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358B1 - 차량 소독기 - Google Patents

차량 소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358B1
KR102627358B1 KR1020230114131A KR20230114131A KR102627358B1 KR 102627358 B1 KR102627358 B1 KR 102627358B1 KR 1020230114131 A KR1020230114131 A KR 1020230114131A KR 20230114131 A KR20230114131 A KR 20230114131A KR 102627358 B1 KR102627358 B1 KR 102627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rum filter
filtration chamber
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송이
권오영
이재은
남정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원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원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원기업
Priority to KR1020230114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3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2Phase substances, e.g. smokes, aerosols or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ed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liquid proc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5Biocide distribution means, e.g. nozzles, pumps, manifolds, fans, baffles, spr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소독기에 관련되며, 이는 통행로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고, 또, 차단막에 의해 액약의 주변 확산이 차단되면서 차량으로 집중분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과속방지턱(10), 노즐보호턱(20), 차단막(30), 약액공급부(4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소독기{vehicle disinfection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소독기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통행로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고, 또, 차단막에 의해 액약의 주변 확산이 차단되면서 차량으로 집중분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 소독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구제역, 광우병, 조류독감을 포함하는 질병은 전염성이 강하여 초기진압에 실패할 경우 피해규모가 막대하게 증가되는 실정이다.
이에 전염성질병을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하기 위한 방역(소독, 방제)장치가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었지만, 대부분의 방역장치는 차량이 정차된 상태로 작업자가 노즐대를 이용하여 약액을 분사하는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방여시간이 지연되고, 인건비 증가와 더불어 겨울철 추위로 인해 방역에 어려움이 따르는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202696호에서, 차량 진행방향으로 입ㆍ출구도어가 설치되고, 내부에 약액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약액을 분사하도록 노즐이 구비되는 방역실; 및 상기 방역실의 출구도어 외측에 설치되어 버튼 또는 센서의 작동에 의해 출차 차량번호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물과 함께 방역(소독, 방역)증명서를 발급하도록 구비되는 증명서발급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방역 작업 중에 불필요한 약액의 소모를 줄이고 약액 누출로 인한 토양의 2차 오염 방지 및 차량의 전후, 좌우, 상하 면 뿐만 아니라 엔진룸, 차체내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내부 틈새까지 약액이나 증기를 침투시켜 소독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것이나, 방역실 설비 구축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잔류하는 전염인자를 효과적으로 방역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따랐다.
KR 10-1202696 B1 (2012.11.13.)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통행로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고, 또, 차단막에 의해 액약의 주변 확산이 차단되면서 차량으로 집중분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차량 소독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통행로에 설치되어 차량(C)의 서행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과속방지턱(10); 상기 과속방지턱(10)과 이격 배치되고, 상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하부를 방역하도록 하부 분사대(21)가 구비되는 노즐보호턱(20); 상기 노즐보호턱(20)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측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양측 영역을 방역하도록 측면 분사대(31)가 구비되는 차단막(30); 상기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약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약액공급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약액공급부(40)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41)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통(42)과, 물통(4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이송하도록 약액라인(43a)이 구비되는 분무기(43)와, 약액통(42)에 연결되어, 분무기(43) 출력포트 측으로 약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약액공급밸브(44)와, 약액라인(43a)을 따라 설치되어, 약액라인(43a)을 히팅하는 동파방지열선(45)과, 분무기(43), 약액공급밸브(44), 동파방지열선(4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소독하고, 살균소독된 공기를 차량(C) 실내부로 순환 공급하는 실내공기정화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정화부(50)는,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고, 차량(C) 보조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51)와, 과속방지턱(10)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흡입관(52a)을 통하여 흡입덕트(51)와 연결되고, 흡입덕트(5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1차 여과하는 사이클론집진기(52)와, 사이클론집진기(52)와 연결되어 1차 여과공기를 수용하도록 하부에 입력포트(53a)가 형성되고, 입력포트(53a)와 동심원상에 일치되도록 상부에 출력포트(53b)가 형성되는 여과챔버(53)와, 여과챔버(53)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여과공기를 2차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드럼필터(54)와, 여과챔버(53)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기(55)와, 송풍기(55)에 연결되고,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며, 차량(C) 운전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부로 2차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덕트(56)와, 여과챔버(53)와 송풍기(55)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필터(54)에 의해 여과된 2차 여과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등(5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등(57)은 살균냉각모듈(60)에 의해 