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1029B1 -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1029B1
KR102631029B1 KR1020210180776A KR20210180776A KR102631029B1 KR 102631029 B1 KR102631029 B1 KR 102631029B1 KR 1020210180776 A KR1020210180776 A KR 1020210180776A KR 20210180776 A KR20210180776 A KR 20210180776A KR 102631029 B1 KR102631029 B1 KR 102631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distribution box
underground
moistur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0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1559A (ko
Inventor
김동혁
이재헌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80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9B1/ko
Publication of KR20230091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1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 H02B7/08Underground sub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62Testing of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1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cable chambers, e.g. in manhole or in handho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방수 본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지중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 및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RECESSED UNDERGROUND DISTRIBUTION BOX AND MANHOLE SYSTEM FOR POWER FACILITIES}
본 발명은 특히 SIDT 2차측 근거리에 분전함을 설치하여 지상분전함설치에 따른 공간문제를 해소하고, 각종 공사비를 경감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하매입형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전기선이나 통신선 등의 전선은 통상적으로 전주를 이용하여 공중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었다. 그러나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전주와 공중의 전선으로 인해 도시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으로 인해 지중 매설 형태의 배전선로로 교체 시공하거나 신설 시공하는 추세이다.
도 1은 지상 변압기 및 이와 함께 설치된 지상 분전함을 도시한 사진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지중배전선로 시공법에는 직매식과 관로식 그리고 전력구식으로 크게 나눌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의 직매식과 관로식은 전선관의 사용 유무에 따라 다를 뿐 그 시공형태는 유사하다.
이러한 두 방식은 모두 케이블 또는 케이블 관로, 중간 접속지점이나 선로가 꺾이는 지점에 사용되는 맨홀은 지하에 매설되고 변압기와 개폐기는 지상에 설치하며 이 기기들이 설치되는 지점에서만 케이블을 지상으로 인출하여 기기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중배전선로 시공함에 있어서는 직매식 및 관로식은 변압기와 개폐기를 지상에 설치하기 위한 기기로 인해 본래의 지중배전선로의 목적에 반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즉, 가공배전선로에 대한 지지물이 갖는 문제점과 마찬가지로 시공상의 공간문제(사유지 인근의 경우 민원에 따른 설치 곤란), 주위 미관저해, 안전상의 위험(기기에서 발생되는 열 또는 폭발로 인한 보행자 위험 및 우천시 감전사고의 위험), 차량이나 보행자와의 충돌위험 등의 많은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도 2는 지하매입형 변압기로서 SIDT를 설치한 맨홀 내부를 도시한 사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의 SIDT와 지상 분전함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국내에서는 상술한 위험도에 따른 문제가 심각한 지역에는 지하매입형 고체절연변압기(SIDT) 형태로 지중 변압기를 맨홀 내에 매설하고 있다. 최근 안전상 등의 이유로 택지지구 및 지중화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의 SIDT 설치 요구는 증가되고 있다.
그런데, SIDT는 높은 습도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어, 맨홀 내에 매설이 가능하지만, 분전함의 경우 높은 습도의 환경에서는 접점에 불량이 발생될 수 있는 바, 종래의 경우와 같이 지상 또는 반매립으로 설치하고 있다.
반면, 이와 같은 맨홀 내 SIDT 배치, 지상 분전함의 구조는, SIDT 고장 복구 시 장시간이 소요되어, 이에 따른 신속복구 대책방안이 필요하다.
