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215B1 -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215B1
KR102633215B1 KR1020230123425A KR20230123425A KR102633215B1 KR 102633215 B1 KR102633215 B1 KR 102633215B1 KR 1020230123425 A KR1020230123425 A KR 1020230123425A KR 20230123425 A KR20230123425 A KR 20230123425A KR 102633215 B1 KR102633215 B1 KR 102633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ignal
sensor
neck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낙기
Original Assignee
김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낙기 filed Critical 김낙기
Priority to KR102023012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2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7Constructive details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14Shoulder, e.g. for neck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83Surface of interface
    • A61H2201/169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surface, e.g. material, relief, texture or indicia
    • A61H2201/1695Enhanced pressure effect, e.g. substantially sharp projections, needles or pyram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3Control means thereof mechanically controll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4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neck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한 체 경추를 당겨, 목 부근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이다. 이러한 목 교정 및 치료 장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바디부, 모터모듈과 모터모듈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모터모듈의 작동에 대응해 샤프트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여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이동부 및 상부면에 오목한 머리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커넥터모듈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바디부의 상측면에 놓인 상태에서 커넥터모듈과 연결되어 커넥터모듈의 직선 이동에 대응해 바디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직선 이동하는 목거치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목 교정 및 치료 장치{Device For Correcting And Treating The Neck}
본 발명은 목 및 어깨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장치와 관련된 기술이다.
많은 사람들은 컴퓨터 및 모바일기기 등을 장시간 사용하고 있다. 특히, 모바일기기의 장시간 사용은 사용자의 목에 무리를 주며 근육의 외과적 질환을 야기시킨다. 이에, 경추를 운동시키는 기구 및 경추 부근의 근육을 풀어주는 마사지 기구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4602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목 부위에 전기적 자극을 가하는 기능적 전기 자극기(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or, FES)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는 근전도 센서, 사용자의 목 부위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센서 등 다양한 전기적 장치를 구성요소로 하고 있어,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한 문제가 있고, 이에 따른 오작동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치료기는 물리적으로 목을 견인하지 못해 경추의 간격을 늘리지 못해 눌려 있는 신경에 의한 통증을 크게 완화 시키지 못하는 물리적 치료에 큰 효과를 낼 수 없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4602호 (등록일자: 2017.04.03)
본 발명은 종래의 많은 구성요소가 결합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물리적으로 목을 견인하지 못해 경추들을 당기지 못해 경추 교정에 큰 효과를 내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목 교정 및 치료 장치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바디부, 모터모듈과 모터모듈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모터모듈의 작동에 대응해 샤프트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커넥터모듈을 포함하여 바디부의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이동부 및 상부면에 오목한 머리지지홈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커넥터모듈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바디부의 상측면에 놓인 상태에서 커넥터모듈과 연결되어, 커넥터모듈의 직선 이동에 대응해 바디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직선 이동하는 목거치대부를 포함한다.
