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9598B1 -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 Google Patents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9598B1
KR102629598B1 KR1020200189281A KR20200189281A KR102629598B1 KR 102629598 B1 KR102629598 B1 KR 102629598B1 KR 1020200189281 A KR1020200189281 A KR 1020200189281A KR 20200189281 A KR20200189281 A KR 20200189281A KR 102629598 B1 KR102629598 B1 KR 102629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ncer
layer
metastasis
cells
cancer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9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6652A (ko
Inventor
조영재
어은영
조석기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Priority to KR1020200189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9598B1/ko
Priority to EP21915894.6A priority patent/EP4273215A1/en
Priority to PCT/KR2021/020340 priority patent/WO2022146097A1/ko
Publication of KR20220096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9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9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4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ellular or enzymatic activity or functionality, e.g. cell viabil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8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for producing artificial tissue or for ex-vivo cultivation of tissu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3Tumour cells; Cancer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97Artificial constructs associating cells of different lineages, e.g. tissue equival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11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for testing antineoplastic activit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64Endothelial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74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cance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28Vascular endothelia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3/00Use of cells in diagnostics
    • C12N2503/02Drug scree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56Staging of a disease; Further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dis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800/00Detection or diagnosis of diseases
    • G01N2800/70Mechanisms involved in disease identification
    • G01N2800/7014(Neo)vascularisation - Angiogene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ell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Onc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성 종양 층; 및 겔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암세포와 혈관 내피세포를 공배양 가능하고, 공배양 시 혈관 내피세포에 의해 혈관층이 형성되어 암세포가 전이하는 것을 모사할 수 있고,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마커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능을 쉽게 관찰 및 측정할 수 있으며, 상용화된 암세포 뿐만 아니라 환자 유래 암세포를 적용하여도 암세포의 전이 모사 및 전이능 측정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기 위한 약물을 스크리닝 할 수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실제 임상을 기반으로 한 환자 맞춤 의학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System for measuring cancer cell metastasis and method for measuring cancer cell metastasis us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성 종양 층; 및 겔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종양성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혈액검사, 영상검사, 조직검사, 유전체검사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 실제 전이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전신 PET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전자 단층 촬영)이 사용되지만 전이 사실 여부만 알 수 있을 뿐, 원발 조직에서 확인된 암세포가 어느 정도의 전이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방법은 전무하다.
또한, 국가적으로, 전 세계적으로 폐암의 임상적 중요성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특히 최근 표적치료제 및 면역치료제가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암종이 폐암이며, 이른 바 맞춤 의학(Personalized medicine)이 실제로 현실화 되고 있는 분야이다.
한편, 여전히 국가 암 사망률 1위는 폐암으로 과거와 달리 조기 폐암 발견이 증가하면서 근치적 수술 치료가 이루어지는 환자 비율의 증가와 더불어 여전히 이미 진단 당시 타 장기 전이가 있어 4기로 진단된 환자들의 경우 전체 폐암 환자 중에 80% 이상의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 특히 폐암은 뇌, 뼈, 간, 부신 등으로의 전이가 흔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뇌 전이의 경우 일상생활에 있어 장애를, 뼈 전이의 경우 병적 골절 및 통증을 흔히 야기하므로 두 경우 폐암 자체 보다 오히려 전이로 인한 삶의 질 저하에 큰 영향이 있다. 현재 이러한 전이성 폐암에 있어 정해진 원칙이나 맞춤 치료는 없는 실정으로 이러한 전이의 기전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이에 맞는 보조적 혹은 부가적인 치료제의 필요성은 분명하다.
암 전이(metastatic cascade)에 있어, 암 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이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 한 국내 연구팀에서 전이가 일어나는 암 미세환경에서 특히 혈관조직의 정상화를 통해 기존의 항암치료제의 종양 내 전달을 증가시킴으로써 크기를 줄이면서, 전이도 같이 줄여주는 새로운 항체치료제의 전임상 동물 실험 결과가 발표되었다. 이를 임상 상황에 보다 빨리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획기적인 항암보조 치료제로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전임상 실험과 실제 환자 대상 임상 시험 사이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가장 최선의 방법 중 하나가 생체모방 장기칩을 이용한 연구이다.
