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736B1 -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 Google Patents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736B1
KR102631736B1 KR1020210062533A KR20210062533A KR102631736B1 KR 102631736 B1 KR102631736 B1 KR 102631736B1 KR 1020210062533 A KR1020210062533 A KR 1020210062533A KR 20210062533 A KR20210062533 A KR 20210062533A KR 102631736 B1 KR102631736 B1 KR 102631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foul
striker
catch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2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4947A (ko
Inventor
윤광채
김상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대동도어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2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736B1/ko
Publication of KR202201549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9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후드부의 스트라이커가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후드래치의 부품이 결합되는공간이 형성된 판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의 진입홈이 형성된 'ㄷ'형태의 캐치레버; 상기 캐치레버에 결합되어 일측에 인터락핀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캐치레버에 진입된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가압되도록 동작되는 인터락레버; 상기 캐치레버에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파울어셈블; 상기 캐치레버 내지 상기 파울 어셈블의 일측이 커버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드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Hood latch using simple double-pool type pawl lever}
본 발명을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하는 후드래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측 트렁크 공간을 가진 후드패널과 후드래치로 구성되는 차량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1단 및 2단계로 형성된 오프닝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후드래치는 기계적 또는 전동식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잦은 주기로 오픈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빈번한 오픈동작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차량 실/내외에서 더블풀 방식의 캐치레버를 이용하여 오프닝하는 메커니즘을 채택하고 있다. 다만, 캐치레버와 파울레버 및 이를 구성하는 레버별 2개 이상의 홈부 및 돌기형상등과 함께 부재에 여러개의 탄성체(스프링)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드패널과 래칭부의 완전고정을 위하여 인터락 기능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복잡하고, 고장영향도의 증가와 함께 생산성(양산성/조립성/재료비)등이 비효율적이다. 이러한 배경으로 하나의 파울레버를 이용하여 인터락 기능의 부재와 캐치레버로 하여금 각각의 1단 및 2단 오프닝을 구현할 수 있는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메커니즘이 필요시 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존 2개 이상의 레버 및 부재를 이용하여 작동케이블과 연결된 더블풀방식을 대체하여 하나의 파울레버를 이용하여 간소화된 구조로 더블풀기능을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후드부의 스트라이커가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후드래치의 부품이 결합되는공간이 형성된 판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의 진입홈이 형성된 'ㄷ'형태의 캐치레버; 상기 캐치레버에 결합되어 일측에 결합되는 인터락핀이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캐치레버에 진입된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가압되도록 동작되는 인터락레버; 상기 캐치레버에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파울어셈블; 상기 캐치레버 내지 상기 파울 어셈블의 일측이 커버되는 백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드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캐치레버와 필요시 인터락 레버를 포함하고, 하나의 파울레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케이블과 연결되는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더블풀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중량 및 탄성체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수를 저감하여 고장영향도를 낮추어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캐치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울어셈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울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파울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후드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차량의 후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후드래치의 부품이 결합되는 공간이 형성된 절곡된 판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00)와,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이 형성된'ㄷ'형태의 캐치레버(200)와, 상기 캐치레버(200)에 결합되어 일측에 결합되는 인터락핀(P2)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캐치레버(200)에 진입된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가압되도록 동작되는 인터락레버(300)와, 상기 캐치레버(200)에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파울어셈블(400) 및 상기 캐치레버(200) 내지 상기 파울어셈블(400)의 일측이 커버되는 백플레이트(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자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후드래치(1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00)는 본 발명의 후드래치(10)의 구성품이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후드래치(10)의 구성품이 결합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구성품이 결합되는 면의 양측 끝단이 절곡된 플랜지 형태로 형성되어 차량과 결합되는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후드래치(10)에 결합되는 스트라이커(미도시)의 진입홈(10)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진입홈(101)은 상측부분이 벌어진 형태로 형성되어 스트라이커의 진입이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캐치레버(200)가 결합되는 캐치레버결합홈(102)이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결합홈(102)은 캐치핀(P1)이 삽입되는 홈이 될 수 있다. 