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623B1 -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 Google Patents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623B1
KR102627623B1 KR1020210022330A KR20210022330A KR102627623B1 KR 102627623 B1 KR102627623 B1 KR 102627623B1 KR 1020210022330 A KR1020210022330 A KR 1020210022330A KR 20210022330 A KR20210022330 A KR 20210022330A KR 102627623 B1 KR102627623 B1 KR 102627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gear
smart buoy
buoy
mai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3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18655A (en
Inventor
박민재
장희찬
천지원
Original Assignee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623B1/en
Publication of KR20220118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6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A01K75/04Flo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 B63B22/16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arking a navigational route comprising a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022/006Buoys specially adapted for measuring or watch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04Illuminating
    • B63B2201/08Electric l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1/00Signalling devices
    • B63B2201/20Antenna or m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9/00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 B63B2209/18Energy supply or activating means solar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communication by applying LTE-M and LoRa communication networks to buoys connected to fishing gear, so that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for each fishing gear can be checked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making it convenient for users to manage fishing gear. We provide smart buoys and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m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fishing gear.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a buoy using an L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can clearly identify coordinate information about fishing gear to which the buoy is connected, allowing fishermen to eradicate illegal activities and engage in legally convenient and accurate fishing while also protecting natur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rine pollution caused by discarded fishing gear and economic losses for fishermen by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the location of buoys and fishing gear connected to them in real time due to disaster.

Description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Smart buoy and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본 발명은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buoy and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More specifically, the LTE-M and LoRa communication networks are applied to the buoy connected to the fishing gear to communicate, thereby provi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for each fishing gear through the user terminal. This is about a smart buoy and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it that allows users to conveniently manage fishing gear by checking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reduces the amount of waste fishing gear.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는, 폐어구에 의한 해양오염, 해양사고 및 경제적 손실 등 다양한 피해사례들이 발생하고 있다. 매년 폐어구는 약 3만 3천톤 가량 침적되고 있으며, 어구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나일론 어구는 분해되는데 600여년이 걸릴 정도로 해양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To date, various damage cases have occurred in Korea, such as marine pollution caused by abandoned fishing gear, marine accidents, and economic losses. Approximately 33,000 tons of discarded fishing gear are deposited every year, and nylon fishing gear, which accounts for a large portion of fishing gear, takes about 600 years to decompose, causing marine pollution.

또한, 해양생물들이 폐어구에 의해 걸리거나 갇혀 죽는 '유령어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약 3천800억원 수준에 이를 정도이고, 폐어구로 인해 선박이 좌초되는 등의 해양사고 또한 꾸준히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addition, the economic loss caused by 'ghost fishing', in which marine life is caught or trapped by abandoned fishing gear and dies, amounts to approximately 380 billion won every year, and marine accidents such as ships running aground due to abandoned fishing gear are also steadily occurring. This is the situation.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어구의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부이는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는 바, 특허문헌 1의 부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와 하부 케이스(3)가 나사 결합되어 전체적인 하우징(5)을 형성하는데, 상부 케이스(1)에는 보호캡(7)이 형성되고 보호캡(7) 내부에 안테나(9)가 설치되어 GPS 플로터에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Due to this problem, various buoys fo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fishing gear have been proposed. As shown in FIG. 1, the buoy of Patent Document 1 has an upper case (1) and a lower case (3) screwed together to form an overall housing ( 5), in which a protective cap 7 is formed in the upper case 1 and an antenna 9 is installed inside the protective cap 7 to wirelessly transmit information to the GPS plotter.

그런데 해양 통신은 특성상 저주파를 이용하기 때문에 안테나(9)의 길이가 길어야 하고 따라서 안테나(9)를 보호하는 보호캡(7)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기 때문에 보호캡(7)이 파도나 외부의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부러짐)되면서 안테나(22)도 같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marine communication uses low frequencies due to its nature, the length of the antenna (9) must be long, and therefore the length of the protective cap (7) that protects the antenna (9) must also be long, so the protective cap (7) must be protected from waves or external shock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tenna 22 is easily damaged (broken) by .

