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391B1 -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 Google Patents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91B1
KR102627391B1 KR1020197036085A KR20197036085A KR102627391B1 KR 102627391 B1 KR102627391 B1 KR 102627391B1 KR 1020197036085 A KR1020197036085 A KR 1020197036085A KR 20197036085 A KR20197036085 A KR 20197036085A KR 102627391 B1 KR102627391 B1 KR 10262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justment
adjustment member
recess
club head
golf cl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6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079A (ko
Inventor
마틴 알. 저트슨
다니엘 케이. 리
시아오지안 첸
트레비스 디. 밀맨
Original Assignee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Priority to KR1020247001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884A/ko
Publication of KR201901400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0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33Heads with special sole configu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45Details of grooves or the like on the impact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66Heads wood-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2Ballast means for adjusting the centre of m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52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with sl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클럽 헤드는 클럽 바디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한다. 클럽 바디는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및 호젤을 포함한다.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킬 표면을 가지는 조절 부재 및 소 표면의 일부가 리세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도록 솔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리세스에 배치되고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하다. 제1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은 솔 표면의 일부에 대해 제1 거리에 있다. 제2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은 솔 표면의 일부에 대해 상기 방향으로 제1 거리와 동일하지 않은 제2 거리에 있다.

Description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관련 출원에 대한 교차 참조
본 출원은 2017년 5월 5일자 출원된 공동 계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501, 873호, 2017년 5월 15일자 출원된 공동 계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506, 387호 및 2018년 4월 16일자 출원된 공동 계류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658, 43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내용은 전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골프 클럽의 다양한 특성은 무게 중심의 위치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resting face angle)를 포함하여 골프 클럽의 성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개시 내용은 일 양태에서, 클럽 바디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클럽 바디는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및 호젤을 포함한다.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킬(keel) 표면을 갖는 조절 부재 및 솔 표면의 일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도록 솔에 형성된 리세스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리세스에 배치되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절 부재가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은 솔 표면의 부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솔 표면의 부분에 대해 제1 거리에 있다.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은 상기 방향에서 제1 거리와 동일하지 않은 솔 표면의 부분에 대해 제2 거리에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다른 양태에서 클럽 바디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클럽 바디는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및 호젤을 포함한다.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솔에 형성되고 리세스 에지를 형성하는 리세스 내에 위치될 수 있고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킬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절 부재가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의 일부는 리세스 에지의 일부로부터 제1 거리에 있다.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의 부분은 제1 거리보다 멀리 리세스 에지의 부분으로부터 제2 거리에 있다.
본 개시 내용은 다른 양태에서 클럽 바디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클럽 바디는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및 호젤을 포함한다.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솔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될 수 있는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는 킬 표면을 포함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 부재는, 조절 부재가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클럽 바디의 제1 위치에 킬 포인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되는 경우, 조절 부재는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클럽 바디의 제2 위치에 킬 포인트를 발생시킨다.
본 개시 내용은 다른 양태에서 클럽 바디 및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를 제공한다. 클럽 바디는 솔 표면을 포함하는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호젤 및 골프 클럽 샤프트를 클럽 바디에 고정하기 위한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호젤 표면을 가지고 리세스 에지를 형성하는 호젤 리세스를 포함한다. 솔 표면의 일부는 리세스 에지를 경계로 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호젤 리세스 내에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고, 조절 부재는 킬 표면을 포함한다.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조절기는 조절 부재가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이 솔 표면의 부분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솔 표면의 부분에 대해 제1 거리에 있도록 구성된다.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은 상기 방향으로 제1 거리와 동일하지 않은 거리로서 솔 표면의 부분에 대해 제2 거리에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바와 같은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정면도로서, 페이스 플레이트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1의 클럽 헤드의 상면도(또는 크라운)이다.
도 3b는 도 3a의 3B-3B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의 클럽 헤드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다른 사시도로서 조절 부재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7은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8은 도 6의 8-8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9-9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13은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14는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3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15는 도 12의 15-15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16-16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4의 17-17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21은 도 1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22는 도 20의 22-22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1의 23-23 라인을 따라 취한, 도 1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27은 도 2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28은 도 26의 28-28 라인을 따라 취한, 도 2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29-29 라인을 따라 취한, 도 2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33-33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로서, L-형 슬롯을 가지는 캐비티를 예시한다.
도 34는 도 30의 34-34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35는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36은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37은 도 30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3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38은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도 38의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0은 도 3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41은 도 3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42는 도 40의 42-42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3은 도 41의 43-43 라인을 따라 취한, 도 38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44는 본 개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골프 클럽 헤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6은 도 4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사시도로서, 제1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47은 도 4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사시도로서, 제2 위치의 조절 부재를 예시한다.
도 48은 도 46의 48-48 라인을 따라 취한, 도 4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 47의 49-49 라인을 따라 취한, 도 44의 골프 클럽 헤드의 일부의 다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골프 클럽 헤드는 사용자가 골프 클럽 헤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다중 부품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한다. 클럽 헤드는 전반적으로 솔에 대향하는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하는 후방 단부, 호젤 및 클럽 바디에 형성된 리세스를 갖는 클럽 헤드 바디를 포함한다. 조절기는 리세스에 의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되고 클럽 헤드 바디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된 조절 부재를 포함한다. 많은 실시예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조절 부재는 클럽 헤드의 외부 윤곽으로부터 돌출되거나, 또는 클럽 헤드의 외부 윤곽으로부터 최소로 삽입되거나 함몰된다. 조절 부재는 클럽 헤드의 솔의 외부 윤곽에 대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리세스에 대해 활주 또는 피봇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절 부재는 페이스에 대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및/또는 토우 단부에 대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리세스에 대해 활주 또는 피봇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조절기를 위한 전술한 리세스는 클럽 샤프트 패스너로의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클럽 헤드에 형성된 호젤 리세스이며, 조절 부재는 호젤 리세스의 표면에 부착된 조절 가능한 브래킷을 포함한다.
골프 클럽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resting face angle: RFA)"라는 용어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어드레스 시(즉, 스윙 이전에) 클럽 페이스와 골프공 사이, 더 구체적으로 클럽 페이스와 어드레스 시 선수가 의도한 목표 라인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선 사이의 각도를 지칭한다. 클럽 페이스가 목표 라인에 대해 직각(또는 대체로 수직)일 때 RFA가 중립 위치에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RFA는 토우 단부가 목표 라인에 대해 골프공에서 멀어지게 이동하도록 클럽 헤드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개방 위치에 있다. RFA는 토우 단부가 목표 라인을 기준으로 골프공을 향해 이동하도록 클럽 헤드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할 때 폐쇄 위치에 있다. 골프 클럽 헤드의 RFA는 플레이어가 골프공을 후킹하거나 슬라이스하는 경향을 갖게 하거나 촉진시킬 수 있다. 폐쇄 위치는 오른손잡이 선수가 골프공 궤적을 좌측으로 후킹시키도록 하는 경향이 있다. 개방 위치는 오른손잡이 선수가 골프공 궤적을 우측으로 슬라이스하도록 하는 경향을 보인다.
골프 클럽의 RFA는 어드레스 시 클럽이 지면 상에 자연적으로 놓여지는 통상 킬 포인트로 지칭되는 솔 상의 위치와 클럽의 무게 중심(CG) 사이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직 하나의 킬 포인트만이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킬 포인트는 지면에 수직한 가상축이 킬 포인트와 클럽의 CG 모두 통과하도록 골프 클럽 헤드의 CG와 정렬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2개의 킬 포인트가 존재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킬 포인트는 CG에 대해 솔의 제1 측면에 위치되며, 제2 킬 포인트는 제1 측면에 대향하는 CG에 대해 솔의 제2 측면에 위치된다.
킬 포인트의 높이는 킬 포인트가 솔 또는 솔 특징부의 주변의 자연 만곡부에 대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거리, 예를 들어, 솔의 인접 표면 부분에 수직으로 측정된 거리로 지칭된다. 킬 포인트의 높이가 높을수록 킬 포인트가 솔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더 돌출된다. CG의 전방에 위치된(즉, 페이스에 더 가까운) 제1 킬 포인트 및 CG 뒤에 위치된(즉, 후단에 더 가까운) 제2 킬 포인트를 가지는 실시예에서, 제1 킬 포인트 또는 제2 킬 포인트의 솔에 대한 높이 또는 위치 변화는 클럽 헤드의 RFA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제2 킬 포인트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제1 킬 포인트의 높이를 증가시키면, 골프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시 더 개방된 위치에 놓이도록 RFA를 개방하는 경향이 있다. 유사하게, 제1 킬 포인트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제2 킬 포인트의 높이를 감소시키면,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시 더 개방된 위치에 놓이도록 RFA를 개방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제2 킬 포인트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제1 킬 포인트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시 더 폐쇄된 위치에 놓이도록 RFA를 폐쇄하는 경향이 있다. 유사하게, 제1 킬 포인트의 높이를 유지하면서 제2 킬 포인트의 높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시 더 폐쇄된 위치에 놓이도록 RFA를 폐쇄하는 경향이 있다.
