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8133B1 - Adhesive composition - Google Patents

Adhesive composi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8133B1
KR102628133B1 KR1020187019523A KR20187019523A KR102628133B1 KR 102628133 B1 KR102628133 B1 KR 102628133B1 KR 1020187019523 A KR1020187019523 A KR 1020187019523A KR 20187019523 A KR20187019523 A KR 20187019523A KR 102628133 B1 KR102628133 B1 KR 102628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group
acrylate
weight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95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1892A (en
Inventor
유지 아사츠
치에 사카우에
원청 천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1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8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133B1/en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과제] 가혹한 내구 조건에 있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보이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메트)아크릴계 수지(A), 가교제(B) 및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하기 식 (a1) 및 하기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B)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 의한 부가체이다.

Figure 112018067066738-pct00013

Figure 112018067066738-pct00014
[Problem]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showing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harsh durability conditions.
[Solution] In th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C), the (meth)acrylic resin (A) has the following formula (a1) and the following formula ( It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a2), and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an adduct of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with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
Figure 112018067066738-pct00013

Figure 112018067066738-pct00014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이용되는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 등에 있어서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데 유용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useful for forming a highly durable adhesive layer in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tc.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투명 수지 필름을 적층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판으로 대표되는 광학 필름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부재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편광판과 같은 광학 필름은 점착제층을 통해 다른 부재(예컨대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액정 셀 등)에 접합하여 이용되는 경우가 많다(특허문헌 1 참조). 이 때문에, 광학 필름으로서, 그 한쪽 면에 미리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이 알려져 있다. An optical film typified by a polarizing plate formed by laminating and bonding a transparent resin film to one or both sides of a polarizer is widely used as an optical member constitut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ptical films such as polarizing plates are often used by bonding them to other members (such as liquid crystal cells i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rough an adhesive layer (see Patent Document 1). For this reason, as an optical film, an optical film equipped with an adhesive layer in which an adhesive layer is previously formed on one side is known.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10-229321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0-229321

최근, 액정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단말로 대표되는 모바일 기기 용도나 카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대표되는 차재용 기기 용도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에서는, 종래의 옥내용 TV 용도에 비해서 가혹한 환경에 노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내구성 향상이 과제로 되어 있다. Recently,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ve been deployed for use in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type terminals, and in-vehicle devices, such as car navigation systems. In these applications, there is a possibility of exposure to harsh environments compared to conventional indoor TV applications, so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is an issue.

액정 표시 장치 등을 구성하는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 등에 들어간 점착제층은 고온 또는 고온고습 환경 하에 놓이거나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는 환경 하에 놓이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에는, 이들 환경 하에서도 점착제층과 이것이 접합되는 광학 부재와의 계면에서의 들뜸이나 벗겨짐, 점착제층의 발포 등의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 요구되며, 또한 광학 특성이 열화되지 않을 것도 요구된다. 특히 광학 필름이 편광판인 경우, 고온 환경 하에서의 강한 수축 응력 때문에, 점착제층에는 일반적인 광학 필름에 비해서 높은 내구 성능이 요구된다. 상술한 액정 표시 장치의 내구성 향상 요구가 높아져, 최근, 점착제층에 요구되는 내구성은 매우 엄격한 것으로 되고 있다. Durability is similarly required for optical films with adhesive layers that make up liquid crystal displays and the like. In other words, the adhesive layer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tc. may be placed under a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or an environment where high and low temperatures are repeated. In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the adhesive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are bonded even under these environments. It is required to be able to suppress problems such as lifting or peeling at the interface with the optical member and foaming of the adhesive layer, and it is also required that the optical properties are not deteriorated. In particular, when the optical film is a polarizing plate, the adhesive layer is required to have higher durability than a general optical film due to strong shrinkage stress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The demand for improved durability of the above-describ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has increased, and in recent years, the durability required for the adhesive layer has become very string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가혹한 내구 조건에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보이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form an adhesive layer showing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such harsh durability conditions.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or has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intensive studie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즉, 본 발명에는 이하의 것이 포함된다.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llowing.

[1] (메트)아크릴계 수지(A), 가교제(B) 및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1]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C),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하기 식 (a1)The (meth)acrylic resin (A) has the following formula (a1)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1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1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일 때,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In the formula,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A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and good night)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하기 식 (a2)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and the following formula (a2)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2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2

(식 중, m은 5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In the formula, m represents an integer of 5 or more, A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X 2 represents a meth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상기 가교제(B)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 의한 부가체인 점착제 조성물.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an adduct of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with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2]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 (a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4.5 중량부이고,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0.25∼1.0 중량부인 [1]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2]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1) is 1.5 to 4.5 parts by weight,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wherein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2) is 0.25 to 1.0 parts by weight.

[3]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3)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3] The (meth)acrylic resin is composed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hos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0°C, and alkyl acrylate (a3-) whos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0°C or higher. 2)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ich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alkyl acrylate (a3).

[4]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중량비)은 (a3-1)/(a3-2)=20/80∼95/5인 [3]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4]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ith a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0°C and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2) with a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C or higher. (Weight ratio) is (a3-1)/(a3-2)=20/80 to 95/5, the adhesive composition described in [3].

[5]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6.0×105∼2.5×106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5]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is 6.0 × 10 5 to 2.5 × 10 6 in terms of polystyrene.

[6] 가교제(B)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6]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propor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B)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7] 실란 화합물(C)은 하기 식 (c1)[7] The silane compound (C) has the following formula (c1)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3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3

(식 중, B는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 또는 탄소수 3∼20의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칸디일기 및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좋으며, R1은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Wherein, B represent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divalent alicyclic hydrocarbon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CH 2 - constituting the alkanediyl group and the alicyclic hydrocarbon group is -O- or - It may be substituted with CO-, R 1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epresents the flag)

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인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ich is a silane compound represented by .

[8] 식 (c1)의 B는 탄소수 1∼10의 알칸디일기이고, R1은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5의 알콕시기인 [7]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8] B in formula (c1) i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1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each independently have a carbon number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7], which is an alkoxy group of 1 to 5.

[9] 실란 화합물(C)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9]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8], wherein the proportion of the silane compound (C)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10]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50∼95%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0]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9], wherei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is 50 to 95%.

[11] 유리 기판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박리 속도 300 mm/분에 있어서, 0.5∼10 N/25 mm인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11]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bonded to a glass substrate,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24 hours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is 0.5 to 0.5 at a peeling speed of 300 mm/min.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0], which is 10 N/25 mm.

[12] 광학 필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점착제 조성물. [12]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11], which is used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n optical film.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혹한 내구 조건에 있어서도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durability even under harsh durability condition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편광판의 층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편광판의 층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lay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tical laminate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점착제 조성물[1] Adhesive composition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가교제(B),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한다.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eth)acrylic resin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C).

[1-1] (메트)아크릴계 수지(A)[1-1] (meth)acrylic resin (A)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메트)아크릴계 단량체 유래의 구성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이며, 하기 식 (a1) 및 식 (a2)에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한다.The (meth)acrylic resin (A) is a polymer or copolymer containing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monomers as a main component (preferably containing 50% by weight or more), and has the following formulas (a1) and (a2) It includes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shown in .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4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4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일 때,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In the formula,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A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and good night)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5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5

(식 중, m은 5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In the formula, m represents an integer of 5 or more, A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X 2 represents a meth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즉,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다른 탄소쇄 길이(n 및 m)의 하이드록시알킬기를 측쇄에 갖기 때문에,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 사이의 가교 밀도를 최적화할 수 있다고 추정된다. 이 가교 밀도의 최적화에 의해, 딱딱함과 부드러움의 밸런스가 우수한(또는 최적의 경도를 갖는)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 환경이라도 계면의 벗겨짐(또는 들뜸) 및 발포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더구나, 강한 수축 응력이 생기더라도 점착제층이 그 응력을 유효하게 완화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 필름(예컨대 편향판)의 수축에 따라 하얗게 빠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가교 밀도의 최적화에 의해 리워크성(박리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내구성이란, 예컨대 고온 환경 하, 고온고습 환경 하, 고온과 저온이 반복되는 환경 하 등에 있어서, 점착제층과 이것에 인접하는 광학 부재와의 계면에서의 들뜸이나 벗겨짐을 억제할 수 있는 특성(내박리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및 점착제층의 발포 등의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는 특성(내발포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내응집파괴성이란, 점착제층의 응집 파괴(또는 찢어짐)를 억제할 수 있는 특성을 말한다. That is, since the (meth)acrylic resin (A)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ydroxyalkyl groups of different carbon chain lengths (n and m) in the side chain, in th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meth)acrylic resin (A) has different carbon chain lengths (n and m) in the side chain. It is estimated that the cross-linking density can be optimized. By optimizing this crosslink density, it is possible to form an adhesive layer with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hardness and softness (or with optimal hardness),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preventing peeling (or lifting) of the interface eve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Foaming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Moreover, even if strong shrinkage stress occurs, the adhesive layer can effectively relieve the stress, preventing whitening from occurring due to shrinkage of the optical film (e.g., deflection plate). Furthermore, reworkability (peelability) can also be improved by optimizing the crosslinking density. In this specification, durability refers to the ability to suppress lifting or peeling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optical member adjacent to it, for example,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or in an environment where high and low temperatures are repeated. This refers to properties tha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foaming of the adhesive layer (sometimes called peeling resistance) and properties that can suppress problems such as foaming of the adhesive layer (sometimes called foaming resistance).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hesive fracture resistance refers to a characteristic that can suppress cohesive fracture (or tearing) of the adhesive layer.

식 (a1) 및 식 (a2)에 있어서, X1 및 X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낸다. 이 치환기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알킬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등의 C1-10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6 알킬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C1-3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 아릴기[페닐기, 알킬페닐기(톨릴기, 크실릴기 등)], 아랄킬기(벤질기 등),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의 C1-4 알콕시기), 폴리옥시알킬렌기(예컨대 디옥시에틸렌기 등), 사이클로알콕시기(예컨대 사이클로헥실옥시기 등의 C5-10 사이클로알킬옥시기 등), 아릴옥시기(예컨대 페녹시기 등), 아랄킬옥시기(예컨대 벤질옥시기 등), 알킬티오기(예컨대 메틸티오기, 에틸티오기 등의 C1-4 알킬티오기 등), 사이클로알킬티오기(예컨대 사이클로헥실티오기 등), 아릴티오기(예컨대 티오페녹시기 등), 아랄킬티오기(예컨대 벤질티오기 등), 아실기(예컨대 아세틸기 등), 니트로기, 시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할로겐 원자,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알킬기(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등)가 바람직하다. In formulas (a1) and (a2), X 1 and X 2 represent a methylene group that may have a substituent. Examples of this substituent include halogen atoms (fluorine atom, chlorine atom, bromine atom, iodine atom), alkyl groups (e.g. methyl group, ethyl group, propyl group, isopropyl group, butyl group, s-butyl group, t-butyl group, pentyl group). , C 1-10 alkyl group such as hexyl group, preferably C 1-6 alkyl group, more preferably C 1-3 alkyl group), cycloalkyl group (cyclopentyl group, cyclohexyl group, etc.), aryl group [phenyl group, alkyl group, etc. phenyl group (tolyl group, xylyl group, etc.)], aralkyl group (benzyl group, etc.), alkoxy group (e.g., C 1-4 alkoxy group such as methoxy group, ethoxy group, etc.), polyoxyalkylene group (e.g., deoxyethylene group, etc. ), cycloalkoxy group (e.g., C 5-10 cycloalkyloxy group such as cyclohexyloxy group, etc.), aryloxy group (e.g., phenoxy group, etc.), aralkyloxy group (e.g., benzyloxy group, etc.), alkylthio group (e.g., C 1-4 alkylthio groups such as methylthio groups and ethylthio groups, etc.), cycloalkylthio groups (e.g. cyclohexylthio groups, etc.), arylthio groups (e.g. thiophenoxy groups, etc.), aralkylthio groups (e.g. benzyl) thio group, etc.), acyl group (e.g., acetyl group, etc.), nitro group, cyano group, etc. Among these, halogen atoms, alkyl groups, alkoxy groups, aryloxy groups, etc. are preferable, and alkyl groups (such as methyl groups, ethyl groups, etc.) are especially preferable.

A1 및 A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알킬기는 X1 및 X2에 예시하는 알킬기(바람직하게는 메틸기 등)라도 좋다. A 1 and A 2 each represent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and the 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exemplified by X 1 and X 2 (preferably a methyl group, etc.).

식 (a1)에 있어서,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1∼3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2이다. 또한, 식 (a2)에 있어서, m은 5 이상의 정수(예컨대 5∼2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5∼15(예컨대 5∼11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9(예컨대 5∼7의 정수), 특히 5이다. 또한, m은 5 이상의 짝수(예컨대 6, 8, 10, 12 등)라도 좋고, 5 이상의 홀수(예컨대 5, 7, 9, 11 등)라도 좋다. In formula (a1),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preferably an integer of 1 to 3, and more preferably 2. Furthermore, in formula (a2), m is an integer of 5 or more (e.g., an integer of 5 to 20), preferably 5 to 15 (e.g., an integer of 5 to 11), more preferably 5 to 9 (e.g., an integer of 5 to 7). integer), especially 5. Additionally, m may be an even number of 5 or more (e.g., 6, 8, 10, 12, etc.), or may be an odd number of 5 or more (e.g., 5, 7, 9, 11, etc.).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1)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메틸,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펜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1-하이드록시C1-8알킬;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헥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C2-9알킬;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헵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C3-10알킬;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옥틸 등의 (메트)아크릴산 4-하이드록시C4-11알킬; (메트)아크릴산 2-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클로로-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3-페녹시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구성의 관점에서 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부틸 등의 n이 2인 하이드록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프로필,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부틸, (메트)아크릴산 3-하이드록시펜틸 등의 n이 3인 하이드록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n이 2인 하이드록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이 바람직하다. Specific examples of hydr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a1) include 1-hydroxymethyl (meth)acrylate, 1-hydroxyethyl (meth)acrylate, 1-hydroxyheptyl (meth)acrylate, and (meth)acrylic acid. 1-hydroxyC 1-8 alkyl (meth)acrylic acid such as 1-hydroxybutyl and 1-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2-hydroxyethyl (meth)acrylic acid, 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2-hydroxybutyl (meth)acrylic acid, 2-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2-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etc. (meth)acrylic acid 2-hydroxyC 2-9 alkyl; (meth)acrylic acid 3-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3-hydroxybutyl, (meth)acrylic acid 3-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3-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3-hydroxyheptyl, etc. (meth)acrylic acid 3-hydroxyC 3-10 alkyl; (meth)acrylic acid 4-hydroxybutyl, (meth)acrylic acid 4-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4-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4-hydroxyheptyl, (meth)acrylic acid 4-hydroxyoctyl, etc. (meth)acrylic acid 4-hydroxyC 4-11 alkyl; Examples include 2-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3-chloro-2-hydroxypropyl (meth)acrylic acid, and 2-hydroxy-3-phenoxypropyl (meth)acrylic acid.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hydroxy-containing (meth)acrylates where n is 2 such as 2-hydroxyethyl acrylate, 2-hydroxypropyl (meth)acrylate, and 2-hydroxybutyl (meth)acrylate; Hydroxy-containing (meth)acrylates with n of 3, such as 3-hydroxypropyl (meth)acrylate, 3-hydroxybutyl (meth)acrylate, and 3-hydroxypentyl (meth)acrylate, are preferred. In particular, the hydroxy-containing (meth)acrylate where n is 2 is preferable, and among these, 2-hydroxy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e.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2)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노닐 등의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C5-12알킬;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노닐,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6-하이드록시C6-13알킬;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노닐,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운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7-하이드록시C7-14알킬;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노닐,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운데실,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도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8-하이드록시C8-15알킬;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노닐,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운데실,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도데실,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트리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9-하이드록시C9-16알킬;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데실,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운데실,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도데실, 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C10-17알킬; (메트)아크릴산 11-하이드록시운데실, (메트)아크릴산 11-하이드록시도데실, (메트)아크릴산 11-하이드록시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11-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11-하이드록시펜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0-하이드록시C11-18알킬;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도데실,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트리데실,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2-하이드록시C12-19알킬; (메트)아크릴산 13-하이드록시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13-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13-하이드록시펜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3-하이드록시C13-20알킬; (메트)아크릴산 14-하이드록시테트라데실, (메트)아크릴산 14-하이드록시펜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4-하이드록시C14-21알킬; (메트)아크릴산 15-하이드록시펜타데실, (메트)아크릴산 15-하이드록시헵타데실 등의 (메트)아크릴산 15-하이드록시C15-22알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내구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펜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헥실,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헵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옥틸,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노닐 등의 n이 5인 하이드록시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고, 특히 (메트)아크릴산 5-하이드록시펜틸이 바람직하다. Specific examples of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a2) include 5-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5-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5-hydroxyheptyl (meth)acrylic acid, and (meth)acrylic acid. 5-hydroxyC 5-12 alkyl (meth)acrylic acid, such as 5-hydroxyoctyl and 5-hydroxynonyl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6-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6-hydroxyheptyl, (meth)acrylic acid 6-hydroxyoctyl, (meth)acrylic acid 6-hydroxynonyl, (meth)acrylic acid 6-hydroxydecyl, etc. (meth)acrylic acid 6-hydroxyC 6-13 alkyl; (meth)acrylic acid 7-hydroxyheptyl, (meth)acrylic acid 7-hydroxyoctyl, (meth)acrylic acid 7-hydroxynonyl, (meth)acrylic acid 7-hydroxydecyl, (meth)acrylic acid 7-hydroxyundecyl (meth)acrylic acid 7-hydroxyC 7-14 alkyl; (meth)acrylic acid 8-hydroxyoctyl, (meth)acrylic acid 8-hydroxynonyl, (meth)acrylic acid 8-hydroxydecyl, (meth)acrylic acid 8-hydroxyundecyl, (meth)acrylic acid 8-hydroxydode (meth)acrylic acid 8-hydroxyC 8-15 alkyl such as Sil; (meth)acrylic acid 9-hydroxynonyl, (meth)acrylic acid 9-hydroxydecyl, (meth)acrylic acid 9-hydroxyundecyl, (meth)acrylic acid 9-hydroxydodecyl, (meth)acrylic acid 9-hydroxy (meth)acrylic acid 9-hydroxyC 9-16 alkyl such as tridecyl; 10-hydroxydecyl (meth)acrylic acid, 10-hydroxyundecyl (meth)acrylic acid, 10-hydroxydodecyl (meth)acrylic acid, 10-hydroxytridecyl acrylic acid, 10-hydroxytetradecyl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10-hydroxyC 10-17 alkyl; 11-hydroxyundecyl (meth)acrylic acid, 11-hydroxydodecyl (meth)acrylic acid, 11-hydroxytridecyl (meth)acrylic acid, 11-hydroxytetradecyl (meth)acrylic acid, 11-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10-hydroxyC 11-18 alkyl such as hydroxypentadecyl; (meth)acrylic acid 12-hydroxyC 12-19 alkyl such as 12-hydroxydodecyl (meth)acrylic acid, 12-hydroxytridecyl (meth)acrylic acid, and 12-hydroxytetradecyl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13-hydroxyC 13-20 alkyl such as 13-hydroxypentadecyl (meth)acrylic acid, 13-hydroxytetradecyl (meth)acrylic acid, and 13-hydroxypentadecyl (meth)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14-hydroxyC 14-21 alkyl such as 14-hydroxytetradecyl (meth)acrylic acid and 14-hydroxypentadecyl (meth)acrylic acid; and 15-hydroxyC 15-22 alkyl (meth)acrylic acid, such as 15-hydroxypentadecyl (meth)acrylic acid and 15-hydroxyheptadecyl (meth)acrylic acid.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meth)acrylic acid 5-hydroxypentyl, (meth)acrylic acid 5-hydroxyhexyl, (meth)acrylic acid 5-hydroxyheptyl, (meth)acrylic acid 5-hydroxyoctyl, (meth)acrylic acid ) Hydroxy-containing (meth)acrylates with n of 5, such as 5-hydroxynonyl acrylate, are preferable, and 5-hydroxypentyl (meth)acrylate is especially preferable.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 (a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4.5 중량부가 바람직하고,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0.25∼1.0 중량부가 바람직하다. 또한, 식 (a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와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중량비)은, 상기 범위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a1)/(a2)=13/1∼3/1(예컨대 11/1∼3/1), 더욱 바람직하게는 9/1∼4/1, 특히 7/1∼5/1이라도 좋다. 상기 범위에 있으면, 최적의 가교 구조의 형성에 유리하고, 또한 내구성 등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1) is preferably 1.5 to 4.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formula (a1) is preferably 1.5 to 4.5 parts by weight. The ratio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a2) is preferably 0.25 to 1.0 parts by weight. In addition, the ratio (weight ratio)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1) and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2) is: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as long as it is the above range, but preferably (a1)/(a2) = 13/1 to 3/1 (e.g. 11/1 to 3/1), more preferably 9/1 to 4/1, especially Even 7/1 to 5/1 is fine. If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it is advantageous for forming an optimal crosslinked structure, and properties such as durability can be improved.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3) 유래의 구성 단위 및 치환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a4)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The (meth)acrylic resin (A) may contain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alkyl acrylate (a3) and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substituent-containing alkyl acrylate (a4).