그리고 종래의 전자 부이는 주기적으로 GPS 플로터에 무선 송신을 하는데, 해상의 너울이 심할 경우, 특히 해상의 너울과 전자 부이가 무선 송신하는 주기가 일치(정수배를 포함한다)하는 경우 전자 부이가 너울에 가려져 GPS 플로터에 무선 송신이 도달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onic buoy periodically transmits wirelessly to the GPS plotter. When the sea swell is severe, especially when the wireless transmission period of the sea swell and the electronic buoy coincide (including integer multiples), the electronic buoy is transmitted to the swell. There is a problem in that wireless transmission does not reach the GPS plotter due to occlusion.

또한 GPS 플로터로 전자 부이의 대략적인 위치를 알더라도 최종적으로는 사람의 육안에 의해 전자 부이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야 하는데 종래의 전자 부이는 해상에서 사람의 육안으로 쉽게 찾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even if the approximate location of the electronic buoy is known with a GPS plotter, the exact location of the electronic buoy must ultimately be found with the human eye. Conventional electronic buoys have a problem in that they cannot be easily found with the human eye at sea.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 일부 어민은 주변 선박에 항행 정보를 자동으로 발신해 충돌을 막는 안전장비로 활용되어야 할 AIS 장치를 부표에 붙여 어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다.Meanwhile, to solve this problem, some fishermen are using AIS devices, which should be used as safety equipment to prevent collisions by automatically transmitting navigation information to nearby vessels, on buoys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fishing gear.

이로 인해 인근을 항해하는 선박의 항해 장비 화면에 실제 선박과 동일한 신호가 표출되어 선박으로 오인하여 급선회하거나 불필요한 항로 변경으로 선박 간의 충돌 등 대형사고를 유발하며, 무허가 선박자동식별장치가 어구에서 떨어져 나와 표류하면서 항해하는 선박과 접촉하면 해상교통관제센터(VTS)나 인근 선박에서 선박 간의 충돌로 오해하여 행정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 same signals as actual ships are displayed on the navigation equipment screen of ships sailing nearby, causing major accidents such as sudden turns due to misidentification as ships or collisions between ships due to unnecessary course changes, and unlicensed automatic ship identification devices falling off fishing gear. There was a problem that when contact with a sailing ship while drifting, the Maritime Traffic Control Center (VTS) or nearby ships misunderstood it as a collision between ships, resulting in a waste of administrative power.

특허문헌 1 :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159510호(2012년 06월 19일 등록) 어망관리 시스템Patent Document 1: Domestic Patent Publication No. 10-1159510 (registered on June 19, 2012) Fishing net management syst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improve such conventional problems. By applying LTE-M and LoRa communication networks to buoys connected to fishing gear to communicate,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for each fishing gear are provided in real time through the user terminal. The goal is to provide a new type of smart buoy and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it that can be checked to make it easier for users to manage fishing gear and reduce the amount of waste fishing gear.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LTE-M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buoy and clearly identif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to which the buoy is connected, fishermen can eradicate illegal activities and engage in legally convenient and accurate fishing, as well as preventing natural disasters. A new type of smart buoy and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it are provided to prevent marine pollution caused by discarded fishing gear and economic losses for fishermen by providing information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loating buoy and fishing gear connected to it in real time. What is provided is the problem to be solved.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상기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상기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상기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case 20 has an open top and has an internal space 21; a battery unit 30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a main module 4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unit 30 and having a GPS module 41 that derives GPS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an antenna unit 5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4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A light emitting member 60 having a substrate 61 dispos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se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LEDs 62 coupled to the substrate 61 to emit light; A separation determination unit 70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shing gear 400 has escaped; It is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n upper cover 80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se 20.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안테나부(50)는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상기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tenna unit 50 includes an auxiliary antenna 51 that collec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main antenna 52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from the auxiliary antenna 51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200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메인안테나(52)는 상기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상기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상기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antenna 52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an L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uxiliary antenna 51 communicates with the main antenna 52 through a LoRa communication network. Do it a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에서 상기 발광부재(60)는 상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ight emitting member 60 is formed upward from the substrate 61 and includes a solar collector 63 for collecting solar heat through the upper cover 80. It is characterized by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In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s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and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A secondary smart buoy (10') to collect;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onnected to the fishing gear 400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s the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and coordinates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from the auxiliary smart buoy 10'. A main smart buoy (10")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a user terminal (100) for checking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fishing gear 400 in real time; and the main smart buoy (10") ) and a tele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and the user terminal 100.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in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smart buoy (10') transmi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to the main smart buoy (10") through LoRa communication.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서 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상기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mart buoy (10")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100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through LTE-M communic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buoy and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for each fishing gear are col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by applying LTE-M and LoRa communication networks to the buoy connected to the fishing gear. I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manage fishing gear and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fishing gear.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LTE-M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buoy and clearly identif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to which the buoy is connected, fishermen can eradicate illegal activities and engage in legally convenient and accurate fishing, as well as preventing natural disaste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rine pollution caused by discarded fishing gear and economic losses for fishermen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allows the location of floating buoys and fishing gear connected to them to be identified in real time.

