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574B1 -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574B1
KR102632574B1 KR1020210139679A KR20210139679A KR102632574B1 KR 102632574 B1 KR102632574 B1 KR 102632574B1 KR 1020210139679 A KR1020210139679 A KR 1020210139679A KR 20210139679 A KR20210139679 A KR 20210139679A KR 102632574 B1 KR102632574 B1 KR 1026325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eter
sensor
fixing member
monitoring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5834A (ko
Inventor
이재홍
전익찬
김화중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210139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57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5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5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5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5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17Catheters; Hollow probes specially adapted for long-term hygiene care, e.g. urethral or indwelling catheters to prevent inf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2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materials
    • A61M2205/0227Materials having sensing or indicating function, e.g. indicating a pressure incr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4Detec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tube, a connector or a container 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18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사람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빠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테터의 일측을 상기 사람의 피부에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부재,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를 상기 카테터에 고정하는 센서 고정부재,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하여 상기 카테터의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CATHETER EXCLUSIVE SENSOR FOR MONITORING FIXED STATE OF CATHETER AND CATHETER MONITORING SYSTEM USED THE SAME}
본 발명은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센서 및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체내에 삽입 수술된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카테터의 빠짐을 미연에 방지하고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테터는 체내에 삽입되는 튜브형의 기구로서, 금속제의 경성 카테터 및 고무제와 플라스틱제의 연성 카테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카테터는 용도에 따라 재질과 크기 및 형태의 제품이 상용화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의료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카테터의 용도는, 체강이나 각종 기관 내의 저류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용도, 세정용 관류액을 흡인하는 용도, 심혈행 동태나 중심정맥압 등을 측정하는 용도, 및 약물이나 조영제 등을 체내에 주입하는 용도 등이 있다.
특히, 체내 용액의 배출을 위해 사용되는 카테터로는, 수술 후 수술부위에 고이는 혈액이나 액체를 배출시키거나 방광의 요를 배출시키는 용도로 주로 사용되며, 그 이외에 머리나 척추에서 뇌척수액을 배출시키는 용도로 사용되는 카테터도 있다.
상기와 같은 카테터는 삽입 수술을 통해 체내에 삽입된 후 그 상태로 일정 시간동안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기존의 카테터가 임상에서 사용될 때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가 환자의 움직임이나 외력 등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카테터의 장기간 삽입 및 안정적인 고정이 필요한 특정 의료 상황에서 카테터가 의도치 않게 빠지면, 감염 등과 같은 다양한 위험에 노출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카테터를 재수술해야만 하는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카테터를 체내에 삽입한 후 봉합사를 사용하여 카테터를 체내에 봉합 고정하거나 카테터를 테이핑하여 체내에 고정시키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카테터를 너무 세게 고정시킬 경우에는 카테터의 내부 공간이 막혀 원활한 채액의 배출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카테터를 너무 느슨하게 고정시킬 경우에는 고정력이 줄어들어 카테터가 체내에서 쉽게 빠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문제점은 실제로 임상 상황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여 의료 인력이나 환자에게 시간적 손해와 금전적 손해를 모두 초래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카테터의 빠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 부품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에도 실제 의료 현장에서 카테터의 빠짐 현상을 완전히 막기에 역부족인 실정이다.
따라서, 카테터의 빠짐 현상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카테터가 비정상적으로 빠졌을 때 바로 대처가 가능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고, 카테터의 빠짐 현상을 미리 확인하여 카테터의 빠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도 필요한 실정이다.