또한, 캐치레버결합홈(102)은 삽입되는 캐치핀(P1)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캐치핀(P1)은 캐치스프링(S1)이 권취되어 캐치레버(200)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는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캐치레버결합홈(102)은 외주면을 따라 소정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캐치레버결합홈(102)에 의해 캐치레버(200)가 베이스플레이트(100)에 소정면적만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치레버(200)가 회전동작 시 접촉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캐치레버스토퍼(103)가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스토퍼(103)은 캐치레버결합홈(102)에 결합되는 캐치레버(200)의 회전반경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캐치레버스토퍼(103)는 일측이 캐치레버(200)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된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치레버스토퍼(103)은 캐치레버(200)의 회전동작 각도를 제한하여 1단 오프닝 상태 및 2단 오프닝 상태가 유도되어 다단계의 오픈정지 및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는 양측에 대칭으로 'ㄱ'형태의 절곡벽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곡벽부(110)는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양측면에 플랜지구조로 형성되어 일측에 지지결합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지지결합홀(111)은 본 발명의 후드래치(10)가 차량에 고정될 수 있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홀이 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절곡벽부(110)에는 작동로드출입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로드출입구(112)는 캐치레버(200)가 동작되는 동력이 전달되는 와이어가 연결된 통로가 될 수 있다. 로드출입구(112)는 캐치레버결합홈(102)이 형성된 일측면과 수직한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캐치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캐치레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치레버(200)는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직접적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캐치레버(200)는 캐치핀삽입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200)는 캐치핀(P1)이 캐치핀삽입홀(201)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캐치핀삽입홀(201)은 캐치핀(P1)과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된 원형의 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캐치핀(P1)은 캐치레버(200) 내지 베이스플레이트(100)를 관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된 캐치레버(200)는 캐치핀(P1)을 회전축으로 회전동작 될 수 있다. 이때, 캐치핀(P1)은 캐치레버(200)의 작동을 용이하게하는 원통형의 축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캐치레버(200)는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은 후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진입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은 가장 내측에 안착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211)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된 홈으로 스트라이커(미도시)의 형태에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착부(211)는 외측으로 부분개방부(212)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부분개방부(212)는 안착부(211)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경로로 형성된 홈이 될 수 있다. 부분개방부(212)는 안착부(211)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분개방부(212)는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약 50%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분개방부(212)는 소정각도로 굽어진 연장된 홈형태의 이탈로(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탈로(213)는 도면상 하측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상하측방향은 캐치래버(200)의 오픈동작시 회전 반대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을 형성하는 외측의 두개의 경사단부(230)는 이탈로(213)와 대응되는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캐치레버(200)는 치형걸림돌기(220)가 형성될 수 있다. 치형걸림돌기(220)는 캐치레버(200)의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돌기가 될 수 있다. 치형걸림돌기(220)의 돌출된 방향은 외측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치형걸림돌기(220)는 각각의 돌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형걸림돌기(220)의 상단에 배치된 돌기는 1차 걸림돌기(221)가 될 수 있다. 1차 걸림돌기(221)는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이탈되는 동작에서 파울레버(410)와 접촉되어 최초로 스트라이커(미도시)의 이탈이 제한되도록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때, 1차 걸림돌기(221)의 하부면(221a)은 파울레버(410)의 접촉될 수 있다. 1차 걸림돌기(221)의 하부면(221a)은 파울어셈블(400)이 접촉되어 역회전되지 않도록 수직 또는 파울레버(400)의 접촉방향으로 예각으로 굽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형걸림돌기(220)는 1차 걸림돌기(22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2차 걸림돌기(222)가 형성될 수 있다. 2차 걸림돌기(222)는 1차 걸림돌기(221)와 같은 방향의 경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2차 걸림돌기(222)는 파울레버(410)의 후술할 캐치레버정지홈(415)에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차 걸림돌기(222)는 1단 오프닝 상태에서 후술할 캐치레버정지홈(415)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1단 오프닝 상태에 관해서는 후드래치의 작동과 함께 후술키로 한다.