다른 특징 및 양태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하는 것에 의해 분명해질 것이다, 본 개시 내용의 임의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개시 내용은 이하의 설명에서 언급되거나 첨부 도면에 예시된 구성 요소의 구성 및 배열의 세부 사항에 그 적용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개시 내용은 다른 실시예들을 지원할 수 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시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의 설명은 본 개시 내용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속하는 모든 수정, 균등물 및 대안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개시 내용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어구 및 용어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그리고 단지 설명의 목적으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우드, 더 구체적으로는 드라이버(도 1~49)로서의 골프 클럽 헤드(10)를 예시한다. 드라이버는 여기에 개시된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100(도 1-9), 200(도 10-17), 300(도 18-23), 400(도 24-29), 500(도 30-37), 600(도 38-43) 및 700(도 44-49))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예시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는 우드, 하이브리드, 아이언, 퍼터 또는 하나 이상의 조절 부재가 골프 클럽 헤드(10) 상에 조절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는 다른 골프 클럽을 포함하는 임의의 원하는 골프 클럽 헤드(10)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럽 헤드(10)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하이브리드, 1번 아이언, 2번 아이언, 3번 아이언, 4번 아이언, 5번 아이언, 6번 아이언, 7번 아이언, 8번 아이언, 9번 아이언, 피칭 웨지, 갭 웨지, 유틸리티 웨지, 샌드 웨지, 로브 웨지 및/또는 퍼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골프 클럽 헤드(10)는 대략 3도 내지 대략 65도의 범위(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3, 3.5, 4, 4.5, 5, 5.5, 6, 6.5, 7, 7.5, 8, 8.5, 9, 9.5, 10, 10.5, 11, 11.5, 12, 12.5, 13, 13.5, 14, 14.5, 15, 15.5, 16, 16.5, 17, 17.5, 18, 18.5, 19, 19.5, 20, 20.5, 21, 21.5, 22, 22.5, 23, 23.5, 24, 24.5, 25, 25.5, 26, 26.5, 27, 27.5, 28, 28.5, 29, 29.5, 30, 30.5, 31, 31.5, 32, 32.5, 33, 33.5, 34, 34.5, 35, 35.5, 36, 36.5, 37, 37.5, 38, 38.5, 39, 39.5, 40, 40.5, 41, 41.5, 42, 42.5, 43, 43.5, 44, 44.5, 45, 45.5, 46, 46.5, 47, 47.5, 48, 48.5, 49, 49.5, 50, 50.5, 51, 51.5, 52, 52.5, 53, 53.5, 54, 54.5, 55, 55.5, 56, 56.5, 57, 57.5, 58, 58.5, 59, 59.5, 60, 60.5, 61, 61.5, 62, 62.5, 63, 63.5, 64, 64.5 및/또는 65도를 포함) 일 수 있는 로프트(loft)를 가질 수 있다.
도 1-9는 여기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700)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골프 클럽 헤드(10)는 힐 단부(22)(또는 힐(22))에 대향하는 토우 단부(18)(또는 토우(18))를 갖는 클럽 바디(14)(또는 바디(14))를 포함한다. 바디(14)는 또한 솔(30)(또는 바닥(30))에 대향하는 크라운(26)(또는 상단(26))을 포함한다. 바디(14)는 타격면(38)을 형성하는 페이스 플레이트(34)(또는 타격 플레이트(34) 또는 클럽 페이스(34))를 보유한다. 페이스 플레이트(34)는 후방 단부(42)(또는 후방 단부(42) 또는 후방(42) 또는 후방 면(42))에 대향하여 위치된다(도 1 및 도 3a에 예시됨). 복수의 홈(46)(도 1)이 페이스 플레이트(34) 상에 위치될 수 있다. 골프 클럽 헤드(10)는 호젤(50)의 중심을 통해 연장되는 호젤 축(54)(도 1)을 가지는 호젤(50)을 역시 포함한다. 호젤(50)은 그립(미도시)을 보유하는 골프 클럽 샤프트(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클럽 헤드(10)의 타격면(34)은 기하학적 중심(140)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기하학적 중심(140)은 타격면 주변의 중심점에 그리고 페이스 높이의 중간점에 위치될 수 있다. 동일한 예 또는 다른 예에서, 기하학적 중심(140)은 또한 타격면의 그루브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는 엔지니어링된 임팩트 존(impact zone)에 대하여 중심에 있을 수 있다. 다른 접근 방식으로서, 타격면의 기하학적 중심은 미국 골프 협회(USGA)와 같은 골프 관리 기구의 정의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격면(34)의 기하학적 중심(140)은 USGA의 '골프 클럽 헤드의 유연성을 측정하기 위한 절차(Procedure for Measuring the Flexibility of a Golf Clubhead)'에 대한 섹션 6.1(USGA-TPX3004, Rev. 1.0.0, 2008. 5. 1) (http://www.usga.org/equipment/testing/protocols/Procedure-For-Measuring-The-Flexibility-Of-A-Golf-Club-Head/로부터 입수가능함) ("유연성 절차(Flexibility Procedure)")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제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골프 클럽 헤드(10)는 x-축(62), y-축(66) 및 z-축(70)울 포함하는 좌표계의 원점을 정의하는 무게중심 또는 CG(58)를 포함한다. y-축(66)(도 2)은 클럽 헤드(10)의 무게 중심(58)을 통해 크라운 또는 상단(26)으로부터 솔 또는 바닥(30)으로 연장되고, 측면도에서 볼 때 호젤 축(54)에 평행하고, 정면도(도 2)에서 볼 때 호젤 축(54)으로부터 30도 각도로 위치된다. x-축(62)(도 3a)은 정면도에서 볼 때 y-축(66)에 수직으로, 토우 또는 토우 단부(18)로부터 힐 또는 힐 단부(22)로 클럽 헤드의 무게 중심(CG)(58)을 통해 연장된다. z-축(70)(도 3a)은 클럽 헤드(10)의 CG(58)를 통해 클럽 페이스(34)로부터 후방 단부(42)로 그리고 x-축(62) 및 y-축(66)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x-축(62)은 헤드 CG(58)를 통해 토우 또는 토우 단부(18)로부터 힐 또는 힐 단부(22)로 연장된다. y-축(66)은 헤드 CG(58)를 통해 크라운 또는 상단(26)으로부터 솔 또는 바닥(30)으로 연장된다. z-축(70)은 헤드 CG(58)를 통해 클럽 페이스(34)로부터 후방 단부(42)로 연장된다.
본 명세서의 혁신을 설명하는 추가적인 지침을 위해, x-축(62) 및 z-축(70)은 도 3a의 아날로그 시계 상의 숫자와 일치하도록 배열된다. z-축(70)은 12시(클럽 페이스(34)을 통해 "12")와 6시(후방(42)을 통해 "6") 사이에서 연장되고, x-축(62)은 3시(토우 단부(18)를 통해 "3")와 9시(힐 단부(22)를 통해“9”) 사이에서 연장된다.
도 4-9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100)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조절기(1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 내부 또는 상부에 위치되거나 형성되는 리세스(1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104)는 페이스(34)에 더 근접한 힐 단부(22)로부터 후방 단부(42)에 더 근접한 토우 단부(18) 측으로 연장된다. 리세스(104)는 솔(30)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의 리세스(104)이다. 리세스(1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가깝고, 페이스(34)보다 후방 단부(42)에 더 가깝고 CG 너머로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104)는 솔(30)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되어 골프 클럽 헤드의 전방 근처의 CG 전방에 포함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형상(예, 아치형 등)일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104)는 하부 벽(108), 대향 측벽(112), 제2 단부(120)를 형성하는 후방 벽(116) 및 제2 단부(120)에 대향하는 제1 단부(128)를 형성하는 전방 벽(124)을 포함한다. 하부 벽(108)은 슬라이딩 표면(132)을 형성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이 측벽(112), 후방 벽(116) 및 전방 벽(124)과 만나는 리세스(1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한 표면 부분(78)을 가지는 솔 표면(74)을 포함한다. 즉, 솔 표면(74)의 일부는 리세스(1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한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리세스(104)는 슬라이딩 표면(132)과 인접 표면 부분(78) 사이에서 슬라이딩 표면(132)에 수직으로 측정된 가변 리세스 깊이(D)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 깊이(D)는 폐쇄 단부 또는 제1 단부(128) 근처가 더 두껍고 개방 단부 또는 제2 단부(120) 근처가 더 얇다. 슬라이딩 표면(132)은 대체로 평탄하고 인접한 표면 부분(78)에 대해 경사지거나 각을 이루고 있어서, 리세스 깊이(D)는 제2 단부(120)와 제1 단부(128) 사이에서 선형으로 변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리세스 깊이(D)는 제2 단부(120) 근처가 더 두껍고 제1 단부(128) 근처가 더 얇을 수 있다. 동일하거나 추가의 실시예(미도시)에서, 슬라이딩 표면 (132)은 다른 프로파일과 함께 아치형, 계단 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어서, 리세스 깊이(D)는 제1 및 제2 단부(128, 120) 사이에서 비선형적으로 변하거나 또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조절기(100)는 리세스(1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1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136)는 하부 표면(140), 하부 표면(1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144)(또는 돌출면(144) 또는 접촉면(144)) 및 하부 표면(140)과 킬 표면(144)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슬롯(148)을 포함한다. 관통 슬롯(148)은 하부벽(108)에서 나사형 보어(156)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나사식 패스너(152)를 수용하여 조절 부재(136)를 리세스(104) 내의 골프 클럽 헤드(10)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1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리세스(104) 내로 삽입될 때, 조절 부재(136)의 하부 표면(140)은 슬라이딩 표면(132)과 맞닿는다. 킬 표면(144)은 인접 표면 부분(78)과 킬 표면(144) 사이에서 인접 표면 부분(78)과 수직으로 측정된 인접 표면 부분(78) 위의 킬 높이(H)로 돌출된다.