관련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930376호 (발명의 명칭: 카테터 시스템 및 그 카테터 시스템을 포함하는 혈관내 혈액 펌프, 등록일: 2018.12.12) 및 일본공개특허 제2019-535399호 (발명의 명칭: 실시간의 카테터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장치, 공개일: 2019.12.12)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0376호 (2018.12.12 등록) 일본공개특허 제2019-535399호 (2019.12.1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체내에 삽입 수술된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카테터의 빠짐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카테터의 빠짐에 신속하게 대처하여 카테터의 빠짐에 따른 위험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테터의 성능에 악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에 간단한 구조로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람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빠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카테터의 일측을 상기 사람의 피부에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부재,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를 상기 카테터에 고정하는 센서 고정부재,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하여 상기 카테터의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탈락되어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와 함께 이동되면서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에 따라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와 빠짐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연결되는 센서 연결부,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센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카테터에 고정되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 연결부와 상기 센서 고정부 사이에는 상기 카테터의 이동시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변화되는 길이 변화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은 상기 카테터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증가하여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 센서는, 유연성과 신축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도전 섬유(conductive fiber) 또는 도전 시트(conductive sheet)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카테터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탄성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내부에 관통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경고하는 시스템 경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임의로 탈락하여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진 상태로 분석할 수 있고,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진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시스템 경고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테터의 빠짐 위험을 상기 관리자에게 경고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대한 변화 추이를 도출한 후 상기 전기적 특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빠지는 시점을 산출할 수 있고,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빠지는 시점이 산출되면 상기 시스템 경고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테터의 빠짐 시점을 상기 관리자에게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테터의 일측을 사람의 피부에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부재,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를 상기 카테터에 고정하는 센서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카테터 전용 센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테터 센서를 카테터에 배치하여 카테터 센서의 감지 결과를 통해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구조이므로, 카테터의 이동시 카테터 센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그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가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여 카테터의 이동 거리를 분석 및 모니터링할 수 있고, 시스템 제어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카테터의 빠짐 위험을 미연에 파악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테터 센서의 센서 연결부를 카테터 고정부재에 연결하고 카테터 센서의 센서 고정부를 카테터에 센서 고정부재로 고정한 구조이므로,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탈락된 카테터가 이동됨에 따라 센서 연결부와 센서 고정부 사이에 형성된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가 변화할 수 있고,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 변화에 따른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카테터의 이동 거리를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연성과 신축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의 도전 섬유 또는 도전 시트를 통해 카테터 센서를 형성한 구조이므로, 카테터의 굴곡 구조에 대응하여 카테터 센서를 원활하게 굴곡시킬 수 있고, 카테터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여 카테터 센서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신축시킬 수 있으며, 카테터 센서에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가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시스템 경고부를 이용하여 시스템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경고하는 구조이므로, 관리자가 카테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카테터의 빠짐 위험을 관리자에게 경고하여 관리자가 카테터의 빠짐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카테터의 빠짐 위험을 관리자에게 신속하게 경고하여 카테터의 빠짐 문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에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의 빠짐으로 인한 감염 문제 및 카테터의 재수술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카테터의 빠짐시 발생되는 의료 인력의 소모를 최소화시켜 의료 인력의 효율적인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에 간편하게 장착시키는 구조이므로,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에 쉽게 적용할 수 있고, 카테터의 사용 편리함 및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카테터의 사용 효과와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에서 측정된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센서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제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시스템 제어부(140)에서 측정된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카테터 센서(120)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사람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10)의 고정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여 카테터(10)의 빠짐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간소화된 구조로 형성되어 쉽게 제조될 수 있고, 카테터(10)에 간편하게 장탈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단순 구조로 형성되어 다양한 종류의 카테터(10)에 모두 원활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카테터(10)를 삽입 수술받는 사람을 '환자'로 기재하고,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관리자를 의사와 간호사 또는 간병인 등과 같은 '의료인력'으로 기재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카테터 