Broadcast Channel)
·제어에 관련하는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 응답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Channel)
·멀티캐스트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Multicast Channel)
또한, 하향 링크 데이터는,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라고 칭해져도 되고, 상향 링크 데이터는, 상향 링크 유저 데이터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는, 간단히 데이터 또는 유저 데이터라고 칭해져도 된다.
또한,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인 경우에는, 채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는, 채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전부 또는 일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1)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요소 (2)는 이하의 요소 (2-1) 내지 요소 (2-5)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2)는 이하의 요소 (2-1) 내지 요소 (2-5) 중 어느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1): 상위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2-2):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2-3): 물리층으로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2-4):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2-5):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또한, 요소는, 요소 (2-1) 내지 요소 (2-5)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소 (2-1) 내지 요소 (2-5)와 다른 요소를 사용해도 되고, 요소 (2-1) 내지 요소 (2-5)의 일부를 사용해도 된다.
요소 (2-1)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2-1)에 있어서의 「상위층의 정보」란, 상위층의 정보, 상위층에서 송신되는 정보, 상위층으로부터 시그널링되는 정보, 상위층 시그널링, 상위층,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상위층은 물리층보다도 상위의 층인 것이 바람직하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 또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이어도 된다. 또한, 상위층의 정보는,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이어도 된다. 또한, 「전용의 시그널링(Dedicated signaling)」은, 단말 장치 전용의 시그널링, 전용의 RRC 시그널링(Dedicated RRC signaling)이어도 된다.
요소 (2-1)에 있어서의 「상위층의 정보」는, 무선 리소스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층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을 사용하여 송신해도 되고, 매체 액세스 제어(MAC: Medium Access Control)층에 있어서, MAC CE를 사용하여 송신해도 된다. 여기서,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CE를, 상위층의 신호(higher layer signaling)라고도 칭한다. RRC 시그널링, 및/또는, MAC CE는, 트랜스포트 블록에 포함된다.
트랜스포트 블록, 및 그 트랜스포트 블록의 HARQ 재송신은, 하나의 서빙 셀에 맵된다.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트랜스포트 블록은,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송신되는 MAC층의 데이터여도 된다.
또한, 상향 링크에 있어서, 「트랜스포트 블록」, 「MAC PDU(Protocol Data Unit)」, 「MAC층의 데이터」, 「DL-SCH」, 「DL-SCH 데이터」, 및 「상향 링크 데이터」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예를 들어, 상위층의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의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의 정보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위층의 정보는, 요소 (1)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는, 반송파 주파수마다 독립적으로 송신 및/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2-1)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2)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2-2)에 있어서의 「통지되는 정보」란, 통지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Broadcast Channel)로 송신되는 정보, 통지 정보, 브로드캐스트되는 정보, 브로드캐스트 정보, 시스템 인포메이션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통지되는」이란,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동일한 정보(복수의 단말 장치에 있어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정보)가 송신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통지」에는,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Master Information Block: MIB, Broadcast Channel: BCH)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마스터 인포메이션 블록은 통지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Broadcast Channel) 또는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통지」에는,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MIB, Broadcast Channel: BCH)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시스템 인포메이션 블록은 통지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Broadcast Channel) 또는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통지되는 정보는, 멀티캐스트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예를 들어, Physical Multicast Channel)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통지되는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통지되는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통지되는 정보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지되는 정보는, 요소 (1)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통지되는 정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는, 반송파 주파수마다 독립적으로 송신 및/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2-2)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3)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2-3)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송신되는 정보」란, 물리층의 신호로 송신되는 정보, 물리 채널로 송신되는 정보, L1(Layer 1)로 송신되는 정보, L1 신호,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2-3)에 있어서의 「물리층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하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로 송신되어도 된다.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nhanced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랜덤 액세스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통지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Broadcast Channel)
·제어에 관련하는 정보가 송신되는 영역을 통지하기 위한 정보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수신한 데이터에 대한 ACK(ACKnowledgement) 또는 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나타내는 HARQ 인디케이터(HARQ 피드백, 응답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dicatorChannel)
·멀티캐스트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Multicast Channel)
또한, 「채널」은, 「신호」, 「채널에 관련하는 신호」, 「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신호」,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제1 정보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및/또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제1 정보를 송신이 송신되고, 또한, 상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제2 정보를 송신이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이며, 제2 정보는, 제1 정보에서 나타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제1 정보는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되고, 제2 정보는 물리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채널의 일부 또는 전부에 있어서, 제1 정보가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정보는, 하향 링크의 할당 정보(하향 링크 채널의 할당 정보, PDSCH의 할당 정보) 또는 상향 링크의 할당 정보(상향 링크 채널의 할당 정보, PUSCH의 할당 정보)이며, 제1 정보가 하향 링크의 할당 정보인지 상향 링크의 할당 정보인지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간격이 특정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정보가 하향 링크의 할당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하향 링크의 채널)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제1 정보가 상향 링크의 할당 정보인 경우, 상기 제1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상향 링크의 채널)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채널의 할당 정보가, 하향 링크 채널의 할당인지 여부(상향 링크의 할당인지)에 기초하여, 그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에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는(특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정보는, 요소 (1)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정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정보」는,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로서 송신되는」이란,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예를 들어,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에 정의되는 필드(예를 들어, Subcarrier-space indication field, Subcarrier-spacing indication field)에 세트되어 송신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포맷은, 하향 링크 제어 정보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Enhanced P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 제1 정보가 포함되는 경우, 그 하향 링크 제어 정보에는, 또한,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ysical DownlinkShared Channel)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Downlink assignment field), 및/또는, 상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예를 들어, 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Uplink assignment field)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 및/또는, 상기 상향 링크 유저 데이터의 송신에 관련하는 채널을 할당하기 위한 필드에 의해 할당되는 하향 링크 유저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에는, 상기 제1 정보에서 나타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채널로 송신되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채널과 제2 채널은 동일해도 된다.
