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62B1 -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 Google Patents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62B1
KR102627562B1 KR1020220013277A KR20220013277A KR102627562B1 KR 102627562 B1 KR102627562 B1 KR 102627562B1 KR 1020220013277 A KR1020220013277 A KR 1020220013277A KR 20220013277 A KR20220013277 A KR 20220013277A KR 102627562 B1 KR102627562 B1 KR 102627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lf
floating
gardens
resid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16394A (ko
Inventor
최정심
Original Assignee
최정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심 filed Critical 최정심
Priority to KR102022001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16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16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17/04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2B17/08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raising, lowering, or immobilising the working platform relativ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for raising or lowe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26Stationary floating buildings for human use, e.g. floating dwellings or floating restaura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7/00Artificial islands mounted on piles or like supports, e.g. platforms on raisable legs or offshore constructions; Construction methods therefor
    • E02B2017/005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 E02B2017/006Platforms with supporting legs with lattice style supporting le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에서 조성된 텃밭을 통해 자급자족이 가능하며, 수상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텃밭의 지력회생을 통한 농산물의 지속적인 생산을 도모하며,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 면적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수상에서 농작물의 생산과 소비 구현을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에 있어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파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복수의 텃밭; 상기 복수의 텃밭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아쿠아포닉스 펌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거주 캐빈;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Self-sufficient residential floating farm}
본 발명은 거주형 플로팅 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상에서 조성된 텃밭을 통해 자급자족이 가능하며, 수상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텃밭의 지력회생을 통한 농산물의 지속적인 생산을 도모하며, 기후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 면적에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급격환 도시화, 과도한 소비, 불안정한 에너지 공급, 식량 가격 급등, 금융 위기, 기후 변화 등은 세계 수요와 공급에 있어 지대한 영양을 미치고 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한파와 같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에너지 수요도 함께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기후 변화는 식량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데, 이상 기후의 발생은 식량 생산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게 되어 식량 생산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식량 생산의 증가를 위한 경작지 면적의 확대의 방안으로 산림을 제거할 경우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이 결과적으로 증가하게 되어 기후 변화를 더욱 가속화시키게 된다.
또한, 땅의 연작을 위해 많은 화학 비료들이 사용될 경우 토양의 오염을 가속화하고, 결국 오염된 토양에서 생산된 식량은 인체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기후 변화로 인하여 해수면이 증가함에 따라, 인간이 생활하는 거주 공간과 경작지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기상청에 의하면, 여름의 한반도 전 해역의 평균 수온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해마다 0.34℃씩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해양수산부 자료에 따르면, 국내 전 연안의 평균 해수면은 지난 30년 동안 9.36cm 정도로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그린피스 서울사무소에서 발표한 '2030 한반도 대홍수 시뮬레이션'에서는 2030년에 국토의 5% 이상이 물에 잠기고 332만명이 침수로 인하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예측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의 저지대 국가들과 섬나라들은 이미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운영하여 적정 소비와 적정 생산을 통해 균형적인 지구의 생태계로 전환시켜 기후 변화를 악화시키는 요인을 감소시켜 식량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미래의 해수면 상승을 대비하면서 물과 공존 가능한 거주 공간과 식량 확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상에서 조성된 텃밭을 통해 자급자족이 가능하며, 수상의 유기물을 이용하여 텃밭의 지력회생을 통한 농산물의 지속적인 생산을 도모하며,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 면적의 감소에 대응하기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상에서 농작물의 생산과 소비 구현을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에 있어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파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복수의 텃밭; 상기 복수의 텃밭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아쿠아포닉스 펌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거주 캐빈; 을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텃밭은, 수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수경 텃밭; 및 토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토경 텃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복수의 텃밭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온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실에는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그리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은, 상기 복수의 그리드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과하는 수경 지지체; 및 상기 수경 지지체에 수용되는 복수의 트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토경 지지체; 상기 토경 지지체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은, 상기 프레임과 상기 수경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는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공 어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거주 캐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육지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 및 상기 거주 캐빈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가 상기 브릿지를 통해 육지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하수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주 캐빈은 3D 프린팅으로 제작되거나 텐트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텃밭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프레임; 상기 