고정부재(110), 카테터 센서(120), 센서 고정부재(130), 시스템 제어부(140) 및 시스템 경고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카테터 전용 센서를 이용하여 카테터(10)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이되, 카테터 전용 센서가 카테터 고정부재(110), 카테터 센서(120) 및 센서 고정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카테터 전용 센서의 상세한 설명을 별도로 진행하지 않고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의해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서 탈락되면, 카테터(10)는 환자의 움직임이나 외력과 충격의 전달로 인하여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비정상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카테터(10)가 환자의 체내에서 임의로 빠지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센서(120)를 카테터(10)에 배치하여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에 따라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여 카테터(10)의 이동 여부, 이동 거리 및 빠짐 여부 등을 분석할 수 있고, 그런 분석 결과는 시스템 경고부(150)를 통해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의 일측을 환자의 피부에 고정할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를 삽입한 부위의 피부에 고정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카테터(10)의 일측 및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를 피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시 카테터 센서(12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의 삽입 수술시 현장에서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는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에 미리 연결한 상태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즉, 카테터 고정부재(110)의 고정 구조나 형태는 카테터(10)의 종류 및 카테터(10)의 삽입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의 삽입 부위 및 카테터(10)의 형상 등에 따라 테이프 형태, 패널 형태, 클립 형태, 블록 형태, 링 형태 또는 크램프 형태 등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카테터 고정부재(110)가 카테터(10)를 피부에 결속시키는 사출물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카테터 고정부재(110)는, 카테터(10)의 일측 및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고정 몸체(112), 및 고정 몸체(112)에 구비되어 환자의 피부에 결속 고정되는 몸체 결속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몸체(112)는, 카테터(1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시 카테터 센서(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카테터(10)의 일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몸체 결속부(114)는 고정 몸체(112)의 측면에서 프렌지 형상으로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몸체 결속부(114)의 일단부는 고정 몸체(112)의 측면 부위에 일체화된 구조로 연결될 수 있고, 몸체 결속부(114)의 타단부는 고정 몸체(112)의 측면에서 돌출되어 봉합사나 결속 부재에 의해 피부에 결속 고정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테터 센서(120)는, 카테터(10)에 배치시켜 카테터(10)의 고정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테터 센서(120)는 카테터(10)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변화되는 구조로 마련되되,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카테터 센서(120)는 카테터(10)의 표면에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는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의 타단부는 시스템 제어부(140)에 연결될 수 있다. 카테터 센서(120)의 중간부는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위치한 부위로서,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센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카테터(1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는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고정된 상태이고, 카테터 센서(120)의 중간부는 카테터(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카테터 센서(120)는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카테터 센서(120)는 일종의 스트레인 센서로서, 카테터(10)와 함께 굴곡 가능한 유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카테터(10)의 이동시 길이 변화가 가능한 신축성 있는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카테터(10)에 의해 길이가 변화됨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 가능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카테터(10)가 환자의 체내에 삽입되는 의료기기이므로, 카테터(10)와 함께 체내에 삽입되는 카테터 센서(120)의 재질도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카테터 센서(120)는, 유연성과 신축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도전 섬유(conductive fiber) 또는 도전 시트(conductive sheet)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카테터 센서(120)는 도전 섬유 또는 도전 시트 중 어느 하나로만 제작되는 것은 아니며,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전 섬유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120)의 일예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도전 시트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120')의 변형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카테터 센서(120')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카테터 센서(120)와 상이한 점은, 도전 섬유가 아닌 도전 시트로 형성된 점에 있지만, 양자는 구조의 차이점을 제외하면 성능 차이는 없다. 따라서, 카테터 센서(120)의 설치 환경 및 카테터(10)의 형상 등에 따라 도전 섬유 또는 도면 시트 중 어느 하나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센서(120)는 센서 연결부(122), 센서 고정부(124), 및 센서 단자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연결부(122)는, 카테터 센서(120)의 일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연결될 수 있다. 센서 연결부(122)는 카테터 고정부재(110)를 카테터(10)의 일측에 설치하기 이전에 카테터 고정부재(110)의 고정 몸체(112)에 미리 연결된 상태이다. 따라서, 센서 연결부(122)는, 카테터(10)의 이동시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시 카테터 센서(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센서 고정부(124)는, 카테터 센서(120)의 중간부에 형성될 수 있고, 센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카테터(10)에 고정될 수 있다. 