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857B1 - 의자용 좌판 - Google Patents

의자용 좌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857B1
KR102629857B1 KR1020230078620A KR20230078620A KR102629857B1 KR 102629857 B1 KR102629857 B1 KR 102629857B1 KR 1020230078620 A KR1020230078620 A KR 1020230078620A KR 20230078620 A KR20230078620 A KR 20230078620A KR 102629857 B1 KR102629857 B1 KR 102629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lide
movable
movable seat
external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8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퍼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퍼맥스
Priority to KR1020230078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47C7/14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with array of movable support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좌판부가 이동조작안내부에 의해 고정좌판부의 수용공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함으로써, 착석감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용 좌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의자용 좌판은 전방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고정좌판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좌판부 및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안내하고, 외력에 의한 조작이 제거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도록 안내하는 이동조작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의자용 좌판{SEAT FOR CHAIR}
본 발명은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좌판부가 이동조작안내부에 의해 고정좌판부의 수용공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함으로써, 착석감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용 좌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사용 용도 또는 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등 부분이 닿는 부분을 통기공이 형성되는 천, 직물 등의 시트를 이용하여 통풍을 원활하게 하고 유연한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고, 미감도 우수한 메쉬형 의자도 근래 그 이용 추세가 증가되고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안하고 안락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탄성 구조가 결합된 의자도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의자는 바닥에 놓여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부와, 다리부에 지지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받쳐주는 좌석프레임과, 좌석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어 엉덩이에 쿠션을 제공하는 좌셕시트판, 좌석프레임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좌석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어 팔을 받쳐주는 팔걸이부를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에 의한 의자의 좌판은 그 길이가 가변될 수 없도록 고정형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착석자의 신체 조건에 각각 대응할 수 없어 착석자의 자세가 불안정하거나 오금 부위에 압박을 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4393호(2005.02.22 등록, 발명의 명칭: 좌판 깊이 조절 구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이동좌판부가 이동조작안내부에 의해 고정좌판부의 수용공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위치로 전후 이동 가능함으로써, 착석감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의자용 좌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전방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고정좌판부와, 상기 수용공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좌판부 및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안내하고, 외력에 의한 조작이 제거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도록 안내하는 이동조작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조작안내부는 상기 고정좌판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좌판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 유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위치조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치조절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와,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조절홀부와, 상기 조절홀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는 걸림볼부와, 상기 걸림볼부가 상기 관통홀부와 연통하는 상기 조절홀부로 진입 가능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입가압블록 및 상기 조작레버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걸림볼부가 상기 조절홀부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진입가압블록에 형성되는 걸림해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레버는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안내부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복원안내부는 상기 조작레버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 및 상기 지지홈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이동좌판부에 타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좌판부에는 고정쿠션시트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좌판부에는 이동쿠션시트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좌판부는 전방으로 이동시 노출방지커버부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를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하고, 상기 노출방지커버부는 상기 고정좌판부와 상기 고정쿠션시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간부 및 상기 슬라이드공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좌판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이동좌판부가 이동조작안내부에 의해 고정좌판부의 수용공간부에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착석감 및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이동조작안내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이동조작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이동조작안내부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에서 이동조작안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자용 좌판은 고정좌판부(100), 이동좌판부(200) 및 이동조작안내부(300)를 포함한다.
고정좌판부(100)는 사용자가 착석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고정좌판부(100)의 전방에는 이동좌판부(200)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도록 수용공간부(10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좌판부(200)는 수용공간부(100a)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를 위해, 고정좌판부(100)에는 슬라이드홈부(110)가 형성되고, 이동좌판부(200)에는 슬라이드홈부(110)에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드축부(210)를 구비한다.