상측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텃밭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의 펌프;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플로팅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구조체는,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파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2 파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제2 부력체;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텃밭; 상기 복수의 제2 텃밭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아쿠아포닉스 펌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플로팅 구조체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경작도구 및 생활도구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방; 및 상기 경작도구 및 상기 생활도구를 거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마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커뮤니티 운영, 개선을 위한 교육이나 정보, 의견교류가 이루어지는 두레방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과수 또는 논으로 이루어지는 공유 농장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텃밭 또는 상기 공유 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는 식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유 농장은, 상기 공방, 상기 마켓 및 상기 두레방에 의해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은, 수상에서 사용자에게 거주 공간과 농작물을 제공함으로써,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에 따른 육지 면적의 감소에도 자급자족 가능한 거주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텃밭이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받게 됨으로써, 화학 비료 등과 같은 비친화적인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도 텃밭의 지력을 회복시켜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차단부가 프레임의 하측으로 쓰레기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프레임에 하측에 물고기가 안정적으로 서식할 수 있는 서식 공간을 제공하게 되어 물고기에 의해 발생되는 수상의 유기물을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트레이 모듈은 필요에 따라 수경 텃밭과 토경 텃밭으로 선택적으로 이용됨으로써, 수경 식물과 토경 식물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생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데크를 중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이 토경 텃밭으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이 토경 텃밭으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설명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의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와 바로 접하여 "전방", "후방", "상부" 또는 "하부"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되어 있다는 것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로 직접 연결되는 것뿐만 아니라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데크를 중점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복수의 파일(110), 프레임(120), 복수의 부력체(130), 복수의 텃밭(140), 아쿠아포닉스 펌프(150) 및 거주 캐빈(160)을 포함하고,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수상에서 농작물의 생산과 소비 구현을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호수의 수상에서 배치되며, 이외에 강 또는 바다의 수상에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파일(110)은 수중 바닥(B)에 수직한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파일(110)은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파일(1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복수의 파일(1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또는 목재와 같이 강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복수의 파일(110)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프레임(12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수상에서 농작물의 생산과 소비 구현을 위한 상기 복수의 텃밭(140),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 및 상기 거주 캐빈(160)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프레임(12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또는 목재와 같이 강성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에는 상기 복수의 파일(110)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부(121)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가이드부(121)에는 상기 복수의 파일(110)의 외경보다 큰 관통 홀(121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복수의 파일(110)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프레임(120)이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20)의 상측에는 상기 거주 캐빈(160)의 설치 공간을 확보하면서 사용자가 프레임(120)의 상측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데크(125)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데크(125)에는 상기 복수의 텃밭(140)의 일부(141)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홀(125a)과 상기 복수의 텃밭(140)의 다른 일부(142)의 용수가 배출되기 위한 제2 삽입 홀(125b)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는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120)에 부력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의 내부에는 공기와 같은 기체가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이외에 플라스틱과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에는 상기 프레임(120)과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연결 부재(131)가 구비된다.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131)는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연결 부재(131)의 끝단은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과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에 의해 수상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상기 부력체(130)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부력 조절부가 상기 부력체(130)의 내부에 기체를 공급하거나 배출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120)이 수중에 잠기는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텃밭(140)은 상기 프레임(120)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텃밭(140)에서는 사용자가 농작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텃밭(140)은 상기 수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수경 텃밭(141) 및 토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토경 텃밭(142)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에는 수중에서 서식하는 물고기로부터 발생된 유기물을 영양분으로 이용하는 수경 식물이 재배된다. 