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947B1 -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947B1
KR102631947B1 KR1020210108907A KR20210108907A KR102631947B1 KR 102631947 B1 KR102631947 B1 KR 102631947B1 KR 1020210108907 A KR1020210108907 A KR 1020210108907A KR 20210108907 A KR20210108907 A KR 20210108907A KR 102631947 B1 KR102631947 B1 KR 102631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means
moving
moving part
packaging material
clos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8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6820A (ko
Inventor
강형석
Original Assignee
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형석 filed Critical 강형석
Priority to KR1020210108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94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68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68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6Feeding sheets or blanks from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 B31B50/044Feeding sheets or blanks involving alig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4Endless-belt separators
    • B65H3/042Endless-belt separators separating from the bottom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04Fixed or adjustable stops or ga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1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on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6Cardboard
    • B65H2701/1762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가 적층된 박스용 골판지 원단의 규격 및 크기 등을 조절하여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한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fabric feeder for packaging materials}
본 발명은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가 적층된 박스용 골판지 원단의 규격 및 크기 등을 조절하여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한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판지는 물결모양의 골심지의 평판에 라이너지를 접착한 것으로, 무게가 가볍고 강도 및 완충력이 우수하여 내, 외부 포장재(10)를 박스형태로 재단하여 포장박스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판지 포장재의 외면에는 규격에 맞춰 다양한 도형, 문자, 기호 등을 인쇄하고 인쇄된 골판지를 슬로터를 이용하여 재단함으로써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박스를 제작한다.
따라서 골판지를 제작, 인쇄 및 재단을 위해 각 공정에 맞춰 설비된 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진행하며, 각 장치에 맞춰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공급장치가 부가되고 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공급장치와 접는장치 사이에 포장박스의 회전과 자동이송이 가능한 장치를 연결 설치하여 작업자를 거치지 않고 자동으로 포장박스를 이송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인쇄가 완료된 포장박스의 공급공정과 접는 공정 사이를 자동화 라인을 형성하여 인력난을 방지하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적층된 포장박스를 단순 운반하여 다음 공정으로 운반하고 있어, 적층된 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적층된 박스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시, 각 공정 및 장치에 맞춰 정렬, 공급 속도 등을 제어하고 있으나 단순 운반을 위한 구성으로 개별적으로 원활하게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05787호(2005.07.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층된 다수개의 포장재를 인쇄, 절단, 제단 등의 공정에서 가공하기 위해 하나의 포장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정을 위해 운반되는 포장재를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적층된 포장재 중 하단에 위치한 하나의 포장재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포장재의 위치에 맞춰 정렬하여 일정하게 공급하며, 포장재의 밀착시 충격 등을 완충할 수 있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층된 포장재를 운반하는 운반수단에 설치되어 하나의 포장지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에 체결되는 체결부가 양측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프레임부; 상기 개방부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제1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부에 수평으로 배치된 제2이동부; 상기 제1이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높이조절부를 통해 상기 운반수단의 상단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포장재가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제1이송수단; 상기 제2이동부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양측간격을 조절하며, 적층된 상기 포장재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제2이송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하단면에 상기 운반수단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브라켓과, 상기 이동브라켓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운반수단의 양측단에 체결되는 체결브라켓과, 상기 체결브라켓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운반수단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브라켓을 상기 운반수단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 제1이동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제1이송수단이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1동력축과, 상기 제1동력축과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부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축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동력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동력축을 회전시키는 제1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동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의 내부에 위치한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제2이동레일을 구비하여 상기 제2이송수단이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제2동력축과,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동력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동력축을 회전시키는 제2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수단은, 상기 제1동력축이 삽입되는 제1동력홈과, 상기 가이드축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단에 상기 높이조절부가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프레임부의 전방에 위치하여 적층된 상기 포장재가 밀착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며, 높낮이조절을 통해 상기 운반수단의 상부 간격을 조절하는 안착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이송수단은, 상기 제2동력축이 삽입되는 제2동력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동력축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 