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438B1 -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 Google Patents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438B1
KR102631438B1 KR1020207029527A KR20207029527A KR102631438B1 KR 102631438 B1 KR102631438 B1 KR 102631438B1 KR 1020207029527 A KR1020207029527 A KR 1020207029527A KR 20207029527 A KR20207029527 A KR 20207029527A KR 102631438 B1 KR102631438 B1 KR 10263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op
guide
sheath
basket
extra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9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3355A (ko
Inventor
브란트 마이클 데이비스
제프리 에드워드 프랭클린
Original Assignee
씨. 알. 바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 알. 바드, 인크. filed Critical 씨. 알. 바드, 인크.
Publication of KR20200133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3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4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0Instruments, other than pincettes or toothpicks, for removing foreign bodies from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031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 A61B2017/22034Gripping instruments, e.g. forceps, for removing or smashing calculi for gripping the obstruction or the tissue part from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1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 A61B2017/2212Gripping devices in the form of loops or baskets for gripping calculi or similar types of obstructions having a closed distal end, e.g. a loo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a) 환자에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말단부 및 환자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선단을 포함하는 시스; (b) 상기 시스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확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바스켓으로서, 상기 바스켓은 적어도 3 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또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를 개재하는 위치에서 서로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바스켓; 및(c) 상기 시스의 선단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컨트롤으로서,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스에 대하여 상기 바스켓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핸들 컨트롤;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Description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8년 3월 15일자로 출원된 "해부학적 추출 장치"라는 제목의 미국 예비 특허 출원 제62/643,644호의 혜택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된다.
본 발명의 소개
본 발명은 해부학적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체관 및 체내 저장소 내에서 대상물을 추출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해부학적 추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말단 요관의 작은 결석은 요관경 결석 제거(ureteroscopic stone basketing)로 신뢰성 있게 그리고 확실하게 추출할 수 있다. 현재 다양한 요관경 바스켓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요관경 바스켓의 대부분은 캐뉼라를 형성하는 관형 슬리브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의 말단부는 자유 단부를 가지거나 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와이어를 포함하는 재료의 탄성에 의해 외측으로 연장될 때 확장될 수 있다. 서로 연결되는 와이어의 경우, 상기 바스켓의 먼 쪽 말단 팁에 말단 플러그가 존재할 수 있다. 당업자는 상기 바스켓의 말단 팁의 존재가 상기 바스켓의 말단으로부터 기능적 결합부까지의 거리를 생성하므로 결석 포집을 더욱 어렵게 하기 때문에 불리하다는 이론을 세웠다. 또한, 당업자는 말단 팁을 갖는 특정 바스켓이 신배 요로상피 라이닝(renal calyceal urothelial lining)을 관통할 수 있으므로 출혈을 유발하여 그로 인해 가시화를 방해되고 결석 추출이 조기에 종료될 수 있음을 유감스러워했다. 자유 단부를 갖는 바스켓에 대해서도 당 업계에 유사한 단점이 주지되어 있는데, 그 예가 미국 특허 제6,416,519호에 개시되어 있다.
말단 팁 또는 자유 단부를 갖는 바스켓의 이러한 주지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정 "개방 단부형" 바스켓이 개발되었다. 이들 "개방 단부형" 바스켓 중에는 미국 특허 제5,906,622호에 개시된 실시 예가 있다. 그러나 상기 미국 특허 제5,906,622호의 실시 예는 하나의 매우 뚜렷한 단점을 갖는다 - 의도된 제거 대상물을 단단하게 잡을 수 없다. 이러한 ‘622 특허의 모든 실시 예는, 상기 대상물 너머로 연장하여 그 주위에 동기화됨으로써 상기 의도된 대상물을 잡는 대신에, 상기 대상물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대상물을 핀칭하는(pinching) 동작을 한다. 당연히 이러한 핀칭 작업은 '622 특허에 묘사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이러한 핀칭 동작은 '622 특허의 바스켓에 대한 원주 방향 압력이 상기 대상물로 하여금 상기 바스켓의 말단부로부터 튀어나오게 하기 때문에 상당히 만족스럽지 못하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의 신장 도관을 통해 상기 바스켓을 드로잉한 결과 일 수 있음). 즉, 상기 '622 특허의 바스켓은 포획해야 할 상기 대상물, 예를 들어, 신장 결석의 말단부 너머로 말단쪽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원주 방향 또는 선단 방향 압력이 가해질 때 상기 바스켓에 대한 상기 대상물의 말단측 운동을 지연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이 없다.
따라서, 개방-단부형이면서 동시에 위에서 언급된 문제를 극복하고, 의도된 대상물 너머로 연장되어 의도된 대상물을 단단히 잡기 위한 바스켓을 제공하는, 해부학적 추출 장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1 양상은 말단부를 포함하는 중공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의료 추출 장치로서, 상기 말단부로부터 바스켓이 확장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은 후퇴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 가능하고(repositionable), 상기 바스켓은: (i) 상기 중공 시스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ii)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사이에 연장됨; (iii) 상기 제3 루프의 말단부에 대하여 상기 제2 루프의 말단부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앵커; (iv) 상기 제1 앵커에 인접하는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를 결합하는 제1 조인트; (v) 상기 제1 가이드의 일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 루프의 말단부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앵커; (vi)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선단부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라인으로서, 상기 라인의 재배치는 상기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길이를 증가 및 감소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1 양상의 더욱 상세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는 제4 루프 및 제3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4 루프는 상기 제4 및 제1 가이드 사이에 연장되고, 상기 제2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가이드 사이에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는 상기 중공 시스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핸드헬드 구조로 된 핸들 컨트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컨트롤은 상기 라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재배치가 상기 라인의 직접적인 재배치를 위하여 작동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 장치는 상기 중공 시스의 선단부에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컨트롤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핸들 컨트롤은 상기 라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한 상기 핸들 컨트롤의 재배치가 상기 라인의 직접 재배치를 위하여 작동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다수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라인 각각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이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제1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제2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이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제1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제2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는 불연속적이다.