카테터 센서(120)의 중간부는 센서 연결부(122)에서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서 탈락되어 카테터(10)가 체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카테터 센서(120)는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고정된 상태로 카테터(10)와 함께 이동되면서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따라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때, 센서 연결부(122)와 센서 고정부(124) 사이에는, 카테터(10)의 이동시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변화되는 길이 변화 구간(128)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변화 구간(128)은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비례하여 길이가 증가할 수 있고, 길이 변화 구간(128)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이 증가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늘어남에 따라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이 증가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센서 단자부(126)는, 카테터 센서(120)의 타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시스템 제어부(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 센서(120)의 감지 결과는 센서 단자부(126)를 통해 시스템 제어부(140)에 전달될 수 있고, 센서 단자부(126)는 시스템 제어부(140)를 통해 전기가 인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센서 고정부재(130)는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고정부(124)를 카테터(10)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센서 고정부재(130)는 카테터(10)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 고정부(124)는, 센서 고정부재(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센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카테터(10)의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고정부(124)는 카테터(10)의 이동시 센서 고정부재(130)에 의해 카테터(10)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고정부재(130)는 카테터(10)의 삽입 수술시 현장에서 카테터 센서(120)와 함께 카테터(10)의 표면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사용 편의성 측면에서는 카테터 센서(120)와 함께 카테터(10)의 표면에 미리 장착된 상태로 제조할 수도 있다. 물론, 센서 고정부재(130)는 카테터(10)의 삽입 수술시 의료 인력(예컨대, 의사 및 간호사)에 의해 필요에 따라 카테터(10)의 장착 부위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고정부재(130)는 카테터(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탄성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카테터(10)는 센서 고정부재(13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홀에 관통되게 배치되도록 센서 고정부재(13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고정부재(130)는, 유연성과 신축성을 구비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카테터(10)의 외주에 장착되는 고정 튜브(132), 고정 튜브(13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카테터(10)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층(134), 및 고정 튜브(132)의 중공홀에 카테터(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고정 튜브(132)의 일측을 절개한 구조로 형성된 절개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튜브(132)의 내부에는 센서 고정부(124)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 고정부재(130)가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고정부(124)에 일체로 연결된 구조로 카테터 센서(120)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여 카테터(10)의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단자부(126)에 신호 전달이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되, 이를 이용하여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와 빠짐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즉,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전기적 특성인 저항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그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를 분석하여 카테터(1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 카테터(10)의 이동 거리를 분석하여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판단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40)가 카테터(10)의 빠짐 발생을 파악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카테터(10)의 빠짐이 발생하기 직선의 상황을 미리 파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관리자에 해당하는 의료 인력(예컨대, 의사 및 간호사)이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카테터(10)의 빠짐 이전에 미리 파악함으로써 카테터(10)의 빠짐을 적절하게 예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시스템 제어부(140)가 소형의 단일 모듈로 형성되어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단자부(126)에 직접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모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감지 결과를 전달 받기 위한 감지 모듈, 및 감지 모듈의 감지 결과를 전달받아서 분석하기 위한 분석 모듈로 구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감지 모듈과 분석 모듈은 무선 통신 방식으로 서로 간에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카테터 센서(120)와 연결된 감지 모듈들의 감지 결과가 단수개의 분석 모듈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 경고부(150)는,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에 해당하는 의료 인력에게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알려주거나 경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경고부(150)는 시스템 제어부(140)와 연결되어 시스템 제어부(140)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참고로, 시스템 경고부(150)은 시스템 제어부(140)에 통합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경고부(150)를 간단한 알람이나 불빛을 제공하는 형태로 제조할 경우,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이 현장에서 좀 더 독립적인 형태의 제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경고부(150)는 시스템 제어부(140)와 분리된 개별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고, 시스템 경고부(150)와 시스템 제어부(140)는 유선 방식 또는 무선 방식 중 어느 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시스템 경고부(150)는 시스템 제어부(140)에 의해 분석된 결과를 시스템 제어부(140)로부터 전달받아서 의료 인력에게 다양한 수단으로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시스템 경고부(150)는, 의료 인력이 개일적으로 가지고 있는 휴대용 단말기(152), 의료 인력이 상주하고 있는 장소에 설치된 관리자 모니터(154), 및 의료 인력의 근처에 설치된 경보기(156)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의료 인력은, 휴대용 단말기(152)를 통해 표시되는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개별적으로 확인하여 카테터(10)의 상태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현장 의료 인력들도, 관리자 모니터(154)를 통해 표시되는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확인하여 카테터(10)의 상태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또한, 의료 인력들은, 경보기(156)의 경고음이나 경고광을 통해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도 있다.
한편, 시스템 경고부(150)는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상시 의료 인력에게 제공해 줄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가 미리 설정된 한계치를 넘어섰을 때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의료 인력에게 제공해 주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서 임의로 탈락하여 카테터(10)가 체내에서 빠지는 상태로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40)에 의해 카테터(10)의 빠짐 상태가 분석되면, 시스템 제어부(140)는 시스템 경고부(150)를 작동시킨 후 시스템 경고부(150)를 통해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의료 인력에게 바로 경고할 수 있다.
상기와 다르게,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에 대한 변화 추이를 도출한 후 저항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서 빠지는 시점을 산출할 수도 있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140)에 의해 카테터(10)의 일측이 빠지는 시점이 산출되면, 시스템 제어부(140)가 시스템 경고부(150)를 작동시켜 카테터(10)의 빠짐 시점을 의료 인력에게 미리 알려줄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작동과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테터 고정부재(110)와 센서 고정부재(130)가 미리 조립된 카테터 센서(120)를 준비한다.