한편, 이동조작안내부(300)는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이동좌판부(200)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안내하고, 외력이 제거시 이동좌판부(200)의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이동조작안내부(300)는 고정좌판부(100)에 구비되는 하우징(310)과, 하우징(3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이동좌판부(200)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320)와, 슬라이드부재(320)에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330) 및 조작레버(330)의 이동 유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320)를 하우징(310)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위치조절고정부(340)를 포함한다.
즉, 조작레버(330)를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당기면 슬라이드부재(320)는 위치조절고정부(340)에 의해 하우징(310)에서 구속 해제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반대로, 조작레버(330)를 당긴 외력이 제거되면 슬라이드부재(320)는 위치조절고정부(340)에 의해 하우징(310)에 구속되어 슬라이드 이동이 제한되도록 위치 고정된다.
이때, 조작레버(330)는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안내부(35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이러한 복원안내부(350)는 조작레버(330)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351) 및 지지홈부(351)에 일단이 지지되고, 이동좌판부(200)에 타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352)를 포함한다.
또한, 위치조절고정부(340)는 슬라이드부재(320)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341)와, 관통홀부(341)에 연통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조절홀부(342)와, 조절홀부(342)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가능하도록 관통홀부(341)에 배치되는 걸림볼부(343)와, 걸림볼부(343)가 관통홀부(341)와 연통하는 조절홀부(342)로 진입 가능하게 가압되도록 조작레버(330)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입가압블록(344) 및 조작레버(343)가 슬라이드 이동시 걸림볼부(343)가 조절홀부(342)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진입가압블록(344)에 형성되는 걸림해제홈부(345)를 포함한다.
즉, 조작레버(330)가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 진입가압블록(344)은 걸림해제홈부(345)가 관통홀부(341)와 조절홀부(342)에 끼워진 걸림볼부(343)를 수용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조작레버(330)의 이동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림볼부(343)를 조절홀부(342)로부터 걸림 해제 가능한 상태로 전환한다.
여기서, 조작레버(330)가 외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된 채로 슬라이드부재(320)를 하우징(31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걸림볼부(343)는 슬라이드부재(320)의 이동을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이때, 걸림볼부(343)의 이동 과정에서 조절홀부(342)와 일치하도록 배치되면 조절홀부(342)에 수용되고, 조절홀부(342)의 사이에 배치되면 걸림해제홈부(345)에 수용된다.
아울러, 조작레버(3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외력이 제거되면 진입가압블록(344)은 조절홀부(342)에 걸림 가능하게 끼워진 걸림볼부(343)를 가압하도록 조작레버(330)의 이동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여 걸림볼부(343)를 조절홀부(342)에 걸린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로써, 조작레버(330)의 조작으로 이동좌판부(200)의 위치를 신체 조건에 부합하는 위치로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착석감 및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정좌판부(100)에는 고정쿠션시트(120)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좌판부(200)에는 이동쿠션시트(220)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동좌판부(200)는 전방으로 이동시 노출방지커버부(400)에 의해 고정좌판부(100)의 수용공간부(100a)을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할 수 있다.
이러한 노출방지커버부(400)는 고정좌판부(100)와 고정쿠션시트(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간부(410) 및 슬라이드공간부(4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이동좌판부(200)에 연결되는 슬라이드커버(420)를 포함한다.
즉, 이동좌판부(200)가 고정쿠션시트(120)의 수용공간부(100a)에 수용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되면 슬라이드커버(420)는 이동좌판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한 거리만큼 슬라이드공간부(410)에서 돌출되어 수용공간부(100a)를 차단한다.
