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2237B1 -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2237B1
KR102632237B1 KR1020230101428A KR20230101428A KR102632237B1 KR 102632237 B1 KR102632237 B1 KR 102632237B1 KR 1020230101428 A KR1020230101428 A KR 1020230101428A KR 20230101428 A KR20230101428 A KR 20230101428A KR 102632237 B1 KR102632237 B1 KR 102632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raw material
raw materials
heat treatment
sewage slu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경
Original Assignee
케이씨 환경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씨 환경서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이씨 환경서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01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22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40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 C10L5/46Solid fuels essentially based on materials of non-mineral origin on sewage, house, or town ref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5/00Solid fuels
    • C10L5/02Solid fuels such as briquettes consisting mainly of carbonaceous materials of mineral or non-mineral origin
    • C10L5/34Other details of the shaped fuels, e.g. briquettes
    • C10L5/36Shape
    • C10L5/363Pellets or granu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06Heat exchange, direct or indirect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24Mixing, stirring of fuel compon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38Applying an electric field or inclusion of electrodes in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LFU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ATURAL GAS; SYNTHETIC NATURAL GAS OBTAINED BY PROCESSES NOT COVERED BY SUBCLASSES C10G, C10K; LIQUEFIED PETROLEUM GAS; ADDING MATERIALS TO FUELS OR FIRES TO REDUCE SMOKE OR UNDESIRABLE DEPOSITS OR TO FACILITATE SOOT REMOVAL; FIRELIGHTERS
    • C10L2290/00Fuel preparation or upgrading, processes or apparatus therefore, comprising specific process steps or apparatus units
    • C10L2290/52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많은 양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건조 및 냄새저감 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은, 원료저장조; 원료투입호퍼; 이송컨베이어; 첨가제투입기; 정량투입호퍼; 전기건조기; 배출컨베이어; 드래그체인컨베이어; 펠릿성형기; 및 펠릿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Steam Coal Manufacturing System Using Sewage Sludge Odor Reduction Heat Treatment Electric Dryer}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혼합, 건조, 냉각 및 성형 공정을 통해 하수슬러지를 발전소 등에서 사용되는 연료로 제조하는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화석 연료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친환경적으로 자원을 재사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 중 하나로 하수슬러지를 펠릿 등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한 고형연료(이하 '연료탄'이라 한다)를 사용하는 방안이 알려져 있다.
위와 같이 하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연료탄을 제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발열량을 담보하기 위해 하수슬러지에 톱밥 등의 첨가제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혼합공정과, 첨가제와 하수슬러지가 혼합된 혼합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혼합물을 냉각시키는 냉각공정 및 냉각된 혼합물을 소정 크기로 성형하는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연료탄 제조공정에서는 연속적으로 많은 양의 하수슬러지가 빠르게 건조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건조 효율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의 건조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목적의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2301692호의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이하 '특허문헌'이라 한다)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은 하수슬러지를 슬러지저장조에 투입하여 일시 저장하고, 톱밥을 톱밥저장조에 투입하여 일시 저장하는 투입공정; 상기 슬러지저장조에 저장된 하수슬러지와 상기 톱밥저장조에 저장된 톱밥을 원료혼합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혼합공정;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디스크건조기에서 건조하는 건조공정; 상기 건조된 건조물을 냉각이송컨베어에서 냉각한 후, 이송하는 냉각공정; 상기 냉각된 건조물을 혼합컨베어에 투입하고, 수분조절장치를 통해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공정; 및 상기 수분이 공급된 건조물을 성형기에서 성형한 후, 냉각 및 저장하는 성형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건조공정의 디스크건조기는, 일측에는 혼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건조된 건조물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부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가스룸이 형성된 건조기본체; 상기 건조기본체의 내부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중심축의 외주면에 다수 개의 디스크가 형성되며, 내부에 공급되는 스팀에 의해 가열되어 혼합물을 건조하면서 교반시켜주는 디스크회전체; 상기 디스크회전체에 구비된 중심축의 후단부에 연결되어 디스크회전체를 회전시켜주는 구동장치; 스팀 투입을 위한 스팀부를 포함하며, 건조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감싸는 구조로 설치되는 스팀자켓 및 상기 스팀자켓의 상부에 형성되어 디스크 사이마다 교번되게 배치되며, 디스크 상에 혼합물의 부착을 억제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디스크건조기는, 상기 디스크마다 스팀파이프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스팀파이프를 통해 공급되는 스팀이 각 디스크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스팀파이프는 인접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디스크의 스팀파이프와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되도록 방사상으로 소정 각도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은 복수 개의 디스크에 스팀파이프가 각각 설치되고, 스팀파이프를 통해 디스크의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며,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디스크와 접촉되는 하수슬러지가 빠르게 건조되도록 구성된 것이나, 이러한 디스크건조기의 경우 내부에 복수 개의 디스크와 스팀파이프가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고, 유지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하수슬러지가 디스크와 디스크 사이에 쉽게 고착될 수 있고, 이 경우 하수슬러지의 건조 성능을 담보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많은 양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된다.
