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816B1 -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816B1
KR102633816B1 KR1020230028524A KR20230028524A KR102633816B1 KR 102633816 B1 KR102633816 B1 KR 102633816B1 KR 1020230028524 A KR1020230028524 A KR 1020230028524A KR 20230028524 A KR20230028524 A KR 20230028524A KR 102633816 B1 KR102633816 B1 KR 102633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business
content
cultural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숲페이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숲페이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숲페이드
Priority to KR1020230028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8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1Indexing; Web crawl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7Spatial or temporal dependent retrieval, e.g. spatiotemporal que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ometr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컨텐츠와 관련된 복합문화 공간의 구현 및 관리 플랫폼에 대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상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Complex cultural space realization syste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본 발명은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복합 문화 공간이 구현되는 지역과 관련된 컨텐츠와 관련된 문화 공간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지역에는 지역별로 특화된 향토문화, 설화, 육담, 민요, 민화 등 다양한 지방 문화가 존재하며, 이러한 지방 문화는 문화콘텐츠로 재해석될 수 있다.
한편, 첨단 콘텐츠 산업의 발전과 융합 현상이 가속화되어 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며, 문화 콘텐츠 자원에 대한 활용도와 문화콘텐츠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면서 개인의 문화적 창의를 공유, 활용 및 향유할 수 있는 새로운 문화 서비스 지원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전 국민이 문화콘텐츠에 쉽게 접근하여 문화를 체험하고 향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콘텐츠 산업의 확대 및 재생산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신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즉 일상 속 체험 및 감성을 표현하고 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다양한 감성소통의 장이 필요하며, 우리 문화의 고품격화와 세계와의 문화소통 기회의 확대가 필요하다. 또한 뉴미디어 출현 등 기회를 활용할 수 있는 문화서비스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및 수익원 개발과 공공 문화 콘텐츠와 공간정보의 융합 등을 통한 새로운 가치의 문화서비스 창출이 필요하고, 경쟁력 있는 문화서비스 브랜드를 창출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선순환구조 및 문화와 사용자간 무한가치를 재생산할 수 있는 자가발전체계의 서비스 환경이 필요하며, 사용자 누구라도 쉽게 창의적으로 개발을 할 수 있는 대중화된 툴을 상품화하여 공공 문화 콘텐츠 시장의 제약을 돌파 및 확대시킬 계기 마련이 필요하다.
더욱이, 지역과 관련된 문화 컨텐츠 또는 지역관광지에 대하여 이들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컨텐츠와 관광지 등과 관련되어 각종 체험행사 및 서비스의 제공 및 특산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복합 문화공간을 구현하는 시스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지역과 관련된 문화 컨텐츠 또는 지역관광지에 대하여 이들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컨텐츠와 관광지 등과 관련되어 각종 체험행사 및 서비스의 제공 및 특산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복합 문화공간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컨텐츠와 관련된 복합문화 공간의 구현 및 관리 플랫폼에 대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상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지역이름 중 제1지역이름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기 설정된 API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상기 제1지역이름에 기초하여 관련 제1지역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제1지역컨텐츠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와 문화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합 문화 공간을 구현할 설계도를 수신하면, 상기 설계도의 공용공간에는 상기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도록 설계하며, 상기 설계도의 임대공간에는 상기 제2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문화켄텐츠 중 체험컨텐츠, 공연컨텐츠 및 음식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배치되는 상기 저장부 내 사전 저장된 조경, 소품, 오브제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제를 중 제1오브제를 선택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설계도의 공용공간에서 제1오브제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사업공간에 대하여 체험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1사업체, 공연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2사업체 및 상기 음식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3사업체에 대한 공간사용계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각 월마다 상기 공간사용계약 상의 임대료를 부과 및 알림을 각각의 상기 제1사업체, 제2사업체 및 제3사업체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키오스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는 케이싱; 방문객으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공용공간 및 상기 사업공간에 대한 구획 및 기본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단에는 방문객의 사용자입력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층격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중을 거치하는 하부거치대;와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팅장치와 맞닿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거치대의 양측부에 “ㄴ”자 형상으로 마련된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상부거치대 사이에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중의 지지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이 게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역과 관련된 문화 컨텐츠 또는 지역관광지에 대하여 이들을 복합적으로 결합하여, 컨텐츠와 관광지 등과 관련되어 각종 체험행사 및 서비스의 제공 및 특산품을 판매하도록 하는 복합 문화공간을 구현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발전과 소비자에 수많은 경험을 제공하여 이용에 있어서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서버가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서의 지역지도와 이에 기초한 설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서 공용공간에 장소컨텐츠가 