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671B1 -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 Google Patents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671B1
KR102629671B1 KR1020217008354A KR20217008354A KR102629671B1 KR 102629671 B1 KR102629671 B1 KR 102629671B1 KR 1020217008354 A KR1020217008354 A KR 1020217008354A KR 20217008354 A KR20217008354 A KR 20217008354A KR 102629671 B1 KR102629671 B1 KR 102629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retaining member
arms
support element
elastic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8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5472A (ko
Inventor
이반 에르난데스
피에르 퀴쟁
Original Assignee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filed Critical 니바록스-파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1004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32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 G04B17/3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for fastening the hairspring onto the balan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7/00Mechanisms for stabilising frequency
    • G04B17/32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 G04B17/34Component parts or constructional details, e.g. collet, stud, virole or piton for fastening the hairspring onto the balance
    • G04B17/345Details of the spiral ro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rings (AREA)
  • Adornments (AREA)
  • Micro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요소 (3) 에 시계 구성요소 (2) 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1) 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지지 요소 (3) 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개구 (5)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개구 (5) 에서의 상기 지지 요소 (3) 의 탄성 클램핑을 보장하는데 기여하는 연결 구역들 (9) 사이에 규정된 강성 아암들 (6) 및 탄성 아암들 (7) 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은 상기 지지 요소 (3) 를 갖는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의 유일한 접촉 구역들 (8) 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본 발명은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및 지지 요소를 갖는 이러한 유닛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이러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오롤로지컬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이러한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탄성 클램핑에 의해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내 밸런스 스태프에 밸런스 스프링을 조립하는데 기여하는 오롤로지컬 콜렛과 같은 탄성 유지 부재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 유지 부재에는, 이러한 부재가 낮고 제한된 이러한 밸런스 샤프트에 대한 저항 토크를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이러한 어셈블리를 제조하는 범위 내에서, 복잡하고, 길고 그리고 값비싼 탑재 작업들을 부과하는 주요한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6-0045507호(2006.05.17.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지지 요소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의 어셈블리를 위한 탑재 작업들을 용이하게/단순하게 하기 위해 상당한 저항 토크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를 제안함으로써 앞서 언급된 단점들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극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탄성 유지 부재는 상기 지지 요소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는 상기 개구에서의 상기 지지 요소의 탄성 클램핑을 보장하는데 기여하는 연결 구역들 사이에 규정된 강성 아암들 및 탄성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은 상기 지지 요소와의 상기 탄성 유지 부재의 우일한 접촉 구역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 또는 상기 탄성 아암들은 각각 연결 구역들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러한 강성 아암들 및 이러한 탄성 아암들은 상기 유지 부재에서 연속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배열되고, 각 강성 아암은 각 탄성 아암을 구성하는 재료의 체적보다 큰 재료의 체적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들로 인해, 탄성 유지 부재는, 특히 내부 및 외부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강성 아암들을 구성하는 재료의 최종 체적 (또는 양) 에 의해 특히 유도된 이러한 탄성 유지 부재의 상당한 강성 덕분에, 이것이 탄성 클램핑을 허용하는 상당한 저항 토크를 회복시키기 위해 구속될 때, 많은 양의 탄성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상당한 체적의 재료는 이러한 유지 부재 내로의 지지 요소의 삽입 동안 하중 하에 (또는 응력 하에) 배치되는 접촉 구역들 내에 더 분명하게 포함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탄성 유지 부재는, 이러한 탄성 에너지의 저장이 규소와 같은 이러한 유지 부재를 구성하는 재료와 관련하여 허용가능한 응력 값들 내에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다른 실시형태들에서 다음과 같다:
-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시계 구성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 및 상기 지지 요소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를 규정하는 내부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외부 구조물 및 상기 내부 구조물을 상호연결하는 상기 강성 아암들 및 상기 탄성 아암들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은 상기 탄성 아암들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 탄성 유지 부재는 탄성 아암들 만큼 많은 강성 아암들을 포함한다.
- 각 강성 아암은 두 개의 대향 단부들에서 두 개의 상이한 탄성 아암들에 연결된다.
- 각 탄성 아암은 각 강성 아암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는다.