이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조절 부재(136)는 리세스(104) 내에서 제1 단부(128)(도 6 및 도 8)에 인접한 제1 후퇴 조절 위치와 제2 단부(120)(도 7 및 도 9)에 인접한 제2 연장 조절 위치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재배치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8은 조절 부재(136)가 제1 단부(128)에 더 가까이 위치된 제1 조절 위치의 조절 부재(136)를 예시한다. 도 7 및 도 9에서, 조절 부재(136)는 조절 부재(136)가 제2 단부(120)에 더 가까이 위치된 제2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의 조절은 조절 부재(136)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 있도록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연속적이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136)는 별개의 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 부재(136)는 패스너(152)와 협동하여 각각의 조절 위치를 형성하는 기하학적 삽입 형상부(예를 들면, 조절 부재(136)에서 패스너(152)를 수용하기 위한 2개, 3개 등의 별개의 수의 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러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136)는 릿지(미도시) 또는 측벽(112)의 대응하는 노치(미도시)와 협력하여 조절 부재(136)를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으로 제한하는 다른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다(또는 릿지 등은 조절 부재(136) 상의 대응하는 노치와 함께 측벽(1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롯(148)은 패스너(152)를 별개의 수의 위치로 제한하는 협소부 및 확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144)은 인접 표면 부분(78)과 슬라이딩 표면(132) 사이에서 인접 표면 부분(78)과 수직으로 측정된 인접 표면 부분(78) 위의 제1 킬 높이(H1)(도 8)로 돌출된다. 제2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144)은 인접 표면 부분(78)과 슬라이딩 표면(132) 사이에서 인접 표면 부분(78)과 수직으로 측정된 인접 표면 부분(78) 위의 제2 킬 높이(H2)(도 9)로 돌출된다. 제2 킬 높이(H2)는 제1 킬 높이(H1)보다 크다. 다시 말해서, 조절 부재(136)가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144)은 조절 부재(1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보다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너머로 더 크게 돌출된다. 조절 부재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때, 킬 표면(144)은 제1 킬 높이(H1)보다 높고 제2 킬 높이(H2)보다 낮은 중간 킬 높이(미도시)로 돌출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100)의 작동 중, 리세스(104) 내의 조절 부재(136)의 위치는 패스너(152)를 풀고 조절 부재(136)를 제2 단부(120) 측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제1 단부(128)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136)는 패스너(152)를 풀고 조절 부재(136)를 리세스(104) 내에서 제1 단부(128)로부터 제2 단부(120)로 슬라이딩시킨 후, 패스너(152)를 다시 조여서 조절 부재(136)를 제2 조절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6)로부터 제2 조절 위치(도 7)로 재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136)는 패스너(152)를 풀고 조절 부재(136)를 제1 단부(128)로부터 제2 단부(120)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조절 위치(도 7)로부터 제1 조절 위치(도 6)로 재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단부(128, 120) 사이에 조절 부재(136)를 재배치함으로써, 킬 높이(H)는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144)이 리세스(104) 밖으로 최소로 연장되도록(즉, 킬 표면(144)이 인접 표면 부분(78)에 대해 조절 높이(H1)까지 연장되도록) 조절 부재(136)가 제1 조절 위치(도 6)에 배치되면, 킬 표면(1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조절 위치의 킬 표면(1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 위치된다. 조절 부재(1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킴으로써,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이때 토우 단부(18)는 어드레스 시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가깝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대안적으로, 킬 표면(144)이 높이(H1)에 있도록 조절 부재(1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144)은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렇지 않으면, 킬 표면(144)은 완전히 리세스(104) 내에 있을 수 있어서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부재(1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중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136)는 킬 표면(144)이 리세스(104) 밖으로 충분히 연장되도록(즉, 킬 표면(144)이 인접 표면 부분(78)에 대해 조절 높이(H2)까지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7)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리세스는 킬 표면(144)이 지면과 접촉하여 높이(H1)에서 생성된 킬 포인트와 다른 솔 표면(74) 상의 위치(전방 단부로부터 더 멀리 있는)에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거나, 대안적으로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제1 조절 부재 킬 포인트를 생성한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1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1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단부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는 어드레스 시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가깝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유사하게, 조절 부재(1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폐쇄되거나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1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별개의 다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조절기(100)가 없으면, 골프 클럽 헤드(10)는 어드레스 위치에서 솔 표면(74)의 윤곽에 자연적인 킬 포인트(102)를 가진다. 조절 부재(136)가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되고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위치될 때, 킬 표면(144)이 리세스로부터 연장되지 않으면(즉, 킬 높이(H)가 0 이하임), 자연적인 킬 포인트(102)(도 6)는 제1 위치에 유지될 것이다. 대안적으로, 제1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144)은 리세스로부터 연장되지만(즉, 킬 높이(H)는 0보다 크다) 지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킬 표면(144) 상에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자연 킬 포인트(102)는 제1 위치에 유지된다. 조절 부재(136)가 제2 조절 위치로 이동되면(도 7), 이는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자연 킬 포인트(102)가 제1 위치와 다른 솔 표면(74) 상의 제2 위치로 재배치되게 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136)가 제1 조절 위치(도 6)에 위치될 때, 킬 포인트(102)의 제1 위치는 CG(58)와 페이스(34) 사이에 있다(즉, 제1 위치는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CG(58)에 대해 페이스(34)에 더 근접하다). 따라서,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드레스 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는 어느 것도 골프공에 더 가깝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조절 부재(136)가 제2 조절 위치(도 7)에 위치될 때, 킬 포인트(102)의 제2 위치는 제1 위치와 페이스(34) 사이에 있다(즉, 제2 위치는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위치 및 CG(58)에 대해 페이스(34)에 더 가깝다). 따라서,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드레스 시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가깝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다시 말해서, 조절 부재(136)를 제1 조절 위치로부터 제2 조절 위치로 연장하면, 어드레스 시 점차 더 폐쇄되는 페이스 각도(즉, 개방 위치에서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에서 더 폐쇄된 상태로)가 얻어진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조절 부재(136)는 패스너(152)를 해제하는 것에 의해 리세스(104)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후 조절 부재(136)는 회전, 제거 및 교체되거나, 또는 달리 재배향된 후 재삽입되거나, 다른 조절 부재(미도시)가 리세스(104)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조절 부재(136)는 패스너(152)를 관통 슬롯(148)에 재삽입하고 패스너(152)를 나사형 보어(156) 내에 다시 조이는 것에 의해 리세스(104)에 재부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스너(152)는 조절 부재(136)가 리세스로부터 제거되지 않을 수 있도록 제거 가능하지 않다.
이제 도 10-17을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2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200)는 조절기(1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조절기(2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에 위치된 리세스(2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204)는 전방 벽(224)으로부터 후방 벽(216)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204)는 솔(30)의 일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리세스(2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근접하게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204)는 솔(30)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예, 아치형 등).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204)는 하부 벽(208), 대향 측벽(212), 페이스(34)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전방 벽(224), 전방 벽(224)에 대향하고 후방 단부(42)에 더 가까이 위치된 후방 벽(216)을 포함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고,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측벽(212), 후방 벽(216) 및 전방 벽(224)과 만나는 리세스(2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다시 말해, 솔 표면(74)은 리세스(2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조절기(200)는 리세스(2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2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236)는 제1 단부(264)와 제2 단부(268)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디(260)(제1 단부(264)는 CG 전방에 및 제2 단부(268)는 CG 뒤에 존재함), 하부 표면(240), 하부 표면(2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244)(또는 돌출 표면(244) 또는 접촉 표면(244)) 및 하부 표면(240)과 킬 표면(244) 사이에서 바디(260)를 횡단 교차하는 슬롯(248)을 포함한다. 슬롯(248)은 피봇 축(272)을 형성하고, 측벽(212)에서 나사형 보어(256)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나사형 패스너(252)를 수용하여 조절 부재(236)를 리세스(204) 내의 골프 클럽 헤드(10)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2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리세스(204) 내로 삽입될 때, 제1 단부(264)는 전방 벽(224)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제2 단부는 후방 벽(21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킬 표면(244)의 일부는 인접 표면 부분(78)과 킬 표면(244) 사이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에 수직으로 측정된 인접 표면 부분(78) 위의 킬 높이(H)로 돌출될 수 있다.