구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키오스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충격흡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이하의 실시예에 설명된 구성 또는 작용으로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성되다',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는, 복수의 요소 전부 뿐만 아니라, 복수의 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또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 (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 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혀 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개략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서버가 동작하는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서의 지역지도와 이에 기초한 설계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서 공용공간에 장소컨텐츠가 구현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키오스팅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충격흡수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은 지역컨텐츠와 관련된 복합문화 공간의 구현 및 관리 플랫폼에 대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상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20) 및 사용자입력부(110)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서버(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예컨대, 스마트 가전, 태블릿, 스마트워치, 헤드 마운트형 디스플레이(Head-Mounted Display) 등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컴퓨터, 멀티미디어 재생기, 셋탑박스 등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입력을 할 수 있는 모든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이란, 본 발명의 동작이 수행될 때 이들의 알고리즘을 학습하고, 학습된 알고리즘에 따라서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GMM(Gaussian Mixture Model), SVM(Support Vector Machine) 등과 같은 기계학습 기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또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RNN(Recurrent Neural Network), AE(Autoencoder) 등과 같은 딥러닝 기반의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사용자입력부(110) 및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10)는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장치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사용자입력부(110) 또는 출력 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가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모듈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장치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단말기(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 (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20)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방식은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r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방식인 경우에,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과,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 등을 포함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20)는 백라이트유닛 없이, 자발광 소자인 OLED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며,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각각의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 포함된 다른 외부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서버(200)의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제공하는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프로그램은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저장부(220), 통신부(210), 제어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사용자단말기(100) 또는 외부의 다른 전자장치 등과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유선 접속을 위한 커넥터 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접속부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통신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Radio Control, UWM(Ultra-Wide Band), Wireless USB,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하나 이상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210)는 BLE(Bluetooth Low Energy), SPP(Serial Port Profile), Wi-Fi Direct, 적외선 통신,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1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210)는 상기의 다양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통신사별 IoT망을 갖는 IoT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IoT통신모듈은 별개의 통신부(210)를 가진 복수의 사물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다양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하는 모든 IoT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IoT통신모듈을 이용하면 설정된 지역 내에서 보다 원활한 통신망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220)는 통신부(210)를 통해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복합 문화 공간을 구현할 설계도를 송신하면 이를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230)에 의해 수신된 설계도의 공용공간에 포함될 복수의 장소컨텐츠 등의 정보 또한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후술할 제어부(230)의 처리 및 제어에 따라서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엑세스되어,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서버(200)에 대한 시스템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보존할 수 있도록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disc drive), SSD(solid-state drive)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30)에 의해 처리되는 데이터가 임시로 로딩되기 위한 버퍼, 램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서버(200)의 제반 구성들이 동작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30)는 이러한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어프로그램(혹은 인스트럭션)과, 제어프로그램이 설치되는 비활성의 메모리, 설치된 제어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가 로드되는 휘발성의 메모리 및 로드 된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제어프로그램은 서버(200) 외에도 다른 외부의 전자장치에도 저장될 수 있다.
