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02B1 -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02B1
KR102627502B1 KR1020190091778A KR20190091778A KR102627502B1 KR 102627502 B1 KR102627502 B1 KR 102627502B1 KR 1020190091778 A KR1020190091778 A KR 1020190091778A KR 20190091778 A KR20190091778 A KR 20190091778A KR 102627502 B1 KR102627502 B1 KR 102627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ctive stylus
period
packet
displa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4223A (ko
Inventor
하루히코 히사노
히데유키 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와코무
Publication of KR20200014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4223A/ko
Priority to KR1020240007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2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11Configuring for operating with peripheral devices; Loading of device dr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6Details of scanning methods, e.g. sampling time, grouping of sub areas or time sharing with display dr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2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xchanging data with external devices, e.g. smart pens, via the digitiser sensing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06F3/04184Synchronisation with the driving of the display or the backlighting unit to avoid interferences generated internal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07General aspects irrespective of display type, e.g. determination of decimal point position, display with fixed or driving decimal point, suppression of non-significant zero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ctive external devices, e.g. active pens, for transmitting changes in electrical potential to be received by the digiti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4Exchange of auxiliary data, i.e. other than image data, between monitor and graphics controll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10Use of a protocol of communication by packets in interfaces along the display data pipe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ultimedia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Abstract

[과제] 펜 신호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은,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표시 프레임 Fk 내에서, 복수 비트값을 포함하는 패킷 Pm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스텝과,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표시 프레임 Fk 내에서, 패킷 Pm을 재차 송신하는 제2 송신 스텝을 포함한다. 표시 컨트롤러(2)는, 제1 표시 구동 기간에 이어지는 블랭크 기간 내에 있어서, 제1 및 제2 송신 스텝 중 어느 것에 의해 송신된 패킷 Pm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ACTIVE STYLUS DETECTION METHOD}
본 발명은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 구동을 실행하는 표시 컨트롤러에 있어서의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패널의 구동에 이용되는 표시 컨트롤러에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있다. 이런 종류의 표시 컨트롤러에 있어서는, 표시를 위해서 화소를 구동시키는 기간(표시 구동 기간)과,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송신한 펜 신호를 수신하는 기간(블랭크 기간)이 시분할로 마련된다. 블랭크 기간은 화소의 구동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으로, 전형적으로는, 수직 블랭크 기간, 수평 블랭크 기간, 혹은 소정 개의 수평 블랭크 기간을 집약해서 이루어지는 기간 등에 의해서 구성된다. 블랭크 기간 내에 있어서는, 화소의 구동 동작에 기인하는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표시 컨트롤러는 노이즈가 적은 상태로 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이와 같은 표시 컨트롤러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동 문헌에는, 표시 컨트롤러로부터 액티브 스타일러스에 대해, 업 링크 신호를 이용하여, 1 표시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블랭크 기간의 위치를 통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액티브 스타일러스는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해 온 표시 컨트롤러에 대해서 펜 신호를 송신해야 할 타이밍을 알 수 있다.
일본 특허 제6166497호
그런데, 업 링크 신호는 블랭크 기간의 위치의 통지 외에도 여러 용도로 이용되는 것이기 때문에, 매 프레임, 블랭크 기간의 위치를 통지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특허문헌 1의 기술에 의하면, 블랭크 기간의 위치를 재통지할 수 있게 될 때까지의 수 프레임 동안, 표시 컨트롤러는 블랭크 기간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하여 블랭크 기간의 위치가 고정되어 버리면, 복수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 연속해서, 같은 위치에서 표시 구동 동작이 불연속되게 되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과제에 관해서, 특허문헌 1에는, 각 블랭크 기간에 있어서 짧은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사용하면, 표시 컨트롤러로부터 액티브 스타일러스에 대해서 블랭크 기간의 정확한 위치를 통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그렇지 않아도 짧은 블랭크 기간의 일부를 보조 업 링크 신호에 의해서 점유되어 버리기 때문에, 액티브 스타일러스로부터 펜 신호에 포함해서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이 감소해 버리는 결과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 중 하나는, 펜 신호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은,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복수 