알킬 아크릴레이트(a3) 중,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Tg)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로서는, 예컨대 에틸 아크릴레이트, n- 및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n- 및 i-부틸 아크릴레이트, n-펜틸 아크릴레이트, n- 및 i-헥실 아크릴레이트, n-헵틸 아크릴레이트, n- 및 i-옥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n- 및 i-노닐 아크릴레이트, n- 및 i-데실 아크릴레이트, n-도데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기의 탄소수가 2∼12 정도인 직쇄상 또는 분기쇄상 알킬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알킬 아크릴레이트(a3)는 지환식 구조를 갖는 알킬 아크릴레이트(사이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라도 좋지만, 광학 필름에 대한 추종성(또는 유연성이나 점착성) 등의 관점에서, 탄소수가 2∼10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3∼8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4∼6인 알킬 아크릴레이트, 특히 n-부틸알킬 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n-부틸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면 추종성을 높일 수 있어, 예컨대 내박리성 등이 유리하다. 이들 알킬 아크릴레이트(a3-1)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mong alkyl acrylates (a3), alkyl acrylates (a3-1) having a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less than 0°C include, for example, ethyl acrylate, n- and i-propyl acrylate, n- and i- Butyl acrylate, n-pentyl acrylate, n- and i-hexyl acrylate, n-heptyl acrylate, n- and i-oc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n- and i-nonyl acrylate, Examples include linear or branched alkyl acrylates in which the alkyl group has about 2 to 12 carbon atoms, such as n- and i-decyl acrylate and n-dodecyl acrylate. The alkyl acrylate (a3) may be an alkyl acrylate (cycloalkyl acrylate) having an alicyclic structure, but from the viewpoint of followability to optical films (or flexibility or adhesiveness), alkyl acrylate with 2 to 10 carbon atoms, Preferably alkyl acrylates having 3 to 8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lkyl acrylates having 4 to 6 carbon atoms, and especially n-butylalkyl acrylates are preferred. Using n-butylalkyl acrylate can improve followability, and for example, peeling resistance is advantageous. These alkyl acrylates (a3-1)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로서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알킬 아크릴레이트(예컨대 사이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보로닐 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 아크릴레이트, t-부틸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메틸 아크릴레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메틸 아크릴레이트를 이용하면 강도를 높일 수 있어, 예컨대 응집 파괴에 대하여 유리하다. 이들 알킬 아크릴레이트(a3-2)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킬 아크릴레이트의 호모폴리머의 Tg는, 예컨대 POLYMER HANDBOOK(Wiley-Interscience) 등의 문헌치를 참조할 수 있다. Alkyl acrylates (a3-2) whose homopolymer Tg is 0°C or higher include methyl acrylate, cycloalkyl acrylate (e.g., cyclohexyl acrylate, isoboronyl acrylate), stearyl acrylate, and t-butyl acrylate. and methyl acrylate, and methyl acryl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Using methyl acrylate can increase strength, which is advantageous against, for example, cohesive failure. These alkyl acrylates (a3-2)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dditionally, for the Tg of the alkyl acrylate homopolymer, reference can be made to literature values such as, for example, POLYMER HANDBOOK (Wiley-Interscience).

(메트)아크릴계 수지(A)에 있어서의 알킬 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점착제층의 내구성 및 리워크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40 중량부 이상(예컨대 50∼98 중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이상(예컨대 70∼95 중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중량부 이상(예컨대 80∼90 중량부)이다.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in the (meth)acrylic resin (A) is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and rework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it is 40 parts by weight or more (e.g., 50 to 98 parts by weight), preferably 60 parts by weight or more (e.g., 70 to 9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70 parts by weight or more (e.g., 80 to 90 parts by weight). )am.

호모폴리머의 Tg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호모폴리머의 Tg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병용하면, 내응집파괴성 및 추종성(내발포성 및 내박리성)을 양립할 수 있어, 광학 필름(예컨대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By using an alkyl acrylate with a homopolymer Tg of less than 0°C and an alkyl acrylate with a homopolymer Tg of 0°C or more, both cohesive fracture resistance and followability (foaming resistance and peeling resistance) can be achieved,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optical films (e.g. Polarizer) can improve durability against dimensional changes.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와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중량비)은 (a3-1)/(a3-2)=20/80∼95/5(예컨대 30/70∼90/10), 바람직하게는 40/60∼85/15, 더욱 바람직하게는 55/45∼75/25이다. 상기 범위에 있으면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이 커질수록 추종성이 향상된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이 커질수록 내응집파괴성이 향상된다. The ratio (weight ratio)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ith a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0°C and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2)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C or higher is (a3) -1)/(a3-2)=20/80 to 95/5 (e.g., 30/70 to 90/10), preferably 40/60 to 85/15, more preferably 55/45 to 75/25. am. If it is within the above range,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As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less than 0°C increases, the followability improves. As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2) with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0°C or higher increases, the cohesive fracture resistance improves.

치환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a4)로서는, 예컨대 상기 알킬 아크릴레이트(a3-1)에 있어서의 알킬기에 치환기가 도입된(알킬기의 수소 원자가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 치환기는, 예컨대 아릴기(페닐기 등), 아릴옥시기(페녹시기), 알콕시기(예컨대 메톡시기, 에톡시기 등) 등이라도 좋다. 치환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a3-3)로서는, 예컨대 알콕시알킬 아크릴레이트(예컨대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등), 아릴옥시알킬 아크릴레이트(예컨대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등), 아릴옥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킬 아크릴레이트(a3-3)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릴기나 아릴옥시기 등의 방향환을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함으로써, 내구 시험 시의 편광판의 하얗게 빠지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아릴옥시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알킬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의 알킬렌기는, 예컨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등의 C1-6 알킬렌기(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 등) 등이라도 좋고, 옥시알킬렌기의 반복 단위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층의 내구성의 관점에서, 예컨대 2∼7, 바람직하게는 2∼5(특히 2)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점착제 조성물에 (메트)아크릴계 수지(A) 및 후술하는 가교제(B)를 포함하여, 최적의 가교 구조(또는 가교 밀도)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옥시알킬렌기의 반복 단위의 수가 비교적 작더라도 양호한 리워크성을 보인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등의 페녹시디 내지 헵타C1-3알킬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의 디 내지 헵타C1-3알킬렌-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substituent-containing alkyl acrylate (a4) include alkyl acrylate (a3-1) in which a substituent is introduced into the alkyl group (the hydrogen atom of the alkyl group is replaced by a substituent). This substituent may be, for example, an aryl group (eg, phenyl group), an aryloxy group (phenoxy group), or an alkoxy group (eg, methoxy group, ethoxy group, etc.). Examples of the substituent-containing alkyl acrylate (a3-3) include alkoxyalkyl acrylate (such as 2-methoxyethyl acrylate, ethoxymethyl acrylate, etc.), aryloxyalkyl acrylate (such as phenoxyethyl acrylate, etc.), Aryloxy polyalkylene glycol monoacrylate, polyalkylene glycol mono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These alkyl acrylates (a3-3)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By including an alkyl acrylate containing an aromatic ring such as an aryl group or an aryloxy group, the whitening phenomenon of the polarizing plate during a durability tes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the alkylene groups of aryloxypolyalkylene glycol monoacrylate and polyalkylene glycol monoacrylate include, for example, C 1-6 alkylene groups such as methylene group, ethylene group, propylene group (preferably ethylene group, etc.), etc. Alternatively,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the oxyalkylene group may be, for example, 2 to 7, preferably 2 to 5 (especially 2),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optimal crosslinking structure (or crosslinking density) can be formed by including a (meth)acrylic resin (A) and a crosslinking agent (B) described later in the adhesive composition, the number of repeating units of the oxyalkylene group is Even though it is relatively small, it shows good reworkability. Specifically, for example, phenoxydi to heptaC 1-3 alkylene glycol-acrylate such as phenoxydiethylene glycol acrylate, di to heptaC 1-3 alkylene-monoacrylate such as diethylene glycol mono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치환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30 중량부(예컨대 1∼2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2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부이다.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substituent-containing alkyl acrylate is, for example, 0 to 30 parts by weight (e.g., 1 to 25 parts by weight),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 is 3 to 2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5 to 15 parts by weight.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a1) 및 (a2), 알킬 아크릴레이트(a3) 및 치환기 함유 알킬 아크릴레이트(a4) 이외의 다른 단량체(a5)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단량체(a5)로서는, 하이드록시기 이외의 극성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a5-1),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a5-2), 메타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5-3), 메타크릴아미드계 단량체(a5-4), 스티렌계 단량체(a5-5), 비닐계 단량체(a5-6),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a5-7)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h)acrylic resin (A) is composed of monomers (a5) other than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a1) and (a2), alkyl acrylates (a3), and substituent-containing alkyl acrylates (a4). It may include derived structural units. Other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ther monomers (a5) include monomers having polar functional groups other than hydroxyl groups (a5-1), acrylamide-based monomers (a5-2), methacrylates (methacrylic acid esters) (a5-3), and methacrylamides. A monomer (a5-4), a styrene monomer (a5-5), a vinyl monomer (a5-6), and a monomer (a5-7) having a plurality of (meth)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are included.

하이드록시기 이외의 극성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a5-1)로서는, 카르복실기, 치환 혹은 무치환 아미노기, 에폭시기 등의 복소환기 등의 치환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비닐카프로락탐, N-비닐-2-피롤리돈, 비닐피리딘,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아크릴레이트, 3,4-에폭시사이클로헥실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2,5-디하이드로푸란 등의 복소환기를 갖는 단량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치환 혹은 무치환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카르복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카르복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카르복실기를 갖는 단량체를 들 수 있다. 이들 단량체는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에 적층 가능한 세퍼레이트 필름의 박리성 저하를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아미노기를 갖는 단량체 유래의 구성 단위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미만인 것을 말한다. Examples of the monomer (a5-1) having a polar functional group other than a hydroxy group include (meth)acrylate having a substituent such as a carbox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o group, and a heterocyclic group such as an epoxy group. Specifically, acryloylmorpholine, vinylcaprolactam, N-vinyl-2-pyrrolidone, vinylpyridine, 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caprolactone modified tetrahydrofurfuryl acrylate, 3,4 -Monomers having a heterocyclic group such as epoxycyclohexylmethyl (meth)acrylate, glycidyl (meth)acrylate, and 2,5-dihydrofuran; Monomers having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mino group such as aminoethyl (meth)acrylate, N,N-dimethylaminoethyl (meth)acrylate, and dimethylaminopropyl (meth)acrylate;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such as (meth)acrylic acid, maleic acid, maleic anhydride, fumaric acid, crotonic acid, and carboxyalkyl (meth)acrylate (e.g., carboxyethyl (meth)acrylate, carboxypentyl (meth)acrylate). You can. These monomer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Additionally, from the viewpoin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peelability of the separate film that can be laminated on the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e that it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onomers having an amino group. Here, substantially not included means less than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

본 발명에서는, ITO 부식성을 증대시킨다고 생각되는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유래의 구성 단위(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지 않더라도 높은 내구성을 보이기 때문에, 내구성과 내ITO 부식성을 양립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high durability is shown even if it does not contain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onomers having a carboxyl group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s) that are thought to increase ITO corrosion resistance, durability and ITO corrosion resistance are compatible. You can.

한편,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 유래의 구성 단위[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면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이 적더라도 유효하게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ITO의 부식을 억제하면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dur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In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can be effectively improved even if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is small,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durability while suppressing corrosion of ITO.

카르복실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5.0 중량부 이하(예컨대 0∼3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예컨대 0∼0.8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 이하(예컨대 0.001∼0.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 이하(예컨대 0.005∼0.3 중량부), 특히 0.2 중량부 이하(예컨대 0.01∼0.2중량부), 특히 0.15 중량부 이하(예컨대 0.05∼0.15 중량부)이다. 상한치 이하이면 ITO 부식성을 억제할 수 있고, 하한치 이상이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is, for example, 5.0 parts by weight or less (e.g., 0 to 3 parts by weight),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ate. or less (e.g. 0 to 0.8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5 parts by weight or less (e.g. 0.001 to 0.5 parts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0.3 parts by weight or less (e.g. 0.005 to 0.3 parts by weight), especially 0.2 parts by weight or less ( For example, 0.01 to 0.2 parts by weight), especially 0.15 parts by weight or less (for example, 0.05 to 0.15 parts by weight). If it is below the upper limit, ITO corrosion can be suppressed, and if it is above the lower limit, durability can be improved.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a5-2)로서는, 예컨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N-(3-하이드록시프로필)아크릴아미드, N-(4-하이드록시부틸)아크릴아미드, N-(5-하이드록시펜틸)아크릴아미드, N-(6-하이드록시헥실)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크릴아미드, N-(1,1-디메틸-3-옥소부틸)아크릴아미드, N-[2-(2-옥소-1-이미다졸리디닐)에틸]아크릴아미드, 2-아크릴로일아미노-2-메틸-1-프로판술폰산,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 N-(1-메틸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1-메틸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 N-(2-메틸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별칭: N-(이소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1,1-디메틸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2-메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에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프로폭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1-메틸에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1-메틸프로폭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2-메틸프로폭시)에틸]아크릴아미드[별칭: N-(2-이소부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부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1,1-디메틸에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등. 이들 중,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 N-(부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2-메틸프로폭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acrylamide monomer (a5-2) include N-methylol acrylamide, N-(2-hydroxyethyl)acrylamide, N-(3-hydroxypropyl)acrylamide, and N-(4-hydroxy Butyl)acrylamide, N-(5-hydroxypentyl)acrylamide, N-(6-hydroxyhexyl)acrylamide, N,N-dimethylacrylamide, N,N-diethylacrylamide, N-isopropyl Acrylamide, N-(3-dimethylaminopropyl)acrylamide, N-(1,1-dimethyl-3-oxobutyl)acrylamide, N-[2-(2-oxo-1-imidazolidinyl)ethyl ]Acrylamide, 2-acryloylamino-2-methyl-1-propanesulfonic acid, N-(methoxymethyl)acrylamide, N-(ethoxymethyl)acrylamide, N-(propoxymethyl)acrylamide, N-(1-methylethoxymethyl)acrylamide, N-(1-methylpropoxymethyl)acrylamide, N-(2-methylpropoxymethyl)acrylamide [alias: N-(isobutoxymethyl)acrylamide ], N-(butoxymethyl)acrylamide, N-(1,1-dimethylethoxymethyl)acrylamide, N-(2-methoxyethyl)acrylamide, N-(2-ethoxyethyl)acrylamide , N-(2-propoxyethyl)acrylamide, N-[2-(1-methylethoxy)ethyl]acrylamide, N-[2-(1-methylpropoxy)ethyl]acrylamide, N-[ 2-(2-methylpropoxy)ethyl]acrylamide [alias: N-(2-isobutoxyethyl)acrylamide], N-(2-butoxyethyl)acrylamide, N-[2-(1,1) -dimethylethoxy)ethyl]acrylamide, etc. Among these, N-(methoxymethyl)acrylamide, N-(ethoxymethyl)acrylamide, N-(propoxymethyl)acrylamide, N-(butoxymethyl)acrylamide, N-(2-methylpropyl) Oxymethyl)acrylamide and the like are preferred.