공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살균냉각모듈(60)은, 살균등(57)을 감싸도록 격리구획을 형성하고, 하부에 투입구(61a)와, 상부에 배출구(61b)가 형성되는 살균챔버(61)와, 살균챔버(61)의 투입구(61a)와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연결하는 입력라인(62)과, 살균챔버(61)의 배출구(61b)와 송풍기(55)를 연결하는 출력라인(63)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통하여 출력되는 2차 여과공기는 살균챔버(61)의 하부영역으로 투입되어 상부영역으로 배출되면서, 살균등(57)에서 출력되는 살균광에 의해 소독되면서, 살균등(57)을 공냉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럼필터(54)는 원심세척부(70)에 의해 세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심세척부(70)는,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 사이에 설치되는 삼방밸브(71)와, 삼방밸브(71)에 연결되어 출력포트(53b)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72)와, 출력포트(53b)에서 여과챔버(53) 내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삽입되는 타공관(73)과, 드럼필터(54)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날개차(74)와, 드럼필터(54)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역원추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여과챔버(53)의 입력포트(53a)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마개(75)와, 여과챔버(53) 하부에 연결되고, 타공관(73)을 통하여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76)을 포함하고, 상기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이 연통된 상태로, 송풍기(55)이 on 작동되면, 타공관(73)을 통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진공압이 발생되고, 드럼필터(54)가 진공압에 의해 타공관(73)을 타고 상향 이송되면서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개방작동하면,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여과챔버(53)로 유입되는 1차 여과공기가 드럼필터(54)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2차 여과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심세척부(70)를 이용하여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시,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급수부(72)가 연결되어 타공관(73)을 통하여 세척수가 투입되고, 세척수 투입 압력에 의해 드럼필터(54)가 타공관(73)을 타고 하향 이송되어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폐쇄하며, 타공관(73)을 타고 유입되는 세척수는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되면서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하고, 드럼필터(54)를 통과한 세척수는 여과챔버(53) 하부에 포집되어 드레인관(7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통행로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고, 또, 차단막에 의해 액약의 주변 확산이 차단되면서 차량으로 집중분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를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를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실내공기정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실내공기정화부 및 원심세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들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를 정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를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약액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실내공기정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 소독기의 실내공기정화부 및 원심세척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차량 소독기에 관련되며, 이는 통행로에 간단하게 설치되어, 차량 하부 및 측면 영역을 효과적으로 방역할 수 있고, 또, 차단막에 의해 액약의 주변 확산이 차단되면서 차량으로 집중분사되어 손실을 최소화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를 이용하여 차량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 냉난방에 따른 에너지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과속방지턱(10), 노즐보호턱(20), 차단막(30), 약액공급부(40)를 포함하여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속방지턱(10)은 통행로에 설치되어 차량(C)의 서행을 유도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과속방지턱(10)은 후술하는 노즐보호턱(20)에 도달하기 이전에 설치되어, 노즐보호턱(20)으로 진입하는 차량의 속도를 감속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즐보호턱(20)은 상기 과속방지턱(10)과 이격 배치되고, 상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하부를 방역하도록 하부 분사대(21)가 구비된다.
상기 노즐보호턱(20)은 과속방지턱(10)과 동일하게 통행로 상면에 돌출 형성되고, 내부에 통로가 형성되어 하부 분사대(21) 측으로 약액을 공급하는 약액라인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분사대(21)는 소정의 간격으로 하부 노즐이 배치되고, 하부 노즐은 노즐보호턱(2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차량이 노즐보호턱(20)을 통과하는 중에 하부 분사대(21)를 통하여 분사되는 약액이 차량의 바퀴 및 하체를 소독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단막(30)은 상기 노즐보호턱(20)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측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양측 영역을 방역하도록 측면 분사대(31)가 구비된다.
상기 차단막(30)은 아연각파이프 골조와 폴리카보네이트판재로 형성되고, 폭 1000mm, 높이 3000mm로 형성되어, 액약의 주변 확산을 차단하여 차량으로 집중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분사대(31)는 종방향으로 분사노즐이 이격 배치되고, 차량 진행 방향으로 복열배치되어, 측면영역으로 약액을 분사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측면 분사대(31)는 차량 높이 대비 높게 형성되어, 차량 상부영역까지 약액 소독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액공급부(40)는 상기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약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약액공급부(40)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41)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통(42)과, 물통(4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이송하도록 약액라인(43a)이 구비되는 분무기(43)와, 약액통(42)에 연결되어, 분무기(43) 출력포트 측으로 약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약액공급밸브(44)와, 약액라인(43a)을 따라 설치되어, 약액라인(43a)을 히팅하는 동파방지열선(45)과, 분무기(43), 약액공급밸브(44), 동파방지열선(4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약액공급부(40)는 온도센서, 기상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수집부에 의해 외부온도를 검출하여, 동파방지열선(45)을 on/off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도 4에서, 상기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소독하고, 살균소독된 공기를 차량(C) 실내부로 순환 공급하는 실내공기정화부(50)가 구비된다.