제2하우징과,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포장재가 유입되도록 전방을 향해 확장된 유입판이 형성된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송수단의 상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3이동부와, 상기 제3이동부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포장재가 밀착되는 보조안착부가 포함되되, 상기 보조안착부는, 상기 제3이동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일측단에 힌지부를 통해 회동가능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가 밀착되는 보조안착판과, 상기 힌지부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안착판의 하단부분이 상기 제1이송수단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따르면, 다수개가 적층된 포장재를 개별적으로 공급하여 인쇄, 절단, 제단 등의 가공을 위해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반되는 포장재를 3면에서 지지하여 적층된 포장재를 정렬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공급하여 가공시 위치이동에 따른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재의 밀착시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며, 보조안착부를 통해 하부에서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재를 운반하는 운송장치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다양한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치 후, 프레임부의 위치이동을 통해 공급되는 포장재의 위치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이송수단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공급되는 포장재의 두께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며, 한장, 또는 여러장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수단의 간격조절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수단에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이송수단의 간격조절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안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반수단에 설치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장재의 공급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가 적층된 박스용 골판지 원단의 규격 및 크기 등을 조절하여 중앙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한장씩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적층된 포장재(10)를 운반하는 운반수단(20)에 설치되어 하나의 포장재(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도록 프레임부(100), 제1이동부(200), 제2이동부(300), 제1이송수단(400) 및 제2이송수단(5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운반수단(2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가 양측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된다.
상기 제1이동부(200)는 상기 개방부(110)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2이동부(300)는 상기 제1이동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부(110)에 수평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이동부(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높이조절부(413)를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단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10)가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제2이동부(3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부(300)ㅍ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양측간격을 조절하며, 적층된 상기 포장재(10)의 양측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기 제1이동부(200) 및 상기 제2이동부(300)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운반수단(2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이동부(2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운반수단(20)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포장재(10)의 전면이 밀착된다.
또한,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제2이동부(30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운반수단(20)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포장재(10)의 측면을 가이드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운반수단(20)에 의해 이동되는 적층된 상기 포장재(10)의 위치를 조절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운반수단(20)과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상기 포장재(10)의 하단부터 순차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 중 하나의 상기 포장재(10)를 위치를 조절한 개별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이동부(200) 및 상기 제2이동부(30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부(100)는 양측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하단에 상기 체결부(120)가 형성된 수직프레임(101)과 상기 수직프레임(101)과 상기 수직프레임(101)을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02)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수평프레임(102)은 상기 수직프레임(101)의 하단부분에 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제1이동부(200) 및 상기 제2이동부(300)가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방부(1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101)은 상기 운반수단(2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단에는 상기 제1이동부(200) 및 상기 제2이동부(300)가 회동가능 결합되는 제1연결홈(103) 및 제2연결홈(10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연결홈(103)은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형성하여 상기 제1이동부(200)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홈(104)은 상기 제1연결홈(103)의 하단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직프레임(101)에 형성하여 상기 제2이동부(3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이동부(200)는 상기 개방부의 상단에 위치하고, 상기 제2이동부(300)는 상기 제1이동부(200)의 하단에 위치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102)은 상기 운반수단(20)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장재(10)가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01)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수평프레임(102)의 하단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00)를 상기 운반수단(20)에 선택적으로 체결할 수 있도록 이동브라켓(121), 체결브라켓(122) 및 고정부재(123)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브라켓(121)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하단면에 상기 운반수단(20)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레일홈(121a)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이동브라켓(121)은 상기 수직프레임(101)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브라켓(121)의 하단면에는 돌출된 방향을 향해 상기 레일홈ㅍ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122)은 상기 이동브라켓(121)의 하단으로 돌출되어 상기 운반수단(20)의 양측단에 체결된다.