- 각 탄성 아암은 이 탄성 아암의 전체 본체에서 일정한 횡단면을 갖는다.
- 외부 구조물 및 내부 구조물은 각각 상기 유지 부재의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을 포함한다.
-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은 가변 갭에 따라 서로 분리된다.
- 상기 갭은, 이것이 강성 아암들에 포함되는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대 갭이다.
- 상기 갭은, 이것이 강성 아암들 내에 포함되는 내부 주변 벽 내에 규정된 접촉 구역들과 외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대 갭이다.
- 상기 갭은, 이것이 탄성 아암들 내에 포함되는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소 갭이다.
- 외부 및 내부 구조물들은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다.
- 탄성 유지 부재는 시계 구성요소와의 부착점을 포함한다.
- 탄성 유지 부재는 밸런스 스프링과 같은 시계 구성요소를 밸런스 스태프와 같은 지지 요소에 부착하기 위한 콜렛이다.
- 탄성 유지 부재는 규소계 재료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유지 부재를 포함하는 시계의 오롤로지컬 무브먼트를 위한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유리하게는, 유닛은 일 피이스이다.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지지 요소에 부착된 이러한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을 포함하는 시계의 오롤로지컬 무브먼트를 위한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 요소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의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 상기 유닛의 탄성 유지 부재의 개구 내로 지지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는 탄성 유지 부재의 탄성 아암들의 이중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탄성 유지 부재의 강성 아암들을 이동시키는 페이즈를 갖는 상기 탄성 유지 부재를 탄성 변형시키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요소를 삽입하는 단계, 및
- 상기 탄성 유지 부재의 상기 강성 아암들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 상에 저항 토크를 인가하는 서브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요소에 상기 유지 부재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이러한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오롤로지컬 무브먼트에 관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오롤로지컬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시계에 관한 것이다.
다른 특정 특징들 및 이점들이,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표시적이고 비한정적인 방식으로 하기에서 제공되는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나타날 것이다.
-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구속된 상태에 있는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의 단면도이고;
- 도 2 및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휴지 상태에 있는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의 사시도들이고;
-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요소에 부착된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갖는 오롤로지컬 무브먼트를 포함하는 시계를 도시하고; 그리고
- 도 5 는 지지 요소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의 이러한 어셈블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 은 지지 요소 (3) 에 시계 구성요소 (2) 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1) 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한 예로서, 탄성 유지 부재 (1) 는 밸런스 스프링과 같은 시계 구성요소 (2) 를 밸런스 스태프와 같은 지지 요소 (3) 에 부착하기 위한 콜렛일 수도 있다.