상기 제1 양상의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한 것 및 고정적으로 위치된 것 중 적어도 하나이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는 용접, 접착제, 땜납, 와이어 꼬임 및 와이어 직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가이드, 상기 제2 가이드, 및 상기 중공 시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용접, 접착제, 땜납, 와이어 꼬임 및 와이어 직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및 상기 제2 앵커는 공통 앵커를 포함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의 선단부 및 상기 제3 루프의 선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다. 더욱 상세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루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재배치 가능하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루프에 대하여 상기 라인을 통하여 종속적으로 재배치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제2 양상은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으로서: (a) 중공 시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 여기에서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상기 제1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1 평면, 상기 제2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2 평면, 상기 제3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3 평면, 및 상기 제1 루프의 최말단 지점, 상기 제2 루프의 최말단 지점, 및 상기 제3 루프의 최말단 지점에 걸쳐있는 제4 평면에 의해 주로 묘사되는 내부 캐비티를 포함하는 개방 위치에 바스켓을 형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여기에서 상기 캐비티의 중간 길이 방향 단면이 상기 제4 평면에 수직인 세로축의 중간 지점에서 취해지고; 및(b) 조인트를 재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변경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는 상기 중간 길이 방향 단면의 단면적보다 큰 비율로 상기 제4 평면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치형 경로에서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2 양상의 더욱 상세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서 연장된다. 더욱 상세한 또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재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노출 길이는 각각의 가이드로부터 상기 중공 시스 너머로 연장되는 각각의 루프의 길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양상은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으로서: (a)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를 재배치하여 중공 시스의 말단부 너머로 연장되는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용 영역은 정적 상태(static state)에서 테이퍼지고 상기 중공 시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가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는 말단부에서 함께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 영역 내로 대상물의 통과를 허용함; 및(b) 조인트를 재배치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는 아치형 경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수용 영역 내의 대상물이 상기 감소된 크기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양상은 의료 추출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a)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기하학적 구조로 배열하는 단계, 여기에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루프는 다음 방정식 A = 360/N을 사용하여 서로에 대한 각도를 이루며, 여기에서 A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루프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N은 루프의 전체 개수를 나타냄; (b) 적어도 상기 제1 루프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루프의 제1 부분을 제1 가이드를 따라서 및 상기 제1 가이드 내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및 제3 루프의 제1 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및 서로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c) 적어도 상기 제2 루프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루프의 제2 부분을 제2 가이드를 따라서 및 상기 제2 가이드 내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루프의 제2 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루프의 제1 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및 상기 제1 루프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d) 적어도 상기 제3 루프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루프의 제2 부분을 조인트에서 직접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시스 내에 배치하여 상기 중공 시스가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하는 단계; (f)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의 제1 부분에 구동 라인을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구동 라인의 재배치가 상기 중공 시스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작동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5 양상은 의료 추출 장치로서: (a) 환자에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말단부 및 상기 환자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선단을 포함하는 시스; (b) 상기 시스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확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바스켓으로서, 상기 바스켓은 적어도 3개의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또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를 개재하는 위치에서 서로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바스켓; 및(c) 상기 시스의 선단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 컨트롤으로서,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스에 대하여 상기 바스켓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핸들 컨트롤;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분리 사시도로서 시스 너머로 연장된 바스켓을 도시한다.
도 3은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단면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5는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단면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대안적이며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다.
도 6은 예시적인 시스의 단면도이자 상기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사시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7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바스켓이 제거 대상물에 도달하기 직전 상태이다.
도 8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된다.
도 9는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바스켓은 상기 제거 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둘러싸는 위치로 재배치된다.
도 10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바스켓이 상기 제거 대상물을 둘러싸도록 둘러싸는 위치로 재배치된 상기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대상물 제거 바로 직전에 상기 제거 대상물에 더욱 가까이 상기 가이드를 선택적으로 재배치함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분리 사시도로서 시스 너머로 연장된 바스켓을 도시한다.
도 13은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단면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14는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단면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대안적이며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다.
도 15a는 예시적인 시스의 단면도이자 상기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사시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2개의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15b는 예시적인 시스의 단면도이자 도 15a의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다른 특정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사시도로서, 상기 시스의 말단부 바로 앞에서 취한 것으로, 각각의 와이어 및 나머지 2개의 가이드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시스에 대하여 고정된다.
도 16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바스켓이 후퇴 위치에 있다.
도 17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거 대상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개방되어 있다.
도 18은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상기 바스켓은 개방되어 있고 상기 제거 대상물을 수용한다.
도 19는 신장 경로 내에서 요관경을 통하여 연장되는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말단부의 측면도로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제거 대상물을 보유하도록 후퇴되어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대안적이며 예시적인 실시 예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1은 상기 예시적인 시스의 단면도이자 상기 시스를 통하여 연장되는 다른 특정 예시적인 구성 요소의 사시도로서, 여기에서 상기 장치는 이중의 라인 및 각각의 라인에 대한 개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도 22는 개방된 또는 확장된 위치에서 도 1의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 도 1의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 도 1의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상기 바스켓에 의하여 대상물이 확보된 상태이다.
도 25은 개방된 또는 확장된 위치에서 도 11의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에서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8은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 상기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상기 바스켓에 의하여 대상물이 확보된 상태이다.
도 29는 개방된 또는 확장된 위치에서 도 1의 제1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의 동일한 예시적인 바스켓 또한 가상으로 도시한다.
