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393B1 -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393B1
KR102633393B1 KR1020230009739A KR20230009739A KR102633393B1 KR 102633393 B1 KR102633393 B1 KR 102633393B1 KR 1020230009739 A KR1020230009739 A KR 1020230009739A KR 20230009739 A KR20230009739 A KR 20230009739A KR 102633393 B1 KR102633393 B1 KR 10263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finger
wearing body
stabilizer
activ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9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근
박효준
Original Assignee
박효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준 filed Critical 박효준
Priority to KR1020230009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393B1/ko
Priority to US18/420,939 priority patent/US20240245541A1/en
Priority to KR1020240014664A priority patent/KR20240117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8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arms,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8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 A61F5/0587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arms f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2005/0197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with spr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손가락이 신전되는 제1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능동 운동용 탄성부; 및 상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능동 운동용 탄성부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가락이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ASSIST DEVICE FOR ACTIVE FINGER MOVEMENT}
본 발명은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손은 인체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가장 취약한 신체 부위이다. 이러한 손은 세밀한 감각과 섬세한 조작으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지만, 인체에서 많이 사용됨에 따라 부상이 자주 발생한다.
2009년 미국의 통계 조사에 따르면, 손의 부상에 있어서, 손가락의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손가락의 골절은 손가락의 관절 강직, 손가락의 부정유합, 손가락의 불유합 및 감염과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 중 손가락의 관절 강직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편이다. 이러한 손가락의 관절 강직은 치료가 매우 어려운 편이다.
손가락의 골절을 치료하기 위하여, 손가락의 골절 부위에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이나 또는 인대봉합술이 시행된 경우, 손가락의 근위지 관절이 약 30° 굴곡돤 상태로 굳어지는 신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의 골절 부위에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이 시행되거나 또는 인대봉합술이 시행된 경우, 손가락을 적절한 시기동안 고정한 후, 손가락의 골절 부위의 전위 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손가락의 관절 강직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손가락 부목 기구는 손가락을 적절한 시기동안 고정할 수 있으나,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6812호(2014년03월26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의 고정과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는 손가락이 신전되는 제1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능동 운동용 탄성부; 및 상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능동 운동용 탄성부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가락이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손가락의 원위부에 착용되는 제1착용바디; 및 상기 제1착용바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가락의 중앙부에 착용되는 제2착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용바디와 상기 제2착용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착용바디의 상기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1회전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회전제한부는, 상기 제1착용바디의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착용바디의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조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2착용바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손가락의 근위부에 착용되는 제3착용바디; 및 상기 제2착용바디와 상기 제3착용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2착용바디의 상기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2회전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착용바디의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3착용바디의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2보조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는 복수의 스탠다드용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는 복수의 과신전용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능동 운동용 탄성부는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는 복수의 상기 스탠다드용 고정돌기, 복수의 상기 과신전용 고정돌기 및 복수의 상기 능동 운동용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착용바디와 상기 제2착용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2착용바디와 상기 제3착용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착용바디에는 제1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착용바디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제2트랙과 제2보조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3착용바디에는 제3트랙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트랙과 상기 제2트랙을 따라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2보조트랙과 상기 제3트랙을 따라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는 손가락의 고정과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서 제2링크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굽힙용 탄성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에 굽힙용 탄성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의 제1착용바디와 제2착용바디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의 제1착용바디와 제2착용바디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의 제1착용바디와 제2착용바디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향 표시에 있어서, 제1방향은 시계방향 일 수 있고, 제2방향은 반시계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전방, 후방은 각각 도면 상의 전후방향, 전방, 후방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서 제2링크(46)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굽힙용 탄성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에 굽힙용 탄성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는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 능동 운동용 탄성부(30) 및 착용부(40)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부(40)를 수평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은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결합된 경우,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관절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핀(미도시)과 손가락의 관절 간에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복수의 스탠다드용 고정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스탠다드용 고정돌기(11)는 후술할 착용부(40)의 복수의 