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838A -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838A
KR20210150838A KR1020200067739A KR20200067739A KR20210150838A KR 20210150838 A KR20210150838 A KR 20210150838A KR 1020200067739 A KR1020200067739 A KR 1020200067739A KR 20200067739 A KR20200067739 A KR 20200067739A KR 20210150838 A KR20210150838 A KR 20210150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tual space
archive
terminal
rental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2026B1 (ko
Inventor
김경민
Original Assignee
김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민 filed Critical 김경민
Priority to KR1020200067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202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2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2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06F16/583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using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66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information manually generated, e.g. tags, keywords, comments, manually generated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06Q20/145Payments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or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이 임차되는 경우, 임차된 임차기간 및 임차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 설정된 임대료를 정산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공간을 임차할 임차기간을 지정하여 임대차 계약을 요청하며, 임차기간 및 임차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를 지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구축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하는 요청부, 사용자 단말에서 임대료가 입금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VIRTUAL SPACE RENTING SERVICE USING VIRTUAL SPACE ARCHIVE}
본 발명은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가상현실 공간을 임대하고 이에 대한 차임 및 수수료를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현재 가상현실 시장은 장소기반 VR 산업의 확장으로 인터랙션 기술, 콘텐츠, 공간이 융합되어 역동하는 시장으로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은 파급력이 큰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자 잠재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치가 제공되고, 첨단과학기술의 인지적 수용성이 특정 그룹의 대다수 사용자에게 적합할 때 변화될 수 있다. 플랫폼 변화 트랜드와 빠르게 진화하는 글로벌 ICT 생태계를 고려할 때, IT 플랫폼 변화는 현재의 모바일 사용환경이 IoT, 5G, AI 기술과 융합되어 점진적으로 VR/AR/MR/XR 플랫폼 형태로 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ICT 융합 기술 트랜드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VR 플랫폼은 경험한 것을 생성하고 공유하며 더 나아가 경험하고 있는 것을 네츄럴 컨버세이션과 가상공간에서 공감의 가치를 지닌 영상이나 환경을 통해 실시간으로 공유로 발전하고 있다.
이때, 가상공간을 임대하는 서비스가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6-0076801호(공개일자 2016년07월01일 공개) 및 한국공개특허 제2018-0063501호(2018년06월12일 공개)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가상 회의실의 시간 또는 공간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회의를 위한 통신 세션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및 공간 규모를 지정하여 가상 회의실을 임대하는 형태로 화상 회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성과, 미술품을 판매 내지 임대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구매 내지 임차하고자 하는 소정의 미술품과 액자를 선택하고 소비자가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에 설치 및 전시를 해보는 구성을 각각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술한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회의 또는 전시장의 가상공간만이 존재하므로 회의 또는 전시장 이외의 가상공간을 원하는 사람들은 해당 플랫폼을 이용할 수가 없다. 또, 코로나19(COVID-19)로 인하여 각종 회의나 전시, 학원이나 교회들이 온라인으로 절차를 진행함에 따라 다양한 가상공간의 제작이 요구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상공간을 각 업체 또는 개인이 마련하고 있을 뿐이어서 동일한 공간이라도 복수의 개인 및 단체가 자체제작으로 동일한 코딩 및 프로그래밍을 반복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수요자 입장에서는 한 번만 사용할 코딩 작업에 인력, 시간 및 비용을 들이는 것이 경제적이지 않고, 또 이를 유지하는 것 또한 유지관리인력이 들기 때문에 만들어진 가상공간은 폐기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에, 적어도 하나의 개인 및 전문업체가 제작한 가상공간을 서로 공유하고 임대함으로써 동일한 코딩을 반복하는 낭비가 없도록 하는 플랫폼의 연구 및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개인 또는 전문업체에서 제작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고객이 원하는 종류의 가상공간을 임대해주고 제작자에게는 임대료를 제공하며 동시에 중개수수료를 수익의 원천으로 할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종류의 가상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종류의 가상공간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자를 매칭시켜준 후 제작물은 다시 가상공간 아카이브에 저장하여 재임대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물에 대한 반복잡업 및 인력과 시간낭비를 제로화할 수 있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이 임차되는 경우, 임차된 임차기간 및 임차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 설정된 임대료를 정산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공간을 임차할 임차기간을 지정하여 임대차 계약을 요청하며, 임차기간 및 임차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를 지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구축부,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하는 요청부, 사용자 단말에서 임대료가 입금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사용자 단말에서 임대료가 지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한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각 개인 또는 전문업체에서 제작한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에 대한 데이터를 업로드받아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 고객이 원하는 종류의 가상공간을 임대해주고 제작자에게는 임대료를 제공하며 동시에 중개수수료를 수익의 원천으로 할 수 있으며, 고객이 원하는 종류의 가상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종류의 가상공간을 제작할 수 있는 제작자를 매칭시켜준 후 제작물은 다시 가상공간 아카이브에 저장하여 재임대 및 공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동일한 결과물에 대한 반복잡업 및 인력과 시간낭비를 제로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한편,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부'는 어드레싱 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인터넷(WWW: World Wide Web),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전화망,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 등을 포함한다. 