이미 암 전이를 연구하기 위한 기존의 실험적 모델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미세공학 암 전이 모델(microengineered cancer metastasis model)이 필요한 이유는, 기존의 2D 기반의 in vitro 모델 및 in vivo 동물 모델을 넘어서는 생체모방 장기칩만의 장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암 전이를 모방하는 것을 넘어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는 생체모방 장기 칩을 연구하였고, 이미 상용화된 세포주를 이용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실제 임상을 기반으로 한 환자 맞춤형 장기 칩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맞춤 의학을 구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JP 2009-027928 A KR 10-2016-0106105 A JP 1993-211893 A
본 발명자들은 상용화된 암세포뿐만 아니라 환자 유래 암세포를 적용하여 암 미세환경을 모사하고, 적용된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고, 상기 암세포와 혈관 내피세포가 공배양되는 암 미세현광 모사부와, 상기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시스템이 상용화된 암세포와 환자 유래 암세포 모두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이 처리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한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암세포 배양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는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이 처리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물질 처리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암세포와 혈관 내피세포를 공배양 가능하고, 공배양 시 혈관 내피세포에 의해 형성된 혈관구조를 통과해서 암세포가 전이하는 것을 모사할 수 있고, 암세포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마커를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능을 쉽게 관찰 및 측정할 수 있으며, 상용화된 암세포 뿐만 아니라 환자 유래 암세포를 적용하여도 암세포의 전이 모사 및 전이능 측정이 가능한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암세포 전이를 억제하기 위한 약물을 스크리닝 할 수 있는바, 이를 이용하여 실제 임상을 기반으로 한 환자 맞춤 의학을 구현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세포 분리 과정을 도식화한 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에 따라 환자로부터 분리한 종양조직(cancer tissue no.1~2)의 사진을 나타낸 도이다. 도 2b는 상기 분리된 종양조직의 상피세포(cancer- Epi)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c는 환자로부터 분리한 종양조직으로부터 얻은 폐암세포(1-cancer 및 2-cancer)와 상용화된 폐암세포(A549)의 FACS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d는 상기 환자로부터 얻은 폐암세포(C-epi-S4 및 C-epi-S5)와 상용화된 폐암세포(A549)의 특정 마커들의 발현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AIM 칩의 모식도 및 사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방법에 따라 상기 AIM 칩에 혈관 내피세포(HUVEC, HBMVEC), 및 섬유아세포(fibroblast) 또는 성상교세포(astrocyte)를 시딩하여 폐 모사 모델(HUVEC/Fibroblast)과 BBB 모사 모델(HBMVEC/Astrocyte) 각각에서 혈관내피세포의 내강(lumen)의 구조를 촬영한 사진이다(왼쪽은 혈관 내피세포(HUVEC)과 섬유아세포를 2일동안 공배양한 경우, 오른쪽은 혈관 내피세포(HBMVEC)과 성상교세포(astrocyte)를 4일동안 공배양한 경우). 도 3c는 각 공배양 시스템에서 각각 8일 및 10일동안 배양하였을 때 혈관 내피세포의 혈관형성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 중 폐 모사 모델 및 BBB 모사 모델 각각에서의 폐암세포(A549)의 전이능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4b는 상기 각각의 모델에서의 폐암세포의 전이능을 상기 폐암세포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여 정량화함으로써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 중 폐 모사 모델(도 5a) 및 BBB 모사 모델(도 5b) 각각에 폐암세포가 뇌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AMD3100을 처리하였을 때의 전이 억제 효과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라 환자로부터 분리된 폐암세포(Cancer-S4, S5 및 S9)와 상용화된 폐암세포(A549 및 PC9) 각각을 이용하여 제조된 시스템 중 폐 모사 모델(도 6a) 및 BBB 모사 모델(도 6b) 각각에서의 폐암세포의 전이능을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전이(metastasis)"는 암세포가 초기의 발생 부위(즉, 원발 종양 부위)에서 다른 부위(즉, 전이성 부위)로 퍼지는 것을 말하며, "암세포 전이능 측정"은 전이가 의심되는 조직의 암세포의 전이 능력 또는 전이 가능성을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부", "모듈", "장치",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해당 하드웨어에 의하여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계산 프로그램(program) 등의 프로그램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은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원발 종양 층; 및 전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원발성 종양 부위 또는 전이성 부위의 조직을 모사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폐, 뇌, 방광, 뼈, 골수, 유방, 자궁경부, 결장, 자궁내막, 식도, 장, 신장, 간, 구강, 근육, 난소, 피부, 췌장, 전립선, 피부, 위, 고환, 갑상선 및 자궁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조직을 모사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혈관 구조를 포함하는 임의의 과증식성 조직 등을 추가로 모사하는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혈관 구조는 내피세포, 평활근세포, 혈관주위세포, 흉터, 섬유화 조직, 수술 유착 조직 또는 과증식성 뼈병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원발 종양 층은 암세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암세포는 폐암, 유방암, 흑색종, 소세포 폐암, 비-소세포 폐암, 신경교종, 간암, 갑상선 종양, 위암, 전립선암, 난소암, 방광암, 대장암, 전립선암, 교모세포종, 자궁내막암, 신장암, 결장암, 췌장암, 식도암종, 머리 및 목암, 중피종, 육종, 담관암, 소장 선암, 소아 악성암 및 표피암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암세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폐암세포 및 유방암세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폐암세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는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 내에 혈관이 형성되었을 때 처리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 내에 혈관이 형성된 후 상기 암세포를 처리하여 상기 원발 종양 층의 암세포가 전이 층으로 이동하는 정도를 측정하여 상기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원발 종양 층은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혈관 내피세포의 