또한, 요소 (2-3)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4)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2-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는 정보」란,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요소 (2-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는 정보」란,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요소 (2-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는 정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2-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개별로 송신되는 정보」란, 요소 (1)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요소 (2-4)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2-5)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는 정보」란,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요소 (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는 정보」란,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요소 (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는 정보」란,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여도 된다. 또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실제로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한 정보」,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2-5)에 있어서의 「복수의 단말 장치를 위하여 공통으로 송신되는 정보」란, 요소 (1)에 기초하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어, 상위층에서 송신되는 정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는 정보여도 된다.
또한, 요소 (2-5)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여기서, 요소 (3)은 이하의 요소 (3-1) 내지 요소 (3-6)의 일부 또는 전부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은 이하의 요소 (3-1) 내지 요소 (3-6) 중 어느 조합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1): 블라인드 검출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2): 서비스에 기초하여(서비스에 관련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3): LCID(Logical Channel ID)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4): 베어러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5): 밴드(반송파 주파수)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요소 (3-6): 신호(채널)의 송신 패턴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된다
또한, 요소는, 요소 (3-1) 내지 요소 (3-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소 (3-1) 내지 요소 (3-6)과 다른 요소를 사용해도 되고, 요소 (3-1) 내지 요소 (3-6)의 일부를 사용해도 된다.
요소 (3-1)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3-1)에 있어서의 「블라인드 검출」이란, 제1 신호가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송신될 것인가라고 하는 정보는, 수신기(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지이며, 수신기가 사전 정보 없이(블라인드로) 검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검출」은, 「복호」, 「복조」, 「감지」,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요소 (3-1)에 있어서의 「블라인드 검출」이란, (모니터되는/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각각에 따라서 신호(또는 채널)의 검출을 시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단말 장치에 있어서 미지이며, 단말 장치는 사전 정보 없이(블라인드로), 제1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검출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제1 신호의 수신을 시도하고, 어떤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1 신호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 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신호의 송신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검출(인식)한다.
또한,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가 결정 및/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수신기)는 상기 결정 및/또는 설정된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를 사용하여 제1 신호의 수신을 시도하고, 어떤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1 신호의 수신에 성공한 경우, 그 서브캐리어 간격을 제1 신호의 송신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검출(인식)한다. 또한,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은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신호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은, 「제1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신호의 수신에 성공한 것은,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순회 용장 검사, CRC 부호, CRC 패리티 비트)에 기초하여 판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검출에 성공한 단말 장치는, 다른 주파수 및/또는 시간에 있어서 제1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제1 신호의 수신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검출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제1 신호가 송신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수신을 시도해도 된다.