한편, 치형걸림돌기(220)는 2차 걸림돌기(22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3차 걸림돌기(223)가 형성될 수 있다. 3차 걸림돌기(223)는 후드의 닫힘상태에서 캐치레버정지홈(415)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3차 걸림돌기(223)는 1단 오프닝 동작에서 파울레버(410)에 일측면이 접촉되어, 2차 걸림돌기(223)가 캐치레버정지홈(415)으로 이동되도록 안내될 수 있다.
한편, 캐치레버(200)는 인터락레버결합홈(201)이 형성될 수 있다. 인터락레버결합홈(201)은 인터락레버(300)가 결합되는 홈이 될 수 있다. 인터락레버결합홈(201)은 캐치핀삽입홈(201)의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인터락레버결합홈(201)은 사각형태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캐치핀삽입홈(201)과 육안으로 구분되는 형태의 홈이라면 어떠한 것도 무방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락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인터락레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락레버(300)는 캐치레버(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인터락레버(300)는 캐치레버(200)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진입홈(210)에 삽입되는 스트라이커(미도시)를 캐치레버(200)와 함께 이중으로 구속하는 레버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락레버(300)의 이중으로 구속되는 구조는 차량의 주행 중 스트라이커(미도시)의 유동을 방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인터락레버(300)는 캐치레버(200)의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하측의 형상과 대응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락레버(300)는 일측에 스트라이커가이드면(310)이 형성될 수 있다. 스트라이커가이드면(310)은 인터락레버(300)와 캐치레버(200)가 결합될 경우 스트라이커진입홈(210)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트라이커가이드면(310)은 라운드면(311) 및 유도면(312)으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드면(311)은 인터락레버(300)의 라운드형태로 형성되어 차량 후드의 닫힘상태에서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개방부분이 축소되어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라운드면(311)에 의해 닫힘상태에서 스트라이커(미도시)는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면(311)의 일측(스트라이커진입홈 내측방향)방향으로 유도면(312)이 형성될 수 있다. 유도면(312)은 라운드면(311)에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라운드면(311)보다 낮은 위상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도면(312)과 라운드면(311)이 이루는 경사는 어떤 각도에 제한되지 않으며,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각도이면 무방하다. 이와 같은 유도면(312)은 인터락레버(300)의 회동동작에 의해 스트라이커(미도시)가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인터락레버(300)는 캐치레버결합홀(301)이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결합홀(301)은 캐치레버(200)에 형성된 캐치핀삽입홈(201)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결합홀(301)은 캐치핀(P1)이 삽입되는 홀이 될 수 있다. 이때, 캐치레버결함홀(301)에 삽입되는 캐치핀(P1)은 캐치레버(200)을 함께 관통한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캐치핀(P1)은 인터락레버(300) 내지 베이스플레이트(100)를 모두 체결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락레버(300)는 캐치레버결합홀(301)에 삽입되는 캐치핀(P1)을 회동축으로 회동동작 될 수 있다.
또한, 인터락레버(300)는 인터락핀결합홀(302)이 형성될 수 있다. 인터락핀결합홀(302)은 캐치레버결합홀(301)과 소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인터락핀결합홀(302)은 인터락레버(300)가 회동동작되도록 힘이 전달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터락핀결합홀(302)의 위치는 인터락레버(300)가 충분한 힘을 전달받을 수 있는 간격으로 캐치레버결합홀(301)과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락핀결합홀(302)은 인터락핀(P2)이 결합되는 홀이 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터락핀(P2)은 인터락레버(3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길이의 핀이 될 수 있다. 인터락핀(P2)은 인터락레버(300)가 회동동작되는 힘이 전달되는 핀이 될 수 있다.