종류는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폐 미세환경인 경우 폐 미세혈관 내피세포(lung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또는 탯줄 정맥 내피세포(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뇌 미세환경인 경우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어, 상기 전이 층을 기점으로 혈관층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생성된 혈관층을 통해 상기 원발 종양 층의 암세포가 전이 층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전이 층은 겔(gel)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상기 겔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ECM)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콜라겐, 피브로넥틴 및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세포, 구체적으로 혈관 내피세포가 부착되어 배양될 수 있으며, 암세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전이 층은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에 따라 혈관의 내강(lumen) 형성을 위해 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폐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섬유아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뇌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성상교세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폐 미세환경을 모사하고자 하는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전이 층에 섬유아세포를 추가로 시딩하고 배양 시, 섬유아세포가 혈관 내피세포와 인접한 공간에 있어 혈관의 내강(lumen)을 보다 잘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2개의 원발 종양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 층은 상기 2개의 원발 종양 층 사이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암세포 또는 혈관 내피세포의 배양 조건은 암세포의 종류 내지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가 모사하고자 하는 미세환경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은 암세포 특이적인 마커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피세포 특이적인 마커는 E-카드헤린(E-cadherin) 또는 사이토케라틴 8(Cytokeratin 8, CCK8)일 수 있고, 섬유아세포 특이적인 마커는 α-평활근 액틴(α-Smooth Muscle Action, α-SMA)일 수 있으며, 혈관 내피세포 특이적인 마커는 분화 클러스터31(Cluster of Differentiation 31, CD31)일 수 있으나, 상기 특이적 마커는 암세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 특이적인 마커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하여 측정하는 것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이적인 마커의 발현은 특이적인 형광 표지자의 발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또는 혈관 내피세포는 인간의 조직으로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에 따라 추가되는 세포, 구체적으로 섬유아세포 또는 성상교세포는 인간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암세포 배양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원발 종양 층, 암세포, 전이능 측정 등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배양 단계는 상기 시스템의 암 미세환경 모사부 내에 혈관이 형성된 후 시딩(seeding) 및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시스템의 상기 전이 층은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에 따라 혈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세포를 추가로 배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폐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섬유아세포를 추가로 배양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뇌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성상교세포를 추가로 배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에서 상기 암세포 또는 혈관 내피세포는 환자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고, 또한 상기 암 미세현광 모사부의 모사 대상에 따라 추가로 배양되는 세포도 환자로부터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폐암 환자로부터 분리한 폐암세포를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 배양하고 이의 암세포 전이능을 측정하였는바, 환자 맞춤형으로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어, 이로부터 환자 맞춤 의료를 현실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3 및 실험예 3).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의 전이능 측정 단계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암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은 상술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이 처리되는 것인,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암세포, 암 미세환경 모사부, 측정부, 혈관 내피세포, 원발 종양 층, 겔, 전이 층, 공배양, 측정부 및 암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시스템에의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의 처리 전과 처리 후의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은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 처리 후의 암세포의 이동 정도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하면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로 판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에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로 알려진 AMD3100 처리 시,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 각각에서의 상기 약물의 전이 억제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는바, 투여량 및 투여기간에 따라서도 그 효과가 차이가 있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실험예 2).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물질 처리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원발 종양 층, 암세포, 암세포 전이능 측정 등에 대한 설명에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스크리닝 방법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 처리 후의 암세포의 이동 정도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하면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아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환자조직으로부터 폐암세포 분리
환자로부터 분리된 세포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폐암세포를 분리 및 배양하였다.