무선 데이터 통신망의 일례에는 3G, 4G, 5G,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파이(Wi-Fi),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Near-Field Communication)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을 임대하기 위한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공간을 임대한 후 그 공간 내에 자신이 원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배치하는 사용자일 수 있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가상공간의 종류 및 임대기간에 기반하여 임대료, 즉 차임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지급하는 사용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나 디자인의 가상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제작의뢰를 전송하고,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매칭한 제작자 단말(400)과 연결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의뢰 및 임대를 요청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부터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집하여 업로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가상공간 데이터를 분류 및 카테고리화하고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임대요청이 전송되면, 임대요청된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한 제작자 단말(400)로 임대료를 지급하고, 이에 대한 수수료를 공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가상현실 공간 제작자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가상공간을 생성한 후 백엔드에서 돌아가는 프로그램 외에 프론트엔드(End)에서 구동되는 이미지 화면, 즉 가상공간 이미지만을 업로드하고, 매칭이 된 경우 사용자 단말(100)에서 요청하는 가상현실 콘텐츠를 가상공간 내에 배치하는 작업을 하는 제작자 단말일 수 있다.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가상공간 데이터를 코드 자체를 업로드할 수도 있고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는 엑세스권만을 부여할 수도 있고 컴퓨터프로그램저작권을 완전히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시킬 수도 있으며, 이전되는 경우에는 임대료는 받지 못하는 단말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구축부(310), 요청부(320), 정산부(330), 할당부(340), 플랫폼구축부(350) 및 검색엔진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100) 및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구축부(310)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이 임차되는 경우, 임차된 임차기간 및 임차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 설정된 임대료를 정산받을 수 있다. 아카이브란 관련된 주제의 정보를 관리 및 보관하는 장소의 개념이지만 행위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구축부(310)에서 수집된 정보들을 정리하여 저장함으로써, 이후 구매자들이 손 쉽게 검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가상공간의 정보들은 체계적인 분류법에 의해 목록화 하여 열람가능하도록 관리해야 한다. 구축부(310)의 아카이브 관리는 각 제작자 단말(400)로부터 받은 컴퓨터 프로그램, 운영 체제, 컴퓨터 언어, 프로그래밍 언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 여러 종류의 플랫폼에서 동작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 또는 멀티 플랫폼(Multi-Platform)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축부(310)는, 제작자의 가상공간 데이터와 관련된 프로세스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이며, 가상공간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웨어하우징과 데이터마이닝 등의 지식과 기술을 보유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도 아카이브 관리를 수행하고 정보를 게재함으로써, 이후 구매자인 사용자가 손 쉽게 정보를 습득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가상공간의 임대시장을 활발하게 할 수 있다. 이때, 구축부(310)는, 하둡 분산 파일시스템(Hadoop Distributed File System, 이하 HDFS)을 이용할 수 있다. HDFS는 하둡을 구성하는 코어 프로젝트 중 하나로, 범용 하드웨어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파일시스템이다. HDFS는 마스터-슬레이브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마스터 역할을 하는 네임노드와 슬레이브 역할을 하는 데이터노드 두 종류로 구성되는 클러스터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네임노드는 파일시스템의 네임스페이스를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데이터 접근을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고, 주어진 파일에 대한 데이터 블록을 가지는 데이터노드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노드는 실제 데이터 블록을 저장하는 노드로, 클라이언트나 네임노드의 요청에 의해 데이터 블록을 저장 및 탐색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블록에 대한 정보를 네임노드에 주기적으로 보고하여 네임노드가 데이터 블록의 위치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노드에서의 데이터 읽기/쓰기는 블록 단위로 이루어지며, 블록은 기본 128MB로 디스크 블록에 비해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데이터 전송 시간에서 디스크 탐색 시간의 비용을 줄이기 위함이다. 범용 하드웨어의 사용을 가정하여 설계된 하둡은 데이터의 내고장성을 보장하기 위해 하나의 데이터 블록을 여러 데이터 노드에 복제하여 저장할 수 있다. 블록 복제본의 수는 Replication Factor로 설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고 기본적으로는 세 개의 복제본을 가질 수 있다. 이때, HDFS는 세 개의 복제본을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첫 번째 복제본은 로컬 랙의 노드에 저장하며, 두 번째 복제본은 첫 번째 복제본과 같은 랙의 다른 데이터노드에, 그리고 마지막 복제본은 다른 랙의 데이터노드에 저장할 수 있다. 하나의 데이터 노드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에 비해 랙의 하드웨어 실패의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에 HDFS에서는 위의 방식으로 블록 복제본을 위치시킴으로써 분산 파일시스템의 내고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
HDFS는, 플래시 메모리 저장장치 사용의 증가, 자주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를 위한 아카이브 저장소의 필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을 제공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아카이브(ARCHIVE), DISK, SSD, RAM_DISK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저장장치는 서로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는데, 아카이브 저장소로 이용되는 저장장치는 데이터 접근속도가 느리지만 단위 가격 당 저장 용량이 크다는 것, SSD는 하드디스크에 비해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보이며 특히 임의 데이터 접근 속도가 하드디스크에 비해 매우 빠른 특징을 보일 수 있다. HDFS에서는 각 저장장치의 특징을 잘 활용하기 위하여 이종 저장장치 환경에서 데이터 복제본이 저장될 저장장치를 결정하는 여섯 가지의 정책을 이용할 수 있으며, HDFS의 파일 또는 디렉토리 단위로 사용할 정책을 결정할 수 있다.