즉, 물고기의 배설물은 수경 식물의 영양분으로 이용되고, 수경 식물은 질소를 흡수하여 다시 수중으로 깨끗한 물을 배출함으로써, 화학 비료가 사용되지 않게 되어 화학 비료에 의해 물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토양뿐만 아니라 물을 일정하게 흡수할 수 있는 코코넛 껍질 또는 마섬유와 같이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상기 데크(125)에 형성된 상기 제1 삽입 홀(125a)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상기 데크(125)와 상기 프레임(120)을 관통하여 수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복수의 부력체(130)에 의해 간섭되지 않으면서 수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에는 토경 식물이 재배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은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의 상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은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레임(120) 상에서 빈 공간을 최소화하여 상기 복수의 텃밭(140)의 경작 면적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에는, 상기 복수의 텃밭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온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온실에는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는 상기 복수의 텃밭(140)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한다. 이 때, 아쿠아포닉스 펌프(150)는 상기 수중으로부터 물을 끌어올리면서 상기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 장치(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불순물은 상기 농작물의 성장에 방해가 되는 물질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는 호스(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호스를 통해 상기 복수의 수상 텃밭(141)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한다. 다만,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는 상기 호스와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프레임(120)에 매설된 파이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수상 텃밭(14)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는 상기 복수의 수상 텃밭(141)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에도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거주 캐빈(160)은 상기 프레임(120)의 상측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거주 공간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거주 캐빈(160)은 3D 프린팅으로 제작되어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되도록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거주 캐빈(160)은 천막으로 이루어진 텐트 구조로 이루어지게 되어, 거주 캐빈의 제작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주 캐빈(160)의 상측에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기 위한 태양광 모듈(161)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거주 캐빈(160)은 별도의 전력 공급을 받지 않고도 필요한 친환경 전기 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중으로 연결하는 전력 공급 배선이 물과의 접촉으로 인하여 쇼트가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상기 프레임(120)에 연결되는 이물질 차단부(17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 차단부(170)는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한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차단부(170)의 재질이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훼손된 자연 생태계를 살리면서 친환경적인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170)의 재질은 재활용 플라스틱에 한정되지 않고, 재활용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 차단부(170)는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에서 물고기의 안전한 서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텃밭(140)에서는 상기 물고기로부터 발생되는 유기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하면서, 수중 생태계와 공존 가능한 식물이 재배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인공 어초(18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인공 어초(180)는 상기 복수의 부력체(130)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인공 어초(180)는 상기 프레임(120)에 형성된 관통 홀(122)과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인공 어초(180)는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공 어초(180)는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81) 및 상기 제1 연장부(181)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8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연장부(181)는 봉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182)는 상기 제1 연장부(181)를 중심으로 하여 십자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 연장부(182)는 상기 제1 연장부(18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연장부(181)와 상기 제2 연장부(182)로 구성된 상기 복수의 인공 어초(180)에는 수중 식물이 서식하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인공 어초(180)가 수중 식물의 서식 환경을 제공함에 따라, 물고기의 안전한 서식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상기 프레임(120)과 육지(미도시)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190) 및 상기 거주 캐빈(160)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를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하수관(191)을 더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190)는 상기 거주 캐빈(16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브릿지(190)는 상기 프레임(120)에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9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브릿지(19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 플라스틱 또는 목재와 같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수관(191)은 상기 거주 캐빈(160)과 육지 사이를 연결한다. 이 때, 상기 하수관(191)은 상기 브릿지(190)에 매설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수관(191)은 상기 브릿지(190)에 매설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브릿지(19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장소(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빗물 저장소(165)는 상기 프레임(12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거주 캐빈(16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이 때, 상기 거주 캐빈(160)의 상측에는 빗물을 모아서 이송시키는 빗물 이송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상기 빗물 저장소(165)는 상기 빗물 이송부로부터 빗물을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빗물 저장소(165)에 저장된 빗물은 사용자가 생활에 필요한 생활 용수로 이용되거나 상기 복수의 텃밭(140)에 용수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120)은 복수의 그리드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프레임(120)에는 복수의 그리드를 따라 형성되는 관통 홀(122)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1)은 상기 복수의 그리드에 안착되는 수경 지지체(141a)를 포함한다. 상기 수경 지지체(141a)는 상기 복수의 그리드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경 지지체(141a)는 상기 데크(125)의 상기 제1 삽입 홀(125a)과 상기 프레임(120)의 상기 관통 홀(1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120)의 하측에 돌출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은 상기 데크(125)의 상측에 배치되는 토경 지지체(142a)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토경 지지체(142a)의 내부 구조는 상기 수경 지지체(141a)의 내부 구조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토경 지지체(142a)의 하측에는 상기 데크(125)의 상기 제2 삽입 홀(125b)에 삽입되는 배출부(142b)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42b)는 상기 데크(125)의 상기 제2 삽입 홀(125b)과 상기 프레임(120)의 상기 관통 홀(122)을 순차적으로 통과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2)에 공급된 용수는 상기 배출부(142b)를 통해 수중으로 배출된다.