샤프트이동부는 샤프트의 타단에 연결된 고정지지모듈을 포함하여, 커넥터모듈이 모터모듈과 고정지지모듈 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샤프트이동부는 일단이 모터모듈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지지모듈에 연결되어, 커넥터모듈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커넥터모듈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봉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이동부는 커넥터모듈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커넥터모듈의 직선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센서 그리고 커넥터모듈의 일측면에 이격 설치되어 이동센서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복수 개 포함하는 이동거리센서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위치센서는 시작점위치센서, 제1위치센서, 제2위치센서 및 제3위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모터모듈을 제1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1거리작동신호, 모터모듈을 제2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2거리작동신호 및 모터모듈을 제3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3거리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거리센서모듈은 제어모듈에서 제1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윈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모듈에서 제2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2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에서 제3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2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3위치센서가 커넥터모듈의 이동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3위치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어모듈은 제1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와 제1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및 제2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제2위치신호 및 제3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디부는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목거치대부의 머리지지홈에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 되었을 때, 사용자의 어깨를 지압하는 지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한 체 경추를 당겨, 사용자의 연부조직(근육, 힘줄 등)을 늘리거나 관절, 골편 등을 분리시켜 신경이 눌려지지 않도록 하며 목 부근의 저림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의 목을 당기며 지압모듈로 사용자의 어깨를 지압해 뭉친 어깨 부근을 풀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샤프트이동부가 설치된 하부바디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샤프트이동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목거치대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목거치대부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샤프트이동부의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작동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오로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정의가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내용 및 본 명상에 도시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상에 기재된 내용 및 도면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자가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즉, 본 발명에 도시된 도면 및 기술된 설명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할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사시도이다.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는 사용자(A, 도 10참조)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한 체 경추를 당겨, 경추들 간 간격을 늘려 디스크가 신경을 눌리지 않도록 하며 목 부근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턱걸이부(40, 도 10참조)를 통해 사용자의 목을 당기며 지압모듈(120)로 사용자의 어깨를 지압하며 뭉친 어깨 근육을 풀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참조된 도 1 그리고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샤프트이동부가 설치된 하부바디모듈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샤프트이동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목거치대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목거치대부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1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평면도이다.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 샤프트이동부(20) 및 목거치대부(3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또한,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는 바디부(10)의 일단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턱에 연결되는 턱걸이부(40)를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몸체가 된다. 이러한 바디부(10)는 내부에 샤프트이동부(20)가 설치되는 하부바디모듈(101)과 상측면에 케스터수용홈(1021)과 슬라이딩돌기(1022)가 형성되어 하부바디모듈(101)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바디모듈(102)을 포함한다. 여기서, 케스트수용홈(1021)은 목거치대부(30)에 형성된 케스터(3103)를 수용하여, 케스터(3103)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홈이 된다. 그리고 슬라이딩돌기(1022)는 목거치대부(3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홈(3102)에 수용되어 목거치대부(30)가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돌기가 된다. 또한, 바디부(10)는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110)과 하부바디모듈(101)의 타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압모듈(1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모듈(110)은 모터모듈(210)을 켜고 끄는 신호 즉, 온-신호 그리고 오프-신호를 인가하고 모터모듈(210)을 제1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1거리작동신호, 모터모듈(210)을 제2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2거리작동신호 및 모터모듈(210)을 제3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3거리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지압모듈(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압돌기(121)와 제2지압돌기(122)로 형성된다.
샤프트이동부(20)는 제어모듈(110)에서 인가되는 작동신호에 따라 목거치대부(30)를 제1거리, 제2거리 또는 제3거리로 이동시킨다. 이러한 샤프트이동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모듈(210)과 커넥터모듈(22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나아가, 샤프트이동부(20)는 고정지지모듈(230), 수평지지봉모듈(240),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을 구성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모듈(210)은 일면에 샤프트(211)가 형성되어 제어모듈(110)에서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샤프트(211)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커넥터모듈(220)은 샤프트(211)와 연결되어, 샤프트(21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일방으로 직선 이동하고 샤프트(211)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타방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와 같은 커넥터모듈(2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모듈(220)의 상단에는 목거치대부(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샤프트이동부(20)는 모터모듈(210)에 작동신호가 인가되면 샤프트(211)의 시계방향 회전 또는 반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해 커넥터모듈(220)을 샤프트(211)를 따라 이동시킨다.
고정지지모듈(230)은 샤프트(211)의 타단에 연결되어 샤프트(211)를 따라 이동하는 커넥터모듈(220)이 샤프트(211)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커넥터모듈(220)의 직선 이동을 제한한다. 다시 말해, 고정지지모듈(230)은 커넥터모듈(220)이 모터모듈(210)과 고정지지모듈(230)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 하도록 한다.