KR 10-2301692 B1 (2021. 09. 07.) KR 10-0120836 B1 (1997. 08. 21.) KR 10-2023-0035181 A (2023. 03. 13.) KR 10-0835964 B1 (2008. 06. 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많은 양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은, 내부에 소정량의 하수슬러지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저장조; 상기 원료저장조에 저장된 소정량의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투입호퍼; 상기 원료투입호퍼에 저장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내부에 첨가제가 저장되어 소정량의 첨가제를 투입시키는 첨가제투입기; 상기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첨가제투입기를 통해 투입되는 원료와 첨가제가 저장된 다음, 정량 배출되는 정량투입호퍼; 상기 정량투입호퍼를 통해 정량 투입되는 원료와 첨가제를 혼합 및 건조시키는 전기건조기; 상기 전기건조기에서 첨가제가 혼합되어 건조된 원료를 상기 전기건조기의 내부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 상기 배출컨베이어를 통해 배출된 원료를 이송하는 드래그체인컨베이어; 상기 드래그체인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를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기; 및 상기 펠릿성형기를 통해 성형된 펠릿을 저장하는 펠릿저장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전기건조기가 내부로 투입된 원료가 사행상으로 이동되도록 구획된 복수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사행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일단 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의 일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원료가 투입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원료 투입부; 상기 본체와 상기 원료 투입부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열로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로 투입된 원료를 사행상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 상기 본체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하측가열부;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열을 방출하는 상측가열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 사행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타단 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로 투입되어 건조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료 배출부;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 하측가열부 및 상측가열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가열부와 상기 상측가열부를 통해 상기 본체의 공간을 따라 사행상으로 이동되는 원료가 상하 양측 방향에서 동시에 가열되어 건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설치되는 날개; 및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설치되어 구동유닛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원료가 사행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해 본 발명은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기어로 구성되면서 인접된 상기 동력전달부재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에 구동유닛이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본체의 일측 또는 양측에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료저장조에 저장된 원료가 원료투입호퍼, 이송컨베이어, 첨가제투입기를 통해 원료에 소정 비율의 첨가제가 투입되어 혼합되게 되고, 이후 정량투입호퍼를 통해 전기건조기 쪽으로 첨가제가 혼합된 원료(하수슬러지)가 정량 투입되면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전기건조기를 통해 건조된 원료는 배출컨베이어와 드래그체인컨베이어를 통해 펠릿성형기 쪽으로 공급되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압축 성형되게 되고, 이후 성형된 펠릿은 펠릿저장조에 저장되게 되면서 펠릿 형태의 연료탄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제조되게 된다.
그리고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는 내부로 정량 투입되는 원료가 이송스크루를 통해 본체 내부의 구획된 공간을 따라 사행상으로 이동되면서 하측가열부와 상측가열부에서 동시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빠르고 확실하게 건조 및 냄새저감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는 본체 내부의 습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온도가 높아지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배기관이 개방되고, 이를 통해 본체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건조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그 결과 원료의 빠른 건조 성능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전기건조기를 통해 하수슬러지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악취가 고온다습한 공기와 함께 배출되어 제거되므로 펠릿을 성형하는 후속 공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의 악취가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 시스템의 예를 보인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연료탄 제조용 전기건조기의 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측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관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다습 공기가 정량투입호퍼를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많은 양의 하수슬러지를 연속적으로 빠르게 건조 및 악취를 저감시킬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저장조(10), 원료투입호퍼(20), 이송컨베이어(30), 첨가제투입기(40), 정량투입호퍼(50), 열처리 전기건조기(60), 배출컨베이어(80),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 펠릿성형기(90) 및 펠릿저장조(100)를 포함한다.
