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214B1 -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214B1
KR102630214B1 KR1020230050713A KR20230050713A KR102630214B1 KR 102630214 B1 KR102630214 B1 KR 102630214B1 KR 1020230050713 A KR1020230050713 A KR 1020230050713A KR 20230050713 A KR20230050713 A KR 20230050713A KR 102630214 B1 KR102630214 B1 KR 1026302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erformance
video
emoticon
performance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319A (ko
Inventor
김재봉
Original Assignee
미디어락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디어락시스템(주) filed Critical 미디어락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23005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2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2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02Specific input/output arrangements not covered by G06F3/01 - G06F3/16
    • G06F3/005Input arrangements through a video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4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 H04N21/2143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located in a single building, e.g. hotel, hospital or muse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관람객이 해당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그룹을 서버로부터 응원 단말기로 전송하여 다운 받도록 하고, 응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모티콘 정보를 수신 및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여 비대면 공연의 현장 참여감 내지 생동감을 극대화하여 공연의 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Method of operating performance server for non-face to face reactive performance}
본 문서는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연자의 영상을 다수의 관람객에 제공하고, 관람객은 해당 공연에 참여하여 공연자에게 반응을 제공하는 양방향 공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팬데믹(Pandemic, 대유행)으로 인해 사람들 간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확산되고 언컨택트 사회가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콘서트, 리사이틀, 강연, 연극, 뮤지컬 등의 공연들이 실제 공연장에 관객이 군집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공연자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관객의 영상 단말기로 제공하고 관람객(시청자)은 자택 등에서 자신의 모습 및 표정을 공연자측의 영상 단말기에 제공하여 공연자가 관람객의 반응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언택트 라이브 공연이 실현되고 있다. 현재 각 방송국에서 비대면 공연 온라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전세계 관람객과 엔터테인먼트 공연자가 영상을 통해 만남이 이루어지고 있다. 즉,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영상 단말기에 접속된 관람객의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도록 레이아웃 되고, 관람객은 현장에서 응원 푯말 내지 응원 도구를 공연자에게 보여 주어 공연의 흥을 돋구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비대면 관람객은 실제 공연장에서 관람할 때 보다 관람객의 감동이 적극적으로 표출되기 어려우며, 공연자도 디스플레이의 해상도 및 레이아웃의 한계로 인해, 관람객의 반응을 생동감 있게 확인하면서 공연하기가 어려워 양질의 공연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람객은 별도의 발광 응원봉을 가지고 관람 현장의 감동을 공연자에 최대한 전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응원봉을 활용하는 경우에도 공연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언컨택트(Uncontact) 공연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관람객의 공연 참여도 및 흥미를 극대화시키고, 공연자의 사기를 진작시키는 기술이 도입될 필요가 있다.
한국특허공보(등록공보번호: 10-1797979, “분산형 무선 광학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동기 제어시스템”)는 광학적 디스플레이기능을 갖는 응원봉에 애니메이션 제어 패킷을 실시간으로 송신하여 응원봉에 다양한 애니메이션 영상을 효율적으로 재생 제어함을 제공하도록, 복수의 광학 디스플레이 기기에 애니메이션을 재생토록 제어하는 광학 디스플레이 제어시스템 기술이 공개가 되나, 관람객이 특정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박수 소리를 공연자에게 실시간으로 생동감 있게 제공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관람객이 특정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박수 소리를 공연자에게 실시간으로 생동감을 제공하는 공연서버 운영 방법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상에 따른,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은,
공연 관람이 신청되는 단계(S100),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그룹을 관람객 주변에 구비된 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200) 및
응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모티콘 정보를 수신하고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생동감 있는 공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라인 공연의 한계를 극복하여 라이브 공연의 생동감을 극대화시키고 공연자의 사기를 진작시켜 공연자가 양질의 무대 공연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관람객도 자신의 감정을 전달하여 공연 참여도를 높일 수 있고 공연 서비스의 질을 높여 비대면 공연을 더욱 대중화하고 수익화를 활성화하여 컨텐츠 산업을 발전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이모티콘 그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그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이모티콘의 위치 재배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이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발명의 양상들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선택적으로 기재된 양상이나 선택적으로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들은 비록 도면에서 단일의 통합된 구성으로 도시되었다 하더라도 달리 기재가 없는 한 당업자에게 기술적으로 모순인 것이 명백하지 않다면 상호간에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 운영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연서버 운영 시스템(1000)은 공연서버(100), 응원 단말기(200), 인터페이스 단말기(300), 영상 단말기(400), 스피커(500), 박수 요청 단말기(60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연서버(100)는 관람객의 공연 관람 신청 및 결제가 이루어지고, 응원 단말기(200), 영상 단말기(400), 스피커(500)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단말기(400)로부터 이모티콘(Emoticon) 정보 및 박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연서버(100)는 클라우드 서버로 구성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DB)가 포함되어 다수의 이모티콘이 저장될 수 있다. 공연서버(100)는 영상 오버랩 처리부(도시 안됨)가 구비되어 이모티콘을 영상에 오버랩하여 영상 단말기(400)에 송출할 수 있다. 이모티콘(Emoticon)은 이모션(Emotion)과 아이콘(Icon)의 합성어로써 감정이나 느낌을 표현하기 위한 컴퓨터 디자인 아이콘을 의미한다.