상기 복수의 텃밭(140)에 대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이 토경 텃밭으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의 수경 텃밭이 토경 텃밭으로 전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경 텃밭(141)은 상기 수경 지지체(141a)에 수용되는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의 내부에는 토양 및 마섬유와 같은 섬유 재질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의 폭 또는 너비는 대략적으로 25~30c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의 폭과 너비는 대략적으로 30cm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을 쉽게 그립하여 들어올리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에는 사용자가 그립하기 위한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에는 하측으로 관통된 홀(143a)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에 공급된 용수는 상기 홀(143a)을 통해 상기 수중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중의 물은 상기 홀(143a)을 통해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의 내부로 흡수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토경 텃밭(142)의 상기 토경 지지체(142a)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을 수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141)과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142)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복수의 텃밭(140)의 제작의 편의성이 개선된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경 텃밭은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143)의 수면으로부터 높이를 조절하여 토경 텃밭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수경 지지체(141a)는 상측에 상기 프레임(1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14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경 지지체(141a)는 상기 플랜지부(141b)에 걸리면서 상기 수경 지지체(141a)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높이 조절부(145)를 포함한다.
상기 높이 조절부(145)는 상기 플랜지부(141b)와 상기 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경 지지체(141a)가 상기 높이 조절부(145)의 높이만큼 수면으로부터 상승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수경 텃밭(141)은 상기 높이 조절부(145)에 의해 상기 토경 텃밭으로 전환됨으로써, 상기 수경 텃밭(141)에서 수경 식물뿐만 아니라 토경 식물의 재배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200)은 복수의 파일(110), 프레임(120), 복수의 부력체(130), 복수의 텃밭(141, 142) 아쿠아포닉스 펌프(150), 거주 캐빈(160), 상측 프레임(220), 제2의 펌프(230) 및 광원(250)을 포함하고,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고, 상측 프레임(220), 제2의 펌프(230) 및 광원(250)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상측 프레임(220)은 상기 프레임(120)의 상측에 구비되고, 복수의 텃밭(240)이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상측 프레임(220)은 상기 프레임(120)의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체(21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텃밭(240)은 토경 식물을 재배하는 토경 텃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상측 프레임(220)은 농산물을 재배하기 위한 경작 면적을 넓히게 됨으로써, 농산물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의 펌프(230)는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150)와 상기 상측 프레임(220)을 유체적으로 연결하며, 상측 방향으로 용수를 끌어올리기 위한 펌핑력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의 펌프(230)에 의해 펌핑된 용수는 상기 상측 프레임(220)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텃밭(240)에 공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의 펌프(230)는 상기 아쿠아포닉스 펌프에 연결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빗물 저장소에 연결되어 상기 빗물 저장소에 저장된 빗물을 상기 복수의 텃밭(240)에 공급할 수 있다.
상기 광원(250)은 상기 상측 프레임(2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광원(250)은 LED일 수 있다. 상기 광원(250)은 상기 프레임(120)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텃밭(141, 142)에 광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상측 프레임(220)에 의해 부족해질 수 있는 광 에너지를 보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300)은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과 더불어 플로팅 구조체(310)를 포함한다.
상기 플로팅 구조체(310)는 복수의 제2 파일(311), 복수의 제2 프레임(312), 복수의 제2 부력체(미도시), 복수의 제2 텃밭(314), 제2 아쿠아포닉스 펌프(315) 및 제2 이물질 차단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파일(311)은 전술한 복수의 파일과 동일하고, 상기 복수의 제2 프레임(312)은 상기 프레임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부력체는 상기 복수의 부력체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아쿠아포닉스 펌프(315)는 상기 제1 아쿠아포닉스 펌프와 동일하고, 상기 제2 이물질 차단부는 상기 이물질 차단부와 동일하므로,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하기로 한다.