원료저장조(10)는 10~20%의 함수율을 가지는 건조 하수슬러지 원료와, 1~3㎜로 분쇄된 톱밥 등의 첨가제가 저장되는 구성으로, 이러한 원료저장조(1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사일로(Silo)로 구성되어 내부에 하수슬러지 원료와 톱밥 등의 첨가제가 각각 저장되고, 후술되는 원료투입호퍼(20)와 첨가제투입기(40) 쪽으로 필요한 양의 원료와 첨가제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다.
원료투입호퍼(20)는 원료저장조(10)에서 공급되는 소정량의 원료를 임시로 저장하였다가 공정상 필요한 양의 원료를 후술되는 정량투입호퍼(50) 쪽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원료투입호퍼(20)에는 스크루타입 컨베이어(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원료저장조(10)에서 소정량의 원료가 확실하게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30)는 원료투입호퍼(20)에 임시 저장된 원료를 후술되는 정량투입호퍼(50) 쪽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이송컨베이어(30)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이송컨베이어(30) 중에서 선택되어 구성될 수 있다.
첨가제투입기(40)는 원료저장조(10)에 저장된 소정량의 첨가제가 공급된 다음, 이송컨베이어(30)를 통해 원료투입호퍼(20) 쪽으로 공급되는 원료의 양에 맞추어 소정량의 첨가제를 투입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첨가제투입기(40)는 첨가제의 수에 맞추어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복수의 첨가제가 첨가제투입기(40)에서 소정 비율로 1차 혼합된 다음, 정량투입호퍼(50) 쪽으로 공급되어 원료와 혼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량투입호퍼(50)는 이송컨베이어(30)와 첨가제투입기(40)를 통해 내부로 소정 비율의 원료와 첨가제가 투입된 다음, 후술되는 전기건조기(60) 쪽으로 정량의 원료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열처리 전기건조기(60)는 첨가제가 혼합된 원료가 투입되어 소정 길이의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투입된 원료와 첨가제를 혼합하고 건조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열처리 전기건조기(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61), 원료 투입부(62), 이송스크루(63), 하측가열부(64), 고정부재(65), 상측가열부(66), 열반사부재(67), 배기관(68) 및 원료 배출부(69)를 포함하고, 이하에서는 이러한 위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61)는 내부에 사행상으로 구획된 복수 개의 공간이 형성되어 내부로 소정량의 원료가 투입되어 공정을 따라 건조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본체(6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상면이 개방된 하부본체(61A)와, 상기 하부본체(61A)의 개방된 상면을 커버하는 상부본체(61B)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부본체(61A)와 상부본체(61B)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U"자 단면 모양을 가지는 복수 개의 챔버(61C, chamber)가 병렬로 설치된다.
이때 복수 개의 챔버(61C)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의 양단이 교대로 절개되어 소정 크기의 연통부(A)가 형성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복수 개의 챔버(61C)를 서로 연결하는 사행상의 이동 경로가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연통부(A)는 후술되는 이송스크루(63)의 회전축(63A) 중심점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높거나 같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가 해당 챔버(61C) 내에서 연통부(A)를 통해 인접된 다음 챔버(61C) 쪽으로 쉽게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여 저류되게 되고, 그 결과 연통부(A)를 통해 원료가 넘어갈 정도로 하나의 챔버(61C)에 소정 량의 원료가 쌓일 때까지 충분히 머무르면서 원료가 건조되게 되어 원료의 건조 성능이 담보되게 된다.
또한, 챔버(61C)는 원료가 건조되는 과정에서 고온의 원료와 반복 접촉되더라도 부식되거나 마모되지 않도록 내열성과 내식성이 우수한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복수 개의 챔버(61C)에 의해 형성되는 사행상의 유로 중 원료가 투입되는 상류측 일단 부분에 위치되는 하부본체(61A)에는 소정 크기의 개구부(도면부호 없음)가 형성되고, 이러한 개구부를 통해 챔버(61C)의 상류측으로 원료가 공급되도록 후술되는 원료 투입부(62)가 연결되게 된다.
원료 투입부(62)는 정량투입호퍼(50)를 통해 원료를 공급받아 본체(61)의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원료 투입부(62)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상면이 개방된 소정 크기의 박스 모양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원료 투입부(62)의 일측면에는 본체(61)의 일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연통되도록 소정 크기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형성된다.
그리고 원료 투입부(62)는 볼트와 너트 등의 체결부재 또는 용접을 통해 본체(61)의 일측에 강건하게 고정되게 된다.