이제 도 12-17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236)는 리세스(204) 내에서 제1 단부(264)가 리세스(204) 외부로 완전히 연장되는 제1 조절 위치(도 14 및 도 17)와 제2 단부(268)가 리세스(204) 외부로 완전히 연장되는 제2 조절 위치(도 13 및 도 16)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재배향될 수 있다. 조절 부재는 제1 단부(264)와 제2 단부(268) 어느 것도 리세스(204)(도 12 및 도 15) 외부로 연장되지 않거나 제1 단부(264) 및/또는 제2 단부(268)가 리세스(204) 밖으로 최소로 연장되는 제3의 중립 조절 위치에 위치될 수도 있다. 제3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244)은 대체로 인접 표면 부분(78)과 동일 평면에 있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200)의 작동 중, 리세스(204) 내의 조절 부재(236)의 배향은 패스너(252)를 해제하고 조절 부재(236)를 피봇 축(272) 둘레로 피봇하여 제1 단부(264) 또는 대안적으로, 제2 단부(268)가 리세스(204)로부터 외측으로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위로 돌출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236)는 패스너(252)를 해제하고 제1 단부(264)를 하부 벽(208) 측으로 피봇시킨 후 패스너(252)를 다시 조여 조절 부재(236)를 제2 조절 위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14)로부터 제2 조절 위치(도 13)로 피봇될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236)는 패스너(252)를 해제하고 제2 단부(268)를 하부 벽(208) 측으로 피봇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조절 위치(도 13)로부터 제1 조절 위치(도 14)로 피봇될 수 있다. 또한, 조절 부재(236)는 패스너(252)를 해제하고 제1 및 제2 단부(264, 268)가 각각 하부 벽(208)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거리에 배향될 때까지 피봇 축(272)을 중심으로 조절 부재(236)를 피봇시키는 것에 의해 제3의 중립 조절 위치(도 12)로 피봇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236)를 피봇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는 조절 부재(236)의 각 단부(264, 268)에서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부(264)가 리세스(204) 외부로 연장되도록 조절 부재(236)가 제1 조절 위치(도 14)에 있으면, 킬 표면(2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제1 단부(264)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그 자신의 킬 포인트를 생성한다. 제1 위치에서, 킬 표면(2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의 전방(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페이스(34)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2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개방된 위치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힐 단부(22)는 토우 단부(18)보다 골프공에 더 가깝다(예를 들어, 페이드 또는 슬라이스를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236)는 제2 단부(268)가 리세스(204) 외부로 연장되고,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244)이 제2 단부(268)에서 지면과 접촉하여 상이한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13)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2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2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향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2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10도, 11도, 12도, 13도, 14도, 15도, 16도, 17도, 18도, 19도 또는 20도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236)는 제1 단부(264) 및 제2 단부(268) 어느 것도 리세스(204) 외부로 연장되지 않도록(또는 제1 및 제2 단부(264, 268)가 완전히 리세스(204) 내에 있을 수 있음) 제3 조절 위치(도 12)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3 조절 위치에서,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244)은 지면과 접촉하지 않으므로 양단부(264, 268)에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는다. 조절 부재(236)를 제3 조절 위치로 재배향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중립 위치로(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으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는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236)는 제1 및 제3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보다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조절 부재(236)는 제2 및 제3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추가의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236)는 조절 부재(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204) 내에 또는 조절 부재(235) 상에 표면 특징부가 존재하도록 별개의 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도 18-23을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3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300)는 조절기(100, 2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조절기(3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에 위치된 리세스(3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304)는 페이스(34)에 가까운 전방 벽(324)으로부터 후방 단부(42)에 가까운 후방 벽(316)까지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304)는 솔(30)의 일부를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 리세스(3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CG 너머로 페이스(34)보다 후방 단부(42)에 더 근접하게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304)는 골프 클럽 헤드의 전방 근처의 CG 전방을 포함하는 솔(30)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다(예, 아치형 등).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304)는 하부 벽(308), 대향 측벽(312), 페이스(34)에 더 가깝게 위치된 전방 벽(324), 전방 벽(324)에 대향하고 후방 단부(42)에 더 가까이 위치된 후방 벽(316)을 포함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고,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측벽(312), 후방 벽(316) 및 전방 벽(324)과 만나는 리세스(3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솔 표면(74)의 일부는 리세스(3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조절기(300)는 리세스(3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3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336)는 제1 단부(364)와 제2 단부(368) 사이에서 연장되는 바디(360), 테이퍼진 하부 표면(340) 및 하부 표면(3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344)(또는 돌출 표면(344) 또는 접촉 표면(344))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성에서, 한 쌍의 원통형 돌출부(376)(도 19)가 하부 표면(340) 및 전방 벽(324)에 근접하여 조절 부재(336)의 각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리세스(304)는 돌출부(376)를 수용하여 리세스(304) 내에 조절 부재(336)를 고정시키는 한 쌍의 개구부(336)를 각각의 측벽(312)에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3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함께, 돌출부(376)는 피봇 축(372)을 형성한다. 리세스(304) 내로 삽입될 때, 제1 단부(364)는 전방 벽(324)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단부는 후방 벽(316)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스프링(384)이 리세스(304)의 전방 벽(324)과 조절 부재(336)의 제1 단부(364)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표면(340)을 하부 벽(308) 측으로 가압한다(즉, 스프링(384)은 조절 부재를 제1의 후퇴된 위치로 가압함)(도 20).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발포체와 같은 압축성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압축성 재료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384)은 임의의 적절한 결합 방법에 의해 하부 벽(308) 및 하부 표면(340)에 결합될 수 있다.
클럽 헤드(10)는 후방 벽(316)과 교차하고 후방 단부(42)로부터 후방 벽(316)으로 바디(360)를 통해 연장되는 나사형 보어(35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나사(352)가 나사형 보어(356)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조절 나사(352)는 나사형 보어(356) 내에서 그 선단부(388)가 후방 벽(316)을 통해 리세스(304) 내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조절 가능하다.
이제 도 20-23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336)는 리세스(204) 내에서 제1의 후퇴된 조절 위치(도 20 및 도 22)와 제2의 연장된 조절 위치(도 21 및 도 23)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재배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0 및 도 22는 킬 표면(344)이 인접 표면 부분(78) 위(즉, 제1 킬 높이(H))로 돌출하지 않는 제1 조절 위치의 조절 부재(336)를 예시한다. 도 21 및 도 23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336)는 킬 표면(344)이 인접 표면 부분(78) 위(즉, 제1 킬 높이(H)보다 높은 제2 킬 높이(H))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조절 부재(3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336)는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304) 내에 또는 조절 부재(336) 상에 표면 특징부가 배치되도록 별도의 다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300)의 작동 중, 리세스(304) 내의 조절 부재(336)의 배향은 조절 나사(352)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절 나사(352)가 나사형 보어(356) 내로 나사 결합될 때, 선단부(388)가 하부 표면(340)에 접촉하면서 조절 부재(336)가 스프링(384)의 힘에 대항하여 피봇 축(372)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고 조절 부재(336)가 개별 위치에 유지되게 한다. 조절 부재(336)가 피봇됨에 따라, 제2 단부(368)는 리세스(304)로부터 멀어지게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위로 회전한다.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336)를 피봇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가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344)이 리세스(304) 외부로 연장되지 않거나(또는 최소로 연장되거나) 완전히 리세스(304) 내에 있도록 조절 부재(336)가 제1 조절 위치(도 20)에 있으면, 킬 표면(3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부재(3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3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344)이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344)이 리세스(304) 외부로 충분한 킬 높이(H)로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21)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3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3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3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되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폐쇄되거나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336)는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다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도 24-29를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4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400)는 조절기(100, 200, 3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조절기(4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에 위치된 리세스(4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40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솔 표면(74)의 개구부(488)로부터 하부 벽(408)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4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페이스(34)보다 후방 단부(42)에 더 근접하게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404)는 페이스(34)에 근접하고 CG 전방을 포함하는 솔(30)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404)는 하부 벽(408) 및 하부 벽(408)과 개구부(488)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412)을 포함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고,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원통형 측벽(412)과 만나는 리세스(4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솔 표면(74)의 일부는 리세스(4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조절기(400)는 리세스(4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4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436)는 하부 표면(440)과 하부 표면(4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444)(또는 돌출면(444) 또는 접촉면(444)) 사이에서 연장되는 대체로 원통형인 바디(460)를 포함한다. 관통 슬롯(448)이 바디(460)를 통해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관통 슬롯(448)은 원통형 측벽(412)에서 나사형 보어(456)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나사식 패스너(452)를 수용하여 리세스(404) 내의 골프 클럽 헤드(10)에 조절 부재(436)를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4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484)이 리세스(404)의 하부 벽(408)과 조절 부재(436)의 하부 표면(4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표면(440)을 하부 벽(408)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발포체와 같은 압축성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압축성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제 도 26-29를 참조하면, 조절 부재(436)는 리세스(404) 내에서 제1의 후퇴된 조절 위치(도 26 및 도 28)와 제2의 연장된 조절 위치(도 27 및 도 29)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즉 대체로 크라운-솔 방향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6 및 도 28은 하부 표면(440)이 하부 벽(408)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조절 위치의 조절 부재(436)를 예시한다. 