비트값을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스텝과,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패킷을 재차 송신하는 제2 송신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제1 표시 구동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일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제1 표시 구동 기간에 이어지는 블랭크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스텝 중 어느 것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블랭크 기간에 이어지는 제2 표시 구동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은,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인터벌 시간을 두고 설정된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의 각각의 안에 들어가도록 패킷의 송신을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 각각의 상기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송신한 패킷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벌 시간을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면서, 상기 표시 구동을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의하면,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같은 내용의 패킷을 적어도 2회 송신하므로, 표시 컨트롤러는,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자신의 사정에 따라 블랭크 기간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펜 신호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의하면, 표시 컨트롤러는,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이 고정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품질상의 과제에 대해서는, 펜 신호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구동 기간(DP)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 의한 액티브 스타일러스(100)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에 나타내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 및 표시 컨트롤러(2)는 각각, 표시면에의 펜 입력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 검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이다. 이 중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유저에 의해서 파지 가능하게 구성된 펜형의 장치로서, 위치 검출 시스템의 입력 장치를 구성한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2)는 태블릿 단말 등의 컴퓨터에 내장되는 집적 회로로서, 도시하지 않은 프로세서로부터 공급되는 표시 데이터에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역할과, 표시면 내에 있어서의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위치를 검출하여 프로세서에 리포트하는 역할과,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하고, 프로세서에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한, 표시 장치로서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 각종의 표시 장치가 사용 가능하다. 또한, 표시 장치의 구동 방식으로서도,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 단순 매트릭스 방식 등 각종의 방식이 사용 가능하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와 표시 컨트롤러(2)는, 쌍방향으로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하, 표시 컨트롤러(2)로부터 액티브 스타일러스(1)에 대해서 송신되는 신호를 「업 링크 신호(UL)」라고 칭하고, 액티브 스타일러스(1)로부터 표시 컨트롤러(2)에 대해서 송신되는 신호를 「펜 신호(P)」라고 칭한다.
펜 신호(P)는 무변조의 버스트 신호와, 액티브 스타일러스(1)로부터의 송신 데이터에 의해서 변조된 데이터 신호를 시분할로 포함하는 신호이다. 버스트 신호는 표시 컨트롤러(2)에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위치를 검출시키기 위해서 송신된다.
업 링크 신호(UL)는 표시 컨트롤러(2)로부터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커맨드를 포함하는 신호이다. 커맨드에는, 예를 들면,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펜 신호(P)를 송신해야 할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이밍 정보나,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데이터 신호에 포함해서 송신해야 할 데이터(필압값, 스타일러스 ID 등)를 나타내는 송신 데이터 정보 등이 포함된다. 이 중 타이밍 정보에 관해서, 표시 컨트롤러(2) 및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미리, 표시 프레임의 시간 길이(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업 링크 신호(UL)를 수신하는 타이밍으로부터의 시간 길이)와, 표시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복수의 블랭크 기간의 배치와, 복수의 블랭크 기간 중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펜 신호(P)의 송신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정하는 정보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프리셋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타이밍 정보는 이들 복수의 프리셋 정보 중 하나를 특정하는 정보이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펜 끝 근방에는, 펜 끝 전극이 마련된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2)는 표시면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선 모양 전극(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된다. 표시 컨트롤러(2)는 이들 선 모양 전극과, 펜 끝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정전 용량을 통해서, 업 링크 신호(UL)의 송신과 펜 신호(P)의 수신을 행한다. 버스트 신호인 펜 신호(P)를 수신한 표시 컨트롤러(2)는, 각 선 모양 전극에 있어서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표시면 내에 있어서의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데이터 신호인 펜 신호(P)를 수신한 표시 컨트롤러(2)는, 수신한 데이터 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송신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펜 끝 전극을 통해서 업 링크 신호(UL)를 수신한 것에 따라, 버스트 신호와, 업 링크 신호(UL) 내의 송신 데이터 정보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신호를 포함하는 펜 신호(P)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한 펜 신호(P)를, 업 링크 신호(UL) 내의 타이밍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복수의 블랭크 기간에 분할하여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렇게 하여 분할 송신되는 펜 신호(P)의 각 부분을 「패킷」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각 패킷은, 복수 비트값을 포함해서 구성되는 데이터이다. 