먼저, 수술을 받은 폐암 환자의 절제된 폐 조직 중 종양 조직으로부터 수득한 하기 표 1의 샘플들을 조직 저장 버퍼(Mitenyi Biotec, MACS tissue storage solution)에 넣어서 4℃에서 1일까지 보관하였다.
조직샘플 진단명
C-S4 선암종(adenocarcinoma)
C-S5 선암종(adenocarcinoma)
C-S9 소세포암종(small cell carcinoma)(40%)이 혼합된 대세포 신경내분비암(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60%)
그런 다음, 조직을 분리하는 C-튜브(C-tube, Miltenyi biotec) 각각에 무혈청 배양액인 RPMI 배양액(Welgene, RPMI 1640)을 4.7ml씩 분주하고, 효소 키트(Miltenyi biotec, Tumor dissociation kit, human)의 효소들을 설명서에 따라 상기 C-tube에 각각 첨가하여 준비하였다. 폐암조직의 잔여 혈액을 PBS로 씻어 제거하고(도 2a) 대략 0.5g의 조직을 효소가 있는 C-tube에 넣어주었다. 그 후, C-tube 안으로 가위를 넣어 조직을 잘게 잘라 해리가 용이하게한 다음, 해리 장치(Miltenyi biotec, gentleMACStm Octo Dissociator with heaters)에 튜브를 꽂고 dissociation kit에 맞는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작동하였다(37℃_h_TDK_2). 거름망을 50ml 튜브에 준비하고, 상기 무혈청 RPMI 배양액을 약 2ml 정도 상기 거름망에 적신 다음, 프로그램 종료 후 C-tube 각각에 포함된 폐 조직 샘플을 상기 거름망에 걸러주었다. 그 후 10분 동안 300 x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적혈구 용해 버퍼(LONZA, red blood cell lysis buffer) 1ml을 첨가하고 2분동안 상온에서 두었다가 상기 무혈청 RPMI 배양액 5ml로 재현탁시켰다. 그런 다음 10분 동안 300 x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폐암세포 배양액(LONZA, SAGM) 5ml 또는 10ml로 재현탁 후 세포를 계수하고, 이를 다시 배양액이 담긴 T-175 플라스크에 넣고 배양함으로써 환자의 폐조직을 해리시켰다. 배양한 세포를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후 촬영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2b와 같다.
그런 다음, 배양한 세포를 세어 ~1x107의 세포를 준비한 후, 10분 동안 상온에서 300 xg으로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제거하고 3ml의 PEB 용액(autoMACS rinsing solution #130-091-222, MACS BSA stock solution #130-091-376, 20:1 비율로 섞어 줌)으로 재현탁하였다. 그 후, 분리된 세포의 순도(purity)를 높이기위해 상기 상피세포 현탁액에는 FcR 차단시약(FcR blocking solution)(Miltenyi biotec, #130-059-901)과 CD326 microbead(Miltenyi biotec, #130-061-101)를 각각 100ul씩 넣고 섞어준 뒤 냉장고에서 30분동안 처리하였다. 그 다음 PEB 용액을 2ml 넣고 10분동안 300 xg으로 원심분리한 뒤, 상층액을 제거하고 2ml의 PEB용액으로 재현탁시켰다.
상기 현탁액 내에서 마이크로비드의 자성을 이용하여 세포를 분리(magnetic separation)하기 위해, 세포 분리기(Miltenyi biotec, MACStm separator)의 자성체에 LS 컬럼(LS column)을 꽂고 3ml의 PEB용액을 컬럼안에 내려준 후, 준비한 세포를 내려주었다. 총 3번을 3ml의 PEB용액을 컬럼에 내려 세정한 후, 컬럼을 분리기에서 떼어내 새로운 튜브에 컬럼을 놓고 5ml의 PEB 용액을 넣어준 후 기포가 나올 때까지 플런저(plunger)를 밀어 내려주었다. 컬럼을 통해 빠져나온 CD326 마이크로비드가 결합되어 표지된 폐 상피세포(labeled cell)가 있는 튜브를 10분동안 300xg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은 제거하고 10ml의 세포 배양약으로 재현탁시킨 후, 폐 상피세포를 계수하였으며, 이를 다시 배양액이 담긴 T-175 플라스크에 넣고 배양하였다.