도 30은 개방된 또는 확장된 위치에서 도 11의 제2 예시적인 의료 추출 장치의 바스켓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로서, 폐쇄된 또는 후퇴된 위치에서의 동일한 예시적인 바스켓 또한 가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한 제한을 구성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당업자에 의해 고려되는 상기 예시적인 실시 예의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요지에 동시에 속함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수의 실시 예에 걸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은 채 결합, 재구성 및/또는 상호 교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10 및 도 22-24를 참조하면, 의료 추출 장치(100)의 제1 예시적 실시 예는 가늘고 긴 중공 시스(102)를 포함하며, 이러한 중공 시스(102)로부터 말단부에 재배치 가능한 바스켓(104)가 연장된다. 상기 바스켓(104)은 라인(108)(하나 또는 다수의 라인을 포함 할 수 있음)을 통하여 핸들 컨트롤(10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라인(108)은 상기 시스의 중공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여 상기 바스켓의 개방(즉, 확장 위치) 및 폐쇄(즉, 후퇴 위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시스(102)의 선단 양상은 상기 핸들 컨트롤(106)에 고정되거나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102)는 대체로 매끄러운 아치형의 외주 및 중공 내부 채널을 제공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시스(102)는, 가장 바깥쪽으로부터 가장 안쪽에 이르기까지, 테프론 층(120), 제1 폴리이미드 층(122), 스테인레스 스틸 브레이드 층(124), 및 상기 중공 내부 채널의 경계를 구분짓는 제2 폴리이미드 층(126)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시스(102)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단면 또는 길이를 따라 변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시스(102)는 원형 단면, 장방형 단면, 또는 내부에서 상기 라인(들)(108)이 재배치 될 수 있는 길이 방향 채널을 제공하는 임의의 다른 형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상기 시스(102)는, 후퇴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104)의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1.0 내지 12.0 Fr 범위의 최대 외형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04)은 2개 이상의 가이드(130, 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유연한 와이어(140, 142, 144)가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130, 132)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130, 132)는 금속 및 금속 합금과 같이 플라스틱 이외의 재료로 제작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130, 132)는 변형 가능하고,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는 상기 시스(102)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160) 또는 기타 결합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가이드(130, 13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스(10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로,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중공 도관을 구획하고, 따라서 상기 중공 도관을 통하여 또는 상기 중공 도관 주위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140, 142, 144)의 재배치가 가능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바스켓(104)의 와이어(140, 142, 144)는 상기 라인(들)(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폐쇄 또는 후퇴 위치와 개방 또는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바스켓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각각의 와이어(140, 142, 144)는 재배치 및 선택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한 단일 와이어 또는 다중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140, 142, 144)는 금속, 금속 합금, 폴리머, 또는 폴리머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곡선(비선형) 형태를 구현하도록 설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0, 142, 144)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금속 합금은 니티놀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는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균일한 단면을 구현하거나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의 단면은 원형, 장방형,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별 모양, 또는 임의의 다른 단면으로 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상기 와이어(140, 142, 144)는 균일한 원형 단면 및 0.0001 인치 내지 0.05 인치의 범위, 예컨대 0.003 인치의 외경을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니티놀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는 가이드(130, 132)의 길이 방향 도미넌트 치수(dominant dimension)의 2배가 넘는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바스켓(104)은 3개의 와이어(140, 142, 144)를 포함하며, 이들 와이어는 각각 루프를 형성하는데, 상기 루프는 상기 루프에 의해 구획되는 내부 영역 내부에 대상물을 포착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대해 재배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루프는 삼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는 고정된 관계로 위치(154)(즉, 조인트)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된 관계는 상기 조인트(154)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길이 방향 재배치를 방지하기 위한 용접, 접착, 납땜, 비틀기, 직조,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의 결과일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는 조인트(154)로부터 상류에 일체형 단일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개별 와이어(140, 142)를 형성하도록 상기 조인트(154)의 하류에서 분리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상류 부분은 상기 시스(102) 또는 가이드(130, 1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된 앵커(15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예시적인 추출 장치(100)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이, "상류"는 상기 조인트(154)와 상기 앵커(158)와의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부분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한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상기 가이드(130, 132) 각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각각의 가이드(130, 132)를 따라서 또는 각각의 가이드(130, 132) 내부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중 어느 하나의 하류 부분 하나는 가이드(130, 13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앵커 위치(158)에 장착되는 바와 같이), 반면에 나머지 와이어(140, 142)의 제2 하류 부분은 상기 라인(108)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고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가이드(130, 132)의 말단부로부터 노출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상기 제1 및 제2 루프를 형성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제1 예시적인 추출 장치(100)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이, "하류"는 상기 라인(108)에 상기 와이어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곳과 상기 조인트(154)와의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부분을 지칭한다.
제3의 상기 와이어(144) 또한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반대쪽 단부에서 상기 앵커(15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로, 상기 제3 와이어(144)는 제3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와이어(144)의 대향 부분은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를 통하여 또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를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가 각각의 가이드(130, 132) 내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경우, 상기 제3 와이어(144)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앵커(158)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3 와이어의 다른 부분은 상기 가이드(130, 132) 중 적어도 하나를 따라서 또는 상기 가이드(130, 132)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가이드(130)는 이 가이드를 따라서 또는 이 가이드 내부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2개 이상의 와이어(140, 144)를 수용할 수 있는 반면에, 나머지 가이드(132)는 그에 대하여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와이어(142) 및 그에 대하여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없는 제2 와이어(142)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앵커(158)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상기 와이어(144)는 접착제(160) 또는 용접 및 브레이징과 같은 다른 결합 또는 유지 수단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고, 이들 수단에 제한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인(108)은 상기 3개의 와이어(140, 142, 144) 중 적어도 2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핸들 컨트롤(106)을 이용하여 완전한 후퇴 위치와 완전한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바스켓(104)을 재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인(108)은 금속, 금속 합금, 단일 와이어, 다중 와이어(평행하거나, 꼬임되어 있거나 또는 편조됨)와 같은 임의의 수의 재료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라인(108)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대략 0.015 인치의 직경을 갖는 니티놀 단일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라인(108)의 직경은 시스 직경이 더 클수록 더 큰 라인 직경을 수용할 수 있고, 반대로 시스 직경이 더 작을수록 더 작은 라인 직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시스(102)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시스(102)의 크기에 관련한 크기로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핸들 컨트롤(106)은 상기 시스(102)에 고정적으로 또는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서로 장착된 상보적인 하우징 절반부(202, 204)로 이루어진다. 이들 하우징 절반부(202, 204)는 내부에서 제1 액추에이터(210)가 재배치 될 수 있는 내부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절반부(202, 20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개구부(212)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절반부(202, 204)는 함께 상기 개구부(212)를 형성할 수 있음),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10)의 재배치는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라인(108)의 길이 방향 재배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108)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보다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 절반부는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며, 편향된 개방 또는 편향된 폐쇄 바스켓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스프링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시스(10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길이 방향 움직임은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상기 라인(108)에 상응하는 길이 방향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작동된다. 또한, 상기 라인(108)의 이러한 길이 방향 움직임은 상기 바스켓(104)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3개의 와이어(140, 142, 144) 중 적어도 2개(및 선택적으로 3개의 와이어 모두)의 움직임으로 상응하게 전달된다.