이러한 실시형태들에서, 이 유지 부재 (1) 는 시계 (100) 의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내에 배열되도록 제공되고 또한 도 4 에서 볼 수 있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닛 (120) 은 이른바 "취성" 재료, 바람직하게는 마이크로-기계가공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진 일 피이스일 수도 있다. 이러한 재료는 규소, 석영, 코런덤 (corundum) 또는 또한 세라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유닛의 변형예에서, 탄성 유지 부재 (1) 만이 이러한 이른바 "취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이후 시계 구성요소 (2) 는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유닛 (120) 은 예를 들어 탄성 클램핑에 의해 지지 요소 (3) 에 부착됨으로써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를 위한 어셈블리 (130) 의 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어셈블리 (130) 는 오롤로지컬 분야에서의 적용을 위해 발명되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항공공학, 보석, 또는 또한 자동차와 같은 다른 분야에서 완벽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유지 부재 (1) 는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 (P1, P2) 뿐만 아니라 외부 구조물 및 내부 구조물 (4a, 4b) 에 각각 포함되는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상부면 및 하부면 (12) 을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 구조물 및 내부 구조물 (4a, 4b) 은 각각 이 유지 부재 (1) 의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을 포함하고 상이한 형상들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구조물 (4a) 과 관련하여, 이는 볼록한 형상들을 갖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들 각각은 탄성 아암을 강성 아암 (6) 에 연결하는 연결 구역 (9) 내에 포함된다. 탄성 아암 (7) 및 강성 아암 (6) 은 각각 유지 부재 (1) 의 부분들을 상호연결하는 세장형 형상의 부분이다. 즉, 강성 아암 또는 탄성 아암은 두 개의 연결 구역들 (9)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들이 탄성 아암들 (7) 에 대해 말할 때, 부재 (1) 의 상호연결된 부분들은 강성 아암들 (6) 이며, 이 연결은 연결 구역들 (9) 에서 이루어진다. 유사하게, 본 발명자들이 강성 아암들 (6) 에 대해 말할 때, 부재 (1) 의 상호 연결된 부분들은 탄성 아암들 (7) 이며, 이 연결은 연결 구역들 (9) 에서 명백하게 이루어진다. 이 외부 구조물 (4a) 은 특히 유지 부재 (1) 의 외부 주변 벽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부착점 (11) 에 의해 시계 구성요소 (2) 에 연결되도록 의도된다. 내부 구조물 (4b) 과 관련하여, 이는 비삼각형 형상을 갖는다. 이 유지 부재 (1) 의 내부 주변 벽을 포함하는 이러한 내부 구조물 (4b) 은 지지 요소 (3) 가 삽입되도록 의도되는 이러한 유지 부재 (1) 의 개구 (5) 를 규정하는데 기여한다. 이 개구 (5) 는 여기에 배열되도록 제공되는 지지 요소 (3) 의 일 단부의 연결 부분의 체적보다 더 작은 유지 부재 (1) 의 체적을 규정한다. 이 연결 부분은 지지 요소 (3) 의 주변 벽 (13) 상에 규정되고 특히 강성 아암들 (6) 의 접촉 구역들 (8) 과 협력작동하기 위해 제공되는 부분들 (10) 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 (1) 는 외측 및 내측 구조물들 (4a, 4b) 을 상호연결하는 강성 아암들 (6) 과 탄성 아암들 (7) 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 (1) 는 탄성 아암들 (7) 만큼 많은 강성 아암들 (6) 을 포함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강성 아암들 (6) 은 여기에서 변형불가능하거나 거의 변형불가능하며, 유지 부재 (1) 를 보강하기 위한 요소들의 역할을 한다. 탄성 아암들 (7) 과 관련하여, 이들은 주로 장력 뿐만 아니라 비틀림 동안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강성 아암들 (6) 및 이러한 탄성 아암들 (7) 은 이러한 유지 부재 (1) 내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규정되거나 또한 분포된다. 즉, 이러한 강성 아암들 (6) 은 상기 탄성 아암들 (7) 에 의해 상호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 탄성 아암 (7) 은 두 개의 대향 단부들에서 연결 구역들 (9) 에서 두 개의 상이한 강성 아암들 (6) 과 연결된다. 이러한 강성 아암들 및 탄성 아암들 (6, 7) 은 비제한적인 그리고 비한정적인 방식으로 다음을 포함한다:
- 내부 구조물 (4b) 에 포함되고, 유지 부재 (1) 의 내부 주변 벽 및 이에 따라 또한 상기 유지 부재 (1) 의 개구 (5) 를 함께 규정하는데 기여하는 내면들, 및
- 외부 구조물 (4a) 에 포함되고, 이 유지 부재 (1) 의 외부 주변 벽을 함께 규정하는 외면들.