도 27 및 도 29를 참조하면, 조절 부재(436)는 하부 표면(440)이 하부 벽(408)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제2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조절 부재(4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436)는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리세스(404) 내에 또는 조절 부재(436) 상에 표면 특징부가 배치되도록 별도의 다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4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444)은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너머로 돌출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킬 표면(444)은 제1 위치에서 인접 표면 부분(78) 아래에 있거나 비교적 동일 높이에 있다. 조절 부재(436)가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444)은 조절 부재(4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보다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너머로 더 크게 돌출된다. 조절 부재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때, 킬 표면(444)은 제1 조절 위치보다 크고 제2 조절 위치보다 작은 중간 정도까지 돌출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400)의 작동 중, 리세스(404) 내의 조절 부재(436)의 위치는 패스너(452)를 해제하고 조절 부재(436)를 리세스(404) 내외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스프링(484)은 조절 부재(436)를 하부 벽(408)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조절 부재(436)를 하부 벽(408) 측으로 슬라이딩시키기 위해, 조절 부재는 스프링(484)의 스프링력이 극복될 때까지 하부 벽(408) 측으로 가압된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436)는 패스너(452)를 풀고 조절 부재(436)가 하부 벽(408)으로부터 멀어지게(즉, 스프링(484)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력에 의해) 리세스(404) 내에서 슬라이딩되게 한 다음, 패스너(452)를 다시 조여서 조절 부재(436)를 제2 조절 위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26)로부터 제2 조절 위치(도 27)로 재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436)는 패스너(452)를 풀고 조절 부재(436)를 하부 벽(408) 측으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2 조절 위치(도 27)로부터 제1 조절 위치(도 26)로 재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436)를 재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가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444)이 리세스(404) 외부로 최소로만 연장되는 제1 조절 위치(도 26)에 조절 부재(436)가 배치되면, 킬 표면(4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조절 위치에서, 킬 표면(444)은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거나, 킬 표면(444)은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완전히 리세스(404) 내에 있어서 지면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부재(4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어드레스 시에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4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344)이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444)이 리세스(404) 외부로 충분한 킬 높이(H)로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27)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4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4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4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되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폐쇄되거나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436)는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별도의 다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도 30-37을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5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500)는 조절기(100, 200, 300, 4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조절기(5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에 위치된 리세스(5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50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솔 표면(74)의 개구부(588)로부터 하부 벽(508)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5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페이스(34)보다 후방 단부(42)에 더 근접하게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504)는 솔(30) 상에서 CG 전방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504)는 하부 벽(508) 및 하부 벽(508)과 개구부(588)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512)을 포함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고,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원통형 측벽(512)과 만나는 리세스(5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솔 표면(74)의 일부는 리세스(5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리세스(504)는 원통형 측벽(512) 내에 형성된 J-형 또는 L-형 그루브 또는 채널(550)을 포함한다. 각각의 채널(550)은 아래에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축방향 부분(554)과 각각의 조절 위치(및 킬 높이(H))에 대응하는 원주 부분(558)을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504)는 제1 채널(562), 제2 채널(566) 및 제3 채널(570)을 포함하는 3개의 채널(550)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리세스(504)는 3개의 조절 위치보다 많거나 적은 수에 대응하는 3개보다 많거나 적은 채널(55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기(500)는 리세스(5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5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536)는 하부 표면(540)과 하부 표면(5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544)(또는 돌출면(544) 또는 접촉면(544))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주 측벽(592)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바디(560)를 포함한다. 돌출부(576)가 원주 측벽(592)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돌출부(576)는 원통형 측벽(512)의 각각의 채널(550)과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리세스(504) 내의 골프 클럽 헤드(10)에 조절 부재(536)를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리세스(504)에 대해 조절 부재(536)를 회전시키기 위해 툴 리세스(596)가 킬 표면(544)에 배치되어 툴 비트(미도시)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스프링(584)이 리세스(504)의 하부 벽(508)과 조절 부재(536)의 하부 표면(5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표면(540)을 하부 벽(508)으로부터 멀어지게 크라운으로부터 솔로 가압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발포체와 같은 압축성 재료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압축성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프링은 사용되지 않는다.
이제 도 35-37을 참조하면,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536)는 리세스(504) 내에서 제1의 후퇴된 조절 위치(도 35)와 제2의 부분 연장된 조절 위치(도 36) 사이에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5는 돌출부(576)가 제1 채널(562)과 맞물리고 하부 표면(540)이 하부 벽(508)에 최근접 배치된 제1 조절 위치의 조절 부재(536)를 예시한다. 도 36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536)는 돌출부(576)가 제2 채널(566)과 맞물리고 하부 표면(540)이 하부 벽(508)으로부터 중간 거리에 위치되는 제2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37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536)는 돌출부(576)가 제3 채널(570)과 맞물리고 하부 표면(540)이 하부 벽(508)으로부터 가장 멀리 배치된 제3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5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544)은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과 비교적 동일 높이이다. 조절 부재(536)가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544)은 인접 표면 부분(78) 너머로 중간 정도로 돌출된다. 조절 부재(536)가 제3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544)은 조절 부재(536)가 제1 또는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보다 인접 표면 부분(78) 너머로 더 크게 돌출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500)의 작동 중, 리세스(504) 내의 조절 부재(536)의 위치는 리세스(504)의 제1, 제2 및 제3 채널(550) 중 임의의 채널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536)를 제1 조절 위치(도 35)에 위치시키기 위해, 먼저 돌출부(576)가 제1 채널(562)의 축방향 부분(554)과 맞물리고 횡단하도록 조절 부재(536)가 리세스(504) 내로 축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어서 돌출부(576)가 제1 채널(562)의 원주 부분(558)과 맞물리고 횡단하도록 조절 부재(536)가 회전된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536)는 제1 채널(562)과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 부재(536)를 제2 또는 제3 채널(566, 570)과 맞물리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40)로부터 제2 조절 위치(도 36) 또는 제3 조절 위치(도 37)로 재배치될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536)를 재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가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544)이 대체로 인접 표면 부분(78)과 동평면이거나 완전히 리세스(504) 내에 있는 제1 조절 위치(도 35)에 조절 부재(536)가 배치되면, 킬 표면(5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부재(5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어드레스 시에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5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544)이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544)이 리세스(504) 외부로 중간 정도로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36)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5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5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제1 조절 위치에 대해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5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544)이 다시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544)이 리세스(504) 외부로 조절 부재(5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보다 더 연장되도록 제3 조절 위치(도 37)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3 위치에서, 킬 표면(5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마찬가지로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536)를 제3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에 대해 훨씬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클럽 헤드(10)에서, 조절 부재(536)의 상기 조절은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개방 위치(제1 조절 위치)로부터 더 중립인 위치(제2 조절 위치)로 폐쇄 위치(제3 조절 위치)로 위치시킬 수 있다. 제1, 제2 및 제3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유사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또는 제3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3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3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이제 도 38-43을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6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600)는 조절기(100, 200, 300, 400, 5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조절기(6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솔(30)에 위치된 리세스(6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604)는 전체적으로 원통형이고, 솔 표면(74)의 개구부(688)로부터 하부 벽(608)까지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604)는 토우 단부(18)보다 힐 단부(22)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페이스(34)보다 후방 단부(42)에 더 근접하게 솔(30)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서, 리세스(604)는 CG 전방을 포함하는 솔(30) 상의 임의의 적절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604)는 하부 벽(608) 및 하부 벽(608)과 개구부(688)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통형 측벽(612)을 포함한다. 원통형 측벽(612)은 암 나사부(674)를 가지는 나사형 원통형 측벽(612)이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고,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원통형 측벽(612)과 만나는 리세스(604)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솔 표면(74)의 일부는 리세스(60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루고,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조절기(600)는 리세스(6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6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636)는 하부 표면(640)과 하부 표면(640)에 대향 배치된 킬 표면(644)(또는 돌출면(644) 또는 접촉면(644)) 사이에서 연장되는 원주 측벽(692)을 가지는 대체로 원통형인 바디(660)를 포함한다. 원주 측벽(692)은 수 나사부(678)를 가지는 나사형 원주 측벽(692)이다. 조절 부재(636)의 수 나사부(678)는 리세스(604)의 암 나사부(674)와 선택적으로 맞물려서 조절 부재(636)를 리세스(604) 내에 임시로 고정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6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리세스(604) 내외로 조절 부재(636)를 회전시키기 위해 툴 리세스(696)가 킬 표면(644)에 배치되어 툴 비트(미도시)와 선택적으로 맞물린다. 일부 실시예(미도시)에서, 스프링이 리세스(604)의 하부 벽(608)과 조절 부재(636)의 하부 표면(640) 사이에 위치되어 하부 표면(640)을 하부 벽(608)으로부터 멀어지게 가압한다.