바로 위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제어에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이동은 이러한 움직임/이동 범위가 상기 바스켓(104)을 완전히 연장시키는 이동과 완전히 후퇴시키는 이동(즉, 개폐) 사이의 이동 범위에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가 상기 시스(102)에 대한 자신의 운동 범위의 일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104)은 완전히 후퇴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가 상기 시스에 대한 자신의 운동 범위의 반대쪽 끝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은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재배치는 상기 바스켓을 완전한 후퇴 위치와 완전한 확장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바스켓(104)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작하도록 작동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필수는 아니지만, 상기 핸들 컨트롤(106)은 역시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가이드(130, 132)가 상기 시스(102)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고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는 상기 시스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 도관(23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도관(230)은 상기 시스(102)의 가장 작은 내부 축 방향 도미넌트 치수보다 더 작은 외부 축 방향 도미넌트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관이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관(2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내부 캐비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내부 캐비티를 통하여 상기 라인(들)(108)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라인(들)(108)은 상기 도관(230) 및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관(230)은 상기 라인(들)(108) 및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절반부(202, 204)에 대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길이 방향 운동은 상기 시스(102) 내에서 상응하는 길이 방향 운동을 상기 도관(230)에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관(230)의 이러한 길이 방향 운동은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130, 132)를 연장 및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130, 132)의 운동으로 상응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이동은 그 이동 범위가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가이드(130, 132)의 연장 및 후퇴 범위에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일단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130, 132)는 상기 시스(102) 내부에서 완전히 후퇴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제2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반대쪽 끝단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130, 132)는 상기 시스(102) 밖으로 완전히(또는 거의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재배치는 상기 바스켓(104)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작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7-10, 22-24 및 29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의료 추출 장치(100)는 해부학적 캐비티 내부에서 다양한 대상물을 추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신장 결석 제거 수술과 관련하여 상기 추출 장치(100)의 사용을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상기 의료 추출 장치(100)의 사용이 신장 결석 제거 수술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설명이 상기 추출 장치(100)가 적용되는 수많은 수술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처음에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서 신장에 대한 적절한 신장 경로(180)가 탐색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 경로를 가로지르는 스코프(190)(예를 들어, 요관경)를 통하여 적절한 시각화도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의 위치에 근접됨에 따라, 상기 바스켓 및 상기 시스의 말단부를 상기 스코프(190) 너머로 전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결합된 상기 추출 장치(100)의 바스켓(104) 단부는 상기 바스켓이 도 7 및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스코프(190)를 통하여 전진 가능하다. 상기 시스(102) 및 바스켓(104)의 계속인 전진은 상기 제거 대상물(170)이 위치하는 목표 영역에 상기 바스켓(104)이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04)이 상기 스코프(190)의 육안 검사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원하는 영역에 도달된 후, 작업자는 상기 핸들 컨트롤(106)(즉, 하우징 절반부(202, 204))을 잡고서, 상기 액추에이터(210, 220)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함으로써 (또는 상기 시스에 대하여 상기 핸들 하우징을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라인(108)을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하여 상기 바스켓을 그의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재배치한다.
상기 핸들 컨트롤(106)이 제2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바스켓을 폐쇄 또는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재배치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는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관(230)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이 상기 시스 너머로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 컨트롤(106)의 작업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4)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142) 길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도 7 및 도 8은 상기 바스켓(104)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30, 132)는 상기 시스(10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를 통하여, 또는 작동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상기 와이어(140, 142, 14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된(즉, 확장된) 위치에 일치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획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1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추출 장치(100)의 전체 말단부가 재배치되는 동안 이러한 개방 또는 확장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물(170)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104) 내에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 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먼 쪽으로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144)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루프와 관련된 와이어 길이가 감소되도록 한다. 도 9, 24, 및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40, 144)의 감소된 길이는 상기 조인트(154)와 일치하며, 상기 조인트(154)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후방에 오도록 아치형을 이루며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감소된 길이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백스톱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상기 바스켓(104) 및 대상물(170)을 궁극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 장치(100)의 전체 말단부를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할 때 상기 대상물이 바스켓(104) 내에 머무를 것인지에 대한 작업자의 확신 및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를 말단 방향으로 재배치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을 향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130, 132)가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144)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루프에 연관된 와이어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고, 따라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목표 대상물 주위의 루프가 타이트해진다. 상기 바스켓(104) 내에서 목표 대상물(170)을 포획한 후, 상기 추출 장치(100) 및 대상물(170)은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가이드(130, 132)가 상기 시스(102)에 대해 재배치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목표 대상물(170)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바스켓을 폐쇄 또는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재배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핸들 컨트롤(106)의 작업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재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4)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와이어(142)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여, 이에 따라 상기 시스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3개의 루프 각각의 길이가 증가된다. 도 7, 8 및 22는 상기 바스켓(104)의 예시적인 개방 또는 확장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30, 132)는 상기 시스(102)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140, 142, 144)는 상기 가이드 및 시스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획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1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추출 장치(100)의 전체 말단부가 더욱 말단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동안 이러한 개방 또는 확장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물(170)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1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 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먼 쪽으로),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144)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가이드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루프의 길이가 상응하게 감소된다. 도 9, 23, 및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140, 142, 144)의 감소된 길이는 상기 조인트(154)와 일치하며, 상기 조인트(154)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후방에 오도록 아치형을 이루며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감소된 길이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백스톱을 생성한다. 상기 조인트(154)가 상기 목표 대상물(170) 뒤에 재배치된 후, 상기 추출 장치(100) 및 목표 대상물(170)은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1-20, 25-28, 및 30를 참조하면, 의료 추출 장치(300)의 제2 예시적 실시 예는 가늘고 긴 중공 시스(102)를 포함하며, 이러한 중공 시스(102)로부터 말단부에 재배치 가능한 바스켓(104)가 연장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 예와 공통되는 참조 번호는 상기 제1 예시적인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거의 다르지 않은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간결함을 위하여, 상기 2개의 실시 예들 사이에 공통되는 요소들에 대한 논의는 생략한다.
상기 바스켓(104)은 라인(108)(하나 또는 다수의 라인을 포함할 수 있음)을 통하여 핸들 컨트롤(106)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라인(108)은 상기 시스의 중공 부분을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여 상기 바스켓의 개방(즉, 확장 위치) 및 폐쇄(즉, 후퇴 위치)를 용이하게 한다. 상기 시스(102)의 선단 양상은 상기 핸들 컨트롤(106)에 고정되거나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304)은 3개 이상의 가이드(130, 132, 334, 3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2개 이상의 와이어(140, 142, 344, 346)가 각각 연장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폴리이미드 등과 같은 적합한 플라스틱 재료로 각각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변형 가능하고, 또는 탄성 변형 가능하다.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에 고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접착제(160) 또는 기타 결합 수단에 의해), 또는 상기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시스(102)에 의해 둘러싸이게 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로,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그를 통해 연장되는 각각의 중공 도관을 구획하고, 따라서 상기 중공 도관을 통하여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140, 142, 344, 346)의 재배치가 가능하도록 크기가 결정된다.
