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385B1 -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385B1
KR102632385B1 KR1020230036740A KR20230036740A KR102632385B1 KR 102632385 B1 KR102632385 B1 KR 102632385B1 KR 1020230036740 A KR1020230036740 A KR 1020230036740A KR 20230036740 A KR20230036740 A KR 20230036740A KR 102632385 B1 KR102632385 B1 KR 10263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derground
information
monitoring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4157A (ko
Inventor
신승준
구동철
김학연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36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385B1/ko
Publication of KR20230044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4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가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들과 각 센서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고, 센싱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지하구에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센싱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토대로 지하구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한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생성하여 지하구 통합 감시 장치와 연동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Description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Apparatus for underground fire receiver integrated monitoring, system for underground fire receiver integrated monitoring and underground fire monitor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기반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에 대한 것이다.
지하구에는 수많은 전력선이나 통신선들이 배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수시로 순시하거나 점검하거나, 지하구에 화재고 있다.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피해가 크기 때문에, 신속하게 화재 여부를 감지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화재 초기에 화재 발생을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통합권역 소방서 상황실에서 지하구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지하구에 설치된 화재 수신기에서 수집한 화재 정보를 이용한다. 그러나, 현재 통합 감시 장치는 유선통신 방식을 적용하고 있어, 운영 비용이 과다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통합권역 소방서 상황실 구축 시 직통전화를 운영하기 위한 비용이 급증하고, 통합 감시 시설 내부에 배터리가 부재하여 소방서 자체 전기설비 점검 시 감시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이 외에도, 단순 화재 수신기 정보만 표현하기 때문에,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할 경우 출동 위치가 표현되지 않아, 정확한 출동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하나의 감시 시스템이 복수의 화재 수신기를 수용할 수 없어, 복수의 화재 수신기를 이용할 경우 해당 수만큼의 통합 감시 장치가 필요하여 장비 설치에 따른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소방서 상황실 내 통합 감시장치의 설치 공간이 부족하고, 인근에 통신망이 미구축된 경우 통신 개통 불가로 소방 설비 공사의 준공이 지연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oT 기반의 통합 감시 장치를 통해, 지하구의 화재 발생 여부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을 제안한다.
실시예는,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는,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감시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장치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정보와 미리 저장된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장치의,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장치는, 상기 화재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장치는, 상기 통합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는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지하구 화재 통합 감지 시스템의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는,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그리고 상기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감시 신호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시스템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정보와 미리 저장된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시스템의,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시스템은, 상기 화재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 감시 시스템은, 상기 통합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는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감시 방법은,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들과 각 센서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들을 기초로 상기 지하구에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토대로 지하구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한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와 연동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의, 상기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센싱 정보와 미리 저장된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이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의,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와 연동한 복수의 관리 시스템으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구 화재 긴급 출동 체계를 구축하여, 대형 사고와 광역 정전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방식의 변경과 통신 이중화를 통해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화재 감시 기능의 강화를 통해 전력 공급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장치가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시스템,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장치가 적용된 환경의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100)는,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에 포함된다. 또한, 전력구 또는 지하구 내 화재 여부를 감시하는 통합 감시 장치(100)는 변전소 구내에 설치되어 있다. 통합 감시 장치(100)는 전력구 또는 지하구 내에 설치된 화재 감지선과 연결되어 있다. 화재 감지선은 지하구의 전력선들이나 통신선들의 화재 여부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들에 연결되어 있으며, 센서들이 센싱한 센싱 정보는 화재 감지선을 통해 통합 감시 장치(100)로 전달된다.
여기서, 센서들은 열화상 센서, 습도 센서, 적외선 센서, 가스 센서 등 화재 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어느 하나의 센서로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각 센서들은 식별 정보가 매핑되어 있으며, 전력구 또는 지하구 내에 설치된 전력선 또는 통신선들을 센싱한 센싱 정보에 센서 자신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센싱 신호를 통합 감시 장치(100)로 전달한다.