이제 도 40-43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636)는 리세스(604) 내에서 제1의 후퇴된 조절 위치(도 40 및 도 42)와 제2의 연장된 조절 위치(도 41 및 도 43)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재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0 및 도 43은 하부 표면(640)이 하부 벽(608)에 근접하게 배치된 제1 조절 위치의 조절 부재(636)를 예시한다. 도 41 및 도 43을 참조하면, 조절 부재(636)는 하부 표면(640)이 하부 벽(608)으로부터 더 멀리 배치된 제2 조절 위치에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조절 부재(6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도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6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644)은 인접 표면 부분(78) 아래에 또는 비교적 동평면으로 제공된다. 조절 부재(636)가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644)은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너머로 돌출된다. 조절 부재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때, 킬 표면(644)은 제1 조절 위치보다 크고 제2 조절 위치보다 작은 중간 정도까지 돌출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600)의 작동 중, 리세스(604) 내의 조절 부재(636)의 위치는 조절 부재(636)를 리세스(604) 내외로 이동시키도록 조절 부재(636)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636)를 제1 조절 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도 8) 40), 조절 부재는 조절 부재가 리세스(604) 내로 하부 벽(608) 측으로 이동되게 하는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된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636)는 조절 부재(636)를 제1 회전 방향과 반대인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40)로부터 제1 조절 위치(도 41)로 재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636)를 재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가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644)이 리세스(604) 외부로 연장되지 않는 제1 조절 위치(도 40)에 조절 부재(636)가 배치되면, 킬 표면(6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조절 부재(6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어드레스 시에 더 개방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6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644)이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644)이 리세스(604) 외부로 충분한 킬 높이(H)로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41)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6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뒤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후방 단부(42)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6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개방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더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토우 단부(18)는 힐 단부(22)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드로잉 또는 후킹을 촉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6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되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폐쇄되거나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제 도 44-49를 참조하면,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700)의 실시예가 예시된다. 조절기(700)는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및 600)와 유사한 구성 요소를 가지며, 유사한 명칭 및/또는 번호는 유사한 구성 요소를 식별한다. 일부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또는 600) 중 임의의 조절기는 제1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또는 600)일 수 있고, 조절기(700)는 골프 클럽 헤드(10)에서 제1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또는 600)와 결합되는 제2 조절기(700)일 수 있다.
조절기(700)는 골프 클럽 헤드(10)의 힐 단부(22)에 위치된 리세스(704)를 포함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리세스(704)는 호젤(50)에 근접한 호젤 벽(724)으로부터 솔(30)에 근접한 개구부(788) 측으로 연장되는 호젤 리세스(704)이다. 호젤 리세스(704)는 힐 단부(22)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실질적으로 직선형의 호젤 리세스(704)이다. 호젤 리세스(704)는 후방 단부(42)보다 페이스(34)에 더 근접하게 CG 전방으로 힐 단부(22) 상에 위치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호젤 리세스(704)는 호젤 벽(724), 하부 벽(708) 및 대향 측벽(712)을 포함한다. 하부 벽(708) 및 측벽(712)은 솔(30)에 인접한 개구부(788)를 형성한다. 솔(30)은 솔 표면(74)을 포함하며, 솔 표면은 해당 솔 표면(74)이 측벽(712)과 하부 벽(708)과 만나는 개구부(788)를 바로 둘러싸는 인접 표면 부분(78)을 가진다. 솔 표면(74)의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호젤 리세스(704)와 경계를 이루며, 일부 실시예에서 인접 표면 부분(78)은 리세스 에지(78)이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호젤 벽(724)은 클럽 샤프트 패스너(미도시)를 수용하는 보어를 포함한다. 샤프트 패스너는 호젤 보어와 협력하여 골프 클럽 헤드(10)를 골프 클럽 샤프트(미도시)에 고정시킨다. 따라서, 호젤 리세스(704)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샤프트에 대해 선택적으로 고정되거나 제거될 수 있도록 또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샤프트에 대해 조절될 수 있도록(예를 들어, 더 개방되거나 더 폐쇄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달성하기 위해) 호젤 패스너에 접근될 수 있다.
조절기(700)는 호젤 리세스(704)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조절 부재(736)를 역시 포함한다. 조절 부재(736)는 제1 단부(764)와 제2 단부(768)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760)를 포함한다. 바디(760)는 하부 표면(740), 제1 단부(764)에 배치된 킬 표면(744)(또는 돌출면(744) 또는 접촉면(744)) 및 하부 표면(740)과 상부 표면(782)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 슬롯(748)을 포함한다. 관통 슬롯(748)은 하부 벽(708)에서 나사형 보어(756)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나사식 패스너(752)를 수용하여 조절 부재(736)를 호젤 리세스(704) 내의 골프 클럽 헤드(10)에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736)는 다른 기계적 수단(예를 들어, 자석 등)에 의해 골프 클럽 헤드(10)에 고정될 수 있다. 호젤 리세스(704) 내로 삽입될 때, 조절 부재(736)의 하부 표면(740)은 슬라이딩 표면(732)과 맞닿는다. 킬 표면(744)은 인접 표면 부분(78)과 킬 표면(144) 사이에서 인접 표면 부분(78)과 수직으로 측정된 인접 표면 부분(78) 위의 킬 높이(H)로 돌출된다.
이제 도 46-49를 참조하면, 조절 부재(736)는 리세스(704) 내에서 호젤 벽(724)(도 46 및 도 38)에 인접한 제1 후퇴 조절 위치와 개구부(788)(도 47 및 도 49)에 인접한 제2 연장 조절 위치 사이의 복수의 조절 위치에 재배치 가능하다. 조절 부재(736)는 조절 부재(136)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미도시)에서, 조절 부재(736)는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표면 특징부가 리세스(704) 내에 또는 조절 부재(736) 상에 있도록 별개의 수의 조절 위치(즉, 2개의 조절 위치, 3개의 조절 위치 등)에만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736)가 제1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744)은 인접 표면 부분(78) 아래에 또는 비교적 동평면으로 제공된다. 조절 부재(736)가 제2 조절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744)은 인접 표면 부분(78)(또는 에지(78)) 너머로 돌출된다. 조절 부재가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위치될 때, 킬 표면(744)은 제1 조절 위치보다 크고 제2 조절 위치보다 작은 중간 정도까지 돌출된다.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700)의 작동 중, 호젤 리세스(704) 내의 조절 부재(736)의 위치는 패스너(752)를 풀고 조절 부재(736)를 개구부(788) 측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호젤 벽(724)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 부재(736)는 패스너(752)를 풀고, 조절 부재(736)를 호젤 리세스(704) 내에서 호젤 벽(724)으로부터 개구부(788) 측으로 슬라이딩시킨 후 패스너(752)를 다시 조여서 조절 부재(736)를 제2 조절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제1 조절 위치(도 46)로부터 제2 조절 위치(도 47)로 재배치될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736)는 패스너(752)를 풀고 조절 부재(736)를 개구부(788)로부터 호젤 벽(724) 측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제2 조절 위치(도 47)로부터 제1 조절 위치(도 46)로 재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조절 부재(736)를 재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킬 높이(H)가 조절되어 어드레스 위치에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킬 표면(744)이 호젤 리세스(704) 외부로 연장되지 않거나 완전히 호젤 리세스(704) 내에 위치된 제1 조절 위치(도 46)에 조절 부재(736)가 배치되면, 킬 표면(744)은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지면과 접촉하지 않아서 킬 포인트를 생성하지 않는다. 조절 부재(736)를 제1 조절 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어드레스 시에 더 폐쇄된 위치로 또는 대안적으로 중립 위치(또는 중립 구성 또는 수직 구성)로 배향될 수 있으며, 여기서 토우 단부(18)와 힐 단부(22) 어느 것도 어드레스 시 골프공에 더 근접하지 않다(예를 들어, 직선형 공 비행을 촉진하기 위해).
다른 예로서, 조절 부재(736)는 골프 클럽 헤드(10)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을 때 킬 표면(744)이 지면과 접촉하여 킬 포인트를 생성하도록 킬 표면(744)이 호젤 리세스(704) 외부로 충분한 킬 높이(H)로 연장되도록 제2 조절 위치(도 47)로 재배향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킬 표면(744)에 의해 생성된 킬 포인트는 CG(58) 전방에(즉, z-축(70)에 평행한 방향으로 페이스(34)와 CG(58) 사이에) 위치된다. 조절 부재(736)를 제2 조절 위치로 재배치하는 것에 의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는 폐쇄 위치로부터 중립 위치로 또는 중립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더 개방된 위치로 재배향될 수 있고, 여기서 어드레스 시에 힐 단부(22)는 토우 단부(18)보다 골프공에 더 근접하다(예를 들어, 페이드 또는 슬라이스를 촉진하기 위해).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조절은 도 4-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솔 표면(74) 상의 킬 포인트를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기도 한다.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최대 10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를 비교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의 결과적인 변화는 1도, 2도, 3도, 4도, 5도, 6도, 7도, 8도, 9도 또는 10도일 수 있다.