상기 바스켓(304)의 와이어(140, 142, 344, 346)는 상기 라인(들)(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폐쇄 또는 후퇴 위치와 개방 또는 연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바스켓의 재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재배치 및 선택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한 와이어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금속 또는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곡선(비선형) 형태를 구현하도록 설정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금속 합금은 니티놀을 포함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와이어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는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균일한 단면을 구현하거나 길이 방향 길이를 따라 변화되는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와이어 또는 와이어 스트랜드의 단면은 원형, 장방형, 반원형, 삼각형, 직사각형, 별 모양, 또는 임의의 다른 단면으로 될 수 있다. 추가의 예로서,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균일한 원형 단면 및 0.0001 인치 내지 0.05 인치의 범위, 예컨대 0.003 인치의 외경을 갖는 단일 스트랜드의 니티놀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예로서, 각각의 상기 와이어는 가이드(130, 132, 334, 336)의 길이 방향 도미넌트 치수의 2배가 넘는 전체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바스켓(304)은 4개의 와이어(140, 142, 344, 346)를 포함하며, 이들 와이어는 4개의 루프(150, 152, 354, 356)를 형성하도록 협력하는데, 이들 루프는 상기 루프의 내부에 대상물을 포획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루프는 직사각형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는 고정된 관계로 조인트(154)에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된 관계는 상기 결합 위치(154)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길이 방향 재배치가 서로 독립적으로 되지 않도록 용접, 접착, 납땜, 비틀기, 직조, 또는 임의의 다른 수단의 결과로 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는 조인트(154)로부터 상류에 일체형 단일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개별 와이어(140, 142)를 형성하도록 상기 조인트(154)의 하류에서 분리될 수 있다. 어떤 경우이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상류 부분은 상기 시스(102) 또는 가이드(130, 13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된 앵커(15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추출 장치(300)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이, "상류"는 상기 조인트(154)와 상기 앵커(158)와의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부분을 지칭하며, 여기에서 상기 앵커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를 고정된 위치에 유지한다. 또한, 이러한 제2 예시적인 추출 장치(300)와 관련하여 사용된 바와 같이, "하류"는 상기 라인(108)에 상기 와이어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 곳과 상기 조인트(154)와의 사이의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부분을 지칭한다. 어느 경우이든,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상기 가이드(130, 132) 중 하나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상기 라인의 후퇴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이 상기 가이드(130, 132) 내로 후퇴되도록 유발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라인의 연장(시스(102)의 말단부를 향하여 상기 라인을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함)은 와이어(140, 142)가 상기 가이드(130, 132) 너머로 더 연장되도록 한다. 반대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상류 부분은 상이한 가이드(334)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기 앵커(15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334)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비교적 일정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132) 내로 연장된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하류 부분은 각각의 가이드(130, 132)를 따라서 또는 각각의 가이드(130, 132) 내부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 중 어느 하나의 하류 부분 하나는 가이드(130, 132)에 대하여 고정적으로 될 수 있고, 반면에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의 제2 하류 부분은 상기 라인(108)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고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는 상기 제1 및 제2 루프(150, 152)를 형성하도록 작동된다.
제3의 상기 와이어(344) 또한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3 루프(354)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와이어(344)의 대향 단부는 각각의 상기 가이드(132, 336)를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가 각각의 가이드(130, 132) 내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경우, 상기 제3 와이어(344)의 적어도 하나의 대향 단부는 상기 앵커(158)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3 와이어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가이드(336)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다 (도 15b 참조). 그 결과, 하나의 가이드(336)는 이 가이드 내부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2개의 와이어를 수용하게 되는 반면에, 2개의 다른 가이드(132)는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하나의 와이어(140, 142) 및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없는 제2 와이어(344, 346)를 가질 수 있다. 한 편, 제4 가이드(334)는 상기 앵커(158)를 통하여 그 가이드에 대하여 위치 고정될 수 있는 2개의 와이어를 수용하게 된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각각의 와이어(14, 142, 344)는 접착제, 용접, 브레이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부착 또는 본딩을 사용하여 상기 앵커(158)에 장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4의 상기 와이어(346) 또한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제4 루프(356)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4 와이어(346)의 대향 부분은 각각의 상기 가이드(130, 336)을 통하여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와이어(140, 142)가 각각의 가이드(130, 336) 내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경우, 상기 제4 와이어(34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앵커(158)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반면에, 상기 제4 와이어의 나머지 단부는 상기 가이드(336)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하다. 그 결과, 이러한 가이드(336)는 이 가이드 내부에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2개의 와이어를 수용하게 되는 반면에, 인접한 가이드(130)는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한 하나의 와이어(140) 및 그 내부에서 자유롭게 재배치할 수 없는 제2 와이어(346)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4 와이어(346)는 접착제(160) 또는 용접 및 브레이징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임의의 기타 본딩 수단을 사용하여 상기 앵커(158)에 고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인(108)은 상기 4개의 와이어(140, 142, 344, 346) 중 적어도 3개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는 상기 핸들 컨트롤(106)을 이용하여 후퇴/폐쇄 위치와 개방/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바스켓(104)을 재배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라인(108)은 금속, 금속 합금, 단일 와이어, 다중 와이어와 같이, 평행하든, 꼬임되어 있든 또는 편조되어 있든, 임의의 수의 재료 및 구조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라인(108)은 원형 단면을 가지며 대략 0.015 인치의 직경을 갖는 니티놀 단일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라인(108)의 직경은 시스 직경이 더 클수록 더 큰 라인 직경을 수용할 수 있고, 반대로, 시스 직경이 더 작을수록 더 작은 라인 직경을 수용할 수 있도록 시스(102)의 크기에 비례하거나 시스(102)의 크기에 관련한 크기로 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의료 추출 장치(300)의 제2 예시적인 실시 예는 핸들 컨트롤(106)을 포함하며, 상기 핸들 컨트롤(106)은 상기 시스(102)에 고정적으로 또는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서로 장착된 상보적인 하우징 절반부(202, 204)로 이루어진다. 이들 하우징 절반부(202, 204)는 내부에서 제1 액추에이터(210)가 재배치 될 수 있는 내부 영역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절반부(202, 204)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개구부(212)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절반부(202, 204)는 함께 상기 개구부(212)를 형성할 수 있음), 상기 라인(108)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10)의 재배치는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라인(108)의 길이 방향 재배치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108)의 이러한 길이 방향 움직임은 상기 바스켓(304)을 확장 및 후퇴시키기 위하여 상기 4개의 와이어(140, 142, 344, 346) 중 적어도 3개의 움직임으로 상응하게 전달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의 이동은 그 이동 범위가 상기 바스켓(304)의 확장 및 수축 범위에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일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304)은 완전히 후퇴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제1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반대쪽 끝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304)은 완전히 확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의 재배치는 상기 바스켓(304)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작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108)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보다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되며,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 절반부는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며, 편향된 개방 또는 편향된 폐쇄 바스켓(304) 위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스프링 편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시스(102)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길이 방향 움직임은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상기 라인(들)(108)에 상응하는 길이 방향 움직임을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들)(108)의 이러한 길이 방향 움직임은 상기 바스켓(304)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4개의 와이어(140, 142, 344, 346) 중 적어도 3개(및 선택적으로 4개의 와이어 모두)의 움직임으로 상응하게 전달된다.
