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676B1 -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 Google Patents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76B1
KR102627676B1 KR1020210156776A KR20210156776A KR102627676B1 KR 102627676 B1 KR102627676 B1 KR 102627676B1 KR 1020210156776 A KR1020210156776 A KR 1020210156776A KR 20210156776 A KR20210156776 A KR 20210156776A KR 102627676 B1 KR102627676 B1 KR 10262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amplifier
input terminal
capacitive
capaci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6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70809A (ko
Inventor
박상규
임새민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56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76B1/ko
Publication of KR20230070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03G3/3026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the gain being discontinuously variable, e.g. controlled by switching
    • H03G3/3031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the gain being discontinuously variable, e.g. controlled by switching using switched capaci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05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using switched capacitors, e.g. dynamic amplifiers; using switched capacitors as resistors in 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88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 H03G1/0094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using discontinuously variable devices, e.g. switch-operated using switch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 Filters That Use Time-Delay Elements (AREA)

Abstract

이득이 가변될 때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커패시티브 증폭기가 개시된다.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들은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2-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1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제 2-2 캐패시터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지 않고 공통모드 전압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CAPACITIVE AMPLIFIER FOR CHANGING GAIN WITHOUT OFFSET}
본 발명은 이득이 가변될 때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커패시티브 증폭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스위칭 연결되는 캐패시터(C2-2,··, C2-N)를 이용하여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회로 구조에서는 캐패시터(C2-2,··, C2-N)가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연결되거나 분리될 때 캐패시터(C2-2,··, C2-N)에 저장된 전하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은 가변되지만 출력은 잔존하는 전화로 인하여 새로운 이득에 맞추어 바로 변화되지 못하며, 이는 도 1의 우측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출력의 오프셋(Offset)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캐패시터(C2-2,··, C2-N)가 연결되고 분리될 때 캐패시터(C2-2,··, C2-N)가 완전히 방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게 된다.
KR 10-1619211 B
본 발명은 이득이 가변될 때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커패시티브 증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들은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2-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1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를 가지며, 상기 제 2-2 캐패시터는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거나 상기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지 않고 공통모드 전압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들은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2-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1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를 가지고, 상기 제 2-2 캐패시터는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연결이 스위칭되며,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상기 제 2-2 캐패시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 2-2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도록 하는 회로 구조가 구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2 캐패시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이 가변될 때 상기 연결된 제 2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는 방전되며, 상기 방전에 따라 상기 이득이 가변되더라도 상기 OP 앰프의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이득 조절 회로를 사용하는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이득 조절시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완전 방전시킨 후 입력 신호를 상기 OP 앰프로 입력시키므로, 이득을 가변시키더라도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 및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득이 가변될 때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커패시티브 증폭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스위칭되는 캐패시터를 완전 방전시키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200), 제 1 캐패시터(C1) 및 제 2 캐패시터들(C2-1, C2-2,‥, C2-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2이상의 정수이다.
OP 앰프(200)의 반전 단자(-)에 제 1 캐패시터(C1)가 연결되며, 즉 입력단에 제 1 캐패시터(C1)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입력 신호가 제 1 캐패시터(C1)를 거쳐서 OP 앰프(200)로 입력된다. 또한, OP 앰프(200)의 비반전 단자(+)는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OP 앰프(200)의 반전 단자(-)는 특정 전압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제 2 캐패시터들은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적으로 연결된 제 2-1 캐패시터(C2-1) 및 스위칭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C2-2,‥, C2-N)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은 제 2-1 캐패시터(C2-1)와 병렬로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 각각은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스위칭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2 캐패시터(C2-2)와 OP 앰프(200)의 출력단 사이에 제 1 스위치(S1)가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스위치(S1)가 온되면 제 2-2 캐패시터(C2-2)가 제 2-1 캐패시터(C2-1)와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 중 적어도 일부가 제 2-1 캐패시터(C2-1)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 2 캐패시터들(C2-2,‥, C2-N)과 연결된 제 1 스위치들이 모두 오프되면 제 2-1 캐패시터(C2-1)만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게 된다.