유사하게, 조절 부재(736)는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임의의 중간 조절 위치(미도시)에 추가로 재배치되어 어드레스 시의 레스팅 페이스 각도가 더 개방되거나 폐쇄된 위치로 재배향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도 4-9의 조절기(100)와 관련하여 설명된 패스너(152)와 같은 패스너를 포함하는 전술된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및/또는 700)의 모든 실시예에서, 조절 부재(136, 236, 336, 436, 536, 636 및/또는 736)는 패스너를 해제함으로써 리세스(104, 204, 304, 404, 504, 604 및/또는 704)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이후 조절 부재(136, 236, 336, 436, 536, 636 및/또는 736)는 회전, 제거 및 교체되거나, 달리 배향된 후 재삽입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조절 부재(미도시)가 리세스(104, 204, 304, 404, 504, 604 및/또는 704)에 삽입될 수 있다. 조절 부재(136, 236, 336, 436, 536, 636 및/또는 736)는 클럽 헤드(10) 내에 패스너를 재삽입 및 재조임하는 것에 의해 리세스(104, 204, 304, 404, 504, 604 및/또는 704)에 재부착될 수 있다.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및/또는 700)의 다른 실시예에서, 패스너는 조절 부재(136, 236, 336, 436, 536, 636 및/또는 736)가 리세스로부터 제거될 수 없도록 제거 가능하지 않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및/또는 700)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클럽 바디에서 조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조절기가 하나의 클럽 바디 상에 존재하도록 조절기(700)가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중 어느 하나와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조절기(100, 300, 400, 500 및 600)는 일반적으로 CG 뒤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조절기(100, 300, 400, 500 및 600)는 어드레스 시에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달리 재배향시키도록 CG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술한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및/또는 700)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클럽 바디에서 조합될 수 있는 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조절기가 하나의 클럽 바디 상에 존재하도록 조절기(700)가 조절기(100, 200. 300, 400, 500, 600) 중 어느 하나와 조합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 제1 조절기는 CG 뒤에 위치될 수 있고, 제2 조절기는 CG 앞에 위치될 수 있다. 어드레스 시에 레스팅 페이스 각도에 대한 결과적인 조절 범위는 단일 조절기를 갖는 실시예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기(100)를 조절기(700)와 조합하면 조절기(100) 단독보다 더 큰 조절 레스팅 페이스 각도 범위를 얻을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청구된 요소의 교체는 복원이 아니라 재구성을 구성한다. 추가적으로, 이익, 다른 이점 및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익, 이점,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및 임의의 이익, 이점 또는 해결 방안이 발생하게 하거나 더 현저하게 되게 할 수 있는 임의의 요소 또는 요소들은, 이러한 이익, 이점, 문제 또는 요소가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해당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요구되거나 또는 본질적인 특징 또는 요소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골프의 규칙이 가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미국 골프 협회(USGA), 세인트 앤드류스의 로열 앤드에인션트 골프 클럽(Royal and Ancient Golf Club of St. Andrews(R&A) 등과 같은 골프 표준 기관 및/또는 이사회에 의해 새로운 규정이 채택될 수 있거나, 오래된 규칙이 폐지 또는 개정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물품에 관련된 골프 장비는 임의의 특정 시기에서의 골프 규칙에 따를 수 있거나 따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물품에 관련된 골프 장비는 골프 규칙에 따르거나 따르지 않는 골프 장비로서 광고되고, 판매 제의되고 그리고/또는 판매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물품은 이와 관련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가 우드 타입 골프 클럽과 연계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물품은 드라이버, 페어웨이 우드, 하이브리드, 크로스오버 또는 임의의 중공 바디 타입 골프 클럽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의 골프 클럽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제조 장치, 제조 방법 및 제조 물품은 하키 스틱, 테니스 라켓, 낚싯대, 스키 폴 등과 같은 다른 타입의 스포츠 장비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한정은 실시예 및/또는 한정이, (1) 청구범위에 명시적으로 청구되지 않지만, (2) 균등론(doctrine of equivalents)하에서 청구범위 내의 명시적인 요소 및/또는 한정에 균등하거나 또는 잠재적으로 균등하다면, 헌정 원칙(doctrine of dedication) 하에서 대중에게 기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설명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독립적인 양태의 범위 및 사상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존재한다.
제1항: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 상기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함 - 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및 호젤을 가지는 클럽 바디; 및 상기 솔에 형성된 리세스 - 상기 솔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경계를 이룸 - 및 킬 표면을 가지는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리세스 내에 배치되고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상기 솔 표면의 일부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솔 표면의 일부에 대해 제1 거리에 있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상기 방향으로 상기 솔 표면의 일부에 대해 상기 제1 거리와 동일하지 않은 제2 거리에 있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2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 표면은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된 골프 클럽 헤드.
제3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관통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패스너가 상기 관통 슬롯 내에서 상기 조절 부재에 대해 병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4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클럽 바디에 대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콜프 클럽 헤드.
제5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해당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채널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제6항: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 상기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함 - 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및 호젤을 가지는 클럽 바디; 및 상기 솔에 형성되고 리세스 에지를 형성하는 리세스 내에 위치 가능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 -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한 킬 표면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에지의 일부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가 상기 리세스 에지의 상기 일부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있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7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된 골프 클럽 헤드.
제8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제9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킬 표면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는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는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10항: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제3 조절 위치에 추가로 위치 가능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3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전반적으로 상기 솔 표면의 일부와 동일 평면에 있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11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킬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리세스에 인접한 나사형 보어 및 상기 나사형 보어 내로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조절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나사는 상기 하부 표면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조절 나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조절 부재를 재배치하도록 회전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제12항: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중 하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제13항: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 상기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함 - 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및 호젤을 가지는 클럽 바디; 및 상기 솔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 가능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 -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한 킬 표면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의 제1 위치에 킬 포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클럽 헤드가 어드레스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의 제2 위치에 킬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14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해당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완전히 상기 리세스 내에 있는 골프 클럽 헤드.
제15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페이스에 더 가까운 골프 클럽 헤드.
제16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페이스에 더 가까운 골프 클럽 헤드.
제17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제18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관통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패스너가 상기 관통 슬롯 내에서 상기 조절 부재에 대해 병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19항: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클럽 바디에 대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제20항: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해당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채널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헤드.
제21항: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표면을 포함하는 솔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호젤 및 리세스 에지를 형성하는 호젤 리세스 - 상기 호젤 리세스는 호젤 표면을 가짐 -를 가지는 클럽 바디 - 상기 호젤 리세스는 골프 클럽 샤프트를 상기 클럽 바디에 고정하는 패스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솔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 에지와 경계를 이룸 -; 및 상기 호젤 리세스 내에 배치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 - 상기 조절 부재는 킬 표면을 포함하고,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 위치 가능함 - 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상기 솔 표면의 일부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솔 표면의 일부에 대해 제1 거리에 있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상기 솔 표면의 상기 일부에 대해 상기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와 동일하지 않은 제2 거리에 있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22항: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의 제1 위치에 킬 포인트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킬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23항: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조절 위치와 상기 제2 조절 위치 사이의 복수의 중간 조절 위치에 추가로 위치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제24항: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관통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패스너가 상기 관통 슬롯 내에서 상기 조절 부재에 대해 병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골프 클럽 헤드.
제25항: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클럽 바디에 대해 상기 호젤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골프 클럽 헤드.
본 개시 내용의 다양한 특징은 이어지는 청구범위에서 설명된다.