바로 위에서 논의된 예시적인 제어에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이동은 이러한 움직임/이동 범위가 상기 바스켓(304)을 완전히 연장시키는 이동과 완전히 후퇴시키는 이동(즉, 개폐) 사이의 이동 범위에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가 상기 시스(102)에 대한 자신의 운동 범위의 일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104)은 완전히 후퇴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제1 액추에이터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가 상기 시스에 대한 자신의 운동 범위의 반대쪽 끝단에 있을 때 상기 바스켓은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 또는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의 재배치는 상기 바스켓을 완전한 후퇴 위치와 완전한 확장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바스켓(304)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작하도록 작동된다.
필수는 아니지만, 상기 핸들 컨트롤(106)은 역시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한 제2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가 상기 시스(102)에 견고하게 장착되지 않고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한 상황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는 상기 시스(102)의 내부를 따라 연장되는 중공 도관(230)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도관(230)은 상기 시스(102)의 가장 작은 내부 치수보다 더 작은 외부 최대 치수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도관이 상기 시스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도관(23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속적인 내부 캐비티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내부 캐비티를 통하여 상기 라인(108)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라인(108)은 상기 도관(230) 및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도관(230)은 상기 라인(들)(108) 및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길이 방향 운동은 상기 시스(102) 내에서 상응하는 길이 방향 운동을 상기 도관(230)에 전달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관(230)의 이러한 길이 방향 운동은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를 연장 및 수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의 운동으로 상응하게 전달될 수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이동은 그 이동 범위가 상기 시스(102)에 대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의 연장 및 후퇴 범위에 상응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일단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 내부에서 완전히(또는 거의 완전히) 수축될 수 있으며, 반면에 상기 제2 액추에이터가 자신의 운동 범위의 반대쪽 끝단에 있을 때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 밖으로 완전히(또는 거의 완전히) 연장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말단 방향으로의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의 재배치는 상기 바스켓(304)의 상대적인 형상을 조작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제2 의료 추출 장치(300)는 해부학적 캐비티 내부에서부터 다양한 대상물을 추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설명으로서, 신장 결석 제거 수술의 맥락에서 상기 추출 장치(300)의 사용을 설명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업자는 상기 의료 추출 장치(300)의 사용이 신장 결석 제거 수술에 국한되지 않으며, 이 설명이 상기 추출 장치(300)가 적용되는 수많은 수술 중 하나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처음에는, 상기 환자의 신체에서 신장에 대한 적절한 신장 경로(180)가 탐색될 수 있으며, 상기 신장 경로를 가로지르는 스코프(190)(예를 들어, 요관경)를 통하여 적절한 시각화도 제공될 수 있다.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의 위치에 근접됨에 따라, 상기 바스켓 및 상기 시스의 말단부를 상기 스코프(190) 너머로 전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시스(102)에 결합된 상기 추출 장치(300)의 바스켓(304) 단부는 상기 바스켓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퇴 위치에 있는 동안 상기 스코프(190)를 통하여 전진 가능하다. 상기 시스(102) 및 바스켓(304)의 계속인 전진은 상기 제거 대상물(170)이 위치하는 목표 영역에 상기 바스켓(304)이 도달할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04)이 상기 스코프(190)의 육안 검사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원하는 영역에 도달된 후, 작업자는 상기 핸들 컨트롤(106)(즉, 하우징 절반부(202, 204))을 잡고서, 상기 액추에이터(210, 220)의 하나 또는 둘 모두를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함으로써 (또는 상기 시스에 대하여 상기 핸들 하우징을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라인(108)을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하여 상기 바스켓을 그의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재배치한다.
상기 핸들 컨트롤(106)이 제2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액추에이터 및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바스켓을 폐쇄 또는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또는 확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동시에 재배치되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는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도관(230)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가 상기 시스 너머로 (또는 그 이상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핸들 컨트롤(106)의 작업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상기 루프의 크기가 증가되도록 한다. 도 17 및 25는 상기 바스켓(304)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를 통하여, 또는 작동되지 않는 경우 디폴트로),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위치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또는 전체적으로 개방된(즉, 확장된) 위치에 일치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획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3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추출 장치(300)의 전체 말단부가 재배치되는 동안 이러한 개방 또는 확장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도 16은 상기 바스켓(304)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를 통하여),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 위치는 상기 후퇴 위치에 일치된다. 이러한 후퇴 위치는 상기 추출 장치(300)의 전체 말단부가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 근처로 재배치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스켓(304)이 상기 목표 대상물(170) 근처에 근접될 때,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바스켓(304)을 확장 또는 개방하도록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대하여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04)의 개방 이후, 상기 바스켓은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 내에 상기 목표 대상물(170)이 수용되도록 더욱 말단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물(170)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1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 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먼 쪽으로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루프(150, 152, 354, 356)와 연관되는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된다.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의 감소된 길이는 상기 조인트(154)와 일치하며, 상기 조인트(154)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후방에 오도록 아치형을 이루며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감소된 길이는 상기 대상물이 상기 바스켓(304)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백스톱을 생성한다 (도 19, 28, 및 30 참조). (예를 들면,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상기 바스켓(304) 및 목표 대상물(170)을 궁극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 장치(300)의 전체 말단부를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할 때 상기 대상물이 바스켓(304) 내에 머무를 것인지에 대한 작업자의 확신 및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작업자는 상기 제2 액추에이터(220)를 말단 방향으로 재배치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을 향하여),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가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고, 상기 루프(150, 152, 354, 356)에 연관된 와이어 길이가 감소되도록 하여, 상기 대상물 주위의 상기 루프(150, 152, 354, 356)가 타이트해진다 (도 28 참조). 상기 바스켓(304) 내에 목표 대상물(170)을 포획한 후, 상기 추출 장치(300) 및 목표 대상물은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양자택일적으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가 상기 시스(102)에 대하여 재배치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목표 대상물(170)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바스켓을 폐쇄 또는 후퇴 위치로부터 개방 또는 연장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재배치할 수 있다. 예시적인 형태에서, 상기 핸들 컨트롤(106)의 작업자는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를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를 향하여) 재배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 길이가 증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시스로부터 연장되는 각각의 루프(150, 152, 354, 356)의 길이가 증가되도록 한다. 도 17 및 25는 상기 바스켓(304)의 예시적인 위치를 도시하며,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는 상기 시스(102)로부터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는 상기 가이드 및 시스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위치는 상기 바스켓의 개방 또는 확장 위치에 일치된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획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예를 들어, 신장 결석)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304)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추출 장치(300)의 전체 말단부가 더욱 말단 방향으로 재배치되는 동안 이러한 개방 또는 확장 위치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목표 대상물(170)이 상기 개방된 바스켓(30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후,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선단 방향으로 재배치 될 수 있고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먼 쪽으로), 이에 따라 상기 라인(108)이 상기 시스(102)를 통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 너머로 연장되는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 길이가 감소되고, 상기 루프(150, 152, 354, 356)에 연관된 와이어의 길이가 감소된다. 