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49B1 - 계단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계단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49B1
KR102631449B1 KR1020230109390A KR20230109390A KR102631449B1 KR 102631449 B1 KR102631449 B1 KR 102631449B1 KR 1020230109390 A KR1020230109390 A KR 1020230109390A KR 20230109390 A KR20230109390 A KR 20230109390A KR 102631449 B1 KR102631449 B1 KR 102631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frame
rail
footres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김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윤 filed Critical 김재윤
Priority to KR102023010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multiple steps, i.e. more than one step per limb, e.g. steps mounted on endless loops, endless lad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5Arrangements for force transmissions
    • A63B21/151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 A63B21/154Using flexible elements for reciprocating movements, e.g. ropes or chains using special pulley-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63B21/4034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for operation by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발판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 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좁은 공간의 실내에서도 운동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기술분야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계단 운동장치{Stair exercise device}
본 발명은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발판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 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고,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좁은 공간의 실내에서도 운동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레저생활에 대한 관심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스포츠, 등산 등 다양한 야외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일부 사람들은 바쁜 일과로 시간적 여유가 적어 새벽시간이나 퇴근 후 저녁 시간 등 시간을 쪼개어 헬스장과 같은 운동기구가 구비된 장소에서 운동을 즐기고 있으며, 이 또한 여유롭지 않은 사람들은 통상 다양한 운동 목적의 운동기구를 구입하여 가정에서 운동을 하고 있다.
이렇듯 실내 운동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근력운동 뿐 아니라 주로 야외에서 행해지는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실내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다.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실내 운동기구의 일예로, 러닝 또는 걷기 운동을 보조하는 트레드 밀과, 계단 운동을 유사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계단 운동 기구 등이 개발되어 판매되고 있는데, 여기서 계단 운동 기구의 경우 유산소 운동과 함께 근력운동을 함께할 수 있어 헬스클럽 등의 시설에서 근력 운동 설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계단 운동 기구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89993호에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지지측벽을 포함하는 프레임과, 상기 지지측벽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스프로킷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에 결합되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동력전달부재와, 일측이 상기 동력전달부재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회전하는 경우 하방으로 동반 이동되는 다수의 스텝과,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 회전축에 연결되고, 상기 스프로킷에 미리 설정된 속도로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부는 동력을 제공하고 동력축을 갖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축 외면에 형성되거나 상기 모터의 회전축 일측에 결합되며, 일정 리드각을 갖는 웜 및 상기 한 쌍의 스프로킷 중 어느 하나의 스프로킷 회전축에 연결되고, 외면 일측이 상기 웜에 치차 결합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낙하방지 및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계단 운동 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89993호는 스텝이 체인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낙하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하고, 구성이 복잡하여 고장 발생이 빈번하며, 이에 따라 제조비용이 비싸 쉽게 구매하여 사용하기 어렵고, 좁은 실내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계단 운동 기구의 다른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8412호에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일정 각도로 가변가능하게 장착되는 가동판과; 가동판의 후방에 장착되어 가동판을 전후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틸팅시키는 틸팅부와; 선단이 가동판에 형성된 홈을 통하여 가동판의 전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상하 왕복운동이 가능한 한 쌍의 발판과; 가동판의 후방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기어와; 가동판의 후방에 배치되며, 일측은 한 쌍의 발판 중 일측 발판의 후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한 쌍의 발판 중 타측발판에 연결되고, 중간은 회전기어에 걸려서 회전기어의 회전시 일측 혹은 타측방향으로 이송함으로써 한 쌍의 발판이 교대로 승하강되도록 하는 연결부재와; 그리고 회전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계단형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8412호는 한 쌍의 발판이 승강되는 가동판의 지지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반복적인 사용자의 체중과 함께 한 쌍의 발판이 반복적으로 승강될 때 파손될 우려가 있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3-0089993호(2023.06.2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8412호(2020.06.15.)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의 계단 운동 기구는 복잡한 구조와 이에 따른 크기로 인해 좁은 실내에서 사용이 어렵고, 제조비용이 증가하여 쉽게 구매하여 사용이 어려우며,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바,
한 쌍의 발판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 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고, 관절이 형성된 가이드프레임과 업소버를 통해 보다 안정적으로 계단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좁은 공간의 실내에서도 운동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계단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200);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를 따라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발판부(300);와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400);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풀리(400)에 걸리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타측이 결합되는 와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310);와 상기 이동부(310)의 상부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운동장치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레일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310)는 상부에 발판(320)이 설치되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200)와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12);과 상기 지지판(3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의 사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한 쌍의 이동롤러(3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판(313)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레일판(220)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와 상기 가이드돌기(313a)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판(22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31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브라켓(600);과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며, 중단에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관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가이드암(710);과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전방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암(7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내측 