통합 감시 장치(100)는 각 센서들에서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확인하고, 센싱 신호 내에 포함된 식별 정보를 토대로 화재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통합 감시 장치(100)는 전력구 운영 시스템, 소방서 통합 감시 장치 및 광역 계통 운영 센터와 같은 관리 시스템으로 감시 신호를 전송한다.
기존에는 유선 통신 방식으로만 감시 신호가 전송되었던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케이블을 이용한 통신, SCADA(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무선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감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통합 감시 장치(100)와 소방서 통합 감시 장치가 사이의 통신 연결을 주 회선으로 하고, 변전소와 소방서의 직통 전화를 예비 회선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주 회선을 통해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고, 주 회선에 문제가 발생하면 예비 회선을 통해 감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감시 신호를 생성하여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전력구 운영 시스템, 소방서 통합 감시 장치 및 광역 계통 운영 센터에 전송하는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통합 감시 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도 2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합 감시 장치(100)는 통신 모듈(110), 프로세서(130), 메모리(120), 인터페이스(140), 그리고 전원 공급 모듈(15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한 구성 요소들만을 나타내었으나, 전력구의 화재 여부를 감시하기 위한 구성 요소들도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유/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다. 통신 모듈(110)은 프로세서(130)에서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한 감시 신호를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
만약, 통신 모듈(110)이 유선 통신 방식으로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는 경우라면, 통신 모듈(110)에는 고정 IP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통신 모듈(110)이 무선 통신 방식으로 감시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통신 모듈(110)에 단문 메시지 서비스 제공 기능이 추가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본 발명의 동작을 실행하도록 기술된 명령들이 프로세서(310)에 의해 처리되도록 해당 프로그램을 로드한다. 메모리(120)는 예를 들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 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지하구에 설치된 다양한 센서들의 센서 정보를 저장하는 모듈로서, 각 센서들의 위치 정보, 각 센서들의 식별 정보 등이 센서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20)에는 통합 감시 장치(100)가 화재 발생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화재 발생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화재 발생 기준 정보는 온도 기준 정보, 습도 기준 정보, 일산화탄소 기준 정보, 화재 발생을 촬영한 적외선 기준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메모리(120)는 통합 감시 장치(100)를 운용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통합 감시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프로그램에 포함된 명령들을 처리하는 다양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고,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등 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이후 설명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수신한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한다.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실행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프로세서(130)는 센싱 정보를 분석하여,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였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화재 발생 기준 정보를 기초로, 화재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프로세서(130)는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면, 화재 발생 기준에 해당하는 정보를 센싱한 센서의 식별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해당 센서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프로세서(130)는 해당 센서가 설치된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감시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감시 신호는 통신 모듈(110)을 통해 전력구 운영 시스템, 소방서 통합 감시 장치 및 광역 계통 운영 센터 등의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인터페이스(140)는 화재 감지선을 통해 센서들이 센싱한 센싱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센싱 정보에는 센서의 식별 정보와 센서가 각각 센싱한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다.
전원 공급 모듈(150)은 통합 감시 장치(100)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 모듈(150)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받아 통합 감시 장치(100)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통합 감시 장치(100)에 공급되는 전원의 형태를 어느 하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통합 감시 장치(100)를 통해 지하구의 화재를 감시하고 이를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도 3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 감시 장치(100)는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이 각각 센싱한 센싱 정보를 화재 감지선을 통해 수신한다(S100). 센싱 정보에는 센서의 식별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통합 감시 장치(100)는 센싱 정보와 미리 저장된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S110, S120).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하면, 통합 감시 장치(100)는 S100 단계 이후의 절차를 반복 수행한다. 이를 위해, 센서들은 미리 설정한 주기에 따라 센싱 정보를 통합 감시 장치(100)로 전송한다. 또한, 센서들은 미리 설정한 주기가 아니더라도 센서가 설치된 주변의 상황을 센싱하면, 통합 감시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S120 단계에서 확인한 결과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하면, 통합 감시 장치(100)는 환경을 센싱한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위치 정보를 확인한다. 그리고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감시 신호를 생성한다(S130). 통합 감시 장치(100)는 생성한 감시 신호를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관리 시스템에 전송한다(S14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7)

  1. 지하구와 다른 영역에 설치되어, 상기 지하구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로서,
    상기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화재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이 상기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상기 감시 신호에 상기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상기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
  4. 변전소 구내에 설치되어 지하구 화재 발생 여부를 감시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를 포함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지 시스템으로서,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는,
    상기 변전소 구내와 다른 영역인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를 각각 수신하는 인터페이스,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
    화재 기준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그리고
    상기 센싱 정보에서 센서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지하구에 화재가 발생하면 상기 관리 시스템이 상기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를 인식하도록 상기 감시 신호에 상기 화재를 센싱한 센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싱 정보와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상기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시스템.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감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모듈
    을 더 포함하는,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시스템.