여섯 가지 정책 중 기본값(디폴트)으로 설정되어 있는 Hot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Cold 정책은 모든 데이터 복제본을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더 이상 이용되지 않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정책이다. Warm 정책은 하나의 복제본은 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은 ARCHIVE에 저장하는 정책으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와 접근되지 않는 데이터가 함께 있을 경우를 위한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하나의 복제본을 RAM_DISK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Lazy_Persist는 Replication Factor가 1일 때 효과적으로 동작하지만 2 이상일 때에는 DISK에 데이터 블록이 쓰이는 것을 기다려야하기 때문에 많은 성능 향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All_SSD는 모든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는 정책이며, One_SSD는 하나의 복제본을 SSD에 저장하고 나머지 복제본을 DISK에 저장하는 정책이다. 상술한 정책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를 실시예에 따라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가능한 정책은 상술한 정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요청부(320)는,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자는, 매칭 후 임대한 가상공간에 배치할 자신의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할 인력이나 설비가 없는 경우, 제작자 단말(400)로 자신이 원하는 가상현실 콘텐츠의 제작 및 임대한 가상공간에 배치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선택된 가상공간을 임차할 임차기간을 지정하여 임대차 계약을 요청하며, 임차기간 및 임차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를 지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로 사용자 단말(100)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은, 전시장, 공연장, 컨퍼런스 공간, 교육공간, 모델하우스 및 오피스를 포함하는 공간일 수 있으나 나열된 것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정산부(33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임대료가 입금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 임대료를 정산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은, 개인, 회사 및 단체를 포함하는 일반 제작자 또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전문 제작자의 단말일 수 있다. 즉, 개인이어서 브랜드 밸류가 없다고 할지라도 능력 및 그 성과만 좋다면 개인도 기업을 떠나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이때, 저작물은 그 정의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나 영상, 음원, 연극, 공연, 컴퓨터프로그램, 디자인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또, 대부분의 저작물이나 컴퓨터프로그램은 한 사람에 의해 제작된다기보다는 다수의 사람이 참여 및 공동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정산부(330)는, 저작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다수의 제작자가 참여하여 실제 각 참여자 간 계약과정과 실제작업을 수행하는 모든 결과를 블록체인 내 블록정보로 저장하도록 한다. 저작물이나 디자인권의 분쟁은 창작자가 참여한 저작물에 대한 지분 또는 제작자 간 계약 수행 후 실제 작업과정에서의 불미스러운 일로 발생하는 계약 간 문제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분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기 위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계약 기술을 이용할 수 있고, 분쟁이 발생할 때 블록체인 내 블록에 저장된 각종 계약과 업무 기록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사실 유무를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분쟁의 해결과 저작물에 대한 수익의 공유와 분배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작물에 대한 스마트 계약의 유형에 따라, 개인 대 개인, 개인 대 그룹 또는 그룹 대 그룹이 존재한다. 저작물의 경우 메이저 기획사 또는 기업에서 자신들이 보유 및 연계되어 있는 하청기업 또는 프리랜서 등을 통하여 계약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룹 대 개인으로 수행하는 것이 대부분이나, 최근에는 1인 프리랜서 디자이너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개인 대 개인 형태의 계약 유형도 증가하고 있다. 가상공간 데이터에 대한 제작을 발주하고 제작시 계약되는 과정과 이에 대한 블록체인 생성과정은, 기획, 프로그램 코딩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참여자들 간의 개인 대 그룹 또는 개인 대 개인 형태의 계약 형태이나, 개인 대 그룹의 계약 형태는 블록이 생성되는 과정이나 파생되는 과정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법적으로 ① 2 명 이상의 당사자가 있어야 하고, ② 일방 당사자로부터 다른 당사자로의 자산이전과 관련되고, ③ 그 이행(implementation)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일단 계약이 개시(initiated)된 이후에는 인간의 개입이 요구되지 않는 계약개념이다. 이러한 면에서 살펴보면 계약법적 요소로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알고리즘 계약의 일종인데, 알고리즘 계약에서는 일방 당사자 또는 쌍방 모두가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약의 체결 여부 및 조건을 결정하기로 약속한다. 그러나 스마트계약은 탈중앙화된 자율조직의 일종인 DAO(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를 구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알고리즘 계약과 구분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스마트 컨트랙트는 인간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당사자의 신뢰를 중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계약의 가장 큰 약점이라 할 수 있는 계약의 불이행 문제가 상대방의 신용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그래밍된 조건의 성취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소위 조건부 계약(conditional nature)의 일종이다.