후방에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암(720)의 내측 후방에 전방이 힌지결합되는 업소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는 한 쌍의 발판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와,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판부의 이동롤러와 가이드롤러를 통해 승강시 발판부가 안정적으로 승강되도록 함과 동시에 업소버를 통해 상기 발판부가 천천히 승강되도록 함으로써,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력운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절부가 형성되는 가이드프레임을 통해 상기 발판부가 안정적으로 레일부를 따라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고, 발판부, 레일부, 가이드프레임 등의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좁은 실내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와, 비용이 저렴하여 누구나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계단 운동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발판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은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한 쌍의 발판(320)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풀리(400)와 와이어(500)를 통해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 뿐만 아니라 유산소 운동을 보조할 수 있고, 베이스프레임(100), 레일부(200), 발판부(300)의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로 좁은 공간의 실내에서도 운동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계단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계단 운동장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200);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을 따라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발판부(300);와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400);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풀리(400)에 걸리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타측이 결합되는 와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310);와 상기 이동부(310)의 상부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레일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부(310)는 상부에 발판(320)이 설치되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200)와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12);과 상기 지지판(3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의 사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한 쌍의 이동롤러(3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판(313)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레일판(220)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와 상기 가이드돌기(313a)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판(22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31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브라켓(600);과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며, 중단에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관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가이드암(710);과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전방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암(7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내측 후방에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암(720)의 내측 후방에 전방이 힌지결합되는 업소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베이스프레임(100)은
지면에 안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경량화될 수 있도록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는 최소한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계단 운동시 안정적으로 지면에 안착될 수 있는 구소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베이스프레임(100)은 전후방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직교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 중 후방에 위치되는 수평프레임(110)은 전방에 위치되는 수평프레임(110)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으 특징으로 하는데, 계단 운동시 사용자가 발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발판부(300)를 후방 하부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력이 강하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한 쌍의 직교프레임(1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레일부(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을 연결하도록 상기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한 쌍의 발판부(3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앞서 설명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직교프레임(12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레일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전방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2)과,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12)의 상부에 전방이 결합되는 경사프레임(2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212)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상기 경사프레임(21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계단 운동의 강약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경사프레임(214)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직프레임(212)이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후방이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전방 내측에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추가프레임(도면 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지지프레임(210) 즉, 상기 경사프레임(214)은 본 발명의 레일부(200)가 한 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전방 사이에 연결프레임(도면 미표시)이 설치되고,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부에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풀리(4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레일판(220)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발판부(300)의 이동롤러(314)가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발판부(300)의 한 쌍의 가이드판(313)에 의해 상기 발판부(30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레일부(200)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발판부(300)가 일정 거리 이상 승강되는 것과, 일정 거리 이상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경사프레임(214)의 양측면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는 스톱퍼돌기(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톱퍼돌기는 발판부(300)가 일정거리 이상 상승되거나 하강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업소버(800)와 가이드프레임(700)에 작동에 의한 과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고장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발판부(300)는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을 따라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어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 중 어느 하나를 따라 전방상부방향으로 상승되면, 다른 어느 하나가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 중 다른 어느 하나를 따라 후방하부 방향으로 하강되어 계단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한 쌍의 발판부(300)가 교대로 승강운동되는 것은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풀리(400)를 통해 한 쌍의 발판부(300)를 연결하는 와이어(500)에 의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발판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310)와, 상기 이동부(310)의 상부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발판(320)은 상기 이동부(310)의 상부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됨에 따라 사용자가 실제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운동 효과를 실현케 한다.