탄성 아암들 (7) 의 내면들은 본질적으로 평탄하고, 강성 아암들 (6) 의 내면들은 예를 들어 기복을 이룸으로써 평탄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각각의 강성 아암 (6) 의 내면은 적어도 하나의 접촉 구역 (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접촉 구역 (8) 은 둥글거나 볼록하거나 평탄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강성 아암 (6) 의 이러한 내면은 바람직하게는 평탄한 두 개의 접촉 구역들 (8) 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성 및 탄성 아암들 (6, 7) 은 그 점에 대해서 이러한 외부 및 내부 구조물들 (4a, 4b) 의 일부를 각각 포함함으로써 외부 및 내부 구조물들 (4a, 4b) 을 상호연결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 (1) 에서, 이러한 강성 아암 및 탄성 아암 (6, 7) 은 본질적으로 내부 구조물 (4b) 에 의해, 특히 이러한 유지 부재 (1) 의 내부 주변 벽에 의해 규정되는 이러한 유지 부재 (1) 내에 제공된 개구 (5) 에서 지지 요소 (3) 의 탄성 클램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강성 아암들 (6) 은 이러한 강성 아암들 (6) 의 내면들의 전부 또는 일부에 규정될 수도 있는 지지 요소 (3) 와 유지 부재 (1) 의 유일한 접촉 구역들 (8) 을 포함한다. 다르게는 "접촉 인터페이스" 라고 공지된 각 접촉 구역 (8) 은 지지 요소 (3) 의 연결 부분의 주변 벽 (13), 특히 지지 요소 (3) 의 이러한 주변 벽 (13) 에서 규정된 대응하는 부분과 협력작동하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지 부재 (1) 는 이후에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에서 시계 구성요소 (2), 예를 들어 밸런스 스프링의 정밀한 센터링을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세 개의 접촉 구역들 (8) 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 (1) 에서, 각 강성 아암 (6) 은 각 탄성 아암 (7) 을 구성하는 재료의 체적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거나 엄격하게 더 큰 재료의 체적을 갖는다. 재료가 많을수록 강성 아암들이 많아진다는 것이 분명하게 이해된다. 또한, 이 유지 부재 (1) 내의 아암의 탄성 또는 강성은 이 부재 (1) 의 접촉 구역들 (8) 에 대해 규정되고, 더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접촉 구역들 (8) 에 대한 힘의 인가 동안 이러한 강성 또는 탄성 아암들의 변형의 강도에 대해 규정되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외부 구조물 및 내부 구조물 (4a, 4b), 및 특히 내부 주변 벽 및 외부 주변 벽은 가변 거리 (E) 만큼 이 유지 부재 (1) 에서 서로 분리되며, 이는 이후에 이러한 구조물들이 예를 들어 강성 아암 (6) 또는 또한 탄성 아암 (7) 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변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이 갭 (E) 은 이것이 각 강성 아암 (6) 에 포함되는 내부 주변 벽 및 외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 규정될 때 최대 거리 (E1) 이고, 즉 이 강성 아암 (6) 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존재하는 최대 거리 (E1) 이다. 특히, 각 강성 아암 (6) 에 대해, 이 최대 갭 (E1) 은 이러한 강성 아암 (6) 의 외부 주변 벽의 일부와 내부 주변 벽의 내면 내에 포함된 각 접촉 구역 (8) 사이에서 규정된다. 게다가, 이러한 갭 (E) 은 이것이 탄성 아암들 (7) 내에 포함되는 내부 주변 벽 및 외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 규정될 때 최소 거리 (E2) 이고, 즉 이 탄성 아암 (7) 의 내면과 외면 사이에 존재하는 최소 거리 (E2) 이다.
따라서, 각 탄성 아암 (7) 은 각 강성 아암 (6) 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갖는다는 것이 이해된다. 즉, 각 탄성 아암 (7) 의 횡단면은 각 강성 아암 (6) 의 횡단면의 표면적보다 작은 표면적을 갖는다. 탄성 아암 (7) 의 횡단면은 이러한 탄성 아암 (7) 의 전체 본체에서 일정하거나 실질적으로 일정하지만, 강성 아암 (6) 의 횡단면은 이러한 강성 아암 (6) 의 전체 본체에서 일정하지 않거나/가변적이라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다:
- 각 강성 아암 (6) 의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이 강성 아암 (6) 의 본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솔리드 또는 부분 솔리드 섹션이고, 그리고
- 각 탄성 아암 (7) 의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이 탄성 아암 (7) 의 본체가 연장되는 길이 방향에 수직인 솔리드 또는 부분 솔리드 섹션이다.