Claims (20)

  1.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 상기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함 - 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및 호젤을 가지는 클럽 바디; 및
    상기 솔에 형성되고 리세스 에지를 규정하는 리세스 내에 위치 가능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resting face angle adjuster) -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수평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킬 표면(keel surface)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에지의 일부로부터 제1 거리에 있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가 상기 리세스 에지의 상기 일부으로부터 상기 제1 거리보다 큰 제2 거리에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킬 표면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킬 표면의 상기 일부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제3 조절 위치로 추가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3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킬 표면이 전반적으로 상기 솔 표면의 일부와 동일 평면에 있도록 구성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킬 표면에 대향하는 하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리세스에 인접한 나사형 보어 및 상기 나사형 보어 내로 선택적으로 수용 가능한 조절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나사는 상기 하부 표면과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는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조절 나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조절 부재를 재배치하도록 회전 가능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중 하나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8. 골프 클럽 헤드로서:
    솔 - 상기 솔은 솔 표면을 포함함 - 에 대향된 크라운, 힐 단부에 대향된 토우 단부, 페이스에 대향된 후방 단부 및 호젤을 가지는 클럽 바디; 및
    상기 솔에 형성된 리세스 내에 위치 가능한 조절 부재를 포함하는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 -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조절 위치와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수평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킬 표면을 포함함 -
    를 포함하고,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의 제1 위치에 킬 포인트(keel point)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클럽 바디 상에서 상기 제1 위치와 상이한 제2 위치에 킬 포인트를 형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절 부재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킬 표면은 상기 제1 단부와 상기 제2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레스팅 페이스 각도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가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며, 상기 조절 부재가 제2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상기 제1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단부에 인접한 상기 킬 표면의 일부는 상기 리세스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해당 조절 부재가 상기 제1 조절 위치에 위치될 때 완전히 상기 리세스 내에 있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위치보다 상기 페이스에 더 가까운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는 상기 제2 위치보다 상기 페이스에 더 가까운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피봇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관통 슬롯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각각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는 상기 패스너가 상기 관통 슬롯 내에서 상기 조절 부재에 대해 병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조절 위치 사이에서 상기 클럽 바디에 대해 상기 리세스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한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내부에 형성된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조절 부재는 해당 조절 부재를 상기 제1 조절 위치 및 상기 제2 조절 위치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도록 상기 채널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인 골프 클럽 헤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97036085A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62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7001539A KR20240011884A (ko)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501873P 2017-05-05 2017-05-05
US62/501,873 2017-05-05
US201762506387P 2017-05-15 2017-05-15
US62/506,387 2017-05-15
US201862658437P 2018-04-16 2018-04-16
US62/658,437 2018-04-16
PCT/US2018/031446 WO2018204933A1 (en) 2017-05-05 2018-05-07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resting face angl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539A Division KR20240011884A (ko)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079A KR20190140079A (ko) 2019-12-18
KR102627391B1 true KR102627391B1 (ko) 2024-01-18

Family

ID=6401440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6085A KR102627391B1 (ko)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0247001539A KR20240011884A (ko)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1539A KR20240011884A (ko) 2017-05-05 2018-05-07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668341B2 (ko)
JP (4) JP7157080B2 (ko)
KR (2) KR102627391B1 (ko)
GB (4) GB2604303B (ko)
WO (1) WO2018204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4933A1 (en) * 2017-05-05 2018-11-0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resting face angle
US10653926B2 (en) 2018-07-23 2020-05-1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KR20220007169A (ko) * 2019-05-15 2022-01-18 카스턴 매뉴팩츄어링 코오포레이숀 균형을 이룬 임팩트와 스윙 성능 특성을 갖춘 클럽 헤드
JP2022028481A (ja) * 2020-08-03 2022-02-1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11759685B2 (en) 2020-12-28 2023-09-1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US11406881B2 (en) 2020-12-28 2022-08-0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9914A (ja) * 2010-04-09 2011-11-17 Sato Yoshikazu ゴルフクラブ
US20150031468A1 (en) * 2013-07-23 2015-01-29 Dunlop Sports Co. Ltd. Golf club
JP2015020039A (ja) * 2013-07-24 2015-02-0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5195947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本間ゴルフ 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164Y2 (ja) * 1990-09-25 1997-06-11 横浜ゴム株式会社 ゴルフ用クラブヘッド
US5807186A (en) * 1997-03-18 1998-09-15 Chen; Archer C. C. Golf club including lie adjusting device
US6475100B1 (en) 2000-10-11 2002-11-05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face angle
JP2003062131A (ja) * 2001-08-21 2003-03-04 Fukuju Sato ゴルフクラブヘッド
US6773360B2 (en) 2002-11-08 2004-08-10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having a removable weight
US8337319B2 (en) * 2009-12-23 2012-12-25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8025587B2 (en) * 2008-05-16 2011-09-27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8622847B2 (en) * 2008-05-16 2014-01-07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US8758153B2 (en) * 2009-12-23 2014-06-2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8876622B2 (en) * 2009-12-23 2014-11-04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JP4177414B2 (ja) 2004-08-17 2008-11-05 福寿 佐藤 ロフト角およびフェース角の調整可能なゴルフクラブ
US8641554B1 (en) 2004-11-17 2014-02-04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with face angle adjustability
US8550934B2 (en) 2007-11-09 2013-10-08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weighting, customizable face-angle, and variable bulge and roll face
JP2009136608A (ja) 2007-12-10 2009-06-25 Yokohama Rubber Co Ltd:The ゴルフクラブヘッ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459274A (en) 2008-04-15 2009-10-21 Renewable Energy Corp Asa Wafer based solar panels
US9033821B2 (en) * 2008-05-16 2015-05-1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s
JP3144242U (ja) 2008-06-10 2008-08-21 株式会社本間ゴルフ ゴルフ用パター
US8303429B2 (en) * 2009-01-27 2012-11-06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with stable face angle
US7934999B2 (en) * 2009-05-18 2011-05-03 Callaway Golf Company Wood-type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sole contour
US8517851B2 (en) * 2009-05-18 2013-08-27 Callaway Golf Company Wood-type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sole contour
US8866199B2 (en) 2009-09-07 2014-10-2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photo detector, method of fabricating group III-V compound semiconductor photo detector, photo detector, and epitaxial wafer
US9259625B2 (en) * 2009-12-23 2016-02-16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US9440126B2 (en) * 2010-09-30 2016-09-13 Robert Boyd Golf club and golf club head structures
US8715104B1 (en) * 2011-03-10 2014-05-06 Callaway Golf Company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JP5714363B2 (ja) 2011-03-10 2015-05-0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防振連結ロッド
US8636603B2 (en) * 2012-01-13 2014-01-28 Nike, Inc. Automatic club setting and ball flight optimization
US8753221B1 (en) * 2012-01-26 2014-06-17 Callaway Golf Company Adjustable golf club shaft and hosel assembly
US20160045795A1 (en) 2012-02-28 2016-02-18 Cobra Golf Incorporated Stabilizing insert for a golf club head
US9114294B2 (en) * 2012-02-28 2015-08-25 Cobra Golf Incorporated Distance gapping golf club set with dual-range club
US20140316542A1 (en) 2012-02-28 2014-10-23 Cobra Golf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fitting golf clubs and sets
US9114292B2 (en) 2012-02-28 2015-08-25 Cobra Golf Incorporated Golf club head with stablizing sole
US8939847B2 (en) 2012-05-31 2015-01-27 Nike, Inc.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including structure to selectively adjust the face and lie angle of the club head
US9220957B1 (en) 2012-12-27 2015-12-29 Callaway Golf Company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characteristics
JP6136285B2 (ja) 2013-01-17 2017-05-31 ヤマハ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9216331B2 (en) * 2013-03-14 2015-12-22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sole
JP6247464B2 (ja) * 2013-06-27 2017-12-13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223732B2 (ja) 2013-07-08 2017-11-01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5029833A (ja) 2013-08-06 2015-02-16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JP6363479B2 (ja) * 2014-11-25 2018-07-2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6766354B2 (ja) * 2015-12-21 2020-10-1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ヘッド
WO2018204933A1 (en) * 2017-05-05 2018-11-08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resting face angle
US10653926B2 (en) * 2018-07-23 2020-05-1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Golf club head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9914A (ja) * 2010-04-09 2011-11-17 Sato Yoshikazu ゴルフクラブ
US20150031468A1 (en) * 2013-07-23 2015-01-29 Dunlop Sports Co. Ltd. Golf club
JP2015020039A (ja) * 2013-07-24 2015-02-02 ダンロップ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JP2015195947A (ja) * 2014-04-01 2015-11-09 株式会社本間ゴルフ 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81408B2 (ja) 2024-05-10
US11571611B2 (en) 2023-02-07
GB2604303B (en) 2023-02-08
KR20190140079A (ko) 2019-12-18
GB202207605D0 (en) 2022-07-06
JP2022188212A (ja) 2022-12-20
JP7407888B2 (ja) 2024-01-04
JP2022188213A (ja) 2022-12-20
GB2604522A (en) 2022-09-07
GB2606960A (en) 2022-11-23
GB202210859D0 (en) 2022-09-07
JP2024037968A (ja) 2024-03-19
US20210283474A1 (en) 2021-09-16
GB2604303A (en) 2022-08-31
WO2018204933A1 (en) 2018-11-08
US20200316441A1 (en) 2020-10-08
GB2575601B (en) 2022-08-17
JP2020518361A (ja) 2020-06-25
GB2606960B (en) 2023-02-22
JP7157080B2 (ja) 2022-10-19
US11020641B2 (en) 2021-06-01
GB202207561D0 (en) 2022-07-06
GB201915798D0 (en) 2019-12-18
US10668341B2 (en) 2020-06-02
US20220409966A1 (en) 2022-12-29
US11957965B2 (en) 2024-04-16
GB2604522B (en) 2022-11-23
KR20240011884A (ko) 2024-01-26
US20180318675A1 (en) 2018-11-08
GB2575601A (en)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7391B1 (ko) 조절 가능한 레스팅 페이스 각도를 가지는 골프 클럽 헤드
KR102427284B1 (ko) 조정 가능한 웨이팅 시스템을 갖는 골프 클럽 헤드
US11224784B2 (en) Club heads with varying groove parameters and related methods
US7186187B2 (en) Iron-type golf clubs
US9295887B2 (en) Iron-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10092800B2 (en) Iron-type golf clubs and golf club heads
US20210205675A1 (en) Golf club head with adjustable center of gravity
US20180243618A1 (en) Golf club head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golf club heads
US11998809B2 (en) Club heads with varying groove parameter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