제어프로그램은 BIOS, 디바이스드라이버, 운영체계, 펌웨어, 플랫폼 및 응용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구현되는 프로그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200)의 제조 시에 서버(200)에 미리 설치 또는 저장되거나, 혹은 추후 사용 시에 외부로부터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설치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의 데이터는,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마켓과 같은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어부(230)는 device, S/W module, circuit, chip 등의 형태 또는 그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대한민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웹페이지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에 대한 문화컨텐츠, 장소컨텐츠, 음식컨텐츠와 지도정보 및 위치정보를 크롤링을 통해 수집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롤링은 API를 통해 하는 것 외에도 API를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검색엔진 각각의 웹사이트 주소를 찾아내고, 해당 웹사이트 주소의 URL을 탐색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구현된 수단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플랫폼이란 복수의 검색엔진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API를 이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예컨대, 외부플랫폼에서의 API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는 구글, 네이버, 돌핀, 사파리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의 서버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지역이름 중 제1지역이름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제1지역이름 관련 제1지역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S10)하고, 제1지역컨텐츠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와 문화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로 분류(S20)하며, 복합 문화 공간을 구현할 설계도를 수신하면, 설계도의 공용공간에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며, 설계도의 임대공간에는 제2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문화켄텐츠 중 체험컨텐츠, 공연컨텐츠 및 음식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S30)하고, 공용공간에서 배치되는 저장부 내 사전 저장된 조경, 소품, 오브제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제를 중 제1오브제를 선택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설계도의 공용공간에서 제1오브제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S40)하며, 사업공간에 대하여 체험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1사업체, 공연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2사업체 및 음식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3사업체에 대한 공간사용계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각 월마다 공간사용계약 상의 임대료를 부과 및 알림을 각각의 상기 제1사업체, 제2사업체 및 제3사업체에 송신(S50)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수의 지역이름 중 제1지역이름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기 설정된 API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제1지역이름에 기초하여 관련 제1지역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지역이름은 역사상 한반도에서 토지에 불리워진 땅이름을 말하며, 행정구역 상에 정해진 도시이름, 하부관청의 이름, 예컨대, 시, 도, 구, 면, 읍 등의 행정단위 상에 붙여진 이름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토지 외에도 한반도 내에 존재하는 하천의 이름, 언덕, 고개 및 산의 명칭, 온천의 명칭, 섬의 명칭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대한민국의 영토 내에서 특정될 수 있는 일 영역의 명칭이나 호칭 등이 지역이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예컨대, 사용자단말기(100) 내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상에서 표시된 복수의 지역이름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거나, 지역이름을 직접 기재하는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검색엔진의 웹페이지에서 해당 지역이름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한다. 예컨대, 서울특별시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검색엔진을 통해 서울특별시와 관련된 지명의 어원, 인구, 기상정보, 교통정보, 경제정보, 관광정보, 행정에 관한 각종 처리기관, 주거환경, 교육기관, 의료기관, 치안, 스포츠, 공연장 및 극장 등을 포함하는 생활 및 문화에 대한 각종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수집된 제1지역컨텐츠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와 문화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복합 문화 공간을 구현할 설계도를 수신하면, 설계도의 공용공간에는 상기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도록 설계하며, 설계도의 임대공간에는 상기 제2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문화켄텐츠 중 체험컨텐츠, 공연컨텐츠 및 음식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예컨대, 지역이름을 동탄으로 설정되었다면, 동탄 내에서 구체적 위치인 송동 47번지에 대한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해당 지역이름과 관련된 지역컨텐츠를 수집할 수 있으며, 예컨대, 지역컨텐츠는 장소컨텐츠로 분류되는 동탄호수공원, 수변공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문화컨텐츠로 분류되는 수변공원의 각종 생태체험, 동물과 관련된 체험컨텐츠, 해당 지역 내에 존재하는 공연컨텐츠, 동탄에서의 만들어진 김치 등의 음식을 포함하는 음식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설계도는 복합 문화 공간이 구현되는 부지의 실제 면적도를 기반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될 수 있거나, 저장부에 기 저장된 설계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계도는 공용공간과 사업공간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용공간은 문화 공간에서 방문객 및 이용객 등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의미하며, 사업공간은 문화 공간에서 방문객 및 이용객이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 서비스 또는 물건을 구매할 수 있도록 마련된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배치되는 저장부 내 사전 저장된 조경, 소품, 오브제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제를 중 제1오브제를 선택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설계도의 공용공간에서 제1오브제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공용공간 내에서 배치될 수 있는 소품 및 오브제는 캠핑 난로존과 같은 컨셉으로 배치될 수 있는 텐트, 제작 천막, 빈백, 캠핑체어, 스툴, 해먹좌석, 캠핑테이블. 