이러한 강성 아암 및 탄성 아암 (6, 7) 의 구성은 유지 부재 (1) 가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들과 비교하여 동일한 클램핑에 대해 더 많은 양의 탄성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그런 다음, 유지 부재 (1) 에 저장된 탄성 에너지의 이러한 양은 이 지지 요소 (3) 를 갖는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의 어셈블리 (130) 에서 지지 요소 (3) 의 유지 부재의 더 큰 저항 토크를 얻을 수 있다. 즉, 유지 부재 (1) 내에 저장된 이러한 과잉의 탄성 에너지는 저항 토크를 증가시키고 최적의 탄성 클램핑을 허용한다. 또한, 이러한 유지 부재 (1) 의 구성은 종래 기술의 유지 부재들에 비해 6 내지 8 배 더 큰 탄성 에너지 비를 저장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마찬가지로 지지 요소 (3) 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간 구성요소 유닛 (120) 의 어셈블리 (130)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지지 요소 (3) 를 유지 부재 (1) 의 개구 (5) 내로 삽입하는 단계 (13) 를 포함한다. 이 단계 (13) 동안, 지지 요소의 단부는 이 개구 (5) 내에 규정된 체적 내로의 이러한 지지 요소 (3) 의 연결 부분의 도입을 예상하여 유지 부재 (1) 의 하부면 (12) 내에 규정된 개구 (5) 의 입구에 제공된다. 이 단계 (13) 는 지지 요소 (3) 의 연결 부분의 주변 벽 (13) 의 부분들 (10) 에 의해 강성 아암들 (6) 의 접촉 구역들 (8) 에 접촉력의 인가를 초래하는 상기 개구 (5) 를 포함하는 유지 부재 (1), 특히 이러한 유지 부재 (1) 의 중심 영역을 탄성 변형시키는 서브 단계 (14) 를 포함한다. 중심 구역의 이러한 탄성 변형은 실제로 유지 부재 (1) 의 하부면 (12) 의 변형을 발생시키며, 이는 이후에 특히 유지 부재 (1) 의 중심 영역 내에 포함된 이러한 면 (12) 의 일 부분에서 본질적으로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즉, 유지 부재 (1) 의 중심 구역이 변형될 때, 하부면 (12) 은 더 이상 평탄하지 않고, 이후에 더 이상 제 2 평면 (P2) 에 완전히 포함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 의 이러한 탄성 변형은 지지 요소 (3) 의 주변 벽 (13) 의 부분들 (10) 에 의해 강성 아암들 (6) 의 접촉 구역들 (8) 에 접촉력의 인가를 초래한다. 이러한 변형 서브 단계 (14) 는 그에 인가되는 접촉력의 작용 하에서 강성 아암들 (6) 을 이동시키는 페이즈 (15) 를 포함한다. 이러한 강성 아암들 (6) 의 이동은 지지 요소 (3) 및 유지 부재 (1) 에 공통인 중심축 (C) 에 대한 반경 방향 (B1) 과, 이 중심축 (C) 과 결합되는 방향 (B2) 사이에 포함된 방향에 따라 실행된다. 이 방향 (B2) 은 방향 (B1) 에 수직이고, 하부면 (12) 으로부터 상부면을 향해 규정된 방식으로 배향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접촉력은 바람직하게는 각 접촉 구역 (8) 에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수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페이즈 (12) 의 시퀀스 동안, 이러한 접촉력의 작용 하에서 이동하는 강성 아암들 (6) 은 탄성 아암들 (7) 의 이중 탄성 변형을 발생시킨다.
제 1 변형은 다르게는 이러한 탄성 아암들 (7) 의 "탄성 비틀림 변형" 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비틀림 변형 동안, 각 탄성 아암 (7) 은 이러한 단부들이 연결되는 무브먼트에서 강성 아암들 (6) 에 의해 동일한 회전 방향 (B4) 으로 그의 두 개의 단부들에서 구동된다. 이러한 탄성 아암들 (7) 의 본체의 일부, 여기서는 이러한 아암들 (7) 의 단부들만이 비틀림 변형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변형은 특히 지지 요소 (3) 와 조립되는 동안 유지 부재 (1) 의 임의의 균열 및/또는 이러한 부재 (1) 내의 임의의 크랙의 외관을 방지하는데 기여함으로써 유지 부재 (1) 의 개구 (5) 내로의 지지 요소 (3) 의 삽입을 개선시키는데 기여한다.