또한, 「제1 신호」는, 「신호」, 「제x 신호(또한, x는 임의의 수)」, 「어떤 신호」, 「특정한 신호」,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요소 (3-1)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2)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3-2)에 있어서의 「서비스」란, 단말 장치가 흥미를 갖는 서비스여도 되고, 단말 장치가 인증된 서비스여도 된다. 또한, 「서비스」는, 「특정한 서비스」, 「어떤 서비스」, 「제1 서비스」, 「제x 서비스(또한, x는 임의의 수)」,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는, 단말 장치간 통신(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기지국과 단말 장치의 통신(셀룰러 통신), 머신 타입 통신(Machine to Machine communication, M2M),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유니캐스트 송신, 멀티캐스트 송신(MBSFN에 관련하는 통신), MBSFN 그룹, 단말 장치의 이동 속도, 등으로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제1 서비스에 관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서비스에 관련하는 신호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으로 송신되고 있는 것을 가정하여 수신하는(수신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서비스에 관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는, 「제1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한 서비스에 관련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특정한 서비스를 위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등으로 환언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가 가정하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은,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가 결정 및/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중, 실제로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서비스를 위하여 사용한다」는, 「제1 서비스를 위한 신호 송신에 사용한다」,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2)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3)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한, 요소 (3-3)에 있어서의 「LCID(Logical Channel ID)」란, MAC 헤더의 구성 요소의 하나이며, 대응하는 MAC 데이터의 성질이나 행선지를 나타내는(알려주는) 것에 관련하는 ID(식별자)여도 된다. 예를 들어, LCID는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컨트롤을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CID는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데이터(유저 데이터)를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CID는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컨트롤을 위한 신호인지 데이터(유저 데이터)를 위한 신호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LCID는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착신(페이징)을 위한 신호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LCID를 포함하는 MAC 헤더를 수신한 경우, 그 LCID에 기초하여,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란, 그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송신되는 신호여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LCID를 포함하는 MAC 헤더를 수신한 경우, 그 LCID가 나타내는 MAC 데이터의 성질 및/또는 행선지에 기초하여,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란, 그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송신되는 신호여도 된다. 또한, 「그 LCID가 나타내는 MAC 데이터의 성질 및/또는 행선지에 기초하는」이란, 그 LCID가,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컨트롤을 위한 신호인지 데이터(유저 데이터)를 위한 신호인지를 나타내는 것에 기초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가 결정 및/또는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또는,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중, 실제로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그 LCID에 관련하는 신호를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3)은 LCID에 관련하는 채널(로지컬 채널)의 우선도에 기초하여 설정 및/또는 지시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LCID에 관련하는 채널(로지컬 채널)의 우선도란,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컨트롤을 위한 신호인지 데이터(유저 데이터)를 위한 신호인지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컨트롤을 위한 신호쪽이 데이터(유저 데이터)를 위한 신호보다도 높은 우선도여도 된다.
또한, 요소 (3-3)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4)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3-4)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하향 링크 데이터, 및 상향 링크 데이터는,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 및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해도 된다. SRB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및 NAS(Non Access Stratum) 메시지의 송신을 위해서만 사용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된다. DRB는, 유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 베어러로서 정의된다.
SRB는, SRB0, SRB1, 및 SRB2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SRB0은, C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RRC 메시지를 위한 SRB이다. 또한, SRB1은,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RRC 메시지(그 RRC 메시지는, 피기백된 NAS 메시지를 포함해도 된다)를 위한 SRB이다. 또한, SRB1은,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NAS 메시지(그 NAS 메시지는, SRB2의 설립에 앞서는 NAS 메시지)를 위한 SRB이다. 또한, SRB2는, DCCH 논리 채널을 사용하는 RRC 메시지(그 RRC 메시지는, 로깅된 측정 정보를 포함한다)를 위한 SRB이다. 또한, 로깅된 측정 정보란, 시간 경과를 따라서 정기적으로 기록된 측정 정보여도 된다. 또한, SRB2는, SRB1보다도 낮은 우선도를 갖는다. 또한, SRB2는, 시큐리티가 활성화된 후에 E-UTRAN에 의해 설정된다.