상기 와이어(140, 142, 344, 346)의 감소된 길이는 상기 조인트(154)와 일치하며, 상기 조인트(154)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의 후방에 오도록 아치형을 이루며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팁을 포함하고, 상기 감소된 길이는 상기 목표 대상물이 상기 바스켓(304)으로부터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백스톱을 생성한다 (도 19, 28, 및 30 참조). 상기 조인트(154)가 상기 목표 대상물(170) 뒤에 재배치된 후, 상기 추출 장치(300) 및 목표 대상물(170)은 상기 신장 경로(18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10)가 상기 시스(102)에 장착되고 상기 라인(108)이 상기 하우징 절반부(202, 204)에 장착되는 상황에서 전술한 바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액추에이터(210)를 재배치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제1 액추에이터(210)는 상기 바스켓을 개방 또는 확장하기 위하여 선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으로부터 먼 쪽으로 그리고 상기 핸들 하우징(202, 204)에 대하여), 그리고 상기 바스켓을 후퇴 또는 폐쇄시키기 위하여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을 향하여) 재배치될 수 있다.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상기 추출 장치(100, 300)의 핸들 컨트롤(106)의 일부로서 제3 컨트롤(260)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러한 제3 컨트롤(260)은 제2 라인(262)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제2 라인(262)은 상기 시스(102)를 통해 연장되고 상기 제2 라인(262)는 상기 앵커(158)에 결합될 수도 있는 와이어(140, 142, 144, 344, 346) 중 적어도 하나의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장치(100, 300)의 작업자는, 상기 목표 대상물(170)을 보유하면서 상기 조인트(154)가 더욱 바깥쪽으로 연장되기를 원하는 범위까지, 하나 이상의 상기 가이드(130, 132, 334, 336)로부터 더욱 멀리 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130, 132, 334, 336)에 더욱 가까이 상기 조인트(154)가 재배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3 컨트롤(260)을 말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104, 304)를 향하여) 또는 선단 방향으로 (상기 바스켓으로부터 멀리) 재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바스켓(104, 304)이 단일 조인트를 갖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바스켓(104, 304)이 각각의 루프가 서로 결합되는 다중 조인트를 갖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이해해야 한다. 각각의 추가 조인트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조인트(154)와 유사하게 생성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추출 장치(100, 300)는 앵커(158)를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앵커가 하나 이상의 와이어에 장착되는 다중 앵커를 이들 추출 장치(100, 300)를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을 이해해야 한다.
이상의 설명 및 발명 요약에 따라,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 및 장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구성하지만, 본 명세서에 포함된 발명은 위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의 제안된 신규성 포인트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 변경이 가능함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마찬가지로, 비록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논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내재적인 및/또는 예상치 못한 장점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확인된 장점 또는 목적의 일부 또는 전부를 충족시킬 필요는 없음을 이해해야 한다.
102: 시스
130: 가이드
140: 와이어
154: 조인트

Claims (23)

  1. 말단부를 포함하는 중공 시스(sheath)를 포함하는 의료 추출 장치로서,
    상기 말단부로부터 바스켓이 확장 위치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은 후퇴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 사이에서 재배치 가능하고, 상기 바스켓은:
    상기 중공 시스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사이에 연장됨;
    상기 제3 루프의 상류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2 루프의 상류 부분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제1 앵커;
    상기 제1 앵커 하류의 상기 제3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를 결합하는 제1 조인트;
    상기 제1 가이드의 일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1 루프의 상류 부분의 상대적 위치를 고정하는 제2 앵커;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하류 부분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라인으로서, 상기 라인의 재배치는 상기 중공 시스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상기 적어도 2개의 길이를 증가 및 감소시키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작동시키는 라인;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제4 루프 및 제3 가이드를 더욱 포함하며,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가이드 사이에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시스의 선단부에 장착되고 핸드헬드 구조로 된 핸들 컨트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들 컨트롤은 상기 라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의 재배치가 상기 라인의 직접적인 재배치를 위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시스의 선단부에 재배치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컨트롤을 더욱 포함하고, 상기 핸들 컨트롤은 상기 라인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한 상기 핸들 컨트롤의 재배치가 상기 라인의 직접 재배치를 위하여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다수개의 라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개의 라인 각각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7.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제1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제2 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덕트를 통하여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8.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 중 적어도 하나는 채널을 형성하며, 상기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의 부분들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9.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제1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이드는 제2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채널을 따라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부분들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는 부분적인 루프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한 것 및 고정적으로 위치된 것 중 적어도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인트는 용접, 접착제, 땜납, 와이어 꼬임 및 와이어 직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는 상기 제1 가이드, 상기 제2 가이드, 및 상기 중공 시스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된 용접, 접착제, 땜납, 와이어 꼬임 및 와이어 직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앵커 및 상기 제2 앵커는 공통 앵커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의 선단부 및 상기 제3 루프의 선단부는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자유롭게 재배치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루프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재배치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2 및 제3 루프에 대하여 상기 라인을 통하여 종속적으로 재배치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18.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외한,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으로서;
    중공 시스로부터 연장되는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
    여기에서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상기 제1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1 평면, 상기 제2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2 평면, 상기 제3 루프의 아치형 부분에 걸쳐있는 제3 평면, 및 상기 제1 루프의 최말단 지점, 상기 제2 루프의 최말단 지점, 및 상기 제3 루프의 최말단 지점에 걸쳐있는 제4 평면에 의해 묘사되는 내부 캐비티를 포함하는 개방 위치에 바스켓을 형성하도록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여기에서 상기 캐비티의 중간 길이 방향 단면이 상기 제4 평면에 수직인 세로축의 중간 지점에서 취해짐; 및
    조인트를 재배치하기 위하여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변경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는 상기 중간 길이 방향 단면의 단면적보다 큰 비율로 상기 제4 평면의 단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아치형 경로에서 결합됨;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의 상대적 위치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는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 사이에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
  20.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중공 시스에 대하여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재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노출 길이는 각각의 가이드로부터 상기 중공 시스 너머로 연장되는 각각의 루프의 길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
  21. 인간의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외한,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으로서: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를 재배치하여 중공 시스의 말단부를 너머 연장되는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수용 영역은 정적 상태(static state)에서 테이퍼지고 상기 중공 시스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가지며,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는 말단부에서 함께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수용 영역 내로 대상물의 통과를 허용함; 및
    조인트를 재배치하는 단계,
    여기에서,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2개는 아치형 경로로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의 크기를 감소시키고, 상기 수용 영역 내의 대상물이 상기 감소된 크기의 개구부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작동 방법.