도 1은 종래 전자 부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electronic buoy;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mponents of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in FIGS. 2 to 6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Meanwhile, in the illustrations an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and illustrations of specific technical configurations and operations of elements that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and only the technica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briefly shown. explained.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2 to 5, the smart buoy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20 with an open top and an internal space 21, and an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 A main module 40 having a battery unit 30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and a GPS module 41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unit 30 and deriving the GPS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and the main module 40 It has an antenna unit 5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and a substrate 61 dispos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se 20. A light emitting member (60) having a plurality of LEDs (62) coupled to (61) to emit light, and disposed in the inner space (21) of the case (20), for determining whether the fishing gear (400) has come off. It includes a separation determination unit 70 and an upper cover 80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se 20.

케이스(2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케이스(20)의 외주면 상에는 어구(400)와 연결을 위한 복수개의 연결홈(221)이 형성된 연결구(22)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마트 부이(10)의 무게를 조절할 수 있도록 무게추(미도시)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고리(23)가 형성되어 진다. 즉, 해상의 상태에 따라 스마트 부이(10)의 움직임이 심할 경우 무게추를 달라 스마트 부이(10)의 움직임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case 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an internal space 21. At this time, a connector 22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on grooves 221 for connection to the fishing gear 400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20. In addition, a link 23 is formed at the lower part to connect a weight (not shown) so that the weight of the smart buoy 10 can be adjusted as needed. That is, if the movement of the smart buoy 10 is severe depending on the sea condition, the movement of the smart buoy 10 can be minimized by changing the weight.

한편,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의 외주면 상에는 나사(24)가 형성되어 상부커버(80)와 나사결합되도록 하고, 개방된 상부의 내주면 상에는 내측으로 걸림턱(25)이 형성되어 발광부재(60)가 안정적으로 결합 고정되도록 한다.Meanwhile, a screw 24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se 20 to be screwed to the upper cover 80, and a locking protrusion 25 is formed inwar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n upper part to form a light emitting member ( 60) to ensure that it is stably coupled and fixed.

배터리부(30)는 메인모듈(40), 발광부재(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수용되는 배터리(31)와, 케이스(20)의 내주면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점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접점부(32)는 배터리(31)의 하단과 접점되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321)와, 탄성부재(321)로부터 연장되어 메인모듈(40)과 접점되는 접점핀(322)를 포함하되, 접점핀(322)은 케이스(20)의 내주면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진다.The battery unit 30 is for supplying power to the main module 40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60, including a battery 31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and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20. It includes a contact portion 32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top. 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32 includes an elastic member 321 with elastic force that contacts the bottom of the battery 31, and a contact pin 322 that extends from the elastic member 321 and makes contact with the main module 40. However, the contact pin 32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20.

메인모듈(40)은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고, 통신을 위한 통신모듈(42)을 갖는다. 여기서, GPS 모듈(41)은 위성(300)을 통해 현재 위치의 GPS 좌표를 수신하고, 통신모듈(42)은 통신사의 기지국(200)과 통신하기 위한 LTE-M 통신과 인접된 부이와의 통신을 위한 LoRa 통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ain module 40 is disposed above the battery 31 of the battery unit 30, and has a GPS module 41 for deriving GPS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42 for communication. Here, the GPS module 41 receives the GPS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through the satellite 3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42 provides LTE-M communication for communication with the base station 200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and communication with an adjacent buoy. It includes LoRa communication for.