메타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a5-3)로서는, 예컨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직쇄상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i-부틸 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i-옥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분기쇄상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디사이클로펜타닐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도데실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t-부틸사이클로헥실 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모노 또는 디사이클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톡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랄킬 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Methacrylates (methacrylic acid esters) (a5-3) include, for exampl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prop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n-octyl methacrylate, and lauryl methacrylate. linear alkyl methacrylates such as; branched alkyl methacrylates such as i-butyl methacrylate, 2-ethylhexyl methacrylate, and i-octyl methacrylate; Isoborn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dicyclofentanyl methacrylate, cyclododecyl methacrylate, methylcyclohexyl methacrylate, trimethylcyclohexyl methacrylate, t-butylcyclohexyl methacrylate, Mono- or dicycloalkyl methacrylates such as cyclohexylphenyl methacrylate; Alkoxyalkyl methacrylates such as 2-methoxyethyl methacrylate and ethoxymethyl methacrylate; Aralkyl methacrylates such as benzyl methacrylate, etc. can be mentioned.

메타크릴아미드계 단량체(a5-4)로서는, 예컨대 (a5-2)에 기재된 아크릴아미드계 단량체에 대응하는 메타크릴아미드계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ethacrylamide monomer (a5-4) include methacrylamide monomers corresponding to the acrylamide monomers described in (a5-2).

스티렌계 단량체(a5-5)로서는, 예컨대 스티렌; 메틸스티렌, 디메틸스티렌, 트리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디에틸스티렌, 트리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헥실스티렌, 헵틸스티렌, 옥틸스티렌 등의 알킬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요오도스티렌 등의 할로겐화스티렌; 니트로스티렌; 아세틸스티렌; 메톡시스티렌;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styrene-based monomer (a5-5) include styrene; Alkyl styrene, such as methyl styrene, dimethyl styrene, trimethyl styrene, ethyl styrene, diethyl styrene, triethyl styrene, propyl styrene, butyl styrene, hexyl styrene, heptyl styrene, and octyl styrene; Halogenated styrenes such as fluorostyrene, chlorostyrene, bromostyrene, dibromostyrene, and iodostyrene; nitrostyrene; acetylstyrene; methoxystyrene; Divinylbenzene, etc. can be mentioned.

비닐계 단량체(a5-6)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부티르산비닐, 2-에틸헥산산비닐, 라우린산비닐 등의 지방산비닐에스테르; 염화비닐, 브롬화비닐 등의 할로겐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할로겐화비닐리덴; 비닐피리딘, 비닐피롤리돈, 비닐카르바졸 등의 함질소 방향족 비닐;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공역 디엔 단량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vinyl monomer (a5-6) include fatty acid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vinyl propionate, vinyl butyrate, vinyl 2-ethylhexanoate, and vinyl laurate; Vinyl halides such as vinyl chloride and vinyl bromide; Vinylidene halides such as vinylidene chloride; nitrogen-containing aromatic vinyl such as vinylpyridine, vinylpyrrolidone, and vinylcarbazole; Conjugated diene monomers such as butadiene, isoprene, and chloroprene; and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and methacrylonitrile.

분자 내에 복수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a5-7)로서는, 예컨대 1,4-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분자 내에 3개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monomer (a5-7) having multiple (meth)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include 1,4-butanediol di(meth)acrylate, 1,6-hexanediol di(meth)acrylate, and 1,9- Molecules such as nonanedi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di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tetra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tripropylene glycol di(meth)acrylate. A monomer having two (meth)acryloyl groups within it; Monomers having three (meth)acryloyl groups in the molecule, such as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can be mentioned.

또한, 점착제층의 리워크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메타크릴레이트(메타크릴산에스테르)(a5-3), 메타크릴아미드계 단량체(a5-4) 등의 메타크릴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성 단위의 비율(또는 함유량)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구성 단위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이고, 특히 1 중량부 이하라도 좋다. In addi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rework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the (meth)acrylic resin (A) is methacrylate (methacrylic acid ester) (a5-3), methacrylamide monomer (a5-4), etc. It is preferable that the ratio (or content)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system monomer is small. That is, the ratio of this structural unit is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less, more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less, and especially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 Even less than 100 parts by weight is fine.

또한, 다른 단량체(a5)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0 중량부(예컨대 0.001∼10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부(예컨대 0.01∼3 중량부) 정도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other monomers (a5) is, for example, 0 to 2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A). (For example, 0.001 to 10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 to 5 parts by weight (For example, 0.01 to 3 parts by weight).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GPC에 의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예컨대 6.0×105∼2.5×106(예컨대 8.0×105∼2.5×106), 바람직하게는 1.0×106∼2.0×106, 더욱 바람직하게는 1.2×106∼1.8×106(예컨대 1.3×106∼1.6×106)의 범위이다. Mw가 상한치 이하이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에 도공할 때의 도공성의 관점에서 유리하고, Mw가 하한치 이상이면,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에 대한 점착제층의 추종성 향상에 유리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로 나타내어지는 분자량 분포는 통상 2∼10, 바람직하게는 3∼8, 더욱 바람직하게는 4∼6이다. The (meth)acrylic resin (A)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converted to standard polystyrene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for example, 6.0×10 5 to 2.5×10 6 (for example, 8.0×10 5 to 2.5×10 6 ), preferably 1.0×10 6 to 2.0×10 6 , more preferably 1.2×10 6 to 1.8×10 6 (for example, 1.3×10 6 to 1.6×10 6 ). If Mw is below the upper limit, it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coatability when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a substrate, and if Mw is above the lower limit, it is advantageous in improving the follow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to dimensional changes in the optical film.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expressed by the ratio (Mw/Mn) o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is usually 2 to 10, preferably 3 to 8, and more preferably 4 to 6.

또한,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GPC에 있어서의 배출 곡선 상의 Mw가 1.0×103∼2.5×106의 범위에서 단일의 피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크수가 1인 (메트)아크릴계 수지(A)를 이용하면 점착제층의 내구성 향상에 유리하다. Additionally, the (meth)acrylic resin (A) preferably has a single peak in the Mw range of 1.0×10 3 to 2.5×10 6 on the discharge curve in GPC. Using a (meth)acrylic resin (A) with a peak number of 1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the dur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얻어진 배출 곡선의 상기 범위에서 「단일의 피크를 갖는다」란 Mw 1.0×103∼2.5×106의 범위에서 극대치를 하나밖에 갖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GPC 배출 곡선에 있어서 S/N비가 30 이상인 것을 피크라고 정의한다. 또한, GPC 배출 곡선의 피크수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A)의 Mw 및 Mn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GPC 측정 조건에 의해 구할 수 있다. In the above range of the obtained emission curve, “having a single peak” means having only one local maximum in the range of Mw 1.0×10 3 to 2.5×10 6 . In this specification, a peak is defined as an S/N ratio of 30 or more in the GPC discharge curve. Additionally, the number of peaks in the GPC discharge curve and Mw and Mn of the (meth)acrylic resin (A) can be determined by the GPC measurement conditions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아세트산에틸에 용해시켜, 농도 20 중량%의 용액으로 했을 때, 25℃에 있어서의 점도가 20 Pa·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1∼7 Pa·s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 범위의 점도라면, 점착제 조성물을 기재에 도공할 때의 도공성의 관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점도는 브룩필드 점도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When the (meth)acrylic resin (A) is dissolved in ethyl acetate to form a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20% by weight, the viscosity at 25°C is preferably 20 Pa·s or less, and is 0.1 to 7 Pa·s. It is more desirable. A viscosity within this range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coatability when apply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o a substrate. Additionally,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a Brookfield viscometer.

(메트)아크릴계 수지(A)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예컨대 -60∼0℃(예컨대 -50∼-10℃), 바람직하게는 -50∼-2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20℃(예컨대 -40∼-25℃)라도 좋다. 이 범위이면 내구성 향상에 유리하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량계(DSC)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f the (meth)acrylic resin (A) is, for example, -60 to 0 ° C. (for example, -50 to -10 ° C.), preferably -50 to -20 ° C., more preferably -40 to -40 ° C. -20℃ (for example, -40 to -25℃) is also acceptable. This range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durability. Additionally,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measured by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예컨대 용액 중합법, 괴상 중합법, 현탁 중합법, 유화 중합법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으며, 특히 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용액 중합법으로서는, 예컨대 단량체 및 유기 용매를 혼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열중합 개시제를 첨가하고, 40∼90℃(바람직하게는 50∼80℃) 정도의 온도 조건 하에서 3∼15시간 정도 교반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반응 제어를 위해, 중합 중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단량체나 열중합 개시제를 첨가하여도 좋다. 이 단량체나 열개시제는 유기 용매에 첨가한 상태라도 좋다. The (meth)acrylic resin (A) can be produced by known methods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bulk polymerization, suspension polymerization, and emulsion polymerization,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articularly preferable. As a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 for example, a monomer and an organic solvent are mixed,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dd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and the mixture is stirred for about 3 to 15 hours under temperature conditions of about 40 to 90°C (preferably 50 to 80°C). can be mentioned. For reaction control, monomers or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s may be added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during polymerization. This monomer or thermal initiator may be added to an organic solvent.

중합 개시제로서는 열중합 개시제나 광중합 개시제 등이 이용된다. 광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2-하이드록시-2-프로필)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열중합 개시제로서, 예컨대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사이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2,2'-아조비스(2-하이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계 화합물;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 과황산칼륨, 과황산암모늄, 과산화수소 등의 무기 과산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과산화물과 환원제를 병용한 레독스계 개시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etc. are used. Examples of the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include 4-(2-hydroxyethoxy)phenyl(2-hydroxy-2-propyl)ketone. As a thermal polymerization initiator, such as 2,2'-azobisisobutyronitrile, 2,2'-azobis(2-methylbutyronitrile), 1,1'-azobis(cyclohexane-1-carbonitrile) , 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2,2'-azobis(2,4-dimethyl-4-methoxyvaleronitrile), dimethyl-2,2'-azo Azo compounds such as bis(2-methylpropionate) and 2,2'-azobis(2-hydroxymethylpropionitrile); Lauryl peroxide, t-butyl hydroperoxide, benzoyl peroxide, t-butyl peroxybenzoate, cumene hydroperoxide, diisopropyl peroxydicarbonate, dipropyl peroxydicarbonate, t-butyl peroxy Organic peroxides such as neodecanoate, t-butylperoxypivalate, and (3,5,5-trimethylhexanoyl)peroxide; Inorganic peroxides such as potassium persulfate, ammonium persulfate, and hydrogen peroxide can be mentioned. Additionally, a redox-based initiator using a combination of peroxide and a reducing agent can also be used.

중합 개시제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단량체의 총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1∼5 중량부 정도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합은 활성 에너지선(예컨대 자외선 등)에 의한 중합법을 사용하여도 좋다. The ratio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about 0.0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mount of monomer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The polymerization of (meth)acrylic resin may use a polymerization method using active energy rays (for example, ultraviolet rays, etc.).

유기 용매로서는, 예컨대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프로필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등의 지방족 알코올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organic solvents includ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and xylene; esters such as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Aliphatic alcohols such as propyl alcohol and isopropyl alcohol;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and methyl isobutyl ketone can be mentioned.

[1-2] 가교제(B)[1-2] Cross-linking agent (B)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B)를 포함한다. 이 가교제(B)는 (메트)아크릴계 수지(A) 중의 하이드록시기를 포함하는 극성 작용기와 반응한다. 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crosslinking agent (B). This crosslinking agent (B) reacts with a polar functional group including a hydroxy group in the (meth)acrylic resin (A).

가교제(B)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예컨대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에 의한 부가체(어덕트체)이다.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3,5-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모노메틸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A)의 측쇄에 도입된 다른 탄소쇄 길이(n 및 m)를 갖는 하이드록시알킬기의 OH기(히드록실기)와 가교제(B)가 반응하여, 내구성 및 리워크성에 유리한 가교 구조를 형성한다. 특히, 가교제(B)가 상기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상기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강도와 유연성(가요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가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할 수 있고, 또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유리 기판에 적용한 경우뿐만 아니라, 예컨대 ITO 기판에 적용(적층)한 경우에도 높은 내구성을 발현할 수 있다. 또한, 가교제(B)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기 때문에, 가교 속도 및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라이프의 관점에서도 유리하다.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an adduct (adduct) of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with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e.g., glycerin, trimethylolpropane, etc.). Examples of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s include monomethylbenzene diisocyanate such as 2,6-tolylene diisocyanate, 2,4-tolylene diisocyanate, and 3,5-tolylene diisocyanat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linking agent (B) reacts with the OH group (hydroxyl group) of the hydroxyalkyl group having different carbon chain lengths (n and m) introduced into the side chain of the (meth)acrylic resin (A),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durability. Forms a cross-linked structure that is advantageous for rework. In particular, since the crosslinking agent (B) is composed of the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the polyhydric alcohol compound of the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 crosslinked structure with an excellent balance between strength and flexibility can be formed.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will be, and durability can also be improved. In other words, high durability can be achieved not only when applied to a glass substrate, but also when applied (laminated) to, for example, an ITO substrate. Additionally, since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n isocyanate-based compound, it is advantageous from the viewpoint of crosslinking speed and pot lif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가교제(B)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1∼10 중량부(예컨대 0.05∼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3 중량부(예컨대 0.1∼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2∼1 중량부(예컨대 0.3∼0.8 중량부)라도 좋다. 상한치가 작을수록 추종성(또는 내박리성)의 향상에 유리하고, 하한치가 클수록 내응집성(또는 내발포성)이나 리워크성의 향상에 유리하다. The proportion of the crosslinking agent (B) is, for example, 0.01 to 10 parts by weight (e.g., 0.05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3 parts by weight (e.g., 0.1 to 2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0.2 to 1 part by weight (for example, 0.3 to 0.8 parts by weight). The smaller the upper limit, the more advantageous it is for improving followability (or peeling resistance), and the larger the lower limit, the more advantageous it is for improving cohesion resistance (or foaming resistance) or rework resistance.

[1-3] 실란 화합물(C)[1-3] Silane compound (C)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한다. 이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층과 금속층, 투명 전극, 유리 기판 등과의 밀착성(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란 화합물(C)로서는, (메트)아크릴계 수지(A)의 반응성 기(예컨대 히드록실기의 OH기)와 결합 가능한 실란 화합물이면 좋으며, 예컨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비닐트리스(2-메톡시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에톡시디메틸실란, 2-(3,4-에폭시사이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1,3-비스(3'-트리메톡시프로필)우레아 등을 들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 silane compound (C). By including this silane compound (C), the adhesion (or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metal layer, transparent electrode, glass substrate, etc. can be improved. The silane compound (C) may be any silane compound that can bond with the reactive group (for example, the OH group of the hydroxyl group) of the (meth)acrylic resin (A), such as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and vinyltris. (2-methoxy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 Toxydimethylsilane, 2-(3,4-epoxycyclohexyl)ethyltrimethoxysilane, 3-chloropropylmethyldimethoxysilane, 3-chloro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yloxypropyltrimethoxy Silane, 3-mercaptopropyltrimethoxysilane, 1,3-bis(3'-trimethoxypropyl)urea, etc. are mentioned.

또한, 실란 화합물(C)은 실리콘 올리고머 타입의 화합물이라도 좋으며, 이 실리콘 올리고머를 모노머끼리의 조합으로 표기하면, 예컨대 3-머캅토프로필디 또는 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올리고머, 3-머캅토메틸디 또는 트리메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올리고머, 3-머캅토프로필디 또는 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메톡시실란 올리고머, 3-머캅토메틸디 또는 트리에톡시실란-테트라에톡시실란 올리고머 등의 머캅토알킬기 함유 올리고머; 이 머캅토알킬기 함유 올리고머의 머캅토알킬기를, 다른 치환기[3-글리시독시프로필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비닐기, 아미노기 등]로 치환한 올리고머 등을 들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ilane compound (C) may be a silicone oligomer type compound. If this silicone oligomer is expressed as a combination of monomers, for example, 3-mercaptopropyldi or trim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oligomer, 3-mer Captomethyldi or trim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oligomer, 3-mercaptopropyldi or triethoxysilane-tetramethoxysilane oligomer, 3-mercaptomethyldi or triethoxysilane-tetraethoxysilane oligomer oligomers containing mercaptoalkyl groups, such as; Oligomers in which the mercaptoalkyl group of this mercaptoalkyl group-containing oligomer is substituted with other substituents [3-glycidoxypropyl group, (meth)acryloyloxypropyl group, vinyl group, amino group, etc.] can be mentioned.