또한, 요소 (3-4)에 있어서의 「베어러에 기초하는」이란,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는 것(또는 포함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그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그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4)에 있어서의 「베어러에 기초하는」이란,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에 기초하는 것(또는 포함하지 않는 것에 기초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그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그 이외의 경우(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DRB(Data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또는,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상향 링크 데이터가 SRB(Signalling Radio Bearer)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그 하향 링크 데이터, 및/또는, 그 상향 링크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에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4)에 있어서의 「베어러에 기초하는」이란, SRB에, SRB0, SRB1, SRB2 중 어느 것이 포함되어 있는 것에 기초하는 것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SRB에 SRB0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SRB에 SRB1이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고, SRB에 SRB2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제3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요소 (3-4)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5)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3-5)에 있어서의 「밴드(반송파 주파수)」란,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에 사용하는 밴드(반송파 주파수)여도 된다.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은, 단말 장치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요소 (3-5)에 있어서의 「밴드(반송파 주파수)」란,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밴드(반송파 주파수)여도 된다.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가 송신 및/또는 수신될 가능성이 있다고 상정하는 것은, 단말 장치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요소 (3-5)에 있어서의 「밴드(반송파 주파수)」란,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이 상정되는 밴드(반송파 주파수)여도 된다.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송신 및/또는 수신을 상정(기대)하는 것은, 단말 장치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환언하면, 요소 (3-5)에 있어서의 「밴드(반송파 주파수)」란,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가 송신되는 것 및/또는 수신되는 것이 상정되는 밴드(반송파 주파수)여도 된다. 또한,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 송신되는 것 및/또는 수신되는 것을 상정하는 것은, 단말 장치여도 되고, 기지국 장치여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상정」은, 「기대」, 「시도한다」, 「검출을 시도한다」,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한다」는, 「송신하는 것을 시도한다」,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수신한다」는, 「수신하는 것을 시도한다」, 「검출을 시도한다」 등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밴드」는 「오퍼레이팅 밴드」으로 환언 되어도 되고,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해도 된다. 또한, 오퍼레이팅 밴드는, 적어도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해도 된다. 환언하면, 오퍼레이팅 밴드는,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를 포함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신호가 송신되고 있다)고 상정하여 수신해도 된다.
즉, 제1 반송파 주파수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대응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가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수신해도 된다. 또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는」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즉, 제1 반송파 주파수와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가 대응해도 된다. 환언하면, 제1 반송파 주파수에 있어서 송신 및/또는 수신되는, 상기 일부 또는 전부의 신호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에 포함되는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에는,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포함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후보 세트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으로부터 제x 서브캐리어 간격(x는 임의의 수)이 포함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서브캐리어 간격으로부터 제x 서브캐리어 간격(x는 임의의 수) 중, 어느 서브캐리어 간격이 실제로 적용되어 있는지는,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된다.
요소 (3-6)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3-6)에 있어서의 「신호(채널)의 송신 패턴」이란, 신호가 송신되는 주파수(주파수 위치) 및/또는 시간(시간 위치)에 따라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및/또는 제1 시간에 송신되는 제1 신호는, 제1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제1 신호이며, 제2 주파수 및/또는 제2 시간에 송신되는 제1 신호는, 제2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제1 신호여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송신」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수신」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송신」은 「수신」으로 환언되어도 되고, 「신호(채널)의 송신 패턴」은 「신호의 수신 패턴」으로 환언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제1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신호의 송신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해도 되고, 제2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제1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2 신호의 송신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제2 신호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제1 신호의 송신에는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미리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사양서 등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제1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위한 신호 송신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데이터를 위한 신호를 수신해도 되고, 제2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데이터를 위한 신호 송신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데이터를 위한 신호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의 송신에는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미리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사양서 등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제1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스템 정보를 위한 신호(통지 채널)의 송신에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시스템 정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해도 되고, 제2 송신 패턴으로 송신되는 동기 신호를 수신한 경우, 시스템 정보를 위한 신호 송신에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 있다고 상정하여 시스템 정보를 위한 신호를 수신해도 된다. 또한, 동기 신호의 송신에는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미리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 또는, 사양서 등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되어도 된다.
요소 (4)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결정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요소 (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란, 단말 장치가 특정한 통신을 서포트하는 것(또는 서포트하지 않는 것)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여도 된다. 또한, 「특정한 통신」이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응 가능한 통신(통신 시스템)이어도 된다.
요소 (4)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란,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여도 된다.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란,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송신 및/또는 수신을 서포트하는 것(또는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여도 된다. 또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송신 및/또는 수신」은,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 가능해도 된다. 또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송신 및/또는 수신」은, 신호의 송신 및/또는 수신에 가변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적용 가능해도 된다.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란, 소정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송신 및/또는 수신을 서포트하는 것(또는 서포트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것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여도 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단말 장치가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 및 그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 각각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2개의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과,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의 하나의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단말 장치가 동시에 송신할 수 있는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의 수, 및 그 채널 각각에 대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의 2개의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과,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의 하나의 채널(셀, 컴포넌트 캐리어)을 동시에 송신할 수 있음을 나타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반송파 주파수마다(밴드마다)에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반송파 주파수마다(밴드마다)의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를 보유하고,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서 독립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상향 링크의 통신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와 하향 링크의 통신에 관련하는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에서 독립적으로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단말 장치는 상향 링크와 하향 링크에서 독립의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를 보유하고, 송신되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의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련하는 능력 정보와, 단말 장치에 의해 서포트되고 있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의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련하는 능력 정보」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통지되는 또는 시스템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서브캐리어 간격 사용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관련하는 능력을 갖는 단말 장치는,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의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관련하는 능력 정보」에 기초하여, 기지국 또는 네트워크의 사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3 서브캐리어 간격이라고 알았을 경우,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로서 제1 서브캐리어 간격과 제3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에 관련하는 능력을 갖는 것을 송신해도 된다.