응원 단말기(200)는 공연서버(100)로부터 해당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그룹을 수신 받아 이모티콘 그룹을 표시할 수 있다. 응원 단말기(200)는 표시부와 입력부를 포함하며, 카메라(도시 안됨)가 별도로 구비되어 관람객의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 데이터를 공연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이와는 별도로 이모티콘 정보 또는 박수 신호를 공연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응원 단말기(200)는 스마트폰, 태블릿, 노트북, PC를 포함할 수 있고 공연 시청에 특화되어 제작된 단말기일 수도 있다. 따라서 관람객은 터치, 마우스 클릭, 키보드 입력을 통해 특정 이모티콘을 선택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단말기(300)는 응원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예, 블루투스)을 통해 응원 단말기(2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람객은 응원 단말기(200)에 직접 터치 입력, 마우스 클릭, 키보드 조작을 하지 않아도 인터페이스 단말기(300)의 키패드 버튼을 단축키로 활용을 하여 손쉽게 응원 단말기(200)가 이모티콘 정보 또는 박수 신호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단말기(300)는 응원 단말기(200)의 동작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 단말기(400)는 공연자 주변에 구비되어 공연서버(100)를 통해 관람객의 영상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영상 단말기(400)는 다수의 관람객의 ID에 따라 배치 위치가 결정되고 다수의 영상으로 분할되어 동시에 표시 출력할 수 있다. 표시 출력되는 분할 영상은 수백개일 수 있다. 영상 단말기(400)는 응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모티콘(E)을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Overlap)하여 표시할 수 있다. 관람객 영상은 관람객의 형체 뿐만 아니라, 배경 영상도 포함되는 의미일 수 있다.
스피커(500)는 영상 단말기(400) 주변에 구비되어 공연자에게 영상에 매칭되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500)는 공연서버(100)로부터 박수 신호를 수신하여 공연서버(100)에 미리 저장된 박수 음향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공연서버(100)는 박수 신호를 응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박수 소리가 출력되는 동안 영상 단말기(400)는 박수 이모티콘(C)을 더 표시할 수 있다. 박수 이모티콘은 응원 단말기(200)로부터 공연서버(100)를 거쳐 영상 단말기(400)로 전송될 수 있다.
박수 요청 단말기(600)는 공연서버(100)를 통해 응원 단말기(200)에 박수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박수 요청 단말기(600)는 공연 기획자에 의해 사용되고, 공연 기획자는 해당 공연의 컨텐츠에 따라 적절한 시점에 박수 요청 신호를 공연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연서버(100)를 통해 박수 요청 신호를 수신한 응원 단말기(200) 또는 인터페이스 단말기(300)는 진동 또는 LED 발광, 박수 음향 등의 출력을 수행하여 관람객에게 박수 신호의 생성 시점을 알릴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다양한 이모티콘 그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공연서버는 다양한 이모티콘 그룹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A 이모티콘 그룹은 일반 가요 공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일반화 디자인되어 영상 단말기 및 더 나아가 응원 단말기에 표시될 수 있다. B 이모티콘 그룹은 국악 공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된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복을 입은 이모티콘, 쪽두리를 쓴 이모티콘, 연지/곤지를 바른 이모티콘 등으로 특화되어 디자인되어 있을 수 있다. C 이모티콘 그룹은 트로트 공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된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고, D 이모티콘 그룹은 강연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된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다. 뮤지컬 공연에서 사용되는 이모티콘은 해당 뮤지컬 소재에 매칭되는 이모티콘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뮤지컬 캣츠 공연의 경우 이모티콘을 고양이로 형상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해당 공연에 맞추어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되어 공연의 흥미를 더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 그룹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가요 공연에서 사용되는 A 이모티콘 그룹은 일반적인 이모티콘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이모티콘 그룹은 수십개의 이모티콘으로 구성되어 응원 단말기(200)에 일괄적으로 표시되고, 영상 단말기(400)에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모티콘은 애니매이션 효과가 가미되어 모션성을 가지도록 디자인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기립 박수 치거나 세배하는 이모티콘이 저장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서버 운영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언택트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여 운영될 수 있다.
공연 관람이 신청되는 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관람객은 해당 공연의 관람을 위해 사전에 공연서버에 접속해 신청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관람 신청 완료를 위해 결제 단계(S100-1)가 더 추가될 수 있다.