이에 따라, 수용공간부(100a)에서 이동좌판부(20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이동좌판부(200)와 고정좌판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품들이 슬라이드커버(420)에 의해 노출 방지될 수 있으므로,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동좌판부(200)와 고정좌판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고정좌판부 110: 슬라이드홈부
120: 고정쿠션시트 200: 이동좌판부
210: 슬라이드축부 220: 이동쿠션시트
300: 이동조작안내부 310: 하우징
320: 슬라이드부재 330: 조작레버
340: 위치조절고정부 341: 관통홀부
342: 조절홀부 343: 걸림볼부
344: 진입가압블록 345: 걸림해제홈부
350: 복원안내부 351: 지지홈부
352: 탄성부재 400: 노출방지커버부
410: 슬라이드공간부 420: 슬라이드커버

Claims (5)

  1. 전방에 수용공간부가 형성된 고정좌판부;
    상기 수용공간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이동좌판부; 및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이 허용되도록 안내하고, 외력에 의한 조작이 제거시 상기 이동좌판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한하도록 안내하는 이동조작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조작안내부는 상기 고정좌판부에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좌판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조작레버 및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 유무에 따라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위치 조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위치조절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재에 관통 형성되는 관통홀부;
    상기 관통홀부에 연통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복수개가 설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조절홀부;
    상기 조절홀부 중 어느 하나에 걸림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부에 배치되는 걸림볼부;
    상기 걸림볼부가 상기 관통홀부와 연통하는 상기 조절홀부로 진입 가능하게 가압되도록 상기 조작레버에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진입가압블록; 및
    상기 조작레버가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걸림볼부가 상기 조절홀부로부터 걸림 해제되도록 상기 진입가압블록에 형성되는 걸림해제홈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는 외력에 의한 조작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면 복원안내부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원되고,
    상기 복원안내부는,
    상기 조작레버에 함몰 형성되는 지지홈부; 및
    상기 지지홈부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이동좌판부에 타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좌판부에는 고정쿠션시트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동좌판부에는 이동쿠션시트가 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좌판부는 전방으로 이동시 노출방지커버부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부를 노출 방지되도록 커버하고,
    상기 노출방지커버부는 상기 고정좌판부와 상기 고정쿠션시트의 사이에 형성되는 슬라이드공간부 및 상기 슬라이드공간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이동좌판부에 연결되는 슬라이드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용 좌판.
KR1020230078620A 2023-06-20 2023-06-20 의자용 좌판 KR102629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620A KR102629857B1 (ko) 2023-06-20 2023-06-20 의자용 좌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8620A KR102629857B1 (ko) 2023-06-20 2023-06-20 의자용 좌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9857B1 true KR102629857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8620A KR102629857B1 (ko) 2023-06-20 2023-06-20 의자용 좌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985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34U (ko) * 1993-03-30 1994-10-19 임종엽 휴대용 의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834U (ko) * 1993-03-30 1994-10-19 임종엽 휴대용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4069B2 (ja) シート
EP1192877B1 (en) A reclinable chair
WO2002032262A1 (fr) Chaise
KR200426959Y1 (ko) 의자 좌판의 길이 조절구조
KR102629857B1 (ko) 의자용 좌판
JP2011229896A (ja) 座る位置が調節される座板部の移動構造を有する椅子
US7147282B2 (en) Chair with backrest depth adjustment mechanism
KR102161119B1 (ko) 의자용 럼버 서포트 장치
JP4546769B2 (ja) テーブル付き椅子
JP6998167B2 (ja) 便器用手摺り
KR102074844B1 (ko) 안락성이 개선된 의자
KR102629859B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
CN117769374A (zh) 扶手结构
KR101753786B1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KR100743937B1 (ko) 가변 등받이형 의자
JP4640005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JP2017086369A (ja) 椅子
KR101802491B1 (ko) 의자
KR102341836B1 (ko) 전후방 이동부를 구비한 의자
KR20240071888A (ko) 등받이 높이조절 기능을 포함하는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의자 결합체
KR102376153B1 (ko) 좌판조절유닛을 포함하는 의자용 브라켓 어셈블리
JP6945407B2 (ja) 座及び椅子
KR20240071904A (ko) 위치 조절이 가능한 팔걸이가 구비된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결합체
KR20220159926A (ko) 팔걸이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하는 의자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결합체
JPH09294646A (ja) 可動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