이후, 상기 분리된 폐암세포들이 기존의 상용화된 폐암세포주(A549)와 비교하기 위하여 형광 활성 세포 선별기(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FACS)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세포를 각각 계수하여 ~1X106이 되게 준비한 후, 10분동안 300xg으로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항체를 처리하지 않는 세포는 1ml의 PEB용액으로 재현택을 하고 항체를 처리하는 세포는 98ul의 PEB용액으로 재현탁하였다. 98ul으로 재현탁한 세포에 CD326-PE(Miltenyi biotec, CD326 (EpCAM)-PE #130-111-116) 항체를 2ul 첨가한 후 냉장고에서 10분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2ml의 PEB용액을 첨가한 후 10분동안 300xg으로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뒤, 1ml의 PEB용액으로 재현탁하였다. 준비된 세포를 FACS장비(FLOW CYTOMETRY ANALYZER MODUAL)(Becton&Dickinson, FACS CALIBUR)를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도 2c와 같다.
또한, 상기 환자로부터 분리된 폐암 상피세포와 상용화된 폐암세포주(A549)를 공초점 현미경(CARL ZEISS, LSM710)을 이용하여 비교하였다. 앞의 내용에 따라 분리한 폐암세포와 상용화된 폐암세포주(A549)를 1차 항체로 상피세포 마커인 마우스 단일클론 항체 항-E-카드헤린(mouse mAb anti-E cadherin)(Abcam, ab1416)을 1:100으로, 다른 상피세포 마커인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항-사이토케라틴8(mouse mAb anti-cytokeratin8)(Santa cruz, sc-73480)을 1:100으로 하여 반응시키고, 2차 항체로 당나귀 항-마우스 IgG-Alexa 488(anti-mouse IgG-Alexa 488)(Abcam, ab150105)을 1:200으로 하여 반응시킨 뒤 공초점 현미경(Carl Zeiss, LSM710)으로 촬영하고, 그 결과를 도 2d에 나타내었다.
또한 폐암세포을 진단할 때 확인하는 TTF-1의 발현을 1차 항체인 마우스 단일클론항체 항-TTF-1(mouse anti-TTF-1)(Santa cruz, sc-53136)을 1:50으로 반응을시키고, 2차 항체로 당나귀 항-마우스 IgG-Alexa 488(anti-mouse IgG-Alexa 488)(Abcam, ab150105)을 1:200으로 하여 반응시켜 공초점 현미경으로 촬영하여 그 발현을 확인하였다. 분리한 폐암세포뿐만 아니라 사용화된 폐암세포주(A549)도 TTF-1이 모두 발현되는 것으로 보아 분리한 세포가 암세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섬유아세포의 마커인 α-평활근 액틴(α-Smooth Muscle Action, α-SMA), 혈관 내피세포의 마커인 분화 클러스터31(Cluster of Differentiation 31, CD31)는 발현되지 않음을 도 2d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용화된 폐암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최적화된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폐암의 전이 양상을 보다 더 정확하기 확인하기 위한 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사용한 칩은 도 3a에 나타낸 AIM 칩이며, 폐의 환경을 모사한 폐 모사 모델과 BBB(혈액 뇌관문, Blood brain barrier)를 모사한 BBB 모사 모델을 각각 제조하였다.