제 2 변형은 다르게는 이러한 탄성 아암들 (7) 의 "인장 (tensile) 변형" 또는 또한 "탄성 인장형 (elastic extension) 변형" 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인장형 변형 동안, 각 탄성 아암 (7) 은 이러한 단부들이 연결되는 무브먼트에서 강성 아암들 (6) 에 의해 대향하는 방식으로 종방향 (B3) 으로 그의 두 개의 단부들에서 당겨진다. 이러한 제 2 변형은 특히 유지 부재 (1) 가 많은 양의 탄성 에너지를 저장한다는 것을 기여한다.
이러한 탄성 아암들 (7) 의 이중 탄성 변형은 동시에 또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또는 또한 연속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변형 페이즈의 구현의 범위 내에서, 이러한 이중 탄성 변형이 연속적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실행될 때, 제 1 변형은 이후에 제 2 변형 전에 실행된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 방법은 이후에 지지 요소 (3) 에 유지 부재 (1) 를 부착하는 단계 (16) 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착 단계 (16) 는 지지 요소 (3) 상에서 유지 부재 (1) 의 반경방향 탄성 클램핑을 실행하는 서브 단계 (17) 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속 상태에서, 유지 부재 (1) 는 탄성 클램핑에 의해 특히 최적의 콜렛팅 (colleting) 을 허용하는 최종 저항 토크를 이에 제공하는 것을 돕는 많은 양의 탄성 에너지를 저장한다는 것이 이해된다.

Claims (23)

  1. 지지 요소 (3) 에 시계 구성요소 (2) 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1) 로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지지 요소 (3) 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개구 (5)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개구 (5) 에서의 상기 지지 요소 (3) 의 탄성 클램핑을 보장하는데 기여하는 연결 구역들 (9) 사이에 규정된 강성 아암들 (6) 및 탄성 아암들 (7) 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시계 구성요소 (2) 에 연결될 수 있는 외부 구조물 (4a) 및 상기 개구 (5) 를 규정하는 내부 구조물 (4b) 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및 상기 탄성 아암들 (7) 은 상기 외부 구조물 (4a) 및 상기 내부 구조물 (4b) 을 상호연결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은 상기 탄성 아암들 (7) 에 의해 상호연결되고, 상기 외부 구조물 (4a) 은 볼록한 형상들을 갖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육각형 형상을 갖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은 상기 지지 요소 (3) 와의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의 유일한 접촉 구역들 (8) 을 구비하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또는 상기 탄성 아암들 (7) 은 각각 연결 구역들 (9)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및 상기 탄성 아암들 (7) 은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내에 순차적으로 그리고 교대로 배열되고, 각 강성 아암 (6) 은 각 탄성 아암 (7) 을 구성하는 재료의 체적보다 큰 재료의 체적을 갖고,
    각 탄성 아암 (7) 은 이중 탄성 변형을 위해 상기 종방향 주위로 비틀어질 수 있고, 각 접촉 구역 (8) 은 각 탄성 아암 (7) 에 연결된 각 연결 구역 (9) 에 비하여 상기 지지 요소 (3) 를 향해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 요소 (3) 가 상기 개구 (5) 내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지지 요소 (3) 는 상기 강성 아암들 (6) 의 상기 접촉 구역들 (8) 에 접촉력을 인가하여 상기 강성 아암들 (6) 이 이동되고, 이동하는 상기 강성 아암들 (6) 은 상기 탄성 아암들 (7) 의 상기 이중 탄성 변형을 발생시키는, 탄성 유지 부재 (1).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탄성 아암들 (7) 만큼 많은 강성 아암들 (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4. 제 1 항에 있어서,
    각 강성 아암 (6) 은 그의 두 개의 대향 단부들에서 두 개의 상이한 탄성 아암들 (7)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5. 제 1 항에 있어서,
    각 탄성 아암 (7) 은 각 강성 아암 (6) 의 횡단면보다 작은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6. 제 1 항에 있어서,
    각 탄성 아암 (7) 은 이 탄성 아암 (7) 의 전체 본체에서 일정한 횡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물 및 상기 내부 구조물 (4a, 4b) 은 각각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의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변 벽 및 상기 내부 주변 벽은 가변 갭 (E) 에 따라 서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갭 (E) 은, 상기 강성 아암들 (6) 내에 포함되는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대 갭 (E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갭 (E) 은, 상기 강성 아암들 (6) 내에 포함되는 내부 주변 벽 내에 규정된 접촉 구역들 (8) 과 상기 외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대 갭 (E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갭 (E) 은, 상기 탄성 아암들 (7) 내에 포함되는 외부 주변 벽 및 내부 주변 벽의 부분들 사이에서 규정될 때, 최소 갭 (E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구조물 및 상기 내부 구조물 (4a, 4b) 은 상이한 형상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시계 구성요소 (2) 를 갖는 부착점 (11)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상기 시계 구성요소 (2) 를 지지 요소 (3) 에 고정하기 위한 콜렛 (collet)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는 규소계 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1).