수평지지봉모듈(240)은 일단이 모터모듈(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지지모듈(230)에 연결되는 지지봉이 된다. 일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봉모듈(240)은 샤프트의 왼쪽에 위치하는 제1수평지지봉(2401)과 샤프트의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2수평지지봉(2402)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지지봉모듈(240)은 커넥터모듈(220)이 샤프트(211)를 따라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여 커넥터모듈(2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한다.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 거리를 파악한다. 이러한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이동센서(221)와 위치센서(2510~25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이동센서(221)는 커넥터모듈(2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커넥터모듈(2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며 도 4에 도시된 제1수평지지봉(2401)가 위치한 방향으로 전자기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일례로, 이동센서(221)는 전자기신호를 출력하는 마그네틱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위치센서(251)는 커넥터모듈(220)의 일측면에 이격 설치되어 이동센서(250)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감지한다. 이와 같은 위치센서(25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적회로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의 상측면에 설치되어 이동센서(221)에서 발생되는 전자기신호를 감지하는 센서가 된다. 이때, 위치센서(251)는 시작점위치센서(2510), 제1위치센서(2511), 제2위치센서(2512) 및 제3위치센서(2513)를 포함하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목거치대부(30)가 시작점위치센서(2510)에서 제1위치센서(2511)까지 또는 시작점위치센서(2510)에서 제2위치센서(2512)까지 또는 시작점위치센서(2510)에서 제3위치센서(2513)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목거치대부(30)를 서로 다른 거리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의 작동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목거치대부(30)는 사용자 즉, 환자(A)의 머리를 수용하며 목을 안정적으로 거치한다. 이러한 목거치대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310), 상부케이스(320), 후두부LED제어모듈(110), 후두부실리콘모듈(324), 목거치모듈(330), 목거치쿠션모듈(340) 및 턱걸이고리모듈(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부케이스(310)는 상부면의 일측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서 일정 간격 아래에 개구홀(3201)이 형성되어 일부가 상부바디모듈(102)과 접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3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에는 설치된 케스터(3103) 즉, 작은 바퀴를 포함한다. 이때, 케스터(310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바디모듈(102)에 형성된 케스터수용홈(1021)에 수용되어 구름 이동한다. 그리고 상부케이스(320)는 상부면의 일측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서 일정 간격 아래에 오목한 머리지지홈(3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커넥터모듈(220)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어 하부케이스(310)에 형성된 개구홀(3201)을 관통하여 하부케이스(310)의 상면에 고정된다. 이러한 상부케이스(320)의 머리지지홈(321)에는 후두부LED제어모듈(323) 그리고 내부에 LED를 포함하는 후두부실리콘모듈(324)이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부케이스(320)의 일측에 형성된 ‘U’자 형상에 목거치모듈(330)이 고정된다. 이때, 목거치모듈(330)은 상부케이스의 일측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종단면이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거치모듈(330)에는 목거치쿠션모듈(340)이 고정되어 사용자의 목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목거치쿠션모듈(340)은 쿠션이 있는 메모리폼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후두부실리콘모듈(324)은 후두부LED제어모듈(323)의 상측면에 위치해 적외선 LED가 후두부LED제어모듈(323)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구동되도록 하며 후두부실리콘모듈(324)에 안착된 머리에 적외선을 조사한다.
목거치대부(30)는 하부케이스(310)에 형성된 케스터(3103)가 케스터수용홈(1021)에 수용되고, 하부케이스(310)에 형성된 이동가이드홈(3102)에 슬라이딩돌기(1022)가 수용되어 목거치대부(30)는 슬라이딩 이동할 때,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이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3의 샤프트이동부의 작동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작동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 교정 및 치료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는 목거치대부(30)가 바디부(10) 상에서 직선 이동한다. 이때, 목거치대부(30)는 샤프트이동부(20)의 작동에 기반하여 직선 이동한다.