상기 플로팅 구조체(310)는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로팅 구조체(310)에는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에 비하여 더 많은 복수의 제2 텃밭(31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제2 텃밭(314)은 복수의 제2 수경 텃밭(314a) 및 복수의 제2 토경 텃밭(314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300)은 복수의 제2 텃밭(314)이 배치된 상기 플로팅 구조체(310)를 통해 농산물의 경작 면적을 확장하는 이점이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400)은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과 더불어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 때,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복수로 구성되어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의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100)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거주형 플로팅 팜(100)으로 지칭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공방(440, 444) 및 마켓(411,445)을 포함한다.
상기 공방(440, 444)은 커뮤니티의 구성원인 사용자가 사용하기 위한 경작도구 및 생활도구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마켓(411,445)은 경작도구 및 생활도구를 거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마켓(411, 445)은 오프라인 마켓뿐만 아니라 온라인 마켓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두레방(442, 44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레방(442, 446)은 커뮤니티 운영, 개선을 위한 교육이나 정보, 의견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축사(443) 및 저장소(44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축사(443)는 닭 또는 돼지와 같은 가축들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축사(443)는 가축으로부터 발생되는 퇴비를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과수 또는 논으로 이루어지는 공유 농장(420, 4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공유 농장(420, 430)는 상기 공방(440, 444), 상기 마켓(441, 445) 및 상기 두레방(442, 446)에 의해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공유 농장(420, 430)는 상기 복수의 거주형 플로팅 팜(100)에 의해 둘러싸도록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동선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경작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텃밭 또는 상기 공유 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는 식당(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당(410)은 커뮤니터의 중앙 영역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접근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10: 복수의 파일
120: 프레임 130: 복수의 부력체
140: 복수의 텃밭 150: 아쿠아포닉스 펌프
160: 거주 캐빈

Claims (16)

  1. 수상에서 농작물의 생산과 소비 구현을 위한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에 있어서,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복수의 파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파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프레임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복수의 텃밭;
    상기 복수의 텃밭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 및 수상의 유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아쿠아포닉스 펌프; 및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설치되어 거주 공간을 제공하는 거주 캐빈;
    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텃밭은,
    수면에 접촉되고, 수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수경 텃밭; 및
    수면에 이격되어 배치되고, 토경 식물이 재배되는 복수의 토경 텃밭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복수의 그리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은,
    수경 식물을 지지하고, 상기 복수의 그리드에 안착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 홀을 통과하는 수경 지지체; 및
    상기 수경 지지체에 수용되는 복수의 트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은,
    상기 복수의 그리드에 안착되는 토경 지지체; 및
    상기 토경 지지체에 수용되는 상기 복수의 트레이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수경 지지체는,
    상기 프레임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플랜지부; 및
    상기 프레임과 상기 수경 지지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걸리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수경 텃밭은, 상기 높이 조절부에 의해 상기 복수의 토경 텃밭으로 전환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이물질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텃밭의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온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온실에는 온도 또는 습도를 조절하기 위한 히터 장치가 구비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고, 재활용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인공 어초를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주 캐빈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과 육지 사이를 연결하는 브릿지; 및