또한, 인터락레버(300)는 유동제한돌기(303)가 형성될 수 있다. 유동제한돌기(303)는 인터락레버(300)가 캐치레버(200)에 결합되는 면으로 돌출된 돌기가 될 수 있다. 유동제한돌기(303)는 직육면체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유동제한돌기(303)의 높이는 캐치레버(200)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제한돌기(303)는 캐치레버(200)의 인터락레버결합홈(201)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유동제한돌기(303)의 폭은 인터락레버결함홈(201)보다 소정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유동제한돌기(303)의 폭의 크기는 인터락레버결합홈(201)에 결합되어 유동가능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동제한돌기(303)의 유동은 인터락레버(300)의 인터락 동작이 되는 유동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후드래치는 캐치레버 및 인터락레버와 연동되는 파울어셈블(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파울어셈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파울어셈블(400)은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접촉단부(4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사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접촉단부(412)가 형성되는 파울레버(410)과, 파울레버(410)를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작동로드(R1)와 결합되는 파울렉(420) 및 파울레버(410) 내지 파울렉(420)을 연결하는 파울스페이서(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파울렉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6에 도시된 파울레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7 및 도 8을 참조하면, 파울어셈블(400)은 파울렉(420)이 파울레버(410)가 중심에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파울렉(420)의 하측에는 작동로드결합부(421)가 형성될 수 있다. 작동로드결합부(421)는 파울렉(420)이 회동되는 동력이 전달되는 작동로드(R1)가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또한, 작동로드결합부(421)는 일측이 개방된 네모박스가 대칭으로 배치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작동로드결합부(421)는 작동로드(R1)가 삽입되는 작동로드결합홈(421a)이 형성될 수 있다. 작동로드결합홈(421a)은 파울어셈블(400)이 동작되도록 작동되는 액츄에이터의 동력이 전달되는 작동로드(R1)가 결합되는 홈이 될 수 있다. 작동로드결합홈(421a)은 작동로드(R1)가 측면에서 삽입되어 작동방향으로 작동 시 이탈되지 않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렉(420)은 작동로드결합홈(421)이 형성된 위치에서 상부방향으로 소정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파울레버결합부(422)가 형성될 수 있다. 파울레버결합부(422)는 좌우대칭으로 형성된 벽면(422a)과 벽면(422a)의 상부가 연결되어 파울레버(410)의 결합공간이 형성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결합부(422)는 복수개의 파울레버결합홈(422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파울레버결합홈(422b)은 파울레버(410)의 일측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돌기(413)가 결합되어 지지되는 홈이 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결합부(422)는 스페이서결합홀(422c)이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결합홀(422c)은 파울레버결합부(422)를 관통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파울레버결합부(422)에 스페이서결합홀(422c)이 관통된 방향은 캐치핀(P1) 내지 인터락핀(P2)이 삽입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될 수 있다. 스페이서결합홀(422c)은 파울렉(420)과 파울레버(410)가 연결되도록 삽입되는 파울스페이서(430)가 삽입되는 홀이 될 수 있다. 파울스페이서(430)는 원통의 형태로 형성되어 나사와 같은 형태로 소정 직경의 몸통부와 몸통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머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일측의 삽입되는 몸통부보다 큰 직경의 머리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파울스페이서(430)는 머리부분이 파울렉(420)의 일측에 접촉되어 지지된 형태로 삽입될 수 있다. 파울스페이서(430)에는 파울핀(P3)이 결합되어 파울어셈블(400)의 회동축이 될 수 있다. 이때, 파울핀(P3)은 파울스프링(S2)이 결합되어 파울어셈블(400)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결합부(422)는 스프링결합홈(422d)이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결합홈(422d)은 파울레버결합부(422)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결합홈(422d)은 파울레버결합부(422)의 양측 격벽이 관통되어 형성된'ㄷ'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프링결합홈(422d)은 파울어셈블(400)의 작동을 위해 결합되는 스프링이 거치되어 연결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파울렉(420)에는 파울레버(410)가 결합될 수 있다. 파울레버(410)는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접촉단부(4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측으로 굽어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접촉단부(4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410)는 상부접촉단부(411) 및 하부접촉단부(412)가 형성된 반대방향에 복수개의 결합돌기(413)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돌기(413)는 파울레버(410)가 파울렉(420)에 상호보완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돌기가 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410)에는 지지홀(414)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홀(414)에는 파울스페이서(43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홀(414)은 스페이서(430)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410)에는 캐치레버정지홈(415)이 형성될 수 있다. 