즉, 상기 체결브라켓(122)은 상단으로 돌출된 돌기를 통해 상기 레일홈(121a)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122)은 상기 레일홈(121a)의 범위 내에서 이동하여 상기 운반수단(20)의 폭에 맞춰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122)에는 별도의 잠금, 기어, 가압수단 등의 어느 하나의 구성을 부가하여 상기 레일홈(121a)을 따라 이동한 후, 특정 위치에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123)는 상기 체결브라켓(122)의 상단 및 하단에 체결되어 상기 운반수단(20)을 가압하여 상기 체결브라켓(122)을 상기 운반수단(20)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123)는 상기 체결브라켓(122)의 하단으로 노출되며, 'ㄷ', 'ㄱ' 단면형상을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단측면에 밀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체결브라켓(122)이 상기 레일홈(121a)의 길이방향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123)가 상기 운반수단(20)의 양측면을 밀착하여 상기 프레임부(100)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23)에는 볼트 등을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에 가압하여 고정가능한 부가적인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동부(2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이 이동할 수 있도록 제1동력축(210), 가이드축(220) 및 제1작동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동력축(21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에 위치한 부분에 제1이동레일(211)을 구비하여 상기 제1이송수단(40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부(100)에 형성된 상기 제1연결홈(103)은 상기 제1동력축(210) 및 상기 가이드축(220)을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레일(211)은 볼스크류, 리니어모터 등과 같이 회전 등을 통해 상기 제1이송수단(400)을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축(220)은 상기 제1동력축(210)과 인접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수단(400)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축(220)은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길이방향 이동시 회전을 방지하며,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제1작동부(23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1동력축(21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동력축(210)을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1작동부(230)는 동력을 통해 상기 제1동력축(210)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장치와, 작업자의 인력을 통해 회전시키는 손잡이와 같은 파지부재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작동부(230)를 통해 상기 제1동력축(210)의 회전시, 상기 동력축에 결합된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축(220)은 상기 제1이송수단(40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며, 원활하게 상기 제1동력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이동부(300)는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이송수단(500)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2동력축(310)과 제2작동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동력축(31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개방부(110)의 내부에 위치한 중앙부분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칭으로 제2이동레일(311)을 구비하여 상기 제2이송수단(500)이 양측에 각각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동력축(310)은 상기 제2연결홈(10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2동력축(310)이 상기 제1동력축(21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이동레일(311)은 상기 개방부(110)의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측이 상호 대칭방향으로 볼스크류 및 리니어모터가 형성되며, 양측에 각각 상기 제2이송수단(500)이 결합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동력축(310)의 회전시 양측에 위치한 상기 제2이송수단(500)의 길이방향이동을 통해 상기 제2이송수단(500)과 상기 제2이송수단(500) 사이의 간격조절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작동부(32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2동력축(310)의 끝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동력축(310)을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2작동부(320)는 상기 제1작동부(2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동력 또는 인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이동부(300)는 상기 제2이송수단(500)의 상기 포장재(10)의 폭에 맞춰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이동부(200)에 결합되어 높낮이 조절을 통해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 중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10)를 운반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410), 안착판(4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410)은 상기 제1동력축(210)이 삽입되는 제1동력홈(411)과, 상기 가이드축(220)이 삽입되는 가이드홈(412)이 형성되어 상기 제1이동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단에 상기 높이조절부(4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하우징(410)은 상기 제1동력축(210) 및 상기 가이드축(220)에 결합된 후, 상기 제1동력축(210)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제1동력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높이조절부(413) 상기 제1하우징(410)의 상단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스크류가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42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높이조절부(413)는 회전시, 스크류와 연결된 너트 등을 통해 상기 안착판(420)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하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높이조절부(413)는, 실린더, 리니어모터 등의 구성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상기 안착판(42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위치하여 적층된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되도록 상기 높이조절부(413)에 결합되며, 높낮이조절을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부 간격을 조절한다.
따라서 상기 안착판(42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전방에 수직으로 배치된 판재로 형성되며, 상기 운반수단(20)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포장재(10)의 전면이 밀착된다.