샤프트이동부(20)는 바디부(10)에 연결된 제어모듈(110)에서 전송되는 작동신호 일례로, 전송되는 제1거리작동신호, 전송되는 제2거리작동신호 또는 전송되는 제3거리작동신호에 대응하여 작동된다. 즉, 샤프트이동부(20)는 제어모듈(110)에서 전송되는 거리작동신호에 따라 작동한다. 이때, 샤프트이동부(20)의 커넥터모듈(220)은 이동거리센서모듈(250)에 의해 제1거리, 제2거리 및 제3거리 만큼 이동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제어모듈(110)에서 제1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윈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에 설치된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모듈(110)에서 제2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위치센서(2512)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제어모듈(110)에서 제3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2위치센서(2512)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제3위치센서(2513)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3위치신호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작동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모듈(220)이 시작점위치센서(2510)에서 제2위치센서(2512)가 있는 위치 즉, 제2거리까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제어모듈(110)은 제1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와 제1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커넥터모듈(2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및 제2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커넥터모듈(2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제2위치신호 및 제3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커넥터모듈(220)을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모듈(110)에서 제2거리작동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커넥터모듈(220)은 시작점위치센서(2510)에서 제2위치센서(2512)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며 커넥터모듈(220)의 상측에 연결된 목거치대부(3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에서,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방으로 이동하고, 다시 도 1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으로 이동하며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거치대부(30)는 샤프트이동부(20)의 작동에 따라 바디부(1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왕복 운동하며 목거치대부(30)에 거치된 사용자의 목을 견인할 수 있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거치대부(30)는 턱걸이고리모듈(350)에 고정되는 턱걸이부(40)를 더 포함한다. 이때, 턱걸이부(40)는 사용자의 턱에 감싸며 목거치대부(30)가 슬라이딩 이동할 때, 사용자의 목을 보다 효과적으로 견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목거치대부(30)가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사용자의 목 및 어깨는 함께 제1방향으로 당겨지면서 바디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지압모듈(120)에 의해 지압된다. 이때, 지압모듈(12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압돌기(121)와 제2지압돌기(122)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는 사용자(A)가 누운 자세에서 사용자의 머리를 안전하게 지지한 체 목을 견인하면서 경추들 간 간격을 늘려 디스크가 신경을 눌리지 않도록 하며 목 부근의 통증을 완화시킬 뿐 아니라 사용자의 목을 서서히 당기며 지압모듈(120)을 통해 사용자의 어깨의 뭉친 근육을 풀어 줄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 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10: 바디부
101: 하부바디모듈 102: 상부바디모듈
1021: 케스터수용홈 1022: 슬라이딩돌기
110: 제어모듈 120: 지압모듈
20: 샤프트이동부
210: 모터모듈 211: 샤프트
220: 커넥터모듈 221: 이동센서
230: 고정지지모듈 240: 수평지지봉모듈
250: 이동거리센서모듈 251: 위치센서
2510: 시작점위치센서 2511: 제1위치센서
2512: 제2위치센서 2513: 제3위치센서
30: 목거치대부
310: 하부케이스 320: 상부케이스
3101: 개구홀
3102: 이동가이드홈 3103: 케스터
321: 머리지지홈 322: 결합홈
323: 후두부LED제어모듈 324: 후두부실리콘모듈
330: 목거치모듈 340: 목거치쿠션모듈
350: 턱걸이고리모듈 40: 턱걸이부
A: 사용자

Claims (7)

  1. 작동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모듈(110)을 포함하는 바디부(10);
    모터모듈(210)과 모터모듈의 샤프트(211)에 연결되어 모터모듈의 작동에 대응해 샤프트(211)를 따라 직선이동하는 커넥터모듈(220)을 포함하여 바디부(10)의 내부에 설치된 샤프트이동부(20); 및
    상부면에 오목한 머리지지홈(321)이 형성되고, 하부면에 커넥터모듈(220)의 일부를 수용하는 결합홈(322)이 형성되어 바디부(10)의 상측면에 놓인 상태에서 커넥터모듈(220)과 연결되어, 커넥터모듈(220)의 직선 이동에 대응해 바디부(10)의 일측과 타측 사이를 직선 이동하는 목거치대부(30)를 포함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이동부(20)는,
    샤프트(211)의 타단에 연결된 고정지지모듈(230)을 포함하여, 커넥터모듈(220)이 모터모듈(210)과 고정지지모듈(230)사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샤프트이동부(20)는,
    일단이 모터모듈(210)에 연결되고, 타단이 고정지지모듈(230)에 연결되어, 커넥터모듈(2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커넥터모듈(220)을 지지하는 수평지지봉모듈(240)을 더 포함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샤프트이동부(20)는,