이때 원료 투입부(62)가 체결부재를 통해 본체(61)의 일측에 고정될 때에는 원료 투입부(62)와 본체(61) 사이의 틈으로 원료가 누출되지 않도록 고무 재질의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원료 투입부(62)의 내부에는 본체(61)의 챔버(61C)에 설치되는 이송스크루(63)의 일단 부분이 연장되어 설치되고, 이를 통해 원료 투입부(62)로 투입되는 원료가 이송스크루(63)에 의해 자연스럽게 본체(61) 내부의 상류측 챔버(61C) 쪽으로 이송되게 된다.
한편, 원료 투입부(62)에는, 정량투입호퍼(50)를 통해 투입되는 원료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정량투입호퍼(50)와 연결된 밀폐된 유로가 설치되거나, 또는 원료 투입부(62) 쪽으로 외부 공기를 흡인하는 흡입팬(도시하지 않음)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흡입팬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원료 투입부(62)를 통해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본체(61) 쪽으로 공급되게 되고, 이렇게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본체(61) 내부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원료를 건조시키는 데에 이용되며, 이후 고온 다습 공기와 악취가 후술되는 배기관(68)을 통해 함께 배출되게 된다.
이송스크루(63)는 본체(61) 내부에 설치되어 복수 개의 챔버(61C)를 통해 구획된 사행상의 공간을 따라 이송시키는 구성이다.
이러한 이송스크루(63)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61C)에 각각 설치되면서 수평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63A)과, 상기 회전축(63A)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형성되는 날개(63B) 및 상기 회전축(63A)의 일단에 설치되면서 모터 등의 구동유닛과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63C)를 포함한다.
그리고 회전축(63A)은 인접되는 한 쌍의 회전축(63A)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어 챔버(61C)를 통해 형성되는 사행상의 유로를 따라 원료가 이송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63C)가 소정 지름을 가지는 기어(평기어)로 구성되고, 이러한 동력전달부재(63C)가 인접하게 설치되는 또 다른 동력전달부재(63C)와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연결된 다음, 일측의 동력전달부재(63C)에 구동유닛(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축과 기어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일측 동력전달부재(63C)로 회전 동력이 전달되게 됨에 따라 기어가 맞물리게 설치된 복수 개의 동력전달부재(63C)가 교대로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재(63C)는 서로 다른 기어비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챔버(61C)의 위치에 따라 원료가 이송되는 속도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예로는 상류측 챔버(61C)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63C)의 기어의 수가 하류측 챔버(61C)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재(63C)의 기어의 수 보다 상대적으로 많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하류측에 비해 상류측에서는 원료가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류측 챔버(61C)의 내부에서는 원료가 하류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이송되면서 원료가 충분히 가열되어 건조되게 되고, 하류측 챔버(61C) 쪽에서는 상류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이송되면서 원료가 추가로 건조됨과 동시에 후술되는 원료 배출부(69) 쪽으로 빠르게 이송되어, 원료를 건조시키는 성능이 담보됨과 동시에 원료가 건조되어 배출되기까지 소요되는 공정의 시간이 단축되게 된다.
하측가열부(64)는 본체(61)의 저면에 설치되어 본체(61)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하측가열부(6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61A)의 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시키는 히팅자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측가열부(64)의 내측 상부에는 하부본체(61)의 저면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소정 두께의 열전달판(64A)이 설치되고, 내측 하부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소정 두께의 단열판(64B)이 설치되며, 이러한 열전달판(64A)과 단열판(64B) 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전기발열체(64C)가 설치된다.
이때 전기발열체(64C)는 소정 크기의 면을 가지는 면상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고, 또 다르게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봉 형태의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봉 형태로 전기발열체(64C)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하측가열부(64)의 일측면을 따라 소정 지름의 관통공(도면부호 없음)이 복수 개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공에 봉 형태(PTC히터)의 전기발열체(64C)가 삽입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필요시 전기발열체(64C)를 하측가열부(64)로부터 꺼내어 점검 또는 교체를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하측가열부(64)에 전원이 인가되면, 복수 개의 전기발열체(64C)에 의해 열전달판(64A)이 가열되게 되고, 이에 의해 하부본체(61A)와 챔버(61C)가 가열되게 되며, 그 결과 원료가 챔버(61C)를 따라 이송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챔버(61C)의 내측면에 무수히 접촉되게 되면서 가열 건조되게 된다.