공연 관람 신청이 완료되면,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그룹을 관람객 주변에 구비된 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모티콘 그룹이 응원 단말기에 다운로드될 수 있다.
그 이후에, 응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모티콘 정보를 수신하고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오버랩 되는 위치는 다양할 수 있으며, 관람객의 얼굴에 오버랩 될 수 있다. 공연서버는 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관람객의 얼굴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이모티콘이 관람객의 얼굴에 오버랩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공연서버는 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관람객의 형체 위치를 확인하고 관람객의 형체 이외의 배경 영상에 해당 이모티콘이 오버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모티콘의 일부가 인접한 타 관람객의 영상 섹션에 크로싱(Crossing)되어 오버랩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모티콘은 소정의 시간(예, 3초) 동안 영상 단말기에 표시되고 그 이후에는 사라지도록 프로그램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가장 많은 수의 관람객이 전송하는 특정 이모티콘을 나머지 이모티콘에 우선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S300-1)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관람객 120명이 박수 이모티콘을 동시에 전송하고, 일부 관람객 100명이 하트 이모티콘, 일부 관람객 80명이 스마일 이모티콘을 동시에 전송한 경우, 공연서버는 박수 이모티콘이 하트 이모티콘, 스마일 이모티콘에 우선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공연서버는 가장 많은 수의 관람객수와 그 다음 많은 수의 관람객수 간에 문턱값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턱값이 50%로 지정된 경우, 위의 예에서 120개의 박수 이모티콘은 100개의 하트 이모티콘 보다 50% 이상 차이 나지 않으므로 영상 단말기에 박수 이모티콘, 하트 이모티콘, 스마일 이모티콘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만일 전송된 박수 이모티콘의 수가 200이고, 전송된 하트 이모티콘의 수가 100인 경우 공연서버는 박수 이모티콘이 나머지 이모티콘에 우선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체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단말기에 오버랩 되어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위치는 응원 단말기의 이모티콘 위치 이동 동작에 의해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람객이 터치 드래그, 마우스 드래그를 통해 이모티콘의 위치가 재배치될 수 있다. 공연서버는 변경된 이모티콘의 위치를 분석하여 영상 단말기에 변경된 위치를 반영하여 재오버랩할 수 있다.
도 5는 이모티콘의 위치 재배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응원 단말기(200)에 표시된 이모티콘(E)이 실제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된 영상(도 5의 (a))에서 관람객이 터치 입력 또는 마우스 입력을 통해 이모티콘(E)이 관람객의 얼굴로 이동(도 5의 (b))되면, 영상 단말기(400)에 표시된 이모티콘(도 5의 (c))이 연동되어 관람객의 얼굴로 이동될 수 있다(도 5의 (d)). 이와 같이 관람객이 영상 단말기에 표시되는 이모티콘의 위치를 응원 단말기를 통해 조절할 수 있음으로 인해 관람객의 참여도를 높이고 응원의 재미가 더 해질 수 있다.
운영서버는 응원 단말기로부터 문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영상 단말기는 채팅창(Chatting window)이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관람객의 응원 메시지가 영상 단말기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은, 공연 매니저 주변에 구비된 박수 단말기로부터 박수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S400) 및,
응원 단말기로부터 박수 신호를 수신하여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스피커에 전송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박수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는 공연서버로부터 박수 신호를 수신하여 공연서버에 미리 저장된 박수 음향 파일을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미리 저장된 박수 음향 파일을 실행하고, 다수의 관람객의 실제 박수 소리를 직접 음향 출력하지 않는 이유는, 온라인 전송 과정에서 거리에 따른 시간차로 인해 하울링(Howling) 현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박수 신호의 수에 비례하여 박수 소리의 크기가 증가하여 음향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동안에, 10개의 응원 단말기로부터 10개의 박수 신호를 수신한 경우 보다 20개의 응원 단말기로부터 20개의 박수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 박수 음향이 2배 더 크도록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박수 소리가 출력되는 동안 박수 이모티콘이 더 오버랩되도록 하는 단계(S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박수 이모티콘은, 공연서버가 응원 단말기로부터 해당 박수 이모티콘 정보를 수신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표시하게 할 수도 있고, 공연서버가 응원 단말기로부터 박수 신호만을 수신하고 미리 지정된 박수 이모티콘을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오버랩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응원 단말기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를 구비하고 있고 관람객의 영상 또는 소리를 감지하여 해당 정보를 공연서버로 전송하면, 공연서버는 해당 정보에 매칭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즉, 공연서버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가 구비된 응원 단말기로부터 영상 또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정보에 매칭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람객이 박수칠 경우, 공연서버는 카메라가 구비된 응원 단말기로부터 박수 영상를 수신하여 공연서버에 저장된 박수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람객은 일일이 응원 단말기에 입력을 할 필요가 없으며, 관람객의 작은 액션으로도 큰 액션의 이모티콘이 영상 단말기에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모티콘이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단말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박수 이모티콘, 하트 이모티콘, 엄지척 이모티콘 등이 관람객의 실제 영상에 오버랩되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1000 : 공연서버 운영 시스템