고정홈(4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탠다드용 고정돌기(11)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스탠다드용 고정돌기(11)는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후술할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를 따라 결합되어,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를 수평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부(40)를 제1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때,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은 과신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결합된 경우,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과신전이 필요한 말렛 핑거(Mallet Finger) 증상을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의 회전 범위를 15˚ 내지 20˚ 이내로 제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말렛핑거 대응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예로,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손가락이 신전되는 제1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의 전방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의 후방보다 제1방향으로 더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복수의 과신전용 고정돌기(2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과신전용 고정돌기(21)는 후술할 착용부(40)의 복수의 고정홈(4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과신전용 고정돌기(21)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과신전용 고정돌기(21)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후술할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를 따라 결합되어,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를 제1방향으로 절곡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착용부(40)에 제1방향의 반대방향이며 손가락이 굽혀지는 제2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은 능동 운동용 탄성부(30)의 탄성력에 의해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보조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능동 운동용 탄성부(3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경우,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관절 강직과 구축 방지를 위한 동적 운동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이 회전되는 범위를 130˚ 이내로 한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일 예로,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31)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31)는 후술할 착용부(40)의 복수의 고정홈(4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31)는 판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31)는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후술할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를 따라 결합되어,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및 제3착용바디(44)에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착용부(40)는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 및 능동 운동용 탄성부(3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가락이 착용될 수 있다.
착용부(40)는 제1착용바디(41), 제2착용바디(42), 제1회전제한부(43), 제3착용바디(44) 및 제2회전제한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착용바디(41)는 손가락의 원위부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착용바디(41)의 후방은 후술할 제2착용바디(42)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착용바디(42)는 제1착용바디(4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가락의 중앙부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착용바디(42)의 전방은 제1착용바디(41)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제2착용바디(42)의 후방은 제3착용바디(44)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는 제1링크(45)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링크(45)는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착용바디(41)의 후방에는 제1트랙(41a)이 형성되고, 제2착용바디(42)의 전방에는 제2트랙(42a)이 형성되며, 제1링크(45)의 양측은 제1트랙(41a)과 제2트랙(42a)을 따라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는 제1링크(45), 제1트랙(41a) 및 제2트랙(42a) 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는 제1링크(45), 제1트랙(41a) 및 제2트랙(42a) 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회전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링크(45)의 양측에는 각각 다단 형태의 한 쌍의 제1삽입축(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제1삽입축이 각각 제1트랙(41a)과 제2트랙(42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회전제한부(43)는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에 마련되어, 제1착용바디(41)의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회전제한부(43)는 제1경사부(43a) 및 제1보조경사부(4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부(43a)는 제1착용바디(41)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착용바디(41)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후방 일측은 제1착용바디(41)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후방 상측일 수 있다.
제1보조경사부(43b)는 제2착용바디(42)의 제1착용바디(41)에 대향하는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착용바디(42)의 제1착용바디(41)에 대향하는 전방 일측은 제2착용바디(42)의 제1착용바디(41)에 대향하는 전방 상측일 수 있다.
이러한 제1경사부(43a)와 제1보조경사부(43b)가 제1착용바디(41)의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제1착용부(40)와 제2착용부(40)가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제1착용바디(41)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며 제2착용바디(42)에 접근될 때 제1착용바디(41)에 마련된 제1경사부(43a)가 제2착용바디(42)에 마련된 제1보조경사부(43b)와 접촉됨에 따라, 제1착용바디(41)의 제1방향의 회전 범위가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제3착용바디(44)는 제2착용바디(4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손가락의 근위부에 착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착용바디(44)의 전방은 제2착용바디(42)의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는 제2링크(46)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링크(46)는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착용바디(42)의 후방에는 제2보조트랙(42b)이 형성되고, 제3착용바디(44)의 전방에는 제3트랙(44a)이 형성되며, 제2링크(46)의 양측은 제2보조트랙(42b)과 제3트랙(4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는 제2링크(46), 제2보조트랙(42b) 및 제3트랙(44a) 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서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는 제2링크(46), 제2보조트랙(42b) 및 제3트랙(44a) 간의 결합 관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링크(46)의 양측에는 각각 다단 형태의 한 쌍의 제2삽입축(46a)이 마련될 수 있고, 이러한 한 쌍의 제2삽입축(46a)이 각각 제2보조트랙(42b)과 제3트랙(44a)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회전제한부(47)는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에 마련되어, 제2착용바디(42)의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제2회전제한부(47)는 제2경사부(47a) 및 제2보조경사부(47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부(47a)는 제2착용바디(42)의 제3착용바디(44)에 대향하는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착용바디(42)의 제3착용바디(44)에 대향하는 후방 일측은 제2착용바디(42)의 제3착용바디(44)에 대향하는 후방 상측일 수 있다.
