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518B1 -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518B1
KR102628518B1 KR1020210191626A KR20210191626A KR102628518B1 KR 102628518 B1 KR102628518 B1 KR 102628518B1 KR 1020210191626 A KR1020210191626 A KR 1020210191626A KR 20210191626 A KR20210191626 A KR 20210191626A KR 102628518 B1 KR102628518 B1 KR 10262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battery
soc
current
predetermined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1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1492A (ko
Inventor
김용재
우일국
오현수
Original Assignee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오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오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1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8518B1/ko
Publication of KR20230101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1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circuits adapted for supplying loads from the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40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 H02J2310/42The network being an on-board power network, i.e. within a vehicle for ships or vess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현재 부하를 결정하고,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비교한 후,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of controlling power supply depending on battery state}
본 발명은 평균 부하 및 현재 부하를 비교 결과 및 배터리의 SOC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전력원을 선택하고, 배터리를 충방전하는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전력 공급원으로 다양한 발전기가 구동되고 있고, 추가적으로 배터리를 구비하고 있다. 선박 내의 요동하는 순시 부하의 변동에 대응하기 위하여, 선박 내의 발전기는 소모되는 평균 부하 이상의 부하를 공급하기 위하여, 하나의 발전기가 평균 부하에 비하여 충분히 큰 전력 공급 능력을 가지거나, 추가의 발전기가 최소 부하 공급 상태에서 발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발전기로만 전체 전력을 감당하기에는 무리가 있어, 배터리와의 효율적인 공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평균 부하 및 현재 부하를 비교 결과 및 배터리의 SOC에 따라 전력을 공급할 전력원을 선택하고, 배터리를 충방전하는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을 공급하고, 최대효율부하에 맞도록 부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제어 방법은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단계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를 상기 임계치까지 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부하 결정부; 배터리의 SOC를 검출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상기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부하 결정부; 배터리의 SOC를 검출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부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평균 부하가 현재 부하보다 큰 경우에는 발전기로만 전력을 공급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발전기와 배터리로 전력을 공급하여 전력 공급의 효율성을 높였고, 배터리의 SOC 상태에 따라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키거나 부하의 개수를 변동하여 선박에서의 배터리의 활용성을 증대시킨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하의 그래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하의 그래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특정 구성을 "포함"한다고 기술하는 내용은 해당 구성 이외의 구성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나는 구성부들은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되는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 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장치에 관한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 공급 제어 장치(110)는 부하 결정부(112), 저장부(114), 배터리 관리부(116) 및 제어부(118)를 포함하고 있고, 전력 공급 제어 장치(110)는 발전기(120), 배터리(130) 및 부하(140)와 연결되어 있고, 발전기(120)는 배터리(130)에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하거나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하고, 배터리(130)도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한다.
발전기(120)는 선박 추진용과 선박운영을 위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배전반에 공급을 한다. 발전기(120)는 터빈발전기, 디젤발전기, 엔진발전기, 초전도발전기 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서는 엔진발전기가 바람직하다. 발전기(120)는 적어도 하나의 발전기가 구비된다.
배터리(130)는 발전기(120)를 통하여 충전될 수 있으며, DC 버스(160)를 통하여 각종 부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30)의 경우, 선박에 적용될 수 있는 용량만 가지고 있으면 그 종류에 제한은 없다.
발전기(120), 배터리(130) 및 부하(140)에는 각종 컨버터, 인버터 및 버스 등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부하 결정부(112)는 현재 부하를 산출하여 결정한다. 현재 부하는 현재 발전기(120)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총량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저장부(114)는 평균 부하, 배터리 SOC(State Of Charge)의 임계치 및 최대 효율 부하를 저장하고 있다.
평균 부하는 현재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에 현재 발전기(120)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평균 부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의 현재 부하들을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또는, 평균 부하는 현재 시점부터 어느 시간 이전까지 현재 발전기(120)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할 수도 있다.