안테나부(50)는 메인모듈(40)의 통신모듈(42)과 연결되어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메인안테나(52)는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도록 한다.The antenna unit 50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module 42 of the main module 40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Includes an auxiliary antenna 51 that collects data including, and a main antenna 52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fishing gear from the auxiliary antenna 51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200 of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This is done. At this time, the main antenna 52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an LTE-M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auxiliary antenna 51 communicates with the main antenna 52 through a LoRa communication network.

보조안테나(51)는 GPS 모듈(41)을 통해 현재 복수개의 어구(400)의 좌표정보를 각각 수신하고, 이를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인 어구(400)와 연결된 부이(10)의 메인안테나(52)로 송신하며, 메인안테나(52)는 보조안테나(51)로부터 수신받은 복수개의 어구(400)에 대한 좌표정보를 기지국(20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한다.The auxiliary antenna 51 receives coordinate information of each of the current plurality of fishing gears 400 through the GPS module 41, and receives this from the buoy (10) connected to the main fishing gear 400 selected by the user among the plurality of fishing gears 400. ) is transmitted to the main antenna 52, and the main antenna 52 transmits the coordinate information for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d from the auxiliary antenna 51 to the user terminal 100 via the base station 200. do.

발광부재(6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어 빛을 발광시키기 위한 것으로,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가지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ight emitting member 60 is dispos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se 20 to emit light, has a substrate 61 disposed on the open upper side, and is coupled to the substrate 61 to emit light. It has a plurality of LEDs 62, is formed upward from the substrate 61, and includes a solar collector 63 for collecting solar heat through the upper cover 80.

발광부재(60)의 기판(61)은 배터리부(30)와 연결되어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이를 엘이디(62)를 발광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태양광 집열판(63)에 의해 집열된 태양열은 배터리부(30)의 배터리(31)에 축전되도록 한다.The substrate 61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60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30 to receive power from the battery 31 of the battery unit 30 and causes the LED 62 to emit light. And, the solar heat collected by the solar collector 63 is stored in the battery 31 of the battery unit 30.

이탈여부판별부(70)는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상에 배치되어 스마트 부이(10)와 연결된 어구(40)의 이탈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것으로, 현재 위치에서 설정된 반경을 벗어날 경우 어구(400)의 이탈로 판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한다.The departure determination unit 70 is disposed on the inner space 21 of the case 20 to determine whether the fishing gear 40 connected to the smart buoy 10 has escaped, and when it deviates from the set radius from the current pos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e fishing gear 400 has escaped and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상부커버(80)는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을 밀폐시키도록 하는 것으로,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내주면 상에 나사(81)가 형성되어 케이스(20)의 상부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나사(24)와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부커버(80)의 하부 끝단에는 케이스(20)와 나사 결합시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오링(82)이 위치되어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은 밀폐되어 진다.The upper cover 80 is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se 20 to seal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It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and has a screw 81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t is screwed together with the screw 24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se 20. At this time, an O-ring 82 is located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ver 80 to prevent water from entering when screwed together with the case 20, so that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is sealed.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관리시스템은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케이스(20), 배터리부(30), 메인모듈(40), 안테나부(50), 발광부재(60), 이탈여부판별부(70) 및 상부커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 6, the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s the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and coordinates the fishing gear 400. It is connected to an auxiliary smart buoy (10') that collects data including information and lost information, and fishing gear (400)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and receives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 a main smart buoy (10")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from the auxiliary smart buoy (10'), and data including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It includes a user terminal 100 for real-time confirmation, a main smart buoy 10", and a tele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terminal 100. Here, the auxiliary smart buoy (10') and the main smart buoy (10") include the case 20, the battery unit 30, the main module 40, and the antenna unit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50), a light emitting member (60), a separation determination unit (70), and an upper cover (80).