제2보조경사부(47b)는 제3착용바디(44)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3착용바디(44)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전방 일측은 제3착용바디(44)의 제2착용바디(42)에 대향하는 전방 상측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과정은 사용자나 로봇팔이 진행할 수 있다.
우선, 착용부(40)에 관혈적 정복술 및 내고정술이나 또는 인대봉합술이 시행된 손가락이 결합된 경우,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관절에 고정된 복수의 고정핀(미도시)과 손가락의 관절 간에 결속력이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로부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를 탈거하고,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능동 운동용 탄성부(3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관절 강직과 구축 방지를 위한 동적 운동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다른 사용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과정은 사용자나 로봇팔이 진행할 수 있다.
착용부(40)에 말렛 핑거 증상을 갖는 손가락이 결합된 경우,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를 결합한다. 이와 같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가 손가락이 착용된 착용부(40)에 결합된 경우, 이러한 착용부(40)에 착용된 손가락의 과신전이 필요한 말렛 핑거(Mallet Finger) 증상을 대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에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의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에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3착용바디(44)가 제외될 수 있다. 또는,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10)는 착용부(40)의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1착용바디(41)가 제외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3착용바디(44)가 제외될 수 있다. 또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20)는 착용부(40)의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1착용바디(41)가 제외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착용부(40)의 제1착용바디(41)와 제2착용바디(42)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3착용바디(44)가 제외될 수 있다. 또는, 능동 운동용 탄성부(30)는 착용부(40)의 제2착용바디(42)와 제3착용바디(44)만을 따라 결합되고 제1착용바디(41)가 제외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는 손가락의 고정과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11: 스탠다드용 고정돌기
20: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21: 과신전용 고정돌기
30: 능동 운동용 탄성부
31: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
40: 착용부
41: 제1착용바디
41a: 제1트랙
42: 제2착용바디
42a: 제2트랙
42b: 제2보조트랙
43: 제1회전제한부
43a: 제1경사부
43b: 제1보조경사부
44: 제3착용바디
44a: 제3트랙
45: 제1링크
46: 제2링크
46a: 제2삽입축
47: 제2회전제한부
47a: 제2경사부
47b: 제2보조경사부
48: 고정홈

Claims (8)

  1.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손가락이 신전되는 제1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갖는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는 능동 운동용 탄성부; 및
    상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 상기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 및 상기 능동 운동용 탄성부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손가락이 착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용부는,
    손가락의 원위부에 착용되는 제1착용바디; 및
    상기 제1착용바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손가락의 중앙부에 착용되는 제2착용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착용바디와 상기 제2착용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1착용바디의 상기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1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제한부는
    상기 제1착용바디의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2착용바디의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1보조경사부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2착용바디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손가락의 근위부에 착용되는 제3착용바디; 및
    상기 제2착용바디와 상기 제3착용바디에 마련되어, 상기 제2착용바디의 상기 제1방향 회전 범위를 제한하는 제2회전제한부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회전제한부는,
    상기 제2착용바디의 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2경사부; 및
    상기 제3착용바디의 전방 일측에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제2보조경사부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다드용 스태빌라이저는 복수의 스탠다드용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과신전용 스태빌라이저는 복수의 과신전용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능동 운동용 탄성부는 복수의 능동 운동용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착용부는 복수의 상기 스탠다드용 고정돌기, 복수의 상기 과신전용 고정돌기 및 복수의 상기 능동 운동용 고정 돌기 중 어느 하나의 그룹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제1착용바디와 상기 제2착용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링크; 및