또한,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단말기 능력 문의 (UECapabilityEnquiry)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에 송신되어도 된다.
「단말 장치의 능력 정보」를 송신하는 수순의 일례를 나타낸다.
기지국 장치는, 단말기 능력 문의 (UECapabilityEnquiry)의 메시지를 단말 장치에 송신한다. 단말기 능력 문의의 메시지는, 단말 장치의 무선 액세스 능력의 송신을 요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말 장치는, 단말기 능력 문의의 메시지에 기초하여, 단말기 능력 정보(UECapabilityInformation)의 메시지를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단말기 능력 정보의 메시지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요구된 단말 장치의 무선 액세스 능력을 송신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단말기 능력 정보의 메시지는, 단말기 능력(UE-EUTRA-Capability)의 정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UE-EUTRA-Capability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의 무선 액세스 능력 파라미터와, 필수 기능을 위한 FGI(Feature group indicator)를 네트워크에 대하여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UE-EUTRA-Capability는, 적어도 무선 주파수에 관한 파라미터(RF-Parameters)와, 물리 레이어에 관한 파라미터(PhyLayerParameters)를 포함한다. RF-Parameters는, 적어도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의 리스트(supportedBandListEUTRA), 및/또는,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의 조합(supportedBandCombination)을 포함한다. supportedBandListEUTRA는,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SupportedBandEUTRA)의 리스트이다. supportedBandCombination은,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의 조합에 관한 파라미터(BandCombinationParameters)의 리스트이다.
SupportedBandEUTRA는, 적어도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를 나타내는 식별자(FreqBandIndicator)와, 그 밴드에 있어서 반이중 통신이 서포트되는지 전이중 통신이 서포트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halfDuplex)를 포함한다. 또한, 단말 장치에 의해 통신이 서포트되고 있는 밴드의 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단말 장치는 하나의 밴드로만 통신을 서포트해도 되고, 단말 장치는 복수의 밴드에서의 통신을 서포트해도 된다.
BandCombinationParameters는, 단말 장치가 서포트하는 밴드의 조합에 있어서의 각 밴드에 관한 파라미터(BandParameters)를 포함한다. BandParameters는, 그 밴드를 나타내는 식별자(FreqBandIndicator)와, 그 밴드에 있어서의 상향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BandParametersUL)와, 그 밴드에 있어서의 하향 링크에 관한 파라미터(BandParametersDL)를 포함한다. BandParametersUL은,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CA와 MIMO에 관한 파라미터(CA-MIMO-ParametersUL)의 리스트이다. BandParametersDL은,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CA와 MIMO에 관한 파라미터(CA-MIMO-ParametersDL)의 리스트이다. CA-MIMO-ParametersUL은, 상향 링크에 있어서의 CA 대역폭 클래스를 나타내는 정보(CA-BandwidthClass)와, 상향 링크에 있어서 서포트되는 MIMO의 레이어수에 관한 정보(MIMO-CapabilityUL)를 포함한다. CA-MIMO-ParametersDL은, 하향 링크에 있어서의 CA 대역폭 클래스를 나타내는 정보(CA-BandwidthClass)와, 하향 링크에 있어서 서포트되는 MIMO의 레이어수에 관한 정보(MIMO-CapabilityDL)를 포함한다. CA-BandwidthClass에 있어서, 단말 장치는 그 밴드의 조합에 관한 시그널링 중에서 모든 서포트되는 CA 대역폭 클래스를 명시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요소 (4)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복수 결정된 경우(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가 결정된 경우)에는, 추가로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실제로 적용되는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요소 (1) 내지 요소 (4)의 일부 또는 전부에 기초하여,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된 경우, 결정된 서브캐리어 간격에 기초하여, 그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 및/또는, 그 신호를 위한 CP(CP 길이)가 결정되어도 된다. 즉,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는 것에 기초하여, 그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 및/또는, 그 신호를 위한 CP(CP 길이)가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가 결정되는」이란, 참조 신호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이 결정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결정된 CP(CP 길이)는 결정된 참조 신호에도 적용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상기 신호의 일부 또는 전부를 위한 서브캐리어 간격에 대응하는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또한,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는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되어도 된다.