스마트 컨트랙트의 트랜잭션(Transaction)은, ①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② 코드 서명, ③ 블록체인 저장, ④ 거래실행 순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와 그 결과는 트랜잭션에 포함되어 체인으로 연결된 블록(Block)에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저장되어 모든 참여자가 거래정보를 공유하게 되며, 거래내역과 계약내용은 추가나 변경 없이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에 상호 독립적으로 보관된다. 여기서 참여자들은 공개키 암호화 방식으로 만들어진 지갑 주소(Wallet address)를 블록체인과 연동하여 계약을 체결하고 전자서명을 하게 된다. 스마트 컨트랙트 트랜잭션은 계약의 수행을 네트워크상에서 실행하거나 입증이 쉽고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컴퓨터 프로토콜(Protocol)이다. 이러한 트랜잭션은 추적이 가능하지만, 거래기록을 이전의 상태로 되돌리거나 변경할 수 없는 불가역성을 가진다. 이때, 튜링-완전(Turing-completeness), 가치 인지능력(value-awareness), 블록체인 인지능력(blockchain-awareness), 상태(state) 개념 등이 포함된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할당부(340)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한 키워드에 매칭되는 가상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제작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 제작요청 이벤트의 승낙여부를 요청하고,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 중 어느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에서 제작요청 이벤트를 승낙하는 경우 제작자 단말(400)로 제작요청 이벤트를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제작요청 이벤트의 결과로 제작자 단말(400)에서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업로드된 가상공간 데이터는 임대가능 가상공간으로 가상공간 아카이브에 저장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제작의뢰를 했다고 할지라도 이에 대한 지적재산권에 대한 귀속을 사용자에게 귀속시키지 않고 제작자에게 둠으로써, 제작자는 이로 인한 수익창출을 할 수 있고, 사용자는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니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에 제작 의뢰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플랫폼 제공부(350)는, 제작자 단말(400)에서 제작 및 업로드한 가상공간 데이터 내에 사용자 단말(100)이 배치할 가상공간 아이템을 편집 및 결과물이 공유되도록 크로스 플랫폼(Cross F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크로스 플랫폼은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Java를 이용하는 경우 다수에 의한 작업물들이 하나의 플랫폼 내에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Back-End 개발은, 구현될 클라이언트의 플랫폼과는 독립적으로, 하나의 프로그래밍 환경으로 구성할 수 있지만, 대다수의 Front-End GUI 개발은 각각의 플랫폼에 종속적으로 구성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개발환경을 하나로 통합하기 위하여, Fragmentation된 Front-End GUI 개발 방법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크로스 플랫폼으로 알려진 소스코드나 언어를 통일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크로스 플랫폼 내에서 제작을 하도록 할 수도 있다.
Native Emulation방식의 GUI 프레임워크에 기반하여, 공통된 레이아웃 코드와 리소스들을 직접 컴파일 하여 Native Code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크로스 플랫폼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구현하고자 하는 시스템의 각 부분은 복수의 Layer로 구분할 수 있다. Resource Layer에서는 개발자가 정의한 XML으로 된 Layout과 Javascript로 구현된 View의 콜백 함수 구현(Constructor, Getter, Setter, 조작을 위한 Method 등), 비트맵, 벡터 이미지 리소스와 같은 내용을 파싱하고, 타겟 환경에 맞게끔 변환할 수 있다. Component Layer에서 제작자가 구현한 Custom View들을 프레임워크에서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Primitive View로 변환하고, 리소스 참조를 수행하여 중간코드로 바꾸어 줄 수 있다. Intermediate Layer에서는 중간코드를 각 디바이스의 환경에 맞는 코드로 대응시켜 변환할 수 있고, 최종적으로 Platform Layer에서는 컴파일 된 코드를 해당 디바이스 읽어와 Native View로 구현하기 위한 Native Library를 제공할 수 있다. Resource Layer 에서는 각 화면 또는 컴포넌트의 Layout을 구조적 문법인 XML 포맷을 이용하여 주종 관계와 어트리뷰트를 기술하면 Layout Parser가 View Tree구조로 변환하고, 각 플랫폼에서 사용될 리소스를 참조하기 용이하도록 기기에 맞도록 변환하고, 참조테이블인 Resource Table로 변환할 수 있다.
GUI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다른 레이아웃을 참조하거나, 다른 View를 참조하거나, 다른 이미지 또는 벡터를 참조하거나, 사전 정의된 색상, 스타일, 크기 등을 참조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따라서 Layout Parsing 과정에 앞서서 우선 이미지와 스타일을 컴파일하는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벡터방식의 이미지는 단일 사이즈로 여러 타겟 사이즈의 비트맵을 많이 만들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타겟 디바이스에 따라 지원이 될 수도, 안 될 수도 있다. 따라서 공통적인 지원을 위해서 벡터 이미지를 각각 타겟 환경 Metric에 맞는 벡터로 1차적으로 변환하고 이미지를 생성하며(Vector Inflate), 비트맵 이미지들도 각각의 Metrics에 맞도록 변환할 수 있다(Mipmapping). 그 이후 XML을 바탕으로 정의된 스타일과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묶어서 Resource Table로 정의하여, 이후 Layout Parser에게 제공할 수 있다.