인공모닥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자동차, 놀이기구 등의 다양한 컨셉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는 모든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조경은 오두막 형태의 테이블에 함께 배치될 수 있는 조화나무, 조화꽃나무, 생화, 생화꽃나무, 수중에 서식지를 마련한 수중식물, 이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생화는 화단, 또는 수중에 배치될 수 있으며, 조화는 생화 사이사이에 섞여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공용공간에 지역이름에 기초하여 검색된 결과 중 특정 관광지 또는 수목과 같은 대표생물을 재현하여 구현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예컨대, 실제 존재하는 석재폭포를 연출하되, 이용객 및 방문객의 이동 시 폭포로 인한 물튀김이 방지되도록 동선을 고려하여 구현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화컨텐츠 및 공연컨텐츠는 영화관, 헬스클럽, 카페, 프랜차이즈 음식점를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사업공간은 생활과 관련된 힐링공간, 체육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여가공간, 가족단위의 방문객이 편안히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패밀리공간, 패션과 관련된 영라이프공간, 골프 및 특별 쉐프의 요리만을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럭셔리공간으로 구분되어 설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업공간에 대하여 체험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1사업체, 공연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2사업체 및 음식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3사업체에 대한 공간사용계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각 월마다 공간사용계약 상의 임대료를 부과 및 알림을 각각의 제1사업체, 제2사업체 및 제3사업체에 송신할 수 있다. 예컨대, 체험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체는 동물, 수중생물, 식물 등을 직접 만지고 경험할 수 있는 동물원, 식물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공연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체는 연극을 위한 소극장, 영화관, 문화회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음식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체는 베이커리, 카페, 레스토랑 등 각종 식품을 판매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30)는 각각의 사업을 수행하는 사업체와의 공간사용계약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해 수신하여 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지정된 날짜에 지급되어야 할 임대료와 복합 문화 공간에 대한 수도, 전기 등의 시설공사가 수행될 때 이와 관련된 알림이 각각의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30)는 사업체와의 공간사용계약을 기존 기간에서 연장하기 위한 임대료 갱신 시, 현재임대료(CRC, Current Rental Cost) 하기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연장임대료 적정치(ARC, Appropriate Rental Cost)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3024764259-pat00001
수학식 1에서 ARC는 연장되는 임대료의 적정 임대료로써 연장임대료 적정치를 의미하며, CRC는 현재 복합 문화 공간의 임대인에게 현재 지급되는 현재임대료를 의미하며, UW는 Update Weight로써 갱신시 하기의 수학식 2를 통해 계산되는 갱신가중치를 의미한다.
[수학식 2]
Figure 112023024764259-pat00002
수학식 2에서 SR은 Sales Revenues로 해당 사업체에서 발생한 월평균 매출액을 의미하며, TD는 Traffic line Distance로 복합 문화 공간의 중앙부에서 해당 사업체까지 도착하는 동선거리를 의미하며 단위는 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SA는 Store Area로써 해당 사업체에서 사업을 영유하기 위하여 점유하는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단위는 제곱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TA는 Total Area로써 복합 문화 공간의 전체 설계도 상의 넓이를 의미하며, 단위는 제곱미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계산된 연장임대료 적정치를 임대인 및 사업체의 대표에게 제공함으로써 계약갱신에 있어서 보다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0) 및 서버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되어 공용공간에 배치되는 키오스팅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오스팅장치(300)는 이용객 및 방문객에게 복합 문화 공간의 공용공간과 사업공간에 대한 구획 및 기본정보를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키오스팅장치(300)는 내부 구성을 보호하도록 하는 케이싱과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공용공간 및 사업공간에 대한 구획 및 기본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의 하측면에 마련되어 키오스팅장치(300)의 하중을 지지하는 거치부 및 거치부의 하측면에 위치하여 충격 및 진동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키오스팅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예컨대, 이용객 및 방문객에게 정보를 터치스크린부를 통하여 제공할 때 필연적으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충격이나 진동은 키오스팅장치(300) 내부 구성에 내구성을 감소시키며, 각각의 내부 구성간 유격을 발생시킬 수 있어 잔고장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상세히 후술할 충격흡수부재(400)를 통해 충격 및 진동을 저감하여 키오스팅장치(300)의 고장 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재(400)는 키오스팅장치(300)의 하중을 거치하는 하부거치대(410), 키오스팅장치(300)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키오스팅장치(300)와 맞닿는 상부거치대(420) 및 하부거치대(410)의 양 측부에 “ㄴ”자 형상으로 마련된 스프링고정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스프링고정부(430)와 상부거치대(420) 사이에는 탄성스프링이 각각 게재되어, 키오스팅장치(300)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발생하거나, 또는 키오스팅장치(300)에 터치 입력하는 동작을 수행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재(400)는 스프링고정부(430)의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탄성스프링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탄성스프링의 각각의 일 단부에 연결되며,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연결링크(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연결링크(440)의 