상기 실내공기정화부(50)는,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고, 차량(C) 보조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51)와, 과속방지턱(10)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흡입관(52a)을 통하여 흡입덕트(51)와 연결되고, 흡입덕트(5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1차 여과하는 사이클론집진기(52)와, 사이클론집진기(52)와 연결되어 1차 여과공기를 수용하도록 하부에 입력포트(53a)가 형성되고, 입력포트(53a)와 동심원상에 일치되도록 상부에 출력포트(53b)가 형성되는 여과챔버(53)와, 여과챔버(53)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여과공기를 2차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드럼필터(54)와, 여과챔버(53)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기(55)와, 송풍기(55)에 연결되고,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며, 차량(C) 운전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부로 2차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덕트(56)와, 여과챔버(53)와 송풍기(55)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필터(54)에 의해 여과된 2차 여과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등(57)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실내공기정화부(50)를 이용하여 차량(C) 실내 공기를 살균소독함에 따라 차량(C) 실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까지 효과적으로 살균소독하여 방역효율 향상을 도모하고, 특히, 흡입덕트(51)와 분사덕트(56)를 이용하여 차량(C) 실내 공기를 순환방식으로 살균소독함에 따라 여름 또는 겨울철에 차량(C) 실내를 냉난방할 경우, 에너지효율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살균등(57)은 살균냉각모듈(60)에 의해 공냉되도록 구비된다.
도 5에서, 상기 살균냉각모듈(60)은, 살균등(57)을 감싸도록 격리구획을 형성하고, 하부에 투입구(61a)와, 상부에 배출구(61b)가 형성되는 살균챔버(61)와, 살균챔버(61)의 투입구(61a)와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연결하는 입력라인(62)과, 살균챔버(61)의 배출구(61b)와 송풍기(55)를 연결하는 출력라인(63)을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통하여 출력되는 2차 여과공기는 살균챔버(61)의 하부영역으로 투입되어 상부영역으로 배출되면서, 살균등(57)에서 출력되는 살균광에 의해 소독되면서, 살균등(57)을 공냉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살균등(57)이 순환공기에 의해 공냉되어 과열로 인한 수명단축이 방지되고, 특히, 실내공기정화부(50)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가 살균등(57)의 살균광에 노출되어, 공기 중에 존재하는 전염인자가 효과적으로 살균처리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드럼필터(54)는 원심세척부(70)에 의해 세척되도록 구비된다.
도 6에서, 상기 원심세척부(70)는,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 사이에 설치되는 삼방밸브(71)와, 삼방밸브(71)에 연결되어 출력포트(53b)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72)와, 출력포트(53b)에서 여과챔버(53) 내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삽입되는 타공관(73)과, 드럼필터(54)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날개차(74)와, 드럼필터(54)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역원추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여과챔버(53)의 입력포트(53a)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마개(75)와, 여과챔버(53) 하부에 연결되고, 타공관(73)을 통하여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76)을 포함한다.