    커넥터모듈(220)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커넥터모듈(220)의 직선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하는 이동센서(221) 그리고 커넥터모듈(220)의 일측면에 이격 설치되어 이동센서(221)에서 전송하는 신호를 감지하는 위치센서(251)를 복수 개 포함하는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을 더 포함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위치센서(251)는,
    시작점위치센서(2510), 제1위치센서(2511), 제2위치센서(2512) 및 제3위치센서(2513)를 포함하고,
    제어모듈(110)은,
    모터모듈(210)을 제1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1거리작동신호, 모터모듈(210)을 제2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2거리작동신호 및 모터모듈(210)을 제3거리만큼 이동시키는 제3거리작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고,
    이동거리센서모듈(250)은,
    제어모듈(110)에서 제1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윈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10)에서 제2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2위치센서(2512)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모듈(110)에서 제3거리작동신호가 입력되면, 시작점위치센서(2510)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원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1위치센서(2511)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1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2위치센서(2512)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2위치신호를 출력하고, 제3위치센서(2513)가 커넥터모듈(220)의 이동센서(22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제3위치신호를 출력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6. 제5항에 있어서, 제어모듈(110)은,
    제1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와 제1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및 제2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거리작동신호를 출력하였을 때, 윈위치신호, 제1위치신호, 제2위치신호 및 제3위치신호를 수신하면 모터모듈(210)의 샤프트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역방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7. 제1항에 있어서, 바디부(10)는,
    타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목거치대부(30)의 머리지지홈(321)에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 되었을 때, 사용자의 어깨를 지압하는 지압모듈(120)을 포함하는 목 교정 및 치료 장치(1).
KR1020230123425A 2023-09-15 2023-09-15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KR102633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425A KR102633215B1 (ko) 2023-09-15 2023-09-15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3425A KR102633215B1 (ko) 2023-09-15 2023-09-15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3215B1 true KR102633215B1 (ko) 2024-02-01

Family

ID=89859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3425A KR102633215B1 (ko) 2023-09-15 2023-09-15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32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747B2 (ja) * 2003-05-09 2009-07-22 ジョンミン ハン 頚椎牽引装置
KR101724602B1 (ko) 2015-04-27 2017-04-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
KR20210133333A (ko) * 2020-04-28 2021-11-08 김태중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8747B2 (ja) * 2003-05-09 2009-07-22 ジョンミン ハン 頚椎牽引装置
KR101724602B1 (ko) 2015-04-27 2017-04-13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거북목 측정 및 교정 치료기
KR20210133333A (ko) * 2020-04-28 2021-11-08 김태중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164B1 (ko) 경추 견인치료기
KR101675762B1 (ko) 큐브형 척추 교정용 마사지기
KR101633910B1 (ko) 경추 보조장치
KR101430899B1 (ko) 척추 교정용 복합 지압기구
CN2936239Y (zh) 腰椎治疗仪
US20050049530A1 (en) Reclining massager system
JP5997228B2 (ja) リラックス枕
KR102633215B1 (ko) 목 교정 및 치료 장치
KR20190036643A (ko) 천골부 가압기능이 보강된 심신안정장치
CN116723816A (zh) 斜方肌指压型按摩装置
CN104161647A (zh) 一种按摩装置
KR102474230B1 (ko) 자세교정기
CN116801853A (zh) 颈椎用按摩装置
US20140207035A1 (en) Myofascial release apparatus and method
KR101898787B1 (ko) 거북목 및 목디스크의 예방, 치료에 도움이 되는 장치가 구비된 안마의자
CN207562089U (zh) 一种颈椎按摩仪
US20020091342A1 (en) Protector for cervical vertebra
KR200330541Y1 (ko) 맛사지용 침대의 프레임
KR20210133333A (ko) 경추굴곡 감지를 통한 교정운동 마사지장치
KR101013990B1 (ko) 척추 지압기
KR101722325B1 (ko) 경추 통증 복합 치료기
KR200292050Y1 (ko) 경부 물리 운동장치
KR101498567B1 (ko) 지압겸용 심신안정장치
KR101630668B1 (ko) 척추교정이 가능한 건강기구
KR20030085701A (ko) 척추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