실란 화합물(C)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식 (c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이라도 좋다. 점착제 조성물이 하기 식 (c1)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면, 밀착성(또는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내박리성이 우수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리워크성도 우수하다. 특히, 고온 환경 하에서 점착제층을 투명 전극(예컨대 ITO 기판 등)에 적용(또는 적층)한 경우에도 밀착성(또는 접착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높은 내구성을 보일 수 있다.The silane compound (C) may preferably be a sila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c1).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s a silan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c1), adhesion (or adhesiveness) can be further improved, and thu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ith excellent peel resistance can be formed. Additionally, the adhesive layer has excellent rework properties. In particular, even when the adhesive layer is applied (or laminated) to a transparent electrode (for example, an ITO substrate, etc.) under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adhesion (or adhesiveness) can be maintained and high durability can be shown.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6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6

(식 중, B는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 또는 탄소수 3∼20의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칸디일기 및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좋으며, R1은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Wherein, B represent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divalent alicyclic hydrocarbon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CH 2 - constituting the alkanediyl group and the alicyclic hydrocarbon group is -O- or - It may be substituted with CO-, R 1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epresents the flag)

식 (c1)에 있어서, B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트리메틸렌기, 테트라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헵타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등의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 사이클로부틸렌기(예컨대 1,2-사이클로부틸렌기), 사이클로펜틸렌기(예컨대 1,2-사이클로펜틸렌기), 사이클로헥실렌기(예컨대 1,2-사이클로헥실렌기), 사이클로옥틸렌기(예컨대 1,2-사이클로옥틸렌기) 등의 탄소수 3∼20의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또는 이들의 알칸디일기 및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CH2-가 -O- 또는 -CO-로 치환된 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B는 탄소수 1∼10의 알칸디일기이다. R1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s-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등의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R1에 예시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i-프로폭시기, 부톡시기, s-부톡시기, t-부톡시기 등의 탄소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바람직한 R2, R3, R4, R5 및 R6은 탄소수 1∼5의 알콕시기이다. 이들 실란 화합물(C)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In formula (c1), B i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such as methylene group, ethylene group, trimethylene group, tetramethylene group, hexamethylene group, heptamethylene group, and octamethylene group; Cyclobutylene group (e.g. 1,2-cyclobutylene group), cyclopentylene group (e.g. 1,2-cyclopentylene group), cyclohexylene group (e.g. 1,2-cyclohexylene group), cyclooctylene group (e.g. 1 divalent alicyclic hydrocarbon groups having 3 to 20 carbon atoms, such as , 2-cyclooctylene group); Or it represents a group in which -CH 2 - constituting the alkanediyl group and the alicyclic hydrocarbon group is substituted with -O- or -CO-. Preferred B i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1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such as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butyl, s-butyl, t-butyl, and pentyl,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s exemplified for R 1 above; Or it represents an alkoxy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such as methoxy group, ethoxy group, propoxy group, i-propoxy group, butoxy group, s-butoxy group, and t-butoxy group. Preferre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alkoxy groups having 1 to 5 carbon atoms. These silane compounds (C)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구체적인 실란 화합물(c1)로서는, 예컨대 (트리메톡시실릴)메탄, 1,2-비스(트리메톡시실릴)에탄, 1,2-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 1,3-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판, 1,3-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판, 1,4-비스(트리메톡시실릴)부탄, 1,4-비스(트리에톡시실릴)부탄, 1,5-비스(트리메톡시실릴)펜탄, 1,5-비스(트리에톡시실릴)펜탄, 1,6-비스(트리메톡시실릴)헥산, 1,6-비스(트리에톡시실릴)헥산, 1,6-비스(트리프로폭시실릴)헥산, 1,8-비스(트리메톡시실릴)옥탄, 1,8-비스(트리에톡시실릴)옥탄, 1,8-비스(트리프로폭시실릴)옥탄 등의 비스(트리C1-5알콕시실릴)C1-10알칸; 비스(디메톡시메틸실릴)메탄, 1,2-비스(디메톡시메틸실릴)에탄, 1,2-비스(디메톡시에틸실릴)에탄, 1,4-비스(디메톡시메틸실릴)부탄, 1,4-비스(디메톡시에틸실릴)부탄, 1,6-비스(디메톡시메틸실릴)헥산, 1,6-비스(디메톡시에틸실릴)헥산, 1,8-비스(디메톡시메틸실릴)옥탄, 1,8-비스(디메톡시에틸실릴)옥탄 등의 비스(디C1-5알콕시C1-5알킬실릴)C1-10알칸; 1,6-비스(메톡시디메틸실릴)헥산, 1,8-비스(메톡시디메틸실릴)옥탄 등의 비스(모노C1-5알콕시-디C1-5알킬실릴)C1-10알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1,2-비스(트리메톡시실릴)에탄, 1,3-비스(트리메톡시실릴)프로판, 1,4-비스(트리메톡시실릴)부탄, 1,5-비스(트리메톡시실릴)펜탄, 1,6-비스(트리메톡시실릴)헥산, 1,8-비스(트리메톡시실릴)옥탄 등의 비스(트리C1-3알콕시실릴)C1-10알칸이 바람직하고, 특히 1,6-비스(트리메톡시실릴)헥산, 1,8-비스(트리메톡시실릴)옥탄이 바람직하다. Specific silane compounds (c1) include, for example, (trimethoxysilyl)methane, 1,2-bis(trimethoxysilyl)ethane, 1,2-bis(triethoxysilyl)ethane, and 1,3-bis(trimethoxysilyl)ethane. Methoxysilyl)propane, 1,3-bis(triethoxysilyl)propane, 1,4-bis(trimethoxysilyl)butane, 1,4-bis(triethoxysilyl)butane, 1,5-bis (trimethoxysilyl)pentane, 1,5-bis(triethoxysilyl)pentane, 1,6-bis(trimethoxysilyl)hexane, 1,6-bis(triethoxysilyl)hexane, 1,6 -Bis(tripropoxysilyl)hexane, 1,8-bis(trimethoxysilyl)octane, 1,8-bis(triethoxysilyl)octane, 1,8-bis(tripropoxysilyl)octane, etc. Bis(triC 1-5 alkoxysilyl)C 1-10 alkane; Bis(dimethoxymethylsilyl)methane, 1,2-bis(dimethoxymethylsilyl)ethane, 1,2-bis(dimethoxyethylsilyl)ethane, 1,4-bis(dimethoxymethylsilyl)butane, 1, 4-bis(dimethoxyethylsilyl)butane, 1,6-bis(dimethoxymethylsilyl)hexane, 1,6-bis(dimethoxyethylsilyl)hexane, 1,8-bis(dimethoxymethylsilyl)octane, Bis(diC 1-5 alkoxyC 1-5 alkylsilyl)C 1-10 alkanes such as 1,8-bis(dimethoxyethylsilyl)octane; Bis(monoC 1-5 alkoxy-diC 1-5 alkylsilyl)C 1-10 alkanes such as 1,6-bis(methoxydimethylsilyl)hexane, 1,8-bis( methoxydimethylsilyl )octane, etc. can be mentioned. Among these, 1,2-bis(trimethoxysilyl)ethane, 1,3-bis(trimethoxysilyl)propane, 1,4-bis(trimethoxysilyl)butane, 1,5-bis(trimethoxysilyl)butane, 1,5-bis(trimethoxysilyl)ethane Bis(triC 1-3 alkoxysilyl)C 1-10 alkanes such as toxysilyl)pentane, 1,6-bis(trimethoxysilyl)hexane, and 1,8-bis(trimethoxysilyl)octane are preferred. , especially 1,6-bis(trimethoxysilyl)hexane and 1,8-bis(trimethoxysilyl)octane.

실란 화합물(C)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1∼10 중량부(예컨대 0.03∼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5∼3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1∼1 중량부(예컨대 0.2∼0.5 중량부)이다. 상한치 이하이면, 점착제층으로부터의 실란 화합물(C)의 블리드아웃의 억제에 유리하고, 하한치 이상이면, 점착제층과 금속층이나 유리 기판 등과의 밀착성(또는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쉽게 되어, 내박리성 등의 향상에 유리하다. The proportion of the silane compound (C) is, for example, 0.01 to 10 parts by weight (e.g., 0.03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5 to 3 parts by weight, more preferably,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is 0.1 to 1 part by weight (for example, 0.2 to 0.5 part by weight). If it is below the upper limit, it is advantageous for suppressing bleed-out of the silane compound (C) from the adhesive layer, and if it is above the lower limit, it becomes easy to improve the adhesion (or adhesion) between the adhesive layer and the metal layer or glass substrate, etc., thereby improving peeling resistance. It is advantageous for improving etc.

[1-4] 대전방지제[1-4] Antistatic agent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도 좋다. 대전방지제를 포함함으로써, 점착제의 대전방지성을 향상(예컨대 이형 필름, 보호 필름 등을 박리했을 때에 생기는 정전기에 의한 문제점 등을 억제)시킬 수 있다. 대전방지제로서는 관용의 것을 들 수 있으며, 이온성 대전방지제가 적합하다.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구성하는 양이온 성분으로서는 유기 양이온, 무기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양이온으로서는, 예컨대 피리디늄 양이온, 이미다졸륨 양이온, 암모늄 양이온, 술포늄 양이온, 포스포늄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양이온으로서는, 예컨대 리튬 양이온, 칼륨 양이온, 나트륨 양이온, 세슘 양이온 등의 알칼리 금속 양이온, 마그네슘 양이온, 칼슘 양이온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 양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구성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무기 음이온 및 유기 음이온 중 어느 것이라도 좋지만, 대전 방지 성능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이 바람직하다. 불소 원자를 포함하는 음이온 성분으로서는, 예컨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음이온(PF6-),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FSO2)2N-], 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음이온[(C6F5)4B-]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대전방지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음이온[(CF3SO2)2N-],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음이온[(FSO2)2N-], 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음이온[(C6F5)4B-]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ntistatic agent. By including an antistatic agent, the antistatic properties of the adhesive can be improved (for example, problems caused by static electricity that occur when peeling off a release film, protective film, etc.) can be improved. Common antistatic agents include common antistatic agents, and ionic antistatic agents are suitable. Cationic components constituting the ionic antistatic agent include organic cations and inorganic cations. Examples of organic cations include pyridinium cation, imidazolium cation, ammonium cation, sulfonium cation, and phosphonium cation. Examples of inorganic cations include alkali metal cations such as lithium cation, potassium cation, sodium cation, and cesium cation, and alkaline earth metal cations such as magnesium cation and calcium cation. The anionic component constituting the ionic antistatic agent may be either an inorganic anion or an organic anion, but an anionic component containing a fluorine atom is preferred because it has excellent antistatic performance. Examples of the anion component containing a fluorine atom include hexafluorophosphate anion (PF 6 -),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anion [(CF 3 SO 2 ) 2 N-], and bis(fluorosulfonyl). Ponyl)imide anion [(FSO 2 ) 2 N-], tetra(pentafluorophenyl)borate anion [(C 6 F 5 ) 4 B-], etc. These antistatic ag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In particular,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anion [(CF 3 SO 2 ) 2 N-], bis(fluorosulfonyl)imide anion [(FSO 2 ) 2 N-], tetra(pentafluoro) The phenyl)borate anion [(C 6 F 5 ) 4 B-] is preferred.

점착제 조성물의 대전 방지 성능의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다고 하는 점에서, 실온에서 고체인 이온성 대전방지제가 바람직하다. Since the antistatic performance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excellent in stability over time, an ionic antistatic agent that is solid at room temperature is preferred.

대전방지제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예컨대 0.01∼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1∼3 중량부라도 좋다. The ratio of the antistatic agent may be, for example,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and more preferably 1 to 3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1-5] 그 밖의 성분[1-5] Other ingredients

점착제 조성물은 용제, 가교 촉매, 자외선 흡수제, 내후 안정제, 점착부여제(tackifier), 가소제, 연화제, 염료, 안료, 무기 필러, 광산란성 미립자 등의 첨가제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 조성물에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고,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켜, 보다 딱딱한 점착제층으로 하는 것도 유용하다. 가교 촉매로서는, 예컨대 헥사메틸렌디아민, 에틸렌디아민, 폴리에틸렌이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이소포론디아민, 트리메틸렌디아민, 폴리아미노 수지 및 멜라민 수지 등의 아민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dditives such as solvents, crosslinking catalysts, ultraviolet absorbers, weathering stabilizers, tackifiers, plasticizers, softeners, dyes, pigments, inorganic fillers, and light-scattering fine particles,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n addition, it is also useful to mix an ultraviolet curable compound in an adhesive composition, form an adhesive layer, and then cure it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obtain a harder adhesive layer. Examples of crosslinking catalysts include amine compounds such as hexamethylenediamine, ethylenediamine, polyethyleneimine, hexamethylenetetramine, diethylenetriamine, triethylenetetramine, isophoronediamine, trimethylenediamine, polyamino resin, and melamine resin. can be mentioned.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제층의 내금속 부식성을 높인다고 하는 관점에서 방청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방청제로서는, 예컨대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 등의 트리아졸계 화합물; 벤조티아졸계 화합물 등의 티아졸계 화합물; 벤질이미다졸계 화합물 등의 이미다졸계 화합물; 이미다졸린계 화합물; 퀴놀린계 화합물; 피리딘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인돌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우레아계 화합물; 나트륨벤조에이트; 벤질머캅토계 화합물; 디-sec-부틸술피드; 및 디페닐술폭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tain a rust inhibitor from the viewpoint of increasing the metal corrosion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Examples of the rust preventive include triazole-based compounds such as benzotriazole-based compounds; Thiazole-based compounds such as benzothiazole-based compounds; Imidazole-based compounds such as benzylimidazole-based compounds; imidazoline-based compounds; Quinoline-based compounds; Pyridine-based compounds; Pyrimidine-based compounds; indole-based compounds; Amine-based compounds; Urea-based compounds; sodium benzoate; Benzylmercapto-based compounds; di-sec-butyl sulfide; and diphenyl sulfoxide.

[2] 점착제층 및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구성 및 제조 방법[2]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 adhesive layer and an optical film equipped with an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표면 활성화 처리(예컨대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 등을 실시함으로써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점착제층은 광학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된다.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n adhesive layer by performing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eg,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etc.). Typically,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되는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광학 필름(10)과 이 광학 필름의 편면에 점착제층(20)이 적층된 광학 필름이다. 이 점착제층(20)은 통상 광학 필름(10)의 표면에 직접 적층된다. 또한, 점착제층(20)은 광학 필름(10)의 양면에 적층되어도 좋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an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shown in FIG. 1 is an optical film in which an optical film 10 and an adhesive layer 20 are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optical film. This adhesive layer 20 is usually laminated directly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Additionally,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optical film 10.

점착제층(20)을 광학 필름(10)의 표면에 적층할 때는, 광학 필름(10)의 접합면 및/또는 점착제층(20)의 접합면에 프라이머층을 형성시키는 것, 또는 상기 표면 활성화 처리(예컨대 플라즈마 처리, 코로나 처리 등)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코로나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20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a primer layer is formed on the bonding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and/or the bonding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or the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is performe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e.g., plasma treatment, corona treatment, etc.), and it is especially preferable to perform corona treatment.

광학 필름(10)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편면 보호 편광판인 경우, 점착제층(20)은 통상 편광자면, 즉 편광자(2)에 있어서의 제1 수지 필름(3)과는 반대쪽 면에 적층(바람직하게는 직접 적층)된다. 광학 필름(10)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양면 보호 편광판인 경우, 점착제층(20)을 제1, 제2 수지 필름(3, 4)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적층하여도 좋고, 양쪽의 외면에 적층하여도 좋다. When the optical film 10 is a single-sided protective polarizer as shown in FIG. 2, the adhesive layer 20 is usually laminated on the polarizer side, that is,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resin film 3 in the polarizer 2. (preferably directly laminated). When the optical film 10 is a double-sided protective polarizing plate as shown in FIG. 3,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and on both sides. It may be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광학 필름(10)과 점착제층(20)의 사이에는 별도로 대전방지층을 마련하여도 좋다. 대전방지층으로서, 폴리실록산 등의 규소계 재료, 주석 도핑 산화인듐, 주석 도핑 산화안티몬 등의 무기 금속계 재료, 폴리티오펜, 폴리스티렌술폰산, 폴리아닐린 등의 유기 고분자계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An antistatic layer may be separately provided between the optical film 10 and the adhesive layer 20. As the antistatic layer, silicon-based materials such as polysiloxane, inorganic metal-based materials such as tin-doped indium oxide and tin-doped antimony oxide, and organic polymer-based materials such as polythiophene, polystyrene sulfonic acid, and polyaniline can be used.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점착제층(20)의 외면에 적층되는 세퍼레이트 필름(박리 필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세퍼레이트 필름은 통상 점착제층(20)의 사용 시(예컨대 투명 도전극이나 유리 기판에의 적층 시)에 박리 제거된다. 세퍼레이트 필름은,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레이트 등의 각종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의 점착제층(20)이 형성되는 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것이라도 좋다.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separate film (release film) lamin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dhesive layer 20. This separate film is usually peeled and removed when the adhesive layer 20 is used (for example, when laminated to a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or a glass substrate). The separate film is, for example, a film made of various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carbonate, and polyate, even if the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layer 20 is formed has been subjected to release treatment such as silicone treatment. good night.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각 성분을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하여 용제 함유의 점착제 조성물로 하고, 이어서 이것을 광학 필름(10)의 표면에 도포·건조하여 점착제층(20)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세퍼레이트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와 같이 하여 점착제층(20)을 형성하고, 이 점착제층(20)을 광학 필름(10)의 표면에 적층(전사)함으로써도 얻을 수 있다.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is prepared by dissolving or dispersing each component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n a solvent to form a solvent-containing adhesive composition, which is then applied and dried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to form an adhesive layer. It can be obtained by forming (20). In addition,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is formed by forming the adhesive layer 20 on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the separate film as described above, and laminating this adhesive layer 20 on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 It can also be obtained by transcription.

점착제층의 두께는 통상 2∼40 ㎛이고,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내구성이나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리워크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3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5 ㎛이다. 상한치 이하이면 광학 필름의 치수 변화에 대한 점착제층의 추종성(또는 추종성)이 양호하게 되고, 하한치 이상이면 리워크성이 양호하게 된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s usually 2 to 40 ㎛, and is preferably 5 to 30 ㎛, more preferably 10 ㎛, from the viewpoint of durability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and reworkability of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etc. It is ∼25 μm. If it is below the upper limit, the adhesive layer will have good followability (or followability) to dimensional changes in the optical film, and if it is above the lower limit, rework will be good.

점착제층은 23∼80℃의 온도 범위에서 0.1∼5 MPa의 저장 탄성률을 보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내구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다. 「23∼80℃의 온도 범위에서 0.1∼5 MPa의 저장 탄성률을 보인다」란, 이 범위의 어느 온도에서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 내의 값임을 의미한다. 저장 탄성률은 통상 온도 상승에 따라 점감하기 때문에, 23℃ 및 80℃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모두 상기 범위 내라면, 이 범위의 온도에 있어서 상기 범위 내의 저장 탄성률을 보인다고 상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시판되는 점탄성 측정 장치, 예컨대 REOMETRIC사 제조의 점탄성 측정 장치「DYNAMIC ANALYZER RDA II」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preferably exhibits a storage modulus of 0.1 to 5 MPa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3 to 80°C. Accordingly, the durability of the optical film equipped with an adhesive layer can be more effectively improved. “Exhibiting a storage elastic modulus of 0.1 to 5 MPa in the temperature range of 23 to 80°C” means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a value within the above range at any temperature in this range. Since the storage elastic modulus usually gradually decreases as the temperature rises, if the storage elastic moduli at 23°C and 80°C are both within the above range, it can be assumed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is within the above range at the temperature in this range.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such as the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YNAMIC ANALYZER RDA II" manufactured by REOMETRIC.