  16. 제 1 항 및 제 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성 유지 부재 (1) 를 포함하는 시계 (100) 의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horological movement) 를 위한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 (120) 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18. 제 16 항에 따른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을 포함하는 시계 (100) 의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를 위한 어셈블리 (130) 로서,
    상기 유닛 (120) 은 지지 요소 (3) 에 부착되는, 어셈블리 (130).
  19. 제 18 항에 따른 지지 요소 (3) 를 갖는 탄성 유지 부재 - 시계 구성요소 유닛 (120) 의 어셈블리 (130) 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상기 유닛의 탄성 유지 부재 (1) 의 개구 (5) 내로 상기 지지 요소 (3) 를 삽입하는 단계 (13) 로서, 상기 단계 (13) 는 상기 지지 요소 (3) 에 의해 상기 강성 아암들 (6) 의 상기 접촉 구역들 (8) 에 접촉력을 인가하여 상기 탄성 유지 부재의 강성 아암들 (6) 을 이동시키고, 상기 강성 아암들 (6) 의 이동에 의해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의 탄성 아암들 (7) 의 이중 탄성 변형을 유도하는 페이즈 (15) 를 갖는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를 탄성 변형시키는 서브 단계 (14) 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요소 (3) 를 삽입하는 단계 (13), 및
    -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의 상기 강성 아암들 (6) 에 의해 상기 지지 요소 (3) 상에 저항 토크를 인가하는 서브 단계 (17) 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 요소 (3) 에 상기 탄성 유지 부재 (1) 를 부착하는 단계 (16)
    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 (130) 를 포함하는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21. 제 20 항에 따른 오롤로지컬 무브먼트 (110) 를 포함하는 시계 (100).
  22. 삭제
  23. 삭제
KR1020217008354A 2018-09-21 2019-08-28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KR102629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196016.2A EP3627236A1 (fr) 2018-09-21 2018-09-21 Organe de maintien élastiqu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horlogerie sur un élément de support
EP18196016.2 2018-09-21
PCT/EP2019/072968 WO2020057919A1 (fr) 2018-09-21 2019-08-28 Organe de maintien elastiqu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horlogerie sur un element de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5472A KR20210045472A (ko) 2021-04-26
KR102629671B1 true KR102629671B1 (ko) 2024-01-25

Family

ID=63678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8354A KR102629671B1 (ko) 2018-09-21 2019-08-28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075318A1 (ko)
EP (2) EP3627236A1 (ko)
JP (1) JP7353370B2 (ko)
KR (1) KR102629671B1 (ko)
CN (1) CN112740116B (ko)
WO (1) WO202005791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7813A (ja) 2006-05-17 2009-10-29 パテック, フィリップ ソシエテ アノニム 時計ムーブメントのひげぜんまい−ひげ玉組立体
JP2013234901A (ja) * 2012-05-08 2013-11-21 Seiko Instruments Inc ひげ玉、てんぷおよび時計
WO2017163148A1 (fr) 2016-03-23 2017-09-28 Patek Philippe Sa Geneve Oscillateur balancier-spiral pour piece d'horlogerie
JP2018063250A (ja) * 2016-10-13 2018-04-19 ニヴァロックス−ファ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弾性ワッシャによる固定用のひげぜんま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21720T1 (de) 2004-04-06 2009-02-15 Nivarox Sa Spiralrolle ohne deformation des fixierungsradius der spiralfeder und herstellungsverfahren derartige spiralrolle
CH698794B1 (fr) * 2006-02-24 2009-10-30 Patek Philippe Sa Organe de maintien élastique pour l'horlogerie.