먼저, 폐 모사 모델을 제조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의 환자로부터 분리한 2X106 /ml의 섬유아세포를 상기 AIM 칩의 가운데의 겔 채널에 2.5 mg/ml의 피브로노겐(Sigma, F8630)과 섞어서 채워준 후, 15 분 동안 실온에서 겔화(gelation)시켰다. 그런 다음, 콜라겐(0.03mg/ml, 1VL함량)(sigma, collagen typeⅠ solution)과 피브로넥틴(0.001%,5mg)(Sigma, F0895)으로 37℃에서 2 시간 동안 코팅한 후, 세포 배양 채널 중 하나에 혈관 내피세포로 HUVEC(LONZA, HUVEC-Umbil vein, Pooled cells) 4X106 /ml의 총 20 μl를 넣고, 칩을 90°로 세워 가운데 형성된 겔 층 방향으로 부착되게 1 내지 2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칩을 원래 상태로 내려놓고 배지를 교체한 다음, 혈관 내피세포가 가운데 겔 층을 기점으로 하나의 혈관층이 형성하면, 1X106/ml의 폐암세포(A549) 총 20 μl를 같은 층에 넣어주고, 다시 칩을 90°로 세워 가운데 형성된 겔 층 방향으로 부착되게 하룻밤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칩을 다시 원래 상태로 내려놓고 배지를 교체하고 5일 동안 배양하여, 폐암세포가 가운데 겔 층으로 이동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BBB 모사 모델을 상기 폐 모세 모델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섬유아세포 대신 성상교세포(astrocyte)(Human Astrocyte)(ScienCell, #1800)를, 혈관 내피세포로 HUVEC 대신 인간 뇌 미세혈관 내피세포(human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 HBMVEC)(Cell systems, ACBRI 376)를 사용하였으며,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은 세포 증식 속도에 차이가 있어 총 배양기간을 다르게 하였다.
각각의 세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세포의 특정 마커의 항체를 반응하여 확인하였다. 실험적 방법은 앞의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혈관세포는 CD31로 처리하였고, 폐암세포는 cytokeratin8으로 처리하여 공초점 현미경 Carl Zeiss, LSM710을 이용하여 촬영을 하였다.
상기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에서 형성된 내강(lumen) 구조는 도 3b과 같다.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 모사 모델은 2일, BBB 모사 모델은 4일 동안 배양을 하면 혈관의 내강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도 3c에 나타난 바와 같이, 배양기간이 길어지면 초기에 형성되는 혈관의 내강의 구조가 더 뚜렷해지는 것을 확인 하였다.
[실험예 1]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에서의 폐암세포의 전이능 차이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에서의 폐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고 이들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a 및 4b에 나타내었다.
도 4a에 나타난 것과 같이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에서 상용화 된 폐암세포가 모두 전이층으로 전이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같은 폐암세포라도 모사한 모델의 환경에 따라 전이되는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폐암세포가 전이되는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IMARIS 프로그램(Bitplane, IMARIS FL)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앞의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촬영한 결과물을 소프트웨어 IMARIS에 적용하여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사용한 칩의 AIM의 구조에서 가운데 채널의 포트(port)를 기준으로 폐암세포가 혈관세포에서 겔층에서 가운데 전이층으로 이동하는 세포의 수를 도 4b의 그래프를 통해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 여기서 폐암세포(A549)가 폐 모사 모델보다 BBB 모사 모델에서 더 전이가 많이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은 다양한 조직, 예를 들어 폐와 BBB를 모사할 수 있고, 각 조직의 미세환경에서의 암세포의 전이를 유도 내지 모사하여 각 조직에서의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으며, 특히 암세포의 전이능을 암세포에 특이적인 형광 표지자의 발현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한 폐암세포의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상기 실험예 1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능을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 억제 약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조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때, 암세포가 다른 조직으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혈관의 세포벽을 뚫고 지나가는 과정인 유출(extravasation)에 중점을 두고 약물 스크리닝을 수행하였으며, 본 실험에서 사용된 AMD3100(옥타히드로클로라이드)(Octahydrochloride)(Sigma, A5602)는 강한 CXCR4 길항제(antagonist)로, SDF-1/CXCR4 축(axis)을 방해하여 BBB를 보호하여 폐암세포가 뇌로 전이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험예 1의 폐 모사 모델 및 BBB 모델을 만들고 폐암세포를 혈관세포 층으로 처리할 때, 각각의 모델에 상기 AMD3100을 1 μg/ml, 5 μg/ml을 배양액에 섞어서 하루 동안 또는 6일 동안 처리하고, 공초점 현미경(Carl Zeiss, LSM710)으로 폐암세포의 전이 정도를 촬영하였다.