레이아웃 파싱(Layout Parsing)에 대해 설명한다. 레이아웃은 XML로 구현되어 각각의 View끼리의 포함 관계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View 내부에 XML Attribute로 Size, Margin, Padding, Style, Color, Value와 같은 Style Attributes를 정의할 수 있는데, 이때 다른 리소스나 레이아웃의 ID를 참조하게 되는 경우 선후관계에 의하여 참조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우선 string 형식으로 객체에 저장 해놓고, 추후 Component Layer에서 Resource Table을 참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컴포넌트 레이어(Component Layer)를 설명한다. Layout Parser로부터 전달 된 View-Tree의 아이템을 깊이 우선 탐색을 통해 순회하면서 기 정의된 Primitive View로만 구성 될 수 있도록 View Tree를 생성하고, 이와 동시에 스타일과 컬러, 크기와 같은 사전 정의된 value들을 직접 어트리뷰트에 대입하여 파싱을 용이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Dropdown Button과 같은 커스텀 컴포넌트는 Primitive View를 이용하여 정의된 또 다른 레이아웃이다. 최종적으로 모든 레이아웃을 파싱하여 Primitive View로 구성하고 나면 모든 플랫폼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간코드가 생성된다.
중간 레이어(Intermediate Layer)를 설명한다. Intermediate Layer에서는 작성된 중간코드를 읽어 들여서, 각각의 플랫폼에 구현되어 있는 기본 View 또는, 사용자 정의View로 매핑하고, 어트리뷰트로부터 해당 View 객체의 값들을 설정한다. 또한 Javascript로 정의된 View의 Interface 함수나 생성자등을 해당 View객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Bind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ropdown Button에는 생성자에서 입력받은 텍스트와 드롭다운 이미지에 맞는 View구성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내용을 Javascript에서 정의하면 실제 뷰가 구현되면서 해당 자바스크립트를 프레임워크 내부에 내장된 Javascript Engine으로 호출하게 된다.
플랫폼 레이어(Platform Layer)를 설명한다. 이 레이어에서는 최종 완성된 컴파일 코드를 위하여 필요한 기능들을 해당 디바이스 환경에 맞는 코드로 구현하여 라이브러리로 제공하는 단계다. 이 과정 중 View를 직접 화면에 로드할 때, 또는 Interface 함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구현한 View의 Javascript를 자체에 내장된 Javascript Engine을 통해 구동하여 결과 값을 제공 또는 처리해준다. 예를 들어 View가 로드되었을 때 특정 Javascript를 실행하여 View를 로드할시 동적으로 구성할 수 있게끔 해주며, View의 특정 Property에 접근 할 수 있도록 Getter와 Setter를 제공해주기 위하여 별도 내장된 Javascript Engine을 통해 Bridging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크로스 플랫폼 이외에도 다양한 상용가능한 크로스 플랫폼이 적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환경에서 개발하는 개발자의 환경이나 언어 등에 따라 다른 프로그램 소스들을 모듈화하여 구동시키는 구성을 더 이용할 수도 있고,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열거되지 않은 이유로 배제되지 않는다.
검색엔진부(360)는, 가상공간 아카이브의 종류에 따라 태그를 태깅하여 분류 및 카테고리화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검색을 위한 키워드가 입력될 때 입력된 키워드와 태그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검색엔진부(360)는, 가상공간 아카이브의 RGB 색상 조합에 따른 디자인 키워드를 라벨링하여 사용자 단말(100)에서 디자인 컨셉에 대응하는 형용사를 입력하는 경우, 유사도에 기반하여 제공된 검색 결과 중 형용사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디자인 키워드를 가지는 결과물을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동차 전시장을 필요로 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자동차"와 "전시장"의 키워드를 검색어로 넣어 검색을 할 수 있다. 여기서, 검색엔진부(360)는, "자동차AND전시장"의 검색어로 검색을 실시하게 되고, "자동차"와 "전시장"의 키워드나 태그를 가지고 있는 가상현실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보여주게 된다. 이때, 자동차 전시장이라도 그 디자인이나 색조합(RGB 조합)에 따라 느끼는 감성이 서로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깔끔한", "역동적인" 등의 형용사 검색어는 RGB 색조합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디자인 컨셉), 이에 대응하는 검색까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성기반 이미지 검색을 위하여 감성을 어휘로 표현하여 감성간의 유사도 측정을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고, 시각정보와 감성어휘간의 관계를 이용한 온톨로지(ontology)를 구축하여 시각정보 중 하나인 형태와 감성어휘간의 관계를 표현하기 위한 감성공간을 설계하였으며 이를 오브젝트 검색에 응용할 수도 있다. 또는, 션(Seon)의 감성평가모델(KANSEI Evaluation Model), 콜롬보(Colombo)의 컬러를 이용한 감성기반 예술영상검색, 다카키(Takaki)의 심리적 공간설계를 통한 검색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검색 방법은 시각정보 중 한 가지의 특징만을 고려하였다. 예를 들어 컬러와 감성과의 관계 정의, 이를 통한 공간 생성과, 컬러의 저차원(low-level) 특징들을 이용한 감성의 유사도 측정인데, 그 이외의 시각정보나 두 가지 이상의 시각정보가 복합된 감성을 검색하는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인간이 눈으로 보는 사물이나 이미지들은 단일의 시각정보, 예를 들어 색상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다시 말해서, 하나의 시각정보 특징만으로 사물이나 이미지의 감성을 정의하는 것은 너무나 단편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므로 인간의 감성에 적합한 정보검색을 위하여 이미지 내의 여러 시각정보를 고려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색엔진부(360)는, 복합시각정보에 대한 감성처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복합시각정보의 감성처리를 위하여 시각정보 중 컬러와 형태를 동시에 고려한다. 이를 위 하여 먼저 두 정보(컬러와 형태)의 감성을 정의한다. 감성 정의를 위하여 인간의 고차원 정보(high-level)인 어휘를 사용하며, 컬러와 형태를 표현하는 수많은 감성어휘 중 두 정보를 모두 표현할 수 있는 공통어휘를 정의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감성어휘가 컬러의 감성과 형태의 감성을 동시에 표현한다. 이러한 복합시각정보에 대한 감성어휘를 정의하기 위해 휴랫 팩커드(Hewlett-Packard)의 컬러의 의미(Meaning of color)와 시각정보와 감성어휘간의 관계를 이용한 온톨로지 구축의 일부인 형태-감성어휘 스케일을 이용하기로 한다.