고정부재(65)는 후술되는 상측가열부(66)를 본체(61)의 내측 상부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고정부재(65)는 상하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는 전산볼트로 구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고정부재(65)의 하단이 후술되는 상측가열부(66)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 다음, 고정부재(65)의 하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상측가열부(66)가 고정부재(65)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측가열부(66)는 고정부재(65)를 통해 본체(61)의 내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하부의 챔버(61C)를 따라 사행상으로 이송되는 원료의 위쪽에서 가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측가열부(66)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금속재질의 방열판(66A)과, 상기 방열판(66A)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기발열체(66B)를 포함한다.
이때 방열판(66A)에는 소정 크기의 삽입공(도면부호 없음)이 길이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형성되고, 이러한 삽입공에 전기발열체(66B)가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위치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본체(61B)에는 방열판(66A)의 삽입공과 연결되는 소정 지름의 관통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외부에서 방열판(66A)의 삽입공 쪽으로 전기발열체(66B)를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삽입된 전기발열체(66B)를 꺼내어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체(61) 내부의 챔버(61C)를 따라 사행상으로 이송되는 원료의 위쪽에서 열기가 전달되어 원료가 가열되어 건조되게 되고, 그 결과 하측가열부(64)와 상측가열부(66)를 통해 원료가 상하 양쪽 방향에서 동시에 가열되어 빠르고 확실하게 건조되게 된다.
열반사부재(67)는 본체(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측가열부(66)에서 방출되는 열이 본체(61)의 상면 쪽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상측가열부(66)의 열이 하부본체(61)의 챔버(61C) 쪽으로 집중되어 방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열반사부재(67)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본체(61B)의 상부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소정 두께의 단열판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단열판의 저면에 열반사 필름이 부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판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기관(68)은 본체(61)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배기관(68)에는 본체(61)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면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어밸브(V) 또는 댐퍼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밸브(V) 또는 댐퍼는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개폐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본체(61) 내부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원료 투입부(62)를 통해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외부의 공기가 본체(61) 내부로 재유입되어 가열되게 된다.
원료 배출부(69)는 본체(61)의 내부에 사행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타단 쪽(하류측)에 형성되면서 본체(61)로 투입되어 건조된 원료가 외부의 후속 공정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원료 배출부(69)는 하류측 챔버(61C)의 내부로 이송되는 건조된 원료를 소정 높이로 수직 운반하여 후속 공정으로 이동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와 연결되게 된다.
제어기는 이송스크루(63), 하측가열부(64) 및 상측가열부(66)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제어기는 하측가열부(64)와 상측가열부(66)에 설치되는 전기발열체(64C, 66B)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도시하지 않음)와,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 및 고장을 감지하는 램프(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61)의 내부에 습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와 온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고, 제어기는 습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실시간 습도와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제어밸브(V)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상측가열부(66)가 고정부재(65)를 통해 본체(61)의 내측 상부에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가열부(66)의 설치 높이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승강 가능하도록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예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65)가 상부본체(61B)와 열반사부재(67)를 관통하여 승강되도록 구성되고, 이러한 고정부재(65)의 상단에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65)를 