ATE534940T1 (de) * 2009-02-13 2011-12-15 Patek Philippe Sa Geneve Uhrwerksbestandteil
EP2550566B1 (fr) * 2010-03-25 2019-11-06 Rolex S.A. Virole fendue à ouverture non circulaire
CH702931A2 (fr) * 2010-04-01 2011-10-14 Patek Philippe Sa Geneve Ancre d'échappement montée élastiquement.
EP4224257A1 (fr) * 2011-09-29 2023-08-09 Rolex Sa Ensemble monolithique ressort spiral - virole
CH707288B1 (fr) * 2012-11-22 2017-07-31 Mft Et Fabrique De Montres Et De Chronomètres Ulysse Nardin Le Locle S A Dispositif de maintien élastique de deux pièces.
EP2889701B1 (fr) * 2013-12-23 2017-07-19 ETA SA Manufacture Horlogère Suisse Mécanisme de synchronisation d'horlogerie
EP3106931A1 (fr) * 2015-06-16 2016-12-21 Nivarox-FAR S.A. Pièce à surface de soudage découplée
JP6772790B2 (ja) * 2016-11-29 2020-10-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時計部品の製造方法、及び時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37813A (ja) 2006-05-17 2009-10-29 パテック, フィリップ ソシエテ アノニム 時計ムーブメントのひげぜんまい−ひげ玉組立体
JP2013234901A (ja) * 2012-05-08 2013-11-21 Seiko Instruments Inc ひげ玉、てんぷおよび時計
WO2017163148A1 (fr) 2016-03-23 2017-09-28 Patek Philippe Sa Geneve Oscillateur balancier-spiral pour piece d'horlogerie
JP2018063250A (ja) * 2016-10-13 2018-04-19 ニヴァロックス−ファー ソシエテ アノニム 弾性ワッシャによる固定用のひげぜんま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01620A (ja) 2022-01-06
WO2020057919A1 (fr) 2020-03-26
CN112740116B (zh) 2023-04-18
KR20210045472A (ko) 2021-04-26
CN112740116A (zh) 2021-04-30
EP3853670A1 (fr) 2021-07-28
EP3627236A1 (fr) 2020-03-25
US20220075318A1 (en) 2022-03-10
JP7353370B2 (ja) 2023-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65025C (fr) Procede pour la fabrication d'assemblages en materiau fibreux pour la realisation d'une structure de support, assemblages obtenus par ce procede et structure mettant en oeuvre cesassemblages
KR102629671B1 (ko) 지지 요소에 시계 구성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JP7194816B2 (ja) 計時器用コンポーネントを支持要素に固定するための弾性保持メンバー
EP0952369B1 (fr) Manchon élastique à deux armatures; biellette de reprise de couple équipée d'un tel manchon
KR102629670B1 (ko) 지지 요소 상에 시계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FR2480374A1 (fr) Moyen de fixation supportant une charge et absorbant les chocs et les vibrations
CN112740115B (zh) 用于将时计部件固定在支撑元件上的弹性保持构件
EP1197669A1 (fr) Insert destiné à la fixation d'un dispositif et procédés de réalisation et de fixation de cet insert
CH715369A2 (fr) Organe de maintien élastiqu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horlogerie sur un élément de support.
CN113227914A (zh) 用于将钟表构件固定到支承元件的弹性保持件
CN118092116A (zh) 用于时计的紧固元件
US20210111548A1 (en) Utility line support structure
CN118092115A (zh) 用于将时计零件附接在支撑元件上的整体式部件
KR20210134367A (ko) 상이한 지지 요소들에 타임피스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탄성 유지 부재
CH715370A2 (fr) Organe de maintien élastiqu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horlogerie sur un élément de support.
CH715664A2 (fr) Organe de maintien élastique pour la fixation d'un composant d'horlogerie sur un élément de support.
FR3096062A1 (fr) Structures résistant au flambage.
WO2004017694A1 (fr) Moyen de fixation pour cartes et composa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