카테터(10)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 수술할 경우에 카테터 센서(120)를 카테터(10)에 설치한다. 즉, 센서 고정부재(130)를 이용하여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고정부(124)를 카테터(10)에 고정한다.
그리고, 카테터 고정부재(110)를 이용하여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10)의 일측을 피부에 고정시킨다. 이때,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연결부(122)는 카테터 고정부재(11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카테터 센서(120)도 카테터 고정부재(110)를 매개로 환자의 피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카테터(10)와 카테터 센서(120)를 환자의 체내에 삽입 고정하면,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단자부(126)에 시스템 제어부(140)를 연결하고, 시스템 제어부(140)와 시스템 경고부(150)를 무선 방식으로 연결한다.
만약, 환자의 움직임이나 외력 또는 충격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카테터(10)의 일측이 카테터 고정부재(110)에서 탈락된 상태이면, 카테터(10)가 체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카테터 센서(120)는 센서 연결부(122)를 기준으로 센서 고정부(124)가 카테터(1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 구간(128)은 카테터(10)의 이동 거리에 대응하는 길이로 단면이 줄어들면서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값을 높일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40)는 카테터 센서(120)의 센서 단자부(126)를 통해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를 측정하고,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를 분석하여 카테터(10)의 이동 거리 및 빠짐 위험을 파악한다.
도 4에는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10%, 20% 및 30%로 변화될 때 시간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 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10% 정도 변화된 T1 구간에서는 최대 저항값이 대략 75Ω으로 감지되고,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20% 정도 변화된 T2 구간에서는 최대 저항값이 대략 130Ω으로 감지되며,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가 30% 정도 변화된 T3 구간에서는 최대 저항값이 대략 225Ω으로 감지된다. 결론적으로,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가 상호 비례 관계에 있으므로,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를 통해 카테터 센서(120)의 길이 변화를 도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카테터(10)의 이동 거리도 산출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140)의 분석 결과를 통해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확인하면, 시스템 제어부(140)는 시스템 경고부(150)를 작동시켜 카테터(10)의 상태를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관리자인 의료 인력에게 알려준다.
이때, 의료 인력은 시스템 경고부(150)를 통해 카테터(10)의 상태를 파악할 뿐만 아니라 카테터(10)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특히, 의료 인력은 시스템 경고부(150)를 통해 카테터(10)의 빠짐 위험을 미리 파악함으로써 카테터(10)가 체내에서 빠지기 이전에 미리 카테터(10)의 빠짐을 신속하게 방지한다.
따라서, 의료 인력이 카테터(10)의 상태를 직접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고, 카테터(10)의 이동에 따른 카테터 센서(120)의 저항 변화를 통해 카테터(10)의 상태 및 빠짐 위험을 기존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카테터(10)의 빠짐을 지연시킴과 아울러 안전하게 관리함으로써, 카테터(10)가 삽입된 부위의 감염 문제를 예방하고, 카테터(10)를 교체하기 위한 재수술을 생략하여 환자의 고통 및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카테터
100: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110: 카테터 고정부재
120: 카테터 센서
130: 센서 고정부재
140: 시스템 제어부
150: 시스템 경고부

Claims (11)

  1. 사람의 체내에 삽입된 카테터의 빠짐을 예방하기 위하여 상기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으로서,
    상기 체내에 삽입된 상기 카테터의 일측을 상기 사람의 피부에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부재;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상기 카테터와 별개로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에 위치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를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고정하는 센서 고정부재;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를 통하여 상기 카테터의 상태를 분석 및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의 표면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카테터와 함께 상기 체내에 삽입되고,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탈락되어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와 중간부 사이에는 길이 변화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는 상기 카테터의 이동시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은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 변화에 따라 변동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길이 변화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와 빠짐 여부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상기 카테터와 별개로 연결되는 센서 연결부;
    상기 센서 연결부와의 사이에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고정되어 상기 카테터와 함께 이동되는 센서 고정부;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센서 단자부;
    를 포함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센서는,
    유연성과 신축성 및 도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도전 섬유 또는 도전 시트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테터 센서는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카테터의 외주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고정부재는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탄성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는 상기 센서 고정부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내주면에는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접착되는 접착층이 형성되고, 상기 센서 고정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절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8. 제1항, 제3항,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상기 시스템 제어부의 분석 결과를 경고하는 시스템 경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가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면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임의로 탈락하여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진 상태로 분석하고,