가교 밀도의 한 지표로서 겔분율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소정의 가교 밀도를 갖기 때문에 소정의 겔분율을 보인다. 즉, 상기 점착제층의 겔분율은, 예컨대 50∼95 중량%(예컨대 55∼93 중량%), 바람직하게는 60∼90 중량%(예컨대 65∼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85 중량%(예컨대 80∼85 중량%)라도 좋다. 겔분율이 하한치 이상이면, 점착제층의 내발포성(내응집파괴성)이나 리워크성에 유리하고, 겔분율이 상한치 이하이면 내박리성에 유리하다. 또한, 겔분율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Gel fraction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crosslinking densit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ertain crosslinking density and thus exhibits a certain gel fraction. That is,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layer is, for example, 50 to 95% by weight (eg, 55 to 93% by weight), preferably 60 to 90% by weight (eg, 65 to 90% by weight), more preferably 70 to 85% by weight. % (for example, 80 to 85% by weight) may be sufficient. If the gel fraction is more than the lower limit, it is advantageous for the foaming resistance (cohesive fracture resistance) and rework res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and if the gel fraction is less than the upper limit, it is advantageous for peeling resistance. Additionally, the gel fraction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소정의 점착력을 갖는다. 즉, 유리 기판에 상기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박리 속도 300 mm/분에 있어서, 예컨대 0.5∼25 N(예컨대 0.5∼20 N), 바람직하게는 0.5∼10 N(예컨대 1∼10 N),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N이라도 좋다. 점착력이 하한치 이상이면 점착성(또는 접착성)이 향상되어, 내박리성 등에 유리하고, 점착력이 상한치 이하이면 리워크성에 유리하이다. 또한, 점착력은 실시예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The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That is, the adhesive force of the adhesive layer 24 hours after bonding the adhesive layer to a glass substrate under the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is, for example, 0.5 to 25 N (e.g., 0.5 N) at a peeling speed of 300 mm/min. to 20 N), preferably 0.5 to 10 N (for example, 1 to 10 N), and more preferably 1 to 8 N. If the adhesion is above the lower limit, the adhesion (or adhesiveness) is improved, which is advantageous for peeling resistance, etc., and if the adhesion is below the upper limit, it is advantageous for rework. Additionally, adhesive force can b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section.

[2-1] 광학 필름[2-1] Optical film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을 구성하는 광학 필름(10)은, 액정 표시 장치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들어갈 수 있는 각종 광학 필름(광학 특성을 갖는 필름)이라도 좋다. 이 광학 필름(10)은 단층 구조(예컨대 편광자, 위상차 필름, 휘도 향상 필름, 방현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확산 필름, 집광 필름 등의 광학 기능성 필름 등)라도 좋고, 다층 구조(예컨대 편광판, 위상차판 등)라도 좋다. 광학 필름(10)은 편광판, 편광자, 위상차판 또는 위상차 필름이 바람직하고, 특히 편광판 또는 편광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광학 필름이란, 화상 표시(표시 화면 등)를 위해서 기능하는 필름(예컨대, 화상의 가시성 향상을 위해서 기능하는 필름)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편광판이란 편광자의 적어도 한쪽 면에 수지 필름 또는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의미하고, 위상차판이란 위상차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수지 필름 또는 수지층이 적층된 것을 의미한다. The optical film 10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may be any of various optical films (films with optical properties) that can be used in image 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This optical film 10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e.g., optical functional films such as polarizer, retardation film,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ti-glare film, anti-reflection film, diffusion film, light-collecting film, etc.) or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e.g., polarizer, retardation film, etc.) etc.) is also fine. The optical film 10 is preferably a polarizing plate, polarizer, retardation plate, or retardation film, and particularly preferably a polarizing plate or polarizer.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 optical film means a film that functions for image display (display screen, etc.) (for example, a film that functions to improve the visibility of image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polarizing plate means a resin film or a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a polarizer, and a retardation plate means a resin film or a resin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2-2] 편광판[2-2] Polarizer

도 2 및 도 3은 편광판의 층 구성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편광판(10a)은 편광자(2)의 한쪽 면에 제1 수지 필름(3)이 적층(또는 적층 접합)된 편면 보호 편광판이고, 도 3에 도시되는 편광판(10b)은 편광자(2)의 다른 쪽 면에 추가로 제2 수지 필름(4)이 적층(또는 적층 접합)된 양면 보호 편광판이다.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도시하지 않는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자(2)에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10a, 10b)은 제1, 제2 수지 필름(3, 4) 이외의 다른 필름이나 층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2 and 3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the layer structure of a polarizing plate. The polarizing plate 10a shown in FIG. 2 is a single-sided protection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first resin film 3 is laminated (or laminated bonded) on one side of the polarizer 2, and the polarizing plate 10b shown in FIG. 3 is a polarizer ( It is a double-sided protective polarizing plate in which a second resin film 4 is further laminated (or laminated bonded) on the other side of 2).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2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not shown). Additionally, the polarizing plates 10a and 10b may contain films or layers other than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편광자(2)는, 그 흡수축에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흡수하고, 흡수축에 직교하는(투과축과 평행한) 진동면을 갖는 직선편광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필름이며,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킨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이색성 색소로서는, 예컨대 요오드나 이색성 유기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The polarizer 2 is a film that has the property of absorb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vibration plane parallel to its absorption axis and transmitting linearly polarized light having a vibration plane orthogonal to the absorption axis (parallel to the transmission axis), for example, polyvinyl A film in which a dichroic dye is adsorbed and oriented on an alcohol-based resin film can be used. Examples of dichroic dyes include iodine and dichroic organic dye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아세트산비닐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 올레핀, 비닐에테르, 불포화 술폰산, 암모늄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 등)와 아세트산비닐과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obtained by saponifying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Examples of the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include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monomers copolymerizable with vinyl acetate (e.g.,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lefins, vinyl ethers, unsaturated sulfonic acids, (meth)acrylamide having an ammonium group, etc.) A copolymer with vinyl acetate, etc. can be mentioned.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 몰%, 바람직하게는 98 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 또는 폴리비닐아세탈 등이라도 좋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바람직하게는 1500∼5000이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평균 중합도는 JIS K 6726에 준거하여 구할 수 있다.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85 to 100 mol%, preferably 98 mol% or mor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modified, for example, polyvinyl formal or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usually 1,000 to 10,000, preferably 1,500 to 5,000. Additionally,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determined based on JIS K 6726.

통상,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막한 것을 편광자(2)의 원단 필름으로서 이용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할 수 있다. 원단 필름의 두께는 통상 1∼150 ㎛이고, 연신 용이성 등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이다. Usually,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is used as the raw film of the polarizer 2.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formed into a film by a know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raw film is usually 1 to 150 μm, and considering ease of stretching, etc., it is preferably 10 μm or more.

편광자(2)는, 예컨대 원단 필름에 대하여, 일축 연신하는 공정, 이색성 색소로 필름을 염색하여 그 이색성 색소를 흡착시키는 공정, 붕산 수용액으로 필름을 처리하는 공정 및 필름을 수세하는 공정이 실시되고, 마지막으로 건조되어 제조된다. 편광자(2)의 두께는 통상 1∼30 ㎛이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의 박막화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2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이하, 특히 10 ㎛ 이하이다. The polarizer 2 is, for example, a step of uniaxially stretching the fabric film, a step of dyeing the film with a dichroic dye and adsorbing the dichroic dye, a step of treating the film with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nd a step of washing the film. and finally dried and manufactured.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2 is usually 1 to 30 μm, and from the viewpoint of thinning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it is preferably 20 μm or less, more preferably 15 μm or less, and especially 10 μm or less.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에 이색성 색소를 흡착 배향시켜 이루어지는 편광자(2)는, 1) 원단 필름으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단독 필름을 이용하고, 이 필름에 대하여 일축 연신 처리 및 이색성 색소의 염색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외에, 2) 기재 필름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도공액(수용액 등)을 도공하고, 건조시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을 갖는 기재 필름을 얻은 후, 이것을 기재 필름마다 일축 연신하고, 연신 후의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층에 대하여 이색성 색소의 염색 처리를 실시하고, 이어서 기재 필름을 박리 제거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후술하는 제1, 제2 수지 필름(3, 4)을 구성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노르보넨계 수지 등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다. 상기 2)의 방법을 이용하면, 박막의 편광자(2)의 제작이 용이하게 되고, 예컨대 두께 7 ㎛ 이하의 편광자(2)의 제작도 용이하게 된다. The polarizer 2, which is formed by adsorbing and orienting a dichroic dye on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1) uses a single film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as a raw film, and uniaxially stretching this film and applying the dichroic dye. In addition to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dyeing treatment, 2) coating the base film with a coating solution (aqueous solution, etc.)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drying it to obtain a base film hav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and then applying this to the base film. It can also be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each film, dyeing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layer after stretching with a dichroic dye, and then peeling and removing the base film. As the base film, a film made of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 thermoplastic resin that can form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described later can be used, preferably a polyester resin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It is a film made of polycarbonate-based resin, cellulose-based resin such as triacetylcellulose,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such as norbornene-based resin, and polystyrene-based resin. Using the method of 2) above, it becomes easy to manufacture a thin film polarizer 2, and for example, it also becomes easy to manufacture a polarizer 2 with a thickness of 7 μm or less.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각각 독립적으로, 투광성을 갖는, 바람직하게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노르보넨계 수지 등)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예컨대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의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 (메트)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 공중합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라도 좋다. 이들 중,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각각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및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셀룰로오스계 수지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are each independently made of a light-transmitting, preferably optically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such as chain polyolefin-based resin (polyethylene-based resin, polypropylene-based resin, etc.), cyclic polyolefin-based resin. Polyolefin-based resins such as resins (norbornene-based resins, etc.); Cellulose-based resins (cellulose ester-based resins, etc.); Polyester resin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etc.); polycarbonate-based resins (such as polycarbonates derived from bisphenol such as 2,2-bis(4-hydroxyphenyl)propane); (meth)acrylic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polyetheretherketone-based resin; A film made of polysulfone resin or a mixture or copolymer thereof may be used. Among these,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are preferably films composed of cyclic polyolefin resin, polycarbonate resin, cellulose resin, polyester resin, and (meth)acrylic resin, respectively. ,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film composed of cellulose resin and cyclic polyolefin resin.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등의 쇄상 올레핀의 단독 중합체, 2종 이상의 쇄상 올레핀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linear polyolefin resin include homopolymers of linear olefins such as polyethylene resin and polypropylene resin, and copolymers of two or more types of linear olefins.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넨이나 테트라사이클로도데센(별칭: 디메타노옥타하이드로나프탈렌) 또는 이들의 유도체를 대표예로 하는 환상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서 포함하는 수지의 총칭이다.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서는, 환상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및 그 수소 첨가물, 환상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환상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쇄상 올레핀 또는 비닐기를 갖는 방향족 화합물과의 공중합체, 및 이들을 불포화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로 변성한 변성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환상 올레핀으로서 노르보넨, 다환 노르보넨계 단량체 등의 노르보넨계 단량체를 이용한 노르보넨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Cyclic polyolefin resin is a general term for resins containing cyclic olefins such as norbornene, tetracyclododecene (aka: dimethanooctahydronaphthalene) or their derivatives as polymerized units. Examples of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nclude ring-opening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their hydrogenated product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with chain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or aromatic compounds having a vinyl group, and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thereof. Modified (co)polymers modified with 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s can be mentioned. Among these, norbornene-based resins using norbornene-based monomers such as norbornene and polycyclic norbornene-based monomers as cyclic olefins are preferable.

셀룰로오스계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즉 셀룰로오스의 부분 또는 완전 에스테르화물 등이며, 예컨대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티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The cellulose-based resin is preferably a cellulose ester-based resin, that is, a partially or fully esterified product of cellulose, and examples include acetic acid ester, propionic acid ester, butyric acid ester of cellulose, and mixed esters thereof. Among these, triacetylcellulose, diacetylcellulose, 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ellulose acetate butyrate, etc. are preferable.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상기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 이외의 수지이며, 다가 카르복실산 또는 그 유도체와 다가 알코올과의 중축합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트리메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산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폴리사이클로헥산디메틸나프탈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Polyester-based resin is a resin other than the above cellulose ester-based resin that has an ester bond, and is generally composed of a polycondensate of polyhydric carboxylic acid or its derivative and polyhydric alcohol. Examples of polyester resins include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trimethylene naphthalate, polycyclohexanedimethyl terephthalate, and polycyclohexanedimethylnaphthalate. Phthalates, etc. can be mentioned.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탄산과 글리콜 또는 비스페놀로 형성되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들 중, 내열성, 내후성 및 내산성의 관점에서, 분자쇄에 디페닐알칸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폴리카보네이트로서는, 예컨대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별칭 비스페놀 A),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이소부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등의 비스페놀로부터 유도되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Polycarbonate-based resin is a polyester formed from carbonic acid and glycol or bisphenol. Among these, aromatic polycarbonate having diphenylalkane in the molecular chain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heat resistance, weather resistance, and acid resistance. Examples of polycarbonate include 2,2-bis(4-hydroxyphenyl)propane (aka bisphenol A), 2,2-bis(4-hydroxyphenyl)butane, and 1,1-bis(4-hydroxyphenyl). and polycarbonates derived from bisphenols such as cyclohexane, 1,1-bis(4-hydroxyphenyl)isobutane, and 1,1-bis(4-hydroxyphenyl)ethane.

제1, 제2 수지 필름(3, 4)을 구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주체로 하는(예컨대 이것을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고, 이것에 다른 공중합 성분이 공중합되어 있는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meth)acrylic resin that can constitute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may be a polymer mainly composed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for example, containing 50% by weight or more of this),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a copolymer in which 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s are copolymerized.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유래의 구성 단위를 2종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메타크릴산에스테르로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메타크릴산의 C1∼C4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The (meth)acrylic resin may contain two or more types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acrylic acid ester. Examples of methacrylic acid esters include C 1 to C 4 alkyl esters of methacrylic acid such as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and butyl methacrylate.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공중합할 수 있는 공중합 성분으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아크릴산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의 C1∼C8 알킬에스테르이다. 다른 공중합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메트)아크릴산 등의 불포화산류; 스티렌, 할로겐화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톨루엔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비닐시안 화합물; 무수 말레산, 무수 시트라콘산 등의 불포화 산무수물; 페닐말레이미드, 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불포화 이미드 등의,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개 갖는, 아크릴산에스테르 이외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공중합 성분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that can be copolymerized with methacrylic acid ester includes acrylic acid ester. The acrylic acid ester is preferably a C 1 to C 8 alkyl ester of acrylic acid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Specific examples of other copolymerization components include unsaturated acids such as (meth)acrylic acid;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halogenated styrene, α-methylstyrene, and vinyl toluene; Vinyl cyan compounds such as (meth)acrylonitrile; Unsaturated acid anhydrides such as maleic anhydride and citraconic anhydride; Compounds other than acrylic acid esters that have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molecule include unsaturated imides such as phenylmaleimide and cyclohexylmaleimide. A compound having two or mor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may be used as a copolymerization component. Copolymerization components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메트)아크릴산 수지는, 필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고분자 주쇄에 고리 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고리 구조는 환상 산무수물 구조, 환상 이미드 구조, 락톤환 구조 등의 복소환 구조가 바람직하다. 환상 산무수물 구조의 구체예로서는 무수 글루타르산 구조, 무수 숙신산 구조 등을 들 수 있고, 환상 이미드 구조의 구체예로서는 글루타르이미드 구조, 숙신이미드 구조 등을 들 수 있고, 락톤환 구조의 구체예로서는 부티로락톤환 구조, 발레로락톤환 구조 등을 들 수 있다. The (meth)acrylic acid resin may have a ring structure in the polymer main chain because i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film. The ring structure is preferably a heterocyclic structure such as a cyclic acid anhydride structure, a cyclic imide structure, or a lactone ring structure.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acid anhydride structure include glutaric acid anhydride structure and succinic anhydride structure, specific examples of the cyclic imide structure include glutarimide structure and succinimide structure, and specific examples of the lactone ring structure include A butyrolactone ring structure, a valerolactone ring structure, etc. are mentioned.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필름에의 제막성이나 필름의 내충격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고무 입자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란 아크릴산에스테르를 주체로 하는 탄성 중합체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입자이며, 실질적으로 이 탄성 중합체만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로 된 것이나, 탄성 중합체를 하나의 층으로 하는 다층 구조로 된 것을 들 수 있다. 탄성 중합체의 예로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이것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 및 가교성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가교 탄성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탄성 중합체의 주성분이 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로서는, 예컨대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의 C1∼C8 알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The (meth)acrylic resin may contain acrylic rubber particles from the viewpoint of film forming properties on the film and impact resistance of the film. Acrylic rubber particles are particles containing an elastic polymer mainly composed of acrylic acid ester as an essential component, and may have a single-layer structure substantially composed only of this elastic polymer, or may have a multi-layer structure with the elastic polymer as one layer. Examples of the elastic polymer include a crosslinked elastic copolymer that has alkyl acrylate as a main component and is copolymerized with other copolymerizable vinyl monomers and crosslinkable monomers. Examples of alkyl acrylates that are the main component of the elastic polymer include C 1 to C 8 alkyl esters of acrylic acid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The carbon number of the alkyl group is preferably 4 or more.

아크릴산알킬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개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과 같은 방향족 비닐 화합물, (메트)아크릴로니트릴과 같은 비닐시안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성 모노머로서는, 분자 내에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적어도 2개 갖는 가교성의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부탄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가 알코올의 (메트)아크릴레이트, 알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의 알케닐에스테르, 디비닐벤젠 등을 들 수 있다. Other vinyl monomers that can be copolymerized with alkyl acrylate include compounds having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the molecule, and more specifically,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and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styrene. and vinyl cyan compounds such as (meth)acrylonitrile. Examples of crosslinkable monomers include crosslinkabl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s in the molecule, and more specifically, polyvalent monomers such as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butanediol di(meth)acrylate. Alkenyl esters of (meth)acrylic acid such as (meth)acrylate of alcohol and allyl (meth)acrylate, divinylbenzene, etc. are mentioned.