표시 컨트롤러(2)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각 패킷을 결합함으로써 펜 신호(P)를 취득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위치의 검출과,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송신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이하, 표시 컨트롤러(2)에 의한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전에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 의한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과 그 과제에 대해 설명하고, 그 후,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배경 기술은, 그 자체가 본원의 발명자에 의해 발명된 것이며, 본원의 우선일의 시점에서 공지가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경 기술에 의한 액티브 스타일러스(100)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동 도에 나타내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00) 및 표시 컨트롤러(200)는, 이하에 설명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00)의 검출 방법 이외의 점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 및 표시 컨트롤러(2)와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나타내는 표시 프레임 Fk-1, Fk, Fk+1은 각각, k-1번째의 표시 프레임, k번째의 표시 프레임, k+1번째의 표시 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기간 DP는, 표시 컨트롤러(200)가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는 기간(표시 구동 기간)을 나타내고, 기간 BP는, 표시 컨트롤러(200)에 의한 표시 장치의 구동을 휴지하고 있는 기간(블랭크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부호 BP의 말미에 부여한 숫자는, 1 표시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블랭크 기간 BP의 일련 번호이다. 다만, 어느 표시 프레임에 대응하는 최초의 블랭크 기간 BP0는, 그 표시 프레임의 직전에 위치하고 있다. 각 표시 구동 기간 DP에 있어서 표시 컨트롤러(200)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중 일부를 구동시킴으로써, 대응하는 표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일부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도 5의 하단에는, k번째의 표시 프레임 Fk와, k+1번째의 표시 프레임 Fk+1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기간 DP와 블랭크 기간 BP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의 상단에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00)가 업 링크 신호(UL)를 수신하는 기간과, 펜 신호(P)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의 각각을 송신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부호 P의 말미에 부여한 숫자는, 펜 신호(P)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의 일련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표시 프레임 내에는 복수의 표시 구동 기간 DP이 소정의 시간 간격 Y로 배치된다. 각 표시 구동 기간 DP의 시간 길이는 일정값 X이다. 인접하는 2개의 표시 구동 기간 DP의 사이의 시간 간격이 Y인 것으로부터, 각 블랭크 기간 BP의 시간 길이는 일정값 Y가 된다.
표시 프레임 Fk에 대응하는 표시 구동을 행할 때, 표시 컨트롤러(200)는 우선, 블랭크 기간 BP0에 있어서 업 링크 신호(UL)를 송신한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00)는 이렇게 하여 송신된 업 링크 신호(UL)를 기준으로 하여 표시 컨트롤러(200)와의 사이에 프레임 동기를 확립하는 것과 함께, 업 링크 신호(UL)로부터 상술한 타이밍 정보 또는 송신 데이터 정보를 취득한다. 또한, 표시 컨트롤러(200)는 업 링크 신호(UL)에 의해 항상 타이밍 정보 및 송신 데이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은 아니며, 변경의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만, 이것들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타이밍 정보 또는 송신 데이터 정보를 취득했을 경우, 취득한 이들 정보를 기억하고, 다음에 타이밍 정보 또는 송신 데이터 정보가 취득될 때까지 동안, 기억한 이들 정보에 따라서 동작한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00)는 취득한 또는 기억하고 있는 타이밍 정보에 의해 나타내지는 복수의 블랭크 기간 BP 각각의 타이밍에서, 펜 신호(P)를 구성하는 각 패킷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표시 컨트롤러(200)는, 이렇게 하여 송신된 펜 신호(P)에 기초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위치의 검출과,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송신한 데이터의 수신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표시 컨트롤러(200)는, 제1 표시 구동 기간 DP 내에 있어서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표시 프레임 Fk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일부를 표시한 후, 제1 표시 구동 기간 DP에 이어지는 블랭크 기간 BP 내에 있어서 액티브 스타일러스(100)가 송신한 패킷을 수신하고, 추가로, 그 블랭크 기간 BP에 이어지는 제2 표시 구동 기간 DP 내에 있어서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표시 프레임 Fk를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한다고 하는 일련의 동작을 행함으로써, 표시 구동과 각 패킷의 수신을 행한다.
이상과 같은 검출 방법에 의하면, 업 링크 신호(UL)에 의해 타이밍 정보를 재통지할 때까지 동안, 표시 컨트롤러(200)는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를 변경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하여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가 고정되어 버리면, 복수의 표시 프레임에 있어서 연속해서, 같은 위치에서 표시 구동 동작이 불연속되게 되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 형태는 하나의 표시 프레임 내에서 같은 패킷을 2회 이상 송신하도록 액티브 스타일러스(1)를 구성함으로써, 이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도 1을 다시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컨트롤러(2)가 송신하는 타이밍 정보에는, 도 5에 나타낸 배경 기술과 마찬가지의 정보가 설정된다. 즉, 타이밍 정보에 의해 통지되는 블랭크 기간 BP의 배치는, 도 5에 나타낸 블랭크 기간 BP의 배치를 나타내는 것이 된다.