    상기 카테터가 상기 체내에서 빠진 상태로 분석되면 상기 시스템 경고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테터의 빠짐 위험을 상기 관리자에게 경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 변화에 대한 변화 추이를 도출한 후 상기 전기적 특성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빠지는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빠지는 시점이 산출되면 상기 시스템 경고부를 작동시켜 상기 카테터의 빠짐 시점을 상기 관리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11. 카테터의 일측을 사람의 피부에 고정하는 카테터 고정부재;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카테터에 상기 카테터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길이 변화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변화되는 유연한 탄성 재질로 형성된 카테터 센서; 및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에서 설정 거리로 이격된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를 상기 카테터에 고정하는 센서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카테터의 일측이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서 탈락되어 상기 카테터가 체내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카테터 센서의 중간부는 상기 카테터 고정부재에 의해 상기 카테터의 표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카테터와 함께 이동하며,
    상기 카테터 센서의 일단부와 중간부 사이에는 길이 변화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는 상기 카테터의 이동시 상기 카테터의 이동 거리에 따라 변화되며, 상기 카테터 센서의 전기적 특성은 상기 길이 변화 구간의 길이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KR1020210139679A 2021-10-19 2021-10-19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25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679A KR102632574B1 (ko) 2021-10-19 2021-10-19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679A KR102632574B1 (ko) 2021-10-19 2021-10-19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834A KR20230055834A (ko) 2023-04-26
KR102632574B1 true KR102632574B1 (ko) 2024-02-02

Family

ID=8609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679A KR102632574B1 (ko) 2021-10-19 2021-10-19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57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7849A1 (en) * 2017-05-08 2018-11-08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based sens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07056B4 (de) 2012-04-27 2021-11-11 Abiomed Europe Gmbh Kathethersystem und intravasale blutpumpe mit diesem kathetersystem
EP3541275A4 (en) 2016-11-16 2020-07-29 Avinger, In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REALIZING THE POSITION OF A CATHETER IN REAL TIME
WO2019228991A1 (en) * 2018-05-29 2019-12-05 B. Braun Melsungen Ag Peripheral venous catheter assemblies with sensors and rel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317849A1 (en) * 2017-05-08 2018-11-08 Heraeus Deutschland GmbH & Co. KG Conductive polymer composite based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5834A (ko) 202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34880A2 (en) Compact urinary catheter with pre-attached collection bag
JP5756463B2 (ja) 標的解剖学的部位または環境へのアクセスを促進するためのデバイス
US8235949B2 (en) Application systems for use with medical devices
Antes et al. Telemetric intracranial pressure monitoring with the Raumedic Neurovent P-tel
US11338112B2 (en) Devices for monitoring movement of a secured catheter during a procedure
JP4301518B2 (ja) 穿刺部の監視装置
EP2215964A3 (en) Flexible indwelling biosensor, flexible indwelling biosensor insertion device
WO2006067217A2 (en) Sensor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roblems with mounting of skin mountable medical devices
EP2934302A1 (en) Positioning and tissue sensing devices and methods
JP2014534829A5 (ko)
KR20170038351A (ko) 유연 탐침 센서를 구비하는 연속혈당감시시스템
JP2014054541A (ja) 高さの低い、多プローブ型の頭蓋固定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102632574B1 (ko) 카테터의 고정 상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카테터 전용 센서 및 이를 적용한 카테터 모니터링 시스템
JP5147700B2 (ja) 皮膚灌流圧の自動測定のためのシステム
US20120010572A1 (en) Intravenous Catheter Protective Cover
WO2012099984A1 (en) Stylet that senses csf
KR20220124749A (ko) 온도-감지 관내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진단 시스템 및 방법(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including temperature-sensing vascular devices)
US9220834B2 (en) Pressure sensing in medical injection systems
CN113423455B (zh) 医疗锚定装置
US20160015939A1 (en) Absorbent and antimicrobial cuff for catheter placement
CN214049918U (zh) 一种带固定装置的胸腔引流系统
CN215537613U (zh) 一次性颅内压导管
CN117794441A (zh) 智能静脉导管系统
WO2013122592A1 (en) Catheters, catheters for use in ultrasound guided procedures, and related methods
US20120016348A1 (en) Angiocatheter with improved flow techniqu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