하나로 연동시키는 소정 크기의 승강판(P)이 설치되며, 상기 승강판(P)에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인입출 동작되는 로드가 구비된 실린더유닛(S)이 설치되어, 실린더유닛(S)에 의해 승강판(P)의 높이가 조절되게 됨에 따라 고정부재(65)의 높이가 조절되어 그 하단에 설치된 상측가열부(66)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측가열부(66)는 하나의 챔버(61C) 폭에 맞추어 복수 열로 설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측가열부(66)가 실린더유닛(S)을 통해 하강될 때에는 각 챔버(61C) 별로 상측가열부(66)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상측가열부(66)가 하강 동작될 때에는 챔버(61C)의 상부 안쪽으로 소정 깊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원료의 투입량, 챔버(61C) 별 원료의 처리량 및 챔버(61C)의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제어기에 의해 상측가열부(66)의 높이가 개별적으로 조절되어 최적의 건조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해 위에서는 배기관(68)을 통해 고온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배기관(68)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가 취합되는 배기유로(L1)와, 일단이 배기유로(L1)와 연결되면서 타단이 정량투입호퍼(2)의 외측면을 나선 모양으로 감싸도록 설치되는 나선유로(L2) 및 일단이 나선유로(L2)의 타단에 연결되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 등의 오염 성분을 제거하여 배출하는 오염제거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고온다습한 공기의 열에너지를 재사용하여 정량투입호퍼(50)에 저장된 원료가 예열되고,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아진 공기가 오염제거장치(110) 쪽으로 공급되어 악취 등의 오염 성분이 제거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되므로 공정을 친환경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배출컨베이어(70)는 열처리 전기건조기(60)의 연료 배출부(69) 쪽에 위치되는 원료를 이송하여 전기건조기(60)에서 배출시키는 구성으로, 이러한 배출컨베이어(70)는 소정 높이로 원료를 이송하는 수직형 컨베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는 배출컨베이어(70)를 통해 열처리 전기건조기(60)에서 소정 높이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원료를 후술되는 펠릿성형기(90) 쪽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이러한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를 통해 분체형 원료의 함수율 차이에도 이송 통로의 막힘없이 원료를 확실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펠릿성형기(90)는 공급된 원료를 가압하여 소정 크기의 펠릿(pellet)을 만드는 구성으로, 이때 펠릿은 원통 모양, 사각 블록 모양, 타원 모양 등 다양하게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펠릿성형기(90)를 통해 원료가 소정 크기로 압축 성형되기 위해서는 펠릿성형기(90)로 원료가 공급되기 전에 원료에 소정의 수분을 공급하여 설정된 함수율이 되도록 하는 수분공급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펠릿성형기(90)를 통해 성형되는 펠릿의 크기는 운반과 사용의 편의를 위해 취급이 용이하도록 5~10㎝의 지름을 가지면서 10~20㎝의 길이를 가지는 원통 모양의 펠릿으로 성형될 수 있다.
펠릿저장조(100)는 펠릿성형기(90)를 통해 소정 크기로 성형된 펠릿이 저장되는 구성으로, 이렇게 펠릿저장조(100)에 저장된 펠릿은 이후 운반차량 등에 적재되어 사용처로 운반되어 사용되게 된다.
한편, 위에서는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된 원료가 펠릿성형기(90)로 공급되는 공급되어 성형되는 것으로만 도시되고 설명되었으나, 이와 달리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를 통해 공급되는 원료가 냉각기(도시하지 않음)에 공급되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 다음, 펠릿성형기(90) 쪽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원료저장조에 저장된 원료가 원료투입호퍼, 이송컨베이어, 첨가제투입기를 통해 원료에 소정 비율의 첨가제가 투입되어 혼합되고, 이후 정량투입호퍼를 통해 열처리 전기건조기 쪽으로 첨가제가 혼합된 원료(하수슬러지)가 정량 투입되면서 건조 및 악취저감이 이루어지며,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통해 건조와 악취저감된 원료는 배출컨베이어와 드래그체인컨베이어를 통해 펠릿성형기 쪽으로 공급되어 소정 크기를 가지는 펠릿 형태의 연료탄으로 압축 성형되게 되고, 이후 성형된 펠릿은 펠릿저장조에 저장되게 되면서 펠릿 형태의 연료탄이 연속적으로 빠르게 제조되게 된다.
또한, 정량투입호퍼를 통해 본체 내부로 정량 투입되는 원료가 이송스크루를 통해 본체 내부의 구획된 공간을 따라 사행상으로 이동되면서 하측가열부와 상측가열부에서 동시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빠르고 확실하게 건조되게 된다.
또한, 본체 내부의 습도가 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높아지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배기관이 개방되고, 이를 통해 본체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건조된 공기가 유입되게 되며, 그 결과 원료의 빠른 건조 성능이 담보되게 된다.
위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과 도면에 나타난 구성에 도면부호와 명칭을 부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면상에 나타난 형상과 부여된 명칭에 국한되어 그 권리범위가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의 변경과 동일한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의 단순 치환은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변경 가능한 범위 내에 있음은 지극히 자명하다고 볼 것이다.