평균 부하는 계속 측정해서 변화되는 값일 수도 있고, 누적치를 통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배터리 SOC의 임계치는 선박 전력 또는 배터리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하여져 있다. 배터리 SOC가 배터리 SOC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130)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최대 효율 부하는 연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하를 의미한다. 발전기(120)가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가동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 생산전력당 연료소모는 감소하게 되며, 어느 지점에서는 단위 생산 전력당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여기에서 어느 지점이 최대 효율 부하이다.
배터리 관리부(116)는 현재 배터리의 충전상태인 SOC를 검출한다.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 및 평균 부하를 비교하고, 그 후 검출된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 후, 결과에 따라 배터리(130)를 충전하거나, 배터리(130)로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부하(140)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 및 평균 부하를 비교한다.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는 검출된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다.
검출된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는 배터리(130)를 방전시킨다. 즉, 배터리(130)는 부하(140)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130)는 현재 부하와 평균 부하의 차이만큼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130)가 최대 용량만큼 전부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을 발전기(120)가 공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하 별로 공급되어야 할 전력원을 정하고, 그에 따라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한다.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만약,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도,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하의 그래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세로축은 부하 값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선 데이터가 현재 부하를 의미한다. 도 2는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초과하는 경우이며, A 시간까지의 구간은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보다 큰 경우이며, A 시간 뒤의 구간은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이다. A 시간까지의 구간에서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키며, A 시간 이후에는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사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제어부(118)는 검출된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다.
검출된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발전기(120)는 배터리(130)를 충전한다. 발전기는 미리 정해진 수치 또는 임계치까지 배터리(130)를 충전할 수 있다.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한다.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만약,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도,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현재 부하의 그래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서, 세로축은 부하 값을 나타내고,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선 데이터가 현재 부하를 의미한다. 도 3은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이며, B 시간까지의 구간은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보다 큰 경우이며, B 시간 뒤의 구간은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이다. B 시간까지의 구간에서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키며, B 시간 이후에는 제어부(118)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사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를 결정한다.
현재 부하는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총량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단계 42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와 평균 부하를 비교한다.
평균 부하는 현재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에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평균 부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의 현재 부하들을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또는, 평균 부하는 현재 시점부터 어느 시간 이전까지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할 수도 있다. 평균 부하는 계속 측정해서 변화되는 값일 수도 있고, 누적치를 통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단계 430으로 진행된다.
단계 43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다. 배터리 SOC의 임계치는 선박 전력 또는 배터리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하여져 있다.
검출된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440으로 진행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450으로 진행된다.
단계 44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배터리를 방전, 즉,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배터리는 현재 부하와 평균 부하의 차이만큼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터리가 최대 용량만큼 전부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 전력을 발전기가 공급할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부하 별로 공급되어야 할 전력원을 정하고, 그에 따라 전력이 공급될 수도 있다.
단계 45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한다.
최대 효율 부하는 연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하를 의미한다. 발전기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가동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 생산전력당 연료소모는 감소하게 되며, 어느 지점에서는 단위 생산 전력당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여기에서 어느 지점이 최대 효율 부하이다.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460으로 진행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470으로 진행된다.
단계 46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단계 47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도,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다르게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를 결정한다.
현재 부하는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총량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단계 52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와 평균 부하를 비교한다.
평균 부하는 현재를 포함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에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하며, 산술 값을 가진다. 평균 부하는 소정의 구간 동안의 현재 부하들을 시간으로 나눈 값이다. 또는, 평균 부하는 현재 시점부터 어느 시간 이전까지 현재 발전기를 통하여 전력을 인가하고 있는 부하의 평균을 의미할 수도 있다. 평균 부하는 계속 측정해서 변화되는 값일 수도 있고, 누적치를 통하여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여기에서,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단계 430으로 진행된다.
단계 53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한다. 배터리 SOC의 임계치는 선박 전력 또는 배터리 상태에 따라 미리 정하여져 있다.