한편,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고,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도록 한다.Meanwhile, the auxiliary smart buoy (10') transmi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to the main smart buoy (10") through LoRa communication, and the main smart buoy (10") transmits data including LTE-M I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 via 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어구와 연결된 부이에 LTE-M 및 LoRa 통신망을 적용하여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각각의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어구를 관리하기 편리하게 하고, 폐어구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mart buoy and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for each fishing gear are collec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by applying LTE-M and LoRa communication networks to the buoy connected to the fishing gear. It can be checked in real time, making it easier for users to manage fishing gear and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fishing gear.

특히, LTE-M 통신망을 이용하여 부이와 통신하고, 부이가 연결된 어구에 대한 좌표정보를 명확하게 식별할 수 있어 어민은 불법행위를 근절하고 합법적으로 편리하고 정확한 어업을 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자연재해로 떠내려가는 부이와 그와 연결된 어구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여 폐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을 막고 어민의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LTE-M communication network to communicate with the buoy and clearly identify the coordinate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to which the buoy is connected, fishermen can eradicate illegal activities and engage in legally convenient and accurate fishing, as well as preventing natural disasters.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marine pollution caused by discarded fishing gear and economic losses for fishermen by providing information that allows the location of floating buoys and fishing gear connected to them to be identified in real tim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부이 및 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smart buoy and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according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understand well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 : 스마트 부이
10' : 보조 스마트 부이 10" : 메인 스마트 부이
20 : 케이스 21 : 내부공간
30 : 배터리부 40 : 메인모듈
41 : GPS모듈 50 : 안테나부
51 : 보조안테나 52 : 메인안테나
60 : 발광부재 61 : 기판
62 : 엘이디 63 : 애양광 집열판
70 : 이탈여부판별부 80 : 상부커버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기지국
300 : 위성 400 : 어구
10: Smart Buoy
10': Auxiliary smart buoy 10": Main smart buoy
20: Case 21: Internal space
30: Battery unit 40: Main module
41: GPS module 50: Antenna unit
51: Auxiliary antenna 52: Main antenna
60: light emitting member 61: substrate
62: LED 63: Yangyang light collection plate
70: Breakaway determination unit 80: Upper cover
100: user terminal 200: base station
300: satellite 400: fishing gear

Claims (7)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21)을 갖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 하부에 수용되는 배터리부(30)와;
상기 배터리부(30)의 상부에 배치되고, 현재 위치의 GPS좌표를 도출하는 GPS 모듈(41)을 갖는 메인모듈(40)과;
상기 메인모듈(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안테나부(5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측에 배치되는 기판(61)을 갖고, 상기 기판(61)에 결합되어 빛을 발광시키는 복수 개의 엘이디(62)를 갖는 발광부재(60)와;
상기 케이스(20)의 내부공간(21)에 배치되고, 어구(400)의 이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이탈여부판별부(70)와;
상기 케이스(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는 상부커버(80);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부(50)는,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안테나(51)와;
상기 보조안테나(51)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통신사의 기지국(200)으로 송신하는 메인안테나(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A case (20) with an open top and an internal space (21);
a battery unit 30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a main module 40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ttery unit 30 and having a GPS module 41 that derives GPS coordinates of the current location;
an antenna unit 50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module 40 and transmits and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A light emitting member 60 having a substrate 61 disposed on the open upper side of the case 20 and having a plurality of LEDs 62 coupled to the substrate 61 to emit light;
A separation determination unit 70 disposed in the internal space 21 of the case 20 and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fishing gear 400 has escaped;
It includes an upper cover 80 coupled to the open upper part of the case 20,
The antenna unit 50,
an auxiliary antenna 51 that collec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A smart buoy comprising a main antenna (52)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from the auxiliary antenna (51) and transmits it to the base station (200) of a telecommunication compan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안테나(52)는 상기 기지국(200)과 LTE-M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상기 보조안테나(51)는 LoRa 통신망으로 상기 메인안테나(52)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antenna 52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200 through an LTE-M communication network,
The auxiliary antenna (51) is a smart buoy characterized in that it communicates with the main antenna (52) through a LoRa communication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60)는 상기 기판(61)으로부터 상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커버(80)를 통해 태양열을 집열하기 위한 태양광 집열판(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emitting member 60 is formed upward from the substrate 61 and includes a solar collector 63 for collecting solar heat through the upper cover 80. A smart buoy.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복수개의 어구(400)와 각각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보조 스마트 부이(10')와;
복수개의 어구(400)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어구(400)와 연결되고, 위성(300)으로부터 현재 GPS좌표를 수신하며,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로부터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신받는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와 사용자 단말기(100)의 통신을 위한 통신사 기지국(2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In the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n auxiliary smart buoy 10' tha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s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and collec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It is connected to the fishing gear 400 selected by the user among a plurality of fishing gear 400, receives the current GPS coordinates from the satellite 300, and coordinates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from the auxiliary smart buoy 10'. A main smart buoy (10") that receives data including;
a user terminal 100 for checking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in real time;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comprising a 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main smart buoy (10") and the user terminal (10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스마트 부이(10')는 LoRa 통신으로 어구(400)의 좌표정보 및 유실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auxiliary smart buoy (10') transmits data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and loss information of the fishing gear (400) to the main smart buoy (10") through LoRa communication.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스마트 부이(10")는 LTE-M 통신으로 상기 통신사 기지국(200)을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부이를 이용한 어구 관리시스템.
According to claim 4,
The main smart buoy (10") is a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using a smart buoy, characterized in that it transmits to the user terminal (100) via the telecommunication company base station (200) through LTE-M communication.
삭제delete
KR1020210022330A 2021-02-19 2021-02-19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KR1026276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en) 2021-02-19 2021-02-19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en) 2021-02-19 2021-02-19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55A KR20220118655A (en) 2022-08-26
KR102627623B1 true KR102627623B1 (en) 2024-01-19