이러한 회로 구조에서,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은 제 1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와 제 2 캐패시터들(C2-1, C2-2,‥, C2-N)의 의해 형성되는 캐패시턴스의 비율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을 스위칭시켜 상기 증폭기의 이득을 조절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하지 않았지만,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제어부(미도시)를 더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 신호들(sel, 예를들어 sel1 내지 selN)을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에 연결된 제 1 스위치들로 제공하여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을 스위칭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2 캐패시터들(C2-2,‥, C2-N) 각각에는 OP 앰프(200)의 출력단으로 연결되는 제 1 스위치 이외에도 공통모드 전압에 연결될 수 있는 제 2 스위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2 캐패시터(C2-2)와 OP 앰프(200)의 출력단 사이에 스위치(sel1)가 연결되고, 제 2-2 캐패시터(C2-2)와 접지 사이에 스위치(S1b)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모드 전압은 OP 앰프(200)의 입력공통모드 전압과 동일할 수 있으며, 상기 입력공통모드 전압은 별도의 바이어스 회로(미도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제 2 캐패시터에 연결되는 제 1 스위치와 제 2 스위치는 상보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2 캐패시터(C2-2)와 OP 앰프(20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S1)가 턴-오프되면, 제 2-2 캐패시터(C2-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 2 스위치(S2)가 턴-온될 수 있다. 이 때, 턴-오프/턴-온 동작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 2-2 캐패시터(C2-2)와 OP 앰프(200)의 출력단 사이에 연결된 제 1 스위치(S1)이 턴-온되면 제 2-2 캐패시터(C2-2)와 접지 사이에 연결된 제2 스위치(S2)는 오프 상태일 수 있으며, 제 1 스위치(S1)이 턴-오프되면 제 2 스위치(S2)는 턴-온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들의 동작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들(sel1,‥, selNb)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S1)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sel1)가 하이 로직을 가지면 제 2-2 캐패시터(C2-2)가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을 감소시킨다.
반면에, 제 1 스위치(S1)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sel1)가 로우 로직을 가지면 제 2-2 캐패시터(C2-2)가 접지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2 캐패시터(C2-2)는 OP 앰프(200)로부터 분리된 구조를 가지게 되며, 제 2-2 캐패시터(C2-2)에 충전된 전하가 제 2-1 캐패시터(C2-1) 및 sel=high인 제 2-2 캐패시터로 이동된다. 따라서, OP 앰프(200)의 출력 신호가 커지며, 이러한 신호 특성은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 가변시 제 2-2 캐패시터(C2-2)가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연결되거나 분리되는데, 이 경우 제 2-2 캐패시터(C2-2)에 잔존하는 전하가 완전 방전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스위치(S1)가 턴-오프되면서 제 2 스위치(S2)가 턴-온되면, 해당 제 2-2 캐패시터가 완전 방전될 수 있다. 이렇게 제 2-2 캐패시터(C2-2)의 완전 방전이 이루어지면, 새로운 이득에 맞는 적합한 출력 전압이 생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 3의 중간 그래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을 가변시키더라도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출력, 즉 OP 앰프(200)의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 신호(sel)의 제어를 통하여 이득을 변화시킬 때 OP 앰프(200)의 출력 신호의 오프셋 전압이 바뀌지 않으면서 증폭기의 이득은 원하는 값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커패시티브 증폭기는 OP 앰프(200)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된 제 2-1 캐패시터(C2-1) 및 이와 병렬로 연결되면서 OP 앰프(200)의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서 연결이 스위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를 포함하여 이득을 가변시키더라도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위에서는 고정되는 제 2-1 캐패시터가 하나였으나,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1 캐패시터들이 고정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동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차동 증폭기에서는, OP 앰프를 기준으로 하여 상하 제 2 캐패시터들의 구조가 대칭적으로 또는 유사하게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2 캐패시터들의 구조 및 동작은 위의 실시예에서와 유사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전술된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프로세스적인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구성 요소는 각각의 프로세스로 파악될 수 있다. 또한 전술된 실시예의 프로세스는 장치의 구성 요소 관점에서 용이하게 파악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00 : OP 앰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캐패시터들은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 2-1 캐패시터 및 상기 제 2-1 캐패시터와 병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2 캐패시터를 가지고,
    상기 제 2-2 캐패시터는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연결이 스위칭되며,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상기 제 2-2 캐패시터의 연결이 해제된 경우 상기 제 2-2 캐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도록 하는 회로 구조가 구현되고,
    상기 제 2-2 캐패시터의 전하는 상기 제 2-1 캐패시터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 2-2 캐패시터가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티브 증폭기.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2 캐패시터들이 존재하는 경우 특정 제 2-2 캐패시터의 전하가 상기 제 2-1 캐피시터 또는 다른 제 2-2 캐패시터로 이동하여 상기 특정 제 2-2 캐패시터가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티브 증폭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서 상기 제 2-2 캐패시터의 연결이 스위칭되되,
    상기 제 2-2 캐패시터가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었다가 해제되는 경우에 상기 제 2-2 캐패시터가 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티브 증폭기.