    상기 제2착용바디와 상기 제3착용바디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링크를 포함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용바디에는 제1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2착용바디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제2트랙과 제2보조트랙이 형성되고
    상기 제3착용바디에는 제3트랙이 형성되며,
    상기 제1링크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1트랙과 상기 제2트랙을 따라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링크의 양측은 각각 상기 제2보조트랙과 상기 제3트랙을 따라 이동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KR1020230009739A 2023-01-25 2023-01-25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KR10263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739A KR102633393B1 (ko) 2023-01-25 2023-01-25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US18/420,939 US20240245541A1 (en) 2023-01-25 2024-01-24 Apparatus for assisting active motion of finger
KR1020240014664A KR20240117503A (ko) 2023-01-25 2024-01-31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9739A KR102633393B1 (ko) 2023-01-25 2023-01-25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664A Division KR20240117503A (ko) 2023-01-25 2024-01-31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393B1 true KR102633393B1 (ko) 2024-02-05

Family

ID=899038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9739A KR102633393B1 (ko) 2023-01-25 2023-01-25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KR1020240014664A KR20240117503A (ko) 2023-01-25 2024-01-31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4664A KR20240117503A (ko) 2023-01-25 2024-01-31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245541A1 (ko)
KR (2) KR10263339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812A (ko) 2012-09-18 2014-03-26 김호용 손가락용 부목
JP2015066395A (ja) * 2013-10-01 2015-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指アシスト装置
JP2015177853A (ja) * 2014-03-19 2015-10-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装置
KR101914136B1 (ko) * 2017-05-29 2018-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 재활 운동 장치
KR101971610B1 (ko) * 2017-12-07 2019-04-23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6812A (ko) 2012-09-18 2014-03-26 김호용 손가락용 부목
JP2015066395A (ja) * 2013-10-01 2015-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指アシスト装置
JP2015177853A (ja) * 2014-03-19 2015-10-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装置
KR101914136B1 (ko) * 2017-05-29 2018-11-02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손 재활 운동 장치
KR101971610B1 (ko) * 2017-12-07 2019-04-23 주식회사 셈앤텍 손가락 운동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7503A (ko) 2024-08-01
US20240245541A1 (en) 2024-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512635B (zh) 一种手指外骨骼康复机器人
KR101907536B1 (ko) 인간형 로봇손 및 이를 구비한 로봇
CN108478391A (zh) 一种实用型可穿戴式外骨骼康复机械手
Hogan et al. Posttraumatic proximal interphalangeal joint flexion contractures
CN109318208A (zh) 一种多自由度自适应膝关节康复训练外骨骼
KR102633393B1 (ko) 손가락의 능동 운동을 보조하는 장치
CN109893402B (zh) 一种外骨骼手部康复机器人
Agee et al. Treatment of comminuted distal radius fractures: an approach based on pathomechanics
CN111000701A (zh) 膝关节矫形器
Moser et al. Importance of wrist movement direction in performing activities of daily living efficiently
KR20200027591A (ko) 로봇손
CN112370132B (zh) 一种万向指掌骨环形外固定器
CN108524197A (zh) 一种手功能康复指节训练装置
KR100817531B1 (ko) 유니버셜 엘보우 힌지 브레이스
Booth-Malnack The biological basis of nervous tissue repetitive strain injuries in esports competitors
JP3740640B2 (ja) 創外固定器
CN209004586U (zh) 一种手功能康复指节训练装置
RU2683071C2 (ru)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массаж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исти и пальцев рук
CN206499564U (zh) 一种多功能小儿肱骨髁上骨折辅助外固定器械
Roller Function and Movement of the Wrist and Extrinsic Hand
CN108938317A (zh) 手指康复装置
US20230285216A1 (en) Rehabilitative wrist training device for use by stroke patients
CN212141359U (zh) 一种动态腕关节支具
CN219070814U (zh) 一种仿生义指
CN110916978B (zh) 一种手部骨折康复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