또한,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는 사양에 따라 정의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는 반송파 주파수(밴드)와 대응하고 있어도 된다. 즉, 단말 장치는, 신호를 위한 반송파 주파수(밴드)를 앎으로써, 그 신호를 위한 참조 신호(참조 신호의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CP(CP 길이)를 알아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특정하는 제어부와,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에 의해 할당되는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오퍼레이팅 밴드에 관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하고, 상기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은,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에 관련하는 제1 타입과,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에 관련하는 제2 타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1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2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제1 서브셋과 제2 서브셋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1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셋에 포함되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2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서브셋에 포함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통지되는 정보,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인 정보,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인 정보, 물리층의 정보, 및/또는, 상위층의 정보를 사용하여 지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데이터 채널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나타내는 것에 관련하는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위층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와,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제1 파라미터는, 오퍼레이팅 밴드에 관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오퍼레이팅 밴드에는,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와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가 대응하고, 상기 상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과 상기 하향 링크 오퍼레이팅 밴드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독립적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은,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에 관련하는 제1 타입과,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 할당 정보에 관련하는 제2 타입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1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2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는, 제1 서브셋과 제2 서브셋을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1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제1 서브셋에 포함되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상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이 상기 제2 타입일 경우에는, 상기 제2 서브셋에 포함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하향 링크의 데이터 채널에 적용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 및/또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은, 통지되는 정보, 복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공통인 정보, 하나의 단말 장치에 대하여 전용인 정보, 물리층의 정보, 및/또는, 상위층의 정보를 사용하여 지시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상위층의 신호에 포함되는 제1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데이터 채널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특정하고,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여,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에 관련하는 상기 데이터 채널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에서 선택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데이터 채널에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를 나타내는 것에 관련하는 제1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위층의 신호를 송신하고,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컨트롤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데이터 채널의 할당 정보의 타입에 기초하는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적용 가능한 서브캐리어 간격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의 세트 중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제어 정보 포맷을 수반하는 컨트롤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는 수신 제어부와, 특정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필드의 값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는, 상위층의 신호에 의해 통지되고,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 것이 통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 것이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지 않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지 여부는, 상위층의 신호에 의해 통지되고,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이 통지된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수신하고,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이 통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지 않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제1 필드, 및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제어 정보 포맷을 수반하는 컨트롤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와,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필드의 값에 의해 할당하는 데이터 채널을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 것을 통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필드가 존재하는 것을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지 않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이며,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지 여부를 상위층의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고,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을 통지한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송신하고, 상기 컨트롤 채널과 상기 데이터 채널의 서브캐리어 간격이 상이한 것을 통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1 필드를 수반하지 않는 페이로드 사이즈의 상기 제어 정보 포맷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제1 필드, 및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제어 정보 포맷을 수반하는 컨트롤 채널을 수신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여,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필드의 값에 의해 할당되는 데이터 채널을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제1 필드, 및 제2 필드를 포함하는 정보 제어 정보 포맷을 수반하는 컨트롤 채널을 송신하고, 상기 제1 필드의 값에 기초하는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필드의 값에 의해 할당하는 데이터 채널을 