컬러의 감성으로 휴렛 팩커드의 컬러의 의미는 이하 표 1과 같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Color Meaning of Color
Lavender enchanting, nostalgic, delicate, floral, sweet, fashionable
Blue true, healing, tranquil, stabile, peaceful, harmonic, wise, trustable, calm, confidential, protective, secure, loyal
Fuchsia hot, sensual, exciting, bright, funny, energetic, feminine
컬러에 대한 의미가 감성어휘로 표현되는데, 컬러정보에 대하여 이를 이용한 이유는 주변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으며 사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색들을 선별하여 정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시각정보 중 형태에 대한 감성처리를 위해 감성어휘 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다. 보여지는 형태에 따른 감성어휘 스케일을 기반으로 컬러-감성어휘와 형태-감성어휘에서 공통 어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된 어휘를 대표감성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각 대표감성들은 컬러와 형태의 속성을 갖는다. 각 감성어휘에 해당되는 컬러 속성이 복수개인 경우 속성 간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는다. 하지만, 형태 속성에는 우선순위를 부여한다. 이는 각 시각 정보와 감성의 관계에서 정의되는 특징 때문이다. 컬러의 의미에서는 각 의미에 대한 순위가 없지만 형태에 대한 감성 스케일에서는 감성어휘와 형태간의 거리가 존재하며 거리는 형태와 감성의 유사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형태의 속성 범위를 정의하기 위해 스케일을 클러스터링(Clustering)하여 대표감성이 포함된 그룹만을 고려할 수 있다.따라서, 대표감성의 두 가지 속성 중 컬러에 대한 감성 가중치는 모두 같은 값이지만 형태에 대한 감성 가중치는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차등하게 정의할 수 있고 이는 이하 표 2와 같다.
KANSEI Color Shape
pure light blue[0.5] rounded triangle[0.5]
rounded polygon[0.4]
natural green[0.5] ellipse[0.5]rectangle[0.4]
dynamic bright red[0.5] polygon[0.5]halfcircle[0.4] square[0.3]rounded rectangle[0.2] circle[0.1]
elegant burgundy[0.5] half circle[0.5] rounded rectangle[0.4]
circle[0.3] square[0.2] polygon[0.1]
warm beige[0.5]
orange[0.5]
terra-cotta[0.5]
circle[0.5] square[0.4]
rounded rectangle[0.3]
polygon[0.2] half circle[0.1]
classic beige[0.5]
olive
green[0.5]
neutral
gray[0.5]
polygon[0.5] square[0.4] circle[0.3]
rounded rectangle[0.2] half circle[0.1]
hopeful green[0.5]
bright
yellow[0.5]
half circle [0.5] rounded rectangle[0.4]
circle [0.3] square[0.2] polygon[0.1]
대표감성을 표현한 어휘와 각 감성의 속성인 컬러와 형태를 정의하고,각 속성 옆[ ]의 수치는 사용자 감성에 대한 정보량을 측정하기 위한 감성가중치를 나타낸다. 대표감성의 컬러 속성에 대한 가중치는 모두 0.5로 일정하지만 형태에 대한 가중치의 기준은 우선순위를 기준으로 0.1의 차를 둘 수 있다. 검색을 위한 이미지내의 컬러와 형태, 두 가지 정보의 감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감성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사용자의 감성에 적합하고 합당한 검색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내의 이미지에 대한 감성정보량을 측정한다. 다시 말해서 감성을 표현하는 사용자 질의에 가장 유사도가 높은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한 처리 방법이다. 절차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원하는 감성에 대한 질의가 주어지면 시스템은 대표감성을 선택하기 위해 어뎁티브래스크 알고리즘(Adaptive Lesk Algorithm)을 이용한다. 이 알고리즘은 단어의 의미(Sense)와 단어간의 관계를 이용하여 어휘가 갖는 의미에 대한 유사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어휘간의 유사도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주는 질의가 대표감성 중 가장 의미적으로 가까운 감성이 무엇인지 선택한다. 질의에 가장 가까운 감성이 선택되면 그 감성의 시각정보와 이미지의 유사도 측정 단계를 거친다.