이때, 상기 안착판(420)의 후면에서 돌출된 부분이 상기 높이조절부(413)와 연결되어 상기 안착판(420)의 하단면과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단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안착판(420)은 상기 포장재(10)의 두께에 맞춰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 중 하단에 위치한 하나의 포장재(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양측에 위치하여 상기 포장재(1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제2하우징(510)과 가이드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510)은 상기 제2동력축(310)이 삽입되는 제2동력홈(511)이 형성되며, 상기 제2동력축(310)의 양측에 각각 위치한다.
즉, 상기 제2하우징(510)은 상기 개방부(110)의 중앙부분을 기점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2동력축(310)에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부재(520)는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2하우징(510)의 외측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포장재(10)가 유입되도록 전방을 향해 확장된 유입판(5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유입판(521)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되는 끝단이 확장되는 경사판으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유입판(521)은 상기 제2하우징(510)의 내측 또는 외측에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제2동력축(310)의 회전시,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개방부(110)를 중심으로 길이방향 이동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재(520)의 상호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는 조절을 통해 상기 포장재(10)의 폭에 맞춰 간격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렇게 간격조절이 이루어지면,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는 상기 운반수단(20)을 통해 운반되면서, 상기 포장재(10)의 측면이 상기 가이드부재(520)를 통해 가입되어 상기 운반수단(20)의 중앙으로 위치조절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동력홈(411) 및 상기 제2동력홈(511)은 상기 제1동력축(210) 및 상기 제2동력축(310)에 형성된 볼스크류, 리니어모터 등과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상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3이동부(421)와, 상기 제3이동부(4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되는 보조안착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3이동부(421)는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상기 안착판(420)의 상단에서 상기 운반수단(20)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안착부(430)는 상기 제3이동부(421)에 안착되어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면에서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되도록 이동축(431), 보조안착판(432) 및 탄성부재(4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축(431)은 상기 제3이동부(42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축(431)은 너트, 핀, 볼트 등과 같은 부속을 통해 상기 이동축(431)이 상기 제3이동부(421)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 이동 및 고정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너트의 경우, 상기 이동축(431)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너트가 상기 제3이동축(43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체결되어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핀, 볼트의 경우 상기 제3이동부(421)와 상기 이동축(431)에 홈을 형성한 후, 삽입 및 가압을 통해 상기 제3이동부(421)에 삽입된 상기 이동축(431)의 이동 및 고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보조안착판(432)은 상기 이동축(431)의 일측단에 힌지부(432a)를 통해 회동가능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축(431)의 일측단에 힌지결합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면이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된다.
이때,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전면에는 상기 포장재(10)의 밀착시 충격을 완충하여 상기 포장재(10)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밀착패드(434)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밀착패드(434)는 상기 포장재(10)의 밀착시 충격을 완충하며, 하부로 이동이 마찰력이 적은 고무, 나무,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33)는 상기 힌지부(432a)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하단부분이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33)는 상기 보조안착판(432)은 상기 이동축(43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433)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하단부분이 상기 안착판(420)을 향해 회동한다.
따라서 상기 보조안착판(432)은 상기 포장재(10)의 밀착시 가해지는 하중 및 상기 탄성부재(433)의 탄성력에 의해 하단부분이 상기 안착판(420)에 밀착되어 경사각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상기 보조안착판(432)은 상기 탄성부재(433)를 통해 일정간격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포장재(10)의 밀착시 상단보다 하단부분이 더욱 돌출되어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1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축(431)을 통해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상단부분을 상기 안착판(420)의 전면으로 인출 또는 인입하여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보조안착판의 경사각 조절을 통해 적층된 상기 포장재(10) 중 하단부분의 상기 포장재(10)의 노출되는 간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다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기 제1이동부(200), 상기 제2이동부(30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이동부(200) 및 상기 제2이동부(3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1이송수단(400) 및 상기 제2이송수단(500)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적층된 상기 포장재(10)를 운반하는 운반수단(20)의 필요한 위치에 맞춰 상기 체결부(120)를 통해 고정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20)는 상기 이동브라켓(121)과 상기 체결브라켓(122)을 통해 상기 프레임부(100)를 상기 운반수단(20)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를 이동하여 전체적인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23)를 통해 간편하게 탈부착 결합이 가능하여 상기 프레임부(100)의 위치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제1이동부(200)에 의해 상기 운반수단(20)의 폭 방향에서 위치이동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포장재(10)가 용이하게 밀착된다.