상단의 일 영역에는 회전축(451)이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활부(450)의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축(451)에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탄성활부(450)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활형태의 제1호와 제2호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제1호와 제2호는 각각의 일단이 스프링고정부(430)에 고정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타단은 회전축(451)과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호와 제2호의 타단과 회전축(451) 사이에 탄성스프링이 게재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호와 제2호는 원에서 120도 내지 180도의 각도를 갖는 반지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재(400)가 충격을 흡수하는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부거치대(420)에서 하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스프링고정부(430)의 상단부에 위치한 탄성스프링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상부거치대(420)가 탄성활부(450)를 아래로 누르면서 탄성활부(450)가 탄성력에 의해 일자로 펴짐으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탄성활부(450)가 일자로 펴지면서 하부에 재차 힘을 가하면, Y자 형상의 연결링크(440)에서 하부가 재차 일자로 펴짐과 동시에 연결링크(440)와 스프링고정부(430) 사이에 게재된 스프링을 밀어내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키오스팅장치(300)에 정보를 입력 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진동을 저감하여 키오스팅장치(300)의 오작동 및 잔고장 등의 발생확률을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사용자단말기, 110: 사용자입력부, 120: 디스플레이부
200: 서버, 210: 통신부, 220: 저장부, 230: 제어부
300: 키오스팅장치, 400: 충격흡수부재, 410: 하부거치대
420: 상부거치대, 430: 스프링고정부, 440: 연결링크
450: 탄성활부, 451: 회전축

Claims (3)

  1.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에 있어서,
    지역컨텐츠와 관련된 복합문화 공간의 구현 및 관리 플랫폼에 대하여 기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웹페이지 상의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입력부를 포함하는 사용자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저장부; 통신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수의 지역이름 중 제1지역이름에 대한 제1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기 설정된 API를 이용하여 검색엔진의 웹페이지를 크롤링하여 상기 제1지역이름에 기초하여 관련 제1지역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제1지역컨텐츠를 복수의 카테고리 중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는 제1카테고리와 문화컨텐츠를 포함하는 제2카테고리로 분류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복합 문화 공간을 구현할 설계도를 수신하면, 상기 설계도의 공용공간에는 상기 제1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장소컨텐츠를 포함하도록 설계하며, 상기 설계도의 임대공간에는 상기 제2카테고리에 포함된 복수의 문화켄텐츠 중 체험컨텐츠, 공연컨텐츠 및 음식컨텐츠를 제공하는 사업공간을 포함하도록 설계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공용공간에서 배치되는 상기 저장부 내 사전 저장된 조경, 소품, 오브제 및 수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오브제를 중 제1오브제를 선택하는 제2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설계도의 공용공간에서 제1오브제의 배치를 결정하도록 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용공간에 상기 제1지역이름에 기초하여 검색된 결과 중 관광지 또는 수목을 포함하는 대표생물 중 적어도 하나가 구현되도록 하고, 상기 공용공간에 폭포를 연출 시 폭포로 인한 물튀김이 방지되도록 동선을 고려하여 구현되며,
    상기 사업공간에 대하여 체험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1사업체, 공연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2사업체 및 상기 음식컨텐츠에 대응하는 사업을 수행하는 제3사업체에 대한 공간사용계약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에 기초하여 각 월마다 상기 공간사용계약 상의 임대료를 부과 및 알림을 각각의 상기 제1사업체, 제2사업체 및 제3사업체에 송신하며,
    상기 공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서버 및 사용자단말기와 네트워크적으로 연결된 키오스팅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는 케이싱; 방문객으로부터 사용자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공용공간 및 상기 사업공간에 대한 구획 및 기본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터치스크린부;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단에는 방문객의 사용자입력 시 발생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중을 거치하는 하부거치대;와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폭과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키오스팅장치와 맞닿는 상부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거치대의 양측부에 “ㄴ”자 형상으로 마련된 스프링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상부거치대 사이에 상기 키오스팅장치의 하중의 지지 및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이 게재되며,
    상기 스프링고정부의 하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각각 상기 탄성스프링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탄성스프링의 각각의 일 단부에 연결되어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 Y자 형상의 연결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는 상단의 일 영역에 회전축이 마련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중심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탄성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활부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져 활형태의 제1호 및 제2호가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호 및 제2호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제1호 및 제2호는 각각의 타단이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며,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상기 상부거치대에 하부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탄성스프링이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상부거치대가 상기 탄성활부를 아래로 누르면서 상기 탄성활부가 탄성력에 의해 일자로 펴짐으로써 2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연결링크의 하부가 일자로 펴짐과 동시에 상기 연결링크 및 상기 스프링고정부 사이에 게재된 스프링을 밀어내면서 3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사업체와의 공간사용계약을 기존 기간에서 연장하기 위한 임대료 갱신 시 하기 [수학식 1] 및 [수학식 2]에 의해서 연장임대료 적정치를 산출하며,