컬러간의 유사도 측정은 컬러히스토그램(color histogram)을 이용하며, 형태의 유사도 측정은 감성기반 형태-유사도 측정으로 제안했던 어뎁티브 접선공간표현(Adaptive TSR)을 사용할 수 있다. 각 단계를 거쳐 각 이미지가 가지는 감성정보량을 측정하는데, 정보량 측정 수학식은 이하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pat00001
이때, K는 대표감성, I는 데이터베이스 내의 가상공간의 이미지를 말한다. 여기서, Simcolor_i는 Kcolor_i와 Icolor 간의 유사도이고(컬러히스토그램 기반), Simshape_j는 Kshape_j와 Ishape_j 간의 유사도(어뎁티브 접선공간표현(Adaptive TSR) 기반)이다. 이때, Kcolor는 대표감성의 색상, Icolor는 가상공간의 이미지의 색상, Kshape는 대표감성의 형태, Ishape는 가상공간의 이미지의 형태이다. 이미지 정보량 측정은 사용자의 감성에 부합되는 이미지를 검색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척도가 되며 이미지 내의 컬러와 형태, 두 가지의 감성을 동시에 고려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감성정보량(KIC)이 클수록 사용자의 감성에 적합한 우선순위를 갖는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및 도 4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로부터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받고 이를 아카이브에 저장한다. 그리고, (b)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갤러리 가상공간을 임대하고자 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이에 대응하는 임대기간당 및 종류에 따른 가격을 전송하고, (c) 입금이 완료되면 가상공간을 사용하는 임대료를 제공하고 수수료를 받을 수 있다. 그리고, (d)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100)이 요청한 가상공간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이를 제작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400)을 추출하여 매칭을 해주며, 도 4와 같은 구조로 임대인인 제작자와 임차인인 사용자 간을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코로나 19(COVID-19)로 인하여 온라인 및 재택근무 사태가 장기화되고 있고, 사람 간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마케팅이 늘어나고 있으며, 수요자 입장에서도 신제품 출시에 한 번만 사용할 가상공간을 인력, 시간 및 비용을 들여 만든다는 것이 비경제적이고, 이를 유지관리할 인력, 시간 및 비용이 없다면 폐기처분되는 것이 대부분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기업에서 신제품 출시할 때 신제품을 가상공간을 통하여 선보이려할 때 한 달 뒤면 필요없어질 가상공간을 만들기 위해 많은 돈을 쓰고 시간을 지체하기보다는 한 달만 임대하여 쓴다면 비용, 인력 및 시간 등의 손실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이며, 공유경제의 개념에도 부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4의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포함된 각 구성들 상호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통해 각 구성들 상호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의 일 예를 설명할 것이나, 이와 같은 실시예로 본원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며, 앞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데이터가 송수신되는 과정이 변경될 수 있음은 기술분야에 속하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고(S5100),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한다(5200).
또,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서 임대료가 지급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한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한다(S5300).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S5100~S5300)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되거나 삭제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5의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를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이 임차되는 경우, 임차된 임차기간 및 임차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기 설정된 임대료를 정산받는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상공간을 임차할 임차기간을 지정하여 임대차 계약을 요청하며, 상기 임차기간 및 임차한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를 지급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구축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상기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상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하는 요청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임대료가 입금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하는 정산부를 포함하는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은, 상기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로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중개가 이루어지는 경우 기 설정된 수수료를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은, 전시장, 공연장, 컨퍼런스 공간, 교육공간, 모델하우스 및 오피스를 포함하는 공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한 키워드에 매칭되는 가상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제작요청 이벤트가 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 상기 제작요청 이벤트의 승낙여부를 요청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 중 어느 하나의 제작자 단말에서 상기 제작요청 이벤트를 승낙하는 경우 상기 제작자 단말로 제작요청 이벤트를 할당하는 할당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요청 이벤트의 결과로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경우, 상기 업로드된 가상공간 데이터는 임대가능 가상공간으로 상기 가상공간 아카이브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은, 개인, 회사 및 단체를 포함하는 일반 제작자 또는 상기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운영하는 전문 제작자의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제작자 단말에서 제작 및 업로드한 가상공간 데이터 내에 상기 사용자 단말이 배치할 가상공간 아이템을 편집 및 결과물이 공유되도록 크로스 플랫폼(Cross Flatform)을 제공하는 플랫폼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공간 아카이브의 종류에 따라 태그를 태깅하여 분류 및 카테고리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검색을 위한 키워드가 입력될 때 상기 입력된 키워드와 상기 태그 간의 유사도에 기반하여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검색엔진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엔진부는,
    상기 가상공간 아카이브의 RGB 색상 조합에 따른 디자인 키워드를 라벨링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디자인 컨셉에 대응하는 형용사를 입력하는 경우, 상기 유사도에 기반하여 제공된 검색 결과 중 상기 형용사에 대응하여 라벨링된 디자인 키워드를 가지는 결과물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제작자 단말로부터 업로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수신하여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가상공간이 선택되고, 상기 임차기간이 지정되는 경우 상기 임차기간 및 임차할 가상공간의 종류에 기 매핑되어 저장된 임대료의 지급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임대료가 지급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선택한 종류의 가상공간 데이터를 업로드한 제작자 단말로 임대료를 정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00067739A 2020-06-04 2020-06-04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402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39A KR102402026B1 (ko) 2020-06-04 2020-06-04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739A KR102402026B1 (ko) 2020-06-04 2020-06-04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838A true KR20210150838A (ko) 2021-12-13