이때, 상기 제1이송수단(400)은 상기 높이조절부(413)를 통해 상기 안착판(42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안착판(420)의 하단과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단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 중, 하단에 위치한 하나의 상기 포장재(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를 통해 적층된 상기 포장재(10) 중 하나의 상기 포장재(10)를 공급하여, 하나의 상기 포장재(10)를 절단, 절취, 인쇄 등의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여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판(420)은 상기 포장재(10)의 폭에 맞춰 간격을 조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상기 포장재(10)를 선택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포장, 운반이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2이동부(300)를 통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중앙으로 상기 포장재(10)가 유입될 수 있도록 위치조절 및 가이드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수단(500)은 상기 가이드부재(520)를 통해 상기 포장재(10)가 중앙부분으로 이동되도록 경사면을 통해 가이드되어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며, 적층된 다수개의 상기 포장재(10)의 측면을 고르게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안착부(430)는 선택적으로 상기 제1이송수단(400)에 설치되며, 경사각을 형성하는 보조안착판(432)을 통해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10)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노출킨다.
또한, 운반되는 상기 포장재(10)의 밀착시 충격 등에 의한 찌그러짐, 손상 및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된 포장재(10)를 절단, 절취, 인쇄 등의 다양한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운반하는 운반수단(20)에 설치하여, 간격조절을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도록 위치를 조절한 후, 한장 또는 복수개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운반수단(20)에 간편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필요한 위치에 선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포장재
20: 운반수단
100: 프레임부 101: 수직프레임 102: 수평프레임
103: 제1연결홈 104: 제2연결홈
110: 개방부 120: 체결부
121: 이동브라켓 121a: 레일홈
122: 체결브라켓 123: 고정부재
200: 제1이동부 210: 제1동력축 211: 제1이동레일
220: 가이드축 230: 제1작동부
300: 제2이동부 310: 제2동력축 311: 제2이동레일
320: 제2작동부
400: 제1이송수단 410: 제1하우징 411: 제1동력홈
412: 가이드홈 413: 높이조절부
420: 안착판 421: 제3이동부
430: 보조안착부 431: 이동축
432: 보조안착판 432a: 힌지부
433: 탄성부재 434: 밀착패드
500: 제2이송수단 510: 제2하우징 511: 제2동력홈
520: 가이드부재 521: 유입판

Claims (1)

  1. 적층된 포장재(10)를 운반하는 운반수단(20)에 설치되어 하나의 포장재(10)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수단(20)에 체결되는 체결부(120)가 양측 하단에 형성되며, 내부가 개방된 개방부(110)가 형성된 프레임부(100);
    상기 개방부(110)의 상단부분에 수평으로 배치된 제1이동부(200),
    상기 제1이동부(2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개방부(110)에 수평으로 배치된 제2이동부(300);
    상기 제1이동부(200)에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높이조절부(413)를 통해 상기 운반수단(20)의 상단 간격을 조절하여 적층된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한 상기 포장재(10)가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제1이송수단(400);
    상기 제2이동부(300)의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2이동부(3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양측간격을 조절하며, 적층된 상기 포장재(10)의 양측면이 밀착되는 제2이송수단(50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상단에서 전,후 방향으로 형성된 제3이동부(421)와,
    상기 제3이동부(421)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면에 위치하여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되는 보조안착부(430)가 포함되되,