    상기 거주 캐빈으로부터 배출되는 하수가 상기 브릿지를 통해 육지로 이송되도록 형성되는 하수관을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고, 빗물을 저장하는 빗물 저장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주 캐빈은 3D 프린팅으로 제작되거나 텐트 구조로 이루어지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복수의 텃밭이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상측 프레임;
    상기 상측 프레임에 안착된 상기 복수의 텃밭으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의 펌프; 및
    상기 상측 프레임의 하측에 배치되는 광원을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부력을 조절하는 부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플로팅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로팅 구조체는,
    수중 바닥에 고정되는 복수의 제2 파일;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복수의 제2 파일이 각각 관통하는 복수의 제2 가이드부가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제2 부력체;
    상기 제2 프레임에 안착되고, 토양을 수용하는 복수의 제2 텃밭;
    상기 복수의 제2 텃밭 중 적어도 하나에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아쿠아포닉스 펌프; 및
    상기 제2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의 하측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2 이물질 차단부를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구조체는 복수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경작도구 및 생활도구를 생산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방; 및
    상기 경작도구 및 상기 생활도구를 거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마켓을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커뮤니티 운영, 개선을 위한 교육이나 정보, 의견교류가 이루어지는 두레방을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과수 또는 논으로 이루어지는 공유 농장을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플로팅 구조체는, 상기 복수의 텃밭 또는 상기 공유 농장에서 생산된 농산물을 소비하는 식당을 더 포함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 농장은, 상기 공방, 상기 마켓 및 상기 두레방에 의해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KR1020220013277A 2022-01-28 2022-01-28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KR102627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77A KR102627562B1 (ko) 2022-01-28 2022-01-28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3277A KR102627562B1 (ko) 2022-01-28 2022-01-28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94A KR20230116394A (ko) 2023-08-04
KR102627562B1 true KR102627562B1 (ko) 2024-01-19

Family

ID=8756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3277A KR102627562B1 (ko) 2022-01-28 2022-01-28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533A (ja) * 2002-10-16 2004-05-13 Fujita Corp 人工浮島、および人工浮島における植生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4472B1 (ko) * 2009-12-21 2012-06-13 주식회사 아썸 외부보강형 인공식물섬
KR20160080028A (ko) * 2014-12-29 2016-07-07 김상훈 복합기능형 인공섬
KR101922415B1 (ko) * 2016-11-24 2019-02-20 최정심 생태순환형 커뮤니티 시스템
WO2019177710A1 (en) * 2018-03-11 2019-09-19 Villamar Carlos R System and method for solar greenhouse aquaponics and black soldier fly composter and auto fish feed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533A (ja) * 2002-10-16 2004-05-13 Fujita Corp 人工浮島、および人工浮島における植生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6394A (ko) 2023-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217B1 (ko) 다변형 바이오플락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시스템
JP3158233U (ja) 魚類養殖・水耕栽培装置。
CN107347410B (zh) 一种大堤型湖滨带多生境立体植被构建方法
CN105347491B (zh) 一种提高湿地生物多样性的湿地组合系统
CN107114152B (zh) 一种滨海盐渍土地区台田浅池-温室系统及其应用
CN102674558A (zh) 集成式生态浮床及其修复水体生态系统技术
CN104365528A (zh) 一种箱式鱼菜共生养殖系统
CN105130001A (zh) 一种拟自然的生态农田构建方法
KR100914634B1 (ko) 복합 해양온실목장
CN208016700U (zh) 适于北方地区的双面连体温室鱼菜种养系统
CN205472958U (zh) 基于低矮无花苦草的河道生态床
CN104160864A (zh) 可移动沉水植物草坪块生产方法
CN102687662A (zh) 一种水上植物栽培筏及其制造方法
CN204317281U (zh) 一种箱式鱼菜共生养殖系统
CN101306880A (zh) 水上套作栽培植物治理富营养化水体的方法
Srinivasan Understanding the Kole lands in Kerala as a multiple use wetland ecosystem
CN112441702A (zh) 一种农林湿复合生态净化系统
CN206735912U (zh) 一种多功能生态浮岛装置
CN105875279A (zh) 漂浮式三位一体光伏大棚
CN110326579A (zh) 适于北方地区的双面连体温室鱼菜种养系统及种养方法
CN203985221U (zh) 可移动沉水植物草坪块种植床
KR102627562B1 (ko) 자급자족 거주형 플로팅 팜
CN205511676U (zh) 一种带有空间电场的鱼菜共生系统
JP2008023508A (ja) 立体的植物用床及びそれを用いる水質浄化装置
CN209778451U (zh) 一种组合式太阳能曝气生物浮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