10: 원료저장조 20: 원료투입호퍼
30: 이송컨베이어 40: 첨가제투입기
50: 정량투입호퍼 60: 열처리 전기건조기
61: 본체 61A: 하부본체
61B: 상부본체 61C: 챔버
62: 원료 투입부 63: 이송스크루
63A: 회전축 63B: 날개
63C: 동력전달부재 64: 하측가열부
64A: 열전달판 64B: 단열판
64C: 전기발열체 65: 고정부재
66: 상측가열부 66A: 방열판
66B: 전기발열체 67: 열반사부재
68: 배기관 69: 원료 배출부
70:배출컨베이어 80: 드래그체인컨베이어
90: 펠릿성형기 100: 펠릿저장조
110: 오염제거장치 A: 연통부
H: 연통부의 높이 L1: 배기유로
L2: 나선유로 P: 승강판
S: 실린더유닛 V: 제어밸브

Claims (5)

  1.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에 소정량의 하수슬러지 원료가 저장되는 원료저장조(10);
    상기 원료저장조(10)에 저장된 소정량의 원료가 공급되는 원료투입호퍼(20);
    상기 원료투입호퍼(20)에 저장된 원료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0);
    내부에 첨가제가 저장되어 소정량의 첨가제를 투입시키는 첨가제투입기(40);
    상기 이송컨베이어(30)와 상기 첨가제투입기(40)를 통해 투입되는 원료와 첨가제가 저장된 다음, 정량 배출되는 정량투입호퍼(50);
    상기 정량투입호퍼(50)를 통해 정량 투입되는 원료와 첨가제를 혼합 및 건조시키는 열처리 전기건조기(60);
    상기 열처리 전기건조기(60)에서 첨가제가 혼합되어 건조된 원료를 상기 전기건조기(60)의 내부에서 배출시키는 배출컨베이어(70);
    상기 배출컨베이어(70)를 통해 배출된 원료를 이송하는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
    상기 드래그체인컨베이어(80)를 통해 이송되는 원료를 펠릿 형태로 성형하는 펠릿성형기(90); 및
    상기 펠릿성형기(90)를 통해 성형된 펠릿을 저장하는 펠릿저장조(1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처리 전기건조기(60)는,
    내부로 투입된 원료가 사행상으로 이동되도록 구획된 복수의 공간이 형성된 본체(61);
    상기 본체(61)의 내부에 사행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일단 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61)의 일측 내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본체(61)의 내부로 원료가 투입되도록 하는 소정 크기의 원료 투입부(62);
    상기 본체(61)와 상기 원료 투입부(62)에 수평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도록 복수 열로 설치되어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본체(61)로 투입된 원료를 사행상의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63);
    상기 본체(61)의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61)의 바닥면을 가열하는 하측가열부(64);
    상기 본체(61)의 내측 상부에 소정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부재(65);
    상기 복수 개의 고정부재(65)를 통해 상기 본체(6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열을 방출하는 상측가열부(66);
    상기 본체(61)의 내부에 사행상으로 형성된 공간의 타단 쪽에 위치되면서 상기 본체(61)로 투입되어 건조 및 악취저감된 원료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원료 배출부(69); 및
    상기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63), 하측가열부(64) 및 상측가열부(66)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를 포함하며,
    상기 하측가열부(64)와 상기 상측가열부(66)를 통해 상기 본체(61)의 공간을 따라 사행상으로 이동되는 원료가 상하 양측 방향에서 동시에 가열되어 건조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본체(61)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내부의 고온 다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68)이 설치되며,
    상기 하측가열부(64)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는 히팅자켓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가열부(64)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본체(61)의 하부본체(61)의 저면과 밀착되어 열을 전달하는 소정 두께의 열전달판(64A)이 설치되며,
    상기 하측가열부(64)의 내측 하부에는,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소정 두께의 단열판(64B)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달판(64A)과 상기 단열판(64B)의 사이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 개의 전기발열체(64C)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발열체(64C)는,
    상기 하측가열부(64)의 일측면을 따라 소정 지름의 관통공이 복수 개 형성된 다음, 상기 관통공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태의 발열체로 구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체(64C)를 상기 하측가열부(64)로부터 꺼내어 점검 및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원료 투입부(62)에는,
    원료에서 발생하는 악취가 공기 중으로 방출되지 않도록 원료 투입부(62) 쪽으로 외부 공기를 흡인하는 흡입팬이 설치되고,
    상기 흡입팬을 통해 상기 본체(61) 쪽으로 공급되는 외부공기는,
    상기 본체(61) 내부에서 가열되어 원료를 건조시키는 데 이용된 다음, 상기 배기관(68)을 통해 고온 다습 공기와 악취가 함께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68)에는,
    유로를 개폐하는 제어밸브(V)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61)의 내부에는,
    습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습도감지센서와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실시간 습도와 온도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밸브(V)의 개폐 동작이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이송스크루(63)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회전축(63A);
    상기 회전축(63A)의 외측면을 따라 나선 모양으로 설치되는 날개(63B); 및
    상기 회전축(63A)의 일단에 설치되어 구동유닛의 회전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동력전달부재(63C);
    를 포함하고,
    인접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회전축(63A)이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되도록 설치되어 원료가 사행상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63C)는,
    소정 지름을 가지는 기어로 구성되면서 인접된 상기 동력전달부재(63C)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회전축(63A)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상기 회전축(63A)에 구동유닛이 연결되어 회전 동작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 제조 시스템.