도 5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 모사 모델에서는 AMD3100를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처리한 군이 전반적으로 폐암세포의 전이가 줄었지만, 1 μg/ml로 6일 동안 처리한 군이 가장 우수한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유사하게, 도 5b에 나타난 바와 같이, BBB 모사 모델에서도 AMD3100을 처리한 군이 보다 폐암세포의 전이가 감소하고, 1 μg/ml로 1일 동안 처리한 군이 가장 우수한 전이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암세포의 전이를 억제할 수 있는 약물을 스크리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환자로부터 분리한 폐암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최적화된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폐 모사 모델과 BBB 모사 모델을 각각을 제조하되, 이 때 사용된 폐암세포는 상기 실시예 1의 환자로부터 분리한 3 종의 폐암세포(CancerS4, S5, S9)이며, 상용화된 폐암세포로 A549 외에 EGFR 돌연변이가 있는 비소형 폐암세포(non-small cell lung carcinoma, NSCLC)인 PC9(원자력병원, PC9)를 추가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3] 환자 맞춤형 폐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하여 환자 맞춤형 암세포 전이능의 측정 및 약물 스크리닝이 가능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실험예 1과 마찬가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a 및 6b에 나타내었다.
도 6a에 나타난 바와 같이, 폐 모사 모델에서는 PC9 세포주를 제외한 다른 폐암세포들이 모두 전이가 잘 일어나는 양상을 보였다.
한편, 도 6b에 나타난 바와 같이, BBB 모사 모델에서는 환자 유래 세포인 Cancer-S4을 제외한 나머지 세포들(환자 유래 세포인 Cancer-S5 및 S9와 상용화된 A549 및 PC9 세포)을 이용하여 제조한 모델에서는 전이가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로부터, 환자에서 분리한 폐암세포들이 각 환경에 따라 전이 양상이 다르게 일어나고, 특히 환자 유래 세포인 Cancer-S5 및 S9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델을 통해서 상기 두 종의 폐암세포는 뇌 쪽으로 전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환자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이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이 환자 맞춤형으로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이로부터 환자 맞춤 의료를 현실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시스템을 원발 종양 부위 외에도 다른 조직에서의 암세포의 전이능 평가, AMD3100과 같은 약물의 암세포의 전이 억제능 평가, 암세포의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환자 유래 암세포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암세포 전이능 평가 및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3)

  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암세포는 상기 전이 층을 기점으로 생성된 혈관층을 통해 전이 층으로 이동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폐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섬유아세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모사 대상이 뇌 미세환경인 경우, 상기 전이 층은 성상교세포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2 개의 원발 종양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이 층은 상기 2 개의 원발 종양 층 사이에 위치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의 암세포는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 내에 혈관이 형성되었을 때 처리된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의 이동 정도 측정은 암세포 특이적인 마커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는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 특이적인 마커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하여 측정하는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세포 또는 혈관 내피세포는 인간의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것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를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암세포 배양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9.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암 미세환경 모사부 및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 미세환경 모사부는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를 포함하는 원발 종양 층; 및 겔(gel)을 포함하는 전이 층;을 포함하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을 향하고,
    상기 암세포 및 혈관 내피세포는 공배양되는 것이며,
    상기 측정부는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고,
    상기 시스템은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이 처리되는 것이고,
    상기 원발 종양 층의 혈관 내피세포는 전이 층 방향으로 부착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원발 종양 층의 암세포는 상기 전이 층을 기점으로 생성된 혈관층을 통해 전이 층으로 이동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시스템에의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의 처리 전과 처리 후의 상기 암세포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서 상기 전이 층으로의 이동 정도를 측정하는 것인,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 처리 후의 암세포의 이동 정도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하면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로 판단하는 것인,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의 상기 원발 종양 층에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후보 물질 처리 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 암세포의 전이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암세포 전이 억제 후보 물질 처리 후의 암세포의 이동 정도가 상기 후보 물질 처리 전에 비하여 감소하면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로 판단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암세포 전이 억제 약물 스크리닝 방법.