도 1의 상단에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업 링크 신호(UL)를 수신하는 기간과, 펜 신호(P)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킷의 각각을 송신하는 기간을 나타내고 있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표시 프레임 Fk 내에 있어서, 타이밍 정보에 의해 통지된 블랭크 기간 BP를 이용하여 패킷 P1~Pn(n은 2이상의 자연수)의 송신을 행하는 점은, 도 5에 나타낸 배경 기술과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이 송신에 더하여, 패킷 P1~Pn의 각각과 같은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른 패킷 P1(-/+)~Pn(-/+)의 송신도 행하도록 구성된다. 다만, - 기호는, 대응하는 패킷의 직전에 송신되는 같은 내용의 패킷을 나타내고, + 기호는, 대응하는 패킷의 직후에 송신되는 같은 내용의 패킷을 나타낸다.
바꿔 말하면,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표시 프레임 Fk(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복수 비트값을 포함하는 패킷 Pm(m은 1~n의 정수. 제1 패킷)을 송신(제1 송신 스텝)하고, 같은 표시 프레임 Fk 내에서, 이 패킷 Pm을 재차 송신(제2 송신 스텝)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의 예에서는, 이 재송신이 1회째의 송신으로부터 연속해서 2번에 걸쳐 실행되고 있고, 따라서 하나의 표시 프레임 Fk 내에 있어서, 같은 내용의 패킷 Pm-, Pm, Pm+가 연속해서 송신되고 있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이와 같은 패킷의 송신을 행하는 결과로서, 표시 컨트롤러(2)는, 패킷 Pm-의 송신 기간, 패킷 Pm의 송신 기간, 및 패킷 Pm+의 송신 기간 중에서,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의 하단 (a)~(d)는 각각, 이렇게 하여 각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가 임의로 선택된 결과로서의, 표시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블랭크 기간 BP의 배치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에 나타내는 패턴은, 기본이 되는 패킷 P1~Pn의 송신 기간에 블랭크 기간 BP가 배치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는, 도 5에 나타낸 배경 기술과 같은 배치이다. (b)에 나타내는 패턴은, 모든 m에 대해서, 패킷 Pm의 직전에 송신되는 패킷 Pm-의 송신 기간에 블랭크 기간 BP가 배치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c)에 나타내는 패턴은, 모든 m에 대해서, 패킷 Pm의 직후에 송신되는 패킷 Pm+의 송신 기간에 블랭크 기간 BP가 배치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d)에 나타내는 패턴은, m의 값마다 패킷 Pm-, Pm, Pm+ 중 어느 것이 선택되고, 선택된 패킷의 송신 기간에 블랭크 기간 BP가 배치되었을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에 의하면,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하나의 표시 프레임 내에서 같은 내용의 패킷을 적어도 2회 송신하고 있으므로, 표시 컨트롤러(2)는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자신의 사정에 따라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펜 신호(P)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같은 내용의 패킷이 연속해서 송신되는 예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같은 내용의 패킷이 연속 송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 하단의 (a)는, 표시 프레임 Fk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기간 DP 및 블랭크 기간 BP의 배치를 나타내고, (b)는, 표시 프레임 Fk+1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기간 DP 및 블랭크 기간 BP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같은 내용의 2개의 패킷 Pm, Pm+를, 간격을 두고 송신하고 있다. 본 변형예에 의해서도, 표시 컨트롤러(2)는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자신의 사정에 따라 블랭크 기간 BP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펜 신호(P)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횡 라인의 발생이나 소리 울림과 같은 표시 품질상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사이에 설정된 인터벌 시간을 유지하면서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면서, 표시 구동을 실행하도록 표시 컨트롤러(2)를 구성함으로써, 적어도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이 고정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품질상의 과제에 대해서는, 펜 신호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 밖의 점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설명을 행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구동 기간 DP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PS가 미리 설정된다. 개개의 표시 프레임에 설정되는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PS는, 소정 시간 길이 X의 인터벌 시간을 두고, 각 표시 프레임 내에 배치된다. 액티브 스타일러스(1)는, 이 패킷 송신 기간 PS 안에 들어가도록, 펜 신호(P)를 구성하는 패킷의 송신을 행한다.