KR102402026B1 KR102402026B1 (ko) 2022-05-25

Family

ID=7883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739A KR102402026B1 (ko) 2020-06-04 2020-06-04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202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521B1 (ko) * 2022-03-25 2023-02-10 유진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오피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01965B1 (ko) * 2022-03-16 2023-02-21 이상민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장치 및 그들의 작동 방법
KR102566279B1 (ko) * 2022-10-20 2023-08-16 주식회사 스페이스시프트 실감형 360vr 인테리어 공간 객체내 인테리어 마감재가 함께 구동되는 화면공유형 웹 360vr 인테리어 공간형성장치 및 방법
KR102597299B1 (ko)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28460B1 (ko) * 2022-11-14 2024-01-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위한 가상 공간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633816B1 (ko) * 2023-03-03 2024-02-05 주식회사 숲페이드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65B1 (ko) * 2000-07-19 2003-10-10 최형욱 3차원 머드게임에서 정보제공, 광고 및 전자상거래가가능한 3차원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9059091A (ja) * 2007-08-30 2009-03-19 Sega Corp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方法及び仮想空間提供プログラム
KR20120102304A (ko) * 2011-03-08 2012-09-18 이상문 가상공간 구현시스템 및 그 가상공간 구현방법
KR101494669B1 (ko) * 2014-08-14 2015-02-23 이호준 공간 대여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00038023A (ko) * 2018-10-02 2020-04-10 신효미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1165B1 (ko) * 2000-07-19 2003-10-10 최형욱 3차원 머드게임에서 정보제공, 광고 및 전자상거래가가능한 3차원 가상공간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이방법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JP2009059091A (ja) * 2007-08-30 2009-03-19 Sega Corp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サーバ、仮想空間提供方法及び仮想空間提供プログラム
KR20120102304A (ko) * 2011-03-08 2012-09-18 이상문 가상공간 구현시스템 및 그 가상공간 구현방법
KR101494669B1 (ko) * 2014-08-14 2015-02-23 이호준 공간 대여 중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서버
KR20200038023A (ko) * 2018-10-02 2020-04-10 신효미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965B1 (ko) * 2022-03-16 2023-02-21 이상민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서버, 장치 및 그들의 작동 방법
WO2023177201A1 (ko) * 2022-03-16 2023-09-21 이상민 상업화 모델 구현을 위한 메타버스 시스템 구현 장치 및 그 작동 방법
KR102498521B1 (ko) * 2022-03-25 2023-02-10 유진 메타버스 기반 가상 오피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566279B1 (ko) * 2022-10-20 2023-08-16 주식회사 스페이스시프트 실감형 360vr 인테리어 공간 객체내 인테리어 마감재가 함께 구동되는 화면공유형 웹 360vr 인테리어 공간형성장치 및 방법
KR102628460B1 (ko) * 2022-11-14 2024-01-23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메타버스를 위한 가상 공간 검색 방법 및 시스템
KR102597299B1 (ko) * 2022-11-25 2023-11-06 주식회사 웹코넛 메타버스 임대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633816B1 (ko) * 2023-03-03 2024-02-05 주식회사 숲페이드 인공지능에 기반한 복합 문화 공간 구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2026B1 (ko)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2026B1 (ko) 가상공간 아카이브를 이용한 가상공간 임대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2424766B (zh) 数据交换
Andersson et al. The configuration of actors in market practice
US9189501B2 (en) Semantic model of everything recorded with UR-URL combination identity-identifier-addressing-indexing method, means, and apparatus
Burda et al. Sustaining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through digital preservation: A literature review
Ding et al. Application of cloud storage on BIM life-cycle management
KR20200030252A (ko) 예술 작품 제공 장치 및 방법
CN104111966A (zh) 用于动态地同步技术环境中的元素的方法和系统
Dhargalkar et al. A universal new product development and upgradation framework
CN113994319A (zh) 在远程部署之间共享复制
Bosma et al. The gentrification of Airbnb: Closing rent gaps through the professionalization of hosting
US114814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delivery of shoppable content data
Burrows The History and Provenance of Manuscripts in the Collection of Sir Thomas Phillipps: New Approaches to Digital Representation
KR20220108914A (ko) 인테리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Kim et al. Three-dimensional visualized space and asset management system for large-scale airports: The case of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KR102224782B1 (ko) 지역 콘텐츠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697290B1 (ko)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는 웹사이트 제작 방법 및 시스템
Johnson et al. Digital Exhibits to Digital Humanities Expanding the Digital Libraries Portfolio
Antopolskii et al. Setting up the modern digital infrastructure for the storage and analysi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formation
KR102312481B1 (ko)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동영상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oukopoulos et al. Intelligent management of outdoor cultural events promoting exploitation in smart city environments
US20230252179A1 (en) Organizing, discovering and evaluating marketplace datasets and services by industry business needs
Calhoun Making the unseen visible: The RISD acme video collection
US20220398258A1 (en) Virtual private data lakes and data correlation discovery tool for imported data
US2023011748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rging a two or more multi-level marketing system into a multi-line multi-level marketing system and simulating sponsorship of new memb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