KR1020200189281A 2020-12-31 2020-12-3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KR102629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1A KR102629598B1 (ko) 2020-12-31 2020-12-3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EP21915894.6A EP4273215A1 (en) 2020-12-31 2021-12-31 System for measuring metastatic potential of cancer cells and method for measuring metastatic potential of cancer cells by using same
PCT/KR2021/020340 WO2022146097A1 (ko) 2020-12-31 2021-12-3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9281A KR102629598B1 (ko) 2020-12-31 2020-12-3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652A KR20220096652A (ko) 2022-07-07
KR102629598B1 true KR102629598B1 (ko) 2024-01-29

Family

ID=8225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9281A KR102629598B1 (ko) 2020-12-31 2020-12-31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273215A1 (ko)
KR (1) KR102629598B1 (ko)
WO (1) WO20221460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2153B2 (ja) 1992-01-31 1995-11-08 工業技術院長 血管内皮モデル調製用器及びこれを用いた癌細胞の転移能の測定方法
JP5330657B2 (ja) 2007-07-24 2013-10-30 泰 田川 癌転移能評価方法及び癌転移能評価のための三次元二重膜構造
EP3060654B1 (en) * 2013-10-21 2023-03-15 Hemoshear, LLC In vitro model for a tumor microenvironment
CN103728782A (zh) 2013-12-31 2014-04-16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及相应的制造方法
KR101644635B1 (ko) * 2014-05-30 2016-08-0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혈관형성을 위한 미세유체칩 및 이를 이용한 암전이 분석방법
US11047847B2 (en) * 2015-10-02 2021-06-29 Wake Forest University Health Sciences Methods and apparatus for modeling cancer metastasis in vitro
KR20160083828A (ko) * 2016-06-27 2016-07-12 재단법인 의약바이오컨버젼스연구단 3차원 콜라겐 겔 환경 내에서 배양된 세포를 이용한 암 세포의 전이성 모니터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273215A1 (en) 2023-11-08
WO2022146097A1 (ko) 2022-07-07
KR20220096652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gsburger et al. Current diagnostics and treatment of fibrosarcoma–perspectives for future therapeutic targets and strategies
Liberko et al. Essentials of circulating tumor cells for clinical research and practice
Karam et al. Ovarian cancer: the duplicity of CA125 measurement
Gril et al. Pazopanib inhibits the activation of PDGFRβ-expressing astrocytes in the brain metastatic microenvironment of breast cancer cells
Evans et al. EF5 binding and clinical outcome in human soft tissue sarcomas
Rizvanov et al. Interaction and self-organization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nd neuro-blastoma SH-SY5Y cells under co-culture conditions: A novel system for modeling cancer cell micro-environment
Alsharif et al. Oncologic outcomes of nipple-sparing mastectomy with immediate breast reconstruction in patients with tumor-nipple distance less than 2.0 cm
Sun et al. Tumor endothelial cells promote metastasis and cancer stem cell-like phenotype through elevated Epiregulin in esophageal cancer
Guo et al. PPA1 promotes breast cancer proliferation and metastasis through PI3K/AKT/GSK3β signaling pathway
JP7396578B2 (ja) 病変組織内への薬剤到達を予測する方法
Pannier et al. High expression levels of egfl7 correlate with low endothelial cell activation in peritumoral vessels of human breast cancer
RU2469651C2 (ru) Способ прогнозирования эффективности неоадъювантной химиотерапии больных раком молочной железы
SG174324A1 (en) Method or system using biomarkers for the monitoring of a treatment
Acharekar et al. Substrate stiffness regulates the recurrent glioblastoma cell morphology and aggressiveness
Xiao et al. The association of semaphorin 5A with lymph node metastasis and adverse prognosis in cervical cancer
Wuidar et al. Sex-based difference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KR102629598B1 (ko) 암세포 전이능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암세포 전이능 측정 방법
Palethorpe et al. Myofibroblast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determines cell survival in co-cultures of myofibroblasts and prostate cancer cells in vitro
Liu et al. Appraisal of radioiodine refractory thyroid cancer: advances and challenges
Liu et al. CCR10/CCL27 crosstalk regulates cell metastasis via PI3K-Akt signaling axi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Rudiger et al. Chemosensitivity testing of circulating epithelial tumor cells (CETC) in vitro: correlation to in vivo sensitivity and clinical outcome
Hussien et al. The role of MRI pancreatic protocol in assessing response to neoadjuvant therapy for patients with borderline resectable pancreatic cancer
Nijkamp et al. Low phosphorylated AKT expression in laryngeal cancer: indications for a higher metastatic risk
Gu et al. Targeting initial tumour–osteoclast spatiotemporal interaction to prevent bone metastasis
Casari et al.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pancreatic cancer cells are enriched in the growth factor Midk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