  5. 삭제
KR1020230101428A 2023-08-03 2023-08-03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KR102632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428A KR102632237B1 (ko) 2023-08-03 2023-08-03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1428A KR102632237B1 (ko) 2023-08-03 2023-08-03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2237B1 true KR102632237B1 (ko) 2024-02-02

Family

ID=8990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1428A KR102632237B1 (ko) 2023-08-03 2023-08-03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2237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6B1 (ko) 1994-10-05 1997-10-29 한병기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20070121320A (ko) * 2006-06-22 2007-12-27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35964B1 (ko) 2007-07-26 2008-06-10 고성호 열병합발전기의 폐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2183573B1 (ko) * 2020-05-27 2020-11-26 이배근 슬러지 건조장치
KR102301692B1 (ko) 2021-06-21 2021-09-14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KR102315717B1 (ko) * 2021-03-11 2021-10-22 주식회사 바이오콤 폐기물슬러지 연료화 설비시스템
KR20230013446A (ko) * 2021-07-19 2023-01-26 (주)드림엔지니어링 슬러지 건조 장치
KR20230035181A (ko) 2021-09-03 2023-03-13 강동엽 폐기물을 활용한 환경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36B1 (ko) 1994-10-05 1997-10-29 한병기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20070121320A (ko) * 2006-06-22 2007-12-27 김창성 폐기물 슬러지 건조장치
KR100835964B1 (ko) 2007-07-26 2008-06-10 고성호 열병합발전기의 폐열을 이용한 슬러지 건조시스템
KR102183573B1 (ko) * 2020-05-27 2020-11-26 이배근 슬러지 건조장치
KR102315717B1 (ko) * 2021-03-11 2021-10-22 주식회사 바이오콤 폐기물슬러지 연료화 설비시스템
KR102301692B1 (ko) 2021-06-21 2021-09-14 케이씨그린에너지 주식회사 디스크건조기를 이용한 하수슬러지 연료탄 제조방법
KR20230013446A (ko) * 2021-07-19 2023-01-26 (주)드림엔지니어링 슬러지 건조 장치
KR20230035181A (ko) 2021-09-03 2023-03-13 강동엽 폐기물을 활용한 환경에너지 선순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70548A (zh) 一种污泥搅拌造粒回转干燥装置
KR101830270B1 (ko) 열원을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및 음식 폐기물 처리시스템
KR102057682B1 (ko) 오니 건조장치
KR101780983B1 (ko) 건조장치
CN101602565B (zh) 污水处理厂脱水后污泥处理工艺
CN109439518B (zh) 生物干化机及其干化方法
KR102632237B1 (ko)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를 이용한 연료탄제조 시스템
KR101070281B1 (ko) 유기성 슬러지의 고정상식 건조장치
KR100368931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장치
KR102632238B1 (ko) 하수슬러지 냄새저감 열처리 전기건조기
KR100988828B1 (ko) 슬러지혼합시스템
KR102180289B1 (ko) 하이브리드 벨트식 다단건조기를 갖춘 유기성 폐기물 건조장치
KR20210078902A (ko) 해양투기폐기물 육상건조장치
KR101097899B1 (ko) 해양투기폐기물 육상건조장치
KR101297490B1 (ko) 배치식 처리 방식의 나선식 건조기를 이용한 연속식 슬러지 처리 시스템 및 처리 방법
KR102378273B1 (ko)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악취제거용 열처리 장치를 구비한 고형연료 제조시스템
KR102315717B1 (ko) 폐기물슬러지 연료화 설비시스템
CN104555436A (zh) 远距离输送和除湿生活垃圾的方法及装置
CA3136407C (en) Heat treatment apparatus
CN105819648B (zh) 底部干燥式污泥干化装置和方法
KR101638476B1 (ko) 탈수식 분뇨 연료화 장치
KR100407226B1 (ko) 가연성 폐기물의 연료화를 위한 건조로
KR102009175B1 (ko) 건조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JP2011063743A (ja) 連続式炭化装置
JP2004263193A (ja) 過熱蒸気を用いた熱処理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