상기 원심세척부(7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5와 같이, 상기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이 연통된 상태로, 송풍기(55)이 on 작동되면, 타공관(73)을 통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진공압이 발생되고, 드럼필터(54)가 진공압에 의해 타공관(73)을 타고 상향 이송되면서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개방작동하면,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여과챔버(53)로 유입되는 1차 여과공기가 드럼필터(54)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2차 여과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원심세척부(70)를 이용하여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시, 도 6처럼 상기 원심세척부(70)를 이용하여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시,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급수부(72)가 연결되어 타공관(73)을 통하여 세척수가 투입되고, 세척수 투입 압력에 의해 드럼필터(54)가 타공관(73)을 타고 하향 이송되어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폐쇄하며, 타공관(73)을 타고 유입되는 세척수는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되면서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하고, 드럼필터(54)를 통과한 세척수는 여과챔버(53) 하부에 포집되어 드레인관(7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여 출력되는 세척수가 날개차(74)에 마찰되어 드럼필터(54)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원심력에 의해 드럼필터(54)에 부착된 이물질이 효과적으로 분리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상기 원심세척부(70)에 의해 드럼필터(54)가 주기적으로 자동 세척됨에 따라 드럼필터(54) 수명이 반영구적으로 연장되고, 드럼필터(54)가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하여 여과효율 향상과 더불어 여과 과정 중에 드럼필터(54)에 포집된 오염원에 의한 순환 공기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순환배관, 세척 이송배관 및 드레인관(76)에는 솔밸브가 설치되어 제어부에 의해 개폐작동이 제어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0: 과속방지턱 20: 노즐보호턱
30: 차단막 40: 약액공급부
50: 실내공기정화부 60: 살균냉각모듈
70: 원심세척부

Claims (5)

  1. 통행로에 설치되어 차량(C)의 서행을 유도하도록 구비되는 과속방지턱(10); 상기 과속방지턱(10)과 이격 배치되고, 상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하부를 방역하도록 하부 분사대(21)가 구비되는 노즐보호턱(20); 상기 노즐보호턱(20) 양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으로 설치되고, 측방향으로 약액을 분사하여 차량(C) 양측 영역을 방역하도록 측면 분사대(31)가 구비되는 차단막(30); 상기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약액을 공급하도록 구비되는 약액공급부(40);를 포함하고,
    상기 약액공급부(40)는, 물이 저장되는 물통(41)과, 약액이 저장되는 약액통(42)과, 물통(41)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하부 분사대(21) 및 측면 분사대(31) 측으로 이송하도록 약액라인(43a)이 구비되는 분무기(43)와, 약액통(42)에 연결되어, 분무기(43) 출력포트 측으로 약액 공급량을 제어하는 약액공급밸브(44)와, 약액라인(43a)을 따라 설치되어, 약액라인(43a)을 히팅하는 동파방지열선(45)과, 분무기(43), 약액공급밸브(44), 동파방지열선(4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46)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살균소독하고, 살균소독된 공기를 차량(C) 실내부로 순환 공급하는 실내공기정화부(50)가 구비되고,
    상기 실내공기정화부(50)는,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고, 차량(C) 보조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덕트(51)와, 과속방지턱(10) 내부공간을 경유하는 흡입관(52a)을 통하여 흡입덕트(51)와 연결되고, 흡입덕트(51)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원심력으로 1차 여과하는 사이클론집진기(52)와, 사이클론집진기(52)와 연결되어 1차 여과공기를 수용하도록 하부에 입력포트(53a)가 형성되고, 입력포트(53a)와 동심원상에 일치되도록 상부에 출력포트(53b)가 형성되는 여과챔버(53)와, 여과챔버(53) 내부에 설치되고,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공급되는 1차 여과공기를 2차 여과하도록 구비되는 드럼필터(54)와, 여과챔버(53)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이송하도록 구비되는 송풍기(55)와, 송풍기(55)에 연결되고, 구동부에 의해 신축 길이 조절되며, 차량(C) 운전석 창문으로 삽입되어, 차량(C) 실내부로 2차 여과된 공기를 공급하는 분사덕트(56)와, 여과챔버(53)와 송풍기(55) 사이에 설치되어, 드럼필터(54)에 의해 여과된 2차 여과공기를 살균처리하는 살균등(57)를 포함하며,
    상기 살균등(57)은 살균냉각모듈(60)에 의해 공냉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살균냉각모듈(60)은, 살균등(57)을 감싸도록 격리구획을 형성하고, 하부에 투입구(61a)와, 상부에 배출구(61b)가 형성되는 살균챔버(61)와, 살균챔버(61)의 투입구(61a)와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연결하는 입력라인(62)과, 살균챔버(61)의 배출구(61b)와 송풍기(55)를 연결하는 출력라인(63)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를 통하여 출력되는 2차 여과공기는 살균챔버(61)의 하부영역으로 투입되어 상부영역으로 배출되면서, 살균등(57)에서 출력되는 살균광에 의해 소독되면서, 살균등(57)을 공냉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드럼필터(54)는 원심세척부(70)에 의해 세척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심세척부(70)는, 여과챔버(53)의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 