게다가, 분전함 미 설치 시, 2차 저압고장이 광역정전으로 확대되므로, 지상 분전함을 설치하였으나, 지상 설치에 따른 민원과 변압기와의 장경간으로 고장 시 변압기 보호가 불가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즉, 공간부족으로 SIDT를 설치하였으나 지상에 다시 분전함 설치하여, 지상변압기와 동일한 민원이 발생하며, 지중의 SIDT와 지상분전함 간의 거리가 장경간으로 구간내 고장시 변압기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민원 해소를 위해 분전함을 설치하지 않고 지중 변압기만 사용하는 경우, 2차 저압고장이 광역정전으로 확대 가능하고, 고장시 한류퓨즈(FR CL Fuse)의 교체가 어려워 정전복구 장기화가 우려된다. 이는 사선교체 필요한데, 지하 설치로 퓨즈 동작상태 확인 및 교체 어려움에 기인한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08-0043958호 : 지중용 변압기
본 발명은 완전 지하 매입형 변압기와 함께 지하에 매입되어 사용될 수 있는 분전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방수 본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지중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 및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는, 전류 이상을 감지해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차단하는 과전류 보호 차단기;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 및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의 지락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지락 판정 계전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락 판정 계전기는, 상기 과전류 보호 차단기 선로의 측정값들로부터 지락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는, 열 펌프 방식으로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전기식 제습 장치; 및 상기 전기식 제습 장치에 의해 획득된 집수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내부 집수 배출 장치; 상기 방수 본체의 습도를 측정한 값을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표시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는, 분전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흡습시 색이 변화하는 입자들로서 흡습제를 구비하는 흡습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은, 지중 전력 설비들을 배치하기 위한 맨홀 내부 공간에 설치된 지하매입형 변압기; 및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방수 본체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서 다수개의 선로들이 재분기되며, 재분기된 각 선로에는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이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을 실시하면, 지하 매입형 변압기와 함께 지하에 매입되어 사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지상분전함 설치에 대한 분쟁, 특히, 사유지 점용이나 민원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협소구간에 지상분전함 설치에 따른 공간 문제를 해소하고,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상분전함 설치 + 관로 신설 + 저압선 신설의 기존 방식에서 불필요한 공사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지상 변압기 및 이와 함께 설치된 지상 분전함을 도시한 사진.
도 2는 지하매입형 변압기로서 SIDT를 설치한 맨홀 내부를 도시한 사진.
도 3은 종래기술의 SIDT와 지상 분전함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재폐로 동작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에 구비될 수 있는 재폐로 타입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 외부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과 SIDT로 구성된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연결을 위한 맨홀 내부의 변압기 분기를 도시한 사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방수 본체(110);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지중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 및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본체(110)는, 금속 등 단단한 재질의 박스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 및 상기 습기 정도를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투명 아크릴 등 재질의 투명창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방수 본체(110)는 상기 지중 변압기 측 선로들 및 상기 부하측 선로들이 통과하는 선로 관통 홀을 8개(각 3상 및 중성선) 구비하는데, 상기 관통 홀들도 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씰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는 상기 배전함에 연결된 선로에 사고로서 과전류나 지락/단락 등을 감지하면,상기 선로를 차단하여 사고를 방지하고, 사고 상황이 해제되면 자동으로 재폐로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는 전력 분야에서 기 공지된 다양한 기술들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의 주요 특성으로서, 변압기의 2차측 선로에 일정전류(최소단락전류) 이상이 흐를시 1회 재폐로를 수행하며, 실패시 개방(한류휴즈 동작전 개방)한다. 또한, 보호장치 동작(성공)시에 동작유무를 분전함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는, 전류 이상을 감지해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차단하는 과전류 보호 차단기(142);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144); 및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의 지락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 스위치(144)를 조작하는 지락 판정 계전기(14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재폐로 동작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구조를 가지는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는, 도 5의 개념도 상의 절차에 따른 재폐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한 상기 지락 판정 계전기(146)는, 상기 과전류 보호 차단기(142) 선로의 측정값들로부터 지락 여부를 판정하며, 이를 위해, 상기 과전류 보호 차단기(142) 선로의 전압값을 직접 입력받아 측정하고, 전류값은 상기 과전류 보호 차단기(142) 선로에 설치된 CT들로부터 입력받는다.