표시 컨트롤러(2)는, 복수의 표시 프레임 각각의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PS내에 있어서, 액티브 스타일러스(1)가 송신한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한 패킷에 대해서 표시 컨트롤러(2)가 행하는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표시 컨트롤러(2)는, 소정 시간 길이 X의 인터벌 시간 내에, 표시 장치의 구동을 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소정 시간 길이 X는, 각 표시 프레임 내에 있어서의 소정 시간 길이 X의 합계값이 전체 화소분의 표시 구동을 실시하기 위해서 필요한 시간보다도 조금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표시 컨트롤러(2)는 표시 구동을 위해서 인터벌 시간의 전부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컨트롤러(2)는,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사이에 설정된 인터벌 시간을 유지하면서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면서, 표시 구동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터벌 시간의 시기(始期)부터 시간 길이 RS의 범위에서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을 조정하고, 인터벌 시간의 종기(終期)부터 시간 길이 RS의 범위에서 표시 구동 기간 DP의 종료 타이밍을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 도 하단의 (a)는, 표시 프레임 Fk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기간 DP의 배치를 나타내고, (b)는, 표시 프레임 Fk+1에 있어서의 표시 구동 기간 DP의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동 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표시 컨트롤러(2)는, 각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PS의 사이에 설정된 인터벌 시간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하면서, 표시 구동을 실행한다. 따라서,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이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 방법에 의하면, 표시 컨트롤러(2)는 보조 업 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일 없이,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표시 구동 기간 DP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이 고정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표시 품질상의 과제에 대해서는, 펜 신호(P)에 의해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확보하면서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형태로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양태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액티브 스타일러스(1)의 검출에 주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손가락 등에 의한 터치의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도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패킷의 송신 기간 대신에, 터치 검출용 신호의 송신 기간이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복수의 선 모양 전극의 일부가 표시 장치 내의 화소 구동용의 전극(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공통 전극)을 겸하는 장치(예를 들면, 인셀(in cell)형의 태블릿 단말)에 대해서도, 적합하게 적용 가능하다.
1 액티브 스타일러스
2 표시 컨트롤러
BP 블랭크 기간
DP 표시 구동 기간
F 표시 프레임
P 펜 신호
Pm 패킷
PS 패킷 송신 기간
UL 업 링크 신호

Claims (3)

  1.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복수 비트값을 포함하는 제1 패킷을 송신하는 제1 송신 스텝과,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상기 제1 표시 프레임 내에서, 상기 제1 패킷을 재차 송신하는 제2 송신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제1 표시 구동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일부를 표시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제1 표시 구동 기간에 이어지는 블랭크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송신 스텝 중 어느 것에 의해 송신된 상기 제1 패킷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블랭크 기간에 이어지는 제2 표시 구동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함으로써, 상기 제1 표시 프레임을 구성하는 복수의 화소 데이터 중 다른 일부를 표시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표시 프레임과, 해당 제1 표시 프레임에 이어지는 제2 표시 프레임에서, 상기 제1 표시 구동 기간 또는 상기 제2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위치 및 종료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을 변경하는 제어를 행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2.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컨트롤러에 의해 실행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으로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복수의 표시 프레임의 각각에 있어서, 미리 소정의 인터벌 시간을 두고 설정된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의 각각의 안에 들어가도록 패킷의 송신을 실행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표시 프레임 각각의 상기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내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스타일러스가 송신한 패킷을 수신하는 스텝과,
    상기 표시 컨트롤러가, 상기 복수의 패킷 송신 기간 사이에 설정된 상기 인터벌 시간을 유지하면서 상기 표시 구동을 행하는 표시 구동 기간의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변경하면서, 상기 표시 구동을 실행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3. 삭제
KR1020190091778A 2018-07-31 2019-07-29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KR102627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07022A KR20240012598A (ko) 2018-07-31 2024-01-16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12790P 2018-07-31 2018-07-31
US62/712,790 2018-07-31
JP2018187806A JP7182417B2 (ja) 2018-07-31 2018-10-02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の検出方法