Family

ID=8311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330A KR102627623B1 (en) 2021-02-19 2021-02-19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62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45B1 (en)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shing gear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10B1 (en) 2012-01-11 2012-06-25 삼영이엔씨 (주) Fishing net management system
KR20180023662A (en) * 2016-08-26 2018-03-07 한국전력공사 Management system of the light buoy and method for operating
KR101852720B1 (en) * 2017-05-19 2018-04-27 최정기 Underwater ultrasonic remote buoy
KR20200050608A (en) * 2018-11-02 2020-05-12 주식회사 알씨엔 Smart Buoy and Control System-Based Fishing Gear Management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8845B1 (en) * 2016-12-07 2018-05-16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Fishing gear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55A (en) 2022-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2919B2 (en) Signalling and localization device for an individual in the sea and method of use thereof
US6439941B2 (en) Automated fail-safe sea rescue flotation system
KR102051547B1 (en) IoT-based smart buoy
US20050040987A1 (en) Safety system at sea for accurately locating a shipwrecked navigator
KR101633347B1 (en) Automatic distress beac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reporting system using smart devices
US20050012663A1 (en) System for locating a person having fallen overboard
CN104071315A (en) Beidou sea rescuing and positioning integrated system
JP2020506106A (en) System for protecting underwater buoys
KR102127515B1 (en) Smart buoy for ocean observation
KR102052014B1 (en) A multi-function position tracker
KR102627623B1 (en) Smart buoy and Phrase management system using smart buoy
CN203492203U (en) Big dipper offshore lifesaving positioning integrated system
CN202795771U (en) Ship safety salvation guarantee terminal
CN111386713B (en) Portable marine sign indicating system
CN114745659B (en) Marine multidimensional global alarm monitor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202711424U (en) Marine personal lifesaving and positioning device
KR102410574B1 (en) Apparatus for position tracking of sufferer on the sea
CN113815783A (en) Mobile navigation mark
CN209938880U (en) Ocean submerged buoy system for preventing fishing boat from being damaged
KR102157585B1 (en) Smart buoy
KR102211359B1 (en) Rescue signal transmitter for ship
CN206590082U (en) A kind of onboard AIS split machine equipment
CN217132183U (en) Reinforced buoy wave meter
CN217022806U (en) Mobile navigation mark
CN219039363U (en) Deep sea beac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