  22. 의료 추출 장치 제조 방법으로서: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 중 적어도 하나를 기하학적 구조로 배열하는 단계,
    여기에서 적어도 2개의 상기 루프는 다음 방정식 A = 360도/N을 사용하여 서로에 대한 각도를 이루며,
    여기에서 A는 상기 적어도 2개의 루프 사이의 각도를 나타내고 N은 루프의 전체 개수를 나타냄;
    적어도 상기 제1 루프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3 루프의 제1 부분을 제1 가이드를 따라서 및 상기 제1 가이드 내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및 제3 루프의 제1 부분이 상기 제1 가이드에 대하여 및 서로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2 루프의 제1 부분 및 상기 제1 루프의 제2 부분을 제2 가이드를 따라서 및 상기 제2 가이드 내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하여 상기 제1 루프의 제2 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2 루프의 제1 부분이 상기 제2 가이드에 대하여 및 상기 제1 루프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도록 하는 단계;
    적어도 상기 제3 루프의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루프의 제2 부분을 조인트에서 직접 결합하는 단계;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중공 시스 내에 배치하여 상기 중공 시스가 상기 제1 루프, 상기 제2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의 제1 부분에 구동 라인을 작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구동 라인의 재배치가 상기 중공 시스를 너머 연장되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루프의 노출 길이를 동시에 증가 또는 감소시키도록 작동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제조 방법.
  23. 의료 추출 장치로서:
    환자에게 삽입되도록 구성된 말단부 및 상기 환자의 외부에 유지되도록 구성된 선단을 포함하는 시스;
    상기 시스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고 확장 위치와 후퇴 위치 사이에서 시스(sheath)에 대하여 재배치 가능하도록 구성된 바스켓으로서,
    상기 바스켓은 제1 루프, 제2 루프, 및 제3 루프를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은 또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3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는 상기 제1 루프 및 상기 제2 루프의 일부를 수용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2 루프 및 제3 루프는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를 개재하는 위치에서 서로 고정적으로 장착되도록 이루어진 바스켓; 및
    상기 시스의 선단에 결합되고 상기 바스켓에 결합되는 핸들 컨트롤으로서,
    상기 후퇴 위치와 상기 확장 위치 사이에서 상기 시스에 대하여 상기 바스켓의 재배치를 안내하는 핸들 컨트롤;로 이루어지는 의료 추출 장치.
KR1020207029527A 2018-03-15 2019-03-15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KR1026314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643644P 2018-03-15 2018-03-15
US62/643,644 2018-03-15
PCT/US2019/022585 WO2019178543A1 (en) 2018-03-15 2019-03-15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3355A KR20200133355A (ko) 2020-11-27
KR102631438B1 true KR102631438B1 (ko) 2024-01-30

Family

ID=6790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9527A KR102631438B1 (ko) 2018-03-15 2019-03-15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849964B2 (ko)
EP (1) EP3764927A4 (ko)
JP (1) JP2021515666A (ko)
KR (1) KR102631438B1 (ko)
CN (1) CN112074241A (ko)
WO (1) WO20191785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40926A1 (en) 2015-09-04 2017-03-09 The Trustees Of The University Of Pennsylvania Systems and methods for percutaneous removal of objects from an internal body space
EP3764927A4 (en) 2018-03-15 2021-11-17 C. R. Bard, Inc.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CN111407327B (zh) * 2020-03-20 2021-03-19 上海长海医院 一种消化内镜下异物取出爪
KR102528715B1 (ko) * 2020-10-28 2023-05-04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의료용 스네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9889A1 (en) * 2001-12-12 2003-06-12 Steve Mercereau Articulating stone basket
US20150148814A1 (en) * 2013-11-27 2015-05-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20160022290A1 (en) * 2013-03-15 2016-01-28 Eric Johnson Retrieval and centering device and method with pressure and ultrasound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87990C (en) * 1997-04-29 2008-06-17 Raymond F. Lippitt Positively expanding and retracting medical extractor
WO1998048710A1 (en) * 1997-04-29 1998-11-05 Lippitt Raymond F Annularly expanding and retracting gripping and releasing mechanism
US7169154B1 (en) * 1999-05-25 2007-01-30 Scimedlife Systems, Inc. Releasable basket and method of making thereof
US8597303B2 (en) 2005-11-03 2013-12-03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Articulating basket with simultaneous basket extension or basket retraction
AU2013363667B2 (en) * 2012-12-19 2017-08-03 Muffin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retrieval of an intravascular filter
US9808269B2 (en) 2013-12-12 2017-11-0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Adjustable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US11653942B2 (en) 2015-03-24 2023-05-23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EP3764927A4 (en) 2018-03-15 2021-11-17 C. R. Bard, Inc.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09889A1 (en) * 2001-12-12 2003-06-12 Steve Mercereau Articulating stone basket
US20160022290A1 (en) * 2013-03-15 2016-01-28 Eric Johnson Retrieval and centering device and method with pressure and ultrasound features
US20150148814A1 (en) * 2013-11-27 2015-05-28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Medical retrieval devices and related methods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64927A4 (en) 2021-11-17
WO2019178543A1 (en) 2019-09-19
US20200405335A1 (en) 2020-12-31
JP2021515666A (ja) 2021-06-24
KR20200133355A (ko) 2020-11-27
EP3764927A1 (en) 2021-01-20
US11849964B2 (en) 2023-12-26
CN112074241A (zh)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438B1 (ko) 해부학적 추출 장치 [anatomical extraction device]
JP7301135B2 (ja) 摘出バスケット
US10772648B2 (en) Retrieval device
AU682529B2 (en) Suture grasping device
JP6177307B2 (ja) 異物を処理するための医療用装置および医療システム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US7037307B2 (en) Automatically deforming surgical snare
CA2422927A1 (en) Medical grasping device
EP3679874A1 (en) Retrieval device
CN106102603B (zh) 可扩展的篮子形取回装置
JP2009536081A (ja) 砕石術適合ワイヤバスケット
US20040199048A1 (en) High flow stone basket system
US20200093584A1 (en) Inferior vena cava filter retrieval device and method of retrieving same
US11058412B2 (en) Suture delivery device
KR101800075B1 (ko) 헤드부의 방향 제어가 가능한 내시경용 생검 겸자
JP6917054B2 (ja) ガイドワイヤ案内手段及び該ガイドワイヤ案内手段を備えたバスケット型内視鏡装置用処置具
EP3701887A1 (en) Surgical basket
JPH09201367A (ja) 内視鏡用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