검출된 배터리의 SOC가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540으로 진행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570으로 진행된다.
단계 55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한다.
최대 효율 부하는 연비가 최대가 되는 지점의 부하를 의미한다. 발전기가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가동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 생산전력당 연료소모는 감소하게 되며, 어느 지점에서는 단위 생산 전력당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여기에서 어느 지점이 최대 효율 부하이다.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단계 550으로 진행되고, 이하인 경우에는 단계 560으로 진행된다.
단계 55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감소시킨다. 이 경우,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단계 56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가 될 때까지 부하를 증가시킨다. 이 경우에도, 연료 소모가 최소가 된다.
단계 570에서, 전력 공급 제어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한다.
발전기는 미리 정해진 수치 또는 임계치까지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10
부하 결정부: 112 저장부: 114
배터리 관리부: 116 제어부: 118
발전기: 120 배터리: 130 부하: 140

Claims (16)

  1.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5.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부하가 상기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부하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부하가 상기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부하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를 상기 소정의 임계치까지 충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방법.
  9.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부하 결정부;
    배터리의 SOC를 검출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검출된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하를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배터리로 상기 부하에 전력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1. 삭제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부하가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상기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3. 현재 부하를 결정하는 부하 결정부;
    배터리의 SOC를 검출하는 배터리 관리부; 및
    상기 현재 부하가 평균 부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의 SOC를 소정의 임계치와 비교하고,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부하가 상기 최대 효율 부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부하를 감소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현재 부하와 최대 효율 부하를 비교하고, 상기 현재 부하가 상기 최대 효율 부하 이하인 경우, 상기 부하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배터리의 SOC가 상기 소정의 임계치 이하인 경우, 상기 배터리를 상기 소정의 임계치까지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KR1020210191626A 2021-12-29 2021-12-29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62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26A KR102628518B1 (ko) 2021-12-29 2021-12-29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1626A KR102628518B1 (ko) 2021-12-29 2021-12-29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92A KR20230101492A (ko) 2023-07-06
KR102628518B1 true KR102628518B1 (ko) 2024-01-23

Family

ID=87185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1626A KR102628518B1 (ko) 2021-12-29 2021-12-29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85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809B1 (ko) * 2016-11-30 2018-06-29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및 해양플랜트의 배터리 연계형 고효율 전력관리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1492A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9085B2 (ja) 充電設備及びエネルギーマネジメント方法
US8227935B2 (en) Hybrid power supply device
JP5333965B2 (ja) 船舶エネルギーシステム
US20170256957A1 (en) Hybrid power delivery with improved power control
US10615601B2 (en) Ship and power managing method of the same
JP2022105671A (ja) 電力システム並びに電力システムを制御する方法及び装置
JPWO2016151695A1 (ja) 車両の電力制御装置
JP6026713B1 (ja) 電力管理システム
US11091058B2 (en) Fuel cell system
US20160308361A1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method with energy management
KR101558705B1 (ko)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628518B1 (ko) 배터리 상태에 따른 전력 공급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836603B1 (ko) 친환경차량의 직류변환장치 출력 제어 방법
KR102359219B1 (ko) 선박용 하이브리드 전기추진시스템
WO2015145748A1 (ja) クレーン装置、電力供給ユニットおよび改造方法
KR20180039564A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컨버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2656999B1 (ko) 선박에서의 공급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ayasinghe et al. MPC and energy storage based frequency regulation strategy for hybrid electric ships
JPWO2016151696A1 (ja) 車両の電力制御装置
KR20230102190A (ko) 선박의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JP2019030160A (ja) 分散型電源システム
Ritari et al. 13. Feasibility analysis of a battery system for a passenger ferry
KR20230101491A (ko) 선박에서의 공급 전력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010589A (ko) 발전 제어 장치, 발전 제어 방법, 기억 매체
JP5355721B2 (ja) 充放電システムおよび充放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