캐치레버정지홈(415)은 하부접촉단부(412)의 상측면에 연장된 소정 깊이의'U'자 홈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캐치레버정지홈(415)은 캐치레버(200)에 형성된 2차 걸림돌기(222)가 삽입되어 1단오프닝 상태가 구현되는 홈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된 후드래치(10)는 간단한 구조로 형성되어 인터락 및 2단 오프닝상태를 구현하게 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드래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후드래치의 동작은 닫힘상태, 1단 오프닝 상태 및 2단 오프닝 상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과 같은 닫힘상태는 3단 걸림돌기(223)가 캐치레버정지홈(415)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스트라이커(S)는 캐치레버(200)의 안착부(211)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닫힘상태에서 스트라이커(S)가 캐치레버(200)에 안착된 닫힘상태의 도래치는 파울레버(410)의 회동으로 1단 오프닝 상태가 될 수 있다. 1단 오프닝 상태는 차량 후드가 부분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단 오프닝상태는 파울레버(410)가 일측에 결합된 작동로드(R1)로부터 동력이 전달되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으로 캐치레버정지홈(415)에 삽입된 3단 걸림돌기(223)가 이탈되며 캐치레버(200)에 결합된 캐치스프링(S1)의 탄성력으로 캐치레버(20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때, 캐치레버(200)의 1차 걸림돌기(221)는 파울레버(410)의 상부접촉단부(411)와 접촉되어 캐치레버(20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1차 걸림돌기(221)와 파울레버(410)의 접촉에 의해 하부접촉단부(412)는 2단 걸림돌기(222)와 3단 걸림돌기(223)사이에 위치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또한, 파울레버(410)는 작동로드(R1)의 동작이 정지되어 파울스프링(S2)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접촉단부(412)의 상측과 2차 걸림돌기(222)의 하측이 접촉되며 스트라이커(S)는 캐치레버(200)의 부분개방부(212)에 안착된 1단 오프닝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후드래치(10)는 사용자의 추가 조작으로 1단 오프닝상태에서 2단 오프닝상태가 될 수 있다. 2단 오프닝상태는 후드가 완전에 개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2단 오프닝상태는 1단오프닝상태의 파울래버(410)가 작동로드에 의해 재차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접촉단부(412)와 2차 걸림돌기(222)의 접촉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캐치레버(200)는 캐치스프링(S1)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이 상부방향으로 향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된 스트라이커(S)는 이탈될 수 있으며, 후드부가 개방되는 2단 오프닝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후드래치는 각각의 캐치레버와 필요시 인터락 레버를 포함하고, 하나의 파울레버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동케이블과 연결되는 하나의 부재를 포함하는 더블풀 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중량 및 탄성체를 포함한 다수의 부품수를 저감하여 고장영향도를 낮추어 줄일 수 있는 장점과 생산성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베이스플레이트 200 : 캐치레버
201 : 인터락레버결합홈 210 : 스트라이커진입홈
211 : 안착부 212 : 부분개방부
213 : 이탈로 220 : 치형걸림돌기
221 : 1차 걸림돌기 222 : 2차 걸림돌기
223 : 3차 걸림돌기 220 : 치형걸림돌기
300 : 인터락레버 400 : 파울어셈블
410 : 파울레버 411 : 상부접촉단부
412 : 하부접촉단부 500 : 백플레이트

Claims (5)

  1. 후드부의 스트라이커가 인입되는 홈이 형성되고 후드래치의 부품이 결합되는공간이 형성된 절곡된 판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00);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의 일측에 결합되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이 형성된 'ㄷ'형태의 캐치레버(200);
    상기 캐치레버(200)에 결합되어 일측에 인터락핀(P2)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상기 캐치레버(200)에 진입된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가압되도록 동작되는 인터락레버(300);
    상기 캐치레버(200)에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00)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파울어셈블(400);
    상기 캐치레버(200) 내지 상기 파울어셈블(400)의 일측이 커버되는 백플레이트(5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울어셈블(400)은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상부접촉단부(411)가 형성되고 하부에 사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접촉단부(412)가 형성되는 파울레버(410); 및
    상기 파울레버(410)를 커버하는 형태로 결합되며 작동로드(R1)와 결합되는 파울렉(420); 을 포함하고
    상기 캐치레버(200)는
    일측에 스트라이커가 진입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 스트라이커진입홈(210);