  7.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가 지하구 화재를 감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가 설치된 위치와 다른 영역인 지하구에 설치된 복수의 센서들로부터 센싱 정보들과 각 센서의 식별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와 미리 저장된 화재 기준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지하구에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센싱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토대로 지하구에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정보를 수집한 센서의 식별 정보를 토대로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감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와 연동한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상기 관리 시스템이 상기 위치 정보를 근거로 상기 화재 발생 및 상기 화재 발생을 센싱한 센서를 인식하고,
    상기 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지하구 화재 통합 감시 장치와 연동한 복수의 관리 시스템으로,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으로 상기 감시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KR1020230036740A 2020-05-20 2023-03-21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KR10263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740A KR102632385B1 (ko) 2020-05-20 2023-03-21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478A KR20210143550A (ko) 2020-05-20 2020-05-20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KR1020230036740A KR102632385B1 (ko) 2020-05-20 2023-03-21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78A Division KR20210143550A (ko) 2020-05-20 2020-05-20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4157A KR20230044157A (ko) 2023-04-03
KR102632385B1 true KR102632385B1 (ko) 2024-02-02

Family

ID=7869801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78A KR20210143550A (ko) 2020-05-20 2020-05-20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KR1020230036740A KR102632385B1 (ko) 2020-05-20 2023-03-21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478A KR20210143550A (ko) 2020-05-20 2020-05-20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43550A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4659B1 (ko) * 2015-05-21 2017-05-11 (주)스마트테크놀로지 전력구내 지중 송전선로의 전기화재 징후 감지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550A (ko) 2021-11-29
KR20230044157A (ko) 2023-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680B1 (ko) 스마트형 화재 감시 감지 시스템
KR102135619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산불화재 감시 및 시설물 자율 점검 시스템
KR102344193B1 (ko) 가공 송전 선로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102044883B1 (ko) 인공지능 기반의 직접 디지털 제어기를 이용한 건물 자동 제어장치
CN112684744A (zh) 一种智慧城市运用地下管廊模型监控预警系统
KR102464640B1 (ko) IoT 기반의 화재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439267B1 (ko)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장치
CN112562246A (zh) 电气设备火灾监测系统
CN110779568A (zh) 一种在线监测与移动巡检协同的电力电缆检测方法及装置
KR101734659B1 (ko) 전력구내 지중 송전선로의 전기화재 징후 감지 및 경보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7895453A (zh) 楼宇安全报警系统及方法
KR102632385B1 (ko)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장치, 지하구 화재 수신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 화재 감시 방법
CN113791571A (zh) 一种智能建筑楼宇设备自控报警装置
CN211656391U (zh) 电缆沟监控系统
JP7265666B2 (ja) 火災報知設備
KR102459503B1 (ko) 듀얼센서를 이용한 감시영역 이상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JP5190939B2 (ja) 防災監視システム
JP6964030B2 (ja) 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KR102327158B1 (ko) Cctv 영상을 이용하는 원격 소방관리 시스템
KR101006548B1 (ko) 무선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외용 화염추적 시스템
JP7066402B2 (ja) 火災報知設備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CN206975811U (zh) 基于zigbee通讯方式的消防安全系统
KR101214494B1 (ko) 열/연기 감지기를 이용한 다단 셀프랙의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214428041U (zh) 一种天然气火灾自动报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