아크릴계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이상이다. 아크릴계 고무 입자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필름의 표면 경도가 저하하고, 또한 필름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표면 처리제 중의 유기 용제에 대한 내용제성이 저하할 수 있다. 따라서, 아크릴계 고무 입자의 함유량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80 중량부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60 중량부 이하이다. The content of the acrylic rubber particles is preferably 5 parts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10 parts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If the content of acrylic rubber particles is too high, the surface hardness of the film may decrease, and when the film is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the solvent resistance to the organic solvent in the surface treatment agent may decrease. Therefore, the content of acrylic rubber particles is usually 80 parts by weight or less, preferably 60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첨가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유기계 염료, 안료, 무기계 색소, 산화방지제, 대전방지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분산제, 열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살리실산에스테르 화합물, 벤조페논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화합물, 트리아진 화합물, 시아노(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니켈 착염 등을 들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may contain common additive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additives include ultraviolet absorbers, infrared absorbers, organic dyes, pigments, inorganic pigments, antioxidants, antistatic agents, surfactants, lubricants, dispersants, heat stabilizers, etc. Examples of ultraviolet absorbers include salicylic acid ester compounds, benzophenone compounds, benzotriazole compounds, triazine compounds, cyano (meth)acrylate compounds, nickel complex salts, etc.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각각 연신되어 있지 않은 필름, 또는 일축 혹은 이축 연신된 필름 중 어느 것이라도 좋다. 제1 수지 필름(3) 및/또는 제2 수지 필름(4)은 편광자(2)를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보호 필름이라도 좋고,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과 같은 광학 기능을 더불어 갖는 보호 필름이라도 좋다. 또한, 제1 수지 필름(3) 및 제2 수지 필름(4)은 동일한 또는 다른 필름이라도 좋다.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may be either unstretched films or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ed films. The first resin film 3 and/or the second resin film 4 may be a protective film that serves to protect the polarizer 2, or may be a protective film that also has an optical function such as a retardation film to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first resin film 3 and the second resin film 4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ilms.

또한, 제1 수지 필름(3) 및/또는 제2 수지 필름(4)은, 그 외면(편광자(2)와는 반대쪽의 표면)에 하드코트층, 방현층, 반사방지층, 광확산층, 대전방지층, 방오층, 도전층 등의 표면 처리층(코팅층)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상기 제1 수지 필름(3) 및 제2 수지 필름(4)의 두께는 각각 통상 1∼150 ㎛이고, 바람직하게는 5∼100 ㎛(예컨대 5∼60 ㎛),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예컨대 1∼40 ㎛), 나아가서는 30 ㎛ 이하(예컨대 5∼25 ㎛)라도 좋다. In addition, the first resin film 3 and/or the second resin film 4 have a hard coat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 light diffusion layer, an anti-static layer, It may be provided with a surface treatment layer (coating layer) such as an antifouling layer or a conductive layer. The thickness of the first resin film 3 and the second resin film 4 is usually 1 to 150 ㎛, respectively, preferably 5 to 100 ㎛ (for example, 5 to 60 ㎛), more preferably 50 ㎛ or less ( For example, it may be 1 to 40 μm), and further, it may be 30 μm or less (for example, 5 to 25 μm).

특히 스마트폰이나 태블릿형 단말과 같은 중소형용의 편광판에서는, 박막화의 요구 때문에, 제1 수지 필름(3) 및/또는 제2 수지 필름(4)으로서 두께 30 ㎛ 이하의 얇은 것이 이용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러한 편광판은 편광자(2)의 수축력을 억제하는 힘이 약하고, 내구성이 불충분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편광판을 광학 필름(10)으로서 이용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의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양호한 내구성을 갖는다. In particular, in polarizers for small and medium-sized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tablet-type terminals, thin films with a thickness of 30 μm or less are often used as the first resin film 3 and/or the second resin film 4 due to the requirement for thinning. , such a polarizing plate has a weak force for suppressing the shrinkage force of the polarizer 2, and tends to have insufficient durability. Even when such a polarizing plate is used as the optical film 10, the optical film 1 equipped with the adhesive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durability.

제1, 제2 수지 필름(3, 4)은 접착제층이나 점착제층을 통해 편광자(2)에 접합할 수 있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 수계 접착제 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can be bonded to the polarizer 2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As an adhesive for forming the adhesive layer, a water-based adhesive or an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can be used.

수계 접착제로서는, 관용의 수계 접착제(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 수계 이액형 우레탄계 에멀젼 접착제, 알데히드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계 화합물, 메틸올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다가 금속염 등의 가교제 등)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수계 접착제를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수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는, 편광자(2)와 제1, 제2 수지 필름(3, 4)을 접합한 후, 수계 접착제 중에 포함되는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건조시키는 공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 공정 후, 예컨대 20∼45℃ 정도의 온도에서 양생하는 양생 공정을 두어도 좋다. Examples of water-based adhesives include common water-based adhesives (e.g., adhesives made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queous solutions, water-based two-component urethane-based emulsion adhesives, aldehyde compounds, epoxy compounds, melamine-based compounds, methylol compounds, isocyanate compounds, amine compounds, polyvalent metal salts, etc. crosslinking agents, etc.). Among these, a water-based adhesive made of an aqueou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solution can be suitably used. In addition, when using a water-based adhesive, after bonding the polarizer 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it is preferable to perform a drying process to remove water contained in the water-based adhesive. do. After the drying process, a cu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at a temperature of about 20 to 45°C.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란,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경화하는 접착제를 말하며, 예컨대 중합성 화합물 및 광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광반응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바인더 수지 및 광반응성 가교제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이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refers to an adhesive that is cured by irradiating active energy rays such as ultraviolet rays or electron beams, and includes, for example, a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izable compound and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a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photoreactive resin, a binder resin, and A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photoreactive crosslinking agent may be included, and an ultraviolet curable adhesive is preferred.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편광자(2)와 제1, 제2 수지 필름(3, 4)을 접합한 후,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을 행하고, 이어서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경화시키는 경화 공정을 행한다. 활성 에너지선의 광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파장 400 nm 이하에 발광 분포를 갖는 자외선이 바람직하다. When using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after bonding the polarizer 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a drying process is performed as necessary, and then active energy rays are irradiated to form the active energy rays.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to harden the curable adhesive. The light source of the active energy ray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ultraviolet rays having an emission distribution in a wavelength of 400 nm or less are preferable.

편광자(2)와 제1, 제2 수지 필름(3, 4)을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이들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접합면에 비누화 처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 활성화 처리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편광자(2)의 양면에 수지 필름이 접합되는 경우, 이들 수지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는 동종의 접착제라도 좋고 이종의 접착제라도 좋다. As a method of bonding the polarizer 2 and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a method of subjecting at least one of the bonding surfaces to a surface activation treatment such as saponification treatment, corona treatment, or plasma treatment, etc. can be mentioned. When resin films are bonded to both sides of the polarizer 2, the adhesive for bonding these resin films may be of the same type or may be of a different type.

편광판(10a, 10b)은 그 밖의 필름 또는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 구체예는, 후술하는 위상차 필름 외에, 휘도 향상 필름, 방현 필름, 반사 방지 필름, 확산 필름, 집광 필름, 점착제층(20) 이외의 점착제층, 코팅층, 프로텍트 필름 등이다. 프로텍트 필름은 편광판 등의 광학 필름(10)의 표면을 상처나 오물로부터 보호할 목적으로 이용되는 필름이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을, 예컨대 금속층이나 기판 상에 접합한 후, 박리 제거되는 것이 통례이다. The polarizers 10a and 10b may further include other films or layers. Specific examples include, in addition to the retardation film described later, a brightness enhancing film, an anti-glare film, an anti-reflection film, a diffusion film, a light-collecting film, an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adhesive layer 20, a coating layer, and a protection film. The protect film is a film used to protect the surface of the optical film 10, such as a polarizing plate, from scratches and dirt, and is used to peel and remove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for example, after bonding it to a metal layer or a substrate. It is customary to do so.

프로텍트 필름은 통상, 기재 필름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으로 구성된다. 기재 필름은 열가소성 수지, 예컨대 폴리에틸렌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A protective film usually consists of a base film and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it. The base film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such as a polyolefin resin such as polyethylene resin or polypropylene resin;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carbonate-based resin; It can be composed of (meth)acrylic resin, etc.

[2-3] 위상차판[2-3] Phase difference plate

위상차판에 포함되는 위상차 필름은, 상술한 것과 같이 광학 이방성을 보이는 광학 필름이며, 제1, 제2 수지 필름(3, 4)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위에서 예시한 열가소성 수지 외에,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계 수지, 액정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1.01∼6배 정도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연신 필름일 수 있다. 이들 중,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필름이나 환상 올레핀계 수지 필름,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 또는 셀룰로오스계 수지 필름을 일축 연신 또는 이축 연신한 연신 필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로 리타데이션 필름도 위상차 필름에 포함된다(단, 보호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일축성 위상차 필름, 광시야각 위상차 필름, 저광탄성률 위상차 필름 등이라고 불리는 필름도 위상차 필름으로서 적용 가능하다. The retardation film included in the retardation plate is an optical film showing optical anisotropy as described above, and can be used for the first and second resin films 3 and 4, in addition to the thermoplastic resins exemplified above, such as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arylate-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polyethersulfone-based resin, polyvinylidene fluoride/polymethyl methacrylate-based resin, liquid crystal polyester-based resin,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saponified product, polyvinyl chloride It may be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stretching a resin film made of a resin or the like to about 1.01 to 6 times. Among these, a stretched film obtained by uniaxially stretching or biaxially stretching a polycarbonate-based resin film, cyclic olefin-based resin film, (meth)acrylic-based resin film, or cellulose-based resin film is preferable.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 zero retardation film is also included in the retardation film (however, it can also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In addition, films called uniaxial retardation films, wide viewing angle retardation films, low optical modulus retardation films, etc. are also applicable as retardation films.

제로 리타데이션 필름이란, 면내 위상차값(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이 함께 -15∼15 nm인 필름을 말한다. 이 위상차 필름은 IPS 모드의 액정 표시 장치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면내 위상차값(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은 바람직하게는 함께 -10∼10 nm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함께 -5∼5 nm이다. 여기서 말하는 면내 위상차값(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은 파장 590 nm에 있어서의 값이다. A zero retardation film refers to a film in which both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 th ) are -15 to 15 nm. This retardation film is suitably used in IPS mod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 th ) are preferably -10 to 10 nm together, and more preferably -5 to 5 nm together. 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 th ) mentioned here are values at a wavelength of 590 nm.

면내 위상차값(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값(Rth)은 각각 하기 식:The in-plane retardation value (R e )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value (R th ) are each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Re=(nx-ny)×dR e =(n x -n y )×d

Rth=[(nx+ny)/2-nz]×dR th =[(n x +n y )/2-n z ]×d

으로 정의된다. 식 중, nx는 필름 면내의 지상축 방향(x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ny는 필름 면내의 진상축 방향(면내에서 x축에 직교하는 y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nz는 필름 두께 방향(필름면에 수직인 z축 방향)의 굴절율이고, d는 필름의 두께이다. It is defined as In the formula , n It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lm plane),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film.

제로 리타데이션 필름에는,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수지, 쇄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및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위상차값의 제어가 용이하고, 입수도 용이하므로,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또는 (메트)아크릴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For the zero retardation film, for example, a resin film made of polyolefin resin such as cellulose resin, linear polyolefin resin, and cyclic polyolefin res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or (meth)acrylic resin can be used. In particular, cellulose-based resin, polyolefin-based resin, or (meth)acrylic resin is preferably used because the retardation value is easy to control and is easy to obtain.

또한, 액정성 화합물의 도포·배향에 의해서 광학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이나 무기 층상 화합물의 도포에 의해서 광학 이방성을 발현시킨 필름도 위상차 필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위상차 필름에는, 온도 보상형 위상차 필름이라고 불리는 것, 또한 JX 닛고닛세키에네르기(주)로부터 「NH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막대형 액정이 경사 배향된 필름, 후지필름(주)으로부터 「WV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원반형 액정이 경사 배향된 필름, 스미토모카가쿠(주)로부터 「VAC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완전 이축 배향형의 필름, 마찬가지로 스미토모카가쿠(주)로부터 「new VAC 필름」의 상품명으로 판매되고 있는 이축 배향형의 필름 등이 있다. 또한, 위상차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적층되는 수지 필름은, 예컨대 상술한 보호 필름일 수 있다.In addition, a film that exhibits optical anisotropy by application and orientation of a liquid crystalline compound or a film that exhibits optical anisotropy by application of an inorganic layered compound can also be used as a retardation film. Such retardation films include those called temperature-compensated retardation films, films with obliquely oriented rod-shaped liquid crystals sold under the trade name "NH Film" from JX Nippon-Nisseki Energy Co., Ltd., and those sold under the trade name "NH Film" from Fujifilm Co., Ltd. A film with obliquely oriented disc-shaped liquid crystals sold under the trade name of “WV Film”, a fully biaxially oriented film sold under the trade name of “VAC Film” from Sumitomo Chemical Co., Ltd., also from Sumitomo Chemical Co., Ltd. There are biaxially oriented films sold under the brand name “new VAC film.” Additionally, the resin film laminat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tardation film may be, for example, the protective film described above.

[3] 광학 적층체[3] Optical laminate

도 4∼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광학 적층체의 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4 to 8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examples of optical laminates including an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되는 광학 적층체(5)는, 기판(40) 상에 적층된 금속층(30)(또는 금속 배선층(30))을, 상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a)(또는 점착제층을 갖춘 편광판(1a))의 점착제층 측의 면에 적층한 광학 적층체이다. 상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a)은 상기 편광판(10a)의 편광자(2) 측의 면에 점착제층(20)을 적층한 것이다. The optical laminate 5 shown in FIG. 4 includes a metal layer 30 (or a metal wiring layer 30) laminated on a substrate 40 and an optical film 1a with the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It is an optical laminate laminated on the surface on the adhesive layer side of the equipped polarizing plate (1a). The optical film 1a with the adhesive layer is obtained by laminating the adhesive layer 20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10a on the polarizer 2 side.

도 5에 도시되는 광학 적층체(6)는, 기판(40) 상에 적층된 금속층(30)을,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b)(또는 점착제층을 갖춘 편광판(1b))의 점착제층 측의 면에 적층한 광학 적층체이다. 상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b)은 상기 편광판(10b)의 제2 수지 필름(4) 측의 면에 점착제층(20)이 적층된 광학 필름이다. The optical laminate 6 shown in FIG. 5 consists of a metal layer 30 laminated on a substrate 40 and an adhesive layer of an optical film 1b with an adhesive layer (or a polarizing plate 1b with an adhesive layer). It is an optical laminate laminated on the side surface.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1b) is an optical film in which an adhesive layer (20) is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10b) on the side of the second resin film (4).

광학 적층체(5, 6)는, 기판(40) 상에 적층된 금속층(30)에,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a, 1b)을, 점착제층(20)을 통하여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The optical laminates 5 and 6 can be obtained by bonding the optical films 1a and 1b with an adhesive layer to the metal layer 30 laminated on the substrate 40 via the adhesive layer 20.

기판(40) 상에 금속층(30)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스퍼터링법 등을 들 수 있다. 기판(40)은 터치 입력 소자에 포함되는 액정 셀을 구성하는 투명 기판이라도 좋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 기판이다. 이 유리 기판의 재료로서 소다석회 유리, 저알칼리 유리, 무알칼리 유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금속층(30)은 기판(40)의 전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그 일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Examples of a method for forming the metal layer 30 on the substrate 40 include sputtering. The substrate 40 may be a transparent substrate constituting a liquid crystal cell included in the touch input element, and is preferably a glass substrate. As a material for this glass substrate, soda-lime glass, low-alkali glass, alkali-free glass, etc. can be used. The metal layer 30 may be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40 or may be formed on a part of it.

금속층(30)은, 예컨대 알루미늄, 구리, 은, 철, 주석, 아연, 니켈, 몰리브덴, 크롬, 텅스텐, 납 및 이들의 2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합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다. 이들 중, 도전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구리, 은 및 금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고, 도전성 및 비용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원소를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원소를 주성분으로서(금속층(30)을 구성하는 전체 금속 성분의 50 중량% 이상) 포함하는 층이라도 좋다. The metal layer 30 contains at least one metal element selected from, for example, aluminum, copper, silver, iron, tin, zinc, nickel, molybdenum, chromium, tungsten, lead, and alloys containing two or more of these metals. Even the floor that does it is good. Among these, from the viewpoint of conductivity, the layer may preferably contain at least one metal element selected from aluminum, copper, silver, and gold, and from the viewpoint of conductivity and cost, it is more preferable to contain the aluminum element. It may be a layer, and more preferably a layer containing aluminum as a main component (50% by weight or more of the total metal components constituting the metal layer 30).

금속층(30)은, 예컨대 ITO(주석 도핑 산화인듐) 등의 투명 전극층이라도 좋고, 금속층(30)과 함께 ITO 등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투명 전극층을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세선의 금속 배선층을 기판 상에 배치한 메탈 메쉬나 금속 나노 입자, 금속 나노 와이어를 바인더 중에 첨가한 층을 이용하여도 좋다. The metal layer 30 may be, for example,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such as ITO (tin-doped indium oxide), or may have a transparent electrode layer made of a metal oxide such as ITO together with the metal layer 30. Additionally, a metal mesh in which a thin metal wiring layer is arranged on a substrate, or a layer in which metal nanoparticles or metal nanowires are added to a binder may be used.

금속층(30)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박이라도 좋고,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것이라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법,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에 의해 형성된 금속층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에 의해 형성된 금속층이다. 금속층(3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3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8 ㎛ 이하이고, 통상 0.01 ㎛ 이상이다. 또한, 금속층(30)이 금속 배선층(예컨대 메탈 메쉬)인 경우, 그 금속 배선의 선폭은 통상 10 ㎛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이고, 통상 0.5 ㎛ 이상이다. The preparation method of the metal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metal foil, or may be formed by vacuum deposition, sputtering, ion plating, inkjet printing, or gravure printing, but is preferably sputtering or inkjet printing. , It is a metal layer formed by gravure printing, and more preferably, it is a metal layer formed by sputtering.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usually 3 μm or less, preferably 1 μm or less, more preferably 0.8 μm or less, and usually 0.01 μm or more. In addition, when the metal layer 30 is a metal wiring layer (for example, a metal mesh), the line width of the metal wiring is usually 10 μm or less, preferably 5 μm or less, more preferably 3 μm or less, and usually 0.5 μm or more. am.

도 6에 도시되는 광학 적층체(7)는, 기판(40) 상에, 상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의 점착제층(20)을 적층한 광학 적층체이다. The optical laminate 7 shown in FIG. 6 is an optical laminat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20 of the optical film 1 with th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on a substrate 40.