  8. 커패시티브 증폭기에 있어서,
    OP 앰프;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 1 캐패시터; 및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며 상호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캐패시터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2 캐패시터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OP 앰프의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커패시티브 증폭기의 이득이 가변될 때 상기 연결된 제 2 캐패시터 중 적어도 하나는 방전되며, 상기 방전에 따라 상기 이득이 가변되더라도 상기 OP 앰프의 출력에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방전되는 제 2 캐패시터의 전하는 다른 제 2 캐패시터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패시티브 증폭기.
  9. 삭제
KR1020210156776A 2021-11-15 2021-11-15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KR10262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76A KR102627676B1 (ko) 2021-11-15 2021-11-15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6776A KR102627676B1 (ko) 2021-11-15 2021-11-15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809A KR20230070809A (ko) 2023-05-23
KR102627676B1 true KR102627676B1 (ko) 2024-01-19

Family

ID=86544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6776A KR102627676B1 (ko) 2021-11-15 2021-11-15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7489B1 (ko) * 1995-06-02 1998-12-01 김주용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KR200171366Y1 (ko) * 1997-10-27 2000-03-02 김영환 샘플-홀드증폭기
KR101619211B1 (ko) 2013-12-18 2016-05-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동 증폭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809A (ko) 202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5430A1 (en) Triangulating phase interpolator
EP1783897A1 (en) Switched-capacitor amplifier arrangement and method
KR20000076590A (ko) 필터 회로
KR101087629B1 (ko) 다중 대역 전력증폭기
US9306449B2 (en) Adjustable biasing circuits for MEMS capacitive microphones
KR100198237B1 (ko) 차동증폭기를 갖는 이득 제어 증폭회로
EP0158646B1 (en) Switched capacitor circuits
US8896158B2 (en) Variable capacitance circuit
US6509791B2 (en) Switched capacitor filter circuit
CN105530570A (zh) 麦克风的模拟信号处理电路
KR20010089447A (ko) 다중 레퍼런스, 고정밀 스위칭 증폭기
KR102627676B1 (ko)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KR20160094874A (ko) 로우 패스 필터 회로 및 전원 장치
US6756842B2 (en) AC coupled multistage high gain operational amplifier
US9948244B1 (en) Amplifier with adjustable gain
JP2003258604A (ja) フィルタを搭載した半導体集積回路
EP4089915A1 (en) Buffer with gain selection
US5666083A (en) Discrete programming methodology and circuit for an active transconductance-C filter
KR20200006415A (ko) 제어 버퍼 회로 및 고주파 스위치 장치
US20020153946A1 (en) Dynamic frequency compensated operation amplifier
KR100742581B1 (ko) 프리스케일러 및 버퍼
US20230179161A1 (en) Programable gain amplifier and gain control method
EP4293905A1 (en) High frequency variable attenuation circuit
US10673449B1 (en) Digital-to-analog converter with glitch-irrelevant reference voltage to increase linearity
CN109787567B (zh) 用于信号接收器中的双模信号放大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