도시한 상기 지락 판정 계전기(146)는, 예컨대, 지락 사고일 때의 영상 전류에 의해 지락 전류를 검출하여 차단기를 개방시켜 선로를 차단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OCGR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한 상기 지락 판정 계전기(146)는, 지락 판정 결과에 따라, 지락 상황에서는 상기 개폐 스위치(144)를 off시키고, 지락 상황이 해제되면 상기 개폐 스위치(144)를 on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에 구비될 수 있는 재폐로 보호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한 타입의 재폐로 보호장치는, 내장형 CT와 동작식별용 로드, 동작릴레이가 로드형 스위치 형태로 통합된 제품을 적용한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재폐로 보호장치를 적용한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경우, 보다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만, 분전함 외부에서 상기 동작식별용 로드로 재폐로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방수 본체에는 투명창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180)는,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규모에 따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컨대, 규모가 큰 분전함의 경우,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능동적으로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 구현하고, 규모가 작은 분전함의 경우, 흡습 호흡기와 유사한 방식으로 실리카 겔 등 흡습제를 이용하여 습기를 제거하는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180)는, 열 펌프 방식으로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전기식 제습 장치; 상기 전기식 제습 장치에 의해 획득된 집수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내부 집수 배출 장치; 및 상기 방수 본체의 습도를 측정한 값을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표시하는 습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기식 제습 장치는 냉매를 이용한 압축 구동식 제습 장치 또는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제습 장치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180)는, 분전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흡습시 색이 변화하는도록 염화코발트 등이 혼합된 실리카겔 입자들로서 흡습제를 구비하는 흡습 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실리카겔 입자들인 흡습제를 구비하는 흡습 장치는, 분전함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과, 습기를 어느정도 흡수한 흡습제의 색상 변화로 내부 습도 정도를 표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 외부창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의 경우의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투명창을 이용하지 않고, 외부에 마련된 별도의 LED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 및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시각적으로 분전함 외부로 표현한다.
다음, 도 4의 지하매입형 분전함과 지하매입형 변압기로 이루어지는 지하매입형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과 SIDT로 구성된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개요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연결을 위한 맨홀 내부의 변압기 분기를 도시한 사진이다.
상기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은, 지중 전력 설비들을 배치하기 위한 맨홀 내부 공간에 설치된 지하매입형 변압기; 및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된 방수 본체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을 포함할 수 있다.
맨홀 내부의 다습 환경의 특성상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밀폐된 구성으로 제안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반적인 분전함으로서 배전 선로를 추가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은, 지하매입형 분전함은 하나의 배전 선로만을 담당하며,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으로서 도 9에 도시한 변압기 분기에서 다수개의 선로들이 재분기되는 구조로 구현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재분기된 각 선로에는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이 하나씩 연결된다.
이는 선로 분기 구조에 대한 씰링(밀폐)는 보다 용이하면서도, 선로 분기 구조는 다습 환경에 취약하지 않아,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의 방수 본체 외부에 배치하는 것이, 작업 편의성 및 확장성에서 유리함을 반영한 것이다.
상술한 지하매입형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은, SIDT 2차 측 맨홀 내 전용 분전함을 설치한 구조로서, SIDT 2차측 근거리에 분전함을 설치하여 지상분전함설치에 따른 공간문제를 해소하고, 각종 공사비를 경감하며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구체화된 설명에서는 전력 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은 산불이 도달할 수 있는 야외에 설치된 토목 구조물 등 다른 설비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10 : 방수 본체
142 : 과전류 보호 차단기
144 : 개폐 스위치
146 : 지락 판정 계전기
180 : 습기 제거/표시 장치

Claims (7)

  1.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며 투명창이 형성된 방수 본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지중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 및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
    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폐로 보호장치는,
    전류 이상을 감지해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차단하는 과전류 보호 차단기;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를 개폐하는 개폐 스위치; 및
    상기 지중 변압기로부터 상기 부하측으로의 선로의 지락을 감지하여 상기 개폐 스위치를 조작하는 지락 판정 계전기
    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락 판정 계전기는,
    상기 과전류 보호 차단기 선로의 측정값들로부터 지락 여부를 판정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는,
    열 펌프 방식으로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전기식 제습 장치; 및
    상기 전기식 제습 장치에 의해 획득된 집수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배출하는 내부 집수 배출 장치;
    상기 방수 본체의 습도를 측정한 값을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표시하는 습도 센서
    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기 제거/표시 장치는,
    분전함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관찰될 수 있으며 흡습시 색이 변화하는 입자들로서 흡습제를 구비하는 흡습 장치인 지하매입형 분전함.