도 7에 도시되는 광학 적층체(8)는, 기판(40) 상에 적층된 금속층(30)의 면 위(기판(40)과 반대쪽 면 위)에 추가로 적층된 수지층(50)을, 상기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의 점착제층(20) 측의 면에 적층한 광학 적층체이다. 수지층(50)을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상기 예시한 제1 또는 제2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The optical laminate 8 shown in FIG. 7 includes a resin layer 50 additionally laminated on the side of the metal layer 30 laminated on the substrate 40 (on the side opposite to the substrate 40), This is an optical laminate laminated on the surface on the adhesive layer 20 side of the optical film 1 provided with the adhesive layer. Examples of the resin forming the resin layer 50 include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rst or second resin film exemplified above.

도 8에 도시되는 광학 적층체(9)는, 기판(40) 상에, 복수의 금속층(30)이 종횡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적층되고, 이 복수의 금속층(30)의 사이(또는 간극) 또한 상기 금속층(30)의 면 위(기판(40)과 반대쪽 면 위)에 수지층(50)이 형성(또는 적층)된 것 이외에는 광학 적층체(7)와 마찬가지다. 상기 광학 적층체(8)의 형태(금속층(30)이 소정 형상으로 패터닝된 형태)인 경우, 금속층(30)은, 예컨대 터치 입력식 액정 표시 장치가 갖는 터치 입력 소자의 금속 배선층(즉 전극층)이라도 좋다. In the optical laminate 9 shown in FIG. 8, a plurality of metal layers 30 are laminated on a substrate 40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re is a gap (or gap) between the plurality of metal layers 30. Additionally, it is the same as the optical laminate 7 except that the resin layer 50 is formed (or laminated) on the surface of the metal layer 30 (on the surface opposite to the substrate 40). When the optical laminate 8 is in a form (a form in which the metal layer 30 is patterned into a predetermined shape), the metal layer 30 is, for example, a metal wiring layer (i.e., an electrode layer) of a touch input element of a touch inpu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t's okay too.

광학 적층체(8)에 있어서, 복수의 금속층(30)은 전체적 또는 부분적으로 점착제층(20)에 접촉하고 있어도 좋고, 접촉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금속층(30)은 상기 금속 또는 합금을 포함하는 연속막이라도 좋다. 또한, 수지층(50)은 생략되어도 좋다. In the optical laminate 8, the plurality of metal layers 30 may be in full or partial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20, or may not be in contact. Additionally, the metal layer 30 may be a continuous film containing the above metal or alloy. Additionally, the resin layer 50 may be omitted.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 1a, 1b)과 기판(40)(유리 기판, 투명 기판 등) 또는 금속층(30)(투명 전극층)을 점착하여 광학 적층체를 제작한 후, 어떠한 문제점이 있었던 경우에는,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기판(40) 또는 금속층(30)으로부터 박리하여, 별도의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을 기판(40) 또는 금속층(30)에 다시 붙이는, 소위 리워크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박리한 후의 유리 기판 또는 투명 전극의 표면에 어두운 부분이나 풀찌꺼기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After manufacturing an optical laminate by adhering the optical film (1, 1a, 1b) with an adhesive layer and the substrate 40 (glass substrate, transparent substrate, etc.) or the metal layer 30 (transparent electrode layer), were there any problems? In this case, the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is peeled off from the substrate 40 or the metal layer 30, and the optical film 1 with a separate adhesive layer is reattached to the substrate 40 or the metal layer 30. There are times when work becomes necessary.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reworkability as dark areas or glue residues are unlikely to occu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or transparent electrode after peeling.

[4] 액정 표시 장치[4]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을 포함하는 것이며, 보다 전형적으로는 상기 광학 적층체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ptical film (1) equipped with an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more typically includes the optical laminate. For this reaso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urability.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 기능을 갖는 터치 입력식 액정 표시 장치라도 좋다. 터치 입력식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을 포함하는 터치 입력 소자와 백라이트를 구비한다. 터치 패널의 구성은 공지된 방식(예컨대 아웃셀형, 온셀형, 인셀형 등)이라도 좋고, 또한 터치 패널의 동작 방식은 공지된 방식[예컨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표면형 정전용량 방식, 투영형 정전용량 방식) 등]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1)은, 터치 입력 소자(액정 셀)의 시인 측에 배치되어도 좋고, 백라이트 측에 배치되어도 좋고, 양쪽에 배치되어도 좋다. 액정 셀의 구동 방식은 TN 방식, VA 방식, IPS 방식, 멀티 도메인 방식, OCB 방식 등, 종래 공지된 어떠한 방식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광학 적층체가 갖는 기판(40)은 상기 액정 셀에 포함되는 기판(전형적으로는 유리 기판)이라도 좋다.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touch inpu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nel function. A touch input typ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touch input element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and a backlight. The configuration of the touch panel may be a known method (e.g., out-cell type, on-cell type, in-cell type, etc.),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touch panel may be a known method (e.g.,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surface type capacitance type, projection). Type electrostatic capacitance method, etc.] is also good. The optical film 1 with an adhesive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laced on the viewing side of the touch input element (liquid crystal cell), may be placed on the backlight side, or may be placed on both sides. The driving method of the liquid crystal cell may be any conventionally known method, such as TN method, VA method, IPS method, multi-domain method, OCB method, etc. In addition,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bstrate 40 included in the optical laminate may be a substrate included in the liquid crystal cell (typically a glass substrate).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사용량, 함유량을 나타내는 부 및 %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중량 기준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sh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Hereinafter, parts and percentages indicating usage amount and content are based on weight, unless otherwise specified.

<제조예 1: 점착제층용 (메트)아크릴계 수지(A-1)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meth)acrylic resin (A-1) for adhesive layer>

냉각관, 질소 도입관, 온도계 및 교반기를 갖춘 반응 용기에, 표 1에 나타내는 조성(표 1의 수치는 중량부이다.)의 단량체를 아세트산에틸 81.8 부와 혼합하여 얻어진 용액을 넣었다. 반응 용기 내의 공기를 질소 가스로 치환한 후, 내부 온도를 60℃로 하였다. 그 후,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2 부를 아세트산에틸 10 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첨가하였다. 1시간 같은 온도에서 유지한 후, 내부 온도를 54∼56℃로 유지하면서, 첨가 속도 17.3 부/Hr로 아세트산에틸을, 중합체의 농도가 거의 35%가 되도록 반응 용기 내에 연속적으로 가하였다. 아세트산에틸의 첨가 시작에서부터 12시간 경과할 때까지 내부 온도를 54∼56℃로 유지한 후, 아세트산에틸을 추가로 가하여 중합체의 농도가 20%가 되도록 조정하여, (메트)아크릴계 수지(A-1)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수지(A-1)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39만, 중량 평균 분자량(Mw)과 수평균 분자량(Mn)의 비(Mw/Mn)는 5.32였다. A solution obtained by mixing a monomer with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the values in Table 1 are parts by weight) with 81.8 parts of ethyl acetate was placed in a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cooling pipe, a nitrogen introduction pipe, a thermometer, and a stirrer. After replacing the air in the reaction vessel with nitrogen gas, the internal temperature was set to 60°C. After that, a solution in which 0.12 parts of azobisisobutyronitrile was dissolved in 10 parts of ethyl acetate was added. After maintaining the same temperature for 1 hour, while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t 54 to 56°C, ethyl acetate was continuously added into the reaction vessel at an addition rate of 17.3 parts/Hr so that the polymer concentration was approximately 35%. After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t 54-56°C until 12 hours have elapsed from the start of adding ethyl acetate, additional ethyl acetate was added to adjust the polymer concentration to 20%, and the (meth)acrylic resin (A-1) was added. ), an ethyl acetate solution was obtained.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f the obtained (meth)acrylic resin (A-1) was 1.39 million, and the ratio (Mw/Mn) betwee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the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was 5.32.

<제조예 2-12: 점착제층용 (메트)아크릴계 수지(A-2∼12)의 제조> <Preparation Example 2-12: Preparation of (meth)acrylic resin (A-2 to 12) for adhesive layer>

단량체의 조성을 표 1에 나타내는 조성으로 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1과 같은 식으로 하여 (메트)아크릴계 수지(A-2∼12)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을 얻었다(수지 농도: 20%).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수지(A-2∼12)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모두 130만∼150만의 범위이고, Mw/Mn은 4∼6의 범위였다. An ethyl acetate solution of (meth)acrylic resins (A-2 to 1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oduction Example 1 except that the monomer composition was changed to the composition shown in Table 1 (resin concentration: 20%).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s (Mw) of the obtained (meth)acrylic resins (A-2 to 12) were all in the range of 1.3 million to 1.5 million, and Mw/Mn was in the range of 4 to 6.

위의 제조예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Mw) 및 수평균 분자량(Mn)은 GPC 장치에 컬럼으로서 도소(주) 제조의 「TSKgel XL」을 4개 및 쇼와덴코(주) 제조의 「Shodex GPC KF-802」를 1개 합계 5개를 직렬로 이어 배치하고, 용리액으로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이용하여, 시료 농도 5 mg/mL, 시료 도입량 100 μL, 온도 40℃, 유속 1 mL/분의 조건으로 표준 폴리스티렌 환산에 의해 측정하였다. GPC의 배출 곡선을 얻을 때의 조건도 이와 같게 하였다.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and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were measured using four columns of "TSKgel XL" manufactured by Tosoh Corporation and "Shodex" manufactured by Showa Denko Co., Ltd. as columns in the GPC apparatus. A total of five GPC KF-802's were placed in series, using tetrahydrofuran as an eluent,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sample concentration of 5 mg/mL, sample introduction amount of 100 μL, temperature of 40°C, and flow rate of 1 mL/min. It was measured by standard polystyrene conversion. The conditions for obtaining the GPC emission curve were also the same.

유리 전이 온도(Tg)는, 에스아이아이·나노테크놀로지(주) 제조의 시차 주사 열량계(DSC)「EXSTAR DSC6000」를 이용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측정 온도 범위 -80∼50℃, 승온 속도 10℃/분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was measured under a nitrogen atmosphere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 "EXSTAR DSC6000" manufactured by SI Nanotechnology Co., Ltd., with a temperature range of -80 to 50°C and a temperature increase rate of 10°C/ It was measured under conditions of minutes.

각 제조예에 있어서의 단량체의 조성(표 1의 수치는 중량부이다.)을 표 1에 나타냈다.The composition of the monomers (the values in Table 1 are in parts by weight) in each production example are shown in Table 1.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7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7

표 1의 「단량체 조성」란에 있는 약칭은 다음의 모노머를 의미한다. Abbreviated names in the “Monomer Composition” column of Table 1 refer to the following monomers.

BA: 부틸 아크릴레이트(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54℃)BA: Butyl acryl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homopolymer: -54°C)

MA: 메틸 아크릴레이트(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 10℃)MA: Methyl acrylat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homopolymer: 10°C)

HEA: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HEA: 2-hydroxyethyl acrylate

4HBA: 4-하이드록시부틸 아크릴레이트4HBA: 4-hydroxybutyl acrylate

5HPA: 5-하이드록시펜틸 아크릴레이트5HPA: 5-hydroxypentyl acrylate

PEA: 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PEA: Phenoxyethyl acrylate

PEA2: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아크릴레이트 PEA2: Phenoxydiethylene glycol acrylate

BMAA: 부톡시메틸 아크릴아미드 BMAA: Butoxymethyl acrylamide

AA: 아크릴산AA: Acrylic acid

<실시예 1∼12, 비교예 1∼9><Examples 1 to 12, Comparative Examples 1 to 9>

(1) 점착제 조성물의 조제(1) Preparation of adhesive composition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아세트산에틸 용액(수지 농도: 20%)에, 상기 용액의 고형분 100 부에 대하여, 표 2에 나타내는 양(중량부)의 가교제(B), 실란 화합물(C) 및 이온성 화합물(D)을 혼합하고, 추가로 고형분 농도가 14%가 되도록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얻었다. 표 2에 나타내는 각 배합 성분의 배합량은 사용한 상품이 용제 등을 포함하는 경우는 거기에 포함되는 유효 성분으로서의 중량부수이다. To the ethyl acetate solution (resin concentration: 20%) of the (meth)acrylic resin obtained in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 C) and ionic compound (D) were mixed, and ethyl acetate was added so that the solid content concentration was 14% to obtain an adhesive composition. The mixing amount of each compounding ingredient shown in Table 2 is the weight number of active ingredients contained in the product used if it contains a solvent, etc.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8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8

표 2에 있어서 약칭으로 나타내는 각 배합 성분의 상세는 다음과 같다. The details of each compounding component indicated by abbreviation in Table 2 are as follows.

(가교제) (Cross-linking agent)

B-1: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75%), 도소(주)로부터 입수한 상품명 「콜로네이트 L」. B-1: Ethyl acetate solut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75%) of trimethylolpropane adduct of tolylene diisocyanate, brand name “Colonate L” obtained from Tosoh Co., Ltd.

B-2: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틸올프로판 어덕트체의 아세트산에틸 용액(고형분 농도 75%), 미쓰이카가쿠(주)로부터 입수한 상품명 「타케네이트 D-110N」. B-2: Ethyl acetate solution (solid content concentration 75%) of trimethylolpropane adduct of xylylene diisocyanate, brand name “Takenate D-110N” obtained from Mitsui Chemicals Co., Ltd.

(실란 화합물) (Silane compound)

C-1: 1,6-비스(트리메톡시실릴)헥산, C-2: 1,8-비스(트리메톡시실릴)헥산, C-3: 메틸기/메톡시기 함유 실리콘 올리고머, 신에츠카가쿠고교(주)로부터 입수한 상품명 「X-40-9250」, C-4: 1,3-비스(3'-트리메톡시프로필)우레아. C-1: 1,6-bis(trimethoxysilyl)hexane, C-2: 1,8-bis(trimethoxysilyl)hexane, C-3: Silicone oligomer containing methyl group/methoxy group, Shin-Etsu Chemical Co., Ltd. Product name "X-40-9250", C-4: 1,3-bis(3'-trimethoxypropyl)urea obtained from Co., Ltd.

(이온성 화합물) (ionic compound)

D-1: N-데실피리디늄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D-2: 칼륨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D-3: 리튬 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 D-4: N-데실피리디늄 테트라(펜타플루오로페닐)보레이트. D-1: N-decylpyridinium bis(fluorosulfonyl)imide, D-2: Potassium bis(fluorosulfonyl)imide, D-3: Lithium bis(trifluoromethylsulfonyl)imide De, D-4: N-decylpyridinium tetra(pentafluorophenyl)borate.

(2) 점착제층의 제작(2) Production of adhesive layer

상기 (1)에서 조제한 각 점착제 조성물을, 이형 처리가 실시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트 필름[린텍(주)로부터 입수한 상품명 「PLR-382051」]의 이형 처리면에, 애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건조 후의 두께가 20 ㎛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제층(점착제 시트)을 제작하였다. Each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1) above was dried using an applicator on the release-treated surface of a separate film mad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to which release treatment had been performed (trade name "PLR-382051" obtained from Lintech Co., Ltd.). It was applied to a thickness of 20 ㎛ and dried at 100°C for 1 minute to produce an adhesive layer (adhesive sheet).

(3)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P-1)의 제작(3) Production of optical film (P-1) with adhesive layer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두께 60 ㎛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주)쿠라레 제조의 상품명 「쿠라레비닐론 VF-PE#6000」]을, 37℃의 순수에 침지한 후, 요오드와 요오드화칼륨을 포함하는 수용액(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중량비)=0.04/1.5/100)에 30℃에서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과 붕산을 포함하는 수용액(요오드화칼륨/붕산/물(중량비)=12/3.6/100)에 56.5℃에서 침지하였다. 필름을 10℃의 순수로 세정한 후, 8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두께 약 23 ㎛의 편광자를 얻었다. 연신은 주로 요오드 염색 및 붕산 처리의 공정에서 행하고, 토탈 연신 배율은 5.3배였다. A polyvinyl alcohol film with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about 2400,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and a thickness of 60 ㎛ (trade name “Kurare Vinylon VF-PE#6000” manufactured by Kuraray Co., Ltd.) was immersed in pure water at 37°C, followed by iodine. and potassium iodide (iodine/potassium iodide/water (weight ratio) = 0.04/1.5/100) at 30°C. After that, it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 potassium iodide and boric acid (potassium iodide/boric acid/water (weight ratio) = 12/3.6/100) at 56.5°C. After washing the film with pure water at 10°C, it was dried at 85°C to obtain a polarizer with a thickness of about 23 μm in which iodine was adsorbed and oriented on polyvinyl alcohol. Stretching was mainly carried out in the steps of iodine dyeing and boric acid treatment, and the total stretching ratio was 5.3 times.

얻어진 편광자의 편면에, 두께 25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보호 필름[코니카미놀타옵트(주) 제조의 상품명 「KC2UA」]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통하여 접합하였다. 이어서 상기 편광자에 있어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과는 반대쪽 면에, 두께 23 ㎛의 환상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제로 위상차 필름[닛폰제온(주) 제조의 상품명 「ZEONOR」]을,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를 통해 접합시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어서, 제로 위상차 필름에 있어서의 편광자가 접하는 면과는 반대쪽 면에, 밀착성 향상을 위한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후, 상기 (2)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의 세퍼레이트 필름과는 반대쪽 면(점착제층면)을 라미네이터에 의해 접합시킨 후, 온도 23℃, 상대 습도 65%의 조건으로 7일간 양생하여,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P-1)을 얻었다. A transparent protective film made of a triacetylcellulose film with a thickness of 25 μm (trade name “KC2UA”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Opt Co., Ltd.) was bonded to one side of the obtained polarizer through an adhesive made of an aqueous solution of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Next, on the side opposite to the triacetylcellulose film in the polarizer, a zero retardation film made of cyclic polyolefin resin with a thickness of 23 μm (trade name “ZEONOR”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 Ltd.) wa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polarizer.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bonding using an adhesive made of an aqueous solution. Next, corona discharge treatment to improve adhesion was performed on the side of the zero retardation film opposite to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polarizer, and then the side (adhesive layer side) opposite to the separate film of the adhesive layer produced in (2) above. After bonding with a laminator, curing was performed for 7 days at a temperature of 23°C and a relative humidity of 65% to obtain an optical film (P-1) with an adhesive layer.