송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수신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는 수신 제어부와, 특정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이며, 상기 제1 신호는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동기 신호가 송신되는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미리 정해져 있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후에,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와,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는 수신 제어부와, 특정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는 상술한 단말 장치이며, 상기 제1 정보는, 오퍼레이팅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미리 정해져 있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1 신호는 상기 신호와는 상이한 신호이며, 상기 제1 신호는 데이터의 송신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동기 신호가 송신되는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미리 정해져 있는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동기 신호에 기초하여 동기 후에, 시스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 정보에 포함되는 제1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신호의 송신에 사용되는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특정하고, 특정된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시스템 정보는, 상기 제1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수신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은 상술한 단말 장치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이며, 상기 제1 정보는, 오퍼레이팅 모드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장치 및 단말 장치에서 동작하는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 형태의 기능을 실현하도록,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컴퓨터를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이어도 된다. 그리고, 이들 장치에서 취급되는 정보는, 그 처리 시에 일시적으로 RAM(Random Access Memory)에 축적되고, 그 후, Flash ROM(Read Only Memory) 등의 각종 ROM이나 HDD(Hard Disk Drive)에 저장되고, 필요에 따라 CPU에 의해 판독, 수정·기입이 행하여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의 일부를 컴퓨터로 실현하도록 해도 된다. 그 경우, 이 제어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고, 실행함으로써 실현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컴퓨터 시스템」이란, 단말 장치, 또는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에 내장된 컴퓨터 시스템이며, OS나 주변기기 등의 하드웨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플렉시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ROM, CD-ROM 등의 가반형 매체, 컴퓨터 시스템에 내장되는 하드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를 말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송신하는 경우의 통신선과 같이, 단시간, 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보유하는 것, 그 경우의 서버나 클라이언트가 되는 컴퓨터 시스템 내부의 휘발성 메모리와 같이, 일정 시간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도 포함해도 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전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전술한 기능을 컴퓨터 시스템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할 수 있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는, 복수의 장치를 포함하는 집합체(장치 그룹)로서 실현할 수도 있다. 장치 그룹을 구성하는 장치의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의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해도 된다. 장치 그룹으로서,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의 필요한 각 기능 또는 각 기능 블록을 갖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단말 장치는, 집합체로서의 기지국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는, eNodeB에 대한 상위 노드의 기능 일부 또는 전부를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전형적으로는 집적 회로인 LSI로서 실현해도 되고, 칩세트로서 실현해도 된다. 단말 장치, 기지국 장치-1 또는 기지국 장치-2의 각 기능 블록은 개별로 칩화해도 되고, 일부, 또는 전부를 집적하여 칩화해도 된다. 또한, 집적 회로화의 방법은 LSI에 한하지 않고 전용 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로 실현해도 된다. 또한, 반도체 기술의 진보에 의해 LSI를 대체하는 집적 회로화의 기술이 출현한 경우, 당해 기술에 의한 집적 회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장치의 일례로서 셀룰러 이동국 장치를 기재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옥내외에 설치되는 거치형, 또는 비가동형의 전자 기기, 예를 들어, AV 기기, 키친 기기, 청소·세탁기기, 공조기기, 오피스 기기, 자동 판매기, 기타 생활 기기 등의 단말 장치 또는 통신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지만, 구체적인 구성은 이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의 설계변경 등도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에 나타낸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다른 실시 형태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 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기재된 요소이며,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는 요소끼리를 치환한 구성도 포함된다.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2월 4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일본 특허 출원 제2016-019537에 대하여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는 것이며, 그것을 참조함으로써, 그 내용의 모두가 본서에 포함된다.
2201: 상위층
2202: 제어부
2203: 코드워드 생성부
2204: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
2205: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생성부
2206: OFDM 신호 송신부
2207: 기지국 송신 안테나
2208: 기지국 수신 안테나
2209: SC-FDMA 신호 수신부
2210: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
2211: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추출부
2301: 단말기 수신 안테나
2302: OFDM 신호 수신부
2303: 하향 링크 서브프레임 처리부
2304: 하향 링크 참조 신호 추출부
2305: 트랜스포트 블록 추출부
2306: 제어부
2307: 상위층
2308: 채널 상태 측정부
2309: 상향 링크 서브프레임 생성부
2310: 상향 링크 제어 정보 생성부
2311, 2312: SC-FDMA 신호 송신부
2313, 2314: 단말기 송신 안테나

Claims (8)

  1. 사용자 장비로서,
    베어러와 관련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논리 채널 ID(LCID; Logical channel ID)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송신되는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및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LCID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베어러는 상기 MAC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사용자 장비.
  2. 사용자 장비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으로서,
    베어러와 관련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논리 채널 ID(LCID)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및 상기 LCID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2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송신되는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는 상기 MAC 데이터의 상기 송신을 위해 사용되는, 방법.