상기 이동부(310)는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 즉, 경사프레임(214)과 레일판(2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이동됨에 따라 계단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310)는 상부에 발판(320)이 설치되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200)와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12)과, 상기 지지판(3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의 사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한 쌍의 이동롤러(3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11)는 상부에 발판(320)이 설치되되, 지면과 수평하게 상기 발판(3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부면이 상기 레일부(200)의 경사와 수평하게 형성되고, 상부면이 상기 지면과 수평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몸체(311)는 경량화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금속 재질의 판이 절곡되어 성형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판(312)은 상기 몸체(311)의 하부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이 원활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체(311)와 가이드판(313)의 연결강도를 증대시켜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발판부(300)가 레일부(2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은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지지판(312)의 하부에 돌출되어 설치됨에 따라 본 발명의 발판부(300) 즉, 상기 몸체(311)가 레일부(200)를 따라 승강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한 상의 가이드판(313)은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몸체(311)가 레일부(2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한 쌍의 이동롤러(314)는 상기 가이드판(313)의 사이 전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레일판(220)의 상부면에 밀접됨에 따라 상기 몸체(311)가 상기 레일부(200) 즉, 레일판(22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보다 안정적이고 원활한 발판부(300)의 이동을 위해 복수 개의 이동롤러(314)가 설치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가이드판(313)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레일판(220)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와, 상기 가이드돌기(313a)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판(22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313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는 상기 레일판(220)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판(313)에 의해 본 발명의 발판부(300)가 보다 안정적으로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는 상기 가이드롤러(313b)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롤러(313b)는 상기 이동롤러(314)와 함께 본 발명의 발판부(300)가 레일부(200)의 레일판(2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313b)는 상기 발판부(300)가 상승될 때, 상기 발판부(300)가 레일부(200)의 레일판(220)으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원활하게 상승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설명된 상기 경사프레임(214)의 경사 각도가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 발판부(300)의 각도 또한 조절되어야 사용자가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과 같은 운동을 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발판부(300)의 몸체(311)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방이 상기 지지판(312)의 전방에 힌지결합되고, 본 발명의 발판부(300)는 상기 몸체(311)와 지지판(312)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재(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끼움부재는 상기 몸체(311)가 힌지결합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각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형상이 다른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풀리(400)는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앞서 설명된 상기 레일부(200)의 한 쌍의 경사프레임(214)의 전방 사이에 설치된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후에 자세히 설명될 와이어(500)가 걸린 상태로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가 교대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와이어(500)는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풀리(400)에 걸리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타측이 결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한 쌍의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하강시키면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다른 어느 하나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와이어(500)가 내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내측 즉, 한 쌍의 가이드판(313) 중 내측에 위치한 가이드판(313)의 내측면에 돌출형성되는 걸림돌기(도면 미표시)와, 상기 걸림돌기의 말단에 결합되어 결합된 와이어(5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도면 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본 발명의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브라켓(600)과,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며, 중단에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관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의 후방이 측방향으로 힌지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발판부(30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은 각각 상부가 절곡되되, 상부가 내측방향으로 절곡됨으로써, 절곡부가 절곡되는 경우 측방향으로 즉, 한 쌍의 발판부(3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가 원활하게 승강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가이드암(710)과,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전방에 후방이 측방향 즉, 한 쌍의 발판부(300)의 외측방향 또는 내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암(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제1가이드암(710)과 제2가이드암(720)의 힌지결합을 통해 관절부가 형성되어 상기 관절부가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발판부(300)가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내측 후방에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암(720)의 내측 후방에 전방이 힌지결합되는 업소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업소버(800)는 사용자가 발판부(300)를 하부후방으로 즉, 가압할 때, 상기 발판부(300)가 쉽게 가압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계단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상기 업소버(800)는 본체의 후방에 해당하는 후방이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내측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로드의 말단에 해당하는 전방이 상기 제2가이드암(720)의 내측 후방에 힌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가이드암(710)과 제2가이드암(720)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부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업소버(800)는 사용자에 의해 발판부(300)가 가압될 때, 상기 발판부(300)의 이동속도를 저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발판부(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본 발명의 계단 운동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실현케 한다.
이때, 상기 제1가이드암(710)과 제2가이드암(720)은 상기 업소버(800)가 힌지결합되는 부위 즉, 상기 업소버(800)의 전방과 후방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관통홀(도면 미표시)이 형성된다.
부가하여, 상기 업소버(800)는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절부가 내측에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조절부는 사용자가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쉽게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압력조절나사부(도면 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계단 운동장치는 한 쌍의 발판(320)이 수평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교대로 승강되도록 하여 실제 계단을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것처럼 근력운동을 할 수 있고, 가이드프레임(700)을 측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하며, 업소버(800)를 통해 근력운동 향상과 충격을 완충시켜 보다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구성으로 좁은 실내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0 : 베이스프레임 110 ; 수평프레임