    [수학식 1]

    [수학식 2]

    상기 [수학식 1]에서 ARC는 연장되는 임대료의 적정 임대료로써 상기 연장임대료 적정치를 의미하며, CRC는 현재 임대인에게 현재 지급되는 현재임대료를 의미하며, UW는 공간사용계약의 갱신시 갱신가중치를 의미하며,
    상기 [수학식 2]에서 SR은 상기 제3사업체에서 발생한 월평균 매출액을 의미하며, TD는 복합 문화 공간의 중앙부에서 상기 제3사업체까지 도착하는 동선거리를 의미하며, SA는 상기 제3사업체에서 사업을 영유하기 위하여 점유하는 영역의 넓이를 의미하며, TA는 복합 문화 공간의 상기 설계도 상의 넓이를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30028524A 2023-03-03 2023-03-03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KR102633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24A KR102633816B1 (ko) 2023-03-03 2023-03-03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24A KR102633816B1 (ko) 2023-03-03 2023-03-03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816B1 true KR102633816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24A KR102633816B1 (ko) 2023-03-03 2023-03-03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81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085A (ko) * 2011-10-24 2011-11-22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736353B1 (ko) * 2016-09-05 2017-05-16 조도영 위치정보에 기반한 가변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127512A (ko) * 2018-05-04 2019-11-13 (주)픽뱅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공간 플랫폼
KR20210150838A (ko) * 2020-06-04 2021-12-13 김경민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26257A (ko) * 2021-03-08 2022-09-15 (주)디피어소시에이츠 실감형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79542B1 (ko) * 2021-08-12 2022-12-21 이주철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주식 종목을 추천하는 시스템
KR102480331B1 (ko) * 2022-03-21 2022-12-23 주식회사 인포인 거래 가능한 오브젝트 배치를 통해 구현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6085A (ko) * 2011-10-24 2011-11-22 강민수 전자 지도 활용 서비스 업체 랭킹 랭킹 정보 제공 방법
KR101736353B1 (ko) * 2016-09-05 2017-05-16 조도영 위치정보에 기반한 가변 카테고리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KR20190127512A (ko) * 2018-05-04 2019-11-13 (주)픽뱅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공간 플랫폼
KR20210150838A (ko) * 2020-06-04 2021-12-13 김경민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20126257A (ko) * 2021-03-08 2022-09-15 (주)디피어소시에이츠 실감형 가상 전시 공간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79542B1 (ko) * 2021-08-12 2022-12-21 이주철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주식 종목을 추천하는 시스템
KR102480331B1 (ko) * 2022-03-21 2022-12-23 주식회사 인포인 거래 가능한 오브젝트 배치를 통해 구현되는 메타버스 플랫폼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Štrba et al. Geosite assessments: comparison of methods and results
Lukinbeal “On location” filming in San Diego County from 1985–2005: How a cinematic landscape is formed through incorporative tasks and represented through mapped inscriptions
Thackara In the bubble: Designing in a complex world
Gospodini Post-industrial trajectories of Mediterranean European cities: The case of post-Olympics Athens
Thackara In the bubble
Massing Safeguard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an ethnic theme park setting–the case of Binglanggu in Hainan Province, China
Galani et al. Situating cultural technologies outdoors: Empathy in the design of mobile interpretation of rock art in rural Britain
Sharma et al. A framework supporting selecting space to make place in spatial mixed reality play
Ardito et al. Combining multimedia resources for an engaging experience of cultural heritage
Webber et al. Engaging with nature through technology: A scoping review of HCI research
CN109584113A (zh) 基于gps定位的乡村旅游景点推送系统及其实现方法
Mazel et al. ‘I want to be provoked’: public involvement in the development of the Northumberland Rock Art on Mobile Phones project
Miller et al. Spectacle, tourism and the performance of everyday geopolitics
KR102633816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Grant Co-opportunity
Jauhari et al. The Development of Smart Travel Guide Application in Madura Tourism
Galani et al. Situating cultural technologies outdoors: designing for mobile interpretation of rock art in rural Britain
Betts et al. Refugee Innovation
CN106716414A (zh) 动态结果
CN105760061B (zh) 信息交互方法及装置
Khan et al. Sensing the territory as an opportunity for the promotion of cultural heritage
Tulung et al. Promoting the Hidden Paradise of Likupang through Digital Marketing
O'Flaherty Enhancing Visitor Experience through Marketing for the Mayflower Bocawina National Park
Franceschetti Place Marketing and Place Making: Toronto, Tourism, and the Fractured Gaze
Roy Sanctuary for the gadget freaks: re-conceptualization of urban spaces in the age of I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