사이에 설치되는 삼방밸브(71)와, 삼방밸브(71)에 연결되어 출력포트(53b) 측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부(72)와, 출력포트(53b)에서 여과챔버(53) 내측 방향으로 하향 연장되어,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삽입되는 타공관(73)과, 드럼필터(54) 외주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날개차(74)와, 드럼필터(54)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역원추형으로 하향 돌출되어 여과챔버(53)의 입력포트(53a)를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마개(75)와, 여과챔버(53) 하부에 연결되고, 타공관(73)을 통하여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과 함께 배출되는 세척수를 배출하는 드레인관(76)을 포함하고, 상기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출력라인(63)이 연통된 상태로, 송풍기(55)이 on 작동되면, 타공관(73)을 통하여 흡입력이 발생되면서 드럼필터(54) 내경부에 진공압이 발생되고, 드럼필터(54)가 진공압에 의해 타공관(73)을 타고 상향 이송되면서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개방작동하면, 입력포트(53a)를 통하여 여과챔버(53)로 유입되는 1차 여과공기가 드럼필터(54)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2차 여과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원심세척부(70)를 이용하여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시, 삼방밸브(71) 작동으로 출력포트(53b)와 급수부(72)가 연결되어 타공관(73)을 통하여 세척수가 투입되고, 세척수 투입 압력에 의해 드럼필터(54)가 타공관(73)을 타고 하향 이송되어 회전마개(75)가 입력포트(53a)를 폐쇄하며, 타공관(73)을 타고 유입되는 세척수는 드럼필터(54) 내측에서 외측방향으로 통과되면서 드럼필터(54) 외주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세척하고, 드럼필터(54)를 통과한 세척수는 여과챔버(53) 하부에 포집되어 드레인관(76)을 통하여 배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소독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114131A 2023-08-30 2023-08-30 차량 소독기 KR102627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131A KR102627358B1 (ko) 2023-08-30 2023-08-30 차량 소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14131A KR102627358B1 (ko) 2023-08-30 2023-08-30 차량 소독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358B1 true KR102627358B1 (ko) 2024-01-19

Family

ID=897174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14131A KR102627358B1 (ko) 2023-08-30 2023-08-30 차량 소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35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696B1 (ko) 2011-05-26 2012-11-28 박인대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KR20130060066A (ko) * 2011-11-29 2013-06-07 (주)엔퓨텍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차량 살균시스템
KR101368455B1 (ko) * 2013-01-24 2014-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차량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26977A (ko) * 2018-05-03 2019-11-13 조이운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356153B1 (ko) * 2021-06-23 2022-02-08 김명희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696B1 (ko) 2011-05-26 2012-11-28 박인대 무인 차량 방역 및 소독, 방제장치
KR20130060066A (ko) * 2011-11-29 2013-06-07 (주)엔퓨텍 자외선 살균램프를 이용한 차량 살균시스템
KR101368455B1 (ko) * 2013-01-24 2014-02-28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축산 농장용 차량 소독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90126977A (ko) * 2018-05-03 2019-11-13 조이운 이동식 부스용 공기정화장치
KR102356153B1 (ko) * 2021-06-23 2022-02-08 김명희 에어샤워 및 공기청정 기능을 갖는 에어샤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637B1 (ko) 이동형 방역 소독장치
WO2022071619A1 (ko) 자율주행 방역 장치
KR102303659B1 (ko) 방역게이트
JP5791292B2 (ja) 車両消毒装置
KR200464232Y1 (ko) 다목적 방역 장치
KR102627358B1 (ko) 차량 소독기
KR102216154B1 (ko) 비말감염 방지수단을 구비한 공공시설물
KR102263083B1 (ko) 공기 정화 및 소독장치
JP5791694B2 (ja) 車両消毒装置
JP2017070426A (ja) 内視鏡リプロセッサ
KR101565951B1 (ko) 필터오염방지 기능을 포함하는 에어샤워 장치
KR102273313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450800B1 (ko) 스탠드형 에어샤워 방역 시스템
CN214807070U (zh) 一种特种车辆消杀方舱
CN209950063U (zh) 消毒防护系统
KR102337075B1 (ko) 에어 샤워부스용 에어 분사장치
KR102286942B1 (ko) 에어샤워 게이트
CN113719227A (zh) 一种内镜传递窗系统
KR102493378B1 (ko) 매트리스 살균장치
KR101268517B1 (ko) 터널형 차량 소독기
KR20100042314A (ko) 데미스터필터가 장착된 습식 에어샤워장치
KR102660129B1 (ko) 대인 무균소독기
KR20220023535A (ko) 감염병 방지 기능을 갖는 에어컨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9980020908U (ko) 축사출입용 자동 소독상
KR20120050886A (ko) 이동 형 클린룸 살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