    상기 보조안착부(430)는,
    상기 제3이동부(421)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축(431)과,
    상기 이동축(431)의 일측단에 힌지부(432a)를 통해 회동가능 결합되며,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포장재(10)가 밀착되는 보조안착판(432)과,
    상기 힌지부(432a)에 결합되어 상기 보조안착판(432)의 하단부분이 상기 제1이송수단(40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4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KR1020210108907A 2021-08-18 2021-08-18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KR102631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07A KR102631947B1 (ko) 2021-08-18 2021-08-18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8907A KR102631947B1 (ko) 2021-08-18 2021-08-18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820A KR20230026820A (ko) 2023-02-27
KR102631947B1 true KR102631947B1 (ko) 2024-01-30

Family

ID=8532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8907A KR102631947B1 (ko) 2021-08-18 2021-08-18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9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3598B1 (ko) 2016-06-08 2016-09-02 권태수 박스 판지 인쇄용 플렉서의 자동공급장치
JP2017001245A (ja) 2015-06-09 2017-01-05 株式会社Isowa 段ボールシートのバッチ分割装置
KR101856092B1 (ko) * 2017-09-07 2018-05-09 최승숙 포장박스용 골판지 원단 유입간격 조절장치
US20190054713A1 (en) 2017-08-18 2019-02-21 Ishida Co., Ltd. Case-mak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787B1 (ko) 2002-12-31 2005-08-05 삼성포장(주) 포장박스 자동 공급장치
KR101134169B1 (ko) * 2009-09-01 2012-04-09 제일산업 주식회사 골판지 원단 자동투입장치
KR20180036088A (ko) * 2016-09-30 2018-04-09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제함기용 박스 공급장치
KR102067143B1 (ko) * 2018-02-07 2020-01-16 조성국 포장박스용 골판지의 정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01245A (ja) 2015-06-09 2017-01-05 株式会社Isowa 段ボールシートのバッチ分割装置
KR101653598B1 (ko) 2016-06-08 2016-09-02 권태수 박스 판지 인쇄용 플렉서의 자동공급장치
US20190054713A1 (en) 2017-08-18 2019-02-21 Ishida Co., Ltd. Case-making device
KR101856092B1 (ko) * 2017-09-07 2018-05-09 최승숙 포장박스용 골판지 원단 유입간격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6820A (ko) 202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7144B (zh) 線鋸及利用線鋸處理工件的方法
KR100296544B1 (ko) 자동차도어트림용원단이송장치
US7334866B2 (en) Line head chassis detachably attaching jig in an inkjet recording apparatus
KR102631947B1 (ko) 포장재용 원단 자동 공급장치
KR102152563B1 (ko) 포장용 박스 제함기
CN208197670U (zh) 一种自动粘箱机
CN110255258B (zh) 一种印刷机用收纸整理装置
KR101856092B1 (ko) 포장박스용 골판지 원단 유입간격 조절장치
CN216373501U (zh) 一种纸箱生产线用的裁切机
CN211077791U (zh) 一种纸箱印刷机纸板排齐装置
JPS5986519A (ja) 枚葉印刷機の給紙用紙積装置
CN215662074U (zh) 一种纸盒模板分离机
CN217575914U (zh) 一种包装纸定位装置
ES2930527B2 (es) Alimentador de planchas planas de carton
CN216885425U (zh) 一种高速印刷开槽模切机的自动上料机
CN112644073B (zh) 一种硬质包装纸箱裁剪加工设备
KR200201715Y1 (ko) 포장박스용 스티처의 박스급지장치
KR101655951B1 (ko) 종이판 자동 로딩장치를 갖는 톰슨 프레스
KR102628272B1 (ko) 포장박스용 골판지 원단 정렬 기능을 겸한 유입간격 조절장치
CN219651508U (zh) 一种自动装盒机的装填装置
CN218289713U (zh) 一种瓦楞纸板自动上料机
CN217671369U (zh) 一种应用于折盒机上的纸板储料平台
CN219467147U (zh) 一种皮带可调式纸板开槽机
CN219727322U (zh) 一种水墨印刷开槽机用上料装置
CN113635598B (zh) 一种瓦楞纸箱切割机的进料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