  3. 사용자 장비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기지국으로서,
    베어러와 관련된 상위 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논리 채널 ID(LCID)에 대응하는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를 지시하는 제1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 상에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 내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지시하는 데 사용되는 제2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부; 및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을 사용하여, 상기 LCID에 대응하는 MAC 데이터가 수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어러는 상기 MAC 데이터의 상기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는 각각의 논리 채널들과 연관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 중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이고,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 중 상기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는 상기 LCID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채널들 중 하나의 논리 채널과 연관되는, 사용자 장비.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는 각각의 논리 채널들과 연관된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 중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이고,
    상기 복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 중 상기 하나의 서브캐리어 간격 세트는 상기 LCID에 대응하는 상기 논리 채널들 중 하나의 논리 채널과 연관되는, 기지국.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7022152A 2016-02-04 2017-02-01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KR1026342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9537 2016-02-04
JP2016019537A JP2019057746A (ja) 2016-02-04 2016-02-04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CT/JP2017/003630 WO2017135312A1 (ja) 2016-02-04 2017-02-01 端末装置および通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907A KR20180109907A (ko) 2018-10-08
KR102634272B1 true KR102634272B1 (ko) 2024-02-07

Family

ID=5950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152A KR102634272B1 (ko) 2016-02-04 2017-02-01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052503A1 (ko)
EP (1) EP3413528B1 (ko)
JP (1) JP2019057746A (ko)
KR (1) KR102634272B1 (ko)
CN (1) CN108605027A (ko)
CA (1) CA3012338C (ko)
WO (1) WO2017135312A1 (ko)
ZA (1) ZA2018056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7456A1 (en) 2016-03-10 2019-01-16 IDAC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a signal structure in a wireless system
WO2017197155A1 (en) 2016-05-11 2017-11-16 Idac Holdings, Inc. Physical (phy) layer solutions to support use of mixed numerologies in the same channel
WO2018018511A1 (zh) * 2016-07-28 2018-02-0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KR102351999B1 (ko) 2016-07-29 2022-01-18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단말 장치, 통신 방법 및 집적 회로
BR112019002748A2 (pt) 2016-08-10 2019-05-14 Idac Holdings, Inc. método para uma unidade de transmissão/recepção sem fio, unidade de transmissão/recepção sem fio, e, estação-base
US10250380B2 (en) * 2016-12-12 2019-04-0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unified synchronization channel design in new radio
KR20190100239A (ko) 2016-12-28 2019-08-28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정보 송신 방법, 정보 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BR112019022700A2 (pt) * 2017-05-02 2020-05-19 Ntt Docomo Inc aparelho de usuário, aparelho de estação base e método de comunicação executado por um aparelho de usuário que usa uma pluralidade de espaçamentos de subportadoras
KR102367153B1 (ko) 2017-05-02 2022-02-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80359149A1 (en) * 2017-06-08 2018-12-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ding and modifying signaling radio bearers and data radio bearers that include numerology (sub-carrier spacing) information
KR102512852B1 (ko) * 2017-09-08 2023-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제어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0469217B2 (en) * 2018-04-06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Disentangl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for navigation and positioning signal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2887A1 (en) 2007-01-09 2010-02-18 Shohei Yamad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ntrol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20150181546A1 (en) 2012-07-23 2015-06-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ynchronization, power control, and cell configuration for ul-only operation in dss bands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59066A (ja) * 2005-12-08 2007-06-21 Sanyo Electric Co Ltd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制御方法
CN101529954B (zh) * 2006-10-23 2013-11-27 夏普株式会社 无线通讯系统、基站装置及移动站装置
US20110200004A1 (en) * 2008-10-29 2011-08-18 Daiichiro Nakashim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device, and base station device
JP2010206730A (ja) * 2009-03-05 2010-09-16 Sony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EP2317815A1 (en) * 2009-11-02 2011-05-04 Panasonic Corporation Power-limit reporting in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carrier aggregation
EP2360864A1 (en) * 2010-02-12 2011-08-24 Panasonic Corporation Component carrier (de)activation in communication systems using carrier aggregation
CN101808409B (zh) * 2010-04-01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a系统中测量参考信号的配置方法和系统
JP2013017016A (ja) * 2011-07-04 2013-01-24 Sharp Corp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方法
JP5397427B2 (ja) * 2011-07-25 2014-01-22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ユーザ端末
EP2803235A1 (en) * 2012-01-10 2014-11-1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Providing a radio bearer on a plurality of component carriers
EP4280485A3 (en) * 2013-01-18 2024-03-06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10280B1 (ko) * 2014-04-16 2022-06-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자원 집성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42887A1 (en) 2007-01-09 2010-02-18 Shohei Yamada Base station device, mobile station device,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control information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US20150181546A1 (en) 2012-07-23 2015-06-25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frequency synchronization, power control, and cell configuration for ul-only operation in dss bands
WO2016004634A1 (en) * 2014-07-11 2016-01-14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for enb, ue uplink transmission and recep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05027A (zh) 2018-09-28
EP3413528A1 (en) 2018-12-12
EP3413528A4 (en) 2019-07-31
EP3413528B1 (en) 2023-12-06
KR20180109907A (ko) 2018-10-08
WO2017135312A1 (ja) 2017-08-10
CA3012338A1 (en) 2017-08-10
CA3012338C (en) 2023-12-05
US20190052503A1 (en) 2019-02-14
JP2019057746A (ja) 2019-04-11
ZA201805676B (en) 2019-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4272B1 (ko) 단말 장치 및 통신 방법
US10728880B2 (en) Terminal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153034B2 (en) Channel state information reporting on licensed and unlicensed carriers
CN108353395B (zh) 终端装置、基站装置以及方法
AU2017215651B2 (en) Terminal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method
JP6843043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TWI765090B (zh) 終端装置、基地台裝置、及通訊方法
JP6688882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WO2016186042A1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309335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7481517B2 (ja) 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