  6. 지중 전력 설비들을 배치하기 위한 맨홀 내부 공간에 설치된 지하매입형 변압기; 및
    외부의 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밀폐되며 투명창이 형성된 방수 본체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며, 일단에 상기 변압기로부터의 선로가 연결되고, 타단에 부하측 선로가 연결되며, 각 차단 소자의 투입/개방 상태가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관찰되는 재폐로 보호장치와,
    상기 방수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상기 방수 본체 내부의 습기 정도를 상기 방수 본체 외부로 상기 투명창을 통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습기 제거/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지하매입형 분전함
    을 포함하는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압기의 출력단에서 다수개의 선로들이 재분기되며,
    재분기된 각 선로에는 상기 지하매입형 분전함이 하나씩 연결되는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KR1020210180776A 2021-12-16 2021-12-16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KR102631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76A KR102631029B1 (ko) 2021-12-16 2021-12-16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0776A KR102631029B1 (ko) 2021-12-16 2021-12-16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59A KR20230091559A (ko) 2023-06-23
KR102631029B1 true KR102631029B1 (ko) 2024-01-31

Family

ID=86993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0776A KR102631029B1 (ko) 2021-12-16 2021-12-16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40B1 (ko) 2011-02-22 2011-06-08 (주)서전기전 전자 절전식 복합형 절연성능 유지장치
JP2016013513A (ja) 2014-07-01 2016-01-28 ピアテック有限会社 調湿プレート
KR101753837B1 (ko) 2016-07-06 2017-07-04 이인석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3958A (ko) 2006-11-15 2008-05-20 풍산전기 주식회사 지중용 변압기
KR101813673B1 (ko) * 2015-11-27 2018-01-02 주식회사 나은에너지 단락전류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 장치, 분전반 및 케이블 릴 장치
KR102277042B1 (ko) * 2019-10-14 2021-07-14 한국전력공사 지하 매립형 이중전원 저압 분전함 및 이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340B1 (ko) 2011-02-22 2011-06-08 (주)서전기전 전자 절전식 복합형 절연성능 유지장치
JP2016013513A (ja) 2014-07-01 2016-01-28 ピアテック有限会社 調湿プレート
KR101753837B1 (ko) 2016-07-06 2017-07-04 이인석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1559A (ko) 2023-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141957C (en) Open pen detection and shut down system
CA2888516C (en) Transmission station for feeding in electrical energy, and wind farm comprising such transmission station
US9136077B2 (en) Three-phase, multi-way vacuum interrupter switchgear with internal ground switches
KR102631029B1 (ko) 지하매입형 분전함 및 전력 설비용 맨홀 시스템
CA2920239C (en) Improved outdoor enclosure for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ES2964015T3 (es) Torre para línea aérea de transmisión eléctrica de alta tensión, equipada con aparamenta y sistema de protección, control y mando asociado
CN106549329B (zh) 双密封全工况户外金属封闭开关设备
KR101487901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검출 기술이 적용된 장치
Renaud 220 kV gas-insulated transmission line-Palexpo Geneva Switzerland
CN209329686U (zh) 一种区分站内故障和线路故障的继电保护装置
KR102488644B1 (ko) 지중 매설형 변압기, 개폐기 및 그의 설치 기초 구조물
KR100902925B1 (ko) 송 변전설비의 가스절연개폐장치용 가스밸브 오 조작감지장치
EP1321951A1 (en) Compact measurement apparatus for the protection of medium-voltage line
KR102535684B1 (ko)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전신주의 낙뢰 방지 장치
EP2120307A1 (en) The ecological transformation center
Beltran ITER Electrical Design Handbook. Earthing and Lightning Protection
JP6450037B1 (ja) 受配電設備システムにおける高圧ケーブル地絡検出遮断回路
RU2170485C1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секционирования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CN208986394U (zh) 一种防水防尘的交流高压开关柜
CN205489068U (zh) 一种带智能报障装置的环网柜
Mustajärvi Standard design criteria for electrical substations
KR20230087009A (ko) 감전사고 방지기능을 갖는 배전반
KR200226060Y1 (ko) 유입패키지 수전설비
KR100336267B1 (ko) 다단형 적층구조를 갖는 수전형 변압기 및 설치방법
Galvin Wiring rules 2018-part 2-section 2: Avoiding future sh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