100 : 공연서버
200 : 응원 단말기
300 : 인터페이스 단말기
400 : 영상 단말기
500 : 스피커
600 : 박수 요청 단말기
E : 이모티콘
C : 박수 이모티콘

Claims (3)

  1.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에 있어서,
    공연서버에 공연 관람이 신청되는 단계;
    공연서버가 공연에 매칭되는 이모티콘 그룹을 관람객 주변에 구비된 응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공연서버가 응원 단말기로부터 선택된 특정 이모티콘 정보를 수신하고 공연자 주변에 구비된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상기 특정 이모티콘이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영상 단말기 주변에 구비되어 음량을 출력하는 스피커가 공연자에게 영상에 매칭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응원 단말기는 카메라가 구비되고, 응원 단말기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영상 정보에 매칭되는 이모티콘을 선택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고, 공연서버는 응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확인된 관람객의 형체 위치에 기반하여 상기 특정 이모티콘이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이모티콘은 소정의 시간 동안 영상 단말기에 표시되고 그 이후에는 사라지는 단계;를 포함하고,
    스피커는,
    공연서버로부터 박수 신호를 수신하여 공연서버에 저장된 박수 음향 파일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연서버 운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가장 많은 수의 관람객이 전송하는 특정 이모티콘을 나머지 이모티콘에 우선하여 영상 단말기에 전송하여 관람객 영상에 오버랩 되도록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연서버 운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박수 요청 단말기가 공연서버에 박수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응원 단말기 또는 인터페이스 단말기가 상기 공연서버로부터 박수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진동, LED 발광, 또는 박수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연서버 운영 방법.
KR1020230050713A 2021-03-29 2023-04-18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KR102630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713A KR102630214B1 (ko) 2021-03-29 2023-04-18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078A KR102526599B1 (ko) 2021-03-29 2021-03-29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KR1020230050713A KR102630214B1 (ko) 2021-03-29 2023-04-18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78A Division KR102526599B1 (ko) 2021-03-29 2021-03-29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319A KR20230057319A (ko) 2023-04-28
KR102630214B1 true KR102630214B1 (ko) 2024-01-29

Family

ID=8359720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78A KR102526599B1 (ko) 2021-03-29 2021-03-29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KR1020230050713A KR102630214B1 (ko) 2021-03-29 2023-04-18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078A KR102526599B1 (ko) 2021-03-29 2021-03-29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5265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982A (ja) 2001-07-30 2003-02-14 Wowow Inc Tv放送応援参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46982A (ja) 2001-07-30 2003-02-14 Wowow Inc Tv放送応援参加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4866A (ko) 2022-10-06
KR20230057319A (ko) 2023-04-28
KR102526599B1 (ko)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3336B (zh) 用于对视频进行选择性音频修改的方法和系统
US2012027216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virtual experiences
US20130151970A1 (en) System and Methods for Distributed Multimedia Production
KR20180022866A (ko) 스펙테이팅 시스템과 게임 시스템들 통합
CN112714334B (zh) 音乐礼物赠送方法及其装置、设备与介质
CN112533037B (zh) 连麦合唱作品的生成方法和显示设备
CN111343473B (zh) 直播应用的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2399264B (zh) 一种放映厅业务管理方法及应用
CN109391848A (zh) 一种互动广告系统
CN111800661A (zh) 直播间显示控制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038228B (zh) 虚拟礼物传输、请求方法及其装置、设备与介质
CN109788327B (zh) 多屏互动方法、装置及电子设备
KR102630214B1 (ko) 비대면 리액티브 공연을 위한 공연서버 운영 방법
CN106331525A (zh) 一种互动电影的实现方法
CN112533023B (zh) 连麦合唱作品的生成方法和显示设备
CN112399225B (zh) 放映厅业务管理方法及显示设备
CN113163220B (zh) 虚拟礼物定位展示方法及其装置、设备与介质
CN113661715B (zh) 放映厅业务管理方法、互动方法、显示设备及移动终端
CN114760520A (zh) 直播中小视频拍摄互动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026900B2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CN114143572B (zh) 直播交互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
WO2021052115A1 (zh) 演唱作品的生成方法、发布方法和显示设备
KR102514373B1 (ko) 노래방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19410A (ko) Vr 노래방 게임 서비스 제공 방법
Haaraoja Fundamentals of streaming: how to setup a virtual ev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