120 : 직교프레임 200 : 레일부
210 : 지지프레임 212 : 수직프레임
214 : 경사프레임 220 : 레일판
300 : 발판부 310 : 이동부
311 : 몸체 312 : 지지판
313 : 가이드판 313a : 가이드돌기
313b : 가이드롤러 314 : 이동롤러
320 : 발판 400 : 풀리
500 : 와이어 600 : 후방지지브라켓
700 : 가이드프레임 710 : 제1가이드암
720 : 제2가이드암 800 : 업소버

Claims (5)

  1. 전후방에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수평프레임(110)과 상기 수평프레임(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상의 직교프레임(1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부(200);와
    상기 한 쌍의 레일부(200)을 따라 전방상부 또는 후방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한 쌍의 발판부(300);와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설치되는 풀리(400); 및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어느 하나의 내측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풀리(400)에 걸리며, 상기 한 쌍의 발판부(300) 중 다른 어느 하나의 내측에 타측이 결합되는 와이어(5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레일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부(310);와
    상기 이동부(310)의 상부에 지면과 수평하게 설치되는 발판(3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부에 전방으로 갈수록 상부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0);과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10)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레일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이동부(310)는
    상부에 발판(320)이 설치되는 몸체(311);와
    상기 몸체(311)의 하부에 상기 레일부(200)와 수평하게 설치되는 지지판(312);과
    상기 지지판(312)의 하부 양측에 각각 하부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양측에 위치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313);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판(313)의 사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레일판(220)의 상부면에 밀접되는 한 쌍의 이동롤러(3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이드판(313)은
    전방과 후방에 각각 돌출형성되되, 상기 레일판(220)보다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313a);와
    상기 가이드돌기(313a)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레일판(220)의 하부면에 밀접되는 가이드롤러(313b);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210)은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전방에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212);과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후방에 후방이 결합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12)의 상부에 전방이 결합되는 경사프레임(21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212)은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경사프레임(214)은
    후방이 상기 직교프레임(120)의 후방에 힌지결합되고, 전방 내측이 다단으로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추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311)는
    전방이 상기 지지판(312)의 전방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는
    상기 몸체(311)와 지지판(312)의 사이에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운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지지브라켓(600);과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며, 중단에 측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관절부가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7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운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700)은
    상기 후방지지브라켓(600)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1가이드암(710);과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전방에 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부(300)의 하부에 전방이 측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힌지결합되는 제2가이드암(7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계단 운동장치는
    상기 제1가이드암(710)의 내측 후방에 후방이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가이드암(720)의 내측 후방에 전방이 힌지결합되는 업소버(8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 운동장치.
KR1020230109390A 2023-08-21 2023-08-21 계단 운동장치 KR102631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390A KR102631449B1 (ko) 2023-08-21 2023-08-21 계단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09390A KR102631449B1 (ko) 2023-08-21 2023-08-21 계단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449B1 true KR102631449B1 (ko) 2024-01-29

Family

ID=8971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9390A KR102631449B1 (ko) 2023-08-21 2023-08-21 계단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44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02A (en) * 1974-06-27 1976-07-20 Mcfee Richard Exercise stair device
KR200404727Y1 (ko) * 2005-10-18 2005-12-27 김태연 수평으로 상하 이동되는 스텝퍼
JP2007097932A (ja) * 2005-10-06 2007-04-19 Chiken Kk トレーニング装置
JP3158809U (ja) * 2009-12-11 2010-04-2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足踏式運動具
KR20200068412A (ko) 2018-12-05 2020-06-15 신정식 계단형 운동기구
KR20230089993A (ko) 2021-12-14 2023-06-21 (주)메쉬 낙하방지 및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계단 운동 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0302A (en) * 1974-06-27 1976-07-20 Mcfee Richard Exercise stair device
JP2007097932A (ja) * 2005-10-06 2007-04-19 Chiken Kk トレーニング装置
KR200404727Y1 (ko) * 2005-10-18 2005-12-27 김태연 수평으로 상하 이동되는 스텝퍼
JP3158809U (ja) * 2009-12-11 2010-04-22 株式会社アテックス 足踏式運動具
KR20200068412A (ko) 2018-12-05 2020-06-15 신정식 계단형 운동기구
KR20230089993A (ko) 2021-12-14 2023-06-21 (주)메쉬 낙하방지 및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계단 운동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83B2 (en) High-incline treadmill
US9352185B2 (en) Exercise device with inclination adjusting mechanism
US6761667B1 (en) Hiking exercise apparatus
US4938473A (en) Treadmill with trampoline-like surface
US6241638B1 (en) Fold-up exercise treadmill and method
US6945912B2 (en) Exercise treadmill with slope adjustment
US20190022455A1 (en)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US7758472B2 (en) Exercise device ramp roller retainer
EP1481710A1 (en) Treadmill
TWI589332B (zh) Adjustable lifting angle of the ladder machine
TWI681799B (zh) 攀爬訓練器
KR102631449B1 (ko) 계단 운동장치
KR100755787B1 (ko) 트레이닝기구
US10471300B2 (en) Elliptical trainer
KR100484670B1 (ko) 운동장치
KR20230089993A (ko) 낙하방지 및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한 계단 운동 기구
KR20080079365A (ko) 스텝퍼
US5569127A (en) Side stepping exercise apparatus
GB2424597A (en) Rock climbing apparatus
US10556148B2 (en) Conveyor chain for a stepmill
KR101297811B1 (ko) 다기능 러닝머신
CN111905339A (zh) 坐姿侧平举训练器
KR20040087021A (ko) 와이어를 이용한 폴딩 및 경사조절형 런닝머신
TWM506622U (zh) 可調整揚升角度之階梯機
KR20230120769A (ko) 컴팩트한 사이즈를 갖는 계단 운동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