    상기 인터락레버(300)가 결합되는 사각홈이 일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인터락레버결합홈(201);
    상기 인터락레버결합홈(201)과 인접하게 위치되어 원형형태의 홈으로 형성되어 캐치핀(P1)이 삽입되는 캐치핀삽입홈(201); 및
    복수개의 돌기가 치형형태로 형성되는 치형걸림돌기(220); 가 형성되고
    상기 인터락레버(300)는
    상기 캐치레버(200)와 결합될 경우 상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에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스트라이커가이드면(310);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라이커가이드면(310)은
    상기 인터락레버(300)의 라운드형태로 형성되어 차량 후드의 닫힘상태에서 상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개방부분이 축소되어 스트라이커의 일측이 접촉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닫힘상태에서 스트라이커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형성되는 라운드면(311); 및
    상기 라운드면(311)보다 낮은 위상을 가지도록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인터락레버(300)의 회동동작에 의해 스트라이커가 상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동작이 용이하게 형성되는 유도면(312); 을 포함하는 후드래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울레버(410)는
    상기 하부접촉단부(412)의 상측면에 연장된 소정깊이의 홈으로 형성되는 캐치레버정지홈(415)을 포함하는 후드래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진입홈(210)은
    가장 내측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211);
    상기 안착부(211)에서 수평형태로 연장되는 부분개방부(212);
    상기 부분개방부(212)에 굽어진 형태로 연장되어 경로가 형성된 이탈로(213); 가 형성되는 후드래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형걸림돌기(220)는
    상단에 배치된 돌기형태로 형성되는 1차 걸림돌기(221);
    상기 1차 걸림돌기(221)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2차 걸림돌기(222); 및
    상기 2차 걸림돌기(22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3차 걸림돌기(223);를 포함하고
    상기 1차 걸림돌기(221)와 상기 파울레버(410)의 접촉에 의해 상기 하부접촉단부(412)가 2단 걸림돌기(222)와 3단 걸림돌기(223)사이에 위치되는 후드래치.

KR1020210062533A 2021-05-14 2021-05-14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KR102631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33A KR102631736B1 (ko) 2021-05-14 2021-05-14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2533A KR102631736B1 (ko) 2021-05-14 2021-05-14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47A KR20220154947A (ko) 2022-11-22
KR102631736B1 true KR102631736B1 (ko) 2024-01-30

Family

ID=84236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2533A KR102631736B1 (ko) 2021-05-14 2021-05-14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7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900B1 (ko) * 2014-09-26 2016-10-05 평화정공 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KR20170025659A (ko) * 2015-08-31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패시브 후드 래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947A (ko) 202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3401B2 (ja) ドアラッチシステム
US10995526B2 (en) Door latch system
US20140225383A1 (en) Gate latch
US6666435B2 (en) Self-closing gate for fence enclosures
US20100031579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US20230332432A1 (en) Push-pull door lock having locking means
KR20200038007A (ko) 안전 장치가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2631736B1 (ko) 단순한 더블풀방식의 파울레버를 이용한 후드래치
JP5321387B2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US5890320A (en) Barrier gate especially for small children
JP5936418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操作盤およびそのフェースプレートの取り外し方法
US20070294947A1 (en) Cassette For Force Transmission In A Window Winder
KR102012844B1 (ko) 연동 슬라이딩 도어용 연동장치
KR20190133365A (ko) 레버타입 커넥터 조립체
US4413365A (en) Safety latch for crib drop side
KR101295957B1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KR101683129B1 (ko) 창호용 창 잠금장치
KR101512327B1 (ko) 패닉 기능과 평면형 손잡이를 가지는 도어록
KR100479979B1 (ko) 도어 잠금장치
JP4668715B2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ガイド構造
KR200243542Y1 (ko) 철제가구의 서랍 잠금장치
US20050072086A1 (en) Child safety door having door locking device
KR200301781Y1 (ko) 도어 잠금장치
JP4168396B2 (ja)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施錠構造
CN112443200B (zh) 门锁的推拉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