JPJP-P-2018-187806 2018-10-0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7022A Division KR20240012598A (ko) 2018-07-31 2024-01-16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4223A KR20200014223A (ko) 2020-02-10
KR102627502B1 true KR102627502B1 (ko) 2024-01-22

Family

ID=69588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778A KR102627502B1 (ko) 2018-07-31 2019-07-29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KR1020240007022A KR20240012598A (ko) 2018-07-31 2024-01-16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07022A KR20240012598A (ko) 2018-07-31 2024-01-16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237651B2 (ko)
EP (1) EP4235375A3 (ko)
JP (1) JP7182417B2 (ko)
KR (2) KR102627502B1 (ko)
TW (2) TWI82953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422A (ko) * 2020-09-15 2022-03-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검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2010A1 (en) 2014-09-29 2016-03-31 Apple Inc. Touch, pen and force sensor operation with variable refresh displays
US20180059868A1 (en) 2016-08-29 2018-03-01 Apple Inc. Touch induced flicker mitigation for variable refresh rate display
WO2018066100A1 (ja) * 2016-10-06 2018-04-12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コントローラ
US20180113519A1 (en) 2016-09-01 2018-04-26 Wacom Co., Ltd. Stylus, sensor controller, and electronic rul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6497A (ja) 1984-09-10 1986-04-05 Hitachi Ltd デツドロツク認識方法
JPS6166497U (ko) 1984-10-04 1986-05-07
JP3006448B2 (ja) * 1995-02-09 2000-02-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入出力システム
KR20110013687A (ko) * 2009-08-03 2011-02-10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TWI449028B (zh) * 2012-06-04 2014-08-11 Ind Tech Res Inst 自發光顯示裝置、適應性顯示控制方法及適應性調整電路
JP6103757B2 (ja) * 2013-01-28 2017-03-29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タッチ表示制御装置及び情報端末装置
US10175827B2 (en) * 2014-12-23 2019-01-08 Synaptics Incorporated Detecting an active pen using a capacitive sensing device
JP6082172B1 (ja) * 2015-04-09 2017-02-15 株式会社ワコム 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及びセンサコントローラを用いた方法、システム、センサコントローラ、及びアクティブスタイラス
US10474286B2 (en) 2016-10-25 2019-11-12 Lg Display Co., Ltd. Touch display device, active pen, touch system, touch circuit, and pen recognition method
TWI609310B (zh) * 2017-04-27 2017-12-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可於顯示裝置上感測觸控筆的方法及用於感測觸控筆的裝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92010A1 (en) 2014-09-29 2016-03-31 Apple Inc. Touch, pen and force sensor operation with variable refresh displays
US20180059868A1 (en) 2016-08-29 2018-03-01 Apple Inc. Touch induced flicker mitigation for variable refresh rate display
US20180113519A1 (en) 2016-09-01 2018-04-26 Wacom Co., Ltd. Stylus, sensor controller, and electronic ruler
WO2018066100A1 (ja) * 2016-10-06 2018-04-12 株式会社ワコム スタイラス及びコントロー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82417B2 (ja) 2022-12-02
KR20200014223A (ko) 2020-02-10
US11237651B2 (en) 2022-02-01
TW202008127A (zh) 2020-02-16
EP4235375A2 (en) 2023-08-30
KR20240012598A (ko) 2024-01-29
JP2020021444A (ja) 2020-02-06
US20210072842A1 (en) 2021-03-11
TWI797329B (zh) 2023-04-01
TW202324050A (zh) 2023-06-16
EP4235375A3 (en) 2023-10-25
TWI829538B (zh) 2024-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2582B2 (ja) 集積回路
CN106033663B (zh) 用于显示装置、显示驱动器和显示装置系统的内部时钟信号控制
US10521042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driving the touch display panel and device for driving the touch display panel
CN113160748B (zh) 显示屏变频方法、显示驱动集成电路芯片及应用处理器
KR20240012598A (ko) 액티브 스타일러스의 검출 방법
CN103677383A (zh) 提升触控取样率的方法及触控显示装置
CN110168480B (zh) 用于减轻触摸感测和笔感测的显示噪声的方法和装置
US11561642B2 (en) Touch sensing device supporting a plurality of protocols
CN113160747A (zh) 显示屏变频方法、显示驱动集成电路芯片及应用处理器
EP3660649A1 (en) Touch message fusio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2363641A (zh) 触控扫描方法、tpic芯片、ddic芯片及模组
US10845899B2 (en) Detection method of active stylus
US20220171515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controller used in the same
CN104978068A (zh) 触摸显示驱动方法、系统、显示装置和应用处理器
US20210225276A1 (en) Display panel,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driving control circuit, and display device
JP6773868B1 (ja) 送信装置、送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2623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ouch screen, apparatus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process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