(4)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내구성 평가(4) Durability evaluation of optical films with adhesive layer

상기 (3)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P-1)을, 편광판의 연신축 방향이 긴 변이 되도록 300 mm×220 mm의 크기로 재단하여 세퍼레이트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면을 유리 기판 또는 ITO(주석 도핑 산화인듐)을 갖춘 유리 기판에 접합하였다. 얻어진 유리 기판이 접착된 시험편(유리 기판이 접착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오토클레이브 중, 온도 50℃, 압력 5 kg/㎠(490.3 kPa)에서 20분간 가압하였다. 유리 기판에는, 코닝사 제조의 무알칼리 유리 상품명 「Eagle XG」을 사용하였다. 또한, ITO을 갖춘 유리 기판으로서, 코닝사 제조의 무알칼리 유리[상품명 「Eagle XG」]에, ITO 증착에 의해서 30 nm의 ITO층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The optical film (P-1) with an adhesive layer prepared in (3) above was cut into a size of 300 mm It was bonded to a glass substrate or a glass substrate with ITO (tin-doped indium oxide). The obtained test piece to which the glass substrate was bonded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to which the glass substrate was bonded) was pressurized in an autoclave at a temperature of 50°C and a pressure of 5 kg/cm2 (490.3 kPa) for 20 minutes. For the glass substrate, alkali-free glass brand name "Eagle XG" manufactured by Corning Corporation was used. Additionally, as a glass substrate with ITO, a 30 nm ITO layer was used on alkali-free glass (product name "Eagle

얻어진 광학 적층체에 관해서 다음 3종의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The following three types of durability tests were performed on the obtained optical laminate.

[내구성 시험][Durability Test]

·온도 95℃의 건조 조건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는 내열 시험(유리 기판),·Heat resistance test (glass substrate) maintained for 1000 hours under dry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95°C,

·온도 95℃의 건조 조건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는 내열 시험(ITO을 갖춘 유리),·Heat resistance test maintained for 1000 hours under dry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95℃ (glass with ITO),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환경 하에서 1000시간 유지하는 내습열 시험(유리 기판), · Moist and heat resistance test (glass substrate) maintained for 1000 hours in an environment with a temperature of 6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온도 85℃의 건조 조건 하에서 30분 유지하고, 이어서 온도 -40℃의 건조조건 하에서 30분 유지하는 조작을 1 사이클로 하여, 이것을 1000 사이클 반복하는 내히트쇼크(HS) 시험(유리 기판). · Heat shock resistance (HS) test (glass substr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holding for 30 minutes under dry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85°C, and then holding for 30 minutes under dry conditions at a temperature of -40°C is one cycle, and this is repeated 1000 cycles.

각 시험 후의 광학 적층체를 눈으로 관찰하여, 점착제층의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의 유무를 눈으로 관찰하고,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내구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The optical laminate after each test was visually observ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changes in appearance such as lifting, peeling, or foaming of the adhesive layer, and durability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5: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 5: No changes in appearance such as lifting, peeling, foaming, etc. are observed.

4: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4: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foaming, etc. are hardly visible.

3: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약간 눈에 띈다, 3: Slightly noticeable changes in appearance such as lifting, peeling, foaming, etc.

2: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눈에 띈다, 2: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and foaming are noticeable.

1: 들뜸, 벗겨짐, 발포 등의 외관 변화가 현저히 인정된다. 1: Appearance changes such as lifting, peeling, and foaming are significantly recognized.

(5)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점착력 평가(5) Evaluation of adhesive strength of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상기 (3)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P-1)을, 25 mm×150 mm 크기의 시험편으로 재단하였다. 시험편으로부터 세퍼레이터를 벗겨내고, 그 점착제면을 유리 기판에 접착하였다. 얻어진 유리 기판이 접착된 시험편(유리 기판이 접착된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을, 오토클레이브 중, 온도 50℃, 압력 5 kg/㎠(490.3 kPa)로 20분간 가압하였다.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속에서 24시간 보관한 후에, 시험편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층과 함께 300 mm/분의 속도로 180° 방향으로 박리하였다. 박리 시의 평균 박리력을 점착력으로서 표 3에 나타낸다. 점착력이 10 N 이하인 경우에는 리워크성이 우수하고, 또한 0.5 N 이상인 경우에는 편광판 단부로부터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벗겨짐이 생기기 어렵다. The optical film (P-1) with an adhesive layer produced in (3) above was cut into test pieces of 25 mm x 150 mm in size. The separator was peeled off from the test piece, and the adhesive side was adhered to the glass substrate. The obtained test piece to which the glass substrate was bonded (optical film with an adhesive layer to which the glass substrate was bonded) was pressurized in an autoclave at a temperature of 50°C and a pressure of 5 kg/cm2 (490.3 kPa) for 20 minutes. After being stored for 24 hours in an atmosphere of 23°C and 50% relative humidity, the optical film was peeled from the test piece along with the adhesive layer in a 180° direction at a speed of 300 mm/min. The average peel force during peeling is shown in Table 3 as adhesive force. When the adhesive force is 10 N or less, reworkability is excellent, and when the adhesive force is 0.5 N or more, peeling is unlikely to occur even when subjected to an impact from the edge of the polarizing plate.

[광학 적층체의 ITO 부식성 평가] [Evaluation of ITO corrosion of optical laminate]

ITO층을 갖춘 유리 기판의 ITO층 표면의 표면 저항(시험 전 표면 저항치)을 저저항율계[미쓰비시카가쿠아나리테크(주) 제조의 상품명 「로레스타 AX」]로 측정하였다. 이어서, 상기 (3)에서 제작한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20 mm×40 mm 크기의 시험편으로 재단하여, 유리 기판의 ITO층 측에 점착제층을 통해 점착하였다. 얻어진 광학 적층체를 온도 60℃, 상대 습도 90%의 오븐 속에서 500시간 보관한 후,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분위기 하에서 ITO층과 점착제층 사이에서 박리하였다. 박리 후의 ITO층의 표면 저항(시험 후 표면 저항치)을 측정하였다. 시험 전후의 저항 변화율을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저항 변화율이 작을수록 ITO 부식성이 낮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The surface resistance (surface resistance value before test) of the ITO layer surface of the glass substrate with an ITO layer was measured with a low resistivity meter (trade name "Loresta AX"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Next, the polarizing plate with the adhesive layer prepared in (3) above was cut into a test piece of 20 mm x 40 mm in size and adhered to the ITO layer side of the glass substrate through the adhesive layer. The obtained optical laminate was stored in an oven at a temperature of 60°C and a relative humidity of 90% for 500 hours, and then peeled between the ITO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in an atmosphere of a temperature of 23°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The surface resistance of the ITO layer after peeling (post-test surface resistance value) was measured. The resistance change rate before and after the test was calculated using the formula below and evalua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The smaller the resistance change rate, the lower the corrosiveness of ITO.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저항 변화율(%)=[(시험 후 표면 저항치)-(시험 전 표면 저항치)]/[시험 전 표면 저항치]×100Resistance change rate (%) = [(surface resistance value after test) - (surface resistance value before test)]/[surface resistance value before test] × 100

〈ITO 부식성의 평가 기준〉〈Evaluation criteria for ITO corrosiveness〉

○: 저항 변화율이 50% 미만이고, ITO 부식성이 양호한 광학 적층체이다. ○: An optical laminate with a resistance change rate of less than 50% and good ITO corrosion resistance.

×: 저항 변화율이 50% 이상이고, 광학 적층체의 ITO 부식성은 불량이다. ×: The resistance change rate is 50% or more, and the ITO corrosiveness of the optical laminated body is poor.

(6)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의 대전방지성 평가(6) Evaluation of antistatic properties of optical films with adhesive layer

얻어진 점착제층을 갖춘 편광 필름의 세퍼레이터를 박리한 후에, 점착제의 표면 저항치를 표면 고유 저항 측정 장치[미쓰비시카가쿠(주) 제조의 「하이레스타-up MCP-HT450」(상품명)]에 의해 측정하였다. 인가 전압 250 V, 인가 시간 10초의 측정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표면 저항치가 1.0×1012 Ω/□ 이하라면 양호한 대전방지성을 얻을 수 있다. After peeling off the separator of the polarizing film with the obtained adhesive layer, the surface resistance value of the adhesive was measured with a surface specific resistance measuring device (“Hiresta-up MCP-HT450” (brand name)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 The measurement was conducted under the conditions of an applied voltage of 250 V and an application time of 10 seconds. If the surface resistance is 1.0×10 12 Ω/□ or less, good antistatic properties can be obtained.

[점착제 시트의 겔분율][Gel fraction of adhesive sheet]

본 발명의 점착제 시트의 겔분율 평가 방법을 기재한다. 겔분율이 클수록 점착제 속에서 많은 가교 반응이 진행되게 되어, 가교 밀도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겔분율은 이하의 (1)∼(4)에 따라서 측정되는 값이다. A method for evaluating the gel fraction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The larger the gel fraction, the more crosslinking reactions proceed in the adhesive, which can be used as a standard for crosslinking density. The gel fraction is a value measured according to (1) to (4) below.

(1) 약 8 cm×약 8 cm 면적의 점착제 시트와 약 10 cm×약 10 cm의 SUS304로 이루어지는 금속 메쉬(그 중량을 Wm로 한다)를 접합한다. (1) An adhesive sheet with an area of about 8 cm

(2) 상기 (1)에서 얻어진 접합물을 칭량하여, 그 중량을 Ws로 하고, 이어서 점착제 시트를 감싸도록 4회 접어 포개 호치키스(스테이플러)로 고정한 후 칭량하여, 그 중량을 Wb로 한다. (2) The bonded product obtained in (1) above is weighed, and its weight is set as Ws. Then, it is folded four times to cover the adhesive sheet, fixed with a stapler, and then weighed, and its weight is set as Wb.

(3) 상기 (2)에서 호치키스 고정한 메쉬를 유리 용기에 넣고, 아세트산에틸60 mL를 가하여 침지한 후, 이 유리 용기를 실온에서 3일간 보관한다. (3) Place the mesh fixed with a stapler in (2) above into a glass container, add 60 mL of ethyl acetate, immerse it, and store the glass container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4) 유리 용기로부터 메쉬를 꺼내어, 120℃에서 24시간 건조한 후 칭량하고, 그 중량을 Wa로 하여, 다음 식에 기초하여 겔분율을 계산한다. (4) The mesh is taken out from the glass container, dried at 120°C for 24 hours, weighed, the weight is set to Wa, and the gel fraction is calculated based on the following formula.

겔분율(중량%)=[{Wa-(Wb-Ws)-Wm}/(Ws-Wm)]×100Gel fraction (% by weight) = [{Wa-(Wb-Ws)-Wm}/(Ws-Wm)]×100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9
Figure 112018067066738-pct00009

1, 1a, 1b: 점착제층을 갖춘 광학 필름, 2: 편광자, 3: 제1 수지 필름, 4: 제2 수지 필름, 5, 6, 7, 8, 9: 광학 적층체, 10: 광학 필름, 10a, 10b: 편광판, 20: 점착제층, 30: 금속층, 40: 기판, 50: 수지층. 1, 1a, 1b: optical film with adhesive layer, 2: polarizer, 3: first resin film, 4: second resin film, 5, 6, 7, 8, 9: optical laminate, 10: optical film, 10a, 10b: Polarizer, 20: Adhesive layer, 30: Metal layer, 40: Substrate, 50: Resin layer.

Claims (12)

(메트)아크릴계 수지(A), 가교제(B) 및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하기 식 (a1)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0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일 때,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하기 식 (a2)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1

(식 중, m은 5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B)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 의한 부가체이고,
(메트)아크릴계 수지를 구성하는 전체 구성 단위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 (a1)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1.5∼4.5 중량부이고,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은 0.25∼0.5 중량부인 점착제 조성물.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C),
The (meth)acrylic resin (A) has the following formula (a1)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0

(In the formula,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A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and good night)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and the following formula (a2)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1

(In the formula, m represents an integer of 5 or more, A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X 2 represents a meth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an adduct of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with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all structural units constituting the (meth)acrylic resin, the ratio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1) is 1.5 to 4.5 parts by weight, and formula (a2)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the proportion of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 is 0.25 to 0.5 parts by weight.
(메트)아크릴계 수지(A), 가교제(B) 및 실란 화합물(C)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서,
상기 (메트)아크릴계 수지(A)는, 하기 식 (a1)

(식 중, n은 1∼4의 정수를 나타내고, A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1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n이 2 이상일 때,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와, 하기 식 (a2)

(식 중, m은 5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A2는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를 나타내고, X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메틸렌기를 나타내고, 상기 치환기는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더라도 좋다)
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제(B)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및/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다가 알코올 화합물에 의한 부가체이고,
식 (a1)으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와, 식 (a2)로 표시되는 하이드록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중량비)은 (a1)/(a2)= 13/1∼5/1 인 점착제 조성물.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a crosslinking agent (B), and a silane compound (C),
The (meth)acrylic resin (A) has the following formula (a1)

(In the formula, n represents an integer of 1 to 4, A 1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and good night)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and the following formula (a2)

(In the formula, m represents an integer of 5 or more, A 2 represents a hydrogen atom or an alkyl group, X 2 represents a methylene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substituents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Contai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The crosslinking agent (B) is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and/or an adduct of a tolylene diisocyanate-based compound with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The ratio (weight ratio)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1) and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eth)acrylate represented by formula (a2) is (a1) )/(a2) = 13/1 to 5/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는,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를 함유하는 알킬 아크릴레이트(a3) 유래의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점착제 조성물.The (meth)acrylic resi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includes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hos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0°C, and the homopolymer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ess than 0°C.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 contain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2) as described above. 제3항에 있어서,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미만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1) 유래의 구성 단위와 호모폴리머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상인 알킬 아크릴레이트(a3-2) 유래의 구성 단위의 비율(중량비)은 (a3-1)/(a3-2)=20/80∼95/5인 점착제 조성물.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tructural unit is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1) who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less than 0°C and the component derived from alkyl acrylate (a3-2) whos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homopolymer is 0°C or higher. An adhesive composition in which the unit ratio (weight ratio) is (a3-1)/(a3-2)=20/80 to 95/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환산으로, 6.0×105∼2.5×106인 점착제 조성물.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is 6.0×10 5 to 2.5×10 6 in terms of polystyren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교제(B)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인 점착제 조성물.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atio of the crosslinking agent (B)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 화합물(C)은 하기 식 (c1)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2

(식 중, B는 탄소수 1∼20의 알칸디일기 또는 탄소수 3∼20의 2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상기 알칸디일기 및 상기 지환식 탄화수소기를 구성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도 좋고, R1은 탄소수 1∼5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5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5의 알콕시기를 나타낸다)
로 표시되는 실란 화합물인 점착제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silane compound (C) has the following formula (c1)
Figure 112023070462862-pct00012

(Wherein, B represent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or a divalent alicyclic hydrocarbon group having 3 to 20 carbon atoms, and -CH 2 - constituting the alkanediyl group and the alicyclic hydrocarbon group is -O- or - It may be substituted with CO-, R 1 represent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independently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or an alkoxy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represents the flag)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a silane compound represented by .
제7항에 있어서, 식 (c1)의 B는 탄소수 1∼10의 알칸디일기이고, R1은 탄소수 1∼5의 알킬기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5의 알콕시기인 점착제 조성물.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B in formula (c1) is an alkanediyl group having 1 to 10 carbon atoms, R 1 is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R 2 , R 3 , R 4 , R 5 and R 6 are each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independently an alkoxy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실란 화합물(C)의 비율은, (메트)아크릴계 수지(A)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10 중량부인 점착제 조성물.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atio of the silane compound (C) is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acrylic resin (A).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의 겔분율은 50∼95%인 점착제 조성물. 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gel fraction of the adhesive formed from the adhesive composition is 50 to 9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리 기판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접합하고, 온도 23℃, 상대 습도 50%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후의 상기 점착제층의 점착력은, 박리 속도 300 mm/분에 있어서, 0.5∼10 N/25 mm인 점착제 조성물. The adhesiv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dhesive layer forme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is bonded to a glass substrate, and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adhesive layer after 24 hours under conditions of a temperature of 23°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0% is a peeling rate of 300.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0.5 to 10 N/25 mm in mm/mi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광학 필름에 적층되는 점착제층의 형성에 이용되는 점착제 조성물.Th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ich is used for forming an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n optical film.
KR1020187019523A 2015-12-15 2016-11-21 Adhesive composition KR10262813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44506A JP6721326B2 (en) 2015-12-15 2015-12-15 Adhesive composition
JPJP-P-2015-244506 2015-12-15
PCT/JP2016/084412 WO2017104351A1 (en) 2015-12-15 2016-11-21 Adhesive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892A KR20180091892A (en) 2018-08-16
KR102628133B1 true KR102628133B1 (en) 2024-01-22

Family

ID=59056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9523A KR102628133B1 (en) 2015-12-15 2016-11-21 Adhesive composition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21326B2 (en)
KR (1) KR102628133B1 (en)
CN (1) CN108473838B (en)
TW (1) TWI728014B (en)
WO (1) WO201710435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52164A1 (en) * 2021-06-11 2024-04-17 Dow Silicones Corporation Curable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1033A (en) * 1997-08-28 1999-05-18 Lintec Corp Tacky agent composition and tacky sheet using the same
JPH11140405A (en) * 1997-11-04 1999-05-25 Mitsubishi Rayon Co Ltd Resin for adhesive
TWI341321B (en) * 2003-05-07 2011-05-01 Soken Kagaku Kk Adhesive agent and laminate for optical parts
JP5322280B2 (en) 2009-03-27 2013-10-23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6066937B2 (en) * 2014-01-28 2017-01-25 藤森工業株式会社 Light diffusion adhesive layer and light diffusion adhesive film
JP6644971B2 (en) * 2014-08-06 2020-02-12 藤森工業株式会社 Adhesive layer and adhesive film
JP6620325B2 (en) * 2014-08-06 2019-12-18 藤森工業株式会社 Adhesive layer and adhesive film
KR101529983B1 (en) * 2014-09-25 2015-06-19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Adhesive composition
JP6336897B2 (en) * 2014-12-09 2018-06-06 藤森工業株式会社 Adhesive layer and adhesive fil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892A (en) 2018-08-16
CN108473838A (en) 2018-08-31
JP6721326B2 (en) 2020-07-15
TWI728014B (en) 2021-05-21
CN108473838B (en) 2020-10-30
TW201732009A (en) 2017-09-16
WO2017104351A1 (en) 2017-06-22
JP2017110075A (en) 2017-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1156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420444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480690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666263B1 (en) Optical films and optical laminates with adhesive layer
JP7184990B2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631155B1 (en) Adhesive composition
KR102628133B1 (en) Adhesiv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